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9369B1 -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9369B1
KR100899369B1 KR1020097001179A KR20097001179A KR100899369B1 KR 100899369 B1 KR100899369 B1 KR 100899369B1 KR 1020097001179 A KR1020097001179 A KR 1020097001179A KR 20097001179 A KR20097001179 A KR 20097001179A KR 100899369 B1 KR100899369 B1 KR 100899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guide
linear
light source
linea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1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4801A (ko
Inventor
사토시 마에다
히로카즈 아리타케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24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4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9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9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28Light guide, e.g. tap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8Linear indentations or grooves, e.g. arc-shaped grooves or meandering grooves, extending over the full length or width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1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16Grooves, prisms, gratings, scattering particles or rough surfa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제 1 광원(12a)으로부터 도입되는 광을 반사하는 제 1 V자형 홈으로 이루어지는 제 1 광 반사부(20a)와, 제 2 광원(12b)으로부터 도입되는 광을 반사하는 제 2 V자형 홈으로 이루어지는 제 2 광 반사부(20b)가 각각 복수 형성되어 있고, 제 1 V자형 홈 면의 교각과 제 2 V자형 홈 면의 교각은 서로 대략 동일한 각도(θp)로 되어 있으며, 복수의 제 1 광 반사부의 면 및 복수의 제 2 광 반사부의 면은 광이 선 형상 도광체(14)의 긴 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출사되는 각도로 각각 경사져 있고, 복수의 제 1 광 반사부는 선 형상 도광체의 제 1 광원이 설치되어 있는 측과 반대측의 단부 근방 영역에 적어도 형성되고, 복수의 제 2 광 반사부는 선 형상 도광체의 제 2 광원이 설치되어 있는 측과 반대측의 단부 근방 영역에 적어도 형성되어 있다.
Figure R1020097001179
조명 장치, 광원, 광 반사부, LED, 도광체, 액정 패널, 액정 표시 장치

Description

조명 장치{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명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균일한 광(光) 강도로 조명할 수 있는 조명 장치 및 그 조명 장치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패널은 박형이며 또한 경량이기 때문에, 휴대형 정보 단말의 표시 화면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액정 패널에는 투과형 액정 패널과 반사형 액정 패널이 있다.
도 15의 (a)는 투과형 액정 패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리 기판(210)과 유리 기판(212) 사이에는 편향자(214)가 삽입되어 있다. 유리 기판(212) 상에는 버스 라인(216) 등이 형성되어 있다. 유리 기판(212)과 유리 기판(218) 사이에는 액정(220)이 봉입(封入)되어 있다. 유리 기판(218)과 유리 기판(222) 사이에는 컬러 필터(224a, 224b, 224c)가 삽입되어 있다. 유리 기판(222)과 유리 기판(226) 사이에는 편향자(228)가 삽입되어 있다.
도 15의 (b)는 반사형 액정 패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사형 액정 패널에서는, 유리 기판(210)과 유리 기판(212) 사이 에는 미러(230)가 삽입되어 있다. 미러(230)는 반사형 액정 패널 상면으로부터 도입되는 광(光)을 반사하기 위한 것이다.
액정 자체는 발광하지 않기 때문에, 액정 패널에 표시되는 정보를 시인(視認)하기 위해서는 조명이 필요하다.
투과형 액정 패널에서는, 조명 장치는 액정 패널의 하면측에 설치된다.
반사형 액정 패널에서는, 태양광이나 실내등 조명이 존재하는 환경하에서 표시 화면을 시인할 때에는 조명 장치를 반드시 설치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조명이 존재하지 않는 환경하에서의 시인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조명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반사형 액정 패널에서는, 조명 장치는 액정 패널 상면측에 설치된다.
도 16은 제안되어 있는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안되어 있는 조명 장치(110)는 광을 발하는 LED(112a, 112b)와, L ED(112a, 112b)로부터의 광을 선 형상의 광으로 변환하여 출사하는 선 형상 도광체(114)와, 선 형상 도광체(114)로부터 출사되는 선 형상의 광을 평면 형상의 광으로 변환하여 출사하는 면(面) 형상 도광체(116)를 가지고 있다. 선 형상 도광체(114)의 배면측, 즉, 반사측에는 복수의 광 반사부(120)가 스트라이프(stripe)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선 형상 도광체(114)의 반사측에는 반사 코트막(118)이 형성되어 있다.
도 17은 제안되어 있는 조명 장치의 선 형상 도광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LED(112a, 112b)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선 형상 도광체(114)의 배면측, 즉, 반사측에 형성된 광 반사부(120)의 면에서 반사되고, 선 형상 도광체(114)의 전면측, 즉, 출사측으로부터 출사된다. 선 형상 도광체(114)의 출사측으로부터 선 형상으로 출사되는 광은 면 형상 도광체(116)에 의해 평면 형상의 광으로 변환되고, 면 형상 도광체(116)의 평면으로부터 출사된다.
이러한 제안되어 있는 조명 장치에서는 액정 패널을 평면 형상으로 조명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조명 장치는, 예를 들어, 일본국 특개평10-260405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제안되어 있는 조명 장치는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균일한 강도로 액정 패널을 조명할 수 없다.
도 18은 제안되어 있는 조명 장치의 선 형상 도광체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강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가로축은 선 형상 도광체(114)의 중심으로부터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세로축은 광 강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안되어 있는 조명 장치에서는 선 형상 도광체(114)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강도 분포가 균일하지 않고, 광 강도의 강한 부분과 약한 부분이 존재한다. 선 형상 도광체(114)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강도 분포는 면 형상 도광체(116)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강도 분포에 반영된다. 이 때문에, 면 형상 도광체(116)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강도 분포도 균일하지 않고, 면 내에서 광 강도가 강한 부분과 약한 부분이 존재한다. 따라서, 제안되어 있는 조명 장치를 이용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한 경우에는 양호한 표시 특성을 얻을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균일한 광 강도로 조명할 수 있는 조명 장치 및 그 조명 장치를 이용한 양호한 표시 특성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은 제 1 광원과, 상기 제 1 광원으로부터 이간(離間)하여 설치된 제 2 광원과, 상기 제 1 광원과 상기 제 2 광원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광원과 상기 제 2 광원으로부터 도입되는 광을 출사측으로부터 선 형상으로 출사하는 선 형상 도광체를 갖는 조광 장치로서, 상기 선 형상 도광체의 상기 출사측에 대향하는 반사측에는 상기 제 1 광원으로부터 도입되는 광을 반사하는 제 1 V자형 홈으로 이루어지는 제 1 광 반사부와, 상기 제 2 광원으로부터 도입되는 광을 반사하는 제 2 V자형 홈으로 이루어지는 제 2 광 반사부가 각각 복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V자형 홈 면의 교각(交角)과, 상기 제 2 V자형 홈 면의 교각은 서로 대략 같은 각도로 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제 1 광 반사부의 면은 상기 제 1 광원으로부터 도입되는 광이 상기 선 형상 도광체의 긴 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출사되는 각도로 각각 경사지고, 상기 복수의 제 2 광 반사부의 면은 상기 제 2 광원으로부터 도입되는 광이 상기 선 형상 도광체의 긴 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출사되는 각도로 각각 경사져 있으며, 상기 복수의 제 1 광 반사부는 상기 선 형상 도광체의 상기 제 1 광원이 설치되어 있는 측과 반대측의 단부 근방 영역에 