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6513B1 - 위험물질 저장장치 - Google Patents

위험물질 저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6513B1
KR100896513B1 KR1020080050339A KR20080050339A KR100896513B1 KR 100896513 B1 KR100896513 B1 KR 100896513B1 KR 1020080050339 A KR1020080050339 A KR 1020080050339A KR 20080050339 A KR20080050339 A KR 20080050339A KR 100896513 B1 KR100896513 B1 KR 100896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dangerous
fire
storage
stor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0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의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Priority to KR1020080050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65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6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6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4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with electrically-controlled relea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연발화 위험물질이 공기에 노출되면 서서히 자연발화되고, 화재가 확산시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는 위험물질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위험물질이 보관되는 위험물질 보관함(12)이 이송수단에 의해서 저장되는 다수의 저장함(10)과, 상기 저장함의 내부에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기(62)와, 저장함(10)의 내부 온도를 탐지하는 온도센서(31)와, 상기 저장함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감지하고 질소등 소화화재를 분사하는 분사노즐(60)과, 상기 저장함(10)의 내부의 가스를 배출하는 배기관 연결통로(65)와 배기관 연결 플레시블(6)을 구비하는 통상의 위험물질 저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장장치의 하단부에 위험물질의 누액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함(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저장함에는 위험물질 보관함이 1개 또는 2 개 이상 보관 될 수 있고, 각 저장함은 서랍식으로 장착되므로 위험물질이 순환되는 공기중에만 노출되고 화재발생시 질소분사로 산소농도를 줄여주어 화재로부터 안전하며, 작동이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저장함은 다수개가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화재 발생이 이웃에 있는 저장함에 피해를 주지 않고, 화재를 감지하고 자동으로 소화하는 장점이 있다.
위험물질, 저장장치, 보관함, 온도감지기, 연기감지기, 분사노즐

Description

위험물질 저장장치 {Storing House Dangerous Material}
본 발명은 위험물질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위험물질은 반도체 공장과 같은 특수한 환경에서 정밀한 물질이 보관되는 것으로 공기 중에 노출되면 폭발할 위험이 있는 물질을 말한다. 본 발명은 자연발화 위험물질이 공기에 노출되면 서서히 자연 발화되고, 화재가 발생 확산 시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는 위험물질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공장에서 웨이퍼 제조용으로 사용하는 화공물질 또는 위험물질을 보관하거나, 방사능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하 저장고에 방사물질 보관함을 저장하는 기술들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선행기술로 실용신안공보 제 20- 0174138호" 곡물 건조저장장치"에 의하면, 곡물을 탱크내부에 저장하고 내부 온도를 적정한 온도로 제어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 등록특허공보 제10-0540076호에서 서랍형 냉장고의 수납물품 인출저장장 치가 개시되어 있으나, 위험물질의 보관이나 방재에 대한 기술은 공개되어 있지 아니하다. 현재 반도체 공장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위험물질 저장장치는 수납형으로 되어 있어서 위험물질이 공기에 노출되거나 화공약품이 공기에 노출되면 화재가 발생하고 동시에 독성물질이 배출되며, 폭발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정밀한 장비의 파손 또는 인명피해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종래기술에는 이러한 위험한 화공물질을 보관하는 시설이 허술하여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연발화 위험물질이 공기에 노출되면 서서히 자연 발화되고, 화재가 발생확산 시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는 위험물질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위험물질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쉽게 내부 상태를 관찰하고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서 시스템을 제어하며 화재를 탐지하고 진화할 수 있는 위험물질 저장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위험물질이 보관되는 위험물질 보관함(12)이 이송수단에 의해서 저장되는 다수의 저장함(10)과, 상기 저장함의 내부에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기(62)와, 저장함(10)의 내부 온도를 탐지하는 온도센서(31)와, 상기 저장함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감지하고 질소등 소화화재를 분사하는 분사노즐(60)과, 상기 저장함(10)의 내부의 가스를 배출하는 배기관 연결통로(65)와 배기관 연결 플레시블(6)을 구비하는 통상의 위험물질 저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장장치의 하단부에 위험물질의 누액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함(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각 저장함에는 이중시건장치와 투명한 방화유리창을 설치하고, 상기 위험물질 보관함은 보관되는 위험물질이 밖으로 노출되어 공기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외부상판은 지지판재에 직각으로 접속볼트에 의하여 결합되고, 각 지지판재는 내부플레이트를 보강하고, 내부 풀레이트들 을 용접하여 철저하게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저장함에는 위험물질 보관함이 1개 또는 2 개 이상 보관 될 수 있고, 각 저장함은 서랍식으로 장착되므로 위험물질이 일정 이상의 외부 공기중에 노출되지 아니하고 작동이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투명 방화창을 통해서 내부의 위험물질의 모관 상태를 수시로 감시할 수 있고, 별도로 보관함을 주어 위험물질의 누액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안정성이 있다.
