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1872B1 - 그리드 서비스를 이용한 이종 노매딕/이동 통신 네트워크간 협업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그리드 서비스를 이용한 이종 노매딕/이동 통신 네트워크간 협업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1872B1
KR100901872B1 KR1020070044926A KR20070044926A KR100901872B1 KR 100901872 B1 KR100901872 B1 KR 100901872B1 KR 1020070044926 A KR1020070044926 A KR 1020070044926A KR 20070044926 A KR20070044926 A KR 20070044926A KR 100901872 B1 KR100901872 B1 KR 100901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authentication
grid
terminal
do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4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0212A (ko
Inventor
김성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PCT/KR2007/00583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8066277A1/en
Priority to US12/516,985 priority patent/US7941518B2/en
Publication of KR20080050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0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1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1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36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between heterogeneous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61Partitioning or combining of resources
    • G06F9/5072Grid compu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리드 서비스를 이용한 이종 노매딕/이동 통신 네트워크 간 협업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리드 서비스 인프라가 이종 노매딕/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오버레이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로 접근해야 하는 자원들을 하나의 표준 인터페이스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종 네트워크간 수직 핸드오프 및 위치 정보의 접근 등을 용이하게 해주며, 네트워크간 상호 운용성 증대 및 효율적인 협업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Figure R1020070044926
그리드 서비스, 이동성, 위치 정보, VO(Virtual Organization), 이종망, 협업, 가상 조직

Description

그리드 서비스를 이용한 이종 노매딕/이동 통신 네트워크 간 협업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grid services based cooperation environment among heterogeneous nomadic and mobile network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업 시스템에서 복수의 통신망에 가상 조직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MLA 서버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MLA 동작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협업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그리드 서비스를 이용한 협업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리드 서비스는 그리드 기술과 웹 서비스 기술을 기반으로 제공된다. 그리드 서비스는 그리드 컴퓨팅 기술을 바탕으로 고정 망에 분산되어 있는 자원들을 공유하는 구조와 서비스 실행 환경을 중심으로 제공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그리드에 지능을 부여하고 상이한 환경에서 동작하는 다양한 기기들을 수용하는 표준 인터페이스 방법으로 웹과 세만틱(semantic) 기술들을 도입하는 방향으로 나 아가고 있다. 또한 사용 케이스(Use cases)에 따라서 컴퓨팅 그리드(또는 계산 그리드), 데이터 그리드, 접근 그리드로 활용될 수 있도록 관련 시나리오들과 응용 시스템, 툴킷(toolkits)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 공지된 WSRF(Web Service Resource Framework)나 OGSA(Open Grid Service Architecture) 등에서는 그리드 서비스를 분산 컴퓨팅 및 데이터 처리 인프라로서 지리적, 조직적으로 흩어져 있는 이기종의 자원들을 스테이트풀(stateful) 웹 서비스를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또한, 모바일 환경에서도 활용 가능한 접근 기법들을 연구 개발 중에 있다.
한편, 그리드 시스템에서 VO(Virtual Organizations, 이하 '가상 조직'이라 지칭)는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자원들을 공유하도록 임시적 또는 동적으로 통합된 환경을 구성하는 개인이나 그룹, 기관들을 통칭한다. 그러나, 그리드 시스템들과 응용들은 고정망에서 가용할 수 있는 가상 조직을 구성하고 필요한 서비스들을 제공하며 실행과 종료 시까지만 라이프 싸이클을 지원하고 있으며, 이동하는 자원들을 가상 조직으로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제공하고 있지 않다.
이러한 그리드 서비스는 고정망에 연결된 자원들을 대상으로 시도되고 있으며, 상이한 환경에서 동작해야 하는 IT(Information Technology) 정보처리, NT(Nano Technology), BT(Bio Technology) 등 다양한 분야의 응용들을 위한 협업 환경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계속 진보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 Globus Alliance에서는 GT(Globus Toolkit)을 기반으로 GRAM(Grid Resource Allocation and Management protocol), MDS(Monitoring and Discovery System), GSI(Grid Service Infrastructure), GASS(Grid Access to Secondary Storage), GridFTP과 같은 응용 서비스들을 개발하였다.
또한, HPC(High-Performance Computing) 커뮤니티를 위해서는 WebCom/WebCom-G, Grid Service Broker, Grid Portal SW, Grid Packaging Toolkit, MPICH-G2, Condor/Condor-G, HPC4U Middleware, Gridway metascheduler R-GMA(Relational Grid Monitoring Architecture), NWS(Network Weather Service)와 같은 다양한 도구들 및 플랫폼들을 내놓고 있다. 상용 그리드 시스템들로는 Access Grid, gLite, IceGrid, NorduGrid, Open Science Grid, OurGrid, Sun Grid, GRIA(Grid Resources for Industrial Applications) 등도 제공되고 있으며, WSRF.NET과 같은 플랫폼도 출시되고 있다. 그리드에 사용되는 표준 규격과 API들은 WSRF, CORBA, OGSA, OGSi, Distributed Resource Management Application API 등에 명시되어 있고 계속 웹 서비스에서 지원하는 기술들을 융합하여 지식-그리드(Knowledge-Grid), 세만틱 그리드(Semantic-Grid) 와 같은 기술로 진화하고 있다.
현재 그리드 서비스의 큰 이슈는 무선 및 모바일의 특성과 요구사항을 수렴하면서 이동하는 자원들을 그리드 자원으로 활용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e-Health와 같은 특정 응용을 대상으로 휴대폰을 보유한 이용자가 공중 무선 랜(WLAN)을 통해서 그리드 서비스를 활용하는 케이스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른 바 이동 그리드에서의 핵심은 이동성 제어가 필수적이다. 단일 도메인 (또는 네트워크/서비스 제공자)은 기존 이동 통신 인프라와 연동을 통해서 가능할 수 있다는 것이 논리적/기능적으로 보여지고 있으나, 다양하고 이질적인 노매딕/이동 통신 환경에서 이동성 제어와 위치정보 제공을 할 수 있는 아키텍쳐는 기술 발전 방향에서 풀어야 할 과제로 연구되고 있다.
