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9041B1 - 외부 장치 연결용 체중계를 이용한 다자 참여 감량 유도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외부 장치 연결용 체중계를 이용한 다자 참여 감량 유도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9041B1
KR100899041B1 KR1020060103147A KR20060103147A KR100899041B1 KR 100899041 B1 KR100899041 B1 KR 100899041B1 KR 1020060103147 A KR1020060103147 A KR 1020060103147A KR 20060103147 A KR20060103147 A KR 20060103147A KR 100899041 B1 KR100899041 B1 KR 100899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ntest
user
group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3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6484A (ko
Inventor
박승훈
곽현민
Original Assignee
(주)더힘스
박승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힘스, 박승훈 filed Critical (주)더힘스
Priority to KR1020060103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9041B1/ko
Publication of KR20080036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6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9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9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외부 장치에 연결되는 체중계를 이용하여 다수의 사용자들 간에 감량 동기를 부여하기 위한 감량 유도 방법이 개시된다. 감량 유도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들에게 적용되는 감량 목표치를 포함하는 콘테스트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 사용자들의 체중 정보를 측정하는 체중 측정 단계, 감량 목표치에 대한 사용자들의 달성률에 기반하여 결정된 순위를 포함하는 콘테스트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체중 정보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체중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외부 장치 연결용 체중계를 이용하여 측정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사용자는 여러 사용자들 간의 경쟁을 통하여 감량 동기를 지속적으로 부여받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감량에 성공함으로써 자신의 건강 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외부 장치 연결용 체중계를 이용한 다자 참여 감량 유도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moting weight reduction for multiple participants using external device-connectable scale}
도 1은 본 발명에 일면에 의한 다자 참여 감량 유도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한 다자 참여 감량 유도 방법에 따른 콘테스트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한 다자 참여 감량 유도 방법에서 제공하는 건강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한 다자 참여 감량 유도 방법에서 제공하는 건강 정보 중 체중 예측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한 다자 참여 감량 유도 방법에서 제공하는 유아 발육 곡선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한 다자 참여 감량 유도 방법에서 설정된 콘테스트 환경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한 다자 참여 감량 유도 방법에서 제공하는 콘테스트 결과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콘테스트 결과의 다른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면에 의한 다자 참여 감량 유도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9는 체중 정보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위부 장치 연결용 체중계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외부 장치 연결용 체중계를 이용한 체중 감량 유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의 사용자들 간의 체중 감량 목표치에 대한 달성률을 이용한 콘테스트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체중 감량을 위한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다자 참여 감량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바쁜 일상에 시달리는 현대인들에게는 운동량이 부족하다. 특히, 컴퓨터 기술의 발전에 기인하여 현대인들은 컴퓨터 앞에서 생활하는 일이 많기 때문에, 마우스 조작이나 키보드 조작과 같은 단순 반복적인 운동 외에는 운동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에 따라, 현대인들의 컴퓨터 앞에서 보내는 시간은 더욱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운동 부족에 기인한 다양한 성인병이 현대인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다양한 건강 위협 인자 가운데 최근 가장 주목받는 것이 비만이다. 특히, 비만은 단순히 미용적 측면이 아니라 하나의 질병으로서 이해된다. 예를 들어, 비 만인 사람은 25 ~ 34세 남자의 경우에는 일반인에 비해 12배, 35 ~ 44세 남자는 6배 높은 사망률을 보인다. 뿐만 아니라, 비만에 수반되는 의학적 문제점 및 합병증은 매우 다양하다. 예를 들어, 고혈압, 심장병, 동맥경화 등의 혈액순환기 질환, 당뇨병, 고지혈증, 간장 질환, 관절 질환, 담석증, 월경이상 등의 다양한 질병이 비만에 의하여 유발되거나 촉진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비만의 위험성은, 서구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내장 지방의 비율이 높기 때문에 위험성이 배가되는 동양인에게 있어서는 더욱 심각하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 질병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체중 감량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체중 감량을 위하여 단순한 식이요법만을 이용하는 것은 영양 불균형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소위 요요 현상을 불러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고 볼 수 없다. 식이요법으로 감량된 체중은 유지될 수 없고, 개인에 맞는 운동요법이 반드시 동반되어야 한다. 체중 측정은 자신의 현재상태를 정확히 인지함으로써 자신에 유리한 방향으로 행동하려하는 바이오피드백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 체중을 측정함으로써 현재 체형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게 하고, 미래의 상태를 예측하여 보여줌으로써 각성 혹은 격려하게 하는 방법을 말한다. 즉, 자신의 현재 체중을 정확히 스스로 알고, 이로 인해 장래 어떠한 해로움이 자신에게 올 것인가를 깨닫게 해 줌으로써 자신의 건강에 이로운 체중감량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해 나가는 것이다.
체중상태를 측정하여 각성하게 하는 방법 중의 하나는 현재의 상태를 건강의 여러 단계들 중의 한 개로 분류하여 장래의 위험성을 미리 알려서 건강에 많은 신 경을 쓰도록 하는 것이다. 현재 상태에서 심장병에 걸릴 위험 80%, 당뇨병에 걸릴 확률 50%, .... 등으로 위험성을 미리 알리는 것이다. 자신의 신체상태가 호전되면 이러한 확률도 낮아질 것이다.
체중 측정에 의한 바이오피드백 효과를 활용하여 건강한 생활습관을 길러줌으로써 현대인의 생명을 가장 크게 위협하고 있는 생활습관병의 치료와 예방은 물론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체중측정에 의한 건강증진은 "체중측정 → 생활습관 개선 (Life Style Change) → 생활습관병 치료와 예방 → 건강증진"과 같은 싸이클을 갖는다.
그런데, 체중을 측정하는 것은 온전히 개인적인 작업이다. 따라서, 운동을 열심히 하는 동안에는 즐거운 마음으로 체중을 측정하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슬쩍 체중 측정하는 일을 미루곤 한다. 또한, 과음을 하거나, 과식을 한 뒤에도 체중계에 올라가는 일을 망설이게 된다. 한두 번 미뤄진 체중 측정은 어느새 누적되어, 체계적이고 정확한 건강 정보를 얻기 어렵게 될 뿐 아니라, 이런 현상이 반복되면 자포자기 심정이 되어 운동 자체를 포기하는 일이 생긴다. 혼자서 운동하는 것이 지속적인 효과를 거두기 어려운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이런 반면에, 피트니스 센터나 병원의 치료 센터 등 전문 기관이나 제3자의 도움 또는 견제를 받는 경우에는, 체중을 측정하는 일이 어느 정도 강제된다. 그러므로, 혼자서 운동하는 사람에 비하여, 제3자의 견제를 받는 등 동기가 부여되는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체중을 측정하게 되고, 그 결과 운동의 효과가 배가된다. 하지만, 현대인이 바쁜 시간을 쪼개어 피트니스 센터에 등록하거나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은 매우 어렵다.
