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9813B1 - 원격측정데이터에 대한 송수신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측정데이터에 대한 송수신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9813B1
KR100899813B1 KR1020070068826A KR20070068826A KR100899813B1 KR 100899813 B1 KR100899813 B1 KR 100899813B1 KR 1020070068826 A KR1020070068826 A KR 1020070068826A KR 20070068826 A KR20070068826 A KR 20070068826A KR 100899813 B1 KR100899813 B1 KR 100899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dentifier
group
field
telemetry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8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5635A (ko
Inventor
김명자
정원찬
김재훈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68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9813B1/ko
Publication of KR20090005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9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9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1Systems using a satellite or space-based relay
    • H04B7/18519Operations control, administration or mainten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1Systems using a satellite or space-based relay
    • H04B7/18515Transmission equipment in satellites or space-based re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원격측정데이터에 대한 송수신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송신장치는 위성체를 구성하는 다수의 서브시스템 각각의 상태에 대한 원격측정데이터를 서브시스템별로 제1그룹들로 분류하고, 분류된 제1그룹 각각에 제1식별자를 할당하는 제1그룹화부; 각각의 제1그룹 내에서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제2그룹들로 분류하고, 분류된 제2그룹 각각에 제2식별자를 할당하는 제2그룹화부; 전송프레임의 데이터 필드에 제1식별자, 제2식별자, 제1식별자가 가리키는 제1그룹의 제2식별자가 가리키는 제2그룹에 속한 원격측정데이터를 삽입하는 데이터삽입부; 전송프레임의 데이터구성정보 필드에 데이터 필드의 구성에 관한 데이터구성정보를 삽입하는 데이터구성정보삽입부를 포함함으로써, 원격측정데이터의 프레임을 좀더 유동적이고 효율적으로 구성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원격측정데이터의 복원을 좀더 쉽고 편리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원격측정데이터

Description

원격측정데이터에 대한 송수신장치 및 방법{Transmission/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 Remote-measuring Data}
본 발명은 원격측정데이터에 대한 송수신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위성의 상태를 나타내는 위성원격측정데이터의 전송프레임을 유동적이고 효율적으로 구성한 송수신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위성 관제 시스템은 원격명령을 위성에 송신하고, 위성으로부터 원격측정데이터 수신, 처리하여 위성의 상태를 파악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또한, 수신한 원격측정데이터를 저장 및 보관하여, 과거의 위성 상태를 분석하거나, 일정한 기간 동안의 특정 원격측정데이터의 변화 등을 분석하는 임무도 함께 수행한다.
원격측정데이터는 위성체 각 서브시스템의 구성 장비 및 시스템에 대한 상태 값이며, 이를 통하여 위성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수천 개에 달하는 위성의 상태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역시 수천 개의 원격측정데이터가 필요하며, 이 데이터들을 짧은 시간 내에 최대한 많이 지상의 관제시스템으로 전달하는 것은 위성의 상태를 조속히 판단하는데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위성에서 지상의 관제시스템으로 원격측정데이터를 전송할 때에는 각 데이터들을 압축한 형태의 전송프레임으로 만들어 송신한다.
지상의 관제시스템에서는 이렇게 압축된 원격측정데이터의 전송프레임을 수신한 후 복원하여 운용자들이 위성의 상태를 판단하게 한다.
