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4569B1 - 상황 적응 기능을 구비하는 휴머나이즈 인형 - Google Patents

상황 적응 기능을 구비하는 휴머나이즈 인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4569B1
KR100894569B1 KR1020070118602A KR20070118602A KR100894569B1 KR 100894569 B1 KR100894569 B1 KR 100894569B1 KR 1020070118602 A KR1020070118602 A KR 1020070118602A KR 20070118602 A KR20070118602 A KR 20070118602A KR 100894569 B1 KR100894569 B1 KR 100894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ll
user
humanized
memory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8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인자
김명호
Original Assignee
전인자
김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인자, 김명호 filed Critical 전인자
Priority to KR1020070118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45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4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4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01Dolls simulating physiological processes, e.g. heartbeat, breathing or fev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28Arrangements of sound-producing means in dolls; Means in dolls for producing sou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200/00Computerized interactive toys, e.g. d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sychiatry (AREA)
  • Phy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황에 적응적으로 반응하는 기능을 갖는 인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작동 및 외부 환경의 변화에 따라 적응적으로 외부로 표현하는 기능을 갖는 인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황 적응 기능을 구비하는 휴머나이즈 인형은 인형을 사용하는 사용자별로 서로 다른 소리파일이 출력되도록 사용자별로 서로 다른 폴더에 소리파일이 저장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소리파일을 출력하는 스피커, 사용자로부터 음성 정보를 수집하는 마이크, 사용자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 사용자와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센서,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 심장박동소리 또는 진동을 출력하는 심장박동 표현장치, 인형 주변의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상기 센서, 카메라 또는 마이크로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 다양한 반응을 표현하도록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소리파일을 재생하거나 심장박동 표현장치를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현재의 사용자가 누구냐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된 각기 다른 음성신호를 출력할 수 있어, 단순한 인형으로서의 기능뿐이 아닌 인간적인 정과 친밀감을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휴머나이즈, 인형, 센서, 소리파일, 폴더, 메모리

Description

상황 적응 기능을 구비하는 휴머나이즈 인형{Humanized Doll With Adaptive Function}
본 발명은 상황에 적응적으로 반응하는 기능을 갖는 인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작동 및 외부 환경의 변화에 따라 적응적으로 외부로 표현하는 기능을 갖는 인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인형은 사람, 동물, 물건, 영화 속 인물 등과 같이 사용자에게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아이 어른 할 것 없이 많은 호감을 갖고 활용하는 애완품 중의 하나이다.
현재 시판되는 인형들은 고정적인 형태로 동작을 하지 않는 형태이거나 눈을 깜박이거나, 사용자가 수행하는 물리적인 힘의 변화에 따라 수동적으로 인형 몸의 관절 형태가 변화하거나, 미리 저장된 소리의 반복적인 재생이 전부이다.
이렇게 외부로 출력되는 단순 반복적인 형태의 소리는 사용자로 하여금 매우 빨리 싫증을 발생시킨다. 아이들이 하나의 인형에 금방 싫증을 느껴 또 다른 인형을 찾게 되므로 인형의 수명은 줄어들고 새로운 인형을 구매해야 하므로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최근 애완용 로봇기술이 급격히 발전되어 사용자와의 의사교환이 가능한 인형들이 시판되고 있으나, 이는 매우 고가일 뿐만 아니라 기계적인 특성을 많이 가지고 있으므로 인간적인 면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본 발명에서는 단순 인형으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친근한 음성의 표현 및 심장 박동과 같은 역동적인 상태를 표현할 수 있는 보다 인간적인 접근이 가능한 상황 적응 기능을 구비하는 휴머나이즈 인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상황 적응 기능을 구비하는 휴머나이즈 인형은 인형을 사용하는 사용자별로 서로 다른 소리파일이 출력되도록 사용자별로 서로 다른 폴더에 소리파일이 저장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소리파일을 출력하는 스피커, 사용자로부터 음성 정보를 수집하는 마이크, 사용자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 사용자와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센서,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 심장박동소리 또는 진동을 출력하는 심장박동 표현장치, 인형 주변의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상기 센서, 카메라 또는 마이크로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 다양한 반응을 표현하도록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소리파일을 재생하거나 심장박동 표현장치를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한다.