그러므로, 체중 측정에 대한 동기를 부여함으로써,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운동하고 체중을 측정하도록 유도하여, 운동 효과를 배가하고 체중 감량의 효과를 극대화함은 물론, 각종 성인병의 위험에서 벗어나도록 하기 위한 장치가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컴퓨터 등의 외부 장치에 연결되는 체중계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체중 정보를 측정하는 것은 물론, 여러 사람간의 경쟁을 유도함으로써 체중 측정의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 장치 연결용 체중계를 이용하여 측정된 체중 정보에 기반하여, 다수의 사용자의 목표치에 대한 달성률을 비교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지속적으로 운동하도록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감량 유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목적은, 체중계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체중 감량에 대한 동기를 부여함으로써, 사용자들의 건강을 증진할 수 있는 체중계가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들에게 적용되는 감량 목표치를 포함하는 콘테스트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 사용자들의 체중 정보를 측정하는 체중 측정 단계; 감량 목표치에 대한 사용자들의 달성률에 기반하여 결정된 순위를 포함하는 콘테스트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 며, 체중 정보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체중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외부 장치 연결용 체중계를 이용하여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한 감량 유도 방법은 체중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 처방, 영양 처방 및 필요한 조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건강 정보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건강 정보 제공 단계는, 사용자가 유아일 경우, 소정의 평균 유아 발육 정보 및 유아의 현재 체중에 기반하여 결정된 발육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최근 체중 정보에 기반하여 연산된 체중 예상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콘테스트 결과 제공 단계는, 감량 목표치에 대한 달성률에 기반하여, 소정 그룹에 속하는 구성원들 또는 구성원이 속한 그룹 간의 순위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감량 목표치는, 사용자의 현재 체중에 무관한 절대적 체중 감량치 및 사용자의 현재 체중에 대한 비율을 나타내는 상대적 체중 감량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면은 사용자의 체중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체중 정보를 중앙 처리부에 전송할 수 있는 외부 장치 연결용 체중계; 및 체중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 처방, 영양 처방 및 필요한 조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중앙 처리부를 포함하는 다자 참여 감량 유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감량 유도 시스템에 포함되는 중앙 처리부는, 사용자 입력부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등록하고, 복수의 사용자들에게 적용되는 감량 목표치를 포함하는 콘테스 트 환경을 설정하며, 감량 목표치에 대한 사용자들의 달성률에 기반하여 결정된 순위를 포함하는 콘테스트 결과를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감량 유도 시스템에 포함되는 중앙 처리부는, 감량 목표치에 대한 달성률에 기반하여, 소정 그룹에 속하는 구성원들 상호간에 가감되는 포인트를 제공하도록 더욱 구성되며, 감량 목표치는, 사용자의 현재 체중에 무관한 절대적 체중 감량치 및 사용자의 현재 체중에 대한 비율을 나타내는 상대적 체중 감량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중앙 처리부는,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들의 감량 목표치에 대한 달성률을 합산한 결과에 기반하여, 그룹들 상호간의 순위를 제공하도록 더욱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중앙 처리부는 사용자의 현재 체중 대신에 달성률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들에게 적용되는 감량 목표치를 포함하는 콘테스트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부; 사용자들의 체중 정보를 측정하는 체중 감지부; 및 감량 목표치에 대한 사용자들의 달성률에 기반하여 결정된 순위를 포함하는 콘테스트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중앙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계에 관한 것이다. 특히 중앙 처리부는, 감량 목표치에 대한 달성률에 기반하여, 소정 그룹에 속하는 구성원들 상호간에 가감되는 포인트를 제공하도록 더욱 구성되며, 상기 감량 목표치는, 사용자의 현재 체중에 무관한 절대적 체중 감량치 및 사용자의 현재 체중에 대한 비율을 나타내는 상대적 체중 감량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중앙 처리부는,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들의 감량 목표치에 대한 달성률을 합산한 결과에 기반하여, 그룹들 상호간의 순위를 제공하도록 더욱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사용자의 체중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 사용자 간의 콘테스트를 통하여 체중 측정을 지속적으로 유도하고, 운동 효과를 배가할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일면에 의한 다자 참여 감량 유도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콘테스트에 참여하기 위한 사용자가 등록된다(S110). 사용자는 자신의 아이디, 비밀번호, 신장, 목표 체중, 및 아이콘 등을 등록한다. 그러면,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적절한 운동 처방이 내려질 수 있다. 사용자를 등록하기에 필요한 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생년월일, 성별, 휴대전화 번호, 자주 사용하는 이메일 주소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등록되면, 다중 사용자 간에 콘테스트가 진행될 것인지 여부가 판단된다(S120). 만일 콘테스트가 진행되지 않는다면, 일반 체중계를 이용하는 것과 같은 체중 측정 및 신체 정보 제공 단계(S130, S140)가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감량 유도 방법에서는 컴퓨터 등의 외부 장치에 연결될 수 있는 체중계를 이용하여 체중을 측정한다. 외부 장치 연결용 체중계에 대해서는 도 8 및 도 9를 이용하여 상세히 후술된다.
사용자가 콘테스트를 수행한다면, 콘테스트 환경이 설정된다(S150). 콘테스트 환경이란 콘테스트에 참여하는 사용자들, 콘테스트에 참가하는 사용자의 절대적 및 상대적 체중 감량치 및 콘테스트 기간 등을 포함한다. 절대적 체중 감량치란 사용자의 현재 체중에 무관하게 설정된 절대치를 나타내며, 예를 들어 모든 사용자가 5kg 만큼 감량하기로 결정하는 경우 5kg이 절대적 감량치가 된다.
이에 반하여, 상대적 체중 감량치란 사용자의 현재 체중에 기반한 비율로서 정의된다. 예를 들어, 5%의 상대적 체중 감량치가 설정되면, 현재 체중이 80kg인 사람은 4kg을 감량해야 상대적 체중 감량치를 달성하게 되며, 현재 체중이 50kg인 사람은 2.5kg만을 감량하면 상대적 체중 감량치를 달성하게 된다. 상대적 체중 감량치는 사용자의 현재 체중을 고려함으로써 콘테스트가 보다 공정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콘테스트 환경이 설정되면, 사용자는 설정된 콘테스트 환경에 따라 체중 감량을 실시한다. 콘테스트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에 대해서는 도 5를 이용하여 상세히 후술된다.
