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8901B1 - 물체 인식 능력을 개선한 명함 인식기 - Google Patents

물체 인식 능력을 개선한 명함 인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8901B1
KR100898901B1 KR1020070026462A KR20070026462A KR100898901B1 KR 100898901 B1 KR100898901 B1 KR 100898901B1 KR 1020070026462 A KR1020070026462 A KR 1020070026462A KR 20070026462 A KR20070026462 A KR 20070026462A KR 100898901 B1 KR100898901 B1 KR 100898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iness card
light
lens
image
concave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6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5267A (ko
Inventor
지용구
정승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존씨앤티
주식회사 파이온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존씨앤티, 주식회사 파이온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존씨앤티
Priority to KR1020070026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8901B1/ko
Publication of KR20080085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5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8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8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2Details of acquisition arrangemen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06V10/14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performing the acquisition or on the illumination arrangements
    • G06V10/147Details of sensors, e.g. sensor len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2Details of acquisition arrangemen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06V10/14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performing the acquisition or on the illumination arrangements
    • G06V10/141Control of illu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1Solutions for problems related to non-uniform document backgr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haracter Inpu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 명함 인식기가 개시된다. 상기 명함 인식기는 그 인식기에 설치되는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에 의해 명함 인식기 내부에 투입된 명함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촬영 수단은 반사경을 통해 반사되는 광이 입사하여 들어오는 렌즈와; 상기 렌즈를 통과한 광을 수신하여 상기 이미지를 인식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결상면에서의 빛의 밝기를 보정하기 위한 필터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방은 오목하게 함몰되어 있고, 후방은 평면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센서의 결상면 앞에 상기 후방이 위치하는 오목렌즈와, 빛의 굴절률이 상기 오목 렌즈와 동일하고 빛을 흡수하도록 반투명하며, 전방은 평면으로 되어 있고 후방은 상기 오목 렌즈의 전방에 대응되게 볼록하게 돌출되어 상기 오목 렌즈의 전방에 접촉 상태로 결합되는 볼록 렌즈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물체 인식 능력을 개선한 명함 인식기{NAME CARD READER HAVING IMPROVED OBJECT RECOGNITION}
도 1은 반사광에 의한 문자 인식 원리 및 그에 따른 불완전한 문자 인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문자 인식기에서 이루어지는 반사광에 의한 명함 인식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른 명함 인식기의 구조 및 그 내부에서의 광 반사 및 산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결상면의 결상 중심점의 거리에 따른 밝기의 변화 및 이를 필터를 이용하여 보정하는 원리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명함 인식기
20: 광원
40: 반사경
A: 반사광
B: 산란광
80: 촬영 수단
84: 센서
86: 오목 렌즈
88: 볼록 렌즈
F: 결상면 밝기 보정 필터
본 발명은 명함 인식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결상면에서의 밝기를 보정하고, 광원에서 출사된 빛에 의해 물체가 불완전하게 인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된 명함 인식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디지털 카메라를 비롯하여, 명함 인식기와 같은 광학 장치는 렌즈를 갖고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물체에서 반사된 후 렌즈를 통과하여 이미지 센서(결상체)의 결상면에 결상된다.
이때, 결상면에서의 밝기는 결상면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어두워지는데, 이를 통상 비넷 효과라고 부른다. 즉, 결상면의 중심부로 갈수록 밝고 중심부에서 멀어질수록 어두워지는 밝기의 편차가 발생한다. 이러한 밝기의 편차는 피사체를 촬영할 때도 그대로 나타나기 때문에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야기한다.
