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5697B1 - 회로 접속용 소켓의 터미널 - Google Patents

회로 접속용 소켓의 터미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5697B1
KR100895697B1 KR1020070033189A KR20070033189A KR100895697B1 KR 100895697 B1 KR100895697 B1 KR 100895697B1 KR 1020070033189 A KR1020070033189 A KR 1020070033189A KR 20070033189 A KR20070033189 A KR 20070033189A KR 100895697 B1 KR100895697 B1 KR 100895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connection
socket
terminal
bas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3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0103A (ko
Inventor
최영대
Original Assignee
최영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대 filed Critical 최영대
Priority to KR1020070033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5697B1/ko
Publication of KR20080090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0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5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5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로 접속용 소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로 접속용 소켓의 내구성이 증되되면서 터미널이 접속핀에 더욱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한 회로 접속용 소켓의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서, 소켓하우징의 접속구에 삽입되고, 상기 접속구의 내측 벽면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베이스편과, 상기 베이스편의 상부 양 측이 수직으로 절곡되어 접속핀의 양 측면에 접촉되는 탄성접촉편과, 상기 베이스편의 하부 양 측이 수직으로 절곡되어 상기 접속구의 하부 내측면에 배치되는 접속핀 수용편과, 상기 베이스편의 하방으로 상기 소켓하우징의 저면으로 돌출되면서 회로기판에 고정되는 기판고정편으로 구성된 회로 접속용 소켓의 터미널에 있어서; 상기 탄성접촉편은; 상부측으로 상기 베이스편과 연결되고, 상기 접속구의 내측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연결편과, 상기 연결편의 하부측으로 상기 베이스편과 이격되되 상기 접속구의 내측방으로 경사지게 절곡되는 절곡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절곡편의 하단 모서리가 상기 접속핀의 양 측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터미널과 접속핀의 반복적인 결합 및 분리에도 소켓이 안정적인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소켓의 신뢰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회로, 연결, 소켓, 터미널, 피로파괴