다른 기술 분야로는 노매딕/이동 통신 분야로 2G/3G 셀룰라, WLAN(Wireless LAN), WiBro/WiMAX(Wireless Broadband/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텔레메틱스 및 위치 기반 서비스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이기종의 시스템들과 서비스들은 현재 대부분 독립된 사업자 도메인들로 제공되고 있다. 또한 무선 전송의 기술적 특성과 서비스 계약에 따라 사업자간 또는 동일 기술 규격간 수평 핸드오프(horizontal hand-off)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노매딕/이동 통신 시스템 및 서비스들은 초고속 무선 전송기술과 ALL-IP 기반 네트워크 서비스, 멀티미디어 서비스 환경, 개인 통신 서비스 환경 등을 지원할 수 있도록 3.5G 및 4G 시스템으로 진화하고 있다. 특히 4G 이동 통신에서는 다양한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들이 융합 가능한 형태로 서비스가 가능한 시나리오를 가상하여 연구 개발 중에 있고, 퍼베이시브(pervasive) 통신 환경도 수용하도록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 4G 이동통신에서는 사용자가 가입한 사업자 도메인 또는 서비스 제공자 도메인에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을 뿐 아니라 타 도메인으로 이동하더라도 기본적으로 도메인간 이동성을 보장 받으며 자기의 서비스 조건에 보다 유리한 서비스 통신 환경을 선택하면서 끊임없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이것은 다양한 노매딕/ 이동 통신 시스템들, 나아가 다양한 고정망, 방송망들까지 융합되는 유비퀴터스 환경에서도 필수적인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노매딕/이동 통신의 서비스 및 응용 측면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기능은 이동성 및 위치 정보의 관리에 있다. 현재는 각 네트워크 사업자나 서비스 제공자들이 개별적으로 이동성을 제어하고 위치 정보를 관리하고 있으며, 도메인간 인터 네트워킹(inter-networking) 또는 다른 형태의 망간 서비스 협업을 위해서는 다른 종류의 무선 기술을 사용하는 시스템이나 도메인 간에 수직 핸드오프(Vertical HO)가 필수적인 사항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무선 접속 계층에서 수직 핸드오프를 지원하는 기능이 있어야 하고, 네트워크 및 응용 계층에서도 끊임없는 서비스 세션을 유지하기 위한 개인 이동성과 서비스 이동성을 보장할 수 있는 도메인간 협업 정보의 공유가 해결되어야 한다.
한편, 위치(Location) 정보는 각 노매딕/이동 통신 망에서 채택하는 메커니즘들에 의해서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는데, 개인화된 응용이나 맞춤 서비스 응용들에서 필요로 하는 것은 이동하는 자원들이 위치하는 환경에 따라 둘러싸고 있는 자원들의 위치 정보를 동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정보이다. 즉, 컨텍스트(context)의 변화에 따라 인지할 수 있는 정보의 관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별도의 집중적인 관리노드 및 프로세스가 있어야 하며 특히 세션 이동성을 지원 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
이러한 이동 통신 분야에서 그리드를 적용하고자 하는 동향은 아직 개념적이고 실험적인 단계에 머물러 있다. 이동 통신에 그리드를 도입하고자 하는 시도는 다음의 두 가지로 생각할 수 있는데, 첫째 이동 통신 단말들이 그리드에 대한 인터페이스로서 동작하여 그리드 응용을 서비스 받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이동 통신 단말들을 그리드 자원으로 공유하는 것을 들 수 있다.
후자의 경우는 그리드 자원으로서 이동 통신 단말을 활용하는 것으로써, 전반적인 개념을 제시하고 있고 운용상 필요한 부분에 강조를 두고 있다. 그러나, 그리드 컴퓨팅 기술을 어떤 응용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가 잘 정의되어 있지 않고 이동 단말 외에 기지국이나 노매딕/이동 통신 시스템들에서 고용하는 자원들, 예를 들어 기지국과 같은 자원들을 그리드 자원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것은 포함하지 않고 있다.
또한 그리드 네트워크에 대한 인터페이스에 중점을 둔 기술은, 이동 통신 단말의 사용자와 그리드 시스템 간 게이트웨이 기능과 리플리케이션 기법을 기반으로 하는 미들웨어를 제안하고 있다. 여기에서도 이동 통신에 대한 그리드 적용 개념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동성 및 위치 정보에 관련된 문제들을 어떻게 해야 될 것인가는 모호하게 되어 있으며, 이종의 시스템간 또는 도메인간 협약을 어떻게 할 것인가는 구체적으로 제안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리드 서비스를 이용하여 이종 망 간의 협업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인 시스템은, 복수의 도메인을 포함하는 이종의 통신망에서 노드에 그리드 서비스를 활용하여 협업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그리드 참여자 및 서비스에 대한 인증, 권한 검증, 이동성 제어, 과금 및 관리 서비스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글로벌 협업 관리부; 상이한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다수의 자원들 간에 공통 인터페이스를 그리드 서비스 기술로 지원하고, 상기 노드를 자원으로 활용 가능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그리드 서비스 인프라부; 및 상기 그리드 서비스 인프라부와 상기 글로벌 협업 관리부를 연동하여 상기 노드에 그리드 서비스를 제어하는 그리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인 서비스 제공 방법은, 복수의 도메인을 포함하는 협업 시스템에서 그리드 서비스를 통해 제1 도메인에서 제2 도메인으로 이동한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도메인으로부터 상기 단말로 제공될 서비스를 위한 워크플로우의 실행을 요청받는 단계; 상기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 후, 사용자 에이전트 정보 및 오퍼레이션 가상 조직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 정보 및 상기 오퍼레이션 가상 조직 정보를 토대로 그리드 자원으로 등록된 노드로 서비스의 실행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서비스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협업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도메인에 대해서 서비스 별로 오퍼레이션 가상 조직을 관리한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인 서비스 제공 방법은, 복수의 도메인을 포함하는 협업 시스템에서 그리드 서비스를 통해 제1 도메인에서 제2 도메인으로 이동한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위치한 상기 제1 도메인로부터 워크플로우 실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단말에 대한 사용자 에이전트 및 오퍼레이션 가상 조직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 정보 및 오퍼레이션 가상 조직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오퍼레이션 가상 조직의 권한을 검증하고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 정보를 토대로 워크플로우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가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존재하면 해당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로 제공할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해당 인터페이스로부터 상기 서비스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 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업 시스템에서 복수의 통신망에 가상 조직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업 시스템은 그리드 서비스 패러다임을 다양한 노매딕/이동 통신 망으로 확장하는 것이며, 이를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은 협업 응용부(도시하지 않음)과 코어 네트워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이종의 노매딕/이동 통신 망(이하 HMN(Heterogeneous nomadic/Mobile Network)이라 지칭)과 연동하여 이동 서비스를 받는 단말들에 서비스를 지원한다.
