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4621B1 - Separation Apparatus used Module - Google Patents
Separation Apparatus used Modu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94621B1 KR100894621B1 KR1020070051589A KR20070051589A KR100894621B1 KR 100894621 B1 KR100894621 B1 KR 100894621B1 KR 1020070051589 A KR1020070051589 A KR 1020070051589A KR 20070051589 A KR20070051589 A KR 20070051589A KR 100894621 B1 KR100894621 B1 KR 1008946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 fixed
- filter net
- strainer
- separation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48—Stretching devices for screens
- B07B1/49—Stretching devices for screens stretching more than one screen or screen section by the same or different stretch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07B1/36—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jigging or moving to-and-fro in more than one dire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별 대상물의 크기 또는 종류에 구애됨이 없이 사용됨은 물론 선별 대상물을 각 크기별로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안내 레일이 형성된 수직 프레임 하부에 설치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장치,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진 케이스에는 내부 상측에 선별 대상물을 분리하는 상부 걸름망이 고정되고 상기 상부 걸름망의 하부 양쪽에는 하부 걸름망이 고정되며 상기 케이스는 진동 발생장치가 설치된 수직 프레임 상부에 하나 이상의 단으로 적층되는 모듈 형태로 설치되는 분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걸름망은 상부로 돌출된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 선단에는 수평으로 연장된 연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걸름망에는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걸름망 하부에는 제1배출구가 형성된 상부 받침대가 고정되며, 상기 하부 걸름망은 케이스의 내측면 양쪽에서 각각 중앙쪽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에는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걸름망 하부에는 제2배출구가 형성된 하부 받침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without regard to the size or type of the screening object, as well as to separate the screening object for each size,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frame formed below the guide rail to generate a vibration, consisting of a cube The upper strainer for separating the sorting object is fixed to the inner upper side and the lower strainer is fixed to the lower both sides of the upper strainer, the case is installed in the form of a module stacked in one or more stages on top of the vertical frame in which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is installed It includes a separator, the upper mesh is formed inclined surface inclined downward to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protruding upward,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with an extension extending horizontally, the upper mesh i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Through holes are formed and the upper strainer An upper pedestal formed with a first outlet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and the lower strainer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center on each of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case,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inclined surface, and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strainer has a second outlet.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pedestal is formed.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모듈식 분리장치는 필요에 따라 케이스만을 교체하는 것으로 선별 대상물 크기에 따라 분리할 수 있으며, 분리장치인 케이스의 증감으로 선별 대상물의 분리 단계를 간편하게 증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스 내부의 상부 걸름망과 하부 걸름망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선별하고자 하는 대상물에 구애됨이 없이 선별 대상물을 분리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Such a modular separ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para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election object by replacing only the case as needed, and can easily increase or decrease the separation step of the selection object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separation device case as well as inside the case. The upper strainer and the lower strainer of the net can be easily replaced, there is a useful effect of separating the screening object without being bound to the object to be screened.
분리장치, 모듈, 케이스, 걸름망, 고정수단 Separation device, module, case, strainer, fastening means
Description
도1a는 종래의 현미 분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brown rice separator.
도1b는 종래의 현미 분리장치를 도시한 단면도.Figure 1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brown rice separator.
도2a는 종래의 곡물 분리장치를 도시한 단면도.Figure 2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grain separator.
도2b는 종래의 곡물 분리장치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Figure 2b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grain separation device.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모듈식 분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ular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모듈식 분리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ular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모듈식 분리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dular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도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모듈식 분리장치가 겹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dular separa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verlapped.
도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모듈식 분리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Figure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ular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모듈식 분리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Figure 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ular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모듈식 분리장치 110: 진동 발생장치100: modular separator 110: vibration generating device
111: 프레임 112: 수직 프레임111: frame 112: vertical frame
112a: 안내 레일 113: 받침 프레임112a: guide rail 113: support frame
114: 받침판 115: 구동 모터114: base plate 115: drive motor
116: 회전축 117: 편심캠116: rotation axis 117: eccentric cam
150: 분리장치 151: 받침판150: separator 151: support plate
152: 바퀴 160: 케이스152: wheel 160: case
161: 투입구 162: 경첩161: inlet 162: hinge
163: 배출구 164: 바퀴163: outlet 164: wheels
170: 여과망 171: 상부 여과망170: filter network 171: upper filter network
171a: 여과 구멍 172: 상부 받침대171a: filtration hole 172: upper pedestal
173: 제1배출구 174: 경사면173: first outlet 174: inclined surface
175: 하부 여과망 176: 하부 받침대175: lower filter network 176: lower pedestal
177: 제2배출구 180: 고정수단177: second outlet 180: fixing means
181: 고정 플레이트 183: 결합공181: fixing plate 183: coupling hole
185: 스토퍼 186: 제1걸림부185: stopper 186: first locking portion
187: 제2걸림부 188: 스프링187: second locking portion 188: spring
본 발명은 모듈식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리하고자 하는 선별 대상물을 분리하고자 하는 크기별로 분리하는 모듈식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ar separ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dular separation device for separating the sorting object to be separated by the size to be separated.