Description

회로 접속용 소켓의 터미널{a terminal for a circuit connecting socke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접속용 소켓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의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회로 접속용 소켓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소켓하우징 11 : 접속구
20 : 터미널
21 : 베이스편 211 : 보조접속돌기
22 : 탄성접촉편 221 : 연결편
222 : 절곡편 223 : 라운드면
23 : 접속핀 수용편 24 : 기판고정편
본 발명은 회로 접속용 소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로 접속용 소켓의 내구성이 증되되면서 터미널이 접속핀에 더욱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한 회 로 접속용 소켓의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로 접속용 소켓은 회로기판 등에 부착되어 각종 부품이 회로기판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 4에서 보인 것과 같이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소켓하우징(100)의 상면에 접속핀이 삽입되는 다수의 접속구(101)가 형성되고, 각각의 접속구(101)의 내측에 접속핀과 회로기판 사이의 연결을 위한 금속재의 터미널(200)을 삽입하여 터미널(200)이 접속구(101)로 삽입된 접속핀과 접촉되면서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때, 상기 터미널(200)은 접속구(101)의 내측에 수직으로 삽입되는 베이스편(201)과, 상기 베이스편(201)의 상부 양 측이 수직으로 절곡되어 접속핀의 양 측면에 접촉되는 탄성접촉편(202)과, 상기 베이스편(201)의 하부 양 측이 수직으로 절곡되어 상기 접속구(101)의 하부 내측면에 배치되는 접속핀 수용편(203)과, 상기 베이스편(201)의 하방으로 상기 소켓하우징(100)의 저면으로 돌출되면서 회로기판에 고정되는 기판고정편(205)으로 구성되어진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터미널은 탄성접촉편이 베이스편을 기준으로 2회 절곡되어져 형성되고, 하부측 절곡면의 내측에 접속핀이 접촉되도록 하고 있는데, 이 때의 접점(203)은 베이스편과 연결된 부분을 기준으로 한 거리가 짧아져 탄성변형력이 작아지게 되고, 이에 의해 반복적인 작동이 이루어진 후에는 쉽게 피로 파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터미널은 접속핀과의 접촉이 두 점에서만 이루어짐에 따라 그 접촉면적에 한계가 발생하게 되어 높은 전류가 흐를 때에는 일시적으로 높은 저항이 발생되거나, 그에 따른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회로 접속용 소켓의 내구성이 증되되면서 터미널이 접속핀에 더욱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한 회로 접속용 소켓의 터미널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터미널과 접속핀의 접촉면적이 상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터미널과 접속핀의 접촉이 세 부분에서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켓하우징의 접속구에 삽입되고, 상기 접속구의 내측 벽면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베이스편과, 상기 베이스편의 상부 양 측이 수직으로 절곡되어 접속핀의 양 측면에 접촉되는 탄성접촉편과, 상기 베이스편의 하부 양 측이 수직으로 절곡되어 상기 접속구의 하부 내측면에 배치되는 접속핀 수용편과, 상기 베이스편의 하방으로 상기 소켓하우징의 저면으로 돌출되면서 회로기판에 고정되는 기판고정편으로 구성된 회로 접속용 소켓의 터미널에 있어서; 상기 탄성접촉편은; 상부측으로 상기 베이스편과 연결되고, 상기 접속구의 내측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연결편과, 상기 연결편의 하부측으로 상기 베이스편과 이격되되 상기 접속구의 내측방으로 경사지게 절곡되는 절곡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절곡편의 하단 모서리가 상기 접속핀의 양 측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편의 중앙부에, 상기 접속구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접속핀의 외측면과 접촉되는 보조접속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접속용 소켓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로서,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베이스편(21)과 탄성접촉편(22) 및 접속핀 수용편(23)과 기판고정편(24)으로 구성된 회로 접속용 소켓의 터미널(20)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탄성접속편을 연결편(221)과 절곡편(222)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절곡편(222)의 하단 모서리가 접속핀의 양 측면에 접촉되도록 하여 터미널(20)의 접속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수명이 더욱 증대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소켓은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소켓하우징(10)의 상면에 상부측으로 개방되며, 내측에 후술되는 터미널(20)이 고정된 다수의 접속구(11)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구(11)에 각종 회로 부품의 접속핀이 삽입되도록 하여 접속핀과 터미널(20)이 접촉되면서 회로가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터미널(20)은 접속구(11)의 내측으로 삽입된 접속핀과 접촉됨과 동시에 소켓이 통상의 회기판 등에 고정되어 접속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금속재의 판재를 일체로 절곡하여 형성하되, 상기 접속구(11)의 내측 벽면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베이스편(21)과, 상기 베이스편(21)의 상부 양 측이 수직 전방으로 절곡되어 플러그핀의 양 측면에 접촉되는 탄성접촉편(22)과, 상기 베이스편(21)의 하부 양 측이 수직으로 절곡되어 상기 접속구(11)의 하부 내측면에 배치되는 접속핀 수용편(23)과, 상기 베이스편(21)의 하방으로 상기 소켓하우징(10)의 저면으로 돌출되면서 회로기판에 고정되는 기판고정편(24)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편(21)은 후술되는 탄성접촉편(22)과 접속편 수용편 및 기판고정편(24)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연결하는 것으로서, 전기전도성을 갖는 통상의 금속판재로 형성되어 상술한 접속구(11)의 내측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고정된다.
상기 접속핀 수용편(23)은 상기 베이스편(21)의 하부 양 측으로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도록 하고, 접속구(11)의 내측에서 터미널(20)의 뒤틀림을 방지함과 동시에 터미널(20)이 접속구(11)의 내측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접속핀의 하단을 감싸면서 보호하도록 한다.
상기 기판고정편(24)은 소켓하우징(10)의 하면으로 돌출 배치되면서 통상의 회로기판 등에 삽입되어 납땜에 의해 회로에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탄성접속편은 접속구(11)로 삽입된 접속핀의 외측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면서 터미널(20)과 접속핀이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편(21)의 전방으로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되, 상부측으로는 상기 베이스편(21)과 연결되어 접속구(11)의 내측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연결편(221)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편(221)의 하부측으로는 베이스편(21)과 이격되되 접속구(11)의 내측방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절곡편(222)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접속구(11)의 내측으로 통상의 접속핀을 삽입하면, 접속핀의 양 측으로 상기 절곡편(222)의 하단이 밀착되면서 절곡편(222)이 외측방으로 밀려나가게 되고, 이 상태에서 접속핀이 접속구(11)의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되면 터미널(20)과 접속핀이 안정적인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접속핀과 절곡편(222)의 접점은 절곡편(222)의 최하단에 위치함에 따라 절곡편(222)의 탄성변형력이 극대화되고, 접속핀의 반복적인 삽입과 이탈에도 절곡편(222) 및 연결편(221)에 가해지는 잔류응력이 최소화되면서 절곡편(222)과 연결편(221)에 피로파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소켓의 신뢰성이 더욱 증대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접속핀과 접촉되는 절곡편(222)의 하단 모서리에는 접속핀의 삽입 및 이탈 방향으로 따라 라운드면(223)을 형성하여 접속핀이 터미널(20)의 내측으로 삽입될 때 라운드면(223)이 접속핀과 맞닿도록 함으로써 접속핀과 터미널(20)의 접촉 면적이 상시 일정하게 유지되어 플러그핀이 휘어지는 등의 변형이 발생되거나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소켓이 상시 일정한 접속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라운드면(223)에 접속핀의 외측면이 마찰 접촉됨으로써, 마찰에 의한 접속핀 및 터미널(20)의 손상이 최소화되어 터미널(20)과 접속핀의 접촉이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베이스편(21)의 중앙부에는 상기 접속구(11)의 내측으로 돌출 되어 접속핀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보조접속돌기(211)를 형성하여 접속핀이 상술한 절곡편(222)과의 접촉 뿐만 아니라 베이스패널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도록 하여, 터미널(20)과 접속핀의 접속이 동시에 세 부분에서 이루어지게 되어 터미널(20)과 접속핀 사이의 전류의 흐름이 더욱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술한 보조접속돌기(211)는 베이스패널에 일체로 단조 가공하여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베이스패널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별도의 금속재의 조각을 부착하는 것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터미널의 탄성접촉편에 절곡편을 형성하고, 절곡편의 하단 모서리가 접속핀에 접촉되도록 하여 회로 접속용 소켓의 내구성이 증되되면서 터미널이 접속핀에 더욱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한 회로 접속용 소켓의 터미널을 제공함으로서, 터미널과 접속핀의 반복적인 결합 및 분리에도 소켓이 안정적인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소켓의 신뢰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절곡편의 하단 모서리에 라운드면을 형성하여 터미널과 접속핀의 접촉면적이 상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서, 접속핀이 변형되거나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소켓이 상시 일정한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터미널과 접속핀의 마찰에 의한 접속핀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편에 보조접속돌기를 형성하여 터미널과 접속핀의 접촉이 세 부분에서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터미널과 접속핀이 더욱 안정적이고 원활한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소켓하우징(10)의 접속구(11)에 삽입되고, 상기 접속구(11)의 내측 벽면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베이스편(21)과, 상기 베이스편(21)의 상부 양 측이 수직으로 절곡되어 접속핀의 양 측면에 접촉되는 탄성접촉편(22)과, 상기 베이스편(21)의 하부 양 측이 수직으로 절곡되어 상기 접속구(11)의 하부 내측면에 배치되는 접속핀 수용편(23)과, 상기 베이스편(21)의 하방으로 상기 소켓하우징(10)의 저면으로 돌출되면서 회로기판에 고정되는 기판고정편(24)으로 구성된 회로 접속용 소켓의 터미널(20)에 있어서;
    상기 탄성접촉편(22)은;
    상부측으로 상기 베이스편(21)과 연결되고, 상기 접속구(11)의 내측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연결편(221)과, 상기 연결편(221)의 하부측으로 상기 베이스편(21)과 이격되되 상기 접속구(11)의 내측방으로 경사지게 절곡되는 절곡편(222)으로 구성되고, 상기 절곡편(222)의 하단 모서리가 상기 접속핀의 양 측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편(21)의 중앙부에, 상기 접속구(11)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접속핀의 외측면과 접촉되는 보조접속돌기(2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접속용 소켓의 터미널.
KR1020070033189A 2007-04-04 2007-04-04 회로 접속용 소켓의 터미널 KR100895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189A KR100895697B1 (ko) 2007-04-04 2007-04-04 회로 접속용 소켓의 터미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189A KR100895697B1 (ko) 2007-04-04 2007-04-04 회로 접속용 소켓의 터미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0103A KR20080090103A (ko) 2008-10-08
KR100895697B1 true KR100895697B1 (ko) 2009-04-30