상기 마이컴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메모리의 해당 사용자 폴더에서 소리파일을 읽어들여 상기 스피커로 출력한다.
상기 마이컴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영상을 분석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메모리의 해당 사용자 폴더에서 소리파일을 읽어들여 상기 스피커로 출력한다.
상기 접촉센서는 인형의 입 부근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인형에 키스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 1 접촉센서 및 인형의 손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손을 잡거나 접촉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 2 접촉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마이컴은 상기 제 1 접촉센서로부터 사용자의 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메모리로부터 입맞춤에 관한 소리파일을 읽어들여 상기 스피커로 출력한다.
상기 마이컴은 상기 제 2 접촉센서로부터 사용자의 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메모리로부터 질문에 관한 소리파일을 읽어들여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고,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대답을 식별한 후, 책 내용이 저장된 소리파일 또는 노래가 저장된 소리파일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마이컴은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된 압력의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반응을 나타내는 소리파일을 상기 메모리로부터 읽어 상기 스피커로 출력한다.
상기 마이컴은 상기 거리센서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와의 거리가 소정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심장박동 표현장치를 구동한다.
상기 마이컴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발생되는 다양한 소리 및 음성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소리 및 음성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행동을 파악하여, 파악된 행동에 따른 반응 소리파일을 상기 메모리로부터 읽어들여 상기 스피커로 출력한다.
상기 마이컴은 상기 광센서를 통해 인형 외부의 조명이 켜지꺼나 꺼지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해당하는 상황에 대한 소리파일을 읽어들여 상기 스피커로 출력한다.
상기 마이컴은 상기 스피커를 통해 소리파일을 출력하는 경우 2회 이상 반복하여 소리파일을 출력한다.
상기 메모리는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 출력할 소리파일이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별 서브 폴더를 구비하고, 상기 서브 폴더에는 소리파일이 하나 이상 저장된다.
상기 마이컴은 상기 서브 폴더에 저장된 다수의 소리파일 중 하나를 임의로 선택하여 상기 스피커로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상황 적응 기능을 구비하는 휴머나이즈 인형은 조명의 밝기 변화와 사용자와의 거리변화에 따른 사용자별 선택적 음성 출력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각기 다른 인형의 신체 부위의 접촉에 따른 음성 출력 및 인형의 신체적 반응을 제공하며, 특히 현재의 사용자가 누구냐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된 각기 다른 음성신호를 출력할 수 있어, 단순한 인형으로서의 기능뿐이 아닌 인간적인 정과 친밀감을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황 적응 기능을 구비하는 휴머나이즈 인형의 구성이 도시된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황 적응 기능을 구비하는 휴머나이즈 인형의 외관 구성의 일실시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황 적응 기능을 구비하는 휴머나이즈 인형은 다양한 소리파일이 저장되는 메모리(90), 인형 외부의 상황을 인지하는 입력수단인 카메라(10), 마이크(20) 및 다수개의 센서(50~80), 인형의 반응을 출력하는 출력수단인 소리가 출력되는 스피커(30) 및 심장박동을 표현하는 심장박동 표현장치(40), 상기 입력수단 및 출력수단을 제어하는 마이컴(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카메라(10)는 CCD카메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인형 주변의 영상을 획득한다.
카메라(10)에 의해 획득된 영상은 사용자를 판별하는데 사용된다. 즉, 카메라(10)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의 영상을 마이컴(100)에서 분석하여 사용자를 식별한다.
본 발명은 인형을 사용하는 각 사용자를 구분하고 각 사용자별로 사용자가 듣고자 하는 음성의 소리파일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를 위해 사용자를 카메라(10)를 이용하여 식별하는 것이다.