종래의 원격측정데이터의 전송프레임 구성은 모든 전송프레임의 내용을 특정 원격측정데이터로 고정하여 구성하며 또한 이러한 모든 전송프레임의 내용에 대한 원격측정데이터의 구성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해 놓아 이를 이용하여 데이터 복원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모든 원격측정데이터에 대한 특성정보의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에 일일이 열거하여 운용하므로 검색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원격측정데이터의 전송프레임을 유동적이고 효율적으로 구성하여 원격측정데이터의 복원을 좀더 쉽고 편리하게 하는 원격측정데이터에 대한 송수신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송신장치의 일실시예로 위성체를 구성하는 다수의 서브시스템 각각의 상태에 대한 원격측정데이터를 서브시스템별로 제1그룹들로 분류하고, 분류된 제1그룹 각각에 제1식별자를 할당하는 제1그룹화부; 각각의 제1그룹 내에서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제2그룹들로 분류하고, 분류된 제2그룹 각각에 제2식별자를 할당하는 제2그룹화부; 전송프레임의 데이터 필드에 제1식별자, 제2식별자, 제1식별자가 가리키는 제1그룹의 제2식별자가 가리키는 제2그룹에 속한 원격측정데이터를 삽입하는 데이터삽입부; 전송프레임의 데이터구성정보 필드에 데이터 필드의 구성에 관한 데이터구성정보를 삽입하는 데이터구성정보삽입부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수신장치의 일실시예로 위성체를 구성하는 다수의 서브시스템 각각의 상태에 대한 원격측정데이터가 속한 제1그룹에 할당된 제1식별자, 원격측정데이터가 속한 제2그룹에 할당된 제2식별자 및 원격측정데이터를 전달하는 데이터 필드 및 데이터 필드의 구성에 관한 데이터구성정보를 전달하는 데이터구성정보 필드를 포함하는 전송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 부; 수신된 전송프레임의 데이터구성정보 필드에서 데이터구성정보를 추출하는 데이터구성정보추출부; 추출된 데이터구성정보, 데이터 필드에 포함된 제1식별자 및 제2식별자를 이용하여 데이터 필드에 포함된 원격측정데이터를 복원하는 데이터복원부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송신방법의 일실시예로 위성체를 구성하는 다수의 서브시스템 각각의 상태에 대한 원격측정데이터를 서브시스템별로 제1그룹들로 분류하고, 분류된 제1그룹각각에 제1식별자를 할당하는 단계; 각각의 제1그룹 내에서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제2그룹들로 분류하고, 분류된 제2그룹 각각에 제2식별자를 할당하는 단계; 전송프레임의 데이터 필드에 제1식별자, 제2식별자, 제1식별자가 가리키는 제1그룹 및 제2식별자가 가리키는 제2그룹에 속한 원격측정데이터를 삽입하는 단계; 전송프레임의 데이터구성정보 필드에 데이터 필드의 구성에 관한 데이터구성정보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수신방법의 일실시예로 위성체를 구성하는 다수의 서브시스템 각각의 상태에 대한 원격측정데이터가 속한 제1그룹에 할당된 제1식별자, 원격측정데이터가 속한 제2그룹에 할당된 제2식별자 및 원격측정데이터를 전달하는 데이터 필드 및 데이터 필드의 구성에 관한 데이터구성정보를 전달하는 데이터구성정보 필드를 포함하는 전송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전송프레임의 데이터구성정보 필드에서 데이터구성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데이터구성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필드 내의 제1식별자 및 제2식별 자를 이용하여 데이터 필드에 포함된 원격측정데이터를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원격측정데이터 전송프레임을 좀 더 유동적이고 효과적으로 구성하고 또한 해당 원격측정데이터 프레임을 복원하기 위해 필요한 원격측정 데이터베이스를 좀더 효율적으로 구성하게 함으로써 원격측정데이터를 수신하는 위성관제시스템이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원격측정데이터의 복원을 좀더 쉽고 편리하게 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원격측정데이터를 그 성격에 따라 두 단계로 분류하고, 해당 원격측정데이터 구성에 대한 정보를 전송프레임의 데이터 필드 앞부분에 삽입함으로써 원격측정데이터의 전송프레임을 유동적이고 효율적으로 구성하고, 원격측정데이터의 복원에 있어 해당 원격측정데이터의 검색 시간을 단축시킨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a 및 도 1b는 원격측정데이터의 전송프레임의 구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을 참조하면, 원격측정데이터의 전송프레임(100)은 전송프레임 헤더(110), 패킷 헤더(120), 및 패킷 데이터필드(130)를 포함한다.
전송프레임 헤더(110)는 해당 프레임에 대한 구성정보를 담고 있다.
패킷 헤더(120)는 전송프레임을 구성하고 있는 패킷의 포맷, 마이너 프레임 ID, 및 패킷의 길이 등을 포함하고 있다.
패킷 데이터필드(130)는 위성의 상태를 나타내는 원격측정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전송프레임(100) 각각을 마이너 프레임이라고 하며, 마이너 프레임 0부터 마이너 프레임 n까지 n+1개의 마이너 프레임이 모여 하나의 메이저 프레임을 구성한다.
도 1b는 원격측정데이터의 전송프레임의 데이터필드에 속한 원격측정데이터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전송프레임의 번호(141) 및 각각의 필드별 값(142~145)을 나열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도 2a 및 도 2b는 원격측정데이터의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각각 포맷 A 및 포맷 B에 대한 예를 도시한다.