즉, 명함 인식기게 구비된 디지털 카메라는 명함을 촬영하여 촬영된 이미지 내의 문자를 자동으로 인식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결상면에 밝기의 편차가 발생하므로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문자를 정확하게 인식하기가 곤란할 수가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영상 보정 기능이 구비된 CCD 카메라 등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들은 그 구조가 복잡하고 많은 비용이 소요되어, 저렴한 가격의 명함 인식기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본 출원인이 출원한 명함 인식기(출원번호 제10-2006-136461호)를 비롯한 통상의 명함 인식기에 있어서,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은 먼저 명함 인식기에 투입된 물체(명함)에 빛을 조사한 후 이미지 센서의 결상면에 결상된다. 이때, 명함에서 빛의 반사가 이루어진 후, 미러에서 다시 반사되어 렌즈를 통과한 후 이미지 센서로 들어가 결상된다. 그러나, 광원으로부터의 출사광이 물체에서 반사됨에 따라, 그 반사된 부분에서 문자 등의 이미지가 극히 환하게 되어, 문자 전체를 정확하게 촬영할 수가 없고, 이에 따라 도 1의 하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자의 일부가 정확하게 촬영되지 않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명함 인식기에서 나타나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체 인식 능력을 개선한 명함 인식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명함 인식기의 이미지 센서의 결상면에 결상되는 광의 밝기 편차를 보정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된 명함 인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원으로부터의 출사된 반사광에 의해 명함의 문자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없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된 명함 인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렴한 비용으로 단순한 구조를 채택하여 결상면에서의 광의 밝기 편차 및 문자의 부정확한 인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명함 인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물체 인식 능력을 개선한 신규의 명함 인식기가 제공된다. 상기 명함 인식기는 상부에 명함 투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 전방에 반사경 설치판이 구비되어 있으며, 하부에 명함 트레이가 구비되어 있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명함 투입구를 통해 케이스 본체 내부에 삽입되는 명함을 받치도록 케이스 본체 내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케이스 전방을 향해 설치되어 있는 촬영 수단과; 상기 케이스 본체에 설치되는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에 의해 상기 지지 부재에 안착한 명함의 이미지가 상기 촬영 수단을 향해 반사되도록 상기 반사경 설치판에 장착되는 반사경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촬영 수단은 상기 반사경을 통해 반사되는 광이 입 사하여 들어오는 렌즈와; 상기 렌즈를 통과한 광을 수신하여 상기 이미지를 인식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결상면에서의 빛의 밝기를 보정하기 위한 필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필터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방은 오목하게 함몰되어 있고, 후방은 평면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센서의 결상면 앞에 상기 후방이 위치하는 오목렌즈와, 빛의 굴절률이 상기 오목 렌즈와 동일하고 빛을 흡수하도록 반투명하며, 전방은 평면으로 되어 있고 후방은 상기 오목 렌즈의 전방에 대응되게 볼록하게 돌출되어 상기 오목 렌즈의 전방에 접촉 상태로 결합되는 볼록 렌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목 렌즈의 전방과 볼록 렌즈의 후방은 투명한 광학 접착제를 통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오목 렌즈의 후방은 투명한 광학 접착제에 의해 상기 센서의 결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원은 그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이 상기 지지 부재에 안착된 명함에 조사된 후 산란광만이 상기 반사경을 향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의 두 측벽 모두 또는 어느 일 측벽에 설치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측벽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명함 투입구로부터 투입되어 지지 부재에 안착되는 명함에 광을 조사하여, 전방 내부에 설치된 반사경으로부터 반사되어 오는 명함의 이미지를 촬영 수단에 의해 인식하는 명함 인식기가 제공되는데, 상기 