카메라(10)는 인형의 눈에 장착되는 것이 자연스럽다. 인형의 두 눈에 모두 카메라가 장착될 수 있으며, 하나의 눈에만 카메라가 장착될 수도 있다.
마이크(20)는 외부로부터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수집한다.
마이크(20)에 의해 수집된 사용자의 음성 정보는 사용자를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즉, 사용자 식별시 카메라(1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데, 마이크(20)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마이컴(100)에서 분석하여 사용자를 식별한다.
마이크(20)는 사용자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것 이외에도 사용자의 음성을 획득하여 이에 대해 적절한 응답을 마이컴(100)이 메모리(90)에서 검색하여 스피커(30)로 출력하는데에도 사용된다. 즉, 인형과 사용자간에 어느 정도 간단한 대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때 사용자의 대화를 입력받는 용도로 마이크(20)가 사용된다.
마이크(20)는 인형의 귀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인형의 두 귀에 모두 마이크가 장착될 수 있으며, 하나의 귀에만 마이크가 장착될 수도 있다.
스피커(30)는 메모리(90)에 저장된 소리파일을 출력한다. 스피커(30)는 두 개의 서브 스피커로 이루어진 스테레오 스피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스테레오 스피커를 통해 입체적이고 생생하고 사실감 있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30)는 인형의 입양쪽 턱 부근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두 개의 서브 스피커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서브 스피커 간에 소정의 간격을 줌으로써 공간적 배치에 따른 입체적인 음향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외부정보 입력 수단으로 다수의 센서를 구비한다.
먼저 광센서(50)가 구비될 수 있다.
광센서(50)는 인형 외부의 빛의 세기 또는 양과 그 변화를 감지한다. 특히, 인형이 있는 공간에서 조명이 켜지거나 꺼지는 경우를 감지한다.
광센서(50)는 인형의 머리 부위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거리센서(60)를 구비한다.
거리센서(60)는 인형과 사용자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마이컴(100)은 소정 기준값 이내로 사용자가 접근하는 경우 인형 내에 장착된 심장박동 표현장치(40)를 구동시켜 심장박동과 유사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심장박동 표현장치(40)는 쿵쿵쿵하는 심장소리를 재생시키는 스피커를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심장박동과 유사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마이컴(100)은 거리센서(60)에 의해 측정된 거리에 따라 다양한 소리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1미터 이내의 거리에 다가오는 경우 "안녕" 또는 "어서와" 등의 소리파일을 재생함으로써, 인형이 인기척을 감지하는 듯한 효과를 낼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접촉센서(70)를 구비한다.
접촉센서(70)는 제 1 접촉센서(71)와 제 2 접촉센서(72)로 구성되는데, 제 1 접촉센서(71)는 인형의 입 부위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인형에 키스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제 2 접촉센서(72)는 인형의 손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손을 잡거나 접촉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이러한 상기 접촉센서는 다수개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인형의 다양한 부위에 장착될 수 있고, 해당 부위에 사용자의 접촉이 감지되는 경우 다양한 소리파일이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압력센서(80)를 구비한다.
압력센서(80)는 사용자에 의해 인가되는 압력을 측정한다.
본 발명은 그 일 실시예로 인형의 오른손에 상기 압력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인형의 손을 잡고 악수하는 것을 감지하여, 압력의 강도에 따라 서로 다른 소리파일을 재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압력의 정도를 몇개의 단계로 나누어 "아유, 힘이 이것밖에 안되?", "좀더 힘있게 쥐어보지?", "힘내~", "아야! 너무 아퍼"등의 다양한 반응이 스피커(30)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소리파일이 저장되는 메모리(90)를 구비한다.
메모리(90)는 일실시예로 플래쉬 메모리가 사용될 수 있으며, USB 포트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인형으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메모리(90)는 인형의 코에 장착되어 탈착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메모리 내의 폴더 구성의 일실시예가 도시된 도이다.
