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4091B1 - 높낮이 조절이 되는 발바닥 지압 신발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이 되는 발바닥 지압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4091B1
KR100894091B1 KR1020070109318A KR20070109318A KR100894091B1 KR 100894091 B1 KR100894091 B1 KR 100894091B1 KR 1020070109318 A KR1020070109318 A KR 1020070109318A KR 20070109318 A KR20070109318 A KR 20070109318A KR 100894091 B1 KR100894091 B1 KR 100894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acupressure
height
foot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9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7514A (ko
Inventor
임성조
Original Assignee
임성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조 filed Critical 임성조
Priority to KR1020070109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4091B1/ko
Publication of KR20070117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7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4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4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provided with acupressure points or means for foot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8Elevating, i.e. height increasing

Abstract

본 발명은 높낮이 조절이 되는 발바닥 지압 신발에 관한 것으로, 발바닥이 접면되는 바닥창과; 상기 바닥창에 형성되고, 상부면이 개방된 상하유동보조홈과; 상기 상하유동보조홈에 구비되고, 바닥면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어 발바닥을 지압하는 지압 돌출부; 그리고 상기 지압돌출부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지압돌출부의 높낮이가 조절되고 발바닥에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어 지압이 이루어지는 높낮이 조절이 되는 발바닥 지압 신발을 제공하는데 있다. 따라서 발바닥에 가해지는 외력에 지압돌출부 상면이 발바닥과의 밀착되는 밀착력을 조정하여 지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지압효과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지압, 지압돌기, 돌출기둥, 높낮이, 발바닥, 신발