명함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은 그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이 상기 지지 부재에 안착된 명함에 조사된 후 산란광만이 상기 반사경을 향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의 두 측벽 모두 또는 어느 일 측벽에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촬영 수단은, 상기 반사경을 통해 반사되는 광이 입사하여 들어오는 렌즈와; 상기 렌즈를 통과한 광을 수신하여 상기 이미지를 인식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결상면에서의 빛의 밝기를 보정하기 위한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방은 오목하게 함몰되어 있고, 후방은 평면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센서의 결상면 앞에 상기 후방이 위치하는 오목렌즈와, 빛의 굴절률이 상기 오목 렌즈와 동일하고 빛을 흡수하도록 반투명하며, 전방은 평면으로 되어 있고 후방은 상기 오목 렌즈의 전방에 대응되게 볼록하게 돌출되어 상기 오목 렌즈의 전방에 접촉 상태로 결합되는 볼록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 구성 및 효과는 이하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종래의 명함 인식기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구성에 대한 세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업자라면 도 2 등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명함 인식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명함 인식기(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3의 (a)는 명함 인식기(100)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의 (b)는 명함 인식기(100)를 위에서 본 일부 절취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함 인식기(100)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본체를 포함하는데, 그 상부에 명함 투입구(12)가 형성되어 있 어, 상기 투입구를 통해 사용자는 명함을 명함 인식기 내부로 투입할 수 있다. 또한, 그 하부에는 명함 인식이 완료된 명함이 배출되어 쌓이는 명함 트레이(14)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케이스 본체는 금속, 합성 수지 등 다양한 재료로 형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그 재질과 관련하여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명함 인식기(100)의 내부 전방에는 반사경 설치판이 설치되는데, 명함의 이미지를 촬영 수단(80)에 용이하게 반사시키기 위해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명함 인식기의 측벽(10)에는 광원(20)의 발광 소자(20b)를 장착하기 위한 복수 개의 구멍(10a)이 형성되어 있고, 그 구멍과 연속되는 선상에는 광원(20)의 장착 부재(20a)를 장착하기 위한 돌출부(10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20)을 구멍(10a)에 위치시킨 후 나사와 같은 체결 부재를 돌출부(10b)에 고정하면 광원을 명함 인식기(100)의 측벽에 장착할 수가 있다. 이 광원과 관련하여서는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함 인식기(100)의 전방 내부에는 반사경(40)이 제공되어 있다. 이 반사경(40)은 예컨대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반사경 설치판에 장착되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물체, 즉 명함으로부터 산란되어 오는 산란광을 반사시켜 촬영 수단(80)을 향해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본 발 명에 따라 구성되는 명함 인식기(100)는 반사경(40)에 의한 반사를 통해 명함을 촬영함으로써, 기존의 문자 인식 장치에 비해 그 크기를 줄일 수가 있어, 취급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외부로부터 명함 인식기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명함 인식기를 컴퓨터와 같은 외부 기기와 연결하기 위하여 USB 포트가 명함 인식기에 제공된다. 또한, USB 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러(도시 생략)가 제공되는데, 이 컨트롤러는 USB 포트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명함 인식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PCB 형태로 구현된다. 즉 컨트롤러는 촬영 수단(80) 및 광원(20) 등과 연결되어, 그 동작을 제어하여, 명함 투입구(12)를 통해 명함이 투입되면, 그 명함을 감지하여 명함의 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USB 포트와 연결된 컴퓨터 장치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촬영된 명함 이미지는 컴퓨터 장치의 저장 장치에 저장될 수 있고, 다르게는 명함 인식기(100) 자체에 제공되는 저장 장치(예컨대, 메모리)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 내부에 투입되는 명함을 받치도록 케이스 본체 내부에 지지 부재(도 2 참조)가 경사지게 설치되고, 이 지지 부재에 명함(60)이 투입되어 안착한다. 