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1619B1 - 이종 네트워크간의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이종 네트워크간의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1619B1
KR100901619B1 KR1020070060283A KR20070060283A KR100901619B1 KR 100901619 B1 KR100901619 B1 KR 100901619B1 KR 1020070060283 A KR1020070060283 A KR 1020070060283A KR 20070060283 A KR20070060283 A KR 20070060283A KR 100901619 B1 KR100901619 B1 KR 100901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service
session
mobile terminal
gate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0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1838A (ko
Inventor
임근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70060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1619B1/ko
Publication of KR20080111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1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1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1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22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 네트워크간의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네트워크의 게이트웨이에 의해 이동 단말의 세션이 유지되어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는 중에, 이동 단말이 이종 네트워크를 인지하고, 이동 단말이 이종 네트워크의 서비스 이용여부를 판단하며, 판단결과 이종 네트워크로의 이동을 결정한 경우, 게이트웨이로 망 이동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게이트웨이로부터 통합 세션 정보를 수신하여, 세션을 동기화하며, 세션을 동기화한 경우, 적응 계층과 연동하여 사용자 계층 아래인 물리계층과 네트워크 접속의 변경을 통한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핸드오버 수행 후 이용 중이던 서비스를 계속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단말에서의 통합 세션 관리를 통하여 이종 네트워크간의 핸드오버 시에도 끊김 없는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며, 사용자에게 가장 저렴하고, 수신환경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종 네트워크, 통합 세션, 이동 단말, 통합 세션 관리 클라이언트

Description

이종 네트워크간의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 및 그 동작 방법{MOBILE EQUIPMENT FOR SEAMLESS SERVICE PROVIDING BETWEEN A DIFFERENT KIND OF NETWORK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간의 통합 서비스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간의 통합 서비스 제공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이종 네트워크 간 통신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종 네트워크간의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동 단말에 통합 세션 관리 클라이언트를 포함하여 구현하는데 적합한 이종 네트워크간 의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DMA/GSM/IMT2000, WiFi/WiBro/HSDPA등의 무선통신 네트워크와 DMB/DVB-H/MobileCable/MoIP 등의 휴대방송 네트워크, 홈/오피스 네트워크와 같은 이종 네트워크들 간에는 네트워크의 식별체계, 접속제어 절차, 사용자 인증, 사용료 등이 서로 간에 상이하므로 이동 단말이 이종 네트워크간의 핸드오버를 수행하여 현재 이용중인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세션유지가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현재 이용중인 서비스 및 네트워크 접속을 강제 종료하고, 현재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의 세션을 종료한 후, 새로운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접속제어 절차에 따른 인증을 통하여 새로운 세션을 생성하고 기존에 이용하던 서비스를 다시 선택하여 마지막 이용 상태를 찾아 서비스를 이용해야 함으로써, 서비스의 지속적인 이용이 불가능하며, 새로운 네트워크를 찾아서 연결하기 위한 인증절차를 거치는 등 서비스의 이용에 대한 불편뿐만 아니라 끊김 없는 서비스가 전혀 불가능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이종 네트워크간의 핸드오버에 있어서는, 각 네트워크들 간에 식별체계 및 접속제어 절차, 사용자 인증, 사용료 등이 상이하다 보니, 이종 네트워크간의 핸드오버 중에는 세션유지가 불가능하여 현재 수신중인 서비스의 강제종료 및 접속한 망의 세션을 종료한 후, 새로운 망에 접속/인증을 통하여 새로운 세션을 생성함으로써 이용 중이던 서비스를 다시 신청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나, 이에 대한 별다른 방안이 없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이종 네트워크 간의 이동시 양방향 세션관리 기술을 통하여 현재의 세션을 끊지 않고 이동 단말이 통합 게이트웨이 시스템과 양방향 실시간 세션 매핑 및 동기를 통하여 물리적인 네트워크단의 이동시에도 끊김 없는 서비스 수신을 실현할 수 있는 이종 네트워크간의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단말 내에 통합 게이트웨이 시스템과 실시간 세션매핑 및 세션 동기유지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양방향 