적어도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 2 광 반사부는 상기 선 형상 도광체의 상기 제 2 광원이 설치되어 있는 측과 반대측의 단부 근방 영역에 적어도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제 1 광원과, 상기 제 1 광원으로부터 이간하여 설치된 제 2 광원과, 상기 제 1 광원과 상기 제 2 광원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광원과 상기 제 2 광원으로부터 도입되는 광을 출사측으로부터 선 형상으로 출사하는 선 형상 도광체와, 상기 선 형상 도광체와 광학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선 형상 도광체로부터 도입되는 광을 평면 형상으로 출사하는 면 형상 도광체를 갖는 조명 장치와, 상기 조명 장치에 의해 조명되는 액정 패널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상 기 선 형상 도광체의 상기 출사측에 대향하는 반사측에는, 상기 제 1 광원으로부터 도입되는 광을 반사하는 제 1 V자형 홈으로 이루어지는 제 1 광 반사부와, 상기 제 2 광원으로부터 도입되는 광을 반사하는 제 2 V자형 홈에 의해 이루어지는 제 2 광 반사부가 각각 복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V자형 홈 면의 교각과, 상기 제 2 V자형 홈 면의 교각은 서로 대략 같은 각도로 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 1 광 반사부의 면은 상기 제 1 광원으로부터 도입되는 광이 상기 선 형상 도광체의 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출사되는 각도로 각각 경사지고, 상기 복수의 제 2 광 반사부의 면은 상기 제 2 광원으로부터 도입되는 광이 상기 선 형상 도광체의 긴 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출사되는 각도로 각각 경사져 있으며, 상기 복수의 제 1 광 반사부는 상기 선 형상 도광체의 상기 제 1 광원이 설치되어 있는 측과 반대측의 단부 근방 영역에 적어도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 2 광 반사부는 상기 선 형상 도광체의 상기 제 2 광원이 설치되어 있는 측과 반대측의 단부 근방 영역에 적어도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광원으로부터 도입되는 광을 선 형상 도광체의 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출사하기 위한 제 1 광 반사부가 선 형상 도광체의 제 1 광원이 설치되어 있는 측과 반대측의 단부 근방 영역에 적어도 형성되어 있고, 제 2 광원으로부터 도입되는 광을 선 형상 도광체의 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출사하기 위한 제 2 광 반사부가, 선 형상 도광체의 제 2 광원이 설치되 어 있는 측과 반대측 단부 근방 영역에 적어도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광원에 가까운 위치에서는 제 2 광원으로부터 도입되는 광을 제 2 광 반사부를 이용하여 반사할 수 있고, 제 2 광원에 가까운 위치에서는 제 1 광원으로부터 도입되는 광을 제 1 광 반사부를 이용하여 반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교각(θp)이 서로 동일한 V자형 홈에 의해 제 1 광 반사부 및 제 2 광 반사부를 구성한 경우라도, 선 형상 도광체의 단부 근방 영역에서 광 강도가 약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광 강도 분포의 균일화를 더욱 도모할 수 있고, 양호한 표시 특성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명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에 적합하며, 특히, 균일한 광 강도로 조명할 수 있는 조명 장치 및 그 조명 장치를 이용한 양호한 표시 특성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에 유용하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도 1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1의 (a)는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의 (b)는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의 광 반사부의 경사각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인간의 눈과 표시 화면과의 관계를 나타내 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의 광 강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10)는 광을 발하는 LED(12a, 12b)와, LED(12a, 12b)로부터 도입되는 광을 선 형상의 광으로 변환하여 출사하는 선 형상 도광체(14)와, 선 형상 도광체(14)와 광학적으로 결합되고, 선 형상의 광을 면 형상의 광으로 변환하여 출사하는 면 형상 도광체(16)를 가지고 있다. 선 형상 도광체(14)의 반사측에는 반사 코트막(18)이 형성되어 있다.
LED(12a)는 선 형상 도광체(14)의 지면(紙面) 좌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LED(12b)는 선 형상 도광체(14)의 지면 우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LED(12a, 12b)와 선 형상 도광체(14) 사이의 거리(ΔL)(도 2 참조)는, 예를 들어, 각각 0㎜로 설정되어 있다.
선 형상 도광체(14)는 전체로서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선 형상 도광체(14)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유리나 플라스틱이 이용되고 있다. 선 형상 도광체(14)의 굴절률(Ng)은, 예를 들어, 1.51로 되어 있다. 선 형상 도광체(14)의 두께(t)는, 예를 들어, 3㎜로 설정되어 있다. 선 형상 도광체(14)의 길이(L)는, 예를 들어, 2인치의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하는 조명 장치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37㎜로 설정되어 있다. 2인치의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의 폭은 35㎜ 정도이지만, 선 형상 도광체(14)의 길이(L)를 37㎜로 설정하면, 2㎜의 마진이 확보된다.
선 형상 도광체(14)의 반사측에는 복수의 광 반사부(20a, 20b)가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광 반사부(20a, 20b)는 V자형 홈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 반사부(20a, 20b)를 구성하는 V자형 홈 면의 교각(θp)은 모두 동일한 각도로 되어 있다. 광 반사부(20a, 20b)를 구성하는 V자형 홈 면의 교각(θp)이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것은 선 형상 도광체를 형성하기 위한 형(型) 등을 형성할 때에 이용되는 절삭 공구를 한 종류로 충분하게 하기 위해서 이다. 이것에 의해, 선 형상 도광체를 성형하기 위한 형 등을 저비용으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나아가서는, 선 형상 도광체의 저비용화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광 반사부(20a)는 지면 좌측에 설치된 LED(12a)로부터 선 형상 도광체(14)에 도입되는 광을 반사하고, 선 형상 도광체(14)의 출사측으로부터 광을 출사하기 위한 것이다. 광 반사부(20a)는 선 형상 도광체(14)의 중심으로부터 지면 좌측에서는, 선 형상 도광체(14)의 지면 좌측으로부터 세어, 예를 들어, 짝수번째에 형성되어 있다. 광 반사부(20a)는 선 형상 도광체(14)의 중심으로부터 지면 우측에서는, 선 형상 도광체(14)의 지면 우측으로부터 세어, 예를 들어, 홀수번째에 형성되어 있다.
광 반사부(20b)는 지면 우측에 설치된 LED(12b)로부터 선 형상 도광체(14)에 도입되는 광을 반사하고, 선 형상 도광체(14)의 출사측으로부터 광을 출사하기 위한 것이다. 광 반사부(20b)는 선 형상 도광체(14)의 중심으로부터 지면 좌측에서는, 선 형상 도광체(14)의 지면 좌측으로부터 세어, 예를 들어, 홀수번째에 형성되 어 있다. 광 반사부(20b)는 선 형상 도광체(14)의 중심으로부터 지면 우측에서는, 선 형상 도광체(14)의 지면 우측으로부터 세어, 예를 들어, 짝수번째에 형성되어 있다.
광 반사부(20a, 20b)는 선 형상 도광체(14)의 반사측에 각각 다수 형성되어 있으나, 도 2에서는 생략되어 있다.
광 반사부(20a, 20b)는 예를 들어, 0.23㎜의 피치에 의해,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광 반사부(20a, 20b)는, 예를 들어, 합계 150개 형성되어 있다.
광 반사부(20a) 중 광 반사부(20a1)는 지면 좌측에 설치된 LED(12a)로부터 선 형상 도광체(14)에 도입되는 광이 선 형상 도광체(14)의 출사측 면에서 전반사하여 광 반사부(20a)에 도입될 수 있는 개소, 즉, 전반사 조건을 만족하는 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광 반사부(20a) 중 광 반사부(20a2)는 지면 좌측에 설치되어 있는 LE D(12a)로부터 선 형상 도광체(14)에 도입되는 광이 선 형상 도광체(14)의 출사측 면에서 전반사하여 광 반사부(20a)에 도입될 수 없는 개소, 즉, 상기의 전반사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광 반사부(20a1)는 지면 좌측에 설치된 LED(12a)로부터 도입되는 광이 선 형상 도광체(14)의 출사측 면에서 전반사되고, 또한 광 반사부(20a1)의 지면 좌측면에서 전반사되고, 선 형상 도광체(14)의 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출사되도 록, 광 반사부(20a1)의 지면 좌측면의 경사각(θL(n))이 각각 설정되어 있는 것이다.
환언하면, 광 반사부(20a1)는 지면 좌측에 설치된 LED(12a)로부터 도입되는 광이 선 형상 도광체(14)의 출사측 면에서 전반사되고, 또한 광 반사부(20a1)의 지면 좌측면에서 전반사되고, 선 형상 도광체(14)의 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출사되도록, 각각 경사각(θa(n))에 의해 경사져 있는 것이다.