원격측정데이터의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는 원격측정데이터의 포맷에 따라 서로 다른 테이블을 구성하며, 각각의 테이블은 원격측정데이터의 이름을 나타내는 TM 명칭(201), 원격측정데이터에 대한 설명을 나타내는 TM 설명(202), 원격측정데이터의 바이트 수를 나타내는 TM 길이(203), 원격측정데이터의 TM 시작 비트(204), 원격측정데이터의 TM 종료 비트(205) 등의 필드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원격측정데이터의 메타데이터에 대한 검색방법으로는 순차검색이 이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측정데이터에 대한 송신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송신장치는 제1그룹화부(310), 제2그룹화(320), 데이터삽입부(330), 및 데이터구성정보삽입부(340)를 포함한다.
제1그룹화부(310)는 위성체를 구성하는 다수의 서브시스템 각각의 상태에 대한 원격측정데이터를 서브시스템별로 제1그룹들로 분류하고, 분류된 제1그룹 각각에 제1식별자를 할당한다.
위성의 임무 수행을 위한 위성체의 서브시스템으로는 위성의 자세 및 궤도를 제어하는 자세 궤도 제어 시스템(AOCS: Attitude Orbit Control System), 전력 서브시스템 (EPS: Electric Power Subsystem), 추진 시스템(Propulsion) 및 다중대역 카메라(MSC : Multi-Spectral Camera) 등이 있다.
제2그룹화부(320)는 각각의 제1그룹 내에서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제2그룹들로 분류하고, 분류된 제2그룹 각각에 제2식별자를 할당한다.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기준으로는 데이터의 성격이나 관련성 등이 될 수 있다. 예컨데, 전력 서브시스템(EPS)의 상태에 대한 원격측정데이터의 경우에는 배터리 관련 정보, 합성 개구 레이더(SAR: Synthetic Aperture Radar) 관련 정보가 각각 별개의 제2그룹으로 분류되고, 자세 궤도 제어 시스템(AOCS)의 상태에 대한 원격측정데이터의 경우에는 궤도수정(Maneuver) 관련 정보, 자이로(Gyro) 관련 정보, 자세(Attitude) 관련 정보, 시스템 1553의 각종 레지스터 정보, 앵글(Angle) 관련 정 보, 선 센서(Sun Sensor) 관련 정보가 각각 별개의 제2그룹으로 분류된다. 추진 시스템(Propulsion)에서 생성되는 원격측정데이터의 경우에는 탱크 온도 관련 정보, 쓰러스터(Thruster) 온도 관련 정보가 각각 별개의 제2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고, 다중대역 카메라(MSC)에서 생성되는 원격측정데이터의 경우에는 안테나 관련 정보, 써미스터(Thermister) 관련 정보가 각각 별개의 제2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데이터 삽입부(330)는 전송프레임의 데이터필드(404, 도 4 참조)에 제1식별자, 제2식별자, 제1식별자가 할당된 제1그룹의 제2식별자가 할당된 제2그룹에 속한 원격측정데이터를 삽입한다. 데이터삽입부(330)는 그룹별로 즉, 동일한 제1그룹의 동일한 제2그룹에 속하는 원격측정데이터를 순차적인 배열 형태로 삽입한다.
데이터구성정보삽입부(340)는 데이터구성정보 필드(403, 도 4 참조)에 데이터필드(404)의 구성 즉, 데이터필드 내의 제1식별자, 제2식별자 및 원격측정데이터 간의 구성관계에 관한 데이터구성정보를 삽입한다. 데이터구성정보로는 전송프레임에 포함된 제1그룹에 대한 제1식별자의 개수 및 제1그룹별 제2그룹에 대한 제2식별자의 개수 등이 해당된다.
도 4는 본 발명이 실시되는 일 예인 원격측정데이터의 전송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3의 송신장치에서 이용하는 전송프레임의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측정데이터의 전송프레임(400)은 전송프레임 헤더(110, 도 1 참조), 패킷 헤더(120, 도 1 참조), 데이터구성정보 필드(403) 및 데이터 필드(404)로 구성된다.