이와 같이 명함이 안착하면, 명함 인식기의 측벽에 설치된 광원(20)의 발광 소자(20b),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LED 소자에서 빛이 컨트롤러의 제어하에 출사된다. 이와 같이 출사된 광은 종래의 명함 인식기와는 다른 방식으로 반사 및 산란되어 반사경(40)을 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20)은 명함을 향해 빛을 조사하도록 측벽(10)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LED 소자(20b)로부터 출사된 광은 지지 부재에 안착된 명함(60)을 향해 비스듬하게 조사된다. 이때, 빛은 명함과 충돌한 후 반사되는데,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광(A)은 입사각과 동일한 각을 두고 반대쪽 측벽을 향해 반사되고, 입사각과 상이한 각도로 반사되는 산란광(B)만이 반사경(40)을 향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광원(20)은 그 출사광이 명함 인식기 내부의 명함에 조사된 후 반사광(A)이 아닌 산란광(B)만이 반사경(40)을 향하도록 명함 인식기의 측벽에 경사지게 설치된다. 따라서, 반사광(A)과 같은 직접광에 의한 명함 이미지 광이 반사경(40)을 향하는 것이 아니라, 산란광(B)과 같은 간접광에 의한 명함 임미지 광이 반사경(40)에서 반사되어 촬영 수단(80)으로 들어가게 된다. 그 결과, 산란광(B)과 같은 간접광을 이용하여 명함의 이미지를 인식하게 되므로, 반사광과 같은 직접광에 의해 명함의 이미지가 극히 환하게 되어, 명함의 일부 이미지가 인식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가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반사경(40)에서 반사되어 들어오는 산란광(B)의 검출과 관련한 촬영 수단(80)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경(40)에서 반사된 산란광(B)은 촬영 수단(80)의 렌즈(82)를 통과하여 입사하여 센서(84)의 결상면에 결상되어 검출된다. 이 결상면에서의 산란광(B)의 밝기를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84)의 결상면 중심의 밝기를 "1"이라 하고, 그 중심으로부터의 거리를 "r"이라 하면, 비넷 효과에 의해 r로부터 멀어질수록 밝기가 "I(r)"이라는 값으로 저하된다. 따라서, 이를 도 4의 (b)와 같이 보정하여야 밝기의 편차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필터(F)의 투과율을 T(r)이라 하면,
"T(r)×I(r) = I(R0)", 즉 "T(r) = I(R0)/I(r)"이 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본 발명에서는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84)의 결상면 앞에 결상면의 밝기를 보정하기 위한 필터(F)를 위치시켜, 결상면에서 밝기의 편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결상면 밝기 보정용 필터(F)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방은 오목하게 함몰되어 있고 후방은 평면으로 되어 있 는 오목 렌즈(86)를 포함한다. 또한, 빛의 굴절률이 오목 렌즈(86)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빛을 흡수하도록 반투명하고, 전방은 평면으로 되어 있고 후방은 오목 렌즈(86)의 전방에 대응되게 볼록하게 돌출되어 오목 렌즈의 전방에 접촉 상태로 결합되는 볼록 렌즈(88)를 포함한다.
빛의 굴절률이 동일하여야 하는 이유는 굴절률에 차이가 발생할 경우, 이미지의 결상을 방해하여 뚜렷한 이미지로 결상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통상의 유리가 갖는 빛 굴절률은 1.5이고, 통상의 합성 수지가 갖는 굴절률은 1.4이다.
이와 같이 굴절률이 다른 재질을 각각 오목 렌즈(86) 및 볼록 렌즈(88)로 사용하게 되면, 이미지의 결상이 방해되어 이미지가 뚜렷하게 결상되지 못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볼록 렌즈(88)는 빛을 흡수하도록 반투명하고, 볼록 렌즈(88)의 중심부가 가장 두꺼우며 중심부에서 멀어질수록 곡면을 그리면서 얇아지지 때문에, 센서(84)의 결상면에서 빛의 밝기에 차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볼록 렌즈(88)의 광 흡수 계수를 "α"라 하면, 결상면의 중심 "r"에서의 투과율은 "T(r) = e-αh(r)"이 된다(h(r): 볼록 렌즈의 r에 따른 높이). 즉
Figure 112007021604880-pat00001
이고,
Figure 112007021604880-pat00002
가 성립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결상면 밝기 보정용 필터(F)는 통상의 렌즈 제조법, 사출 성형법, 자외선 경화 수지 이용법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의 렌즈 제조법을 이용하여 필터는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1) 오목 렌즈(86) 제조 단계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방은 오목하게 함몰되어 있고 후방은 평면으로 되어 있는 오목 렌즈(86)를 제조한다.
