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8923B1 - Multimedia message recording method for hand-held terminal - Google Patents

Multimedia message recording method for hand-held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8923B1
KR100898923B1 KR1020020028750A KR20020028750A KR100898923B1 KR 100898923 B1 KR100898923 B1 KR 100898923B1 KR 1020020028750 A KR1020020028750 A KR 1020020028750A KR 20020028750 A KR20020028750 A KR 20020028750A KR 100898923 B1 KR100898923 B1 KR 100898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data
video
recording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87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90445A (en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8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8923B1/en
Publication of KR20030090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04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8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89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 H04M1/656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5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 H04M1/576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associated with a pictorial or graphical repres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50Telephonic communication in combination with video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logging of communication history, e.g. outgoing or incoming calls, missed calls, messages or UR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통화 기록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멀티미디어 기반의 통화 내용(비디오/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 중 하나)을 선택적으로 기록함으로써 보다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구매욕을 향상시키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의 본 발명은 통화 이전 또는 통화 도중 또는 통화 종료 후 기록 모드가 설정되었는지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에서 통화 이전 및 통화 도중에 기록 모드가 설정되었다면 현재 통화중인 통화 데이터(영상+음성)을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기록하는 제2 단계와, 상기에서 통화 종료 후 기록 모드가 설정되었다면 직전 통화시 저장된 통화 데이터(영상+음성)를 재생하면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기록하는 제3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cording a multimedia call of a portable terminal, and in particular, to provide a more convenient function by selectively recording the multimedia-based call content (one of the video / audio data, video data or audio data)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s The purpose is to improve the user's desire to buy.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is a first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recording mode is set before, during, or after a call, and if the recording mode is set before and during the call, the current call data (video + audio) A second step of selectively recording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and a third step of selectively recording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while playing the stored call data (video + audio) during the last call if the recording mode is set after the call is terminated Characterized in that made.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통화 기록 방법{MULTIMEDIA MESSAGE RECORDING METHOD FOR HAND-HELD TERMINAL}MULTIMEDIA MESSAGE RECORDING METHOD FOR HAND-HELD TERMINAL}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한 멀티미디어 통화 녹화 장치의 블록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media call recording apparatus fo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통화 녹화 과정을 보인 동작 순서도. Figure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multimedia call record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변복조기 120 : 신호 합성/분리부 110: modulator 120: signal synthesis / separation unit

130 : 버퍼 140 : 비디오 코덱130: buffer 140: video codec

150 : 오디오 코덱 160 : 정보데이터 처리부 150: audio codec 160: information data processing unit

170 : 기록부 170: register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멀티미디어 통화 기록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media call recording method.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단말기들은 대부분 사용자가 원하는 내용을 녹음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Currently, most commercially available terminals have a function of recording a desired content.

이 기능을 이용하면 사용자는 메모를 필요로 하는 내용이나 간직하고자 하는 통화 내용을 녹음할 수 있다. This feature allows the user to record notes that require notes or calls that they want to keep.

이를 위한 종래 기술은 1998년 실용신안등록출원 26785호에 제시되어 있다. The prior art for this is presented in 1998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26785.

이러한 종래 기술은 최근 일정 시간(예:15초) 동안의 통화 내용을 녹음하기 위하여 기존의 단말기에 자동 녹음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녹음 키를 구비하고 최근 일정 시간의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자료구조인 Circular Queue를 기존의 단말기에서 주로 SRAM으로 사용하는 램(RAM)에 삽입하여 구성한다.This conventional technology is provided with a recording key for implementing an automatic recording function in an existing terminal to record the contents of a call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15 seconds), and is a data structure for storing voice data of a predetermined time. Circular Queue is inserted into RAM that is mainly used as SRAM in existing terminals.

이러한 종래 기술의 구성을 보면, 자동 녹음 입력은 자동 녹음 기능의 온/오프(On/Off)와 자동 녹음 시간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입력 수단으로 기존 단말기의 메뉴(menu)에 항목을 추가함으로써 구현하고 있다.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ior art, the automatic recording input is implemented by adding an item to the menu of the existing terminal as an input means by which the user can set the on / off and automatic recording time of the automatic recording function. Doing.