데이터구성정보 필드(403)는 데이터 필드(404)에 포함된 제1식별자의 개수(405)와 제1그룹별 제2식별자의 개수(406~407) 등의 데이터 필드의 구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데이터 필드(404)는 제1그룹에 대한 제1식별자, 제2그룹에 대한 제2식별자, 그리고 제1그룹 내의 제2그룹에 속한 원격측정데이터를 나열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즉, 마이너 프레임 0의 데이터 필드(408)의 경우 제1그룹 A 내의 제2그룹 a에 속한 원격측정데이터인 TM_aa(411), TM_ab(412), TM_ac(413) 및 제1그룹 A 내의 제2그룹 b에 속한 원격측정데이터 TM_ba(421) 등을 포함함에 있어서, 제1그룹 A의 식별자인 GP_A(409), 제2그룹 a의 식별자인 LST_a(410)를 삽입하고, 그 뒤에 원격측정데이터인 TM_aa(411), TM_ab(412) 및 TM_ac(413)를 삽입하고, 그 뒤에 제1그룹 내의 제2그룹 b의 식별자인 LST_b(420) 및 원격측정데이터 TM_ba(421)를 삽입한다.
즉, 기존의 원격측정데이터의 전송프레임(100, 도 1 참조)은 일반적인 원격측정데이터만을 포함하는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전송프레임(400)의 경우에는 헤더(110, 120) 다음에 데이터구성정보 필드(403)를 포함하고, 또한 데이터 필드(404)에 원격측정데이터가 속한 제1그룹의 제1식별자(409) 및 제2그룹의 제2식별자(410, 420)를 더 포함함으로써 이를 수신하는 관제시스템에서 데이터구성정보(405~407), 데이터 필드(404) 내의 제1식별자(409) 및 제2식별자(410, 420)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원격측정데이터의 복원을 수행하게 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측정데이터에 대한 수신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신장치는 수신부(510), 데이터구성정보추출부(520), 데이터복원부(530)를 포함한다.
수신부(510)는 위성체를 구성하는 다수의 서브시스템 각각의 상태에 대한 원격측정데이터가 속한 제1그룹에 할당된 제1식별자, 원격측정데이터가 속한 제2그룹에 할당된 제2식별자 및 원격측정데이터를 전달하는 데이터 필드(404, 도 4 참조) 및 데이터 필드(404)의 구성 즉, 데이터 필드(404) 내의 제1식별자, 제2식별자 및 원격측정데이터 간의 구성관계에 관한 데이터구성정보를 전달하는 데이터구성정보 필드(403, 도 4 참조)를 포함하는 전송프레임을 수신한다.
여기에서 제1그룹은 서브시스템을 기준으로 분류되고, 제2그룹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된다.
제1그룹의 분류 기준이 되는 위성의 서브시스템으로는 위성의 자세 및 궤도를 제어하는 자세 궤도 제어 시스템(AOCS: Attitude Orbit Control System), 전력 서브시스템 (EPS: Electric Power Subsystem), 추진 시스템(Propulsion) 및 다중대역 카메라(MSC : Multi-Spectral Camera) 등이 있다.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제2그룹의 분류 기준으로는 데이터의 성격이나 관련성 등이 될 수 있다. 예컨데, 전력 서브시스템(EPS)의 상태에 대한 원격측정데이터의 경우에는 배터리 관련 정보, 합성 개구 레이더(SAR: Synthetic Aperture Radar) 관련 정보가 각각 별개의 제2그룹으로 분류되고, 자세 궤도 제어 시스 템(AOCS)의 상태에 대한 원격측정데이터의 경우에는 궤도수정(Maneuver) 관련 정보, 자이로(Gyro) 관련 정보, 자세(Attitude) 관련 정보, 시스템 1553의 각종 레지스터 정보, 앵글(Angle) 관련 정보, 선 센서(Sun Sensor) 관련 정보가 각각 별개의 제2그룹으로 분류된다. 추진 시스템(Propulsion)에서 생성되는 원격측정데이터의 경우에는 탱크 온도 관련 정보, 쓰러스터(Thruster) 온도 관련 정보가 각각 별개의 제2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고, 다중대역 카메라(MSC)에서 생성되는 원격측정데이터의 경우에는 안테나 관련 정보, 써미스터(Thermister) 관련 정보가 각각 별개의 제2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데이터구성정보 추출부(520)는 수신부(510)에 수신된 전송프레임(400)의 데이터구성정보 필드(403)에서 데이터필드의 구성에 관한 데이터구성정보를 추출한다.
데이터구성정보로는 전송프레임(400)에 포함된 제1식별자의 개수 및 제1그룹별 제2식별자의 개수 등이 해당된다.