분리장치는 흙과 모래, 모래와 자갈, 쌀, 보리, 콩, 메밀 등의 선별 대상물을 서로 다른 흙과 모래를 별도로 분리하거나 모래와 자갈을 별도로 분리함은 물론 쌀과 왕겨 등을 분리하는데 사용되며, 분리장치는 그 선별하고자 하는 선별 대상물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분리장치가 사용되고 있다.Separation device is used to separate the soil and sand, and to separate the soil and sand, sand and gravel, rice, barley, soybean, buckwheat, etc. In the separation device, various kinds of separation devices are used according to the sorting object to be sorted.
이러한 분리장치는 선별하고자 하는 선별 대상물에 적합하도록 이루어져 있어 다른 종류의 선별 대상물을 선별하는데 분리장치를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Such a separation device is made to be suitable for the screening object to be screened, it is not possible to use the separation device for screening other types of screening objects.
분리장치로는 현미와 왕겨를 분리하는 분리장치, 곡물과 이물질을 분리하는 분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Separators include a separator that separates brown rice and rice husk, and a separator that separates grain and foreign matter.
이러한 분리장치로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999-17455호(발명의 명칭: 현미와 왕겨 분리장치, 이하 '종래기술1'이라 함)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를 도1a 및 도1b에 도시하였다.Such a separation device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999-17455 (name of the invention: brown rice and chaff separation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which is shown in Figures 1a and 1b.
도1a 및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1의 현미와 왕겨 분리장치는 현미기에서 도정된 현미와 왕겨가 공급(투입)될 수 있도록 대략 기역자 형상으로 형성된 분리통(10)의 상면에 상향 돌출되게 설치되어 임의로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된 곡물분배조절판(16)을 포함하면서 이 곡물분배조절판(16)을 가운데에 두고 경사지게 함몰 형상으로 형성된 2개의 곡물투입구(12)가 구비된 곡물투입부(A)가 설치된다.As shown in Figure 1a and Figure 1b, the brown rice and rice husk separation device of the prior art 1 i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아울러 상기 곡물투입구(12)의 하부 쪽, 분리통(10)의 저면부에 설치됨과 더불어 송풍기(14)에 의한 공기흡입력에 의해 현미와 왕겨가 일차로 분리되어 현미가 투입 방향에서 직선 방향으로 낙하 배출되도록 상기 두 개의 곡물투입구(12) 중앙 부위를 가로막으면서 여덟 팔자 형상으로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된 공기분배판(17)을 포함하면서 이 공기분배판(17)의 하방으로 상단면에서 하단면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 현미배출구(13)가 구비된 현미왕겨분리부(B)가 설치된다.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상기 현미왕겨분리부(B)에서 일차 분리된 왕겨가 분리통(10) 내의 왕겨배출통로(11a,11b)를 따라 이송되어 배출될 때 왕겨에 혼합된 잔류 현미를 재차 분리하도록 상기 현미왕겨분리부(B)의 측면 쪽, 분리통(10)의 일측부에 일정크기의 공간으로 형성되어 그 하단면 쪽에 잔류현미배출구가 구비됨과 더불어 이 잔류현미배출구의 상부 분리통(10) 외측면에 공기조절판(19)이 구비된 잔류현미분리부(C)가 설치된다.The brown rice chaff separator to separate the remaining brown rice mixed in the rice husk again when the chaff first separated in the brown rice chaff separator (B) is transported and discharged along the chaff discharge passage (11a, 11b) in the separation container (10) A side of side (B) is formed in a space of a predetermined size in one side of the
상기 잔류현미분리부(C)의 측면에 왕겨흡입공(23)이 구비된 고정브라켓(22)에 설치되어 공기 흡입력으로 공기와 함께 왕겨를 흡입하여 배출하도록 모터의 구동에 의해 구동되는 송풍기의 흡입팬(21)과 왕겨배출구(15)가 구비된 송풍부(D)로 이루어진다.Suction of the blower which is installed in the
이와 같은 분리장치는 곡물분배조절판(16)의 곡물투입구(12)로 곡물이 투입되면, 이물질과 함께 투입된 현미는 공기분배판(17)에 의해 양쪽으로 갈라져 현미배출구(13)로 떨어지게 됨과 함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송풍팬(14) 회전으로 곡물분배조절판(16)으로부터 현미와 함께 떨어지는 이물질을 분리, 흡입되어 왕겨배출 통로(11a,11b)를 따라 이동되어 왕겨배출구(1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Such a separation device is when grain is introduced into the
