KR100902085B1 - 발등 보호용 안전화 - Google Patents

발등 보호용 안전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2085B1
KR100902085B1 KR1020080128342A KR20080128342A KR100902085B1 KR 100902085 B1 KR100902085 B1 KR 100902085B1 KR 1020080128342 A KR1020080128342 A KR 1020080128342A KR 20080128342 A KR20080128342 A KR 20080128342A KR 100902085 B1 KR100902085 B1 KR 100902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ep
protection
safety shoes
pocket
protec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8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우
Original Assignee
김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우 filed Critical 김현우
Priority to KR1020080128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20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2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2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6Overshoes
    • A43B3/18Devices for holding overshoes in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8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 A43B23/081Toe stiffener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발등 보호용 안전화는, 발등측 갑피(32)에 형성된 절개부(32a)를 사이에 두고 내측과 외측에 각각 위치되면서 발등측 갑피(32)에 동시 고정되는 신발혀(34) 및 커버부(36)와, 상기 커버부(36)의 내측에 보호판(38)이 착탈가능케 출입되도록 상부가 개구된 포켓부(40)를 구비한 발등 보호용 안전화(30)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32a)의 상단은 절개부(32a)의 간격을 탄력적으로 조절하면서 상기 신발혀(34)를 상부로 밀착되도록 잡아주는 고무밴드(42)가 가로질러 결합되고, 상기 커버부(36)의 하단 중앙에는 상기 포켓부(40)의 내부로 삽입된 보호판(38)에 적힌 이름 등의 표시내용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투명창(36a)이 형성되며, 상기 포켓부(40)의 상단 중앙에는 일측단이 고정되고 타측단이 커버부(36)의 상단 중앙에 착탈가능케 결합되어 포켓부(40)에 삽입된 보호판(38)이 이탈되지 않도록 잠금단추(40a)를 가진 연결띠(40b)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되어 있으므로, 낙하물로 부터 발등을 안전하게 보호하면서도 보호판(38)의 무게를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보호판(38)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여 안전화(30)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며 발등부의 접힘력을 높여서 보행시 발등에 부담을 최소화시키고, 착용의 편리성을 높임과 동시에 신발주인의 식별을 용이하도록 한 효과를 갖는다.
안전화, 작업화, 발등, 보호판, 토캡, 이름표