(2) 볼록 렌즈(88) 제조 단계
빛의 굴절률이 오목 렌즈(86)와 동일하고, 빛을 흡수하도록 반투명하며, 전방은 평면으로 되어 있고, 후방은 오목 렌즈(86)의 전방에 대응되고 볼록하게 돌출되는 볼록 렌즈(88)를 제조한다.
(3) 접착 단계
투명한 광학 접착제를 이용하여 볼록 렌즈(88)의 후방이 오목 렌즈(86)의 전방에 접촉된 상태로 결합시킨다.
(4) 연마 단계
접착 단계를 통해 일체화된 오목 렌즈(86)와 볼록 렌즈(88)의 결합물을 통상의 렌즈 제조법에서 연마하는 방법으로 연마한다.
(5) 폴리싱 단계
연마 후, 상기 결합물을 통상의 렌즈 제조법에 의한 폴리싱 방법으로 폴리싱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터(F)를 완성한다.
사출성형을 통해 제조하는 경우, 사출 성형기를 통해 오목 렌즈(86)와 볼록 렌즈(88)를 각각 성형한 후, 이를 투명한 광학 접착제로 결합하면 되고, 통상의 렌즈 제조법에서와 같이 연마, 폴리싱 등을 실시할 수 있다.
자외선 경화 수지 이용법은, 이형제가 도포된 평면에 빛을 흡수하는 염료를 고르게 혼합한 후 반투명 자외선 경화 수지를 위치시킨 다음, 사출성형 또는 통상의 렌즈 제조법을 통해 제조된 오목 렌즈(86)를 자외선 경화 수지에 올려 놓고 가압하여, 자외선 경화 수지가 오목 렌즈(86)의 오목하게 함몰된 부분에 채워지도록 한다. 그 후, 자외선 램프를 조사하여 자외선 경화 수지가 경화되도록 하고, 자외선 경화 수지가 경화된 후 평면으로부터 분리하면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필터(F)가 완성된다.
최종적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필터(F)를 센서(84)의 결상면에 투명한 광학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하면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명함 인식기(100)를 통한 명함의 인식 과정을 순차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명함(60)을 명함 투입구(12)를 통해 투입하면, 명함이 케이스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지지 부재에 안착된다. 명함 부재가 안착되면, 컨트롤러가 이를 인식하고 케이스 본체의 측벽(10)에 경사지게 설치된 광원(20)을 구동시켜 빛을 조사하게 된다. 이때,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함(60)을 향해 비스듬하게 조사되는데, 입사각과 동일한 각을 두고 광이 다른 측벽을 향해 반사되고(반사광 A), 그 일부가 입사각과 상이한 각도로 반사경(40)을 향해 산란된다(산란광 B).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반사광이 직접 반사경(40)을 향하는 것이 아니라, 반사광(A)은 명함에서 반사된 후 케이스 본체의 타 측벽을 향해 반사되어 버린다. 따라서, 광원에서 출사된 광 중 명함에서 충돌한 산란광(B)만이 반사경(40)을 향하기 때문에, 직접광인 반사광에 의해 명함의 이미지가 극히 환하게 되어 그 명함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반사경(80)에서 반사된 산란광(B)은 촬영 수단(80)을 향하게 된다. 이 때, 먼저 렌즈(82)를 통과한 후 센서(84)를 향하게 된다. 종래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84)의 결상면에 투명한 오목 렌즈(86)와 반투명한 볼록 렌즈(88)로 이루어지는 결상면 밝기 보정용 필터(F)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산란광(B)은 필터(F)를 통과하면서 그 밝기가 조정된 다음에 센서(84)의 결상면에 결상되고, 최종적으로 결상면의 중심부에서는 이미지가 밝고 그 중심부에서 멀어질수록 이미지가 어두어지는 문제, 즉 밝기의 편차 문제가 해결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예컨대, 본 발명을 명함의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인식기로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주민등록증 및 기타 아이디 카드 등을 인식하기 위한 장치에도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밝기를 보정하는 필터와 산란광만을 이용하도록 측벽에 광원을 함께 구비하는 명함 인식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들 구성 요소는 명함 인식기가 갖고 있는 성능 등에 따라 별개로 제공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즉,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기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명함 인식기에 따르면, 종래와 달리,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명함과 같은 물체에 충돌한 후, 그 반사광이 반사경을 향 하는 것이 아니라 산란광만이 반사광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반사광과 같은 직접광에 의해 명함의 이미지가 극히 환하게 되어 명함의 이미지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가 있다.