협업 응용부는 GMLA(Global Mobility and Location Applications) 계층, 그리드 서비스 인프라 계층(GSI: Grid Service Infra), 이동 미들웨어 계층(MMW: Mobility MiddleWare) 및 ALL-IP 기반 이동/무선 통신망 계층(AIPN: ALL Internet Protocol Network)을 포함한다.
GMLA 계층은 각 계층의 최상위에 위치하여 전체적인 서비스 시나리오를 주관한다. 예를 들어, GMLA 계층은 그리드 서비스 기술을 필요로 하는 부분이 수행될 때는 GSI 계층을 호출하며, 모바일 서비스 기술을 필요로 하는 부분이 수행될 때는 MMW 계층을 호출한다.
그리고 AIPN 계층은 상기 계층들이 자신의 역할을 코아 네트워크에서 IP(Internet Protocol) 기반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하며, AIPN 계층을 통해서 도 1의 다양한 도메인(10, 20, 30, 40, 50)의 네트워크들이 연결된다.
각 계층들은 코어 네트워크에 서버 형태로 구축될 수 있으며, 그리드 컴퓨팅 개념에 따라 노드별로 분산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서버 형태로 구축되는 것을 예로하여 설명하며, 도 1에서는 GMLA 계층이 가상 조직 서비스 영역(200)에 GMLA 서버(100)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이때 코어 네트워크는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AAA(Authentication/Authorization/Accounting) 또는 A4C(AAA & Auditing/Charging), LRs(Location Registers), HA(Home Agent),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등의 서비스가 실행되는 네트워크 및 도 1에 도시된 가상 조직 서비스 영역(VO service region)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조직 서비스 영역(VO services region)(200)에 포함되어 있는 GMLA 서버(100)가 다양한 도메인과 연동되어 이동 단말에 가상 조직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1에서는 다양한 도메인으로 2G/2.5G 셀룰러 통신 도메인(10),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도메인(20),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도메인(30), 3G/3.5G 이동통신 도메인(40), 4G NWA(Nomadic Wireless Access) 도메인(50)을 예시하였다.
각 도메인(10∼50)은 개별적인 무선/이동통신 도메인, 즉 이동망 사업자(Mobile Network Operator, MNO),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자(Mobile Service Provider), 가상 이동망 사업자(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 MVNO)에 의해 운영되는 영역을 말한다. 그리고 각 도메인(10∼50)은 해당 가입자 및 네트워크 자 원에 대해서는 홈 망 역할을 하는 동시에 해당 도메인에 특화된 서비스를 AIPN 계층을 통해서 협업 시스템에 제공한다.
도 1의 GMLA 서버(100)는 GSI 계층, MMW 계층 및 AIPN 계층에 각각 대응되는 그리드 서비스 인프라 서버, 이동 미들웨어 서버 및 AIPN 서버와 연동되며, 각각의 서버는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다.
GMLA 서버(100)는 이동 단말의 이동성을 제어하고 위치기반 응용/서비스들과 관계된 것으로, 이동 단말이 홈 망의 도메인이 다른 방문 망에서도 규약된 서비스 레벨 계약서(SLA: Service Level Agreement)에 따라 끊임없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응용 시나리오와 퍼베이시브 통신 환경을 위한 컨텍스트 기반 응용 시나리오를 지원한다. 이를 위해, GMLA 서버(100)는 도메인이 다른 자원으로부터 서비스를 요구받을 경우, 자체적으로 이동 단말에 대한 AAA(Authenticaion, Authorization, Accounting)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GMLA 서버(100)는 바인딩 정보를 갱신하거나 그리드 서비스 실행을 호출하여 AAA 정보와 바인딩 정보를 획득하거나 갱신하고, 그 결과를 서비스 요구 자원으로 전달한다. 여기서 바인딩 정보라 함은 그리드 서비스를 실행할 때, 이동 단말이 이동 중에도 원활한 통신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기 위해 이용되는 정보로써, 이동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가 이에 포함된다.
도 1의 각 도메인 영역(10∼50)은 HMN간 협업 네트워크에서 각 가입자 및 네트워크 자원에 대한 홈 망 역할을 함과 동시에, 특화된 네트워크 서비스를 AIPN 서버를 통해 이동 단말에 지원한다. 또한, 각 도메인 영역(10∼50)에는 MMW 서버에서 동작하는 노드들(예를 들어, 이동성 관리 노드)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 단말에 대해서 국부적인 가입자 인증이나 권한 검증, 이동성 제어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도메인의 네트워크에 다른 도메인의 사용자가 방문할 시에는 두 가지 경우 즉, 양 도메인의 인증 서버(예를 들어 AAA 서버)간 통신 메커니즘이 동일한 경우와 통신 메커니즘이 다른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양 도메인의 인증 서버간 통신 메커니즘이 동일한 경우에 가입자가 방문 망에 접속하는 절차이다. 이때 방문 망에 위치한 국부적인 AAA 서버가 가입자를 인증하지 못하는 경우, 가입자의 홈 망 AAA 서버로 가입자 정보, 인증 및 권한 검증 정보를 요청한다. 그 후 해당 응답을 받아 미리 협약이 되어 있는 도메인의 가입자인 경우에는 네트워크에 접속을 시키고, 이동성 관리 노드에 바인딩 정보를 저장하거나 갱신하게 한다.