또, 본 발명의 저장함은 다수개가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화재 발생이 이웃에 있는 저장함에 피해를 주지 않고, 자체적으로 화재를 감지하고 자동으로 소화하는 시설을 갖추고 있어서 반도체 공장 등에서 인명피해나 장비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 위험물질이 소량 누출 시 위험 수위 미만에서 저장함 내부에 있는 공기와 자연 순환되는 공기에 의해 자연 발화를 유도하여 누수액을 제거되는 장점이 있 다.
또, 대량의 위험물질이 누수가 되면 화재로 변질되므로 센서로부터 화재신호를 받아 질소를 분사시켜 산소농도를 낮추어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근거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저장장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저장장치의 내부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저장장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저장함을 인출할 동작을 보여주는 전면장치 배치도이고, 도 5는 저장함을 내부에 장착할 때 동작을 보여주는 전면장치 배치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저장장치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저장장치 상면도이다. 도 8은 위험물질 보관함의 외벽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보관함의 서랍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저장함 환풍구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저장함 환풍구의 배치도이며, 도 12는 저장함 환풍구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저장장치는 다수개의 저장함(10)이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저장함(10)의 하단부에는 보관함(5)을 둔다. 본 발명의 저장장치 좌측에는 각각 저장함(10)의 내부 상태를 관찰하고 전체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1)과 방화유리창(3)은 저장함(10)의 내부를 수시로 감시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또, 저장장치 내부에는 전원장치, 누전차단기 등의 전기시설물이 내장된다. 저장장치 외부 상단에는 각 저장함(10)내의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배출 관(6)이 부착되어 있어서, 저장함(10)내에 공기가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저장장치의 내부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와 같이 저장장치를 구성하는 골격은 스테인리스 또는 강철과 같은 재료의 프레임은 다수의 세로용 프레임(7)과 가로형 프레임(8)들을 직사각형으로 상호 결합하여 위험물질의 저장함들이 셀(cell)단위로 따로따로 독립적으로 장착될 수 있게 설계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저장장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저장장치 우측에는 다수개의 저장함(10)이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저장함(10)내에는 위험물질보관함(12)이 내장되고, 각 저장함(10)에는 실내등(37)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저장장치 우좌에는 다수개의 저장함(10)의 내부 전원과 온도 등을 감시할 수 있는 전기장치들이 설치된다. 이러한 전기장치는 상단부터 제어부(30), 온도감지기(31), 전원부(32), 누전차단기(33), 직류전원공급부(34), 프로그램머블 로직 제어기(PLC : 35), 릴레이(36)등으로 구성된다.
도 4는 저장함을 인출할 동작을 보여주는 전면장치 배치도이고, 도 5는 저장함을 내부에 장착할 때 동작을 보여주는 전면장치 배치도이다.
도 4에 의하면, 시설물 관리자가 위험물질보관함(12)을 저장함(10)내에 보관하였다가 위험물질보관함(12)을 교체하거나 보수할 때 이를 밖으로 인출할 수 있게 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는 위험물질보관함(12)은 저장함(10)내에 서랍구조로 하고, 위험물질보관함(12)의 하단부에 한 쌍의 레일 혹은 슬라이더을 장착해서 쉽게 인출될 수 있게 한다.
각 저장함(10)에는 실내등(37)이 천장에 설치되고, 한 쪽 벽면에 온도감지기(31), 화재감지기(62), 분사노즐(60)이 설치되고, 내부 가스를 밖으로 배출하도록 배기관(65)이 형성되고 배기관 연결 플랙시불(6)로 연결된다. 이러한 분사노즐(60)은 위험물질이 저장함(10) 내에서 발화되어 화재가 발생되면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함(10)에는 위험물질 보관함(12)이 1개 또는 2개 이상 보관 될 수 있고, 각 저장함(10)은 서랍식으로 안으로 밀면 장착되므로 위험물질이 외부공기 중에 노출되지 아니하고 작동이 매우 용이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저장장치 측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저장함(10)은 다수개 프레임에 장착된다. 각 저장함(10)은 독립된 셀 단위로 구성되어, 각각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고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며, 각 저장함(10)은 내부에 화재 발생시 화재감지기(62)와 온도감지기(31)가 이를 탐지하도록 하고, 분사노즐(60)에서 자동으로 질소등 소화약재가 자동으로 분사하여 화제를 진압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각 저장함(10)에는 시건장치(4)와 투명한 방화유리창(3)을 설치한다. 시건장치(4)는 관리자 외에 타인이 위험물질 보관함(12)을 인출하는 것을 방지하며, 방화유리창(3)은 저장함(10)의 내부를 수시로 감시하기 위하여 설치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저장장치 상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저장함(10)내에는 위험물질보관함(12)들이 보관되고,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화재감지(62)와, 내부 온도를 탐지하는 온도감지기(31)와,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분사노즐(60)과, 저장함(10)의 내부 가스를 환기시키는 배기관 연결 플렉시블(6)이 연결 된다.
