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4715B1 - 가발 - Google Patents

가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4715B1
KR100894715B1 KR1020070081951A KR20070081951A KR100894715B1 KR 100894715 B1 KR100894715 B1 KR 100894715B1 KR 1020070081951 A KR1020070081951 A KR 1020070081951A KR 20070081951 A KR20070081951 A KR 20070081951A KR 100894715 B1 KR100894715 B1 KR 100894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g
phase change
cap
change materia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1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7308A (ko
Inventor
강현송
김영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진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진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진화장품
Priority to KR1020070081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4715B1/ko
Publication of KR20090017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7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4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4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41Bases for wi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08Fastening thereof
    • A41G3/0033Fastening thereof by mechanical fasteners, e.g. clasps or comb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41Bases for wigs
    • A41G3/005Bases for wigs made of a net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쾌적한 착용감과 아울러 각종 피부 트러블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표면에 다수의 모발이 식모되고, 머리 및 탈모부위에 씌울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 캡을 갖는 가발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변화물질(PCM:Phase Change Material)을 포함하는 가발이 개시된다.
가발, 상변화물질(PCM:Phase Change Material), 미세전류, 자성체

Description

가발{WIG}
본 발명은 가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머리 및 탈모부위에 씌울 수 있도록 형성된 캡 또는 그 내측면에 착용자의 두피 온도가 상승하거나 낮아지지 않도록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상변화물질(PCM:Phase Change Material)을 적용함으로써 쾌적한 착용감을 제공하며 각종 피부 트러블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두피에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미세 전기에 의한 전류를 가하여 마사지 기능은 물론이고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가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머리카락이 거의 없는 대머리나 탈모증 환자 등은 머리에 가발을 착용함으로써 대머리를 감추거나 빈약한 모발로 인한 스트레스를 해소하여 대인관계의 기피 등 사회생활에 부적응을 극복하게 된다.
이러한 가발은 통상 착용자의 머리형태로 형성된 캡과, 이 캡의 표면에 식모되는 다수의 모발 및 가발이 착용자의 머리에 견고하면서 안정적으로 착용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클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캡은 나일론사와 폴리에스테르사 등에 의해 망체로 직조되거나, 폴리우 레탄, 폴리카보네이트 등과 같은 연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인조피부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가발은 장시간 착용시 착용자의 두피를 외기와 차단시키기 때문에 인체에서 발생되는 열과 땀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고 습한 상태가 지속될 뿐만 아니라, 노폐물이나 먼지 등이 쌓여서 각종 세균이 서식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피부질환 등이 쉽게 유발되는 등 오랜 시간 동안 착용하기에는 상당히 곤란한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한편, 상변화물질(PCM:Phase Change Material)은 주위의 온도가 변할 때 설정되어진 온도에 따라 열을 자체적으로 흡수 저장 또는 방출함으로써 온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인 기능성 물질로서, 원천재료 상태 또는 마이크로캡슐화하여 섬유, 인조피혁 등 다양한 재료에 적용이 가능하며, 이를 응용한 의복의 경우 운동 등으로 인한 과잉열을 흡수 저장하여 체온의 상승을 막아주고 일정온도 이하로 떨어질 경우에는 저장된 열을 방출하여 체온의 저하를 막아주어 인체가 느낄 수 있는 온도의 변화폭을 최소화함으로써 착용자에게 항상 안락함을 제공한다.
이러한 상변화물질을 이용한 기술은 미국의 국방부나 항공우주국(NASA) 등에서 특수목적을 갖고 개발하였으며, 일반적으로는 냉동탑차나 물품우송용 저장박스, 선박·항공기의 냉동창고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인체에 미약한 전기를 통하게 하면 그 자극으로 근육이 마사지 되고, 신경을 진정시킴과 동시에 혈행을 촉진시켜 결림 등에 의한 급성 및 만성 통증을 완화 및 피로회복에 도움이 된다.
또한, 인체에 자기를 공급하면 적혈구 속의 철분에 영향을 미쳐 뭉쳐진 적혈구가 풀어지고 혈액의 작용기전이 활발해지며 아울러 이온효과를 촉진하여 혈액순환이 정상화되고 산소효율을 높아지게 하는 것으로 연구결과 밝혀졌다.