이러한 분리장치는 현미와 왕겨를 분리하는 이점은 있으나, 이물질이 분리된 현미를 알갱이 크기에 따라 선별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This separation device has the advantage of separating brown rice and rice husk, but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can not screen the separated brown rice foreign matter according to the grain size.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3-53094호(발명의 명칭: 곡물 분리장치, 이하 '종래기술2'라 함)에는 전원이 인가되어 제1모터(31)가 구동되고, 이에 연결된 회전부재(33)가 하우징(32) 내부에서 곡물을 알곡과 이물질로 분리하는 곡물분리부(30), 상기 곡물분리부(30) 상부에 연결되어 외부의 곡물을 곡물분리부(30)의 내부로 이동시키는 흡입유도부(40), 상기 곡물분리부(30)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흡입유도부(40)를 통해 흡입된 곡물이 곡물분리부(30)에서 알곡과 이물질로 분리되고, 분리된 알곡을 외부의 저장부로 안내하는 곡물이송안내부(50), 상기 곡물분리부(30)에서 분리된 이물질과 공기를 제2모터(41)의 회전력에 흡입하여 여과시킨 후, 여과된 공기를 곡물이송안내부(50)로 이송된 알곡을 저장부로 이송시키도록 강제로 공급하는 집진부(60), 상기 집진부(60) 하부로 이동되는 이물질은 제3모터에 연결된 오가스크류(72)로 이동하여 로터리 휘다(73)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이물질배출부(70)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2003-53094 (name of the invention: grain separation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2") power is applied to drive the
이와 같은 곡물 분리장치는 흡입유도부(40)로부터 흡입된 곡물을 곡물분리부(30)에서 회전팬(33a)에 의해 곡물과 이물질이 분리되어 분리된 곡물은 곡물이송안내부(50) 밑으로 떨어지고, 이물질은 회전팬(33a)에 의해 오거스크류(72)로 떨어져 이물질 배출부(70)로 배출됨과 함께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는 집진부(60)를 거쳐 저장부로 공급된다.The grain separation device is such that the grain sucked from the
이와 같은 분리장치는 곡물과 이물질을 분리하는 이점은 있으나, 곡물의 입자 크기별로 분리하지 못하고, 서로 다른 종류의 선별 대상물을 분리하는데 사용하지 못하는 사용상 제약이 따르는 단점이 있었다.Such a separation device has the advantage of separating the grain and foreign matter, but can not be separated by the grain size of the grain, there was a disadvantage in use restrictions that can not be used to separate different types of screening object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별 대상물의 크기 또는 종류에 구애됨이 없이 사용되는 모듈식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dular separation device used without regard to the size or type of the screening objec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별 대상물을 각 크기별로 선별하는 모듈식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dular separation device for screening the sorting object by each siz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모듈식 분리장치는 선별 대상물이 투입되는 상자 형상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 상측에 고정되는 상부 여과망과 하측 양쪽에 고정되는 하부 여과망, 상기 케이스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직 프레임,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 발생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odular separ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x-shaped case into which the screening object is input, an upper filter net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case and a lower filter net fixed to both sides of the case, and the case can swing. And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for applying vibration to a lower portion of the case.
또한 본 발명의 모듈식 분리장치는 상부 여과망은 상부로 돌출된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 선단에는 수평으로 연장된 연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여과망에는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여과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여과망 하부에는 제1배출구가 형성된 상부 받침대가 고정되며,In addition, the modular separ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downward to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upper filter network protruding upwards,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with an extension extending horizontally, the upper filter network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ilter holes arranged in the form is formed, the upper pedestal formed with a first outlet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filter network,