본 발명에서 메모리(90)는 사용자별로 폴더가 만들어져, 각 사용자별로 서로 다른 음성파일이 저장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 1은 남성 목소리의 소리파일을 선호하기 때문에 재생되는 소리 파일이 남성의 목소리를 메모리(90)에 저장하고, 사용자 2는 여성의 목소리를, 사용자 3은 아이의 목소리를 메모리(90)에 각각 자신의 폴더에 저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구비된 메모리(90)는 듣고자 하는 또는 들려주고자 하는 목소리로 각 센서별 감지 상황시 출력될 구성문장이 사용자별로 저장된다. 즉, 어머니에게 아들이, 아버지에게는 딸이, 아들에게는 여자친구의 목소리가 출력되도록하거나, 자신이 듣고자 하는 목소리를 선택하여 해당 목소리로 녹음된 소리파일이 각 사용자별 폴더에 저장되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카메라(10) 또는 마이크(20)를 통해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고, 식별된 사용자에 해당하는 폴더를 메모리(90)에서 찾아 저장된 소리파일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별로 다른 소리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메모리(90)에는 다수의 사용자별 폴더가 준비되며, 각 사용자별 폴더는 다시 다수개의 서브 폴더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메모리(90)는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 출력할 소리파일이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별 서브 폴더를 구비하고, 상기 서브 폴더에는 각 상황에서 출력될 소리파일이 하나 이상 저장된다.
서브 폴더는 그 일실시예로 조명이 켜질때 출력될 소리파일이 저장되는 "조명 ON" 폴더, 조명이 꺼질때 출력될 소리파일이 저장되는 "조명 OFF" 폴더, 소설 또는 동화책과 같은 책의 내용이 소리파일로 저장되는 "책 내용" 폴더, 다양한 장르의 음악 파일이 저장되는 "노래" 폴더, 사용자와의 대화에 필요한 간단한 대화내 용과 관련한 소리파일이 저장되는 "대화" 폴더, 특정한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메시지가 저장되는 "메시지" 폴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서브 폴더는 사용자별로 구비된다.
각 서브 폴더에는 동일한 상황에 대해 출력될 소리파일이 다른 종류로 여러개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사에 관한 소리파일이 출력되는 경우 "안녕", "어서와, 수고했어", "우리 예쁜 딸 어서오시게나~", "여보, 어서와~", "좋은 하루" 등 같은 상황에서 재생될 수 있는 다양한 표현의 소리파일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리파일들은 임의로 하나가 선택되거나,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선택되어 출력될 수 있다. 이렇게 랜덤하게 출력되게 함으로써, 동일한 표현이 반복되어 사용됨에 따라 쉽게 실증을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보다 인간에 가까운 친밀감을 느낄 수 있다.
메모리(90)는 USB 포트를 구비하므로, 사용자는 이를 인형으로부터 분리시켜, 자신의 개인용 컴퓨터에 접속시킨 후 메모리(90)에 저장된 소리파일을 편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설명한 다양한 입력수단 및 출력수단을 제어하는 마이컴(100)에 관해 설명한다.
마이컴(100)은 인형에 장착된 카메라(10)를 이용하여 인형 주변에 있는 사용자의 영상을 획득하여 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누구인지 식별한다.
또한, 마이컴(100)은 마이크(20)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획득하여 이 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누구인지 식별한다.
마이컴(100)은 스피커(30)로 메모리(90)에 저장된 소리파일을 출력하며, 각 센서(50~80)에 의해 사용자의 행동을 감지하여 각 경우에 할당되어 미리 설정된 소리파일을 스피커(30) 또는 심장박동 표현장치(40)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마이컴(100)은 스피커(30)를 통해 소리파일을 출력하는 경우 2회 이상 반복하여 소리파일을 출력할 수 있다.