이에 본 발명자는 다년간 자기장과 저주파 및 상변화물질(PCM)의 효능을 가발에 적용하고자 예의 연구를 거듭하였으며, 그 결과로서 자성체와 저주파 및 상변화물질(PCM)을 포함하는 가발이 두피의 건강을 유지하고 세균증식을 억제 및 피부질환을 예방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목적은 두피 및 그 주위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각종 피부 트러블의 발생을 방지하고,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발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두피에 일정시간 동안 미세전류를 가하여 마사지 기능과 함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가발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체에 유익한 자기장을 방출하는 가발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표면에 다수의 모발이 식모되고, 머리 및 탈모부위에 씌울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 캡을 갖는 가발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변화물질을 포함하는 가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표면에 다수의 모발이 식모되고, 머리 및 탈모부위에 씌울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 캡을 갖는 가발에 있어서, 상기 캡의 내측면에 배열되는 전도체와, 상기 전도체에 접속되는 접속단자와, 상기 접속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도체에 미세전류를 출력하는 전원부 및 상기 전도체로 인가되는 전원부의 전류를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온/오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발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 및 과제 해결 수단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발은 캡의 내측면에 상변화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두피를 항상 더위와 추위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등 두피 및 그 주위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편안하고 쾌적한 착용감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가발의 착용에 따른 각종 피부 트러블의 발생 및 스트레스를 방지하고, 그로 인한 인체의 생체리듬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발은 인체에서 발생하는 신경전류와 유사한 작용을 하는 전원부의 미세전류가 전도체를 통해 두피에 전기적인 자극을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 간격으로 연속해서 가하기 때문에 두피의 마사지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그에 따른 혈액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근육의 긴장 완화 및 신경을 안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발은 자성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자성체에서 방출되는 강력한 자기장에 의해 두피 내의 혈관이 자극을 받아 혈류가 개선되고, 이에 따라 증가되는 음이온은 혈행을 개선시켜 체내 노폐물을 신속하게 배출시키므로 신진대사 기능이 활발해진다. 따라서 혈액 내의 산소량이 충분해져 가발을 착용하고 있는 동안 머리에 쌓이는 피로감이 훨씬 최소화되고 피로회복 속도도 아주 빠를 뿐만 아니라, 신경계통의 균형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두통 등 머리에 관련된 통증 예방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가발을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불편하지 않은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개념 및 통용되는 고유의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발을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발은 표면에 다수의 모발(20)이 식모되고, 머리 및 탈모부위에 씌울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 캡(10)에 상변화물질(PCM:Phase Change Material)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모발(20)은 캡(10)에 다수가 식모되는 것으로, 자연스러운 헤어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도록 인모 또는 인조모로 구비된다.
캡(10)은 착용자의 머리 및 탈모부위를 커버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메쉬구조의 망체 형상으로 하여 상향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된다.
또한, 캡(10)은 마이크로캡슐 형태의 상변화물질을 함침한 섬유파이버를 이용하여 망사 형태로 직조하거나 또는 마이크로캡슐 형태의 상변화물질을 함침하여 직조된 섬유원단을 부착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발을 완성할 수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캡슐 형태의 상변화물질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절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섬유파이버 또는 섬유원단에 수백만 개가 고착되며 일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자동으로 열을 흡수하고, 일정온도 이하로 떨어지면 자동으로 열을 방출하여 단열, 보온, 냉각 효과를 동시에 실현하는 자동온도조절용 소재로서, 두피의 온도가 미리 설정한 온도보다 올라가면 고체 상태의 상변화물질이 액체로 변하면서 열을 흡수하여 차가운 느낌을 주게 되고, 두피의 온도가 미리 설정한 온도보다 내려가면 액체 상태의 상변화물질이 고체로 변하면서 열을 방출하여 따뜻한 느낌을 주는 등 두피와 주위의 온도에 따라 지속적으로 상태를 자동변환하여 최적의 온도영역을 유지시킨다.
여기서, 상변화물질은 전이온도(열을 최대로 흡수하고 방출하는 기준 온도)가 원하는 온도 영역이고 열용량과 잠열이 크며 과냉각 현상이 작아야 하고 또한 독성, 가연성, 환경오염성이 없고 화학적으로 안정하여 반복 사용이 가능하며 재현성이 좋아야 한다.
그리고 상변화물질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분자물질 코팅층인 보호막(92)으로 둘러싸인 마이크로캡슐(90) 형태로 마련함으로써 상변화물질의 열교환 표면적이 증가되고, 상변화물질을 보호하여 상변화에 따른 잠열을 효율적으로 이용 할 수 있다.