콘테스트 환경이 설정되면, 사용자는 자신의 체중을 측정한다(S160). 측정된 체중은 누적 기록되어 사용자에게 체중 변화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체중이 측정되면, 현재까지의 콘테스트 결과가 사용자에게 제공된다(S170). 콘테스트 결과란 감량 목표치에 대한 현재까지의 달성률을 나타낸다. 콘테스트 결과는 사용자 개인에 대한 달성률을 포함할 수 있고, 현재까지의 사용자들의 순위 및 이에 대한 누적 결과를 포함할 수도 있다. 콘테스트 제공 단계에서 제공되는 콘테스트 결과에 대해서는 도 6 및 도 7을 이용하여 상세히 후술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감량 유도 방법을 이용하면, 사용자는 혼자 외로이 운동하고 그에 대한 체중 감량치를 측정하는 대신에, 다수의 사용자들 간에 경쟁을 통하여 체중 감량에 대한 동기를 부여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들이 가족 구성원이고, 모든 구성원들이 5%의 상대적 체중 감량치를 설정하였다고 가정한다. 또한, 콘테스트 기간은 4주라고 가정한다. 그러면, 가족 구성원들은 4주 후의 콘테스트 결과에 기반하여 가장 높은 달성률을 기록한 구성원에게 소정의 포상을 지급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콘테스트 기간이 진행되는 동안, 가족 구성원은 자신은 물론, 다른 구성원들의 달성률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현재까지의 자신의 순위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이에 기반하여 운동량을 늘릴 수 있다. 또한, 달성률이 저조한 가족에 대해서는 모두 사기를 북돋워 줌으로써 모든 구성원들의 체중 감량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들이 어느 비만 클리닉의 환자들이라고 가정하고, 병원 측에서 환자들이 체중 감량을 능동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콘테스트를 진행한다고 가정한다. 사용자들은 자신의 경쟁자의 달성률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콘테스트 기간 동안에 콘테스트에 더욱 열심히 참여하게 된다. 그 결과 혼자서 운동할 경우와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감량 효과가 증대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한 다자 참여 감량 유도 방법에 따른 콘테스트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콘테스트 모드가 그룹내 콘테스트 모드인지, 그룹간 콘테스트 모드인지가 결정된다(S210). 그룹내 콘테스트 모드(intra-group contest mode)란, 어느 그룹에 속하는 구성원들 간에 콘테스트가 진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에 대한 전술한 설명에서, 한 가족의 구성원들 간에 콘테스트가 진행되거나, 동일한 비만 클리닉의 환자들 간에 콘테스트가 진행되는 것이 그룹내 콘테스트 모드에 해당한다. 따라서, 그룹내 콘테스트 모드는 동일한 학급 내의 석차를 매기는 것에 상응한다. 이에 반하여, 그룹간 콘테스트 모드(inter-group contest mode)란, 각각 다수의 구성원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그룹들 간에 콘테스트가 수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학생들의 건강 증진을 위하여 고등학교 3학년 각 학급 간에 콘테스트를 진행할 경우 이는 그룹간 콘테스트 모드에 해당한다. 그룹간 콘테스트 모드는, 각각의 그룹에 속하는 구성원들 모두의 달성률을 합산하여, 그 결과에 기반하여 그룹들 간의 순위를 결정한다. 따라서, 그룹 구성원들 간의 결속력을 공고히 하는 것은 물론, 달성률이 저조한 구성원에 대해 서로 견제하고 자극을 줌으로써 운동 효과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그룹간 콘테스트 모드는 동일 학년 각 학급 의 석차를 매기는 것에 상응한다.
그룹간 콘테스트 모드가 설정되면, 모든 그룹들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절대적 체중 감량치 또는 상대적 체중 감량치가 설정된다(S520). 예를 들어, 어느 고등학교 3학년에 1반 내지 5반의 학급이 있을 경우, 1반 내지 5반 모두에 적용될 절대적 체중 감량치 또는 상대적 체중 감량치가 설정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5kg의 절대적 체중 감량치가 설정되었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그룹 구성원들 모두의 체중이 측정된다(S230). 측정된 체중을 통하여 각 구성원의 달성률이 연산되고, 연산된 구성원의 달성률을 그룹별로 합산함으로써 그룹 전체의 달성률을 연산한다. 그리고, 합산된 결과에 기반하여 각 학급들의 순위가 결정된다(S240). 각 학급의 순위는 모든 콘테스트가 진행되는 동안 수시로 변동될 수 있다. 따라서, 각 학급의 경쟁심이 더욱 고취되어 결과적으로 모든 구성원들의 체중 감량 동기가 부여된다.
그룹내 콘테스트 모드가 설정되면, 구성원에게 적용될 공통적인 절대적 체중 감량치 또는 상대적 체중 감량치가 설정된다(S250, S260).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3kg의 절대적 체중 감량치가 모든 구성원에게 주어진다면, 구성원의 현재 체중과 무관하게 모든 구성원은 3kg의 공통적인 감량 목표치를 가진다. 이 경우, 구성원의 체중이 측정되면(S270), 측정된 체중에 기반하여 구성원간 순위가 결정된다(S280). 이 경우, 체중이 많이 나가는 구성원이 체중이 적게 나가는 구성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절대적 체중 감량치를 달성하기가 유리할 것이다.
이와 같이 결정된 그룹내 콘테스트 결과 또는 그룹간 콘테스트 결과가 사용 자에게 제공된다(S290). 사용자는 제공된 콘테스트 결과를 참조함으로써 자신 또는 자신이 속한 그룹의 현재 순위를 확인할 수 있다. 순위는 누적적으로 제공됨으로써, 과거로부터 현재까지의 순위 변화량도 확인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한 다자 참여 감량 유도 방법에서 제공하는 건강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에게는 목표 체중, 현재 체중, 둘 간의 차이, 신장 및 BMI 등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측정을 개시하기 위한 아이콘도 제공된다. BMI(Body Mass Index)란 체질량지수라고 불리며, 체중을 신장의 제곱으로 나눈 것이다. 체지방지수는 체지방과 관련이 되며 상대적으로 신장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정상은 BMI=20.1-25이며, 과체중은 BMI가 25-29.9로 정의된다. 비만은 BMI가 30 이상인 것이며, 고도비만은 체질량지수가 40.1보다 클 때이다. 하지만,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동양인의 경우 서양인에 비하여 낮은 체지방지수에서도 유사한 성인병 유병률을 가지는 것이 밝혀졌으므로, 동양인에 대해서는 비만의 정의를 새로 정의하여, 남자의 경우 체지방지수가 22% 이상일 경우까지 비만으로 보기도 한다. 이와 같이, 비만에 대한 중요한 측정 인자로서 BMI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감량 유도 방법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장 및 사용자의 현재 체중을 이용하여 BMI를 연산하여 제공한다.
도 3b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건강 정보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3b에서는 사용자의 연령 및 신장에 따른 표준 체중, 최근 체중 변화량, 현재 BMI 등의 추 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측정된 체중 정보 및 BMI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를 수치화 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측정된 건강 상태를 몇 가지 기준에 의하여 분류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최근 체중 변화는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연산될 수 있다.