또한, 광 반사부(20a1)의 경사각(θa(n))은 광 반사부(20a1) 자체의 경사각이고, 구체적으로는 광 반사부(20a1)를 구성하는 V자형 홈 면의 교각(θp)의 이등분선이 선 형상 도광체(14)의 긴 방향에 대한 법선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진 각도이다.
광 반사부(20a1) 면의 경사각(θL(n))은 이하와 같은 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09003599324-pat00001
…(1)
또한, n은 n번째 광 반사부에 관한 것을 의미한다. 또한, θL(n)은 n번째 광 반사부(20a1)의 지면 좌측면의 경사각이다. 또한, X(n)는 선 형상 도광체(14)의 지면 좌측의 단면으로부터 n번째 광 반사부까지의 거리이다.
또한, 식 (1)은 선 형상 도광체(14)의 중심으로부터 지면 좌측에 형성되는 광 반사부(20a1) 면의 경사각(θL(n))에 대해서 표현한 것이다. 선 형상 도광체(14)의 중심으로부터 지면 우측에 형성되는 광 반사부(20a1) 면의 경사각(θL(n))을 표현하는 식에 대해서는, 여기에서는 생략하고 있다.
식 (1)을 변형하면, 광 반사부(20a1)의 경사각(θa(n))은 이하와 같은 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09003599324-pat00002
…(2)
또한, θ0은 선 형상 도광체(14)의 중심에 광 반사부(20)를 형성한 경우에, 선 형상 도광체(14)의 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광이 출사되는 광 반사부(20) 면의 경사각이다. θ0은 이하와 같은 식에 의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9003599324-pat00003
…(3)
광 반사부(20a2)는 지면 좌측에 설치된 LED(12a)로부터 선 형상 도광체(14)에 도입되는 광이 선 형상 도광체(14)의 출사측 면에서 전반사되지 않고, 광 반사부(20a2)의 지면 좌측면에 직접 입사되고, 광 반사부(20a2)의 지면 좌측면에서 전반사되며, 선 형상 도광체(14)의 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출사되도록, 광 반사부(20a2)의 지면 좌측면의 경사각(θL(n))이 각각 설정되어 있는 것이다.
환언하면, 광 반사부(20a2)는 지면 좌측에 설치된 LED(12a)로부터 선 형상 도광체(14)에 도입되는 광이 선 형상 도광체(14)의 출사측 면에서 전반사되지 않고, 광 반사부(20a2)의 지면 좌측면에 직접 입사되며, 광 반사부(20a2)의 지면 좌측면에서 전반사되고, 선 형상 도광체(14)의 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출사되도록, 각각 경사각(θa(n))에 의해 경사져 있는 것이다.
또한, 광 반사부(20a2)의 경사각(θa(n))은 광 반사부(20a2) 자체의 경사각이고, 구체적으로는 광 반사부(20a2)를 구성하는 V자형 홈 면의 교각(θp)의 이등분선이 선 형상 도광체(14)의 긴 방향에 대한 법선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진 각도이다.
광 반사부(20a2)의 경사각(θL(n))은 이하와 같은 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09003599324-pat00004
…(4)
또한, 식 (4)는 선 형상 도광체(14)의 중심으로부터 지면 좌측에 형성되는 광 반사부(20a2) 면의 경사각(θL(n))에 대해서 표현한 것이다. 선 형상 도광체(14)의 중심으로부터 지면 우측에 형성되는 광 반사부(20a2) 면의 경사각(θL(n))을 표현하는 식에 대해서는, 여기에서는 생략하고 있다.
식 (4)를 변형하면, 광 반사부(20a2)의 경사각(θa(n))은 이하와 같은 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09003599324-pat00005
…(5)
광 반사부(20b) 중에서 광 반사부(20b1)는 지면 우측에 설치된 LED(12b)로부터 선 형상 도광체(14)에 도입되는 광이 선 형상 도광체(14)의 출사측 면에서 전반사하여 광 반사부(20b)에 도입될 수 있는 개소, 즉, 전반사 조건을 만족하는 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광 반사부(20b) 중에서 광 반사부(20b2)는 지면 우측에 설치된 LED(12b)로부터 선 형상 도광체(14)에 도입되는 광이 선 형상 도광체(14)의 출사측 면에서 전반사하여 광 반사부(20b)에 도입될 수 없는 개소, 즉, 상기의 전반사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광 반사부(20b1)는 지면 우측에 설치된 LED(12b)로부터 광 반사부(20b1)의 지면 우측면에 직접 도입되는 광이 선 형상 도광체(14)의 출사측 면에서 전반사되고, 또한 광 반사부(20b1)의 지면 우측면에 의해 전반사되며, 선 형상 도광체(14)의 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출사되도록, 광 반사부(20b1)의 지면 우측면의 경사각(θR(n))이 각각 설정되어 있는 것이다.
환언하면, 광 반사부(20b1)는 지면 우측에 설치된 LED(12b)로부터 광 반사부(20b1)의 지면 우측면에 직접 도입되는 광이 선 형상 도광체(14)의 출사측 면에서 전반사되고, 또한 광 반사부(20b1)의 지면 우측면에 의해 전반사되며, 선 형상 도광체(14)의 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출사되도록, 각각 경사각(θb(n))에 의해 경사져 있는 것이다.
또한, 광 반사부(20b1)의 경사각(θb(n))은 광 반사부(20b1) 자체의 경사각이고, 구체적으로는 광 반사부(20b1)를 구성하는 V자형 홈 면의 교각(θp)의 이등분선이 선 형상 도광체(14)의 긴 방향에 대한 법선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진 각도이다.
광 반사부(20b1) 면의 경사각(θR(n))은 이하와 같은 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09003599324-pat00006
…(6)
또한, 식 (6)은 선 형상 도광체(14)의 중심으로부터 지면 좌측에 형성되는 광 반사부(20b1) 면의 경사각(θR(n))에 대해서 표현한 것이다. 선 형상 도광체(14)의 중심으로부터 지면 우측에 형성되는 광 반사부(20b1) 면의 경사각(θR(n))을 표현하는 식에 대해서는, 여기에서는 생략하고 있다.
식 (6)을 변형하면, 광 반사부(20b1)의 경사각(θb(n))은 이하와 같은 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09003599324-pat00007
…(7)
광 반사부(20b2)는 지면 우측에 설치된 LED(12b)로부터 선 형상 도광체(14)로 도입되는 광이 선 형상 도광체(14)의 출사측 면에서 전반사되지 않고, 광 반사부(20b2)의 지면 우측면에 직접 입사되며, 광 반사부(20b2)의 지면 우측면에서 전반사되고, 선 형상 도광체(14)의 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출사되도록, 광 반사부(20b2)의 지면 우측면의 경사각(θR(n))이 각각 설정되어 있는 것이다.
환언하면, 광 반사부(20b2)는 지면 우측에 설치된 LED(12b)로부터 선 형상 도광체(14)에 도입되는 광이 선 형상 도광체(14)의 출사측 면에서 전반사되지 않고, 광 반사부(20b2)의 지면 우측면에 직접 입사되고, 광 반사부(20b2)의 지면 우측면에서 전반사되고, 선 형상 도광체(14)의 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출사되도록, 각각 경사각(θR(n))에 의해 경사져 있는 것이다.
또한, 광 반사부(20b2)의 경사각(θb(n))은 광 반사부(20b2) 자체의 경사각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광 반사부(20b2)를 구성하는 V자형 홈 면의 교각(θp)의 이등분선이 선 형상 도광체(14)의 긴 방향에 대한 법선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진 각도이다.
광 반사부(20b2) 면의 경사각(θR(n))을 표현하는 식에 대해서는 여기에서는 생략하고 있다. 또한, 광 반사부(20b2)의 경사각(θR(n))을 표현하는 식에 대해서도, 여기에서는 생략하고 있다.