마이컴(100)은 메모리(90)의 사용자별 서브 폴더에 저장된 다수의 소리파일 중 하나를 임의로 선택하여 스피커(30)로 출력한다. 즉, 어떤 특정한 상황에 출력될 소리의 종류가 다수개 서브 폴더에 구비되어 있고, 마이컴(100)은 그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임의로 선택하여 스피커(30)로 출력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황 적응 기능을 구비하는 휴머나이즈 인형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황 적응 기능을 구비하는 휴머나이즈 인형의 동작과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상황 적응 기능을 구비하는 휴머나이즈 인형은 인형 외부에 존재하는 주변환경 또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받는다(S100).
즉, 인형에 장착된 카메라(10)를 통해 사용자의 영상을 입력받아(S110) 이를 마이컴(100)이 분석하여 사용자가 누구인지 식별한다(S111).
또는 인형에 장착된 마이크(20)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정보를 입력받아(S120) 이를 마이컴(100)이 분석하여 사용자가 누구인지 식별할 수도 있다(S121).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식별되면 마이컴(100)은 메모리(90)에서 사용자별 폴더를 선택한다(S130).
사용자별 폴더에서 해당 소리파일을 읽어(S140) 스피커로 출력한다(S150).
이경우 일단 사용자가 누구인지 식별되면 인사와 같은 간단한 소리파일은 사용자 식별 후 즉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지만, 그 후 다른 사용자의 동작에 반응하는 경우에는 각 센서(50~80)에 의해 특정 동작이 감지되면 해당 사용자 폴더의 각 센서별 반응할 소리파일이 저장된 서브 폴더에서 파일을 읽어야 한다.
즉, 센서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S100) 어떤 센서를 통해 입력된 정보인지 분석하고(S160) 미리 각 센서에 반응할 소리파일이 저장된 서브 폴더를 메모리(90)에서 읽어(S140) 해당하는 소리파일을 스피커로 출력한다(S150).
구체적으로 각 센서별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센서별 동작의 일실시예로 인형의 머리부위에 설치된 광 센서(50)를 통해 사용자가 방안 또는 집안의 조명을 켜거나 끌 경우 이에 대한 반응으로 기 설정된 소리 파일을 1회 또는 2회 반복적을 임의선택하여 스피커(30)를 통해 출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집안으로 들어와서 조명을 키면, "어서와, 수고했어", "오늘 하루는 어땠어?" 또는 "아유~ 우리딸 고생했어, 힘들었지?", "이리와, 엄마가 안아줄께~" 등과 같은 소리파일이 임의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인형의 가슴 부근에 장착된 거리센서(60)를 통하여 사용자와의 거리를 측정하고, 소정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접근한 경우(S170) 심장박동 표 현장치(40)를 통하여 심장박동을 사용자에게 전달하며(S180), 이때 인형의 양쪽 입 부위에 장착된 스피커(30)를 통해 사용자에게 선택적으로 음성파일을 출력할 수도 있다.
심장박동 표현장치(40)는 사용자가 인형의 바로 앞에 와서 인형을 감싸 안았을 경우 1회 또는 2회 반복 작동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손 부근에 장착된 접촉센서(70) 및 압력센서(80)를 통하여 사용자의 접촉 또는 사용자가 인형의 손을 악수하듯이 쥔 상태가 감지되면, 기 설정된 소리파일이 메모리의 서브폴더에서 읽혀져 출력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인형의 입에 입맞춤을 하는 경우 입부위에 장착된 제 1 접촉센서(71)를 통해 이를 감지하고, "부끄러워~", "좋아 좋아" 등과 같은 소리파일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인형의 왼손의 검지 손가락을 눌렀을 경우 왼손에 장착된 제 2 접촉센서(72)를 통해 이를 감지하고, "재미난 이야기 해줄까?" 또는 "노래 듣고 싶어?" 등과 같은 음성이 출력되도록 하고, 사용자로부터 "응" 또는 "그래"와 같은 음성정보가 마이크(20)를 통해 입력되면, 마이컴(100)은 이를 분석하여 메모리의 서브 폴더 중 책 또는 노래 폴더에서 해당 소리파일을 읽어 출력한다.