그러나, 현재 단말기의 성능이 향상되면서 동영상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가 제공될 것이다. However, as the performance of the current terminal is improved, a call service using video will be provided.                         

이에 따라, 앞으로 화상 통화가 폭넓게 사용될 것이므로 동영상에 대한 저장이 필수적이고 더 나아가 일시 저장된 동영상 통화 내용을 선택적으로 녹화하여 단말기 내부에 보관하기 위한 보다 향상된 기술을 필요로 할 것이다. Accordingly, since a video call will be widely used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store a video, and further, an advanced technology for selectively recording a temporarily stored video call content and storing it in a terminal will be requir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멀티미디어 기반의 통화 내용(비디오/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 중 하나)을 선택적으로 기록함으로써 보다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구매욕을 향상시키도록 창안한 휴대용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통화 기록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re convenient function by selectively recording the contents of the call based on the multimedia (one of the video / audio data, video data or audio data)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s in order to meet the above requirements, the user's desire to purchas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media call recording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which is invent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통화 이전 또는 통화 도중 또는 통화 종료 후 기록 모드가 설정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통화 이전 및 통화 도중에 기록 모드가 설정되었다면 현재 통화중인 통화 데이터(영상+음성)를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통화 종료 후 기록 모드가 설정되었다면 직전 통화시 저장된 통화 데이터(영상+음성)를 재생하면서 기록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rmine whether the recording mode is set before, during, or after the call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d if the recording mode is set before and during the call call data (video + audio) ) Recording, and recording and playing the stored call data (video + audio) during the last call, if the recording mode is set after the call.

상기에서 통화 종료 후 기록 단계는 현재의 통화 데이터로부터 분리된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버퍼(QUEUE)에 저장하면서 통화가 종료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통화가 종료됨을 판단하면 기록 모드의 설정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기록 모드의 설정을 판단하면 상기 버퍼(QUEUE)에 저장된 직전의 통화 데이터로부터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분리하여 재생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분 리 재생되는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recording step after the call is terminated while storing the video / audio data separated from the current call data in the buffer (QUEUE), and determining whether to set the recording mode when the call is terminated Determining whether the recording mode is set; separating and playing the video / audio data from the previous call data stored in the buffer; and recording the video / audio data separated and reproduced.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 is made.

상기에서 기록 데이터는 현재 또는 직전 통화 데이터로부터 분리된 비디오 대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선택적(비디오/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중 하나)으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above-described recording data, video data and audio data separated from current or previous call data are selectively recorded (one of video / audio data, video data or audio data) according to a user's setting.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한 휴대용 단말기는 H.324 규약을 기반으로 개발되는 멀티미디어 비디오폰 시스템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A portable terminal fo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suming a multimedia video phone system developed based on the H.324 protocol.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한 멀티미디어 통화 녹화 장치의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되는 통화 신호를 복조하고 송신하는 통화 데이터를 변조하는 변복조기(110)와, 이 변복조기(110)에서 복조되는 통화 데이터를 비디오/오디오/정보 데이터로 분리하고 송신할 비디오/오디오/정보 데이터를 합성하여 상기 변복조기(110)로 전송하는 신호 합성/분리부(120)와, 상기 신호 합성/분리부(120)에서 분리된 비디오 데이터를 영상 신호로 디코딩하고 사용자의 영상 신호를 비디오 데이터로 인코딩하여 상기 신호 합성/분리부(120)로 전송하는 비디오 코덱(140)과, 상기 신호 합성/분리부(120)에서 분리된 오디오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디코딩하고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오디오 데이터로 인코딩하여 상기 신호 합성/분리부(120)로 전송하는 오디오 코덱(150)과, 수신 통화 데이터에 포함된 상 대방 정보를 디코딩하고 송신 통화 데이터에 포함될 사용자 정보를 인코딩하여 상기 신호 합성/분리부(120)로 전송하는 정보 데이터 처리부(160)와, 상기 신호 합성/분리부(120)에서 합성될 송신용 비디오/오디오/정보 데이터 및 상기 신호 합성/분리부(120)에서 분리된 수신 비디오/오디오/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버퍼(Queue)(130)와, 통화전의 사용자 설정 또는 통화 도중 또는 통화 종료시의 사용자 키 입력에 의해 상기 버퍼(130)에 저장된 일정 시간의 비디오/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하나를 기록하는 기록부(170)를 구비하여 구성한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media call recording apparatus fo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here, a demodulator 110 for demodulating and transmitting call dat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call signal, and the demodulator 110 A signal synthesizer / separator 120 for separating the demodulated call data into video / audio / information data, synthesizing video / audio / information data to be transmitted, and transmitting the synthesized video / audio / information data to the demodulator 110; A video codec 140 for decoding the video data separated by the separation unit 120 into an image signal, encoding the video signal of the user into video data, and transmitting the video signal to the signal synthesis / separation unit 120; The audio codec 150 decodes the audio data separated by the unit 120 into voice data, encodes a user's voice signal into audio data, and transmits the audio signal to the signal synthesis / separator 120. And an information data processor 160 for decoding the counterpar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call data, encoding the user information to be included in the transmitted call data, and transmitting the encoded information to the signal synthesizer / separator 120 and the signal synthesizer / separator. A buffer 130 for storing the transmission video / audio / information data to be synthesized in 120 and the received video / audio / information data separated in the signal synthesizing / separation unit 120, and a user setting before a call. Or a recording unit 170 for recording one of video / audio data, video data, and audio data of a predetermined time stored in the buffer 130 by a user key input during a call or at the end of a call.