Description

높낮이 조절이 되는 발바닥 지압 신발{THE PRESSURE TREATMENT OF THE SOLE OF THE FOOT AND THE AIR VENTILATION SHOES}
본 발명은 높낮이 조절이 되는 발바닥 지압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에 접지되는 등의 외부압력에 의해 탄성부 내부 중앙에 위치한 돌기들이 발바닥면에 강제로 밀착되었다 떨어지는 작동 동작으로 지압효과를 높여주는 높낮이 조절이 되는 발바닥 지압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높낮이 조절이 되는 발바닥 지압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에 접지되는 등의 외부압력에 의해 탄성부 내부 중앙에 위치한 돌기들이 발바닥면에 강제로 밀착되었다 떨어지는 작동 동작으로 지압효과를 높여주는 높낮이 조절이 되는 발바닥 지압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은 제2의 심장으로 알려져 있고, 발바닥에 대한 관심이 집중됨에 따라 최근에는 다양한 기능들이 추가되는 신발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성 신발들 중 혈액순환개선 등의 효과를 위하여 발바닥의 지압을 위한 다양한 신발들이 개시되고 있는바, 이러한 지압신발은 모두 발바닥이 접면되는 바닥창에 돌기들을 형성하여 상기 돌기들이 발바닥에 밀착되어 지압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 다.
상기와 같이 단순히 발바닥을 지압하는 구조에서는 돌기 상면과 발바닥이 밀착된 상태에서 장시간 신발을 신고 보행시 오히려 지속적인 지압에 의한 통증으로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허다하게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발바닥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발바닥의 지압이 이루어지고, 외력 해제시 지압이 이루어지지 않는 높낮이 조절이 되는 발바닥 지압 신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개인의 다양한 발바닥 형태에 따른 최적의 지압이 이루어지도록 지압돌출부의 재질과 경도를 선택해서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최상의 발바닥 지압 신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통상의 신발에 있어서, 발바닥이 접면되는 바닥창과; 상기 바닥창에 형성되고, 상부면이 개방된 상하유동보조홈과; 상기 상하유동보조홈에 구비되고, 바닥면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어 발바닥을 지압하는 지압 돌출부; 그리고 상기 지압돌출부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지압돌출부의 높낮이가 조절되고 발바닥에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어 지압이 이루어지는 높낮이 조절이 되는 발바닥 지압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바닥창은 상하유동보조홈이 형성된 미드솔과; 바닥을 이루는 아웃솔;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지압돌출부는 상기 아웃솔 바닥면에 돌출형성되어 외력에 따른 수축, 팽창이 이루어지는 탄성재질의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와 연결되고 수직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상하유동기둥과; 상기 상하유동기 둥과 연결되어 발바닥에 접면되는 커버;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커버 내면에 형성되는 나사홈과; 상기 상하유동기둥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돌출나사;로 이루어져 상기 커버의 나사조절로 인하여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상기 상하유동기둥의 커버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돌출나사와; 상기 돌출나사의 단부에 연결되는 커버; 및 상기 돌출나사의 하측단부에 고정연결되고 상기 아웃솔의 탄성부 외면에 형성되는 탄성편;으로 이루어져, 상기 탄성편의 조정에 의하여 높낮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보행 등의 동작에 의해 착지될 때마다 발바닥을 지압시켜줌으로써 장시간 보행을 하거나 착용을 해도 지압의 효과로 발의 피로도를 덜어주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지압봉이 상하작동을 하게 함으로써 장시간 지압봉 및 지압판상과 밀착되었다가 떨어지는 반복적인 압박으로 발바닥에 미치는 피로를 덜어주는 다른 효과가 있다.
그리고, 착용자가 임의로 지압강도를 조정할 수 있어 장시간 착용하여도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주어 피로도를 덜어주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그리고, 미드솔 내부 공간이 여러 개의 돌출기둥들로 구성되어 재료 절감의 효과가 있으며, 여러 개의 돌출기둥들이 발바닥을 받쳐줌으로써 몸의 균형을 잡아주고 압력을 받을 시 충격을 분산시켜주는 충격흡수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의한 높낮이 조절이 되는 발바닥 지압 신발을 나타낸 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발바닥이 접하는 미드솔은 충격흡수를 위한 이브이에이(E.V.A) 또는 폴리우레탄 재질의 미드솔(100)과 지면과의 접착력을 위한 고무재질의 아웃솔(200)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미드솔(100)과 아웃솔(200)이 하나의 재질로 일체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가능하다.
상기 미드솔(100)의 일 부분에 상하유동보조홈(110)이 구비된다. 상기 상하유동보조홈(110)을 통하여 후술하는 지압돌출부(120)가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탄성이동되어 발바닥을 지압하게 되는 곳이다.
다음 본 발명에 의한 지압돌출부(120)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지압돌출부(120)는 상기 상하유동보조홈(110)의 위치에 대응하는 아웃솔(200) 부분에는 외면으로 돌출되어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탄성부(122)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122)의 상면으로는 상하유동기둥(124)이 설치되고, 상기 상하유동기둥(124)의 상단에 커버(126)가 설치된다.
따라서 지압돌출부(120)는 탄성부(122)와 상하유동기둥(124) 그리고 커버(126)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보행시 발바닥이 지면에 닿을 경우 상기 탄성부(122)가 수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하유동기둥(124)이 상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커버(126)가 발바닥을 지압하게 된다. 물론 발바닥이 지면에서 떨어지는 순간 상기 탄성부(122)는 자체 탄성력으로 원상복귀됨으로써 상기 지압돌출부(120)는 외력이 가해지는 순간에만 발바닥에 커버(126)가 밀착되면서 지압을 하게 되어 종래의 지압구조와는 달리 인체에 전혀 통증을 주지않게 되는 것이다.
다음, 본 발명에 의한 조절부재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지압돌출부(12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개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것이다. 즉, 사람마다 발바닥의 두께와 모양, 지압의 강도 등이 다르므로 최적의 지압효과를 나타내기 위함이다. 즉, 발바닥이 움푹 패이거나, 높은 강도의 지압효과를 원하는 경우 지압돌출부(120)가 발바닥에 가해지는 힘이 세어야 할 것이며, 이 반대의 경우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이러한 지압돌출부(120)의 강도 조절이 조절부재에 의해 달성된다.