그러나, 가입자가 미리 협약된 도메인의 가입자가 아닌 경우에는, 국부적인 AAA 서버는 해당 가입자가 등록되어 있는 홈 AAA 서버와 연동하여 가입자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두 번째는, 양 도메인간 AAA 서버들의 통신 메커니즘이 다른 경우이다. 예를 들어, 가입자의 홈 망 AAA 서버는 RADIUS 서버 또는 인증 센터 서버이고, 방문 망 AAA 서버는 다이아미터 서버일 때 두 AAA 서버간 직접적인 정보 교환은 어려울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하기에서 도 2를 토대로 설명하는 GMLA 서버를 통해서 그리드 서비스 방식으로 가입자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이상의 두 가지 경우에 있어서 이동성 바인딩 정보들은 GMLA 서버(100)의이 동성 관리 레지스트리에 저장/갱신될 뿐만 아니라, 해당 도메인의 이동성 관리 서버에도 저장/갱신된다. 이를 통해 정보의 일치성을 보장해 주고, 이후 특정 응용에 대한 인증이나 권한 검증 및 이동성 정보의 획득 시에는 전적으로 GMLA 서버(100)를 통해서 제공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가상 조직 서비스 영역(200)은 모바일 그리드 가상 조직 서비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그 중심에 GMLA 서버(100)가 위치한다. GMLA 서버(100)를 통해서 타 도메인에서 방문한 가입자나 수직 핸드오프를 수행한 가입자의 이동성 제어에 필요한 로직을 수행하여 주며, 위치 정보를 요구하는 자원들(도 1의 'R'로 표기)에게 해당 위치 정보를 요구하고 획득하여 전달하여 주는 역할을 제공한다.
GMLA 서버(100)는 이를 위해 A4C(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ccounting, Auditing and Charging) 기능과 이동성 관리 기능, 그리고 이와 관련된 정보들의 저장과 갱신을 위한 레지스트리를 포함한다. 여기서 레지스트리는 하기에서 설명할 도 2의 데이터베이스들에 해당한다.
그리고 GSI 서버는 협업 시스템에 참여하는 다양한 도메인들을 위해 기본 가상 조직(Base Virtual Organization, BVO)를 생성하고 운영하며 멤버쉽 관리와 정책 관리, 참여자 레지스트리 기능들을 지원한다.
기본 가상 조직은 어플리케이션의 요구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활동 가상 조직(Operative VO, OpVO)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이동 정보를 요구할 때에는 Mobility_Info_OpVO(Mobility Information Operative VO, 이동성 정보 오퍼레이션 가상 조직)를 생성하고, 가입자 인증이나 응용 서비스 인증 정보 요구 시에는 A4C_OpVO(A4C 오퍼레이션 가상 조직)를 생성하며, 위치정보나 컨텍스트 정보 요구시에는 Location_OpVO(위치 오퍼레이션 가상 조직) 를 생성하여 해당 워크플로우를 수행하도록 한다. 각 OpVO는 서비스 요구시마다 생성되며 사용자 에이전트와 서비스 에이전트를 생성하여 생명 주기가 종료될 때까지, 즉 요구된 워크플로우가 완료될 때까지 실행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본 가상 조직 및 오퍼레이션 가상 조직은 웹 서비스가 가능한 오버레이(overlay) 네트워크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오버레이 네트워크라 함은 기존에 있는 물리적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서비스 목적에 따라 논리적인 네트워크를 구성한다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인터넷을 다수의 라우터들로 구성되는 물리적인 네트워크 위에 웹과 같은 서비스들을 실현하는 네트워크로 볼 때, 인터넷도 하나의 오버레이 네트워크라 할 수 있다. 따라서, HMN은 여러 다양한 도메인들로 구성되는 이종의 네트워크들을 나타내는 것이라면, 그리드 서비스 인프라 서버는 별도의 물리적 네트워크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HMN에 걸쳐 그리드 서비스를 실현해주는 것으로 HMN 인프라에 오버레이 되는 구조이다.
기본 가상 조직 및 오퍼레이션 가상 조직은 또한 다양한 이질적 노매딕/이동 통신 도메인들의 참여를 가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참여 도메인과 가상 조직 자원들에 대한 식별자(Identity)와 컨텍스트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허브 앤 스포크(Hub and Spoke) 토폴로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자원들간 직접 통신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BVO 및 OpVO는 동등 계층(P2P: peer-to-peer) 토폴로지 형상도 지원할 수 있다.
상기한 사항들을 지원하는 GMLA 서버의 기능적 구성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MLA 서버의 구조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GMLA 서버(100)는 A4C 인터페이스부(110), 이동성 관리 인터페이스부(120), 그리드 인터페이스부(130), 글로벌 협업 관리부(140), 그리드 서비스 인프라부(150) 및 저장부(160)를 포함한다. 이러한 GMLA 서버(100)는 GSI 서버(도시하지 않음), MMW 서버(도시하지 않음) 및 AIPN 서버(도시하지 않음)와 연동하여 단말에 그리드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드 서비스 인프라 서버는 기본적으로 그리드 미들웨어와 GrSDS(Grid Service Discovery Service), 그리드 응용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며, GMLA 서버(100)와 관계된 기본 가상 조직과 오퍼레이션 가상 조직 관리, 워크플로우 실행을 지원한다. 또한, 그리드 서비스 인프라 서버는 OGSA(Open Grid Service Architecture)와 WSRF(Web Services Resource Framework) 규격을 지원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참여 도메인 및 등록자 멤버쉽 관리, 워크플로우 생성 및 그리드 서비스 실행, SLA 협상 및 가상 조직 운영에 대한 정책 등을 지원한다.
이동 미들웨어 서버는 이동통신 서비스 플랫폼으로써, 무선 인터넷 서비스, IMS(IP Multimedia Subsystem), A4C, SIP(Service Initiation Protocol), HA(Home Agent), HSS(Home Subscriber System), HLR(Home Location Register), 컨텍스트 관리, QoS, 보안 기능들을 네트워크와 그리드 응용에 대한 인증/권한 검증, 세션 관리 및 위치 정보 획득 서비스를 실행한다.