또, 사용자가 인형의 오른손을 악수하듯이 쥐면 오른쪽 손에 장착된 압력센서(80)를 통해 이를 감지하고, 압력의 강도에 따라 "좀더 힘있게 쥐어보지?" 또는 "아유 힘이 이것밖에 안돼?", "힘내~"등의 문장을 해당 서브 폴더로부터 읽어 1회 내지 2회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2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정보를 분석하여 마이컴(100)이 음성정보속의 특정한 단어를 식별하고 그에 해당하는 대답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인형과 간단한 대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특정한 사용자를 판별한 경우 해당 사용자에게 전달할 메시지 소리파일이 메모리(9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해당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황 적응 기능을 구비하는 휴머나이즈 인형은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획득되는 입력상태에 따라 기 구성된 메모리 폴더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음성 신호에 대한 영역 내에서 현재 입력상태에 따른 출력파일이 선택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상황 적응 기능을 구비하는 휴머나이즈 인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황 적응 기능을 구비하는 휴머나이즈 인형의 구성이 도시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황 적응 기능을 구비하는 휴머나이즈 인형의 외관 구성의 일실시예가 도시된 도,
도 3은 본 발명의 메모리 내의 폴더 구성의 일실시예가 도시된 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황 적응 기능을 구비하는 휴머나이즈 인형의 동작과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카메라 20: 마이크
30: 스피커 40: 심장박동 표현장치
50: 광 센서 60: 거리센서
70: 접촉센서 71: 제 1 접촉센서
72: 제 2 접촉센서 80: 압력센서
90: 메모리 100: 마이컴

Claims (23)

  1. 인형을 사용하는 사용자별로 서로 다른 소리파일이 출력되도록 사용자별로 서로 다른 폴더에 소리파일이 저장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소리파일을 출력하는 스피커;
    사용자로부터 음성 정보를 수집하는 마이크;
    사용자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
    사용자와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센서;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
    심장박동소리 또는 진동을 출력하는 심장박동 표현장치;
    인형 주변의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및
    상기 센서 또는 마이크로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 다양한 반응을 표현하도록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소리파일을 재생하거나 심장박동 표현장치를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상황 적응 기능을 구비하는 휴머나이즈 인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USB 포트를 구비한 플래쉬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적응 기능을 구비하는 휴머나이즈 인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메모리의 해당 사용자 폴더에서 소리파일을 읽어들여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적응 기능을 구비하는 휴머나이즈 인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인형의 눈에 하나 이상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적응 기능을 구비하는 휴머나이즈 인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영상을 분석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메모리의 해당 사용자 폴더에서 소리파일을 읽어들여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적응 기능을 구비하는 휴머나이즈 인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인형의 입 양쪽 턱 부근에 각각 장착되는 두 개의 서브 스피커로 구성되는 스테레오 스피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적응 기능을 구비하는 휴머나이즈 인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는 인형의 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적응 기능을 구비하는 휴머나이즈 인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센서는 인형의 입 부근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인형에 키스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 1 접촉센서; 및
    인형의 손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손을 잡거나 접촉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 2 접촉센서를 포함하는 상황 적응 기능을 구비하는 휴머나이즈 인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제 1 접촉센서로부터 사용자의 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메모리로부터 입맞춤에 관한 소리파일을 읽어들여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적응 기능을 구비하는 휴머나이즈 인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제 2 접촉센서로부터 사용자의 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메모리로부터 질문에 관한 소리파일을 읽어들여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고,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대답을 식별한 후, 책 내용이 저장된 소리파일 또는 노래가 저장된 소리파일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황 적응 기능을 구비하는 휴머나이즈 인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는 상기 인형의 오른쪽 손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적응 기능을 구비하는 휴머나이즈 인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된 압력의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반응을 나타내는 소리파일을 상기 메모리로부터 읽어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적응 기능을 구비하는 휴머나이즈 인형.