최근 체중 변화 = 현재측정체중치 - 최근과거측정체중치
또한, 도 3b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감량의 상대적인 양도 다음 수학식 2에 따른 방법으로 측정될 수 있다.
상대적 감량률 = (현재측정체중치 - 최근과거측정체중치)/(초기체중치 - 목표체중치)*100
이러한 최근 체중 변화 및 상대적 감량률은 각각 사용자가 최근 얼마나 열심히 노력하여 목표에 근접했는지를 수치적으로 알려준다.
도 3b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는 과대 저체중, 저체중, 표준 체형, 복부 비만, 과체중, 과다 비만 등의 6가지 범주로 구분되어 표시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명백하다. 복부 비만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가슴 둘레, 허리 둘레, 및 엉덩이 둘레 등의 추가적인 정보가 요구될 수도 있다.
또한, 현재 체중도 정상 체중 구간에서는 파란색, 저체중 및 과다 체중 구간에서는 빨간색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건강 상태에 대하여 더욱 직관적 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한 다자 참여 감량 유도 방법에서 제공하는 건강 정보 중 체중 예측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그래프에서, 사용자의 체중은 9월 1일 내지 11일 간에 2일 간격으로 측정된 것으로 도시된다. 측정된 체중은 서로 연결됨으로써, 사용자가 최근의 자신의 체중 변화량을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면에 다른 감량 유도 방법은, 사용자가 측정하지 못한 날짜의 정보를 소정의 통계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연산하거나, 사용자의 측정된 체중에 기반하여 앞으로의 예측치도 연산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9월7일에는 사용자가 체중을 측정하지 않았다. 사용자가 체중을 측정하지 않은 날도 그래프에 포함시킬 경우, 9.7일자에서 체중이 0으로 설정됨으로써 그래프가 왜곡될 수 있으며, 이는 가독성을 열화를 야기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감량 유도 방법은 누락된 날짜 전후의 값을 단순히 산술 평균하거나,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누락된 날짜의 체중을 연산하여 추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9월 11일의 체중은 예측치이다. 체중 예측치를 구하기 위하여 회귀 분석 등의 공지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다. 사용자는 자신의 운동 결과에 따른 장래 체중 예측치를 통하여 더욱 효과적인 운동 계획을 세울 수 있다. 체중 예측치 또는 누락된 체중을 대체하기 위하여 연산된 체중치는 측정된 체중치와 다른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4a에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체중 변화량만을 표시하였으나, BMI 및 신장 변화 등 더욱 상세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음도 물론이다. 또한, 도 4a에 도시된 그래프의 x축은 측정 빈도를 고려하여 가독성을 높이도록 신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9월 2일에도 사용자가 체중을 측정하였다면, 그래프의 9월 1일 및 9월 3일 사이에 9월 2일을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9월 1일 내지 9월 3일 사이에서는 x 축의 단위가 1일이지만, 9얼 3일 이후로는 x축의 단위가 2일로서 자동으로 변경될 수 있다. x 축의 단위가 체중 측정 빈도에 따라서 신축됨으로써, 사용자는 실제 날짜의 경과에 따른 체중 변화를 더욱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한 다자 참여 감량 유도 방법에서 제공하는 유아 발육 곡선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사용자가 유아일 경우, 유아의 초기 발육 상태에 대한 정보는 부모에게 있어 너무나 소중한 정보이다. 또한, 부모는 자신의 아이가 정상적으로 성장하고 있는지 많은 의문을 갖게 된다. 그러므로, 유아의 평균 발육 정보를 더 제공함으로써, 부모가 자신의 아이의 발육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4b에서, 그래프는 3 개의 선분을 포함한다. 유아의 초기 발육 상태는 유아의 출생시 체중에 밀접하게 관련된다. 그러므로, 그래프 I은 출생시 체중이 2.8kg이었던 유아의 평균 발육 곡선을 나타내고, 그래프 II는 출생시 체중이 3.4kg이었던 유아의 평균 발육 곡선을 나타내며, 그래프 III은 출생시 체중이 4.0kg이었던 유아의 평균 발육 곡선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세분화된 평균 발육 곡선을 통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아이의 발육 상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도 4a에서와 같이, 체중 뿐만 아니라, 유아의 신장에 대한 평균 발육 곡선이 더 제공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유아의 출생시 체중에 해당하는 정확한 평균 발육 곡선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출생시 체중에 해당되는 평균 발육 곡선이 없을 경우, 전술된 바와 같은 통계학적인 방법을 통하여 요구되는 평균 발육 곡선을 연산할 수도 있다. 체중의 측정 후 나오는 추가정보로 유아나 어린이의 경우에는 생후 개월 수에 따른 발육에 관련된 정보, 예를 들어 옹알이를 한다든가, 말을 하기 시작한다든가 등의 유아들에게서 평균적으로 보이는 성장발육의 징후들이나 백신이나 예방주사의 접종에 대한 정보들도 제공한다. 임산부들의 경우에는 태아가 발로 찬다든가 하는 태아의 발육에 따른 신체의 변화나 징후들과 출산의 시기를 예측하여 알려준다. 어떤 증상이 나타나면 병원에 가야한다는 등 출산에 필요한 기본 정보들도 알려준다. 임신을 원하거나 원하지 않는 사용자들에게는 배란기 혹은 생리에 대한 정보들을 자세히 알려주어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한 다자 참여 감량 유도 방법에서 설정된 콘테스트 환경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콘테스트 환경은 그룹 ID, 그룹 비밀번호, 구성원 ID, 콘테스트 모드, 및 콘테스트 기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룹 ID 및 그룹 비밀 번호는 해당 그룹의 구성원들 간에만 공유된다. 구성원은 자신이 속한 그룹의 ID 및 비밀번호를 입력함으로써, 그룹 전체의 목표 달성률은 물론, 구성원 각자의 목표 달성률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구성원 별 달성률은 구성원의 현재 체중 자체를 나타내는 대신 에, 각 구성원의 목표 달성률 만을 표시함으로써 각 구성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그룹에 속한 구성원들이라 하여도, 각 구성원들은 자신의 현재 체중을 밝히기를 꺼릴 수가 있다. 따라서, 구성원 각자의 체중이 직접 제공된다면 해당하는 구성원은 다시는 콘테스트에 참여하지 않으려 할 것이다. 따라서, 각 구성원 각각의 달성률 만을 표시함으로써 프라이버시를 보호한 채 콘테스트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콘테스트 환경에서, 사용자는 콘테스트 모드가 그룹간 콘테스트 모드인지, 그룹내 콘테스트 모드인지 선택할 수 있으며, 또한, 절대적 체중 감량치를 이용하여 콘테스트를 수행할 것인지, 상대적 체중 감량치를 이용하여 콘테스트를 수행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한 다자 참여 감량 유도 방법에서 제공하는 콘테스트 결과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테스트가 시작되어 경과된 기간을 표시하고, 그룹 구성원 정보가 표시된다. 도 6에서, 그룹에는 이충녕, 이양녕, 이효령 3인의 구성원이 있으며, 이 중 이효령이라는 구성원이 최근 측정치에 비해 200g 감량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절대적 체중 감량치에는 2.5kg만큼 아직 체중이 더 크며, 상대 목표 달성률은 6%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콘테스트 결과에는 현재까지 콘테스트 진행 정도에 따른 구성원들의 순위도 나타난다. 도 6에 도시된 콘테스트 결과는 그룹내 콘테스트 모드에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동일한 그룹에 속한 구성원들 간에 순위가 제공된다. 만일, 콘테스트 모드가 그룹간 콘테스트 모드일 경우에는, 모든 구성원들의 달성률을 합산한 결과에 기반하여, 다수의 그룹들 간의 순위가 제공될 수 있다. 즉, 그룹들 간의 순위는 그룹 구성원들의 절대적 달성률의 합을 나타내는 절대적 그룹 달성률 또는 상대적 달성률의 합을 나타내는 상대적 그룹 달성률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절대적 그룹 달성률은 수학식 3에 의하여 연산될 수 있고, 상대적 그룹 달성률은 수학식 4에 의하여 연산될 수 있다.
