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9992B1 - 휴대용 척추교정 테이블 - Google Patents

휴대용 척추교정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9992B1
KR100899992B1 KR1020090021012A KR20090021012A KR100899992B1 KR 100899992 B1 KR100899992 B1 KR 100899992B1 KR 1020090021012 A KR1020090021012 A KR 1020090021012A KR 20090021012 A KR20090021012 A KR 20090021012A KR 100899992 B1 KR100899992 B1 KR 100899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cervical
plate
operat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1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민
Original Assignee
(주)극동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극동정밀 filed Critical (주)극동정밀
Priority to KR1020090021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99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9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9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06Percussion or tapping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척추교정 테이블(Portablc Table)에 관한 것으로, 탈구된 척추 등의 관절을 충격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교정하여 주는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드롭테이블(drop table) 또는 카이로프랙틱(chiropractic) 테이블이라고 불리워지는 척추교정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드롭 테이블 또는 카이로프랙틱이라고 총칭되는 척추교정 테이블은 후레임 상방에 다수개의 베드(bed)를 가지며,
상기 베드(bed) 내측에는 각각의 낙하장치(drop device)를 가지며,
상기 낙하장치가 설치된 베드를 1~5개 연이어 실치하여 척추교정 테이블을 구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낙하장치를 갖는 베드로 구성된 척추교정용 테이블의 일측에는 머리(얼굴)이 맞닿는 경추(목) 교정 베드를 갖게 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후레임 아래에 다수개의 다리를 가지며, 상기 후레임 위에는 후레임과 경첩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베드를 가지며,
상기 후레임과 경첩으로 연결되는 베드의 반대편 아래에는 베드를 상,하로 상승이동시키거나 낙하시키는 드롭장치를 가지며,
상기 후레임의 일측에는 경추(목)를 교정 및 치료하는 경추베드를 갖는 척추 교정용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경추베드 하방에는 경추베드를 고정하는 경추베드 고정판을 가지며, 상기 경추베드 고정판 하방에는 경추베드 작동판을 가지며,
상기 경추베드 고정판과 경추베드 작동판 사이에는 경추베드 고정판을 경사지게 상승 하강시키거나, 수평으로 상승 하강시키는 경추베드 고정판 상,하 드롭장치를 가지며,
상기 경추베드 작동판 하방에는 경추베드 작동판을 임의 각도로 후레임과 경사지게 고정하는 경사 조절봉과,
상기 경사 조절봉을 고정하는 경사 조절봉 고정구를 후레임에 갖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 경추베드 작동판 하방에 경첩으로 하부판을 연결하고, 하부판과, 경추베드 작동판 사이에 절첩되는 고정구로, 경추베드 작동판을 경사지게 고정토록 하며, 상기와 같은 경추베드 작동판 하방에 하부지지판을 부설할 경우 경사 조절봉은 하부지지판의 저면에 부착하는 구조를 갖는 척추교정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척추교정테이블, 카이로프랙틱, 드롭테이블, 카이로프랙틱테이블

Description

휴대용 척추교정 테이블{portable chiropractic table}
본 발명은 휴대용 척추교정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탈구된 척추 등의 관절을 충격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교정하여 주는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용 척추교정 테이블이라는 보통적인 명칭 이외에 드롭테이블(drop table) 또는 카이로프랙틱(chiropractic) 테이블이라고 불리워지고 있다.
카이로프랙틱이란 미국의 팔머박사가 최초로 창안한 신체의 골격교정요법으로, 척추 등의 관절에서 이탈구가 발생할 시, 이를 원위치로 교정하는 물리적치료요법이다.
인체는 150여개의 뼈와 360여개의 근육으로 구성되며, 뼈와 근육을 전후, 좌우, 상하가 균형을 이루는 조화된 유니트(unit)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인체의 한부분의 골격이 변형되면 인체는 이를 보상하기 위한 노력을 하게 되며, 그 노력이 지나치게 되면 결국에는 문제(질병)를 야기하게 된다.
상기 인체의 문제(질병)를 구체적으로 말하면, 근육의 긴장, 인대의 이완, 자율신경부조화, 내장 장기의 기능저하, 통증 등의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카이로프랙틱 요법은, 변형된 (척추) 뼈의 재정렬시켜 신경흐름을 정상적으로 회복시키며, 이로 인해 척추의 움직임을 향상시키며, 신체의 신경이 정상적으로 작용하도록 하는 신체교정요법이다.