이어서, 본 실시예의 광 반사부(20a, 20b)의 경사각(θa(n), θb(n))의 구체적인 설정값의 예에 대해서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의 광 반사부의 경사각(θa(n), θb(n))의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가로축은 선 형상 도광체(14)의 단면으로부터 광 반사부(20a, 20b)까지의 거리(X(n))를 나타내고 있고, 세로축은 광 반사부(20a, 20b)의 경사각(θa(n), θb(n))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는 화면 사이즈를 2인치, 표시 화면의 폭을 35㎜, 광 반사부(20a, 20b)의 합계수를 150개, 광 반사부(20a, 20b)의 피치를 0.23㎜, 광 반사부를 구성하는 V자형 홈 면의 교각(θp)을 103.8도, 선 형상 도광체(14)의 두께(t)를 3㎜, 선 형상 도광체(14)의 길이(L)를 37㎜, LED(12a, 12b)와 선 형상 도광체(14) 사이의 거리(ΔL)를 0㎜, 선 형상 도광체(14)의 굴절률을 1.51, 시인하는 인간의 눈과 표시 화면과의 거리(도 4 참조)를 350㎜로 하여 계산했다.
광 반사부(20a, 20b)의 경사각(θa(n), θb(n))을 도 3과 같이 설정하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광 강도 분포를 얻을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의 광 강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가로축은 선 형상 도광체에서의 위치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광 강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에서는 대략 균일한 광 강도 분포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는 교각(θp)이 서로 동일한 V자형 홈에 의해 광 반사부(20a, 20b)가 구성되어 있고, LED(12a)로부터 도입되는 광을 선 형상 도광체(14)의 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출사하기 위한 광 반사부(20a)와, LED(12b)로부터 도입되는 광을 선 형상 도광체(14)의 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출사하기 위한 광 반사부(20b)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주요 특징이 있다.
특원 2001-263922호 명세서에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명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도 19에 나타낸 제안되어 있는 조명 장치에는 LED(12a)가 설치되어 있는 측에는 LED(12a)로부터 도입되는 광을 선 형상 도광체(14)의 긴 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출사하기 위한 광 반사부(20m)가 형성되어 있고, LED(12b)가 설치되어 있는 측에는 LED(12b)로부터 도입되는 광을 선 형상 도광체(14)의 긴 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출사하기 위한 광 반사부(20n)가 형성되어 있다. 도 19에 나타낸 조명 장치에는 LED(12a)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 광 반사부(20m)에는 LED(12a)로부터의 광이 도달하지 않고, 또한, LED(12b)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 광 반사부(20n)에는 LED(12b)로부터의 광이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선 형상 도광체(14)의 단부 근방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강도가 약하게 되어 버린다. 또한, LED(12a)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 광 반사부(20m)에 LED(12a)로부 터의 광이 도달하지 않고, 또한, LED(12b)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 광 반사부(20n)에 LED(12b)로부터의 광이 도달하지 않는 것은, 도 19에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선 형상 도광체(14)의 단부에 광이 전반사해 버리기 때문이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LED(12a)로부터 도입되는 광을 선 형상 도광체(14)의 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출사하기 위한 광 반사부(20a)와, LED(12b)로부터 도입되는 광을 선 형상 도광체(14)의 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출사하기 위한 광 반사부(20b)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LED(12a)에 가까운 위치에서는 LED(12b)로부터 도입되는 광을 광 반사부(20b)를 이용하여 반사할 수 있고, LED(12b)에 가까운 위치에서는 LED(12a)로부터 도입되는 광을 광 반사부(20a)를 이용하여 반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 의하면, 교각(θp)이 서로 동일한 V자형 홈에 의해 광 반사부(20a, 20b)를 형성한 경우라도, 선 형상 도광체(14)의 단부 근방 영역에서 광 강도가 약하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광 강도 분포의 균일화를 더욱 도모할 수 있고, 양호한 표시 특성을 실현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도 6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의 광 반사부의 경사각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의 광 강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 내지 도 5 에 나타낸 제 1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여 설명을 생략 또는 간결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는 광 반사부(20a2, 20b2)만이 선 형상 도광체(14)의 반사측에 형성되어 있고, 광 반사부(20a1, 20b1)(도 2 참조)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에 주요 특징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 형상 도광체(14)의 반사측에는 복수의 광 반사부(20a2, 20b2)가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광 반사부(20a2, 20b2)는 선 형상 도광체(14)의 반사측에 각각 다수 형성되어 있으나, 도 6에서는 생략되어 있다.
광 반사부(20a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지면 좌측에 설치된 LED(12a)로부터 광 반사부(20a2)의 지면 좌측면에 직접 도입되는 광이 광 반사부(20a2)의 지면 좌측면에서 전반사되고, 선 형상 도광체(14)의 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출사되도록, 광 반사부(20a2)의 지면 좌측면의 경사각(θL(n))이 각각 설정되어 있는 것이다.
광 반사부(20a2) 면의 경사각(θL(n))은 상기의 식 (4)에 의해 표현할 수 있다.
또한, 광 반사부(20a2)의 경사각(θa(n))은 상기의 식 (5)에 의해 표현할 수 있다.
광 반사부(20b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지면 우측에 설치된 LED(12b)로부터 광 반사부(20b2)의 지면 우측면에 직접 도입되는 광이 광 반사부(20b2)의 지면 우측면에서 전반사되고, 선 형상 도광체(14)의 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출사되도록, 광 반사부(20b2)의 지면 우측면의 경사각(θR(n))이 각각 설정되어 있는 것이다.
광 반사부(20b2) 면의 경사각(θR(n))은 이하와 같은 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09003599324-pat00008
…(8)
또한, 식 (8)은 선 형상 도광체(14)의 중심으로부터 지면 좌측에 형성되는 광 반사부(20b2) 면의 경사각(θR(n))에 대해서 표현한 것이다. 선 형상 도광체(14)의 중심으로부터 지면 우측에 형성되는 광 반사부(20b2) 면의 경사각(θR(n))을 표현하는 식에 대해서는 여기에서는 생략하고 있다.
식 (8)을 변형하면, 광 반사부(20b2)의 경사각(θb(n))은 이하와 같은 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09003599324-pat00009
…(9)
이어서, 본 실시예의 광 반사부(20a2, 20b2)의 경사각(θa(n), θb(n))의 구체적인 설정값의 예에 대해서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의 광 반사부의 경사각(θa(n), θb(n))의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가로축은 선 형상 도광체(14)의 단면으로부터 광 반사부(20a2, 20b2)까지의 거리(X(n))를 나타내고 있으며, 세로축은 광 반사부(20a2, 20b2)의 경사각(θa(n), θb(n))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화면 사이즈를 2인치, 표시 화면의 폭을 35㎜, 광 반사부(20a, 20b)의 합계수를 150개, 광 반사부(20a, 20b)의 피치를 0.23㎜, 광 반사부를 구성하는 V자형 홈 면의 교각을 103.8도, 선 형상 도광체(14)의 두께(t)를 3㎜, 선 형상 도광체(14)의 길이(L)를 37㎜, LED(12a, 12b)와 선 형상 도광체(14) 사이의 거리(ΔL)를 0㎜, 선 형상 도광체(14)의 굴절률을 1.51, 시인하는 인간의 눈과 표시 화면과의 거리를 350㎜로 하여 계산했다.
광 반사부(20a2, 20b2)의 경사각(θ(n))을 도 7과 같이 설정하면, 도 8과 같은 광 강도 분포를 얻을 수 있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의 광 강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가로축은 선 형상 도광체에서의 위치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광 강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8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에서는 더욱 균일한 광 강도 분포를 얻을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에서는 광 반사부(20a1)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과 광 반사부(20a2)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과의 경계 근방 및 광 반사부(20b1)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과 광 반사부(20b2)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과의 경계 근방에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 반사부(20a, 20b)의 경사각(θa(n), θb(n))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 강도가 약간 불균일한 영역이 생기고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선 형상 도광체(14)의 반사측에, 광 반사부(20a1, 20b1)를 형성하지 않고, 광 반사부(20a2, 20b2)만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 반사부의 경사각(θa(n), θb(n))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개소를 제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우 균일한 광 강도 분포를 얻을 수 있다.