상기 신호 합성/분리부(120)는 H.223 규격의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로 구성한다. The signal synthesizer / separator 120 is configured of a multiplexer / demultiplexer of H.223 standard.

이와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대방으로 전송할 영상 및 음성 데이터의 처리와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영상 및 음성 데이터의 처리 과정은 반대 동작임으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및 음성 데이터의 기록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ing of the video and audio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and the processing of the video and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counterpart are opposite operations. I will explain only.

우선, 변복조기(313)는 통화 채널로부터 수신되는 통화 신호를 복조하여 버퍼(130)에 저장함과 동시에 신호 합성/분리부(120)로 전송한다. First, the demodulator 313 demodulates a call signal received from a call channel and stores the demodulated signal in the buffer 130 and transmits the same to the signal synthesis / separator 120.

이때, 신호 합성/분리부(120)는 H.223 규약에 따라 일정한 규칙으로 합성된 통화 신호를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및 제어 신호 등을 포함하는 정보 데이 터로 분리하여 비디오 코덱(140), 오디오 코덱(150), 정보 데이터 처리부(160)로 각기 전송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signal synthesizing / separating unit 120 separates the call signal synthesized by a predetermined rule according to the H.223 protocol into information data including video data, audio data, control signals, and the like, and the video codec 140 and the audio codec. 150, the information data processor 160 transmits the data.

이에 따라, 비디오 코덱(140)이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원래의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도면 미도시)로 전송하고 오디오 코덱(150)이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원래의 음성 신호를 오디오 장치(도면 미도시)로 전송하며 정보 데이터 처리부(170)가 정보 데이터로부터 제어 신호 등의 정보를 디코딩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video codec 140 decodes the video data and transmits the original video signal to a display device (not shown), and the audio codec 150 decodes the audio data to transmit the original audio signal to the audio device (not shown). Information data processor 170 decodes information such as a control signal from the information data.

따라서, 사용자는 상대방의 영상을 보는 것과 동시에 음성을 들으면서 통화를 하게 된다. Therefore, the user makes a call while listening to the voice while watching the video of the other party.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되는 통화 데이터(영상+음성)를 H.223 규격의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er)에 전송하는 동시에 버퍼의 일종인 큐(Queue)에 저장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call data (video + audio) received from the other party to a demultiplexer of the H.223 standard, and stores it in a queue, which is a kind of buffer.

따라서, 사용자가 통화 후에 녹음을 설정한 경우 이미 통화한 내용을 일정한 량 만큼 기록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user sets the recording after the call, it is possible to record a certain amount of content already called.