상기 하부 여과망은 케이스의 내측면 양쪽에서 각각 중앙쪽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에는 여과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여과망 하부에는 제2배출구가 형성된 하부 받침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wer filter net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side of the case inclined downward inclined toward the center,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with a filtering hole, the lower pedesta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pedestal formed with a second outlet is fix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모듈식 분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모듈식 분리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모듈식 분리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ular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ular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resent invention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dular sepa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듈식 분리장치(100)는 프레임(111)에 설치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장치(110), 상기 진동 발생장치(110)에 의해 요동되면서 선별 대상물을 크기별로 분리하는 분리장치(150)로 이루어진다.3 to 5, the
상기 진동 발생장치(110)는 프레임(111) 일측에 고정된다. 이러한 프레임(111)은 일정 길이를 갖는 수직 프레임(112)과 수직 프레임(112)을 받치는 받침 프레임(113)으로 구성된다.The vibration generating
즉, 수직 프레임(112)은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서로 마주보게 고정되고, 받침 프레임(113)은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수직 프레임(112) 저면에 고정되며, 상기 받침 프레임(113)은 C형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the
상기 수직 프레임(112) 일측면에는 구동 모터(115)가 안정되게 설치되도록 받침판(114)이 고정되고, 구동 모터(115)에는 프레임(111)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회전축(116)이 결합되며, 회전축(116) 선단에는 편심된 편심캠(117)이 고정된다.The
이러한 진동 발생장치(110)는 구동 모터(115)의 구동에 의해 편심캠(117)의 회전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며, 진동 발생장치(110)는 프레임(111) 하부 쪽에 설치되어 진동이 발생되도록 솔레노이드, 실린더 등이 설치되어도 무방하다.The
아울러 수직 프레임(112) 하부에는 마주보고 있는 수직 프레임(112) 사이에 I 형강으로 된 중간 받침대(120)가 각각 고정되고, 중간 받침대(120)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봉(121)이 고정되는데, 봉(121)의 일단은 중간 받침대(120)에 고정되며, 봉(121)의 타단은 중간 받침대(120)를 관통하여 너트(122)가 체결된다.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상기 분리장치(150)는 육면체로 된 케이스(160), 케이스(160) 내부 상측에 고정되는 상부 여과망(171), 상기 상부 여과망(171)의 하부 양쪽에 고정되는 하부 여과망(175)으로 된 여과망(17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리장치(150)는 하나 이상의 케이스(160)가 수직 프레임(112)의 안내 레일(112a)에 하나 이상 중첩되게 설치된다.The
즉, 분리장치(150)는 내부에 상부 여과망(171)과 하부 여과망(175)이 고정된 하나의 케이스(160)일 수도 있고, 2개 또는 3개 등 필요에 따라 결합되도록 모듈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여러 개의 케이스(160)가 중첩될 수도 있다. That is, the
상기 분리장치(150) 저면에는 분리장치(150)가 안정되게 놓이도록 받침판(151)이 마련된다.A
이러한 받침판(151)은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받침판(151) 네 모서리에는 안내 레일(112a)을 따라 이동되도록 바퀴(15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분리장치(150)는 일측으로 길이가 긴 육면체 형태의 케이스(160)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공간부에는 다층으로 여과망(170)이 고정된다.
상기 여과망(170)은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 여과망(171)과 하부 양측에 각각 하부 여과망(175)이 고정된다.The
본 발명에서 상기 분리장치(150)는 하나 이상의 케이스(160)가 상하로 중첩되게 설치되므로, 하나의 케이스(160)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상기 케이스(160) 상면에는 선별 대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161)가 형성되고, 이 투입구(161)가 인접된 모서리에는 상부에 위치하는 다른 케이스(160)와 결합되도록 경첩(162)이 고정된다. 경첩(162)은 헐거운 끼워맞춤으로 결합되어 그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An input opening 161 through which the screening object is input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케이스(160) 저면에는 투입구(161)와 대각선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선별된 대상물이 밑으로 떨어지도록 배출구(163)가 형성되며, 배출구(163)와 인접한 모서리에는 하부에 위치하는 다른 케이스(160)와 결합되도록 경첩(162)이 고정된다.An
이러한 경첩(162)은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되는 케이스(160)를 연결하는 것 으로, 최상단 또는 최하단에 설치되는 케이스(160)에는 경첩(162)이 고정되지 않아도 무방하다.The
상기 케이스(160)의 하부 모서리와 이와 대칭된 상부 모서리에는 각각 수직 프레임(112)의 안내 레일(112a)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바퀴(164)가 결합되고, 케이스(160) 상면은 상부 모서리에 결합되어 있는 바퀴(164)를 중심으로 개폐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케이스(160) 내측 중간부에는 케이스(160) 폭 보다 작은 폭으로 된 상부 받침대(172)가 고정된다. The
상기 상부 여과망(171)이 고정된 상부 받침대(172) 일측면에는 선별된 대상물이 빠지는 제1배출구(173)가 형성되며, 상부 받침대(172) 양측면에는 상부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경사면(174)이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면(174)은 필요에 따라 상부 여과망(171)과 동일한 높이까지 형성되어도 무방하다.On one side of the