AIPN 서버는 IP 코어망을 중심으로 다양한 종류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들의 접속을 지원한다. 또한, IP 이동성, 특히 IPv6 이동성을 수용하며, 네트워크 관리 기능을 포함하여 각 이동통신/무선 망 고유의 이동 및 위치 정보를 관리하는 이동성 관리 기능을 가지고 이동하는 네트워크의 로밍 및 핸드오프, QoS 관리를 지원한다.
A4C 인터페이스부(110)는 GMLA 서버(100)가 개별적인 도메인에 대한 인증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A4C 인터페이스부(110)로 RADIUS(Remote Authentication Dial In User Service), 다이아미터 및 SCTP(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 인터페이스를 활용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도 다이아미터를 활용한다. A4C 인터페이스부(110)는 인증부(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어 이동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며, 이때 인증부가 GMLA 서버(100) 내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도 있고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는, 일반적인 이종 프로토콜을 가진 인증 서버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성 관리 인터페이스부(120)는 GMLA 서버(100)가 개별 도메인으로부터 요구되는 이동성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이종 프로토콜을 가진 인증 클라이언트와의 인터페이스는 웹 서비스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제공하거나 또는 IP 이동성 서비스, 다이아미터를 활용하는 것도 포함한다.
자기 도메인에서 관리하지 않는 타 도메인에 가입된 이동 단말들의 이동성 및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 세션 관리나 모든 네트워크에 걸쳐 글로벌 이동성 관리를 요하는 이동 통신 응용, SIP 응용 및 이를 실행하는 자원들이 A4C 인터 페이스부(110)의 클라이언트가 될 수 있다. 이때 동등 계층 통신 환경이나 애드 혹(ad hoc) 통신 환경일 경우에는 이동 단말도 그 자원이 된다.
또한 자원들은 GMLA 서버(100)의 요청에 따라 그리드 자원으로도 활용 가능하며, 이때 용도에 따라 리다이렉트(redirect) 또는 프록시(proxy) 서버로서도 활용될 수 있다. 여기서 자원이라 함은 HA(Home Agent), AP(Access Point),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응용을 위한 HSS(Home Subscriber Server),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노드, 셀룰라 이동 통신의 SGSN(Serving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Support Node)/GGSN(Gateway GPRS Support Node)등이 해당될 수 있기 때문에, 자원들이 서버로서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HMN에서 활용할 수 있는 그리드 자원으로 이동 단말만을 대상으로 하던 관점을 확장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업 시스템은 GrSDS에 해당 자원들을 서비스로 등록하고 기본 가상 조직 및 오퍼레이션 가상 조직을 각 네트워크 도메인별로 생성하도록 하여, 서비스 사용자가 그리드 서비스 절차에 따라 자원들을 이용토록 함으로써, 이동 단말을 포함하여 다양한 서버들이 그리드 자원의 대상으로 충분히 가능하다는 특징을 포함한다.
셀룰라 이동 통신인 경우에는 FA(Foreign Agent)나 이동성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기지국/기지제어국,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GGSN(Gateway GPRS Support Node), PDSN(Packet Data Serving Node)이 그리드 서비스 인프라에 포함되며, WLAN이나 WiMAX/WiBro인 경우에는 AP 및 PAR가 그리드 서비스 인프라에 포함된다. 또한, HA나 HSS, MME 등의 네트워크 전체의 이동성 관리기능을 관장하는 노드 들도 그리드 서비스 인프라에 포함될 수 있다.
이 외에도, IMS의 SIP 응용, 서비스 디스커버리, 컨텍스트 관리, 및 텔레매틱스와 같은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응용들을 위해서는 관련 측위측정 노드, 위치 데이터베이스 노드 등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를 GMLA 서버(100)에 위치하는 비즈니스 프로세스 인액터(Enactor)에서 응용에 따라 다양한 워크플로우를 구현할 수 있다.
그리드 인터페이스부(130)는 하기에서 설명할 글로벌 협업 관리부(140)와 그리드 서비스 인프라부(150)를 연동할 수 있도록 하여, 그리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글로벌 협업 관리부(140)는 GMLA 서버(100)의 본 기능을 수행하고 제어하는 기능으로 국부 도메인과 그리드 도메인을 연결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하며, 그리드 참여자 및 서비스에 대한 인증, 권한 검증, 이동성 제어, 과금 및 관리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국부 도메인이란 이동통신 네트워크 노드들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도메인을 의미하며, 그리드 도메인은 그리드 서비스 기술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메인을 의미한다.
또한, 글로벌 협업 관리부(140)는 모바일 그리드 플랫폼으로써 HMN간 이동성 및 위치정보 응용서비스 계층, 그리드 서비스 기반 인프라 계층, 이동 미들웨어 계층, ALL-IP 기반 이동/무선 통신 망 계층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각각의 계층 또한 단독 또는 통합 서버로 구현 가능하고, 각기 분산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용 외에 멤버쉽을 가진 사용자가 직접 요 청하는 일반적인 그리드 계산 응용을 위한 절차들은 일반 그리드 서비스의 원칙과 능력을 준수하여 지원한다. 즉, 일반적인 그리드 계산 응용들을 지원하기 위해서 GMLA 서버(100)에 접속하는 과정부터 응용 프로그램 등록, 응용 프로그램 찾기, 응용 프로그램 수행 결과 출력방법 선택, 상기한 바와 같은 가용한 이동 자원들의 그리드 자원으로 선택 및 사용 비용 결정, 워크플로우 실행, 작업 결과에 따른 과금 등 관리 프로세스 수행 절차들을 포함한다.
그리드 서비스 인프라부(150)는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하나는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자원들 간에 공통 인터페이스를 그리드 서비스 기술로써 지원하는 기능이며, 다른 하나는 일반적인 그리드 컴퓨팅이나 모바일 그리드 분야에서 이동 단말을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지원하는 기능이다.