이러한 카이로프랙틱 골격 교정 요법은, 카이로프랙틱 테이블 또는 드롭 테이블이란 척추교정 테이블을 사용하여 신체를 교정하게 되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척추교정 테이블을 이용하여 목 부위와 흉부, 요추, 골반 등을 교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과 같이 척추교정 테이블(장치)이나 드롭 테이블에 관한 특허 및 실용신안 공보로는 다음과 같은 것을 볼 수 있다.
특허등록번호 제10-498650호
발명의 명칭: 휴대용 척추교정 장치
공개 실용신안번호 제2000-0010827호
고안의 명칭 : 척추교정용 이동식 테이블
등록실용신안 공고번호 20-0222982호
고안의 명칭: 척추교정 장치
특허등록번호 제10-379211호
발명의 명칭: 척추교정 테이블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377861호
고안의 명칭: 드롭교정기
특허등록번호 10-0464142호
발명의 명칭: 척추교정기
실용신안등록공고번호 1995-0009065
고안의 명칭: 드롭 테이블
등을 볼 수 있다.
드롭 테이블 또는 카이로프랙틱이라고 총칭되는 척추교정 테이블은 후레임 상방에 다수개의 베드(bed)를 가지며,
상기 베드(bed) 내측에는 각각의 낙하장치(drop device)를 가지며,
상기 낙하장치가 설치된 베드를 1~5개 연이어 실치하여 척추교정 테이블을 구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낙하장치를 갖는 베드로 구성된 척추교정용 테이블의 일측에는 머리(얼굴)가 맞닿는 경추(목) 교정 베드를 갖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척추교정 테이블에 있어서 경추(목)를 교정하는 경추베드의 드롭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특히 경추베드를 수평상태에서 전방(Anterior) 방향으로 밀면서 드롭(drop) 시키거나, 일측은 고정하며 고정이 안 된 반대편만 경사지게 올리고 직하방으로 드롭(drop)시키는 경추베드 드롭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후레임 아래에 다수개의 다리를 가지며, 상기 후레임 위에는 후레임과 경첩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베드를 가지며,
상기 후레임과 경첩으로 연결되는 베드의 반대편 아래에는 베드를 상,하로 상승이동시키거나 낙하시키는 드롭장치를 가지며,
상기 후레임의 일측에는 경추(목)를 교정 및 치료하는 경추베드를 갖는 척추 교정용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경추베드 하방에는 경추베드를 고정하는 경추베드 고정판을 가지며, 상기 경추베드 고정판 하방에는 경추베드 작동판을 가지며,
상기 경추베드 고정판과 경추베드 작동판 사이에는 경추베드 고정판을 경사지게 상승 하강시키거나, 수평으로 상승 하강시키는 경추베드 고정판 상,하 드롭장치를 가지며,
상기 경추베드 작동판 하방에는 경추베드 작동판을 임의 각도로 후레임과 경사지게 고정하는 경사 조절봉과,
상기 경사 조절봉을 고정하는 경사 조절봉 고정구를 후레임에 갖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 경추베드 작동판 하방에 경첩으로 하부판을 연결하고, 하부판과, 경추베드 작동판 사이에 절첩되는 고정구로, 경추베드 작동판을 경사지게 고정토록 하며, 상기와 같은 경추베드 작동판 하방에 하부지지판을 부설할 경우 경사 조절봉은 하부지지판의 저면에 부착하는 구조를 갖는 척추교정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레임(11) 아래에는 다수개의 다리(12)를 가지며,
후레임(11) 위에는, 다수쪽으로 분리되는 다수개의 몸통지지베드(13)와 발지지베드(14)를 가지며, 상기 다수개의 몸통지지베드(13)는, 상기 후레임(11)과 일측이 경첩(15)으로 고정되며, 상기 경첩(15)의 반대편에는 몸통지지베드(13)를 상,하 로 상승 및 하강시키는 드롭 장치를 가지며, 상기 후레임(11) 일측에는 경추(목)를 고정하는 경추베드(21)를 갖는 통상의 척추교정용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경추베드(21)의 저면에는 경추베드(21)를 고정하는 경추베드고정판(22)을 가지며, 상기 경추베드고정판(22) 아래에는 경추베드작동판(23)을 가지며,
상기 경추베드작동판(23)에는 경추베드고정판(22)을 상승시키는 작동봉(32)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작동봉지지뭉치(31)를 가지며, 상기 작동봉지지뭉치(31) 내측에는 작동봉(32)을 가압하는 볼(36) 및 스프링(35) 및 가압볼트(34)를 가지며, 작동봉지지뭉치(31)의 외측에는 수평상승작동구(37)를 결합하는 결합요부(31-1)를 가지며,