아울러 상변화물질을 가발에 적용하려면 정상 체온에서는 상변화를 일으키지 않다가 두피에서 땀이 등이 발생할 때 그 순간 흡열하면서 상변화를 일으켜야 하기 때문에 그 상변화 전이온도는 20℃ 내지 38℃ 범위로 설정함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온도에서 상변화하는 물질로는 도데카놀(Dodecanol), 데카노익산(Decanoic acid), 도데카노익산(Dodecanoic acid), 옥타데카노익산(Octadecanoic acid), 옥타데카인(Octadecane) 또는 헥사데카인(Hexadecane)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발은 상변화물질을 포함하므로 인해 두피를 항상 더위와 추위 등으로부터 보호하여 신체를 균형있고 편안하게 유지시키며, 과도한 열과 땀 방지를 통해 가발의 쾌적한 착용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두피 및 그 주위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각종 피부 트러블의 발생을 방지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발은 은나노 코팅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은나노 코팅층은 캡(10)의 표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스프레이 등의 분사도구를 이용하여 은나노액을 도포하거나 캡(10)을 은나노액이 수용된 드럼을 통과시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은나노 코팅층은 대장균을 비롯한 약 650종의 세균에 탁월한 항균 및 살균 활성기능과 함께 탈취 효과가 뛰어나 가발의 착용시 두부의 땀과 열로 인한 세균 증식을 억제할 수 있어 두피의 건강을 유지시킴은 물론이고, 뛰어난 전기도전성을 가지며 정전기 발생방지와 유해전자파 차단 및 각종 세균으로 인한 피부질환 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클립(40)은 가발이 착용자의 머리에 견고하면서 안정적으로 착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캡(10)의 내측에 다수가 구비되어 있다.
자성체(30)는 자기장을 방출하는 것으로, 캡(10)의 내측면에, 바람직하게는 가발의 착용시 인체의 혈점과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가 일정한 패턴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자성체(30)는 강력한 자기장을 방출하므로 두피 내의 혈관에 영향을 끼쳐 혈류를 촉진하고 음이온을 증가시킨다. 그리고 혈액 내의 음이온 증가는 곧 혈행의 촉진으로 이어지므로 혈액 내 산소량이 늘어나면서 체내의 노폐물이 신속하게 제거된다.
따라서 인체의 신진대사 기능이 활발해지므로 피로회복이 훨씬 빠르고, 신경계통의 균형이 유지되어 두통 등 머리의 혈류이상과 관련된 제반 통증도 단기간에 치유될 수 있게 된다.
<제2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발을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발은 표면에 다수의 모발(20)이 식모되고, 머리 및 탈모부위에 씌울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 캡(10)과, 캡의 내면에 배열되는 전도체(50)와, 전도체에 접속되는 접속단자(60)와, 접속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도체에 미세전류를 출력하는 전원부(70) 및 전도체로 인가되는 전원부의 전류를 일 정한 시간간격으로 온/오프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모발(20)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캡(10)에 다수가 식모되는 것으로, 자연스러운 헤어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도록 인모 또는 인조모로 구비된다.
캡(10)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착용자의 머리 및 탈모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메쉬구조의 망체 형상으로 하여 상향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된다.
전도체(50)는 캡(10)의 내측에 다수가 일정한 형태로, 바람직하게는 가발의 착용시 인체의 경락과 대응하는 패턴을 가지며 배열되고 가발의 착용시 두피에 접촉되는 것으로, 제어부(80)의 제어신호에 따라 미세전류를 두피에 출력한다.
이러한 전도체(50)는 인체에 무해한 금, 은 등으로 이루어진 전도성물질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패드나 전자 침 형태로 구비할 수도 있다.
접속단자(60)는 전도체(50)와 전원부(70)의 전기적인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전도체(50)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접속단자(60)는 전원부(70)의 방전에 따른 충전 및 교환작업이 용이하도록 한다.
전원부(70)는 접속단자(60)를 통해 전도체(50)에 미세전류를 공급하는 것으로, 두께가 얇은 박판 형태이면서 외력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공지의 배터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80)는 전도체(50)로 인가되는 전원부(70)의 전류를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온/오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발은 인체에서 발생하는 신 경전류와 유사한 작용을 하는 전원부의 미세전류가 전도체를 통해 두피에 전기적인 자극을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 간격으로 연속해서 가하기 때문에 두피의 마사지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그에 따른 근육의 긴장 완화 및 신경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전원부로부터 발생되는 미세전류가 인체의 경혈을 자극함으로써 말초순환계를 개선하여 혈류를 촉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발은 상술한 제1실시예의 상변화물질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변화물질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발은 상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작용효과를 나타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발의 내면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변화물질을 마이크로캡슐화한 상태를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캡슐화된 상변화물질을 포함하는 캡을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캡슐화된 상변화물질의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발의 내면을 나타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캡 20: 모발
30: 자성체 40: 클립
50: 전도체 60: 접속단자
70: 전원부 80: 제어부
90: 마이크로캡슐 92: 보호막