첫 번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그리드 서비스 인프라부(150)는 그리드 인터페이스부(130), 그리드 서비스 인프라부(150), 글로벌 협업 관리부(140) 및 다수의 컴포넌트들과 연동하여 그리드 서비스 기술을 지원한다. 두 번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그리드 서비스 인프라부(150)는 일반적인 그리드 컴퓨팅 처리부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저장부(160)는 글로벌 협업 관리부(140)와 연결되어 있으며, 다수의 인터페이스부(110, 120, 130)로부터 수집된 정보 또는 그리드 서비스 인프라부(150)가 그리드 서비스 기술을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한다. 저장부(160)에 저장되는 정보는 이동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A4C 정보, 갱신된 바인딩 정보, 사용자 프로파일, 서비스 프로파일, 로깅 정보, 이동성/위치 정보 및 접근 정보들을 포함하 고 있으며,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글로벌 협업 관리부(140)는 GMLA 서버(100)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도 있고, 분산되어 별도로 존재할 수도 있다. 이는 네트워크를 설계하는 설계자에 의해 트래픽 용량이나 개발 계획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동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가지는 HMN 환경의 일반적인 서비스 실행 절차는 도 3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설명하기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가상 조직(VO)을 구성하고 운영하는 방법은, 이동성 관리와 위치정보 획득, 인증 및 권한검증 서비스를 이동 단말에 제공하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서비스를 이동 단말에 제공하기 위하여, 시스템은 기본 가상 조직과 오퍼레이션 가상 조직을 포함한다. 기본 가상 조직은 이종망 간 협업에 참여하는 도메인 별로 가입과 등록, 멤버쉽을 관리하고 레지스트리 운영을 포함한다. 오퍼레이션 가상 조직은 이동성 관리, 위치정보 획득, 인증 및 권한검증 등 3 가지 유형으로 구성하여 요구되는 워크플로우에 따라 1:1 또는 1:N 으로 실행하는 방식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MLA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MN 환경에서 서비스를 실행하는 절차는 서비스 요청자가 기본 가상 조직 관리자를 호출하는 단계, 기본 가상 조직 관리자가 A4C 서버로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 참여자 레지스트리로부터 관련 사용자 에이전트 및 오퍼레이션 가상 조직을 검색하는 단계, 사용자 에이전트 를 통해 해당 오퍼레이션 가상 조직에 대한 권한 검증을 요청하는 단계, 워크플로우 관리자를 호출하는 단계, 해당 서비스 에이전트를 호출하는 단계, 그리드 자원들로 서비스 실행을 요청하는 단계, 컨텍스트의 변화를 인지하고 공지하는 단계 및 컨텍스트를 반영하여 워크플로우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들을 상세히 살펴보면, 홈 망(제1 네트워크)으로부터 방문 망(제2 네트워크)으로 이동한 이동 단말은 핸드오프를 위해 핸드오프 요청 및 핸드오프 후에도 방문 망으로부터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받기 위해 서비스를 요청(S100)한다. 방문 망의 인증 수행 기관, 즉 AAA 서버는 홈 망으로부터 이동된 이동 단말에 대해 인증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S101)한다.
만약 방문 망의 AAA 서버에서 이동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라면, 해당 단말의 인증을 수행한 후 일반적으로 알려진 핸드오프 과정을 통해 이동 단말에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한다. 그러나, 방문 망의 AAA 서버에서 이동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방문 망은 홈 망의 인증 수행 기관인 AAA 서버와 자신의 AAA 서버가 동일한 환경에서 인증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판단(S102)한다.
이때, 방문 망은 이동 단말이 홈 망으로부터 핸드오프할 때 방문 망의 AAA 서버 정보를 함께 제공하기 때문에 이 정보를 토대로 AAA 서버가 동일한 환경에서 인증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홈 망과 방문 망의 AAA 서버 환경이 동일한 경우, 방문 망의 AAA 서버는 이동 단말의 홈 망에 위치한 AAA 서버에 이동 단말에 대한 인증 정보를 제공해줄 것을 요청(S103)한다. 홈 망의 AAA 서버로부 터 이동 단말의 인증 정보를 수신한 방문 망의 AAA 서버는 이동 단말에 대해 인증을 수행한 후, 핸드오프 과정을 통해 이동 단말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홈 망과 방문 망의 AAA 서버 환경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예를 들어 홈 망의 AAA 서버가 RADIUS 서버 또는 인증 센터 서버 중 어느 하나이고 방문 망의 AAA 서버가 다이아미터 서버인 경우, 두 AAA 서버 간에 직접적인 정보 교환이 어렵다. 그러므로 방문 망의 AAA 서버는 GMLA 서버를 통해 그리드 서비스 방식으로 워크플로우를 실행하도록 요청(S104)한다.
워크플로우 실행을 요청받은 GMLA 서버(100)는 이동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기 위하여 기본 가상 조직 관리자를 호출하여 이동 단말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고, 호출된 기본 가상 조직은 A4C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A4C 서버 즉, 인증부로 이동 단말의 소유자인 서비스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것을 요청(S105)한다. 이때, 인증을 요청하는 부분은 시스템을 설계하는 설계자에 따라 글로벌 협업 관리부(140)를 경유하여 인증부로 요청할 수도 있고, 직접 글로벌 협업 관리부(140)에 위치한 A4C 기능들을 통해 인증을 수행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리드 서비스 인프라 서버와 GMLA 서버가 다른 서버로 존재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비스 요청자에 대한 인증이 완료됨과 동시에, GMLA 서버(100)는 인증 시 수신한 서비스 요청자의 위치 정보를 방문 망의 이동성 관리 서버로 전달(S107)하여 저장 및 갱신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저장부(160)의 이동성/위치 데이터베이스로도 전달(S108)하여 저장하거나 갱신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과정이 완료되면, GMLA 서버(100)는 사용자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저장부(160)에서 참여자 레지스트리를 액세스 하여 서비스 요청자와 관련된 사용자 에이전트 정보 및 오퍼레이션 가상 조직 정보를 검색(S109)하고 저장부(160)로부터 해당 정보를 수신(S110)한다. 여기서 참여자 레지스트리는 저장부에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거나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구축하는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저장부에 있는 사용자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GMLA 서버(100)가 사용자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얻어진 서비스 요청자와 관련된 사용자 에이전트 정보를 토대로 서비스 요청자를 해당 오퍼레이션 가상 조직의 구성원으로 할 것인지 또는 서비스 사용 권한을 부여할 것인지를 검증(S111)한다. 또한, S111 단계의 검증에 따라 GMLA 서버(100)는 서비스 요청자의 위치 정보를 요구하는지 이동성 정보를 요구하는지, 다른 서비스 실행을 요구하는지 등에 따라 관련된 워크플로우를 구성(S112)하여 그에 따른 각 서비스 에이전트들을 호출한다.