절대적 그룹 달성률 = 초기 체중의 합 - 현재 체중의 합
상대적 그룹 달성률 = 감량한 체중의 합/(초기 체중의 합 - 현재 체중의 합)*100
또한, 콘테스트 결과에는 동기 포인트(Motive Point), 인센티브 포인트(Point), 영예 포인트(Honor Point) 등의 포인트가 포함될 수 있다. 포인트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콘테스트에 참가하면 한 번의 측정경기 때마다 기본적으로 주최 측으로부터 일정 포인트가 주어진다. 콘테스트에 참가하지 않는 사람은 이러한 기본 포인트가 주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일정 포인트를 동기 포인트(Motive Point)라 하고, 동기 포인트는 참여자가 자주 체중 측정에 참여하도록 독려한다.
한 번의 콘테스트에서 달성률이 1위인 사람은 자신을 제외한 모든 참가자들로부터 일정 포인트씩을 받는다. 감량이 2위인 사람은 1위인 사람에게 일정 포인트를 주고, 자신을 제외한 다른 사람들에게서 일정 포인트씩을 받는다. 즉, 감량 이 이루어진 사람은 자신보다 감량이 작은 사람들로부터 일정 포인트를 받는다. 이 일정 포인트를 인센티브 포인트(Incentive Point)라 한다. 감량이 이루어지지 않는 사람은 다른 사람에게서 포인트를 받을 수 없다. 한 번의 콘테스트마다 각 개인에게서 받을 수 있는 포인트의 양은 감량의 양에 따라 조정되거나 순위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즉, 감량 100g당 1 포인트씩 주거나, 순위 1위에게는 3포인트를, 2위에게는 2포인트를, 3위에게는 1포인트를 주게 할 수도 있다. 콘테스트 1회 동안에 감량자가 없을 때에는 다음에 주는 포인트의 개수는 2배로 늘고, 연속2회 동안에 없을 때에는 4배로 늘게 하여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참가자 중에서 측정에 자주 참여하지 않는 사람의 경우에는 동기 포인트가 적기 때문에, 인센티브 포인트를 빼앗기게 되면 마이너스 포인트가 될 수도 있다.
콘테스트에 참가하고, 해당 경기에서 목표한 적정 체중을 유지하고 있는 사람의 경우에는 매번 일정 포인트를 주최측이나 체중을 감량하지 못하는 사람으로부터 받는다. 이 일정 포인트를 영예 포인트(Honor Point)라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구성원 이효령은 동기 포인트로 55점을, 인센티브 포인트로는 60점을, 영예 포인트로는 0점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라 동기 포인트는 자주 측정에 참가함으로써 증가시킬 수 있다. 만일, 기본 동기 포인트가 50점이고, 한번 측정시 5점의 동기 포인트가 부여된다면, 이효령은 5번 체중 측정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인센티브 포인트는 구성원 이효령 및 다른 구성원인 이충녕 및 이양녕간의 달성률에 따라서 주어진다. 도 6에는 인센티브 포인트가 동기 포인트와 별도 로 관리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인센티브 포인트는 동기 포인트로부터 가감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영예 포인트는 0점인데, 그 이유는 아직 이효령이 목표로한 체중에 도달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포인트를 제공하면, 구성원들간에 단순한 순위를 제공하는 경우와는 달리, 구성원이 콘테스트에 참여하고자 하는 욕구가 더욱 증대될 수 있으며, 흥미가 배가될 수 있다.
구성원은 도 6에 도시된 콘테스트 결과를 통하여 자신의 개인별 달성량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순위를 직접 확인할 수 있고, 따라서 추가적인 체중 감량에 대한 강한 동기를 부여받을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콘테스트 결과의 다른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콘테스트 결과는 도 6에 도시된 콘테스트 결과와는 달리 콘테스트가 진행되는 정도에 따른 구성원들 간의 순위의 변동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구성원들은 마치 경마 경기를 즐기는 것과 같이, 자신의 달성률을 높이기 위한 흥미를 가지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콘테스트 결과와 마찬가지로, 콘테스트 모드가 그룹간 콘테스트 모드일 경우에는, 각 구성원의 순위가 아닌 그룹들 간의 순위가 도시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면에 의한 다자 참여 감량 유도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감량 유도 시스템(800)은 입력부(810), 외부 장치 연결용 체중계(830), 중앙 처리부(850) 및 출력부(890)를 포함한다.