Claims (10)

  1. 삭제
  2. 표면에 다수의 모발이 식모되고, 머리 및 탈모부위에 씌울 수 있는 형태로 형성하되, 보호막을 갖는 마이크로캡슐 형태로 이루어져 상변화 기억온도를 20℃ 내지 38℃ 범위로 설정한 상변화물질이 함침되고, 은나노가 코팅된 캡을 갖는 가발에 있어서,
    상기 캡은 머리에 견고하면서 안정적으로 착용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클립과;
    상기 캡의 내측면에 배열된 다수의 자성체; 및 전도체와;
    상기 전도체에 접속되는 접속단자와;
    상기 접속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도체에 미세전류를 출력하는 전원부; 및
    상기 전도체로 인가되는 전원부의 전류를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온/오프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가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70081951A 2007-08-14 2007-08-14 가발 KR100894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951A KR100894715B1 (ko) 2007-08-14 2007-08-14 가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951A KR100894715B1 (ko) 2007-08-14 2007-08-14 가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308A KR20090017308A (ko) 2009-02-18
KR100894715B1 true KR100894715B1 (ko) 2009-04-24

Family

ID=40686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1951A KR100894715B1 (ko) 2007-08-14 2007-08-14 가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47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243B1 (ko) 2009-08-31 2012-03-16 김영배 가발용 캡
WO2014013150A1 (fr) 2012-07-16 2014-01-23 PAPIN ÉPOUSE TAHRI, Claire Système de perruque comportant un accessoire de régulation de la températu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9737A (en) * 1987-11-04 1990-08-21 Aderans Co., Ltd. Wig having shape retaining element
KR200327917Y1 (ko) * 2003-06-30 2003-09-26 이오승 온도 조절 기능 모자
KR200401096Y1 (ko) * 2005-06-15 2005-11-23 양원동 기능성 가발
KR100577734B1 (ko) * 2005-01-11 2006-05-10 박진수 두피 자극수단이 구비된 가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9737A (en) * 1987-11-04 1990-08-21 Aderans Co., Ltd. Wig having shape retaining element
KR200327917Y1 (ko) * 2003-06-30 2003-09-26 이오승 온도 조절 기능 모자
KR100577734B1 (ko) * 2005-01-11 2006-05-10 박진수 두피 자극수단이 구비된 가발
KR200401096Y1 (ko) * 2005-06-15 2005-11-23 양원동 기능성 가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243B1 (ko) 2009-08-31 2012-03-16 김영배 가발용 캡
WO2014013150A1 (fr) 2012-07-16 2014-01-23 PAPIN ÉPOUSE TAHRI, Claire Système de perruque comportant un accessoire de régulation de la tempéra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308A (ko) 200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0218B1 (ko) 두피 자극을 위한 미세전류 장치
US8909344B2 (en) Head worn brain stimulation device and method
US6066164A (en) Heating device for heating a skin surface on partial areas of the human body
KR20210125052A (ko) 스킨 케어 장치
ES2356740T3 (es) Kit de tratamiento que comprende una estructura compuesta y un cabezal excitador.
CN106029163B (zh) 具有独立的电流管理的离子电渗装置
WO2014119025A1 (ja) 目元ケア用の美容器具
KR101379385B1 (ko) 안면 혈자리 자극을 위한 자석을 구비하는 마스크 팩
CN108379734B (zh) 一种区域化透皮离子电渗给药系统
KR20110058839A (ko) 발한 및 다한증의 치료
US9707172B2 (en)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neuropathy
KR100894715B1 (ko) 가발
JP2019501706A (ja) ヒトケラチン物質を、電流を用いて処理するためのデバイス
KR20200007717A (ko)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
BR112020025399B1 (pt) Dispositivo para aumentar a absorção de substâncias através da pele de um animal ou humano
US20170239466A1 (en) Iontophoretic soft capsule
CN204274780U (zh) 具有自体供电层的伤口敷料
US11337467B2 (en) Article of clothing with magnets
KR100852989B1 (ko) 가발 제조방법 및 그 가발
US20190046786A1 (en) Electric cosmetic article having a repositionable battery
JP2018042886A (ja) 携帯型イオン導入デバイス
RU199722U1 (ru) Маска для электрофореза лица
KR102502372B1 (ko) 자기장 및 광을 이용한 피부 자극 키트 및 피부 자극 기기
KR20240075035A (ko) 약액 전달용 마스크팩 및 약액 투입기
KR20220144587A (ko) 입자 형태의 양극 및 패턴 형성된 음극을 포함하는 마스크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