(변형예)
이어서,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의 변형예에 대해서 도 6 및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변형예에 의한 조명 장치의 광 반사부 경사각의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우선, 본 변형예에 의한 조명 장치 구조의 개요에 대해서는 도 6에 나타낸 조명 장치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변형예에 의한 조명 장치는 광 반사부(20a, 20b)의 경사각(θa(n), θb(n))를 표현하는 식을 직선 근사에 의해 구하고, 이렇게 구해진 식에 기초하여 광 반사부(20a, 20b)의 경사각(θa(n), θb(n))이 각각 설정되어 있는 것에 주요 특징이 있다.
도 6에 나타낸 조명 장치에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 형상 도광체(14)의 중심으로부터 지면 좌측에 형성되는 광 반사부(20b)에서는 거리(X(n))의 변화에 대한 경사각(θb(n))의 변화가 직선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조명 장치에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 형상 도광체(14)의 중심으로부터 지면 우측에 형성되는 광 반사부(20a)에서는 거리(X(n))의 변화에 대한 경사각(θa(n))의 변화가 직선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선 형상 도광체(14)의 지면 좌측에 형성되는 광 반사부(20b)의 경사각(θb(n)) 및 선 형상 도광체(14)의 지면 우측에 형성되는 광 반사부(20a)의 경사각(θa(n))은 이하와 같은 근사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9003599324-pat00010
…(10)
식 (10)에서, A의 값은 예를 들어 0.065로 할 수 있고, C의 값은 예를 들어 -1.127로 할 수 있다.
또한, 선 형상 도광체(14)의 지면 우측에 형성되는 광 반사부(20b)의 경사각(θb(n)) 및 선 형상 도광체(14)의 지면 좌측에 형성되는 광 반사부(20a)의 경사각(θa(n))에 대해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 X(n)의 변화에 대한 경사각(θa(n), θb(n))의 변화가 곡선적이기 때문에, 직선 근사를 행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선 형상 도광체(14)의 지면 우측에 형성되는 광 반사부(20b)의 경사각(θb(n)) 및 선 형상 도광체(14)의 지면 좌측에 형성되는 광 반사부(20a)의 경사각(θa(n))에 대해서는 도 6에 나타낸 조명 장치와 같이 하여, 경사각(θa(n), θb(n))을 각각 설정하면 된다.
이어서, 본 실시예의 광 반사부(20a2, 20b2) 면의 경사각(θa(n), θb(n))의 구체적인 설정값의 예에 대해서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상기와 같이 하여 구해진 광 반사부 면의 경사각(θa(n), θb(n))의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가로축은 선 형상 도광체(14)의 단면으로부터 광 반사부(20a2, 20b2)까지의 거리(X(n))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광 반사부(20a2, 20b2)의 경사각(θa(n), θb(n))을 나타내고 있다.
도 9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선 형상 도광체(14)의 지면 좌측에 형성되는 광 반사부(20b)의 경사각(θb(n)) 및 선 형상 도광체(14)의 지면 우측에 형성 되는 광 반사부(20a)의 경사각(θa(n))에 대해서는 거리(X(n))의 변화에 대한 광 반사부(20a, 20b)의 경사각(θa(n), θb(n))의 변화가 리니어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직선 근사에 의해 구해진 식에 기초하여, 광 반사부(20a, 20b)의 경사각(θa(n), θb(n))을 설정하기 때문에, 거리(X(n))의 변화에 대한 광 반사부(20a, 20b)의 경사각(θa(n), θb(n))의 변화를 리니어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 의하면, 선 형상 도광체(14)를 성형하기 위한 형 등을 제작할 때의 절삭 등을 보다 용이화(化)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나아가서는, 조명 장치를 보다 저비용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3 실시예)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도 10 및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의 광 반사부 경사각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낸 제 1 또는 제 2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고, 설명을 생략 또는 간결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는 광 반사부(20a2, 20b2)의 경사각(θa(n), θb(n))의 변화가 완만하게 되도록, 경사각(θa(n), θb(n))이 각각 설정되어 있는 것이 주요 특징 중 하나이다.
상술한 제 2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에서는 도 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 이, 선 형상 도광체(14)의 지면 좌측에서는 광 반사부(20a2)의 경사각(θa(n))이 크게 변화하고 있고, 선 형상 도광체(14)의 지면 우측에서는 광 반사부(20b2)의 경사각(θb(n))이 크게 변화하고 있다.
광 반사부(20a2, 20b2)의 경사각(θa(n), θb(n))의 변화를 보다 완만하게 설정하면, 광 강도 분포의 균일화를 보다 더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이하와 같이 하여, 광 반사부(20a2, 20b2)의 경사각(θa(n), θb(n))의 변화를 완만하게 설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선 형상 도광체(14)의 지면 좌측으로부터 세어 20번째 이내의 광 반사부(20)에 대해서는 광 반사부(20a2)의 경사각(θa(n))을, 최소제곱법을 이용한 이하 같은 식에 기초하여 설정하고 있다.
Figure 112009003599324-pat00011
…(11)
또한, 식 (11)에서, A0의 값은 예를 들어, 20.8898392176628로 할 수 있고, A1의 값은 예를 들어, -0.933058715510982로 할 수 있으며, A2의 값은 예를 들어, 0.175935868714104로 할 수 있고, A3의 값은 예를 들어, 0.0597356140982439로 할 수 있으며, A4의 값은 예를 들어, -0.00616284917042891로 할 수 있다.
그리고, 광 반사부(20a2)의 경사각(θa(n))은 이하와 같은 조건도 만족하도 록, 각각 설정되어 있다.
즉,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선 형상 도광체(14)의 지면 좌측으로부터 세어 r번째 광 반사부(20a2 (r))와 r+1번째 광 반사부(20a2 (r+1)) 사이의 거리를 ΔX, r번째 광 반사부(20a2 (r+1))의 경사각(θa(n))과 r+1번째 광 반사부( 20a2 (r+1))의 경사각(θa(n))의 차를 Δθa라고 하면, Δθa/ΔX의 절대치가 2.71도/㎜ 이하가 되도록, 광 반사부(20a2)의 경사각(θa(n))이 각각 설정되어 있다.
환언하면, 예를 들어, 선 형상 도광체(14)의 지면 좌측으로부터 세어 r번째 광 반사부(20a2 (r))와 r+1번째 광 반사부(20a2 (r+1)) 사이의 거리를 ΔX, r번째 광 반사부(20a2(r))의 경사각(θa(n))과 r+1번째 광 반사부(20a2(r+1))의 경사각(θa(n))의 차를 Δθa라고 하면, Δθa/ΔX의 절대치가 2.71도/㎜ 이하가 되도록, 광 반사부(20a2) 면의 경사각(θL(n))이 각각 설정되어 있다.
또한, 선 형상 도광체(14)의 지면 우측으로부터 세어 20번째 이내의 광 반사부(20b2)에 대해서는 광 반사부(20b2)의 경사각(θb(n))을 상기와 같이 최소제곱법을 이용한 식에 기초하여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광 반사부(20b2)의 경사각(θb(n))은 이하와 같은 조건도 만족하도록, 각각 설정되어 있다.
즉, 예를 들어, 선 형상 도광체(14)의 지면 우측으로부터 세어 s번째 광 반 사부(20b2(s))와 s+1번째 광 반사부(20b2 (s+1)) 사이의 거리를 ΔX, s번째 광 반사부(20b2 (s))의 경사각(θb(n))과 s+1번째 광 반사부(20b2(s+1))의 경사각(θb(n))의 차를 Δθb로 하면, Δθb/ΔX의 절대치가 2.71도/㎜ 이하가 되도록, 광 반사부(20b2)의 경사각(θb(n))이 각각 설정되어 있다.