통합 세션 관리 클라이언트를 구비함으로써, 이종 네트워크 간에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종 네트워크간의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방법은, 네트워크의 게이트웨이에 의해 이동 단말의 세션이 유지되어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는 중에, 이동 단말이 이종 네트워크를 인지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이종 네트워크의 서비스 이용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이종 네트워크로의 이동을 결정한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로 망 이동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통합 세션 정보를 수신하여, 세션을 동기화 하는 과정과, 상기 세션을 동기화한 경우, 적응 계층과 연동하여 사용자 계층 아래인 물리계층과 네트워크 접속의 변경을 통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핸드오버 수행 후 이용 중이던 서비스를 계속 이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장치는, 이종 네트워크의 정보를 수신하고, 서비스 정 보 및 통합 세션 정보를 수신하고, 각종 서비스 정보 및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서비스 이용중인 네트워크의 게이트웨이와 세션을 유지하고, 인지된 이종 네트워크의 서비스이용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이종 네트워크의 서비스를 사용하기로 결정한 경우, 적응 계층과 연동하여 사용자 계층 아래인 물리계층과 네트워크 접속의 변경을 통한 핸드오버를 수행하며, 상기 게이트웨이로 망 이동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어부와,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통합 세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기존 세션을 업데이트하여 세션을 동기화 하고, 통합 세션 관리 모드로 전환하고, 기존 네트워크와의 연결이 종료하고, 상기 이종 네트워크와 상기 이용 중이던 서비스 수행이 가능한 경우는 일반 세션 관리 모드로 전환하는 통합 세션 관리 클라이언트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 내에 실시간 세션 매핑 및 세션 동기유지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양방향 통합 세션 관리 클라이언트를 구비함으로써, 이종 네트워크 간에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이동 단말에 구비되는 양방향 통합 세션 관리 클라이언트는 네트워크 선택 및 네트워크간의 이동(핸드오버)시점에서 각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 기존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중계를 통하여 통합 게이트웨이 시스템 내에 탑재된 통합 세션 관리 매니저와 실시간 세션 매핑 및 세션 동기유지 등 양방향 실시간 연동 및 정보공유(싱크)를 통하여, 물리적인 네트워크의 변경 시에도 끊김 없는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간의 통합 서비스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100)이 현재 A네트워크(102)영역에 위치한 상태이며, A망 게이트웨이(104)와 세션을 유지하고 A망 서비스 서버(118)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다. 이때, 이동 단말(100)이 B네트워크(106)영역이나 홈/오피스 네트워크(110)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또는 A네트워크(102)영역과, B네트워크(106)영역, 홈/오피스 네트워크(110)영역이 중첩된 위치에 이동 단말(100)이 위치하는 경우, 이동 단말(100)에서는 좀더 서비스 이용이 적합하거나 효율적인 네트워크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즉, 이동 단말(100)에서는 수신환경이 좋은 네트워크이거나, 신호세기가 큰 네트워크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서비스 이용 시 좀더 저렴한 비용의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이동 단말(100)은 선택한 네트워크로의 이동을 위해 A망 게이트웨이(104)로 망 이동요청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A망 게이트웨이(104)와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116)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 합 세션 정보를 요청하거나 브로드캐스팅하고, 이동 단말(100)이 다른 네트워크(B망 게이트웨이(108) 혹은 홈/오피스 게이트웨이(112))로 접속한 경우는, 다른 네트워크에서 통합 세션 접속 성공메시지를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116)로 전송한다.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116)에서는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116) 내에 탑재된 통합 세션관리 매니저와 이동 단말(100)에 탑재된 통합 세션 관리 클라이언트간의 실시간 세션 매핑 및 세션 동기유지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통합 서비스 서버(114)와 통합 서비스 관리 요청 및 통합 서비스 정보를 송수신하고, 통합 세션접속 성공메시지를 수신한 경우는 서비스 계속 요청 메시지를 통합 서비스 서버(114)로 전송하며, 기존 네트워크인 A망 게이트웨이(104)로는 서비스 및 네트워크 연결 해제를 요청한다.
이는 B망 게이트웨이(108) 및 홈/오피스 게이트웨이(112)와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116)의 경우에도 같은 방식으로 동작한다.
통합 서비스 서버(114)는 이동 단말(100)이 사용하고자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116)로부터의 통합 서비스 관리 요청 및 서비스 계속 요청에 따라 통합 서비스 정보 및 특정 망전용 서비스 정보를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116)에 전달한다.