Family

ID=40151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3189A KR100895697B1 (ko) 2007-04-04 2007-04-04 회로 접속용 소켓의 터미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569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7619A (ja) * 1991-11-13 1993-08-27 Molex Inc 雌形電気コンタク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7619A (ja) * 1991-11-13 1993-08-27 Molex Inc 雌形電気コンタク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0103A (ko) 200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26231B (en) Electrical connector
US7803011B1 (en) Battery connector
CN101133522B (zh) 板安装电连接器
US6315620B1 (e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a pre-loaded straddle mounted connector assembly
US9502815B2 (en) Electrical connector
JP4938746B2 (ja) 電気コネクタ
US9843117B2 (en) Connector, and header and socket which are used in connector
JP2015041449A (ja) 電気コネクタ
US6390828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providing floating movement between connectors
JP2011076755A (ja)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US20090075511A1 (en) Socket and electrical assembly including the socket
KR101089789B1 (ko) 커넥터
US9711877B2 (en) Plug and connector module
KR100895697B1 (ko) 회로 접속용 소켓의 터미널
KR101651653B1 (ko) 와이어 투 와이어 커넥터 조립체
US7887378B2 (en) Audio jack connector
KR101705076B1 (ko)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
TWM499690U (zh) 電連接器
KR200431623Y1 (ko) 기판 연결용 커넥터
TWI580127B (zh) 電連接器組合
KR101113500B1 (ko) 리셉터클과 플러그 간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장치
KR20180079552A (ko) 소켓 커넥터
KR100933534B1 (ko) 회로 접속용 커넥터의 접속핀
KR200309346Y1 (ko) 전자커넥터용 단자구조
KR20080044046A (ko) 커넥터의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