상기 작동봉(32)의 측면에는 상기 볼(36)을 지지하는 상,하 볼삽입홈(32-1)(32-2)을 가지며, 작동봉(32)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돌기(33-1)를 삽입하는 돌기삽입홈(32-3)을 가지며, 상기 돌기삽입홈(32-3)에 삽입되는 돌기(33-1)는 작동봉지지뭉치(31)에 삽입되는 작동봉레버(33) 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작동봉지지뭉치(31) 일측의 결합요부(31-1)에는 수평상승작동구(37)의 결합돌부(37-1)가 삽입되며, 상기 작동봉지지뭉치(31)에는 수평상승작동구(37)의 결합돌부(37-1)를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상승선택레버(38)를 가지며,
상기 수평상승작동구(37) 일측의 좌우체결부(37-2)는 경추베드고정판(22) 저면에 형성된 후방체결브라켓(22-2)에 연결핀(22B)으로 결합되며,
상기 경추베드고정판(22) 저면에는 한쌍의 전방체결브라켓(22-1)을 돌출형성하며, 상기 한쌍의 전방체결브라켓(22-1)의 일측에 경추베드작동판(23)에 연결 봉(27)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연결구(26)의 반대편을 연결핀(22A)으로 결합하며,
상기 경추베드고정판(22)과 경추베드작동판(23) 사이에는 코일스프링(28)을 체결하며,
상기 경추베드작동판(23)의 저면에는 경추베드작동판(23)의 경사각을 임의로 조절가능토록 하는 경사조절봉(24)을 가지며, 상기 후레임(11)의 다리부분에 상기 경사조절봉(24)을 고정하는 경사조절봉고정구(25)를 갖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함과 동시에 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카이로프랙틱요법에 의한 교정 및 치료를 수행하는 척추교정용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으로 특히 경추(목) 부위의 교정 및 치료를 위하여 경추베드를 상승 및 하강(drop)시키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통상의 척추교정용 테이블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레임(11) 하방에 다수개의 다리(12)를 가지며, 후레임(11) 상방에는 다수개의 몸통지지베드(13)와 발부분을 얹어 놓는 발 지지베드(14)를 갖는다. 상기 후레임상의 다수개의 몸통지지베드(13)는 후레임(11)과 일측이 경첩(15)으로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경첩(15)의 반대편에는 드롭장치(16)가 구비되어, 후레임(11)상의 몸통지지베드(13)는 일정각도(높이)로 레버를 조작하여 상승시키며, 상승된 몸통지지베드(13)는 위에서 아래로 눌러줄 때 몸통지지베드(13)는 낙하(drop)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통상의 척추치료용 테이블의 일측에 설치되어 목 부위를 치료 및 교정하는 경추베드(21) 상승 및 낙하(drop)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종래에 있어서 경추베드는 상기 후레임상에 부착하는 다수개의 몸통지지베드(13)에서와 같이 일측은 경첩으로 고정되고 반대측만 상승 및 하강되는 드롭장치를 가졌으나, 본 발명은 경추베드를 일정 높이로 수평으로 상승되는 경추베드 상승 및 낙하(drop)되며, 또한 종래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만 상승 및 하강되는 낙하(drop)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방에 경추베드(21)를 부착 고정한 경추베드고정판(22)과, 그 하방에 경추베드작동판(23)을 가지며, 상기 경추베드고정판(22)은 작동레버 즉, 상승선택레버(38)의 조작에 따라, 경추베드고정판(22)은 수평으로 상승되거나, 일측은 고정되며, 타측만 경사지게 상승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상방에 경추베드(21)를 고정하는 경추베드고정판(22)의 저면에는 좌우 한쌍의 전방체결브라켓(22-1)과 역시 좌우 한상의 후방체결브라켓(22-2)이 돌출되며,
상기 좌우한쌍의 전방체결브라켓(22-1)에는, 연결구(26)의 일측이 핀(22A)으로 결합되며, 상기 연결구(26)의 타측은 경추베드작동판(23) 좌우측벽에 고정되는 연결봉(27)에 삽입되어 지게 된다.