또한, 산란광이 반사경에서 반사된 후 촬영 수단으로 입사하게 되는데, 촬영 수단의 센서의 결상면 앞에 결상면 밝기 보정용 필터가 부착되어 있어서, 결상면의 중심과 그 주변부에서의 밝기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해소할 수 있고, 최종적으로 깨끗한 이미지를 정확하게 판독할 수가 있게 된다.

Claims (11)

  1. 상부에 명함 투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 전방에 반사경 설치판이 구비되어 있으며, 하부에 명함 트레이가 구비되어 있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명함 투입구를 통해 케이스 본체 내부에 삽입되는 명함을 받치도록 케이스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케이스 전방을 향해 설치되어 있는 촬영 수단과; 상기 케이스 본체에 설치되는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에 의해 상기 지지 부재에 안착한 명함의 이미지가 상기 촬영 수단을 향해 반사되도록 상기 반사경 설치판에 장착되는 반사경을 포함하는 명함 인식기에 있어서,
    상기 촬영 수단은,
    상기 반사경을 통해 반사되는 광이 입사하여 들어오는 렌즈와;
    상기 렌즈를 통과한 광을 수신하여 상기 이미지를 인식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결상면에서의 빛의 밝기를 보정하기 위한 필터
    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방은 오목하게 함몰되어 있고, 후방은 평면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센서의 결상면 앞에 상기 후방이 위치하는 오목렌즈와,
    빛의 굴절률이 상기 오목 렌즈와 동일하고 빛을 흡수하도록 반투명하며, 전방은 평면으로 되어 있고 후방은 상기 오목 렌즈의 전방에 대응되게 볼록하게 돌출되어 상기 오목 렌즈의 전방에 접촉 상태로 결합되는 볼록 렌즈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 인식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목 렌즈의 전방과 볼록 렌즈의 후방은 투명한 광학 접착제를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 인식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오목 렌즈의 후방은 투명한 광학 접착제에 의해 상기 센서의 결상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 인식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그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이 상기 지지 부재에 안착된 명함에 조사된 후 산란광만이 상기 반사경을 향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의 두 측벽 모두 또는 어느 일 측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 인식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측벽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 인식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하나 이상의 LED 소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 인식기.
  7. 삭제
  8. 삭제
  9. 명함 투입구로부터 투입되어 지지 부재에 안착되는 명함에 광을 조사하여, 전방 내부에 설치된 반사경으로부터 반사되어 오는 명함의 이미지를 촬영 수단에 의해 인식하는 명함 인식기에 있어서,
    상기 명함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은 그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이 상기 지지 부재에 안착된 명함에 조사된 후 산란광만이 상기 반사경을 향하도록 상기 명함 인식기의 두 측벽 모두 또는 어느 일 측벽에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촬영 수단은,
    상기 반사경을 통해 반사되는 광이 입사하여 들어오는 렌즈와;
    상기 렌즈를 통과한 광을 수신하여 상기 이미지를 인식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결상면에서의 빛의 밝기를 보정하기 위한 필터
    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방은 오목하게 함몰되어 있고, 후방은 평면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센서의 결상면 앞에 상기 후방이 위치하는 오목렌즈와,
    빛의 굴절률이 상기 오목 렌즈와 동일하고 빛을 흡수하도록 반투명하며, 전방은 평면으로 되어 있고 후방은 상기 오목 렌즈의 전방에 대응되게 볼록하게 돌출되어 상기 오목 렌즈의 전방에 접촉 상태로 결합되는 볼록 렌즈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 인식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오목 렌즈의 전방과 볼록 렌즈의 후방은 투명한 광학 접착제를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 인식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오목 렌즈의 후방은 투명한 광학 접착제에 의해 상기 센서의 결상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 인식기.