또한 상부 여과망(171)은 상부로 돌출된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이 경사면 선단에는 수평으로 연장된 연장부가 형성되며, 이들 중앙부, 경사면, 수평면에는 선별 대상물이 상부 받침대(172)로 떨어지도록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여과 구멍(171a)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상기 하부 여과망(175)이 고정된 하부 받침대(176) 일측면에는 선별된 대상물이 빠지는 제2배출구(177)가 형성되며, 하부 받침대(177)는 케이스(160) 중앙을 향해 상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된다.One side of the
또한 하부 여과망(175)은 케이스(160) 내측면에서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 성되고, 이 경사면에는 상부 여과망(171)과 같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여과 구멍(175a)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이러한 하부 여과망(175)은 케이스(160) 내측에 서로 마주보게 2개의 하부 여과망(175)이 고정된다.The
이러한 상부 여과망(171)과 하부 여과망(175)에 형성되는 여과 구멍(171a,175a)은 원형, 사각형, 마름모 등의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상부 여과망(171)의 여과 구멍(171a)은 하부 여과망(175)의 여과 구멍(175a) 보다 작게 형성된다.The filtering holes 171a and 175a formed in the
아울러 하부 여과망(175)의 여과 구멍(175a)은 케이스(160) 양측에 고정되는데, 이들 하부 여과망(175)의 여과 구멍(175a)의 크기를 달리 형성될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여과 구멍(175a)은 다른 하나의 여과 구멍(175a) 보다 크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ltration holes (175a) of the
이들 여과 구멍(171a,175a)은 필요에 따라 상하로 설치되는 케이스(160) 마다 다르게 형성되며, 선별 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se filtration holes (171a, 175a) is formed differently for each
또한 케이스(160) 측면에는 내부에 고정되는 여과망(170)을 교체 가능하도록 고정수단(180)이 고정된다. 상기 고정수단(180)은 케이스(160) 외측면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181), 고정 플레이트(181) 내부에는 케이스(160) 내측으로 출몰되는 스토퍼(185)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In addition, the fixing means 180 is fixed to the side of the
상기 고정 플레이트(181)는 케이스(160)에 고정되도록 상부와 하부에 체결 공(182)이 형성되고, 체결공(182) 사이에는 스토퍼(185)가 끼워지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고정 플레이트(181) 배면에는 스토퍼(185)가 끼워지는 결합공(183)이 형성된다.The fixing
상기 스토퍼(185)는 일정 길이를 가지며, 일단에는 결합공(183) 배면에 위치되는 제1걸림부(186)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측면에서 보아 삼각 형상으로 된 제2걸림부(187)가 형성되며, 이들 제1,2걸림부(186,187) 사이에는 스프링(188)이 끼워진다.The
아울러 고정수단(180)은 상부 여과망(171) 및 하부 여과망(175)의 상단에 다수개 고정되는데, 상부 여과망(171)에는 좌우 양측에 각각 3개의 고정수단(180)이 고정되고, 하부 여과망(175)에는 좌우 양측에 2개의 고정수단(180)이 고정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ixing means 180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이들 고정수단(180)의 제2걸림부(187)는 고정 플레이트(181) 내부의 공간부에 출몰되게 결합된다.The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모듈식 분리장치(100)는 케이스(160) 내부에 상부 여과망(171) 및 하부 여과망(175)이 고정되며, 이들 여과망(171,175)은 고정수단(180)에 의해 여과 구멍(171a,175a)의 직경이 다른 여과망(171,175)이 교체 가능하게 고정된다.The
이러한 케이스(160)는 상면 일측에 고정된 경첩(162)에 의해 상하로 중첩되게 결합되며, 상부측 케이스(160)와 하부측 케이스(160)는 각각 투입구(161)와 배출구(163)가 일치되게 결합된다.The
또한 상부 여과망(161)의 제1배출구(173)와 하부 여과망(175)의 제2배출구(177)에는 선별된 대상물이 외부로 빠지도록 유연한 재질로 된 플렉시블 관(도면상 미도시됨)이 연결되며, 프레임(111) 상단에는 선별 대상물이 담긴 호퍼(도면상 미도시됨)가 고정된다.In addition, a flexible pipe (not shown in the drawing) made of a flexible material is connected to the
상기 호퍼에는 쌀, 보리, 콩, 옥수수, 모래, 자갈 등 선별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담아두고, 프레임(111)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진동 발생장치(110)의 구동모터(115)에 전원을 인가시킨다. 이러한 분리장치(150)는 프레임(111)에 하나의 분리장치(150)가 설치된 것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The hopper contains rice, barley, soybeans, corn, sand, gravel and other objects to be sorted, and applies power to the
구동모터(115)는 인가된 전원으로 구동되어 회전축(116) 선단에 고정되어 있는 편심캠(117)이 회전되며, 편심캠(117)은 수직 프레임(112)의 안내 레일(112a)에 설치되어 있는 받침판(114)을 좌우로 요동시킨다.The
이에 따라 받침판(114)과 함께 그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분리장치(150)가 요동되며, 호퍼에 담긴 선별 대상물은 케이스(160) 내부로 진입되며, 선별 대상물은 케이스(160)의 투입구(161)로 투입된다.Accordingly, the
이렇게 투입된 선별 대상물은 케이스(160) 내부의 상부 여과망(171)으로 떨어지고, 상부 여과망(171)에 접촉되는 선별 대상물 중 여과 구멍(171a) 보다 작은 선별 대상물은 상부 여과망(171)을 통과하여 상부 받침대(172)로 떨어지게 된다.The sorting object introduced as described above falls into the