데이터복원부(530)는 데이터구성정보 추출부(520)에서 추출된 데이터구성정보 및 데이터필드 내의 제1식별자 및 제2식별자를 이용하여 전송프레임(400)의 데이터 필드(404)에 포함된 원격측정데이터를 복원한다. 즉, 제1식별자 및 제2식별자를 이용하여 관제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600, 도 6 참조)에 저장된 원격측정데이터의 메타데이터(예컨데, 원격측정데이터의 명칭, 설명, 단위당 비트수 등)를 검색하고, 검색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원격측정데이터를 복원한다.
특히, 수신된 전송프레임의 데이터 필드(404)가 원격측정데이터가 그룹별로 즉, 동일한 제1그룹의 동일한 제2그룹에 속하는 원격측정데이터의 순차적인 배열로 나열된 형태인 경우에는 데이터구성정보 중에서 데이터 필드에 포함된 제1식별자의 개수 및 제1그룹별 제2식별자의 개수를 이용한다.
예컨데, 도 4의 마이너 프레임 0과 같이 데이터필드(408)에 제1식별자가 GRP_A인 제1그룹 A가 포함되어 있고, 제1그룹 A에는 제2식별자가 LST_a인 제2그룹 a 및 제2식별자가 LST_b인 제2그룹 b가 있는 경우에는 먼저 제1식별자 GRP_A 및 제2식별자 LST_a를 이용하여 원격측정데이터의 메타데이터를 검색하여 제1그룹 A내의 제2그룹 a에 속한 원격측정데이터에 대한 복원을 수행한다.
이후, 제1그룹 A의 제2식별자의 개수(406)를 체크하여 제1그룹 A에 속한 제2그룹 모두에 대한 복원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이후에 나열된 제1그룹 A의 제2식별자 b에 속한 원격측정데이터에 대한 복원을 진행한다.
제1그룹 A의 제2식별자의 개수(406)를 체크하여 제1그룹 A에 속한 제2그룹 모두에 대한 복원이 완료된 경우에는 데이터필드에 속한 제1식별자의 개수(405)를 체크하여 데이터필드에 속한 제1그룹 모두에 대한 복원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한다.
확인결과,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이후에 나열된 제1그룹에 대한 복원작업을 반복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이 실시되는 일 예인 원격측정데이터의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5의 수신장치에서 이용하는 관제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5에 도시된 수신장치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에도 적용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측정데이터의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600)는 포맷 ID(601), 제1식별자(602), 제2식별자(603), 제2그룹의 길이(604), TM 명칭(605), TM 설명(606), TM 길이(607), TM 시작비트(608), TM 종료 비트(609) 등의 필드를 가진다. 데이터베이스는 각 필드에 해당하는 원격측정데이터의 메타데이터를 저장하고, 각 포맷 별로 제1식별자 및 제2식별자를 키로 하여 이를 통한 검색을 통해 원격측정데이터의 복원에 필요한 메타데이터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포맷 ID(601)는 포맷의 종류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필드이다.
제1식별자(602)는 제1그룹의 종류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필드이다.
제2식별자(603)는 제2그룹의 종류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필드이다.
제2그룹의 길이(604)는 해당 제2그룹에 포함되는 원격측정데이터의 총 바이트 수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TM 명칭(605)는 해당 원격측정데이터 각각의 이름을 나타내는 필드이다.
TM 설명(606)은 해당 원격측정데이터 각각에 대한 설명을 나타내는 필드이다.
TM 길이(607)는 해당 원격측정데이터의 각각의 비트 수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TM 시작 비트(608)는 해당 원격측정데이터 내에서의 위성 상태 값의 시작지점을 가리키는 필드이다.
TM 종료 비트(609)는 해당 원격측정데이터의 위성 상태 값의 종료지점을 가리키는 필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측정데이터에 대한 송신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송신방법은 도 3에 도시된 송신장치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상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3에 도시된 송신장치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 따른 송신방법에도 적용된다.
먼저 위성체를 구성하는 다수의 서브시스템 각각의 상태에 대한 원격측정데이터를 서브시스템별로 제1그룹들로 분류하고, 분류된 제1그룹 각각에 제1식별자를 할당한다(S710).
그 이후에 각각의 제1그룹 내에서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제2그룹들로 분류하고, 분류된 제2그룹 각각에 제2식별자를 할당한다(S720).