서비스 에이전트의 호출 시, 사용자 에이전트에 해당하는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S113)하고, 만약 해당하는 인터페이스(예를들어, 이동성 관리 인터페이스, A4C 인터페이스 등)를 찾으면,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필요한 노드들로 서비스 실행을 요청(S115)한다. 그러나 사용자 에이전트에 해당하는 인터페이스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그리드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해당 그리드 자원으로 등록되어 있는 노드들, 예를 들어 SIP PA나 위치 측정 노드로 서비스 실행(S114)을 요청한다.
그 후 서비스 실행을 요청한 노드들로부터 해당 서비스를 제공(S116, S117)받아 이동 단말에 제공(S118)한다. 도 3에는 S114 내지 S117 단계가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니, 반드시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동 단말의 핸드오프 시 그리드 서비스를 통해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과 동일하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역시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이종 노매딕/이동 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로 접근해야 하는 자원들을 하나의 인터페이스로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에 대한 이동성 관리와 인증 관리를 통합하여 복잡한 망간 상호 운용성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효율적인 협업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그리드 컴퓨팅 뿐만 아니라 이종 노매딕/이동 통신 네트워크 내 자원들을 모바일 그리드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Claims (14)

  1. 복수의 도메인을 포함하는 이종의 통신망에서 노드에 그리드 서비스를 활용하여 협업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그리드 참여자 및 서비스에 대한 인증, 권한 검증, 이동성 제어, 과금 및 관리 서비스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글로벌 협업 관리부;
    상이한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다수의 자원들 간에 공통 인터페이스를 그리드 서비스 기술로 지원하고, 상기 노드를 자원으로 활용 가능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그리드 서비스 인프라부; 및
    상기 그리드 서비스 인프라부와 상기 글로벌 협업 관리부를 연동하여 상기 노드에 그리드 서비스를 제어하는 그리드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로벌 협업 관리부는,
    서비스 레벨 계약서 규약에 따라 상기 노드에 그리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퍼베이시브 통신 환경을 위한 컨텍스트 기반 응용 시나리오를 제공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의 개별적 도메인에 대한 인증 요청을 상기 글로벌 협업 관리부로 전달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
    상기 개별적 도메인으로부터 요구되는 이동성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상기 글로벌 협업 관리부로 전달하는 제2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인증, 권한 검증, 이동성 제어, 과금 및 이동성 관리에 필요한 사용자 프로파일, 서비스 프로파일, 과금 및 로깅 프로파일 및 바인딩 정보 프로파일 중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복수의 도메인의 AAA(Authentication/Authorization/Accounting) 또는 A4C(AAA & Auditing/Charging) 클라이언트와 인터페이스를 수행하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복수의 도메인의 이동성 관리 노드와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정보, 인가 정보, 회계 감사 정보, 감사 정보 및 과금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인증부; 및
    상기 단말의 이동성 관리에 이용되는 바인딩 정보--여기서 바인딩 정보는 상기 그리드 서비스를 실행할 때 이용되는 정보임--를 갱신하여 저장하는 바인딩 갱신부
    를 더 포함하는 장치.
  6. 복수의 도메인을 포함하는 협업 시스템에서 그리드 서비스를 통해 제1 도메인에서 제2 도메인으로 이동한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도메인으로부터 상기 단말로 제공될 서비스--여기서 서비스는 상기 제1 도메인에서 상기 단말로 제공되던 서비스임--를 위한 워크플로우의 실행을 요청받는 단계;
    상기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 후, 사용자 에이전트 정보 및 오퍼레이션 가상 조직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 정보 및 상기 오퍼레이션 가상 조직 정보를 토대로 그리드 자원으로 등록된 노드로, 단말에 제공될 서비스의 실행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노드로부터 상기 실행을 요청한 서비스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협업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도메인에 대해서 서비스 별로 오퍼레이션 가상 조직을 관리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대해 수행된 인증 정보는 그리드 서비스를 통해 수집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수집된 오퍼레이션 가상 조직 정보를 토대로 권한을 검증하는 단계; 및
    검증된 결과를 토대로 상기 워크플로우를 구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플로우의 실행을 요청받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2 도메인은,
    상기 제1 도메인으로부터 이동한 상기 단말의 인증 수행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 대한 인증 수행이 가능하지 않으면, 상기 제1 도메인의 인증 수행 기관이 제2 도메인 내의 인증 수행 기관과 동일한 형태의 수행 기관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도메인의 인증 수행 기관이 상기 제2 도메인 내의 인증 수행 기관과 동일한 형태의 수행 기관이 아닌 경우, 상기 워크플로우의 실행을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메인의 인증 수행 기관이 상기 제2 도메인 내의 인증 수행 기관과 동일한 형태의 수행 기관인 경우, 상기 제1 도메인의 인증 수행 기관으로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인증 수행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는 상기 제1 도메인 또는 상기 제2 도메인 내에 포함된 자원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인증 시 수집된 상기 단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제2 도메인에 전송하여 갱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13. 복수의 도메인을 포함하는 협업 시스템에서 그리드 서비스를 통해 제1 도메인에서 제2 도메인으로 이동한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위치한 상기 제1 도메인로부터 워크플로우 실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단말에 대한 사용자 에이전트 및 오퍼레이션 가상 조직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 정보 및 오퍼레이션 가상 조직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오퍼레이션 가상 조직의 권한을 검증하고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 정보를 토대로 워크플로우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에이전트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가 인터페이스부에 존재하면 해당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로 제공할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해당 인터페이스로부터 상기 단말로 제공할 서비스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 제공할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에서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상기 대응되는 인터페이스가 존재하지 않으면,
    그리드 자원으로 등록된 노드로 상기 단말로 제공할 서비스의 실행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노드를 통해 실행된 상기 실행을 요청한 서비스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70044926A 2006-12-01 2007-05-09 그리드 서비스를 이용한 이종 노매딕/이동 통신 네트워크간 협업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01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7/005837 WO2008066277A1 (en) 2006-12-01 2007-11-20 Collaboration system and method among heterogeneous nomadic a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using grid services
US12/516,985 US7941518B2 (en) 2006-12-01 2007-11-20 Collaboration system and method among heterogeneous nomadic a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using grid ser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20764 2006-12-01
KR1020060120764 2006-1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0212A KR20080050212A (ko) 2008-06-05
KR100901872B1 true KR100901872B1 (ko) 2009-06-09

Family