상기 상부 받침대(172)로 떨어진 선별 대상물은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1배출구(173)에 연결되어 있는 플렉시블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렇게 배출된 선별 대상물은 플렉시블 관을 따라 저장통 등으로 이동되어 담아지게 된다.The object to be separated from the
또한 상부 여과망(171)의 여과 구멍(171a)으로 떨어지지 않은 선별 대상물은 분리장치(150)의 요동에 의해 좌우 양측 하부에 고정되어 있는 하부 여과망(175)으로 떨어진다.In addition, the sorting object that does not fall into the
이렇게 하부 여과망(175)으로 떨어진 선별 대상물은 하부 여과망(175)의 여과 구멍(175a)을 통해 하부 받침대(176)로 떨어지고, 하부 받침대(176)로 떨어진 선별 대상물은 하부 받침대(176)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2배출구(177)를 통해 배출된다.The sorting object dropped to the
이와 같이 제2배출구(177)로 배출된 선별 대상물은 제2배출구(177)에 연결되어 있는 플렉시블 관을 통해 외부의 저장통 등에 담아지게 된다.The sorting object discharged to the
이러한 하부 여과망(175)의 직경은 전술한 상부 여과망(171)의 여과 구멍(175a) 직경 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부 여과망(171)에서 걸러지지 않은 선별 대상물이 걸러지게 된다.The diameter of the
또한 하부 여과망(175)으로 빠지지 않은 선별 대상물은 분리장치(150)의 요동으로 하부 여과망(175)의 일측 즉, 케이스(160)의 중앙쪽으로 떨어지게 되고, 케이스(160) 바닥면으로 떨어진 선별 대상물은 케이스(160)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구(163)를 통해 배출된다.In addition, the sorting object that does not fall into the
상기 배출구(163)로 배출된 선별 대상물은 배출구(163)에 연결되어 있는 플렉시블 관을 통해 저장통으로 이동된다.The sorting object discharged to the
이와 같이 상부 여과망(171)과 하부 여과망(175)에서는 선별 대상물을 각각 다른 크기로 선별하게 되는데, 상부 여과망(171)의 여과 구멍(171a)은 하부 여과 망(175)의 여과 구멍(175a) 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어 작은 입자를 고르게 되고, 하부 여과망(175)의 여과 구멍(175a)은 상부 여과망(171)의 여과 구멍(171a) 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 비교적 큰 입자를 고르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creening object is sorted into different sizes in the
이러한 상부 여과망(171)과 하부 여과망(175)의 통공(171a,175a)은 그 크기가 각각 다르게 형성되며, 이들 통공(171a,175a) 크기는 상부 여과망(171)의 여과 구멍(171a)이 크고, 하부 여과망(175)의 통공(175a)를 작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through
이에 따라 하나의 케이스(160)로 된 분리장치(150)에서는 상부 여과망(171)과 하부 여과망(175)에 의해 2단계로 선별 대상물을 분리할 수 있으며, 2개의 하부 여과망(175)의 여과 구멍(175a) 크기를 달리하여 3단계로 선별 대상물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n the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케이스(160)를 상하로 적층되게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이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되, 동일한 명칭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6,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one or
본 발명의 분리장치(150)인 케이스(16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151) 상면에 최하단 케이스(160a)가 고정되고, 최하단 케이스(160a) 상면에는 중간 케이스(160b)가 고정되는데, 최하단 케이스(160a)와 중간 케이스(160b)는 경첩(162)으로 결합되며, 중간 케이스(160b) 상면에는 최상단 케이스(160c)가 경 첩(162)으로 결합된다.As shown in FIG. 6, the
아울러 케이스(160)에 고정된 바퀴(164)는 서로 접촉됨에 따라 받침판(114) 상부의 케이스들(160)은 지그재그 형태로 경사진 각도로 설치된다.In addition, as the
이렇게 설치된 케이스(160)는 일정 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경사진 상태에서 선별 대상물이 선별되며, 각 케이스(160) 내부에 고정되어 있는 상부 여과망(171)과 하부 여과망(175)의 여과 구멍(171a,175a)은 각각 다른 직경으로 이루어진다.The
이에 따라 선별 대상물은 최상단 케이스(160c)에서 입자가 작은 크기로 분리되고, 중간 케이스(160b)에서는 중간 크기의 입자로 된 선별 대상물이 분리되며, 최하단 케이스(160a)에서는 큰 크기로 된 선별 대상물이 분리된다.Accordingly, the screening object is separated into particles of small size in the
즉, 이들 케이스(160)의 상부 여과망(171)과 하부 여과망(175)의 여과 구멍(171a,175a) 크기를 동일하게 하여 선별 대상물은 하나의 케이스(160)에서 동일한 크기로 분리되어 제1배출구(173) 및 제2배출구(177)로 배출된다.That is, the
이와 달리 각 케이스들(160a,160b,160c) 내부에는 상부 여과망(171)과 하부 여과망(175)의 여과 구멍(171a,175a) 크기를 달리하여 하나의 케이스(160)에서 각각 다른 크기의 입자로 분리하여 배출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each
이와 같은 분리장치(150)는 각각의 케이스(160)에서 서로 다른 크기의 입자로 분리하여 배출시킴에 따라 3단계에서 최대 9단계로 선별 대상물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The
또한 상부 여과망(171)과 하부 여과망(175)은 고정수단(180)에 의해 상부쪽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러한 상부 여과망(171)과 하부 여과망(175)은 케이스(160)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수단(180)의 제1걸림부(186)를 잡고 케이스(160) 바깥쪽으로 잡아당김에 따라 고정 플레이트(171) 안쪽에 있는 제2걸림부(187)가 후퇴된다.In addition, the