KR1020070026462A 2007-03-19 2007-03-19 물체 인식 능력을 개선한 명함 인식기 KR100898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462A KR100898901B1 (ko) 2007-03-19 2007-03-19 물체 인식 능력을 개선한 명함 인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462A KR100898901B1 (ko) 2007-03-19 2007-03-19 물체 인식 능력을 개선한 명함 인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5267A KR20080085267A (ko) 2008-09-24
KR100898901B1 true KR100898901B1 (ko) 2009-05-21

Family

ID=40025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6462A KR100898901B1 (ko) 2007-03-19 2007-03-19 물체 인식 능력을 개선한 명함 인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890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8571A (ja) * 1989-12-27 1991-08-29 Matsupu Japan Kk 名刺読み取り装置
KR200367063Y1 (ko) * 2004-08-21 2004-11-08 주식회사 파이온테크놀러지 명함 인식 장치
KR100763880B1 (ko) 2006-05-26 2007-10-05 주식회사 더존씨앤티 탁상형 스캐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8571A (ja) * 1989-12-27 1991-08-29 Matsupu Japan Kk 名刺読み取り装置
KR200367063Y1 (ko) * 2004-08-21 2004-11-08 주식회사 파이온테크놀러지 명함 인식 장치
KR100763880B1 (ko) 2006-05-26 2007-10-05 주식회사 더존씨앤티 탁상형 스캐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5267A (ko) 2008-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30304B1 (en) Contactless image capturing apparatus
US9007664B2 (en) Identification reader
EP1830565B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KR100864272B1 (ko) 도광체, 조명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촬상 장치
JP4566929B2 (ja) 撮像装置
EP1830306B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having distance measurement function
US10311271B2 (en) Diffuse bright field illumination system for a barcode reader
JP4797081B2 (ja) レンズ部品の実装方法
US20150021400A1 (en) Barcode reader having multiple illumination systems and multiple sets of imaging optics
CN106650561A (zh) 指纹影像撷取装置及其指纹影像撷取模块
TWI601074B (zh) Certification devices and certification prism body
US9298961B2 (en) Optical code reader
KR101872757B1 (ko) 광학 센서 장치 및 광학 센싱 방법
KR100898901B1 (ko) 물체 인식 능력을 개선한 명함 인식기
US8864034B1 (en) Barcode reader having multiple illumination systems and multiple sets of imaging optics
KR101790518B1 (ko) 적외선 광학 장치를 탑재한 전자 장치 및 적외선 광학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40109207A (ko) 부품 촬영 장치
US20080296381A1 (en) Method and System for Filtering an Optical Lens
CN217982423U (zh) 一种人证阅读设备
KR200372141Y1 (ko) 플라스틱 카드 양면 스캐너의 메커니즘 장치
US6038407A (en) Data recording device for a disposable camera
JP3241646U (ja) 撮影装置スタンド
KR100862013B1 (ko) 렌즈를 사용하는 광학장치의 결상면 밝기 보정용 필터
KR101460686B1 (ko) 홀로그램 처리기능을 가지는 스캔 장치 및 스캔 방법
KR20200134439A (ko) 광각렌즈를 이용하여 직접 촬영 가능한 카드 인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