상기와 같이 이동 단말(100)은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116)와 통합 서비스 서버(114)를 통하여 이동된 네트워크와의 세션을 유지하고, 이동된 네트워크에서도 이용 중이던 서비스를 계속 이용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간의 통합 서비스 제공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의 사용자가 서비스 수신 중에 A 네트워크에서 이종 B네트워크로 이동할 경우, 통합 세션 관리 매니저가 탑재된 통합 게이트웨이 시스템과 통합 세션 관리 클라이언트가 탑재된 단말과의 양방향 실시간 연동에 있어서 기존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게이트웨이 서버와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210단계에서 통합 세션 관리 클라이언트를 탑재한 이동 단말(200)은 기존 A네트워크의 게이트웨이(202)와 정상적인 세션을 유지하며 서비스 수신 중, 212단계에서 이종 B 네트워크의 게이트웨이(204) 신호를 감지하여 서비스에 적합하거나 효율적인 네트워크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에 이동 단말(200)에서는 B 네트워크로의 이동을 결정하고, 214단계에서 현재 접속중인 A네트워크의 게이트웨이(202)로 이종 B네트워크로의 이동을 요청하는 망 이동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A망 게이트웨이(202)에서는 216단계에서 이동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망 이동 요청 메시지에 따라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206)로 통합 세션 관리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통합 세션 관리 요청 메시지에는 기존, 신규 네트워크 정보 및 이동 단말(200)의 정보와 사용 중인 서비스 정보를 포함한다.
이에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206)에서는 218단계에서 통합 서비스 서버(208)로 통합 서비스 관리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통합 서비스 서버(208)에서는 220단계에서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206)로 통합 서비스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통합 게이 트웨이 서버(206)에서는 222단계에서 A망 게이트웨이(202)로 통합 세션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게 된다. 이때, 통합 세션 정보 메시지에는 기존, 신규 네트워크 정보 및 인증 정보, 이동 단말(200)이 사용 중인 서비스 정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206)에서는 게이트웨이로부터 통합 세션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 세션을 업그레이드함으로써 이동 단말(200)은 224단계에서 통합게이트웨이 서버(206)와 기존 A네트워크, 이종 B네트워크와의 세션 정보 공유 및 동기화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통합 세션 정보는 이동 단말(200)내의 통합 세션 관리 클라이언트에서 업데이트 된다.
이후 이동 단말(200)은 226단계에서 통합 세션을 이용하여 B네트워크의 B망 게이트웨이(204)로 접속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통합 세션 관리 클라이언트에서 업데이트된 통합 세션 정보를 기반으로, 이동 단말(200)의 적응계층(Adaptation Layer)과 연동하여 현재 서비스 수신에는 지장없이 사용자 계층의 아래인 물리계층과 네트워크 접속제어 변경 등의 절차를 통한 네트워크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것이다.
B망 게이트웨이(204)에서는 이동 단말(200)과의 통합 세션 접속에 성공한 경우, 228단계에서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206)로 통합 세션 접속 성공 메시지를 전송하고,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206)에서는 230단계에서 통합 서비스 서버(208)로 이동 단말(200)이 이용 중이던 서비스를 계속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 계속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이와 동시에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206)에서는 이동 단말(200)이 B네트워크와 접속되었음을 확인하였으므로, 232단계에서 A망 게이트웨 이(202)로 A망 서비스 중단 및 네트워크 연결 해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에 A망 게이트웨이(202)는 234단계에서 이동 단말(200)로 연결 해제 및 종료 메시지를 전송하며, 연결을 해제한다. 통합 서비스 서버(208)에서는 서비스 계속 요청 메시지에 따라 236단계에서 B네트워크 전용 서비스 정보를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206)로 전송하고,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206)에서는 238단계에서 B네트워크 연동 세션 업그레이드 메시지를 B망 게이트웨이(204)로 전송하고, B망 게이트웨이(204)는 이동 단말(200)로 B네트워크 연동 세션 업그레이드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B네트워크와의 세션을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이동 단말(200)은 네트워크의 이동(핸드오버)을 완료한 후, B 네트워크와의 정상적인 서비스가 가능한 상태에서 기존 A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종료한 후,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206)로부터 수신한 세션으로 통합 세션 클라이언트에서 정상 업데이트를 완료함으로써, 통합 세션 관리 모드가 아닌 일반 세션관리 모드로 전환하고, A네트워크에서 사용 중이던 서비스를 B망에서도 계속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은 입력부(300), 저장부(310), 송수신부(320), 제어부(330), 디스플레이부(340), 통합 세션 관리 클라이언트(350)를 포함한다.
입력부(300)는 이동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 및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 터치스크린들을 구비한다. 저장부(310)는 이동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응용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 서비스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다.
송수신부(320)에서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수신하며, 이동 단말의 파일럿 신호 및 식별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접속된 네트워크와의 세션유지를 위한 세션 정보 및 다른 네트워크와의 핸드오버로 인한 통합 세션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이를 통합 세션 관리 클라이언트(350)로 전달한다.