이렇게 제2걸림부(187)가 후퇴됨에 따라 상부 여과망(171) 또는 하부 여과망(175)을 상부로 들어올릴 수 있게 되고, 다른 쪽에 설치된 고정수단(180)도 제1걸림부(186)를 잡고 후퇴시킴에 따라 상부 여과망(171) 또는 하부 여과망(175)을 상부로 들어올려 빼낼 수 있게 된다.As the second catching
이와 같은 상부 여과망(171), 하부 여과망(175)은 케이스(160)로부터 빼낸 다음 선별 대상물의 선별하고자 하는 크기에 따라 여과 구멍(171a,175a)이 다른 상부 여과망(171) 또는 하부 여과망(175)으로 교체하게 된다.The
또한 각 케이스(160)에는 필요로 하는 크기의 여과 구멍(171a,175a)을 갖는 상부 여과망(171)과 하부 여과망(175)을 마련하여 필요에 따라 케이스(160)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each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장치(150)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데, 전술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동일한 명칭과 부호를 사용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7, can adjust the angle of the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의한 받침판(151) 일측에는 바퀴(152) 가 설치되고, 받침판(151) 타측에는 바퀴(152)가 설치되지 않는다.As shown in FIG. 7, the
이와 같은 제3실시예에 의한 분리장치(150)는 수직 프레임(112)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분리장치(150)의 각도가 조절된다.In the
즉, 수직 프레임(112)의 간격 조절은 중간 받침대(120)의 봉(121)에 체결되어 있는 너트(122)를 조임에 따라 수직 프레임(112) 간격이 좁아지게 되고, 케이스(160)는 수직 프레임(112)의 간격만큼 케이스(160)의 경사 각도가 높은 각도로 기울어지게 된다.That is, the interval of the
이에 따라 분리장치(150)인 케이스(160)는 선별하고자 하는 선별 대상물이 빠른 속도로 미끄러지면서 선별된다.Accordingly, the
이와 달리 수직 프레임(112)은 봉(121)에 체결되어 있는 너트(122)를 풀어줌에 따라 수직 프레임(112) 간격이 넓어지게 되고, 케이스(160) 각도는 경사진 각도가 완만하게 기울어지게 된다.On the contrary, the
이에 따라 케이스(160)로 투입된 선별 대상물은 더딘 속도로 이동되면서 선별된다. 이와 같이 제3실시예는 분리장치(150)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여 줌으로써 선별 대상물의 선별 속도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screening object introduced into the
또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장치(150)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데, 전술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동일한 명칭과 부호를 사용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8,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실시예에 의한 분리장치(150)는 양쪽에 있는 바 퀴(164)가 케이스(160)의 중간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As shown in FIG. 8, in the
이에 따라 제4실시예에 의한 모듈식 분리장치는 수직 프레임(112)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봉(121)의 너트(122)를 조임에 따라 수직 프레임(112) 간격이 좁아지게 되고, 수직 프레임(112)에 설치되어 있는 케이스(160) 각도는 경사가 심한 각도로 기울어지게 된다.Accordingly, in the modular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the
이와 같이 케이스(160)에 투입된 선별 대상물은 그 선별되는 속도가 빨라지게 된다.In this way, the sorting object introduced into the
또한 이와 달리 봉(121)에 체결되어 있는 너트(122)를 풀어주면 케이스(160) 각도가 완만한 각도로 이루어지게 되고, 케이스(160)에 투입된 선별 대상물은 그 선별되는 속도가 느려지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선별하는 선별 대상물을 빠른 속도로 선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분리장치(150)인 케이스(160) 각도를 높여 빠르게 선별할 수 있으며, 선별 대상물을 느린 속도로 선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분리장치(150)인 케이스(160) 각도를 낮추어 선별 대상물을 느린 속도로 선별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creening object to be sorted is selected at a high speed,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모듈식 분리장치는 필요에 따라 케이스만을 교체하는 것으로 선별 대상물 크기에 따라 분리할 수 있으며, 분리장치인 케이스의 증감으로 선별 대상물의 분리 단계를 간편하게 증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스 내부의 상부 걸름망과 하부 걸름망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선별하고자 하는 대상물 에 구애됨이 없이 선별 대상물을 분리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Such a modular separ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para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election object by replacing only the case as needed, and can easily increase or decrease the separation step of the selection object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separation device case as well as inside the case. It is possible to easily replace the upper strainer and the lower strainer of the screen, there is a useful effect of separating the screening object without being bound to the screening object.