즉,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부재는 상하유동기둥(124)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돌출나사(124a)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126)의 내면에 이에 대응하는 나사홈(126a)을 형성하여 상기 커버(126)를 좌우로 회전시킴에 의해 나사홈(126a)이 돌출나사(124a)에 결합되는 정도에 따라 높낮이가 달라지게 되며 이에 의해 동일한 외력에 의한 탄성부(122)의 수축 정도에도 상기 커버(126)의 높낮이에 따라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도시한 도 2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되는 발바닥 지압 신발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도 1의 커버(126)의 조절에 의한 높낮이 조절이 아니라 탄성부(122)의 조절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는데 특징이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솔(200) 바닥 외면에 돌출되는 탄성부(122)에 결합되는 상하유동기둥(124)의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돌출나사(124a)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나사(124a)가 커버(126) 내면의 나사홈(126a)과 결합되어 상기 탄성부(122)의 조절에 의해 상하유동기둥(124)이 지압돌출부(120) 내면의 나사홈(126a)과의 결합높이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한다. 물론 이 경우 상기 상하유동기둥(124)의 돌출나사(124a)에 대응하는 나사홈(202)이 아웃솔(200) 부분에 형성되어 높낮이의 조절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는 아웃솔(200)의 바닥 외면에 형성된 탄성부(122)를 조절하여 발바닥을 지압하는 커버(126)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되며, 사용시 발바닥에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 상하유동기둥(124)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어 적절한 지압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되는 발바닥 지압 신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먼저 미드솔(100)에 대해 설명하겠다.
상기 미드솔(100)은 폴리우레탄 재질의 발포층이나 E.V.A재질의 발포층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폴리우레탄 발포층의 미드솔은 재질 자체의 가격도 비싸면서 무게가 무겁고 변색이 되면서 피막층에 흠집이 생긴 부위에 습기가 침투하면 가수분해를 일으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나, 재질 자체가 성형성이 비교적 쉽고 탄성과 복원력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이러한 재질의 장.단점으로 비교적 저가의 신발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반면에 E.V.A재질을 기초원료로 하여 발포 팽창된 미드솔은 가볍고 장시간이 지나도 변색이 되지 않으면서 탄성도 있기 때문 널리 상용되고 있으나 금형비가 비싸고, 같은 문제로 대량생산에는 원가상승이 높지 않은 반면에 소량 다품 중 생산에는 미드솔 가격이 높게 책정되는 것이 단점이다.
본 발명에서 미드솔(100) 재질에 대한 설명을 하는 것은 어느 재질을 사용하던 본 발명에 적용되는 미드솔(100)을 쓰이는 용도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함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드솔(100) 상면은 여러 개의 지압돌출부(120)가 있고 지압돌출부(120)가 상하로 작동하는데 쉽게 유동되도록 상하유동보조홈(110)들이 여러 개 형성되게 한다. 또 미드솔(100) 저면의 내부공간부(130)에는 상하로 대치되게 돌출된 상하유동기둥(124)이 미드솔(100) 두께보다 더 길게 하면으로 뻗어져서 그 끝이 아웃솔(200)의 탄성편(210)의 내부공간인 탄성공간부(220)의 중간에 접지되도록 하여 상하유동기둥(124)과 탄성공간부(220)들을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지압돌출부(120)의 높이는 미드솔(100)면과 거의 수평을 이루도록 하고, 보행에 의한 압력이 전달될 경우 아웃솔(200)의 바닥면에는 상기 지압돌출부(120)를 상승시킬 수 있는 탄성편(210)이 구비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되는 발바닥 지압 신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경우에는 아웃솔(200)의 바닥면에 탄성편(210)이 구비되어 상기 탄성 편(210)의 작동에 따라 지압돌출부(120)가 상승함에 따라 발바닥을 지압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압력전달시 오히려 지압돌출부(120)가 하강하게 되고, 압력 해제시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승함에 따라 발바닥의 지압이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즉, 등산화 또는 안전화와 같은 특수한 신발의 경우에는 아웃솔(200)에 별도의 탄성편(210)을 구비할 수 없는 편평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은 구조의 지압돌출부(120) 구조를 채택하게 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압돌출부(120)는 미드솔(100) 면보다 다소 높은 돌출구조를 이루고 있고, 아웃솔(200)의 바닥면은 편평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보행시 압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지압돌출부(120)는 가해지는 힘에 의해 하강하게 되고, 최저점에 이를 경우 아웃솔(200)의 상면과 접하게 된다. 그리고, 보행에 의한 압력 해제시에는 미드솔(100) 자체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승하면서 발바닥을 지압하게 된다. 따라서 보행시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지압돌출부(120)는 하강하고, 힘 해제 시에는 상승하게 되는 구조를 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으로 여러 개의 지압돌출부(120)가 발바닥을 받쳐주면서 압력을 받게 되면 충격이 분산되어 완충 역할도 동시에 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다음,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압판상을 이용한 높낮이 조절이 되는 발바닥 지압 신발의 분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압판상(300)이 아치부위에만 적용된 실시예이고, 미드솔(100) 외측면에 양단부가 밀폐된 탄성호스(400)를 따로 준비하여 우레탄 발포창을 성형할 때는 동시 접착성형이 가능하고 여기서 폴리우레탄 발포에 의한 미드솔 제작공정은 공지의 과정에 해당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 E.V.A 기초화합물로 구성되어 발포팽창된 미드솔(100)은 탄성호스(400)가 부착될 공간을 형성시켜서 그 위치에 탄성호스(400)가 부착되도록 하면 되는데 이 미드솔 제조방법 역시 공지된 미드솔 제조공정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탄성호스(400)는 미드솔(100)의 압력을 받았다가 복원되는 복원력을 도울 뿐만 아니라 미드솔(100)의 벽면을 보강하여 튼튼하게 해 주는 역할도 한다. 그리고 탄성호스(400)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면 미드솔(100)이 외벽면으로 노출되었을 때 투명한 탄성호스(400)의 내부로 상기 돌출기둥(230)의 기능이 작동되는 것을 외부에서 확인시켜 줄 수 있으므로 상품성을 더욱더 높일 수 있게 된다.
또 아웃솔(200)의 돌출기둥(230)은 내부공간부(130)가 압축되는 높이만큼 상부의 미드솔(100)의 지압돌출부(120)를 받쳐주기 때문에 지압판상(300)의 돌출부(310)가 상하로 작동하는 기능이 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지압판상(300)을 이용하여 높낮이 조절이 되는 발바닥 지압 신발을 제작할 경우, 지압돌출부(320)와 아웃솔(200)의 돌출기둥(210)의 구조에 따라 도 3 또는 도 4와 같이 힘에 따른 지압돌출부(320)의 발바닥 지압구조를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이루어지는 높낮이 조절이 되는 발바닥 지압 신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되는 발바닥 지압 신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되는 발바닥 지압 신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되는 발바닥 지압 신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압판상을 이용한 높낮이 조절이 되는 발바닥 지압 신발의 분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미드솔 110,310. 상하유동보조홈
120,320. 지압돌출부 122. 탄성부
124. 상하유동기둥 124a. 돌출나사
126. 커버 126a,202. 나사홈
130. 내부공간부 200. 아웃솔
210. 탄성부 220. 탄성공간부
230. 돌출기둥 240. 내부공간부
300. 지압판상 500. 갑피
501. 택숀관통구