전송프레임(400, 도 4 참조)의 데이터 필드(404, 도 4 참조)에 S710단계에서 할당된 제1식별자, S720단계에서 할당된 제2식별자, 제1식별자가 할당된 제1그룹의 제2식별자가 할당된 제2그룹에 속한 원격측정데이터를 삽입한다.
전송프레임(400)의 데이터구성정보 필드(403)에 데이터 필드의 구성 즉, 데이터 필드에 포함된 제1식별자, 제2식별자 및 원격측정데이터 간의 구성관계에 관 한 데이터구성정보를 삽입한다(S740). 데이터구성정보로는 데이터 필드에 포함된 제1식별자의 식별자의 개수 및 제1그룹별 제2식별자의 개수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측정데이터에 대한 수신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신방법은 도 6에 도시된 수신장치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상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6에 도시된 수신장치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 따른 수신방법에도 적용된다.
먼저, 위성체를 구성하는 다수의 서브시스템 각각의 상태에 대한 원격측정데이터가 속한 제1그룹에 할당된 제1식별자, 원격측정데이터가 속한 제2그룹에 할당된 제2식별자, 원격측정데이터를 전달하는 데이터 필드(404, 도 4 참조) 및 데이터 필드(404)의 구성에 관한 데이터구성정보를 전달하는 데이터구성정보 필드(403, 도 4 참조)를 포함하는 전송프레임(400, 도 4 참조)을 수신한다(S810).
S810단계에서 수신된 전송프레임(400)의 데이터구성정보 필드(403)에서 데이터 필드(404)의 구성에 관한 데이터구성정보를 추출한다(S820). 데이터구성정보로는 전송프레임에 포함된 제1그룹에 대한 제1식별자의 개수 및 제1그룹별 제2그룹에 대한 제2식별자의 개수 등이 해당될 수 있다.
S820단계에서 추출된 데이터구성정보 및 데이터필드(404) 내의 제1식별자 및 제2식별자를 데이터 필드(404)에 포함된 원격측정데이터를 복원한다(S830).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측정데이터에 대한 수신장치에서 원 격측정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8에서 도시된 수신방법에서 데이터구성정보 추출 및 데이터복원과정(S820~S830)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8에 도시된 수신방법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측정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먼저 원격측정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프레임(400, 도 4 참조)을 수신한다(S901).
그리고, S901단계에서 수신된 전송프레임(400)의 전송프레임 헤더(401)를 검사한다(S902).
S902단계에서 검사한 결과 전송프레임 헤더(401)에 오류가 있으면(S903), 해당 전송프레임을 폐기하고(S904), 로그 메시지를 생성한다(S905). 전송프레임 헤더에 이상이 없을 경우에는 해당 전송프레임 내의 패킷 헤더(402)를 체크하여(S906) 포맷 ID와 마이너 프레임 ID를 추출한다(S907).
그리고 전송프레임의 데이터구성정보 필드(403)로부터 데이터 필드(404)에 포함된 제1식별자의 개수 및 제1그룹별 제2식별자의 개수를 포함하는 데이터구성정보를 추출한다(S908).
먼저, 전송프레임의 데이터 필드(404)에 포함된 제1식별자를 추출하고(S909) 제2식별자를 추출한다(S910).
S910단계에서 추출된 제1식별자, 제2식별자 및 관재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600, 도 6 참조)를 이용하여 전송프레임의 데이터 필드(404)로부터 원격측정데 이터를 복원한다(S911). 즉, 추출된 제1식별자와 제2식별자를 이용하여 관제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원격측정데이터의 메타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원격측정데이터를 복원한다.
S909단계에서 추출된 제2식별자의 개수를 이용하여 해당 제1그룹 내의 모든 제2그룹에 속한 원격측정데이터를 모두 복원했는지 체크한 후(S912), 해당 제1그룹 내의 모든 제2그룹에 대한 복원이 완료되지 않았을 경우, 다시 제2식별자의 추출 및 해당 제2그룹에 대한 복원과정(S910~S911)를 반복한다(S913).
S908단계에서 추출된 제2식별자의 개수를 이용하여 체크한 결과 해당 제1그룹에 속한 모든 제2그룹에 대한 복원이 완료되었다면 S908단계에서 추출된 당해 데이터 필드에 포함된 제1식별자의 개수를 이용하여 해당 전송프레임에 포함된 모든 그룹의 원격측정데이터에 대한 복원이 완료되었는지를 체크하여(S914), 아직 완료가 되지 않은 경우에는 아직 복원이 완료되지 않은 그룹에 대한 원격측정데이터의 복원과정(S909~S913)를 반복한다(S915).