만일, 통화 이전에 사용자가 미리 설정하였거나 통화 도중 사용자가 기록키를 입력한 경우 현재 통화중인 내용을 원하는 량 만큼 기록할 수 있다. If the user presets before the call or the user inputs the record key during the call, the content of the current call may be recorded by a desired amount.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화 이전에 미리 기록 모드를 설정한 경우 및 통화 도중에 기록 모드를 설정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First, the case where the recording mode is set before the call and the recording mode is set during the call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통화 데이터가 버퍼(130)에 저장됨과 동시에 신호 합성/분리부(120)에서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및 정보 데이터로 분리될 때 기록부(170)는 제어부(도면 미도시)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입력으로 사용자가 미리 설 정한 기록 모드 또는 사용자가 현재 설정한 기록 모드를 확인함으로써 상기에서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게 된다. When the call data received from the other party is stored in the buffer 130 and separated into the video data, the audio data, and the information data in the signal synthesizing / separating unit 120, the recording unit 170 controls from a control unit (not shown). The video data and audio data are recorded in the above by checking the recording mode preset by the user or the recording mode currently set by the user as a signal.

이 경우,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는 동시에 기록되거나 선택적으로 기록된다. In this case, video data and audio data are simultaneously recorded or selectively recorded.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통화 이후에 기록 모드를 설정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in which the user sets the recording mode after the call will be described.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통화 데이터는 버퍼(130)에 저장됨과 동시에 신호 합성/분리부(120)에서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및 정보 데이터로 분리되어 비디오 코덱(140), 오디오 코덱(150) 및 정보 데이터 처리부(160)에서 각기 처리됨으로써 사용자는 상대방의 영상을 보면서 통화 내용을 들을 수 있다. The call data received from the other party is stored in the buffer 130 and divided into video data, audio data, and information data in the signal synthesis / separation unit 120, and thus the video codec 140, the audio codec 150, and the information data processing unit. By being processed in step 160, the user can hear the contents of the call while watching the video of the other party.

이때, 버퍼(130)는 큐(Queue)임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다가 데이터가 가득 찬 경우 처음 위치부터 새로운 통화 데이터를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buffer 130 stores the data as a queue, and when the data is full, stores the new call data from the first position.

이후, 통화가 종료된 경우 사용자가 기록 모드를 설정하면 신호 합성/분리부(120)는 버퍼(130)에 일정 시간 만큼 저장되어 있는 통화 데이터를 읽어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및 정보 데이터로 분리하고 그 분리된 각각의 데이터를 비디오 코덱(140), 오디오 코덱(150) 및 정보 데이터 처리부(160)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는 상대방과의 통화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Subsequently, if the user sets the recording mode when the call is terminated, the signal synthesizing / separating unit 120 reads the call data stored in the buffer 130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divides the video data into audio data and information data. By transmitting the separated data to the video codec 140, the audio codec 150, and the information data processing unit 160, the user can check the contents of the call with the other party.

따라서, 기록부(170)는 제어부(도면 미도시)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입력으로 사용자가 현재 설정한 기록 모드를 확인하여 신호 합성/분리부(120)에서 분리되는 비디오/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하나를 기록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recording unit 170 checks the recording mode currently set by the user by inputt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not shown), and separates the video / audio data, the video data, and the audio separated from the signal synthesizing / separating unit 120. One of the data will be recorded.

한편, 상기에서 상대방의 영상 및/또는 음성을 기록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음성도 함께 기록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t has been described as recording the other party's video and / or audio, but can also record the voice of the user corresponding thereto.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동영상 통화 내용을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기록함으로써 멀티미디어 기반의 비디오폰에서 제한된 메모리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selectively recording the video call contents desir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at the time desired by the user, thereby improving the utilization of the limited memory in the multimedia-based video phone.

Claims (4)