외부 장치 연결용 체중계(830)는 사용자의 체중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체중 정보를 중앙 처리부(850)로 전송한다. 중앙 처리부(850)는 외부 장치 연결용 체중계(830)로부터 수신된 체중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는 물론,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 처방, 영양 처방 및 필요한 조언들을 제공할 수 있다. 입력부(810)는 사용자를 등록하고, 콘테스트 환경을 설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운동 처방이란 개인의 건강과 체력 수준과 같은 신체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개인에게 적합한 운동의 종류와 강도, 시간, 및 빈도 등을 결정하여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또한, 운동의 진행 단계에 따라 운동의 질과 양을 적절히 조절해 주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건강 증진 활동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운동 처방은 의학적 전문지식을 가지고 운동 과학적 토대 위에서 체계적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신체 질량 지수를 토대로 사용자가 비만인 것으로 판정되면, 중앙 처리부(850)는 사용자에게 낮은 강도의 걷기 운동을 장시간 동안 수행하도록 하는 운동 처방을 제공한다. 반면에, 사용자가 저체중인 것으로 판정되면, 외부 장치(190)는 사용자에게 상대적으로 고강도의 운동을 수행하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중앙 처리부(850)는 사용자가 단순히 저강도 운동을 지속하는 것 보다는 저강도 운동 및 고강도 운동을 사용자의 신체 정보에 기반하여 적절히 혼합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사용자에게 체중 감량의 동기를 부여하기 위하여, 중앙 처리부(850)는 감량 목표치에 대한 사용자들의 달성률에 기반하여 사용자들의 순위를 결정하고, 콘테스트 결과를 출력부(890)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출력부(890)는 디스플레 이 장치이거나 프린터 등의 출력 장치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중앙 처리부(850)는 사용자가 유아일 경우, 평균 유아 발육 곡선을 참조하여 유아의 현재 체중에 기반하여 발육 상태 정보를 결정하거나, 사용자의 최근 체중 정보에 기반하여 체중 예상치를 연산할 수도 있다. 콘테스트 결과를 생성하기 위하여, 콘테스트 모드가 그룹내 콘테스트 모드인지 그룹간 콘테스트 모드인지에 따라서 중앙 처리부(850)가 구성원 간 순위를 결정하거나 그룹간 순위를 결정하는 것은 전술된 바와 같다. 뿐만 아니라, 중앙 처리부(850)는 콘테스트 결과를 생성할 때, 사용자의 현재 체중 대신에 달성률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에 도시된 외부 장치 연결용 체중계(830)는 중앙 처리부(850)를 포함하는 다양한 전자 장치(87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 연결용 체중계(830) 및 전자 장치(870)는 소규모 네트워크(860)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네트워크(860)는 인터넷과 같은 광역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도 8에서, 외부 장치(870)는 개인용 컴퓨터(PC)일 수 있다. 외부 장치 연결용 체중계(830)에서 사용자의 체중 정보가 측정되면, 측정된 체중 정보는 컴퓨터(870)로 전송된다. 컴퓨터(870)는 측정된 체중 정보 및 사용자의 신체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운동 처방을 제공한다. 또한, 컴퓨터(870)는 사용자의 체중 정보의 이력을 저장함으로써 체계적인 체중 관리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고, 인터넷을 통하여 병원 등의 전문 기관에 접속함으로써 제공되는 운동 처방의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컴퓨터(870)에 다양한 신체 정보 측정 장치들(미도 시)이 연결되어 제공되는 운동 처방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에서, 네트워크(860)는 가정용 전자 장치들을 통합 제어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인텔사가 디지털 홈으로 불리는 홈 네트워크 시장을 겨냥하여 발표한 플랫폼인 바이브(TM)(viiv) 기술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860)를 구성할 수 있다. 바이브 기술을 이용하면 컴퓨터(870)는 음향 영상 기기와 유사한 외형으로 거실에 위치되게 되고, 거실의 대화면 텔레비전이 컴퓨터(870)에 연결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인터넷 등에서 획득할 수 있는 다양한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들을 텔레비전 등을 통해 즐길 수 있다. 전자 장치들을 홈 네트워크(860)를 통해 상호 연결하면, 사용자는 외부 장치 연결용 체중계(830)에 의하여 측정된 체중 정보를 거실의 대화면 텔레비전을 통해 확인하면서 바람직한 운동 처방을 제공받을 수 있다. 운동 처방은 사용자가 구비하고 있는 운동 장치(미도시)에 특화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러닝 머신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 운동 처방은 러닝 머신의 운동 강도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러 명의 사용자들도 간단한 자기 식별 절차를 통하여 단일 컴퓨터(870)를 이용하여 각자에 적합한 운동 처방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는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IPTV(Internet Protocol TV)일 수 있다. 그러면, 외부 장치 연결용 체중계(830)에서 측정된 체중은 IPTV에 의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건강 관리 웹 사이트에 전달될 수 있다.
도 9는 체중 정보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위부 장치 연결용 체중계의 블록도이다.
도 9에 도시된 체중계(900)는 체중 감지부(910), 음성 출력부(920), 디스플레이부(930), 인터페이스부(940), 제어부(950), 사용자 조작부(960), 메모리부(970), 및 RFID 태그(980)를 포함한다.
체중 감지부(910)는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한다. 체중 감지부(910)는 로드 셀(load cell)을 이용하여 체중을 측정하거나, 감압 저항체 소자(FSR, Force Sensing Resistor)를 이용하여 체중을 측정한다. 감압 저항체 소자는 센서 표면에 힘을 증가 시킬 때 감소하는 저항이 발생하는 중합체의 필름(Polymer Film)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감압 저항체 소자는 전도성 고무와 비교해 볼 때 전기적 이력 현상이 거의 없고 가격이 저가라는 장점을 가지며, 압전 필름(Piezo Film)과 비교해 보면 감압 저항체 소자가 진동과 열에 훨씬 더 견실하기 때문에, 감압 저항체 소자는 의공학 및 로보틱스 등의 다양한 분야에 이용된다.