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리센서는 상기 인형의 가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적응 기능을 구비하는 휴머나이즈 인형.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심장박동 표현장치는 인형의 몸체 내부에 장착되며, 심장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적응 기능을 구비하는 휴머나이즈 인형.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심장박동 표현장치는 인형의 몸체 내부에 장착되며, 심장의 박동을 표현하는 진동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적응 기능을 구비하는 휴머나이즈 인형.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거리센서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와의 거리가 소정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심장박동 표현장치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적응 기능을 구비하는 휴머나이즈 인형.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거리센서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와의 거리가 소정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메모리로부터 포옹에 관한 소리파일을 읽어들여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적응 기능을 구비하는 휴머나이즈 인형.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발생되는 다양한 소리 및 음성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소리 및 음성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행동을 파악하여, 파악된 행동에 따른 반응 소리파일을 상기 메모리로부터 읽어들여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적응 기능을 구비하는 휴머나이즈 인형.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황 적응 기능을 구비하는 휴머나이즈 인형은 인형 외부의 빛의 세기를 감지하는 광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적응 기능을 구비하는 휴머나이즈 인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광센서를 통해 인형 외부의 조명이 켜지꺼나 꺼지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해당하는 상황에 대한 소리파일을 읽어들여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적응 기능을 구비하는 휴머나이즈 인형.
  2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스피커를 통해 소리파일을 출력하는 경우 2회 이상 반복하여 소리파일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적응 기능을 구비하는 휴머나이즈 인형.
  2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 출력할 소리파일이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별 서브 폴더를 구비하고, 상기 서브 폴더에는 소리파일이 하나 이상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적응 기능을 구비하는 휴머나이즈 인형.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서브 폴더에 저장된 다수의 소리파일 중 하나를 임의로 선택하여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적응 기능을 구비하는 휴머나이즈 인형.
KR1020070118602A 2007-11-20 2007-11-20 상황 적응 기능을 구비하는 휴머나이즈 인형 KR100894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602A KR100894569B1 (ko) 2007-11-20 2007-11-20 상황 적응 기능을 구비하는 휴머나이즈 인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602A KR100894569B1 (ko) 2007-11-20 2007-11-20 상황 적응 기능을 구비하는 휴머나이즈 인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4569B1 true KR100894569B1 (ko) 2009-04-24

Family

ID=40758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8602A KR100894569B1 (ko) 2007-11-20 2007-11-20 상황 적응 기능을 구비하는 휴머나이즈 인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4569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457B1 (ko) * 2013-09-10 2015-07-10 주식회사 씨에스 다기능 놀이학습용 완구
KR20190027438A (ko) * 2017-09-07 2019-03-15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스피커 스탠드
KR20190054519A (ko) 2017-11-13 2019-05-22 박순덕 정확한 반응 동작에 의해 교감하는 느낌을 제공하는 반응형 캐릭터 완구.