S914단계에서의 체크결과, 모든 그룹의 원격측정데이터에 대한 복원이 완료되었다면 당해 전송프레임에 대한 복원과정(S901~S915)이 종료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인 방법 및 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원격측정데이터의 전송프레임의 구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원격측정데이터의 메타데이터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측정데이터에 대한 송신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실시되는 일 예인 원격측정데이터의 전송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측정데이터에 대한 수신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이 실시되는 일 예인 원격측정데이터의 메타데이터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측정데이터에 대한 송신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측정데이터에 대한 수신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측정데이터에 대한 수신장치에서 원격측정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15)

  1. 위성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시스템 각각의 상태에 대한 원격측정데이터를 상기 서브시스템별로 제1그룹들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제1그룹 각각에 제1식별자를 할당하는 제1그룹화부;
    각각의 제1그룹 내에서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제2그룹들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제2그룹 각각에 제2식별자를 할당하는 제2그룹화부;
    전송프레임의 데이터 필드에 상기 제1식별자, 상기 제2식별자, 상기 제1식별자가 가리키는 제1그룹의 상기 제2식별자가 가리키는 제2그룹에 속한 원격측정데이터의 배열을 순차적으로 삽입하는 데이터삽입부;
    상기 전송프레임의 데이터구성정보 필드에 상기 데이터 필드에 포함된 제1식별자의 개수 및 제1그룹별 제2식별자의 개수를 포함하는 데이터구성정보를 삽입하는 데이터구성정보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2. 삭제
  3. 삭제
  4. 위성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시스템 각각의 상태에 대한 원격측정데이터가 속한 제1그룹에 할당된 제1식별자, 상기 원격측정데이터가 속한 제2그룹에 할당된 제2식별자 및 상기 제1그룹의 상기 제2그룹에 속한 원격측정데이터의 배열을 순차적으로 포함하는 데이터 필드 및 상기 데이터 필드에 포함된 제1식별자의 개수 및 제1그룹별 제2식별자의 개수를 포함하는 데이터구성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구성정보 필드를 포함하는 전송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전송프레임의 상기 데이터구성정보 필드에서 상기 데이터구성정보를 추출하는 데이터구성정보추출부;
    상기 추출된 데이터구성정보, 상기 데이터 필드에 포함된 제1식별자 및 제2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필드에 포함된 원격측정데이터를 복원하는 데이터복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룹은 상기 서브시스템을 기준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복원부는 상기 데이터 필드에 포함된 제1식별자의 개수 및 제1그룹별 제2식별자의 개수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필드에 저장된 원격측정데이터의 배열을 그룹별로 추출하고, 데이터 베이스에서 상기 제1식별자 및 제2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제1그룹 및 제2그룹에 해당되는 메타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메타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원격측정데이터의 배열을 상기 서브시스템 각각의 상태에 대한 정보로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복원부는 상기 제1식별자의 개수 및 제1그룹별 제2식별자의 개수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필드에 포함된 모든 원격측정데이터에 대한 복원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원격측정데이터의 명칭, 설명, 길이, 시작지점, 종료지점, 제1식별자 및 제2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9. 위성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시스템 각각의 상태에 대한 원격측정데이터를 상기 서브시스템별로 제1그룹들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제1그룹각각에 제1식별자를 할당하는 단계;
    각각의 제1그룹 내에서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제2그룹들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제2그룹 각각에 제2식별자를 할당하는 단계;
    전송프레임의 데이터 필드에 상기 제1식별자, 상기 제2식별자, 상기 제1식별자가 가리키는 제1그룹 및 상기 제2식별자가 가리키는 제2그룹에 속한 원격측정데이터의 배열을 순차적으로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전송프레임의 데이터구성정보 필드에 상기 데이터 필드에 포함된 제1식별자의 개수 및 제1그룹별 제2식별자의 개수를 포함하는 데이터구성정보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위성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시스템 각각의 상태에 대한 원격측정데이터가 속한 제1그룹에 할당된 제1식별자, 상기 원격측정데이터가 속한 제2그룹에 할당된 제2식별자 및 상기 제1그룹의 상기 제2그룹에 속한 원격측정데이터의 배열을 순차적으로 포함하는 데이터 필드 및 상기 데이터 필드에 포함된 제1식별자의 개수 및 제1그룹별 제2식별자의 개수를 포함하는 데이터구성정보를 전달하는 데이터구성정보 필드를 포함하는 전송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전송프레임의 상기 데이터구성정보 필드에서 상기 데이터구성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데이터구성정보, 상기 데이터 필드 내의 제1식별자 및 제2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필드에 포함된 원격측정데이터를 복원하는 데이터복원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룹은 상기 서브시스템을 기준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복원단계는 상기 데이터 필드에 포함된 제1식별자의 개수 및 제1그룹별 제2식별자의 개수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필드에 저장된 원격측정데이터의 배열을 그룹별로 추출하는 단계;
    데이터 베이스에서 상기 제1식별자 및 제2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제1그룹 및 제2그룹에 해당되는 메타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메타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원격측정데이터의 배열을 상기 서브시스템 각각의 상태에 대한 정보로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복원단계는 상기 제1식별자의 개수 및 제1그룹별 제2식별자의 개수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필드에 포함된 모든 원격측정데이터에 대한 복원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방법.