또한 본 발명은 수직 프레임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케이스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선별 대상물의 이동 속도를 높여 신속하게 선별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useful effect that can adjust the case angle by adjusting the vertical frame interval to increase the speed of the selection object to sort quickly.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51589A KR100894621B1 (en) | 2007-05-28 | 2007-05-28 | Separation Apparatus used Modu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51589A KR100894621B1 (en) | 2007-05-28 | 2007-05-28 | Separation Apparatus used Modu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104599A KR20080104599A (en) | 2008-12-03 |
KR100894621B1 true KR100894621B1 (en) | 2009-04-24 |
Family
ID=40366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51589A KR100894621B1 (en) | 2007-05-28 | 2007-05-28 | Separation Apparatus used Modu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94621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32711A (en) * | 1997-10-20 | 1999-05-15 | 전병관 | Multistage vibrating separator |
JP2000061399A (en) | 1998-08-25 | 2000-02-29 | Yamamoto Co Ltd | Holding structure for oscillating sorting plate of rice huller |
KR20030011016A (en) * | 2002-09-28 | 2003-02-06 | 유한회사 개암환경 | aggregate and sand sorting system which is contained in construction waste |
KR20030063758A (en) * | 2002-01-24 | 2003-07-31 | 구경신 | Apparatus for separating rejuvenating aggregate from construction waste articles |
-
2007
- 2007-05-28 KR KR1020070051589A patent/KR100894621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32711A (en) * | 1997-10-20 | 1999-05-15 | 전병관 | Multistage vibrating separator |
JP2000061399A (en) | 1998-08-25 | 2000-02-29 | Yamamoto Co Ltd | Holding structure for oscillating sorting plate of rice huller |
KR20030063758A (en) * | 2002-01-24 | 2003-07-31 | 구경신 | Apparatus for separating rejuvenating aggregate from construction waste articles |
KR20030011016A (en) * | 2002-09-28 | 2003-02-06 | 유한회사 개암환경 | aggregate and sand sorting system which is contained in construction wast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104599A (en) | 2008-12-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53010B1 (en) | High efficiency grain foreign material removing devices | |
CN105170466B (en) | A kind of wheat combination sieve | |
CN109939936A (en) | A kind of multifunctional grain screening machine | |
KR20190004590A (en) | Stone separator | |
US11325158B2 (en) | Sieve device for fine cleaning of grainy material | |
CN107051897A (en) | A kind of color sorting dust removal device | |
KR100652225B1 (en) | Sorting equipment | |
CN211937819U (en) | Vibration cleaning sieve with refining feeding box | |
CN106269517A (en) | A kind of corn automatic screening machine | |
CN108787422B (en) | Agricultural is with cylindric corn miscellaneous separator that goes | |
KR100894621B1 (en) | Separation Apparatus used Module | |
KR100532854B1 (en) | Sorting Machine For A Bean | |
KR100870493B1 (en) | Multi separation apparatus of grader object | |
CN106000882B (en) | Multichannel multi-layer vibration descaling machine | |
CN209549974U (en) | Screening plant is used in a kind of screening of grain | |
KR20100043381A (en) | Beans selector system | |
US6220446B1 (en) | Particle size classifier | |
JP2001087145A (en) | Coffee chaffless device | |
CN209968921U (en) | Negative pressure screening selection by winnowing all-in-one | |
KR100756341B1 (en) | Trommel system | |
CN215278466U (en) | A sieving machine for flour screening | |
CN107694899A (en) | Drum-type grain screening machine | |
CN207401764U (en) | Air sieves | |
CN207308354U (en) | Compound proportion screening machine | |
CN217512036U (en) | Cotton seed sort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E801 |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AMND | Amendment | ||
B701 | Decision to gr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