Description

발등 보호용 안전화{WORK SHOES FOR PROTECTION OF INSTEP}
본 발명은 발등 보호용 안전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등부위에 형성된 포켓에 보호판을 착탈가능케 결합하여 낙하물로부터 발등을 보호함과 동시에 보호판에 적힌 이름 등의 표시내용이 포켓의 투명창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함은 물론, 신발혀의 상단이 발등측 갑피의 절개부에 결합된 고무밴드에 의해 밀착 지지되도록 한 발등 보호용 안전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화라 함은 공장이나 공사 현장 등에서 낙하하는 중량물로 부터 발을 보호하거나, 보행중 날카롭거나 딱딱한 물체에 부딪혀 발이 다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착용되는 신발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의 안전화에는 발가락이 위치하는 앞부위에 강철로 만들어진 토캡(toe-cap)이 내착되고, 상기 강철재 토캡은 1100kg의 하중이나 46cm에서 떨어지는 23kg의 중량에 견딜 수 있도록 일정 두께의 강철 판재를 드로잉 가공하여 제작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강철재 토캡이 신발의 앞부분에만 내착된 종래의 안전화는 보행시 날카롭거나 딱딱한 물체가 발끝에 부딪혀 발가락이 다치게 되는 것으로 부터는 보호될 수 있으나 중량물이 낙하되는 것으로 부터는 충분히 보호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안전화를 착용하고 기립한 상태에서는 발가락부위와 발등부위가 상방으로 부터 완전히 노출되고, 발의 구조상 안전화의 발등부위는 토캡이 내착된 발가락부위 보다 상대적으로 높다. 그러므로 중량물이 발가락 부위로 낙하시에는 토캡에 의해 충분히 보호될 수 있으나 발가락부위와 발등부위에 걸쳐 낙하되는 중량물에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발등부위에 먼저 부딪히게 되므로 발등부위가 크게 다칠 수 있는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종래는 이런 문제점의 해결방안으로 실용신안등록 제0291033호(2002.9.19 등록)가 제안되어 왔었다. 이 실용신안등록 공보의 발등 보호용캡이 장착된 안전화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발의 앞부분에 발가락 보호용 토캡(1)이 매설된 안전화(100)에 있어서, 발등부(2)에 대응하는 신발밑창(3)의 내부에 너트관(4)(4')이 양단에 부착된 지지봉(5)을 인서트 성형하고, 양측 저단부에 외향 절곡부(6)(6')가 형성되고 이의 상부에 볼트공(7)(7')이 뚫린 발등 형상으로 만곡된 일정 두께의 금속재 보호캡(8)을 완충부재(9)를 매개로 안전화 갑피(10)의 발등부(2) 상면에 볼트공(7)(7')이 지지봉(5)의 너트관(4)(4')에 일치되게 씌워 신발밑창(3)의 측부에서 볼트(11)(11')로 체결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금속재 보호캡(8)의 발등부(2)와 접촉하는 선후단부는 외향으로 절곡된 라운딩부(12)(12')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발등 보호용캡이 장착된 안전화는 발등 형 상으로 만곡된 일정 두께의 금속재 보호캡(8)이 신발밑창(3)의 양측면으로 인서트 성형된 지지봉(5)의 너트관(4)(4')에 대응되게 일치되어 볼트(11)(11')로 체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이러한 구조는 금속재 보호캡(8)이 안전화(100)의 발등부(2)의 상부로 노출되어 있으면서 볼트(11)(11')에 의해 체결되기 때문에 안전화(100)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조립구조가 복잡하고 무거워 작업자의 발등에 무리한 하중을 가하게 되고, 보행시 금속재 보호캡(8)에 의해 발등부(2)의 접힘력을 저하시켜 보행에 부담을 준다는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낙하물로 부터 발등을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게 하면서도 보호판의 무게를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보호판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여 안전화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며 발등부의 접힘력을 높여서 보행시 발등에 부담을 최소화시키도록 구조를 단순화시킨 발등 보호용 안전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발혀의 상단이 발등측 갑피의 절개부에 결합된 고무밴드에 의해 밀착 지지되어 말려들어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등의 착용의 편리성을 높힌 발등 보호용 안전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호판에 적힌 이름 등의 표시내용이 포켓을 가진 커버부의 투명창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신발주인의 식별을 용이하도록 편리성을 부여한 발등 보호용 안전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발등 보호용 안전화는, 발등측 갑피에 형성된 절개부를 사이에 두고 내측과 외측에 각각 위치되면서 발등측 갑피에 동시 고정되는 신발혀 및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내측에 보호판이 착탈가능케 출입되도록 상부가 개구된 포켓부를 구비한 발등 보호용 안전화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의 상단은 절개부의 간격을 탄력적으로 조절하면서 상기 신발혀를 상부로 밀착되도록 잡아주는 고무밴드가 가로질러 결합되고, 상기 커버부의 하단 중앙에는 상기 포켓부의 내부로 삽입된 보호판에 적힌 이름 등의 표시내용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투명창이 형성되며, 상기 포켓부의 상단 중앙에는 일측단이 고정되고 타측단이 커버부의 상단 중앙에 착탈가능케 결합되어 포켓부에 삽입된 보호판이 이탈되지 않도록 잠금단추를 가진 연결띠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한 발등 보호용 안전화는, 발등측 갑피의 절개부를 커버하는 커버부의 내측에 낙하물로 부터 발등을 보호하는 보호판이 착탈가능케 출입되도록 포켓부가 설치되고, 절개부의 상단에 절개부의 간격을 탄력적으로 조절하면서 신발혀를 상부로 밀착되도록 잡아주는 고무밴드가 결합되며, 커버부의 하단 중앙에 포켓부의 내부로 삽입된 보호판에 적힌 이름 등의 표시내용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투명창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낙하물로 부터 발등을 안전하게 보호하면서도 보호판의 