제어부(330)는 이동 단말의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고, 각 네트워크의 신호세기 및 서비스 이용요금, 핸드오버 적합성 여부 등을 미리 설정된 기준으로 판단한다. 즉, 기존 네트워크 보다 감지된 네트워크가 신호세기가 크고 서비스 이용요금이 크다면, 감지된 네트워크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고, 신호세기 또는 서비스 이용요금 중 신호세기를 우선순위로 두어 신호세기가 어느 수준의 임계값을 넘지 못하지만, 저렴한 이용요금을 제공하는 네트워크로는 핸드오버를 진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여러 네트워크가 감지되는 경우, 네트워크별 우선순위를 미리 설정하여 홈 네트워크가 감지된 경우, 먼저 홈 네트워크로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감지신호가 미약한 경우는 다른 감지된 네트워크 중 신호세기 및 서비스 이용요금에 따른 핸드오버를 판단하게 된다.
디스플레이부(340)에서는 제어부(330)로부터 출력된 디스플레이 신호를 화면에 출력하는 것으로서, 각 네트워크의 신호세기 및 서비스 이용요금, 핸드오버 적합성 여부 등을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통합 세션 관리 클라이언트(350)는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와 연동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실시간 세션 매핑 및 세션 동기유지 등 양방향 실시간 연동 및 정보공 유(싱크)를 수행하게 된다. 즉, 핸드오버 시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로부터 통합 세션 정보를 수신한 경우, 통합 세션 관리모드로 변경한 후, 현재 세션 정보에 업그레이드함으로써, 핸드오버 된 네트워크와의 세션 정보를 공유하며 동기화 하고,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로부터 수신한 세션으로 정상 업데이트를 완료한 경우, 통합 세션 관리모드에서 일반 세션 관리 모드로 전환하여 핸드오버 전의 네트워크에서 이용 중이던 서비스 정보를 핸드오버된 네트워크에서도 계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통합 세션 관리 클라이언트(350)가 업데이트한 통합 세션 정보를 기반으로, 이동 단말의 적응 계층과 연동하여 현재 서비스 수신에는 지장없도록 사용자 계층 아래인 물리계층과 네트워크 접속제어 변경 등의 절차를 통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400단계에서 A네트워크의 서비스 수신 중 B네트워크의 신호를 감지한 경우, 405단계에서 이동 단말은 B네트워크의 서비스 사용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판단여부의 기준으로는 이동 단말이 이용중인 해당 서비스와 관련하여 최적화된 네트워크를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호세기, 사용요금, 효율성 및 적합성 여부가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B네트워크의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한 경우는, 410단계로 진행하여 기존 네트워크와의 세션을 유지하며, 기존에 이용중인 서비스를 계속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B네트워크의 서비스를 사용하기로 결정한 경우는, 415단계로 진행하여 A망 게이트웨이로 망 이동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후 420단계에서 A망 게이트웨이와 통합 세션 동기화를 수행하게 된다. 425단계에서는 통합 세션을 이용하여 단말의 적응 계층과 연동하여 현재 서비스 수신과는 상관없이 물리계층과 네트워크 접속제어 변경 절차를 통해 네트워크를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B네트워크와 접속을 수행함으로서, B네트워크에서의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하고, 430단계에서 A망 게이트웨이로부터 연결해제 메시지를 수신하여 A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종료한다. 이후 435단계에서 B네트워크와의 세션을 유지함으로서, 기존 A네트워크에서 사용 중이던 서비스를 계속해서 이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 단말 내에 실시간 세션매핑 및 세션 동기유지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양방향 통합 세션 관리 클라이언트를 구비함으로써, 이종 네트워크 간에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에서의 통합 세션 관리를 통하여 이종 네트워크간의 핸드오버 시에도 끊김 없는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며, 사용자에게 가장 저렴하고, 수신환경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네트워크의 게이트웨이에 의해 이동 단말의 세션이 유지되어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는 중에, 상기 이동 단말이 이종 네트워크를 인지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이종 네트워크의 서비스 이용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이종 네트워크로의 이동을 결정한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로 망 이동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이종의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와 세션 정보를 송수신하는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통합 세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 단말 내의 통합 세션 관리 클라이언트 상에서 세션을 동기화 하는 과정과,
    상기 세션을 동기화한 경우, 적응 계층과 연동하여 사용자 계층 아래인 물리계층과 네트워크 접속의 변경을 통해 상기 이종 네트워크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이종 네트워크간의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의 동작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로 통합 세션 관리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통합 게이트웨이 서버로부터 상기 통합 세션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이종 네트워크간의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의 동작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이종 네트워크의 신호세기 및 서비스 이용요금을 기존 네트워크와 비교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네트워크간의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의 동작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세션 정보는,
    기존/이종 네트워크 정보 및 인증 정보, 사용 중인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네트워크간의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의 동작 방법.