또한 경추베드고정판(22)과 경추베드작동판(23) 사이에는 코일스프링(28)이 결합되어 진다.
상기 경추베드고정판(22)에 저면 돌출된 좌우 한쌍의 후방체결브라켓(22-2)에는 핀(22B)으로, 수평상승작동구(37)의 좌우체결부(37-2)가 결합되며,
상기 수평상승작동구(37)의 중앙결합돌부(37-1)는 작동봉(32)을 삽입한 작동봉지지뭉치(31)의 결합요부(31-1)에 삽입되어, 작동봉지지몸체(31)에 삽입 결합되 는 상승선택레버(38)에 의해, 수평상승작동구(37)의 결합돌부(37-1)는 작동봉지지뭉치(31)와 결합되거나, 분리되어지게 된다.
즉 작동봉지지뭉치(31)에 삽입된 상승선택레버(38)를 내측으로 밀어 누를 경우 상승선택레버(38)는 작동봉지지뭉치(31)의 결합요부(31-1)에 삽입된 수평상승작동구(37)의 결합돌부(37-1)와 결합하게 되며,
상승선택레버(38)를 외측으로 잡아당길 경우, 작동봉지지뭉치(31) 결합요부(31-1)에 삽입된 수평상승작동구(37)의 결합돌부(37-1)로 부터 상승선택레버(38)가 빠져나가, 수평상승작동구(37)와 작동봉지지뭉치(31)는 분리되어 지게 된다.
상기 작동봉(32)을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작동봉지지뭉치(31)는, 작동봉(32)의 돌기삽입홈(32-3)에 삽입된 돌기(33-1)가 작동하여 작동봉(32)을 상승시키며,
상기 돌기(33-1)는 작동봉 작동레버(33)의 단부에 결합되어 작동봉레버(33)를 회동시킬 때 돌기(33-1)는 작동봉지지뭉치(31)에 삽입된 작동봉(32)을 상승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봉지지뭉치(31)에 삽입되는 작동봉(32)은 작동봉(32)의 측면을 누르는 스프링(35) 및 볼(36)과, 가압볼트(34)에 의해 가압 되어지며, 가압볼트(34)의 전후 이동조절로 인해 스프링(35)의 가압력을 임의로 조절하게 된다.
상기 작동봉(32)의 측면에는 스프링(35)에 의해 가압되는 볼(36)을 삽입하는 상하볼삽입홈(32-1)(32-2)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것에 있어서,
작동봉지지뭉치(31)의 결합요부(31-1) 삽입된 수평상승작동구(37)의 결합돌부(37-1)를 작동봉지지뭉치(31)에 결합하지 않는 상태 즉, 상승선택레버(38)를 외측으로 후진시켜,작동봉지지뭉치(31)의 결합요부(31-1)와, 수평상승작동구(37)의 결합돌부(37-1)와 분리된 상태로 작동봉(32)을 상승시킬 경우에는, 작동봉(32)이 상승되면서 경추베드고정판(22)을 경사지게 들어올리게 된다.
즉, 작동봉(32)이 상승하면서 경추베드고정판(22)을 들어올릴 경우 코일 스프링(28)이 결합된 부분은 상승되지 않고, 스프링(28) 반대편인 작동봉(32) 상방만 상승되어 경추베드고정판(22)은 일측만 경사지게 상승되어 진다.
그러나, 상승선택레버(38)를 내측으로 전진시켜 수평상승작동구(37)와 작동봉지지뭉치(31)를 일체로 결합시킨 경우에는 작동봉(32)이 작동봉레버(33)의 조작에 의해 상방으로 상승될 경우, 경추베드작동판(23) 위의 경추베드고정판(22)은 전,후가 동일하게 수평으로 상승되어 지게 된다.