KR1020070068826A 2007-07-09 2007-07-09 원격측정데이터에 대한 송수신장치 및 방법 KR100899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826A KR100899813B1 (ko) 2007-07-09 2007-07-09 원격측정데이터에 대한 송수신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826A KR100899813B1 (ko) 2007-07-09 2007-07-09 원격측정데이터에 대한 송수신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635A KR20090005635A (ko) 2009-01-14
KR100899813B1 true KR100899813B1 (ko) 2009-05-27

Family

ID=40487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8826A KR100899813B1 (ko) 2007-07-09 2007-07-09 원격측정데이터에 대한 송수신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981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0448A (ko) * 1996-12-20 1998-09-15 양승택 데이타 구조를 이용한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망접속 서브시스템과 운용관리장치간의 호 접속 제어 방법
KR20010080386A (ko) * 1998-11-03 2001-08-22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링크 적응 및 증가하는 중복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시스템 및 방법
KR20030012026A (ko) * 2001-07-30 2003-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장비의 경보신호 우선순위 결정방법
KR20030094726A (ko) * 2002-06-07 2003-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를 통한 다기능 수행을 위한 전송 패킷 및 이를이용한 통신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0448A (ko) * 1996-12-20 1998-09-15 양승택 데이타 구조를 이용한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망접속 서브시스템과 운용관리장치간의 호 접속 제어 방법
KR20010080386A (ko) * 1998-11-03 2001-08-22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링크 적응 및 증가하는 중복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시스템 및 방법
KR20030012026A (ko) * 2001-07-30 2003-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장비의 경보신호 우선순위 결정방법
KR20030094726A (ko) * 2002-06-07 2003-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를 통한 다기능 수행을 위한 전송 패킷 및 이를이용한 통신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635A (ko) 2009-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33008B (zh) 数据库中业务数据的处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01243447A (zh) 可搜索备份
CN105306526B (zh) 一种大推力火箭大流量遥测数据处理方法
CN104933020A (zh) 基于模板生成目标文档的方法及装置
CN103914300B (zh) 一种软件开发事务的实现方法及电子设备
CN106997431B (zh) 一种数据处理方法及装置
CN113067883A (zh) 数据传输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2822260B (zh) 文件传输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CN112118153B (zh) 一种基于grpc和spring mvc的链路监控方法及系统
CN110781818B (zh) 视频分类方法、模型训练方法、装置及设备
CN104202387A (zh) 一种元数据恢复方法及相关装置
CN102782679A (zh) 事件信息管理系统、事件管理方法及程序
CN107704604A (zh) 一种消息持久化方法、服务器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090204648A1 (en) Tracking metadata for files to automate selective backup of applications and their associated data
Li et al. Database management strategy and recovery methods of Android
CN110516129B (zh) 一种数据处理方法及装置
KR100899813B1 (ko) 원격측정데이터에 대한 송수신장치 및 방법
CN103186585A (zh) 一种队列处理方法及装置
CN109739854A (zh) 一种数据存储方法及装置
CN103220327B (zh) 用户信息存储方法及装置
KR20070045809A (ko) 저궤도 위성 덤프 데이터 처리 방법
US20190340182A1 (en) Storing and identifying content through content descriptors in a historian system
CN107818136B (zh) 用于回收垃圾对象数据的方法和装置
US20210065216A1 (en) Primary Tagging in a Data Stream
EP3349127A1 (en) Category information generating device, category information generating method, search device, search method, and recording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