체중 감지부(910)에서 측정된 체중은 제어부(950)로 전달되고, 제어부는 이를 외부 장치와의 통신에 이용되는 통신 규격에 맞춰 변환한 후 인터페이스부(940)를 통하여 전송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940)는 범용 직렬 버스(USB, Universal Serial Bus)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USB 통신 방식이란 컴퓨터가 주변기기와 통신을 할 때 사용하는 통신 방식의 하나로서, 데이터 통신의 호스트 부분 및 슬레이브 부분으로 구성된다. 호스트는 슬레이브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읽고 해독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슬레이브는 호스트의 명령과 제어에 따라 통신을 수행한다. 또는, 인터페이스부(940)는 IEEE 1394, 블루투스(Bluetooth), 병렬 통신,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 통 신 및 적외선 통신 등의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체중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다. IEEE 1394 역시 컴퓨터가 외부 장치와 함께 통신하는 방식의 하나이다. IEEE 1394는 전송속도가 400Mbps까지 매우 빠르기 때문에 신속히 데이터를 통신하는데 적합하다. 블루투스(Bluetooth)는 블루투스는 가정이나 사무실 내에 있는 컴퓨터, 프린터, 휴대폰, PDA 등 정보통신기기는 물론 각종 디지털 가전제품을 물리적인 케이블접속 없이 무선으로 연결해 주는 근거리 무선접속 기술이다. 블루투스는 가우시안 주파수 천이 키잉(Gaussian Frequency Shift Keying, GFSK)을 이용하며, 주파수 호핑 등을 제공한다. 인터페이스부(940)는 전술된 바와 같은 다양한 통신 방법을 통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으나, 무선 통신 기법을 이용하여 통신할 경우 별도의 케이블이 없이 외부 장치 및 체중계의 이동성을 보장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부(930)는 체중 감지부(910)에서 측정된 체중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체중 정보는 인터페이스부(940)를 통하여 외부 장치로 전송된 후 외부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으나, 체중계 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930)를 통하여 직접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체중계가 디스플레이부(930)를 구비할 경우, 외부 장치와 체중계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사용자 조작부(960)는 사용자를 식별하거나, 사용자의 체중 등의 신체 정보를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체중계가 가정용 홈 네트워크에서 사용될 경우, 가족 구성원들을 간단한 버튼을 이용하여 식별할 수 있다. 사용자 조작부(960)를 통 하여, 여러 명의 사용자들의 체중이 체계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메모리부(970)는 체중 감지부(910)에서 측정된 체중 정보를 저장한다. 도 9에 도시된 체중계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사용될 수도 있고, 외부 장치와 독립적으로(stand-alone)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매번 자신의 체중을 측정하기 위하여 컴퓨터 등의 외부 장치를 켜야 한다면 이는 매우 불편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언제든지 자신이 원할 때마다 체중계에서 자신의 체중을 측정할 수 있다. 측정된 체중은 디스플레이부(930)에 디스플레이되며, 사용자 조작부(960)에 의하여 식별된 사용자의 체중은 메모리부(970)에 저장된다. 제어부(950)는 식별된 사용자의 체중 변화 그래프를 작성하여 간단히 디스플레이부(930)에 표시할 수도 있다. 또는, 제어부(950)는 추후에 체중계가 컴퓨터 등에 연결될 경우, 그동안 측정된 사용자의 체중 정보를 한꺼번에 컴퓨터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체중계가 컴퓨터에 연결되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일반 체중계와 같이 자신의 체중 정보를 늘 측정할 수 있으며, 체중계가 컴퓨터에 연결되지 않은 동안에 측정된 체중 정보는 추후에 한꺼번에 업로드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RFID 태그(980)는 외부 장치에 구비된 RFID 리더(미도시)를 통하여 독출되는 체중계의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 전파식별(RFID) 기술이란, 각종 물품에 소형 칩을 부착해 사물의 정보와 주변 환경 정보를 무선 주파수로 전송 및 처리하는 비접촉식 인식 시스템을 나타낸다. 이러한 전파식별(RFID) 시스템은 전용 근거리 통신(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DSRC) 또는 무선 식별 시스템이라 고 불린다. 전파식별(RFID) 시스템은 독출 기능을 가지는 리더기 및 고유 정보를 내장한 전파식별(RFID) 태그, 운용 소프트웨어, 및 네트워크로 구성된다. 전파식별(RFID) 시스템은 사물에 부착된 얇은 평면 형태의 태그를 식별함으로써 정보를 처리한다. 전파식별(RFID) 태그는 반도체로 제작된 트랜스폰더 칩과 안테나로 구성되며, 수동식과 능동식이 있다. 수동식이 내부 전원 없이 판독기의 전파신호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아 동작하는 데 비해 능동식에는 스스로 작동하기 위해 전지가 내장되어 있다. 전파식별(RFID) 기술을 이용하면, 정보를 독출하기 위하여 바코드처럼 직접 접촉하거나 가시대역 안에서 스캐닝할 필요가 없다. 저주파 전파식별 시스템(90KHz-500KHz)은 1.8m 이하의 짧은 거리에서 사용되며, 고주파 시스템(850MHz-950MHz 또는 2.4GHz~2.5GHz)은 27m 이상의 먼 거리에서 전송이 가능하다. RFID 태그(980)를 이용하면, 외부 장치가 별도의 조작없이 체중계를 직접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체중계는 사람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 정보를 독출하는 RFID 리더(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별로 RFID 카드를 이용하면 여러 사용자들이 하나의 체중계를 이용할 경우 매번 자신을 인식시켜야 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가정의 각 구성원 또는 피트니스 센터의 각 이용자는 각자 고유의 RFID 카드를 소지한 채로 체중계에 접근한다. 그러면 RFID 리더(미도시)가 사용자가 소지한 RFID 카드로부터 사용자의 인식 정보를 독출한다. 체중계는 독출된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자동으로 식별하여 사용자 별 체중을 측정한다. 측정된 사용자별 체중 정보가 메모리부(970)에 저장되었다가 추후에 체중계가 외부 장치에 연결될 경우 업로드될 수 있음은 전술된 바와 같다.
음성 출력부(920)는 측정된 체중 정보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된 운동 처방 등을 음성신호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의한 체중계는 체중 정보를 이용하여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체중 감지부(910)는 체중 뿐 아니라, 부위별 체지방율과 근육 정보까지도 측정할 수 있다. 부위별 체지방율은 낮고, 근육량은 증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중 감지부(910)에서 측정된 부위별 체지방률 및 근육량은 중앙 처리부(950)로 제공되고, 중앙 처리부는(850, 950)는 체중 정보, 부위별 체지방률 및 근육량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최적의 운동 처방을 내릴 수 있다. 또한, 체중계(800, 900)에는 혈압계나 혈당계가 연결되어, 혈압 및 혈당 정보를 중앙 처리부(850, 95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제공되는 정보의 양이 늘어날수록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정밀하게 진단하고, 최적의 운동 처방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컴퓨터 등의 외부 장치에 연결되는 체중계를 이용하여 용 이하게 체중 정보를 측정하는 것은 물론, 여러 사람간의 경쟁을 유도함으로써 체중 측정의 동기를 강력하게 부여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외부 장치 연결용 체중계를 이용하여 측정된 체중 정보에 기반하여, 다수의 사용자의 목표치에 대한 달성률에 따른 순위 또는 포인트를 제공함으로써, 콘테스트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지속적으로 운동하도록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감량 유도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체중계를 사용하는 사람들 간의 경쟁심을 이용하여, 사용자들에게 체중 감량에 대한 동기를 부여함으로써, 사용자들의 건강을 증진할 수 있는 체중계가 제공된다.