각 저장함(10)에는 제어부(30)와 전원장치(34)가 결합되어 있다,
도 8은 위험물질 보관함의 외벽에 대한 사시도이다. 위험물질보관함(12)은 보관되는 위험물질이 밖으로 노출되어 공기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외벽은 철판을 이중으로 겹쳐서 결합하고, 외부상판(14)은 지지판재(13)에 직각으로 접속볼트(18)에 의하여 결합된다. 각 지지판재(13)는 내부플레이트(16)를 보강하고, 내부풀레이트 용접을 하여 철저하게 밀폐시킨다. 각 지지판재(13)에는 전선 또는 케이블이 통과될 수 있게 케이블홀(15)이 설치되어 있다.
도 9는 보관함의 서랍의 정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함(10)의 하단부에는 보관함(5)이 설치되는 바, 이것은 위험물질 보관함(12)을 이동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위험물질의 누액을 보관한다. 상기 보관함(5)은 서랍이 상단서랍(51)과 하단서랍(52)으로 이중으로 형성되고, 이들 서랍들은 지지판넬(53)에 단단히 고정된다. 상기 서랍(51,52)은 서랍식으로 관리자가 작동을 하면 하단에 설치된 경사진 슬라이딩 레일과 스톱퍼를 구비하여 서랍을 쉽게 닫고 열수 있다.
도 10은 저장함 환풍구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저장함 환풍구의 배치도이며, 도 12는 저장함 환풍구의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환풍구(70)는 다수의 환풍용 슬라이드(71)가 사각형의 프레임(72)에 장착된다. 상기 환풍구(70)는 작 저장함(10)마다 설치된다. 도 12의 환풍구(70)는 각각 격자방식으로 결합되어 있어 환풍용 격자판(73, 74)이 엇갈리게 결합되고, 저장함(10)의 외벽(75)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환풍구(70)는 내부 가스를 밖으로 노출시키나, 외부의 공기는 일정 이상 내부로 들어 올 수 없도록 철저히 공기를 차단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에 따라 자연발화 위험물질이 소정의 공기에 노출되면 서서히 자연발화된다.
본 발명의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내에서 설계변경 및 균등물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저장장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저장장치의 내부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저장함을 꺼낼 때 동작을 보여주는 전면장치 배치도.
도 4는 저장함을 보관할 때 동작을 보여주는 전면장치 배치도.
도 5는 본 발명의 저장장치의 골격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저장장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저장장치 상면도.
도 8은 위험물질 보관함의 외벽사시도.
도 9는 보관함의 서랍의 정면도.
도 10은 저장함 환풍구의 정면도.
도 11은 저장함 환풍구의 배치도.
도 12는 저장함 환풍구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터치스크린 3 : 방화유리
5 : 보관함 10 : 저장함
12 : 약품용기 30 : 제어장치
31 : 온도감지기 32 : 전원장치
60 : 분사노즐 62 : 화재감지기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위험물질이 보관되는 위험물질 보관함(12)이 이송수단에 의해서 저장되는 다수의 저장함(10)과, 상기 저장함의 내부에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기(62)와, 저장함(10)의 내부 온도를 탐지하는 온도센서(31)와, 상기 저장함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감지하고 질소등 소화화재를 분사하는 분사노즐(60)과, 상기 저장함(10)의 내부의 가스를 배출하는 배기관 연결통로(65)와 배기관 연결 플레시블(6)을 구비하는 통상의 위험물질 저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장장치의 하단부에 위험물질의 누액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함(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질 저장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저장함(10)에는 시건장치(4)와 투명한 방화유리창(3)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질 저장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물질 보관함(12)은 보관되는 위험물질이 밖으로 노출되어 공기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외부상판(14)은 지지판재(13)에 직각으로 접속볼트(18)에 의하여 결합되고, 각 지지판재(13)는 내부플레이트(16)를 보강하고, 내부풀레이트 용접(17)을 하여 철저하게 밀폐시키며, 각 지지판재(13)에는 전선 또는 케이블이 통과될 수 있게 케이블홀(15)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질 저장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저장함(10)에는 내부 가스를 배출하는 환풍구(70)가 다수의 환풍용 슬라이드(71)가 사각형의 프레임(72)에 장착되고, 각 환풍구(70)는 각각 격자방식으로 결합되어 있어 환풍용 격자판(73, 74)이 엇갈리게 결합되고, 저장함(10)의 외벽(75)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질 저장장치.