즉, 작동봉지지뭉치(31) 일측 결합요부(31-1)에 삽입된 수평상승작동구(37)의 결합돌부(37-1)가, 상승선택레버(38)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 경우, 작동봉(32)이 상승하면서 경추베드고정판(22)을 그 저면의 후방체결브라켓(22-2)에 연결핀(22B)으로, 연결된 수평상승작동구(37)의 체결부(37-2)를 상승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경추베드고정판(22) 저면의 후방체결브라켓(22-2)에 의해 상승되는, 수평상승작동구(37)의 체결부(37-2)는 그 반대편인 상승선택레버(38)를 중심으로 원운동을 하게 되므로, 경추베드고정판(22)을 앞으로 즉 작동봉(32) 방향으로 수평 상승 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승되면서 앞으로(작동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추베드고정판(22) 전방 체결브라켓(22-1)에 연결핀(22A)으로 삽입한 연결구(26)는, 연결봉(27)을 축으로 상승회전하면서, 경추베드고정판(22)의 후방 즉 코일스프링(28) 위부분을 상승시키게 되므로, 상승선택레버(38)로, 수평상승작동구(37)와 작동봉지지뭉치(31)를 일체로 결합할 시, 경추베드고정판(22)은 그 아래의 경추베드작동판(23)에 대하여 수평으로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작동봉(32)의 상승에 의해, 경사지게 일측만 상승되거나, 수평으로 전,후 양측이 상승된 경추베드고정판(22)은 경추베드(21) 위에서 누를 경우 낙하(drop)되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 작동봉지지몸체(31) 내측에 삽입되어 작동봉(32) 측면을 가압하는 볼(36) 및 스프링(35)을 가압볼트(34)의 조절로 스프링(35)의 압축력을 조절하여 작동봉(32)의 가압력을 조절하게 된다. 가압볼트(34)를 조여 스프링(35)을 압축할 경우 작동봉(32)의 가압력이 증가되어, 상승된 작동봉(32)은 큰 힘이 작용하여야 하강하게 된다. 즉, 가압볼트(34)를 조여 스프링(35)의 가압력을 증가시킬 경우 경추베드(21)를 큰 힘으로 눌러 주어야 작동봉(32)이 하강하게 되며, 가압볼트(34)를 풀어 느슨하게 할 경우 스프링(35)의 가압력이 약해져서 작은 힘으로 눌러도 작동봉(32)은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경추베드작동판(23) 저면에, 경사조절봉(24)을 결합하며, 경사조절봉(24)은 후레임(11)의 하방(보다 구체적으로 다리부위)에 부착되는 경사조절봉고정구(25)에 삽입하여, 경추베드작동판(23)의 경사각을 임의로 설정하 게 된다.
즉 경사조절봉(24)의 길이를 길게 조절할 경우, 경추베드(21)는 후레임(11) 위로 올라가는 경사각을 유지하게 되며, 경사조절봉(24)의 길이를 짧게 조절하면 경추베드(21)는 후레임 아래를 꺽어지는 경사각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경추베드작동판 하방에 일측을 경첩(23-5)으로 연결하는 하부지지판(29)을 부착하고, 경추베드작동판(23) 내측에 경추베드작동판(23)과 하부지지판(29)을 경사지게 결합하는 "ㄷ"형상의 지지구(30)를 갖도록 본 발명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ㄷ"형상의 지지구(30)를 세울 경우 하부지지판(29)과, 경추베드작동판(23)은 일정각도로 경첩(23-5)을 중심으로 꺾이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척추 내지 목 주변의 관절을 교정치료 하는 척추교정 테이블로 활용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척추교정용 테이블을 경추(목) 부분을 지지하는 경추베드의 각도를 임의로 선택가능하며, 경추베드를 일측만 경사지게 상승시키거나, 수평으로 양측이 상승시키는 등 임의로 상승가능한 구조와,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경추(목) 부분을 치료 또는 교정하는데 최적의 상태를 제공하게 된다. 테이블 위에 눕거나, 엎드리거나, 모로 누운 환자의 머리의 각도를 임의 각도로 조정이 가능하며, 이로인해 변형된 경추 또는 경추 주변의 관절이나 근육의 치료를 단시간 내에 수행하는 척추교정용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척추교정용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으로 특히 물리치료요법 중 하나인 카이로프랙틱요법을 수행하는 척추교정용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척추교정용 테이블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레임(11) 상방에 다수개의 몸통지지베드(13)를 가지며, 몸통지지베드(13)와 후레임(11) 사이에는 베드를 상승 및 낙하(drop)시키는 드롭뭉치(16)를 갖게 된다. 상기 드롭뭉치는 레버에 의해 일측이 경첩으로 후레임과 결합되는 베드를 상승시키고, 베드 위를 약간 힘을 주어 눌러줄 때 낙하(drop)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후레임(11)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다리(12)는 절첩가능하여, 작은 부피로 후레임 및 다리를 절첩하는 구조를 갖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은 척추교정용 테이블에 있어서, 머리를 올려놓고, 드롭시킴으로 경추(목)의 교정 또는 치료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경추베드(21) 하방에 경추베드(21)를 고정하는 경추베드고정판(22)을 가지며,
상기 경추베드고정판(22) 하방에는 경추베드고정판(22)을 경사지게 일측만 상승시키거나, 수평(23)으로 전후양측을 상승시키는 경추베드고정판 상승장치를 가지며, 경추베드작동판에는 경추베드작동판(23)을 임의각도로 조절하는 경사 조절봉(24)을 갖는다.