  5. 이종 네트워크의 정보를 수신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이용중인 서비스 정보 및 통합 세션 정보를 수신하고, 각종 서비스 정보 및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수신부와,
    서비스 이용중인 네트워크의 게이트웨이와 세션을 유지하고, 인지된 이종 네트워크의 서비스이용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이종 네트워크의 서비스를 사용하기로 결정한 경우, 적응 계층과 연동하여 사용자 계층 아래인 물리계층과 네트워크 접속의 변경을 통한 핸드오버를 수행하며, 상기 게이트웨이로 망 이동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어부와,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통합 세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기존 세션을 업데이트하여 세션을 동기화 하고, 통합 세션 관리 모드로 전환하고, 기존 네트워크와의 연결이 종료하고, 상기 이종 네트워크와 상기 이용 중이던 서비스 수행이 가능한 경우는 일반 세션 관리 모드로 전환하는 통합 세션 관리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 이종 네트워크간의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종 네트워크의 신호세기 및 서비스 이용요금을 기존 네트워크와 비교하여 상기 이종 네트워크의 사용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네트워크간의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세션 정보는,
    기존/이종 네트워크 정보 및 인증 정보, 사용 중인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네트워크간의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
KR1020070060283A 2007-06-20 2007-06-20 이종 네트워크간의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및 그 동작 방법 KR100901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283A KR100901619B1 (ko) 2007-06-20 2007-06-20 이종 네트워크간의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283A KR100901619B1 (ko) 2007-06-20 2007-06-20 이종 네트워크간의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838A KR20080111838A (ko) 2008-12-24
KR100901619B1 true KR100901619B1 (ko) 2009-06-08

Family

ID=40369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0283A KR100901619B1 (ko) 2007-06-20 2007-06-20 이종 네트워크간의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16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184B1 (ko) * 2009-01-19 2015-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기획득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2544A (ko) * 2004-10-12 2006-04-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대역 통합망에서의 단절없는 핸드오버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2544A (ko) * 2004-10-12 2006-04-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대역 통합망에서의 단절없는 핸드오버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838A (ko) 2008-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46404C (zh) 在无线广域网与无线局域网之间的切换
JP4323428B2 (ja) 異種ネットワーク間の垂直ハンドオーバにおけるQoSをサポート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989746B (zh) 通信网络的控制系统
US9008668B2 (en) Service handover control apparatus using an end-to-end service handover and method using the apparatus
EP1986461B1 (en) Heterogeneous network and handover method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CN101150840B (zh) 用于切换移动中继站及其下属移动终端的方法及装置
CN100508474C (zh) 无线局域网中移动终端在接入点间切换的方法
CN102474776B (zh) 蜂窝系统中改进的相邻信息更新
US201502964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witching of connection to an access point of a wireless network based on information of access points of the network
CN101296511B (zh) 一种基于会话边缘控制设备sbc的无线异构网垂直切换控制方法
CN101296481A (zh) 一种网络切换方法、装置及系统
JP2005513949A (ja) 長短距離組合せ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100960124B1 (ko) 이동단말 및 그 핸드오버방법
US201400501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ing over device
TW200901781A (en) Neighbor network advertisement
US7844271B2 (en) Method for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radio interfaces of a mobile radio telecommunication terminal
CN104066134A (zh) 一种WiFi网络多接入点无缝切换方法
KR100547750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연속적인 데이터의 전송 방법
KR20120100473A (ko) 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중계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5430695A (zh) 一种ap切换方法
US20060034222A1 (en) Transparent service adaptation in heterogeneous environments
KR100901619B1 (ko) 이종 네트워크간의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및 그 동작 방법
CN101163337B (zh) 在不连续覆盖网络中触发移动台的切换的方法
US20090257374A1 (en) Mobile multimedia terminal for a calm system and a method for offering continuous multimedia communications
KR100753845B1 (ko) Ip기반의 광대역통합 이동망 환경에서 다중 인터페이스가가능한 이동 단말의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방법 및 그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