Claims (15)

  1. 외부 장치 연결용 체중계로부터 적어도 두 명 이상의 사용자들의 체중 정보를 수신하는 입출력부 및 체중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들 간의 순위를 결정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감량 유도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는 다자 참여 감량 유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부가 그룹간 콘테스트 모드 및 그룹내 콘테스트 모드 중 하나를 나타내는 콘테스트 모드, 콘테스트 기간, 감량 목표치 및 포인트를 포함하는 콘테스트 환경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부가 감량 목표치에 대한 상기 사용자들의 달성률 및 상기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콘테스트 기간 이후에 상기 콘테스트 모드에 따라 그룹내 순위 그룹간 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콘테스트 결과를 제공하는 콘테스트 결과 제공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감량 목표치는, 사용자의 현재 체중과 무관한 절대적 체중 감량치 및 상기 사용자의 현재 체중에 대한 비율로서 표시되는 상대적 체중 감량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포인트는 상기 사용자의 참여도 및 상기 달성률에 상응하여, 상기 콘테스트 모드에 따라 그룹내의 사용자들 간에 또는 그룹 간에 상호 가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장치 연결용 체중계를 이용한 다자 참여 감량 유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테스트 결과 제공 단계는,
    그룹내 콘테스트 모드일 경우, 상기 처리부가 동일한 그룹에 속한 사용자들의 상기 달성률 및 상기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그룹내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그룹간 콘테스트 모드일 경우, 상기 처리부가 동일한 그룹에 속한 사용자들의 상기 달성률 및 상기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합산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그룹간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장치 연결용 체중계를 이용한 다자 참여 감량 유도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테스트 결과 제공 단계 이후에,
    상기 처리부가 상기 체중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 상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 처방, 영양 처방 및 필요한 조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건강 정보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장치 연결용 체중계를 이용한 다자 참여 감량 유도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테스트 결과 제공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유아일 경우, 상기 처리부가 소정의 평균 유아 발육 정보 및 상기 유아의 현재 체중에 기반하여 결정된 발육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장치 연결용 체중계를 이용한 다자 참여 감량 유도 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테스트 결과 제공 단계는,
    상기 처리부가 상기 사용자의 현재 체중 대신에 달성률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장치 연결용 체중계를 이용한 다자 참여 감량 유도 방법.
  8.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체중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체중 정보를 중앙 처리부에 전송할 수 있는 외부 장치 연결용 체중계;
    그룹간 콘테스트 모드 및 그룹내 콘테스트 모드 중 하나를 나타내는 콘테스트 모드, 콘테스트 기간, 감량 목표치 및 포인트를 포함하는 콘테스트 환경을 수신하는 입출력부; 및
    상기 체중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 상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 처방, 영양 처방 및 필요한 조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중앙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감량 목표치에 대한 상기 사용자들의 달성률 및 상기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콘테스트 기간 이후에 상기 콘테스트 모드에 따라 그룹내 순위 그룹간 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콘테스트 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감량 목표치는, 사용자의 현재 체중과 무관한 절대적 체중 감량치 및 상기 사용자의 현재 체중에 대한 비율로서 표시되는 상대적 체중 감량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포인트는 상기 사용자의 참여도 및 상기 달성률에 상응하여, 상기 콘테스트 모드에 따라 그룹내의 사용자들 간에 또는 그룹 간에 상호 가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장치 연결용 체중계를 이용한 다자 참여 감량 유도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부는,
    그룹내 콘테스트 모드일 경우, 동일한 그룹에 속한 사용자들의 상기 달성률 및 상기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그룹내 순위를 결정하고,
    그룹간 콘테스트 모드일 경우, 동일한 그룹에 속한 사용자들의 상기 달성률 및 상기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합산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그룹간 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장치 연결용 체중계를 이용한 다자 참여 감량 유도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가 유아일 경우, 평균 유아 발육 정보 및 상기 유아의 현재 체중에 기반하여 결정된 발육 상태 정보를 더욱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장치 연결용 체중계를 이용한 다자 참여 감량 유도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체중 대신에 달성률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장치 연결용 체중계를 이용한 다자 참여 감량 유도 시스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060103147A 2006-10-23 2006-10-23 외부 장치 연결용 체중계를 이용한 다자 참여 감량 유도 방법 및 시스템 KR100899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3147A KR100899041B1 (ko) 2006-10-23 2006-10-23 외부 장치 연결용 체중계를 이용한 다자 참여 감량 유도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3147A KR100899041B1 (ko) 2006-10-23 2006-10-23 외부 장치 연결용 체중계를 이용한 다자 참여 감량 유도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6484A KR20080036484A (ko) 2008-04-28
KR100899041B1 true KR100899041B1 (ko) 2009-05-21

Family

ID=39574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3147A KR100899041B1 (ko) 2006-10-23 2006-10-23 외부 장치 연결용 체중계를 이용한 다자 참여 감량 유도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90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53090B2 (en) 2016-12-19 2021-10-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body information by electronic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3795B1 (ko) * 2018-01-24 2019-06-27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체중 측정 및 경쟁심리를 이용한 체중 관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7987A (ko) * 2000-06-12 2001-02-05 홍순성 인터넷 망을 통해 전송되는 다이어트 정보를 출력하기위한 디지털 체중계 장치를 구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69977A (ko) * 2001-05-23 2001-07-25 서민정 지능형 무선 다이어트 단말기 및 시스템
KR100408989B1 (en) * 2002-10-08 2003-12-11 Robopia Co Ltd Running machine and opera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060053032A (ko) * 2004-11-13 2006-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룹 구성을 통한 목표달성 관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7987A (ko) * 2000-06-12 2001-02-05 홍순성 인터넷 망을 통해 전송되는 다이어트 정보를 출력하기위한 디지털 체중계 장치를 구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69977A (ko) * 2001-05-23 2001-07-25 서민정 지능형 무선 다이어트 단말기 및 시스템
KR100408989B1 (en) * 2002-10-08 2003-12-11 Robopia Co Ltd Running machine and opera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060053032A (ko) * 2004-11-13 2006-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룹 구성을 통한 목표달성 관리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53090B2 (en) 2016-12-19 2021-10-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body information by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6484A (ko) 2008-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6165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health monitoring using behavioral,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nges of a body portion
Mohammed et al. Systems and WBANs for controlling obesity
KR102116968B1 (ko) Ai 기반의 스마트 코칭 방법
JP6273364B2 (ja) エネルギー消費装置
JP6210997B2 (ja) トレーニングプログラムを含む、自動化個人トレーニング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CA2757599C (en) Feedback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diagnostic and/or treatment signals to enhance obesity treatments
ES2430549T3 (es) Sistema para supervisar la salud, el bienestar y la forma física
US20140135592A1 (en) Health band
WO2017118908A1 (en) Balance testing and training system and method
JP2016073789A (ja) トレーニングプログラムを含む、自動化個人トレーニング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EP3036694A1 (en) Sessions and groups
CN105706095B (zh) 运动活动会话和群组
US20140005575A1 (en) Activity meter
KR20020061744A (ko) 네트워크 게임방법 및 그 시스템
US20140324443A1 (en) Health Scoring Systems and Methods
JPH09103413A (ja) 健康管理支援装置
JP4068965B2 (ja) 運動支援装置及び方法
KR100899041B1 (ko) 외부 장치 연결용 체중계를 이용한 다자 참여 감량 유도 방법 및 시스템
JP2010264088A (ja) 健康増進プログラム
KR20050112217A (ko) 회원의 신체상태에 적합한 헬스클럽의 운동관리 시스템 및방법, 이 시스템에 사용되는 운동방법 관리장치
KR20100052951A (ko) 일체형 헬스케어 장치
US20130328695A1 (en) Activity meter
JP2004180939A (ja) 身体指標出力装置
KR20100001681A (ko) 다이어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80810A (ko) 개인 맞춤형 칼로리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