상기 경추베드고정판(22) 상승장치는 경추베드고정판(22)을 상승시키는 작동봉(32)을 상하로 이동자재하게 결합되는 작동봉지지뭉치(31)를 가지며, 상기 작동 봉지지뭉치(31) 일측에는 수평상승작동구(37)의 결합돌부(37-1)가 삽입되는 결합요부(31-1)를 가지며, 상기 작동봉지지뭉치(31)와 수평상승작동구(37)는 상승선택레버(38)에 의해, 서로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지게 된다.
상기 상승선택레버(38)로 수평상승작동구(37)와 작동봉지지뭉치(31)를 결합한 생태로 작동봉(32)을 작동봉레버(33)로 상승시킬 경우, 작동봉(32)이 경추베드고정판(22)를 상방으로 밀어올림과 동시에, 수평상승작동구(37)의 체결구(37-2)가 상승선택레버(38)를 축으로 회전하면서, 경추베드고정판(22)을 들어올리면서 앞으로 이동하게 되며, 앞으로 이동하는 경추베드고정판(22)은 경추베드고정판(22) 저면에 돌출되며 핀(22A)으로 고정된 연결구(26) 연결봉(27)을 축으로 회전이동하면서, 경추베드고정판(22)의 뒷부분 즉, 작동봉(32) 반대편을 들어올려 경추베드고정판(22)을 수평으로 상승시키게 되며,
상승선택레버(38)를 잡아당겨 작동지지뭉치(31)와 수평상승작동구(37)를 분리할 시, 상방으로 작동되는 작동봉(32)은 경추베드고정판(22)의 일측만 상승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작동봉지지뭉치(31)에 삽입되는 수평상승작동구(37)를 상승선택레버(38)의 결합 내지 해제로, 상방에 경추베드(21)가 고정된 경추베드고정판(22)을 경사지게 상승시키거나 수평으로 상승되는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경추베드작동판(23) 하방에는 경추베드작동판(23)의 경사각을 임의로 조절하는 경사조절봉(24)을 가지며, 상기 경사조절봉(24)은 후레임(11) 하방의 다리에 부착하는 경사조절용고정구(25)에 결합되어, 그 높이를 신장함에 따라 경추베 드작동판(23)의 경사를 임의로 설정 고정하는 척추교정용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 본 발명의 평면도
도2 본 발명의 정면도
도2a 도2 및 도11의 A부분 확대 단면도
도3 본 발명에 있어, 몸통지지베드를 상승시킨 것을 보인 정면도
도4 본 발명에 있어, 작동봉지지뭉치와, 수평상승작동구의 조립사시도
도5 본 발명에 있어, 작동봉지지뭉치의 단면도
도6 본 발명에 있어, 작동봉지지뭉치 내에 삽입되는 작동봉작동기구의 분해사시도
도7 본 발명에 있어 경추베드를 경사지게 상승시키기 위해 상승선택레버를 후진시켜 작동봉지지뭉치와 수평상승작동구를 분리시킨 것을 보인 단면도
도8 본 발명에 있어 경추베드가 경사지게 일측만 상승된 것을 보인 부분 단면도
도9 본 발명에 있어 경추베드를 수평으로 상승시키기 위해 상승선택레버를 작동봉지지뭉치와 수평상승작동구와 결합시킨 것을 보인 단면도
도10 본 발명에 있어 경추베드가 수평으로 상승된 것을 보인 부분 단면도
도11 본 발명의 타 실시 예의 정면도
도12 본 발명의 타 실시 예의 단면도
도13 도12의 B-B선 단면도
도14 본 발명의 타 실시 예의 정면도로 경추베드와 몸통지지베드를 경사지게 상승시킨 것을 보인 정면도
도15 본 발명의 타 실시 예의 작동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 후레임 12 다리
13 몸통지지베드 14 발지지베드
15 경첩 16 드롭장치
21 경추베드 22 경추베드고정판
22-1 전방체결브라켓 22-2 후방체결브라켓
22A 전방핀 22B 후방핀
23 경추베드작동판 24 경사조절봉
25 경사조절봉고정구 26 연결구
27 연결봉 28 코일스프링
31 작동봉지지뭉치 33 작동봉작동레버
33-1 돌기 34 가압볼트
34 스프링 36 볼
37 수평상승작동구 37-1 결합돌부