기록 모드가 설정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Determining whether a recording mode is set; 상기 기록모드가 통화 이전 또는 통화 도중에 설정되었다면 현재 통화중인 통화 데이터(영상+음성)를 기록하는 단계와, Recording the current call data (video + audio) if the recording mode is set before or during a call; 상기 기록모드가 통화 종료 후 설정되었다면 직전 통화시 저장된 통화 데이터(영상+음성)를 재생하면서 기록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If the recording mode is set after the end of the call is made to record while playing the call data (video + audio) stored in the last call, 상기 기록하는 단계들은 상기 통화 데이터로부터 분리된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통화기록 방법. The recording may include selectively recording video data and audio data separated from the call data according to a user's sett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록하는 단계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cording step 현재의 통화 데이터를 버퍼(QUEUE)에 저장하면서 통화가 종료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Determining whether the call is terminated while storing the current call data in a buffer (QUEUE); 상기 통화가 종료되면, 기록 모드의 설정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Checking whether a recording mode is set when the call ends; 상기 기록모드가 설정된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버퍼(QUEUE)에 저장된 직전의 통화 데이터로부터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분리하여 재생하는 단계와;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ording mode is set, separating and reproducing video / audio data from previous call data stored in the buffer (QUEUE); 상기 재생된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통화기록 방법.And recording the reproduced video / audio data. 삭제delete 통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제1저장부와;A first storage unit to temporarily store call data; 상기 통화 데이터의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저장부와; A second storage unit for storing video and audio data of the call data; 통화가 종료되면, 기록모드가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설정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저장부의 통화 데이터를 영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로 분리하여 상기 제2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When the call is terminate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recording mode is set,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rol unit for separating the call data of the first storage unit into the video data and the audio data to store in the second storage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리된 영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The control unit selectively stores the separated image data and audio data according to a user's setting.
KR1020020028750A 2002-05-23 2002-05-23 Multimedia message recording method for hand-held terminal KR1008989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750A KR100898923B1 (en) 2002-05-23 2002-05-23 Multimedia message recording method for hand-held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750A KR100898923B1 (en) 2002-05-23 2002-05-23 Multimedia message recording method for hand-held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0445A KR20030090445A (en) 2003-11-28
KR100898923B1 true KR100898923B1 (en) 2009-05-27

Family

ID=32384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8750A KR100898923B1 (en) 2002-05-23 2002-05-23 Multimedia message recording method for hand-held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892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418B1 (en) * 2008-11-05 2015-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Providing Video Call Information Map Using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5773A (en) * 1996-12-28 1998-09-25 김영환 Video phone for saving call details
KR20020000080A (en) * 2000-06-21 2002-01-04 서승현 Apparatus for recording a call conversation
KR20020036525A (en) * 2000-11-10 2002-05-16 구자홍 Method for Processing Imaging Data in Mobile Termin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5773A (en) * 1996-12-28 1998-09-25 김영환 Video phone for saving call details
KR20020000080A (en) * 2000-06-21 2002-01-04 서승현 Apparatus for recording a call conversation
KR20020036525A (en) * 2000-11-10 2002-05-16 구자홍 Method for Processing Imaging Data in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0445A (en) 200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5854B1 (en) Method for downloading and replaying data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1773054A2 (en) Method for performing video communication ser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US20040105532A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137520B2 (en) Mobile device
US8326123B2 (en) Movie player, mobile terminal, and data processing method of mobile terminal
CN100440239C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reproducing terminal device and reproduc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KR100898923B1 (en) Multimedia message recording method for hand-held terminal
KR100800834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laying digital broadcasting and a method thereof
JP2005064592A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US8159970B2 (en) Method of transmitting image data in video telephone mode of a wireless terminal
KR100652676B1 (en) Edi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atellite broadcasting in satellite mobile terminal
US8849089B2 (en) Motion picture creation method in portable device and related transmission method
JP425429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image processing system and program using the same
KR20010036213A (en) Method for reserving internet data downlink in a portablecommunication terminal
JP3092053B2 (en) Recording / reproducing device for telephone
KR100593989B1 (en) Method for displaying moving picture in the mobile terminal
US20060067491A1 (en) Content reproduction device
KR100678159B1 (en) Method for replaying music file of portable radio terminal equipment
EP1758400A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reproducing digital broadcasting
KR20000043101A (en) Videophone communication system with docume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function and display function
KR101158435B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media broad casting using priority information on BIFS packet header in DMB mobile terminal
JPH03203466A (en) Modulator and demodulator
JP3687608B2 (en) Network recording system using cellular phone, control station and cellular phone
JP4122997B2 (en) Video phone equipment
KR20070008863A (en) Mobile phone be able to capture a static picture to use dual chip during displaying a moving picture and method for capturing a static picture to use dual chip during displaying a moving pi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