환언하면, 예를 들어, 선 형상 도광체(14)의 지면 우측으로부터 세어 s번째 광 반사부(20b2 (s))와 s+1 번째 광 반사부(20b2 (s+1)) 사이의 거리를 ΔX, s번째 광 반사부(20b2(s))의 경사각(θb(n))과 s+1번째 광 반사부(20b2(s+1))의 경사각(θb(n))의 차를 Δθb라고 하면, Δθb/ΔX의 절대치가 2.71도/㎜ 이하가 되도록, 광 반사부(20b2) 면의 경사각(θR(n))이 각각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외의 광 반사부(20a2, 20b2)에 대해서는 제 2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경사각(θa(n), θb(n))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Δθa/ΔX, Δθb/ΔX를 작게 설정할 뿐만 아니라, Δθa/ΔX의 변동량이나 Δθb/ΔX의 변동량도 작게 되도록, 경사각(θa(n), θb(n))이 각각 설정되어 있다.
즉, r번째 광 반사부(20a2(r))와 r+1번째 광 반사부(20a2 (r+1)) 사이의 거리를 ΔX(r), r+1번째 광 반사부(20a2 (r+1))와 r+2번째 광 반사부(20a2 (r+2)) 사이의 거리를 ΔX(r+1), r번째 광 반사부(20a2 (r))의 경사각(θa(n))과 r+1번째 광 반사부(20a2 (r+1))의 경사각(θa(n))의 차를 Δθa(r), r+1번째 광 반사부(20a2(r+1))의 경사각(θa(n))과 r+2번째 광 반사부(20a2 (r+2))의 경사각(θa(n))의 차를 Δθa(r+1)라고 하면, Δθa(r)/ΔX(r)과 Δθa(r+1)/ΔX(r+1)의 차의 절대치, 즉, 선 형상 도광체(14)의 긴 방향에 따른 거리에 대한 Δθa/ΔX의 변동량의 절대치가 O.70도/㎜ 이하가 되도록, 광 반사부(20a)의 경사각(θa(n))이 각각 설정되어 있다.
환언하면, r번째 광 반사부(20a2(r))와 r+1번째 광 반사부(20a2 (r+1)) 사이의 거리를 ΔX(r), r+1번째 광 반사부(20a2 (r+1))와 r+2번째 광 반사부(20a2 (r+2)) 사이의 거리를 ΔX(r+1), r번째 광 반사부(20a2 (r))의 경사각(θa(n))과 r+1번째 광 반사부(20a2 (r+1))의 경사각(θa(n))의 차를 Δθa(r), r+1번째 광 반사부(20a2(r+1))의 경사각(θa(n))과 r+2번째 광 반사부(20a2 (r+2))의 경사각(θa(n))의 차를 Δθa(r+1)라고 하면, Δθa(r)/ΔX(r)와 Δθa(r+1)/ΔX(r+1) 차의 절대치, 즉, 선 형상 도광체(14)의 긴 방향에 따른 거리에 대한 Δθa/ΔX의 변동량의 절대치가, 0.70도/㎜ 이하가 되도록, 광 반사부(20a) 면의 경사각(θL(n))이 각각 설정되어 있다.
또한, s번째 광 반사부(20b2(s))와 s+1번째 광 반사부(20b2 (s+1)) 사이의 거리 를 ΔX(s), s+1번째 광 반사부(20b2 (s+1))와 s+2번째 광 반사부(20b2 (s+2)) 사이의 거리를 ΔX(s+1), s번째 광 반사부(20b2 (s))의 경사각(θb(n))과 S+1번째 광 반사부(20b2 (s+1))의 경사각(θb)의 차를 Δθb(s), s+1번째 광 반사부(20b2(s+1))의 경사각(θb(n))과 s+2번째 광 반사부(20b2 (s+2)) 경사각(θb(n))의 차를 Δθb(s+1)이라고 하면, Δθb(s)/ΔX(s)와 Δθb(s+1)/ΔX(s+1) 차의 절대치, 즉, 선 형상 도광체(14)의 긴 방향에 따른 거리에 대한 Δθb/ΔX의 변동량의 절대치가 O.70도/㎜ 이하가 되도록, 광 반사부(20b)의 경사각(θb(n))이 각각 설정되어 있다.
환언하면, s번째 광 반사부(20b2(s))와 s+1번째 광 반사부(20b2 (s+1)) 사이의 거리를 ΔX(s), s+1번째 광 반사부(20b2 (s+1))와 s+2번째 광 반사부(20b2 (s+2)) 사이의 거리를 ΔX(s+1), s번째 광 반사부(20b2 (s))의 경사각(θb(n))과 s+1번째 광 반사부(20b2 (s+1))의 경사각(θb)과의 차를 Δθb(S), s+1번째 광 반사부(20b2(s+1))의 경사각(θb(n))과 s+2번째 광 반사부(20b2 (s+2))의 경사각(θb(n))의 차를 Δθb(s+1)이라고 하면, Δθb(s)/ΔX(s)와 Δθb(s+1)/ΔX(s+1)의 차의 절대치, 즉, 선 형상 도광체(14)의 긴 방향에 따른 거리에 대한 Δθb/ΔX의 변동량의 절대치가 0.70도/㎜ 이하가 되도록, 광 반사부(20b) 면의 경사각(θR(n))이 각각 설정되어 있다.
이어서, 본 실시예의 광 반사부(20a2, 20b2)의 경사각(θa(n), θb(n))의 구체적인 설정값의 예에 대해서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의 광 반사부의 경사각(θa(n), θb(n))의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가로축은 선 형상 도광체(14)의 단면으로부터 광 반사부(20a2, 20b2)까지의 거리(X(n))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광 반사부(20a2, 20b2)의 경사각(θa(n)), θb(n))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거리(X(n))의 변화에 대한 광 반사부(20a2, 20b2)의 경사각(θa(n), θb(n))의 변화가 제 2 실시예와 비교해서 완만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거리(X(n))의 변화에 대한 광 반사부(20a2, 20b2)의 경사각(θa(n), θb(n))의 변화가 완만하게 되도록 경사각(θa(n), θb(n))이 각각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광 강도 분포를 보다 균일화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에 나타낸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고, 설명을 생략 또는 간결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는 선 형상 도광체(14)의 반사측, 즉, 광 반사 부(20)가 형성되어 있는 측에, 선 형상 도광체(14)와 별개로 반사 수단(24)이 설치되어 있는 것에 주요 특징이 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선 형상 도광체(14)의 반사측에 선 형상 도광체(14)와 별개로 반사 수단(24)이 설치되어 있다. 반사 수단(24)으로서는 선 형상 도광체(14)의 적어도 반사측을 덮는 알루미늄제 홀더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서는 선 형상 도광체(14)의 반사측에 반사 코트막(20)을 형성함으로써, 선 형상 도광체(14)의 반사측으로부터 광이 외부에 새는 것을 방지하고 있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선 형상 도광체(14)와 별개로 설치된 반사 수단(24)에 의해, 선 형상 도광체(14)의 반사측으로부터 새는 광이 선 형상 도광체(14) 내에 돌려지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반사 코트막(20)을 대신하여 반사 수단(24)를 설치한 경우에도, 선 형상 도광체(14)의 반사측으로부터 새는 광을 선 형상 도광체(14) 내에 돌릴 수 있기 때문에, 조명이 전체적으로 어둡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 형상 도광체(14)의 반사측에 반드시 반사 코트막(20)을 형성할 필요는 없고, 본 실시예와 같이 선 형상 도광체(14)와 별개로 반사 수단(24)을 설치할 수도 있다.
(제 5 실시예)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를 도 1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 지 도 12에 나타낸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고, 설명을 생략 또는 간결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는 제 1 내지 제 4 실시예 중 어느 한 예에 의한 조명 장치와 반사형 액정 패널을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사형 액정 패널(26) 상에는 제 1 내지 제 4 실시예 중 어느 한 예에 의한 조명 장치(10)가 설치되어 있다.