37-2 체결부 38 상승선택레버

Claims (3)

  1. 후레임(11) 아래에는 다수개의 다리(12)를 가지며,
    후레임(11) 위에는 다수개의 몸통지지베드(13)와 발지지베드(14)를 가지며, 상기 다수개의 몸통지지베드(13)는, 상기 후레임(11)과 일측이 경첩(15)으로 고정되며, 상기 경첩(15)의 반대편에는 몸통지지베드(13)를 상승및 하강시키는 드롭장치(16)를 가지며, 상기 후레임(11) 일측에는 경추(목)를 고정하는 경추베드(21)를 갖는 통상의 척추교정용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경추베드(21)의 저면에는 경추베드(21)를 고정하는 경추베드고정판(22)을 가지며, 상기 경추베드고정판(22) 아래에는 경추베드작동판(23)을 가지며,
    상기 경추베드작동판(23)에는 경추베드고정판(22)을 상승시키는 작동봉(32)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작동봉지지뭉치(31)를 가지며, 상기 작동봉지지뭉치(31) 내측에는 작동봉(32)을 가압하는 볼(36) 및 스프링(35) 및 가압볼트(34)를 가지며, 작동봉지지뭉치(31)의 외측에는 수평상승작동구(37)를 결합하는 결합요부(31-1)를 가지며,
    상기 작동봉(32)의 측면에는 상기 볼(36)을 지지하는 상,하 볼삽입홈(32-1)(32-2)을 가지며, 작동봉(32)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돌기(33-1)를 삽입하는 돌기삽입홈(32-3)을 가지며, 상기 돌기삽입홈(32-3)에 삽입되는 돌기(33-1)는 작동봉지지뭉치(31)에 삽입되는 작동봉레버(33) 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작동봉지지뭉치(31) 일측의 결합요부(31-1)에는 수평상승작동구(37)의 결합돌부(37-1)가 삽입되며, 상기 작동봉지지뭉치(31)에는 수평상승작동구(37)의 결합돌부(37-1)를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상승선택레버(38)를 가지며
    상기 수평상승작동구(37) 일측의 좌우체결부(37-2)는 경추베드고정판(22) 저면에 형성된 후방체결브라켓(22-2)에 연결핀(22B)으로 결합되며,
    상기 경추베드고정판(22) 저면에는 한쌍의 전방체결브라켓(22-1)을 돌출형성하며, 상기 한쌍의 전방체결브라켓(22-1)에 일측에 경추베드작동판(23)에 연결봉(27)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연결구(26)의 반대편을 연결핀(22A)으로 결합하며,
    상기 경추베드고정판(22)과 경추베드작동판(23) 사이에는 코일스프링(28)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척추교정 테이블.
  2. 제 1항에 있어서, 경추베드작동판(23)의 저면에는 경추베드작동판(23)의 경사각을 임의로 조절가능토록 하는 경사조절봉(24)을 가지며, 상기 후레임(11)의 다리부분에 상기 경사조절봉(24)을 고정하는 경사조절봉고정구(25)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척추교정 테이블.
  3. 제 1항에 있어서, 경추베드작동판(23) 하방에 일측이 경첩(23-5)으로 연결하는 하부지지판(29)을 가지며, 상기 경추베드작동판(23) 내측에 경추베드작동판(23)과 하부지지판(29)을 경사지게 결합하는 "ㄷ"형상의 지지구(30)를 가지며. 상기 하부지지판(29) 저면에 하부지지판(29)의 경사각을 임의로 조절가능토록 하는 경사조절봉(24)을 가지며, 후레임(11)의 다리부분에 상기 경사조절봉(24)을 고정하는 경 사조절봉고정구(25)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척추교정 테이블.