무게를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보호판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여 안전화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며 발등부의 접힘력을 높여서 보행시 발등에 부담을 최소화시키고, 착용의 편리성을 높임과 동시에 신발주인의 식별을 용이하도록 한 효 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발등 보호판이 안전화에 장착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에 대한 결합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B-B선에 대한 결합 단면도로서, 본 발명은 신발의 앞부분에 발가락 보호용 토캡(28)이 매설된 안전화(30)와, 상기 안전화(30)의 발등측 갑피(32)에 형성된 절개부(32a)를 사이에 두고 내측과 외측에 각각 위치되면서 발등측 갑피(32)에 동시 고정되는 신발혀(34) 및 커버부(36)와, 상기 커버부(36)의 내측에 낙하물로 부터 발등을 보호하는 보호판(38)이 착탈가능케 출입되도록 상부가 개구된 포켓부(40)와, 상기 절개부(32a)의 상단을 가로질러 고정되어 절개부(32a)의 간격을 탄력적으로 조절하면서 상기 신발혀(34)를 상부로 밀착되도록 잡아주는 고무밴드(42)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신발혀(34) 및 커버부(36)의 하단은 상기 발등측 갑피(32)에 재봉 및 리벳 등에 의해서 동시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36)의 상단은 상기 안전화(30)의 발목측 갑피(44)의 안쪽면에 일측단이 고정되고 타측단이 발목측 갑피(44)의 바깥면에 벨크로 테잎(46)을 매개로 착탈가능케 결합되는 조임띠(48)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조임띠(48)는 그 끝단이 상기 커버부(36)의 상단을 관통하여 상기 발목측 갑피(44)에 암수 한쌍의 벨크로 테입(46)에 의해 착탈가능케 결합되면서 상 기 절개부(32a)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36)의 하단 중앙에는 상기 포켓부(40)의 내부로 삽입된 보호판(38)에 적힌 이름 등의 표시내용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투명창(36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호판(38)은 낙하물로부터 발등을 보호하도록 금속 또는 강화플라스틱 중에서 선택된 그 어느 일종으로 이루어지고, 그 중앙에서 좌우로 갈수록 점차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포켓부(40)는 상기 커버부(36)의 이면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위치되면서 상부가 개구되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재봉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 상기 포켓부(40)의 상단 중앙에는 일측단이 재봉 등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단이 커버부(36)의 상단 중앙에 착탈가능케 결합되어 포켓부(40)에 삽입된 보호판(38)이 이탈되지 않도록 암수 한쌍의 잠금단추(40a)를 가진 연결띠(40b)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작업자에게 안전화(30)가 지급되어 이름 등의 표시내용을 기재하기 위해서는, 먼저 커버부(36)의 상단에 결합된 잠금단추(40a)를 풀어줌과 동시에 연결띠(40b)를 상부로 제친상태에서 커버부(36)의 이면에 설치된 포켓부(40)의 내부로부터 보호판(38)을 꺼낸다.
이때, 보호판(38)의 하단 표면에 예를 들어 이름 등의 표시내용을 기재한 후, 이 보호판(38)을 상기 포켓부(40)에 삽입시키고 잠금단추(40a)를 이용하여 연 결띠(40b)를 고정시키면, 이 보호판(38)의 하단 표면에 기재된 이름 등의 표시내용이 커버부(36)의 하단에 형성된 투명창(36a)과 일치됨과 동시에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신발주인이 누구인지를 즉시 식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포켓부(40)의 내부에 삽입된 보호판(38)은 금속 또는 강화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중앙에서 좌우로 갈수록 점차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안전화(30)의 발등을 감싸주는 커버부(36)로 날카롭고 딱딱한 물체 등의 중량물이 낙하되더라도 상기 보호판(38)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여 발등부위를 보호하게 된다.
즉, 상기한 안전화(30)를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중 중량물이 발가락부위에 낙하될 경우 토캡(28)에 의해 발가락이 충분히 보호되고, 중량물이 발등부위에 먼저 부딪히게 되어도 상기 커버부(36)의 포켓부(40)에 삽입된 보호판(38)에 의해 발등이 충분히 보호되어 다치지 않게 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커버부(36)는 발등측 갑피(32)에 형성된 절개부(32a)의 간격을 좁혀주면서 신발혀(34)를 상부로 당겨주는 고무밴드(42)의 탄성력과 연결띠(40b)의 고정력에 의해 발등과 일치되도록 중앙에 위치되기 때문에 커버부(36)의 이면에 포켓부(40)를 매개로 수용된 보호판(38)이 작업자의 발등부위를 벗어나지 않고 견고히 고정된다.
또한, 보호판(38)은 발등만을 보호하도록 부피 및 무게가 최소화되고,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포켓부(40)내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안전화(30)의 외관이 미 려할 뿐만 아니라, 발등부위의 접힘력을 높여서 보행시 발등에 부담을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착용감을 높여주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발등 보호캡이 안전화에 장착된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발등 보호캡이 안전화에 장착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발등 보호판이 안전화에 장착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에 대한 결합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에 대한 결합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안전화 32 : 발등측 갑피
32a : 절개부 34 : 신발혀
36 : 커버부 36a : 투명창
38 : 보호판 40 : 포켓부
40a : 잠금단추 40b : 연결띠
42 : 고무밴드 44 : 발목측 갑피
46 : 벨크로 테입 48 : 조임띠