KR102072175B1 (ko) * 2018-11-01 2020-01-31 (주)아이유디자인 인공지능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
KR102073386B1 (ko) * 2018-10-17 2020-02-04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게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게임 진행 방법
KR102208256B1 (ko) * 2019-09-23 2021-01-27 여영환 리딩 기능을 수행하는 스마트 인형
WO2021095992A1 (ko) * 2019-11-11 2021-05-20 주식회사 아이유디자인 인공지능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 및 가상 쇼룸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WO2023214739A1 (ko) * 2022-05-06 2023-11-09 주식회사 코코지 오디오 출력 시스템 및 방법
WO2023214742A1 (ko) * 2022-05-06 2023-11-09 주식회사 코코지 오디오 출력 시스템 및 이의 사운드 컨텐츠 변경 방법
WO2023214740A1 (ko) * 2022-05-06 2023-11-09 주식회사 코코지 오디오 출력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81937A1 (en) 2000-11-07 2002-06-27 Satoshi Yamada Electronic toy
KR20030042643A (ko) * 2001-11-23 2003-06-02 (주)로보티즈 감정 표현 로보트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0423788B1 (ko) 2000-10-06 2004-03-24 주식회사 한샘정보 완구에 있어서 대화형 음성 및 다감각인식 시스템 및 이의방법
KR20070013520A (ko) * 2005-07-26 2007-01-3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수신 알림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788B1 (ko) 2000-10-06 2004-03-24 주식회사 한샘정보 완구에 있어서 대화형 음성 및 다감각인식 시스템 및 이의방법
US20020081937A1 (en) 2000-11-07 2002-06-27 Satoshi Yamada Electronic toy
KR20030042643A (ko) * 2001-11-23 2003-06-02 (주)로보티즈 감정 표현 로보트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070013520A (ko) * 2005-07-26 2007-01-3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수신 알림 장치 및 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457B1 (ko) * 2013-09-10 2015-07-10 주식회사 씨에스 다기능 놀이학습용 완구
KR20190027438A (ko) * 2017-09-07 2019-03-15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스피커 스탠드
KR102054552B1 (ko) * 2017-09-07 2019-12-10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스피커 스탠드
KR20190054519A (ko) 2017-11-13 2019-05-22 박순덕 정확한 반응 동작에 의해 교감하는 느낌을 제공하는 반응형 캐릭터 완구.
KR102073386B1 (ko) * 2018-10-17 2020-02-04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게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게임 진행 방법
KR102072175B1 (ko) * 2018-11-01 2020-01-31 (주)아이유디자인 인공지능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
KR102208256B1 (ko) * 2019-09-23 2021-01-27 여영환 리딩 기능을 수행하는 스마트 인형
WO2021095992A1 (ko) * 2019-11-11 2021-05-20 주식회사 아이유디자인 인공지능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 캐릭터 장난감 및 가상 쇼룸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WO2023214739A1 (ko) * 2022-05-06 2023-11-09 주식회사 코코지 오디오 출력 시스템 및 방법
WO2023214742A1 (ko) * 2022-05-06 2023-11-09 주식회사 코코지 오디오 출력 시스템 및 이의 사운드 컨텐츠 변경 방법
WO2023214740A1 (ko) * 2022-05-06 2023-11-09 주식회사 코코지 오디오 출력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4569B1 (ko) 상황 적응 기능을 구비하는 휴머나이즈 인형
TWI658377B (zh) 機器人輔助互動系統及其方法
CN108573695B (zh) 语音处理装置及其方法、机器人及计算机可读取记录介质
US8545283B2 (en) Interactive doll or stuffed animal
KR20090010717A (ko) 다기능 무선 이어폰
WO2010031233A1 (zh) 一种智能玩具及其使用方法
JP2002049385A (ja) 音声合成装置、疑似感情表現装置及び音声合成方法
US20120098837A1 (en) Apparatus for augmenting a handheld device
CN109119057A (zh) 音乐创作方法、装置及存储介质和穿戴式设备
KR100517813B1 (ko) Lcd의 눈을 가지는 봉제 인형
KR20150095515A (ko) 캐릭터 인형을 이용한 반응형 감성 스마트 토이 시스템
CN113924541A (zh) 适用于触觉感知应用的感测装置
KR20200067840A (ko) 영유아 활성화 오디오 플레이어의 활용
JP2014161593A (ja) 玩具
KR20080078324A (ko) 자율적 감정표현 로봇 시스템
JP2006026761A (ja) ロボット
CN201091577Y (zh) 性爱记录器
CN216053064U (zh) 智能解压装置及监控系统
CN212965894U (zh) 可穿戴设备
TWI599215B (zh) 互動式喇叭裝置及系統
JP7169029B1 (ja) 赤ちゃん型対話ロボット、赤ちゃん型対話方法及び赤ちゃん型対話プログラム
Benjamin Leonard Wearable device for interactive and collaborative sound making for autistic people
Naeem et al. An AI based Voice Controlled Humanoid Robot
KR101805439B1 (ko) 태교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40280A (ko) 의사 표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