조명 장치(10)의 선 형상 도광체(14)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면 형상 도광체(16)를 통하여 반사형 액정 패널(26)로 입사되고, 반사형 액정 패널(26)에 설치되어 있는 미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반사되며, 인간의 눈에 의해 시인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명 장치(10)는 프런트 라이트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내지 제 4 실시예 중 어느 한 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반사형 액정 패널을 균일한 광 강도로 조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 특성이 양호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 6 실시예)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를 도 1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3에 나타낸 제 1 내지 제 5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 등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고, 설명을 생략 또는 간결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는 제 1 내지 제 5 실시예 중 어느 한 예 의 조명 장치와 투과형 액정 패널을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4 실시예 중 어느 한 예에 의한 조명 장치(10) 상에는 투과형 액정 패널(28)이 설치되어 있다.
선 형상 도광체(14)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면 형상 도광체(16)를 통하여 투과형 액정 패널(28)에 입사되고, 투과형 액정 패널(28)을 투과하여 인간의 눈에 의해시인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투과형 액정 패널을 이용한 경우에도, 표시 특성이 양호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변형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아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에서는 선 형상 도광체의 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광이 출사되도록 광 반사부의 경사각을 설정했지만, 반드시 선 형상 도광체의 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아니어도 좋다. 예를 들어, 시인하는 사람의 눈에 출사광이 수렴되도록 광 반사부의 경사각의 각도를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광이 약간 발산하도록 광 반사부의 경사각의 각도를 설정할 수도 있다. 요컨대, 선 형상 도광체의 긴 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출사되도록 광 반사부의 경사각을 설정하면, 양호한 표시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LED(12a)로부터 도입되는 광을 반사하기 위한 광 반사부(20a)와 LED(12b)로부터 도입되는 광을 반사하기 위한 광 반사부(20b)를 교대로 형성했지만, 반드시 정확하게 교대로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어, 광 반사부(20a)를 인접하여 2개 형성하고, 그 옆에 광 반사부(20b)를 1개 형성하며, 또한 그 옆에 광 반사부(20a)를 1개 형성하고, 또한 그 옆에 광 반사부(20b)를 2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광 반사부(20a)와 광 반사부(20b)를 2개씩 교대로 형성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광 반사부(20a)와 광 반사부(20b)를 대략 교대로 형성 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LED(12a)에 가까운 위치에서는 LED(12a)로부터 도입되는 광을 반사하기 위한 광 반사부(20a)를 설치하지 않고, LED(12b)로부터 도입되는 광을 반사하기 위한 광 반사부(20b)를 설치하고, LED(12b)에 가까운 위치에서는 LED(12b)로부터 도입되는 광을 반사하기 위한 광 반사부(20b)를 설치하지 않고, LED(12a)로부터 도입되는 광을 반사하기 위한 광 반사부(20a)를 설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LED(12b)로부터 도입되는 광을 반사하기 위한 광 반사부(20b)가 적어도 LED(12a)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고, LED(12a)로부터 도입되는 광을 반사하기 위한 광 반사부(20a)가 적어도 LED(12b)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면, 선 형상 도광체(14)의 단부 근방 영역에서 광 강도가 낮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의 광 반사부 면의 경사각의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인간의 눈과 표시 화면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의 광 강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의 광 반사부 면의 경사각의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의 광 강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변형예에 의한 조명 장치의 광 반사부의 경사각의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의 광 반사부 면의 경사각의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투과형 액정 패널 및 반사형 액정 패널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6은 제안되어 있는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은 제안되어 있는 조명 장치의 선 형상 도광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평면도.
도 18은 제안되어 있는 조명 장치의 선 형상 도광체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강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9는 제안되어 있는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면 부호의 설명
10 : 조명 장치
12a, 12b : LED
14 : 선 형상 도광체
16 : 면 형상 도광체
18 : 반사 코트막
20a, 20b : 광 반사부

Claims (7)

  1. 제 1 광원과, 상기 제 1 광원으로부터 이간하여 설치된 제 2 광원과, 상기 제 1 광원과 상기 제 2 광원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광원과 상기 제 2 광원으로부터 도입되는 광을 출사측으로부터 선 형상으로 출사하는 선 형상 도광체를 갖는 조명 장치로서,
    상기 선 형상 도광체의 상기 출사측에 대향하는 반사측에는, 상기 제 1 광원으로부터 도입되는 광을 반사하는 제 1 V자형 홈으로 이루어지는 제 1 광 반사부와, 상기 제 2 광원으로부터 도입되는 광을 반사하는 제 2 V자형 홈으로 이루어지는 제 2 광 반사부가 각각 복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V자형 홈의 상기 제 1 광원측의 면인 제 1 반사면은, 상기 제 1 광원의 중심으로부터 출사되어 상기 선 형상 도광체의 상기 출사측에서 전반사되어 상기 제 1 반사면의 중심에서 전반사되는 광, 또는 상기 제 1 광원의 중심으로부터 출사되어 상기 제 1 반사면의 중심에 직접 입사되어 상기 제 1 반사면의 중심에서 전반사되는 광이 상기 선 형상 도광체의 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출사되는 각도로 각각 경사져 있고, 상기 제 1 V자형 홈의 면의 교각은 서로 같은 각도로 되어 있고,
    상기 제 2 V자형 홈의 상기 제 2 광원측의 면인 제 2 반사면은, 상기 제 2 광원의 중심으로부터 출사되어 상기 선 형상 도광체의 상기 출사측에서 전반사되어 상기 제 2 반사면의 중심에서 전반사되는 광, 또는 상기 제 2 광원의 중심으로부터 출사되어 상기 제 2 반사면의 중심에 직접 입사되어 상기 제 2 반사면의 중심에서 전반사되는 광이 상기 선 형상 도광체의 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출사되는 각도로 각각 경사져 있고, 상기 제 2 V자형 홈의 면의 교각은 서로 같은 각도로 되어 있고,
    상기 제 1 V자형 홈의 면의 교각과, 상기 제 2 V자형 홈의 면의 교각은 서로 같은 각도로 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 1 광 반사부는 상기 선 형상 도광체의 상기 제 1 광원이 설치되어 있는 측과 반대측의 단부 근방 영역에 적어도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 2 광 반사부는 상기 선 형상 도광체의 상기 제 2 광원이 설치되어 있는 측과 반대측의 단부 근방 영역에 적어도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 반사부와 상기 제 2 광 반사부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서로 근접한 상기 제 1 광 반사부의 간격을 ΔX, 서로 근접한 상기 제 1 광 반사부의 경사각의 변화를 Δθ로 하면, Δθ/ΔX의 절대치가 2.71도/㎜ 이하가 되도록, 상기 복수의 제 1 광 반사부의 면이 각각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선 형상 도광체의 긴 방향에 따른 거리에 대한 Δθ/ΔX의 변동량의 절대치가 0.70도/㎜ 이하가 되도록, 상기 복수의 제 1 광 반사부의 면이 각각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 형상 도광체와 광학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선 형상 도광체로부터 도입되는 광을 평면 형상으로 출사하는 면 형상 도광체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 형상 도광체의 상기 반사측에 반사 코트막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 형상 도광체의 상기 반사측에 상기 선 형상 도광체와 별개로 반사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KR1020097001179A 2002-08-23 2003-02-25 조명 장치 KR1008993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243188 2002-08-23
JP2002243188A JP4141766B2 (ja) 2002-08-23 2002-08-23 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1805A Division KR100893349B1 (ko) 2002-08-23 2003-02-25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4801A KR20090024801A (ko) 2009-03-09
KR100899369B1 true KR100899369B1 (ko) 2009-05-27

Family

ID=3194409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1179A KR100899369B1 (ko) 2002-08-23 2003-02-25 조명 장치
KR1020077021805A KR100893349B1 (ko) 2002-08-23 2003-02-25 액정 표시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1805A KR100893349B1 (ko) 2002-08-23 2003-02-25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108417B2 (ko)
EP (1) EP1531302A4 (ko)
JP (1) JP4141766B2 (ko)
KR (2) KR100899369B1 (ko)
CN (1) CN100489624C (ko)
AU (1) AU2003211655A1 (ko)
CA (1) CA2489993C (ko)
TW (1) TWI226491B (ko)
WO (1) WO20040189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89708B (en) 2002-12-25 2007-11-11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Optical interference type color display
US7342705B2 (en) 2004-02-03 2008-03-11 Idc, Llc Spatial light modulator with integrated optical compensation structure
US7706050B2 (en) 2004-03-05 2010-04-27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Integrated modulator illumination
CN100371787C (zh) * 2004-06-14 2008-02-27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立体影像成像系统
US7750886B2 (en) 2004-09-27 2010-07-06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lighting displays