Claims (5)

  1. 발등측 갑피(32)에 형성된 절개부(32a)를 사이에 두고 내측과 외측에 각각 위치되면서 발등측 갑피(32)에 동시 고정되는 신발혀(34) 및 커버부(36)와, 상기 커버부(36)의 내측에 보호판(38)이 착탈가능케 출입되도록 상부가 개구된 포켓부(40)를 구비한 발등 보호용 안전화(30)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32a)의 상단은 절개부(32a)의 간격을 탄력적으로 조절하면서 상기 신발혀(34)를 상부로 밀착되도록 잡아주는 고무밴드(42)가 가로질러 결합되고, 상기 커버부(36)의 하단 중앙에는 상기 포켓부(40)의 내부로 삽입된 보호판(38)에 적힌 이름 등의 표시내용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투명창(36a)이 형성되며, 상기 포켓부(40)의 상단 중앙에는 일측단이 고정되고 타측단이 커버부(36)의 상단 중앙에 착탈가능케 결합되어 포켓부(40)에 삽입된 보호판(38)이 이탈되지 않도록 잠금단추(40a)를 가진 연결띠(40b)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등 보호용 안전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80128342A 2008-12-17 2008-12-17 발등 보호용 안전화 KR100902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342A KR100902085B1 (ko) 2008-12-17 2008-12-17 발등 보호용 안전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342A KR100902085B1 (ko) 2008-12-17 2008-12-17 발등 보호용 안전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2085B1 true KR100902085B1 (ko) 2009-06-09

Family

ID=40982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8342A KR100902085B1 (ko) 2008-12-17 2008-12-17 발등 보호용 안전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208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629B1 (ko) 2011-05-17 2013-03-28 윤순모 다기능 안전화
CN104490006A (zh) * 2014-12-15 2015-04-08 广西大学 一种鞋子
KR101617042B1 (ko) * 2015-06-29 2016-05-02 주식회사 경동스포츠 스노우보드용 부츠
KR20240020402A (ko) 2022-08-08 2024-02-15 (주)더휴 용접작업용 안전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2249A (en) 1981-03-16 1983-12-27 Hannah William M Kicking apparatus
JPH11253202A (ja) * 1998-03-13 1999-09-21 Katsu Tada スリッパ
KR200403327Y1 (ko) * 2005-09-28 2005-12-08 김종헌 발등 보호용 덮개를 가지는 안전화
KR200427365Y1 (ko) * 2006-06-30 2006-09-25 류한하 보호 덮개가 형성된 안전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2249A (en) 1981-03-16 1983-12-27 Hannah William M Kicking apparatus
JPH11253202A (ja) * 1998-03-13 1999-09-21 Katsu Tada スリッパ
KR200403327Y1 (ko) * 2005-09-28 2005-12-08 김종헌 발등 보호용 덮개를 가지는 안전화
KR200427365Y1 (ko) * 2006-06-30 2006-09-25 류한하 보호 덮개가 형성된 안전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629B1 (ko) 2011-05-17 2013-03-28 윤순모 다기능 안전화
CN104490006A (zh) * 2014-12-15 2015-04-08 广西大学 一种鞋子
KR101617042B1 (ko) * 2015-06-29 2016-05-02 주식회사 경동스포츠 스노우보드용 부츠
KR20240020402A (ko) 2022-08-08 2024-02-15 (주)더휴 용접작업용 안전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3158Y1 (ko) 감싸개형 포켓을 가진 신발
EP2621302B1 (en) Heel-end slip shoe
US5996258A (en) Protective shoe cover
US5855079A (en) Multi-skinned boots
US4991318A (en) Foot safety guard
US3783534A (en) Protective boot
US20080047169A1 (en) Footwear cover
KR20060048734A (ko) 구두
US6493965B1 (en) Sandal with toe guard
KR100902085B1 (ko) 발등 보호용 안전화
US2872745A (en) Spat-type protector
US6785983B2 (en) Boot provided with a gaiter
US7165342B2 (en) Protective shoe cover
TWI554223B (zh) 強化鞋
US5462069A (en) Post-surgical toe guard and tongue
KR100742397B1 (ko) 등산화 결착용 보호대
WO2007053886A1 (en) Foot guard
US20120000096A1 (en) Shank Guard
JP2021079060A (ja) 足上面安全保護具
KR200447922Y1 (ko) 발등 보호 및 통풍기능을 갖는 안전화
CN220308540U (zh) 一种便于调节松紧的雨靴
US20240032625A1 (en) Protective Footgear Device
KR102582361B1 (ko) 착탈식 발등 보호구
US2644249A (en) Foot and shoe protector
KR20110001827U (ko) 안전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