KR1020090021012A 2009-03-12 2009-03-12 휴대용 척추교정 테이블 KR100899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012A KR100899992B1 (ko) 2009-03-12 2009-03-12 휴대용 척추교정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012A KR100899992B1 (ko) 2009-03-12 2009-03-12 휴대용 척추교정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9992B1 true KR100899992B1 (ko) 2009-05-28

Family

ID=40862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1012A KR100899992B1 (ko) 2009-03-12 2009-03-12 휴대용 척추교정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999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300B1 (ko) * 2012-12-20 2013-04-23 박호준 드롭 교정 장치
KR101299202B1 (ko) 2011-08-30 2013-08-22 (주)라파앤라이프 척추 교정을 위한 운동 장치
CN108478315A (zh) * 2018-03-14 2018-09-04 谭新 一种脊柱矫正床
CN110507111A (zh) * 2019-08-29 2019-11-29 杭州煜伟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脊柱弯曲人群的矫正脊柱的昂首斜面护脊床垫
KR102159571B1 (ko) * 2019-06-11 2020-09-24 정원하 의료용 교정 및 견인 치료 장치
CN115300156A (zh) * 2022-08-16 2022-11-08 中南大学 一种用于牙科正畸治疗的口腔支撑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6497A (en) 1987-11-12 1989-08-15 Standex International Corporation Portable collapsible treatment table with drop sections
US5259396A (en) 1992-03-02 1993-11-09 Lipari Joseph J Portable, multi-drop treatment apparatus and multi-drop method
KR200223340Y1 (ko) 1998-05-14 2001-05-15 우기석 운동기구를 겸한 물리치료기
US6436126B1 (en) 2001-01-31 2002-08-20 Lloyd Table Company Head flexion mechanism for chiropractic tab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6497A (en) 1987-11-12 1989-08-15 Standex International Corporation Portable collapsible treatment table with drop sections
US5259396A (en) 1992-03-02 1993-11-09 Lipari Joseph J Portable, multi-drop treatment apparatus and multi-drop method
KR200223340Y1 (ko) 1998-05-14 2001-05-15 우기석 운동기구를 겸한 물리치료기
US6436126B1 (en) 2001-01-31 2002-08-20 Lloyd Table Company Head flexion mechanism for chiropractic tabl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202B1 (ko) 2011-08-30 2013-08-22 (주)라파앤라이프 척추 교정을 위한 운동 장치
KR101257300B1 (ko) * 2012-12-20 2013-04-23 박호준 드롭 교정 장치
CN108478315A (zh) * 2018-03-14 2018-09-04 谭新 一种脊柱矫正床
KR102159571B1 (ko) * 2019-06-11 2020-09-24 정원하 의료용 교정 및 견인 치료 장치
CN110507111A (zh) * 2019-08-29 2019-11-29 杭州煜伟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脊柱弯曲人群的矫正脊柱的昂首斜面护脊床垫
CN115300156A (zh) * 2022-08-16 2022-11-08 中南大学 一种用于牙科正畸治疗的口腔支撑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9992B1 (ko) 휴대용 척추교정 테이블
KR101150384B1 (ko) 척추 교정용 휠백장치
KR101616119B1 (ko) 로도시스를 형성하는 경추 보조기
KR101329233B1 (ko) 척추 스트레칭 운동기구
CN106726343B (zh) 脊柱矫正床
KR20030032791A (ko) 척추 교정용 의자
KR200428734Y1 (ko) 신체교정용 침대
KR20190048682A (ko) 자세 교정용 의자
KR200216138Y1 (ko) 척추 교정용 의자
KR100371610B1 (ko) 의자를 이용한 척추 교정방법
KR100661870B1 (ko) 밀림방지구조를 갖는 각도 조절식 환자용 침대
KR102278217B1 (ko) 디스크 치료기
CN114522062A (zh) 一种腰椎爆裂骨折下肢康复训练器
CN202859586U (zh) 体位祛痛姿势矫正器
KR200324938Y1 (ko) 척추 교정용 의자
KR101093556B1 (ko) 앉은 자세 측정장치
KR101397392B1 (ko) 척추 교정장치
KR101397393B1 (ko) 체인형 리프팅 수단을 이용한 척추 교정장치
KR20160076155A (ko) 침대형 전신 운동기구
JP4233449B2 (ja) 骨盤矯正装置
KR102613154B1 (ko) 전신을 견인하는 스트레칭 운동장치
CN215915561U (zh) 一种医用颈椎牵引架
KR101282206B1 (ko) 척추교정기
KR102020146B1 (ko) 신체 교정기
CN217593164U (zh) 一种骨科用脊椎矫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