KR1020080050339A 2008-05-29 2008-05-29 위험물질 저장장치 KR100896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339A KR100896513B1 (ko) 2008-05-29 2008-05-29 위험물질 저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339A KR100896513B1 (ko) 2008-05-29 2008-05-29 위험물질 저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6513B1 true KR100896513B1 (ko) 2009-05-08

Family

ID=40861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0339A KR100896513B1 (ko) 2008-05-29 2008-05-29 위험물질 저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651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986B1 (ko) * 2010-04-30 2010-12-09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위험물질 저장장치의 도어 개폐장치
KR20200131094A (ko) * 2019-05-13 2020-11-23 버슘머트리얼즈한양기공 주식회사 반도체 제조설비의 원격제어 관리시스템
CN112310494A (zh) * 2019-08-01 2021-02-02 韩国品耐科技股份有限公司 防止火灾扩散的化成设备系统
KR102341681B1 (ko) * 2021-07-06 2021-12-20 한국전지연구조합 사용 후 배터리 모듈용 방폭형 보관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019B1 (ko) * 2006-09-29 2006-12-27 (주)에스엔에스 조립식 이중 케비넷
KR20080012125A (ko) * 2006-08-01 2008-02-11 에이에스엠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자연발화성 전구체를 이용한 반도체 처리 장치를 위한 안전특징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2125A (ko) * 2006-08-01 2008-02-11 에이에스엠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자연발화성 전구체를 이용한 반도체 처리 장치를 위한 안전특징들
KR100662019B1 (ko) * 2006-09-29 2006-12-27 (주)에스엔에스 조립식 이중 케비넷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986B1 (ko) * 2010-04-30 2010-12-09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위험물질 저장장치의 도어 개폐장치
KR20200131094A (ko) * 2019-05-13 2020-11-23 버슘머트리얼즈한양기공 주식회사 반도체 제조설비의 원격제어 관리시스템
KR102194593B1 (ko) 2019-05-13 2020-12-23 버슘머트리얼즈한양기공 주식회사 반도체 제조설비의 원격제어 관리시스템
CN112310494A (zh) * 2019-08-01 2021-02-02 韩国品耐科技股份有限公司 防止火灾扩散的化成设备系统
KR20210015286A (ko) * 2019-08-01 2021-02-10 주식회사 피앤이솔루션 화재 확산 방지 포메이션 장비 시스템
KR102241956B1 (ko) * 2019-08-01 2021-04-19 주식회사 원익피앤이 화재 확산 방지 포메이션 장비 시스템
KR102341681B1 (ko) * 2021-07-06 2021-12-20 한국전지연구조합 사용 후 배터리 모듈용 방폭형 보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6674B2 (en) Apparatus for storing hazardous material
DE10310439B3 (de) Verfahren zum Brand- und Explosionsschutz in einem Hochregallager für chemische Gefahrstoffe und brand- und explosionsgeschütztes Hochregallager
KR100896513B1 (ko) 위험물질 저장장치
CN109939390A (zh) 一种基于气体灭火与机械通风散热的电化学储能站预制舱内灭火系统及方法
US10709916B2 (en) Integrated panel for fire suppression system
CN110010809B (zh) 一种具有消防功能的储能电池机柜
TW201139238A (en) Automatic warehouse system and fire extinguishing unit
CN113224397A (zh) 集装箱式储能电池站的安全控制方法
CN113644568B (zh) 一种户外防火型变电站
CN215351670U (zh) 一种用于储能集装箱的消防系统
KR100998986B1 (ko) 위험물질 저장장치의 도어 개폐장치
JP4953013B2 (ja) 異常監視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二次電池収容棚
CN212165342U (zh) 一种危化品暂存智能应急管理装置
CN218648019U (zh) 一种光储充检集装箱
KR100901135B1 (ko) 위험물질 저장시설의 자동소화장치
CN214378668U (zh) 一种储能箱及储能站
CN206295520U (zh) 一种注氮控氧主动防火系统
CN209211979U (zh) 一种实验室危废智能安全管理设备
CN108785896B (zh) 氧气再生药箱和氧气再生装置
US20220336882A1 (en) Method for avoiding the propagation of a thermal event in an enclosure comprising several modules of electrochemical cells
CN208641590U (zh) 一种步入式温度试验装置
CN215271441U (zh) 一种智能危化品防火安全柜
CN109888620A (zh) 一种带有防火功能的配电柜
ES2905712B2 (es) Instalación portátil para gestión de residuos nucleares
CN109469364A (zh) 一种实验室危废智能安全管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