US7355780B2 (en) 2004-09-27 2008-04-08 Idc, Llc System and method of illuminating interferometric modulators using backlighting
US7349141B2 (en) 2004-09-27 2008-03-25 Idc, Llc Method and post structures for interferometric modulation
US7766498B2 (en) 2006-06-21 2010-08-03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Linear solid state illuminator
KR100844763B1 (ko) * 2006-07-04 2008-07-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유니트
US7845841B2 (en) 2006-08-28 2010-12-07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Angle sweeping holographic illuminator
WO2008045363A2 (en) * 2006-10-06 2008-04-17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Light bar with reflector
EP1943551A2 (en) 2006-10-06 2008-07-16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Light guide
WO2008045311A2 (en) 2006-10-06 2008-04-17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Illumination device with built-in light coupler
EP2366945A1 (en) 2006-10-06 2011-09-21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Optical loss layer integrated in an illumination apparatus of a display
US7855827B2 (en) 2006-10-06 2010-12-21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Internal optical isolation structure for integrated front or back lighting
US8107155B2 (en) 2006-10-06 2012-01-31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visual artifacts in displays
CN101529322A (zh) * 2006-10-23 2009-09-09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背光系统
US7864395B2 (en) 2006-10-27 2011-01-04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Light guide including optical scattering elements and a method of manufacture
WO2008053078A1 (en) * 2006-10-31 2008-05-08 Oy Modines Ltd. Light outcoupling structure for a lighting device
US7777954B2 (en) 2007-01-30 2010-08-17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of providing a light guiding layer
US7733439B2 (en) 2007-04-30 2010-06-08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Dual film light guide for illuminating displays
TWM334259U (en) * 2007-06-11 2008-06-11 Upec Electronics Corp Lighting device
US8068710B2 (en) 2007-12-07 2011-11-29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Decoupled holographic film and diffuser
US7949213B2 (en) * 2007-12-07 2011-05-24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Light illumination of displays with front light guide and coupling elements
US8654061B2 (en) 2008-02-12 2014-02-18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Integrated front light solution
WO2009102731A2 (en) 2008-02-12 2009-08-20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Devices and methods for enhancing brightness of displays using angle conversion layers
WO2009102733A2 (en) 2008-02-12 2009-08-20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Integrated front light diffuser for reflective displays
US8049951B2 (en) 2008-04-15 2011-11-01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Light with bi-directional propagation
US8118468B2 (en) 2008-05-16 2012-02-21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Illumination apparatus and methods
KR20110028595A (ko) * 2008-05-28 2011-03-21 퀄컴 엠이엠스 테크놀로지스, 인크. 광 방향전환용 미세구조체를 구비한 도광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그리고 표시장치
US8172417B2 (en) 2009-03-06 2012-05-08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Shaped frontlight reflector for use with display
CN102449511A (zh) 2009-05-29 2012-05-09 高通Mems科技公司 照明装置及其制造方法
JP5320176B2 (ja) * 2009-06-16 2013-10-23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TW201109588A (en) * 2009-09-10 2011-03-16 E Pin Optical Industry Co Ltd Light guide with taped saw tooth for linear light source
US8902484B2 (en) 2010-12-15 2014-12-02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Holographic brightness enhancement film
TW201516310A (zh) * 2013-10-22 2015-05-01 Hon Hai Prec Ind Co Ltd 車燈模組及其製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4161U (ko) * 1989-12-15 1991-08-27
JP2002231035A (ja) 2001-01-31 2002-08-16 Minebea Co Ltd 面状照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1206174A4 (fr) * 1973-09-07 1977-05-31 Seiko Instr & Electronics Montre-bracelet électronique
US4611293A (en) * 1983-11-28 1986-09-09 Magnavox Government And Industrial Electronics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calibration of magnetic compass
US5046031A (en) * 1989-02-06 1991-09-03 Magnavox Government And Industrial Electronics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flux-gate compass calibration
JP3084161B2 (ja) 1993-01-18 2000-09-04 株式会社メニコン 眼用レンズ材料
DE19521254A1 (de) 1994-06-24 1996-01-04 Minnesota Mining & Mfg Anzeigesystem mit Helligkeitsverstärkungsfilm
WO1996017207A1 (en) 1994-11-29 1996-06-06 Precision Lamp, Inc. Edge light for panel display
US5980054A (en) 1996-05-09 1999-11-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anel-form illuminating system
AU8896998A (en) * 1997-01-31 1998-11-13 Greenfield Enterprises, Inc.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JPH10260405A (ja) * 1997-03-18 1998-09-29 Seiko Epson Corp 照明装置、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DE19803518A1 (de) * 1998-01-30 1999-08-05 Hella Kg Hueck & Co Stabförmiger Lichtleiter
JP3379043B2 (ja) 1998-06-29 2003-02-17 ミネベア株式会社 面状照明装置
CN2358336Y (zh) 1998-10-08 2000-01-12 广州市荔湾区华安堡电子灯饰厂 发光二极管发光反射板
JP3073984B1 (ja) 1999-07-01 2000-08-07 千代美 早川 洋裁用原型
JP2001035227A (ja) 1999-07-19 2001-02-09 Minebea Co Ltd 面状照明装置
JP2001222906A (ja) 2000-02-08 2001-08-17 Minebea Co Ltd 面状照明装置
TW557373B (en) * 2000-10-25 2003-10-11 Lumileds Lighting Bv Illumination system and display device
JP3084161U (ja) * 2001-08-20 2002-03-08 勝華科技股▲分▼有限公司 面状照明装置
JP4671562B2 (ja) * 2001-08-31 2011-04-20 富士通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US6799860B2 (en) * 2001-10-01 2004-10-05 Rohm Co., Ltd. Point light source-oriented light guiding means and lighting unit utiliz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4161U (ko) * 1989-12-15 1991-08-27
JP2002231035A (ja) 2001-01-31 2002-08-16 Minebea Co Ltd 面状照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18933A1 (ja) 2004-03-04
TWI226491B (en) 2005-01-11
KR20090024801A (ko) 2009-03-09
AU2003211655A1 (en) 2004-03-11
EP1531302A1 (en) 2005-05-18
CA2489993A1 (en) 2004-03-04
JP4141766B2 (ja) 2008-08-27
JP2006024368A (ja) 2006-01-26
KR20070112216A (ko) 2007-11-22
TW200403496A (en) 2004-03-01
CA2489993C (en) 2008-04-01
CN100489624C (zh) 2009-05-20
US7108417B2 (en) 2006-09-19
US20050117324A1 (en) 2005-06-02
KR100893349B1 (ko) 2009-04-15
EP1531302A4 (en) 2005-08-31
CN1671991A (zh) 2005-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9369B1 (ko) 조명 장치
US10345505B2 (en) Multibeam diffraction grating-based color backlighting
US11327337B2 (en) Mode-switchable backlight, display, and method
US10810917B2 (en) 2D/3D mode-switchable electronic display with dual layer backlight
JP4671562B2 (ja) 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EP3175267B1 (en) Multibeam diffraction grating-based color backlighting
CN109100887B (zh) 背光体、电子显示器、多视图显示器和操作方法
KR100468860B1 (ko) 광편향부재를 구비하는 도광판 및 측면 발광형 백라이트장치
CN107924063B (zh) 双向准直器
JP4755165B2 (ja) バックライトモジュール
CN1700070A (zh) 背光系统
EP3837579B1 (en) Grating collimator, backlight system, and method employing a light-recycling light source
KR20050023350A (ko) 조명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JP5454454B2 (ja) 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CN109477627B (zh) 使用光引导结构的照明系统
EP4363768A1 (en) Light guide and display screen using such light gu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