ID=39805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4926A KR100901872B1 (ko) 2006-12-01 2007-05-09 그리드 서비스를 이용한 이종 노매딕/이동 통신 네트워크간 협업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941518B2 (ko)
KR (1) KR1009018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78576B2 (en) * 2008-04-07 2011-12-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NMI) distribution
KR101467392B1 (ko) * 2008-08-18 2014-12-0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회선교환망과 패킷교환망을 이용한 음성호 통화에 대한 과금 시스템 및 과금 방법
US9537730B2 (en) * 2009-09-18 2017-01-03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Gmbh & Co. Kg Virtual network controller
US8843614B2 (en) * 2009-12-21 2014-09-2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distributing cloud computing resources using mobile devices
US8825731B2 (en) 2010-05-18 2014-09-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bile device workload management for cloud computing using SIP and presence to control workload and method thereof
US9672576B2 (en) 2011-09-13 2017-06-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effective work force management of a smart grid
US8872667B2 (en) 2011-09-13 2014-10-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ault isolation and service restoration in an electric grid
US10061620B2 (en) * 2012-07-02 2018-08-28 Paypal, Inc. System and method for clustering of mobile devices and applications
US9952908B2 (en) * 2014-09-11 2018-04-24 Cisco Technology, Inc. Crowd sourced cloud computing
JP6658110B2 (ja) * 2016-03-02 2020-03-04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リクエスト方法
US10873540B2 (en) 2016-07-06 2020-12-22 Cisco Technology, Inc. Crowd-sourced cloud computing resource validation
US10360606B2 (en) 2016-07-19 2019-07-23 Cisco Technology, Inc. Crowd-sourced cloud computing in a multiple resource provider environment
DE102018110138A1 (de) 2017-10-18 2019-04-1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rbeitsablaufmaschinen-Framework
CN113615142B (zh) * 2019-03-18 2024-05-28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在基于网络的媒体处理(nbmp)系统中提供认证的方法和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4751A (ko) * 1998-08-24 2000-03-15 박병기 그리드를 사용한 이동통신/개인 휴대 통신 시스템의 위치 추적방법
KR20060054856A (ko) * 2004-11-16 2006-05-23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이동 그리드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JP2006201896A (ja) 2005-01-19 2006-08-03 Fujitsu Ltd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移動通信ノード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16061B2 (en) * 2003-03-27 2010-05-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status information in a grid
US7496755B2 (en) * 2003-07-01 2009-02-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 single-sign-on operation providing grid access and network access
US7467303B2 (en) * 2004-03-25 2008-12-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rid mutual authorization through proxy certificate generation
US7266547B2 (en) * 2004-06-10 2007-09-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Query meaning determination through a grid service
US7676539B2 (en) * 2005-06-09 2010-03-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s for automated problem solving in a distributed, collaborative environment
KR100799775B1 (ko) 2005-09-09 2008-01-31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그리드 네트워크의 모바일 그리드 게이트웨이리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1425897B (zh) * 2007-10-29 2011-05-18 上海交通大学 一种用户认证方法、系统、服务器和用户节点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4751A (ko) * 1998-08-24 2000-03-15 박병기 그리드를 사용한 이동통신/개인 휴대 통신 시스템의 위치 추적방법
KR20060054856A (ko) * 2004-11-16 2006-05-23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이동 그리드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JP2006201896A (ja) 2005-01-19 2006-08-03 Fujitsu Ltd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移動通信ノード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정보과학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41518B2 (en) 2011-05-10
KR20080050212A (ko) 2008-06-05
US20100077069A1 (en) 201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1872B1 (ko) 그리드 서비스를 이용한 이종 노매딕/이동 통신 네트워크간 협업 시스템 및 그 방법
AU2021273540B2 (en) Network slicing serving function
CA2603720C (en) Network discovery mechanisms
US7940722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network for processing applications for a communication session
CN104919758B (zh) 一种由驻留在业务域中的网络设备实施的方法和网络设备
US20140355523A1 (en) Initializing network advertisements from probe requests
CN109792598A (zh) 支持网络分片的漫游环境中用于终端附接和创建归属路由pdu会话的方法和设备
KR20180023058A (ko) 분산형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패킷 코어 시스템에서 로드 밸런싱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Jeon et al. Distributed mobility management for the future mobile network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key design options
CN102318381A (zh) 移动网络中基于安全网络的路由优化的方法
Blefari-Melazzi et al. Autonomic control and personalization of a wireless access network
Houssos et al. Value added service management in 3G networks
Bari et al. Service delivery over heterogeneous wireless systems: networks selection aspects
Kanter An open service architecture for adaptive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WO2008066277A1 (en) Collaboration system and method among heterogeneous nomadic a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using grid services
Cha et al. Toward a unified framework for mobile applications
Johnsson et al. Ambient Networks-A framework for multi-access control in heterogeneous networks
Racz et al. Mobility and qos support for a commercial mobile grid in akogrimo
JP2019121848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
Kim et al. Mobile Edge Computing Enabler Layer: Edge-native Application Architecture for Mobile Networks
Talarico et al. Efficient service auto-discovery for next generation network slicing architecture
WO2023141827A1 (en) Area of interest-specific information for mulit-access edge computing
Sofia et al. Mobility estimation in the context of distributed mobility management
WO2024108535A1 (zh) 通信方法、装置、系统、存储介质及程序产品
Zafeiris et al. An agent‐based perspective to handover management in 4G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