Claims (5)

  1. 통상의 신발에 있어서,
    상하유동보조홈(110)이 형성된 미드솔(100)과, 바닥을 이루는 아웃솔(200)로 이루어지는 발바닥이 접면되는 바닥창과;
    상기 바닥창에 형성되고, 상부면이 개방된 상하유동보조홈(110)과;
    상기 상하유동보조홈(110)에 구비되고, 상기 아웃솔(200)의 바닥면에 돌출형성되어 외력에 따른 수축, 팽창이 이루어지는 탄성재질의 탄성부(122)와, 상기 탄성부(122)와 연결되고 수직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상하유동기둥(124)과, 상기 상하유동기둥(124)과 연결되어 발바닥에 접면되는 커버(126)로 이루어져 바닥면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어 발바닥을 지압하는 지압돌출부(120); 그리고
    상기 지압돌출부(12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지압돌출부(120)의 높낮이가 조절되고 발바닥에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어 지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되는 발바닥 지압 신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상하유동기둥(124)의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돌출나사(124a)와;
    상기 커버(126) 내면에 형성되는 나사홈(126a);으로 이루어져, 상기 커버(126)의 나사조절로 인하여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되는 발바닥 지압 신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상하유동기둥(124)의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돌출나사(124a)와;
    상기 돌출나사(124a)의 단부에 연결되는 커버(126); 및
    상기 돌출나사(124a)의 하측단부에 고정연결되고, 상기 아웃솔(200)의 외면에 형성되는 탄성편(210);으로 이루어져, 상기 탄성편(210)의 조정에 의하여 높낮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되는 발바닥 지압 신발.
KR1020070109318A 2007-10-30 2007-10-30 높낮이 조절이 되는 발바닥 지압 신발 KR100894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318A KR100894091B1 (ko) 2007-10-30 2007-10-30 높낮이 조절이 되는 발바닥 지압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318A KR100894091B1 (ko) 2007-10-30 2007-10-30 높낮이 조절이 되는 발바닥 지압 신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5358A Division KR100870929B1 (ko) 2006-05-25 2006-10-28 발바닥 지압겸용 통기성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7514A KR20070117514A (ko) 2007-12-12
KR100894091B1 true KR100894091B1 (ko) 2009-04-20

Family

ID=39142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9318A KR100894091B1 (ko) 2007-10-30 2007-10-30 높낮이 조절이 되는 발바닥 지압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40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671B1 (ko) 2009-05-08 2009-11-17 주식회사화승 신장 성장 촉진을 위한 기능성 신발
KR101770563B1 (ko) * 2015-07-02 2017-08-24 엔에이피 주식회사 수지침이 구비된 운동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910B1 (ko) * 2009-01-23 2009-08-20 주식회사 풋바란스 기능성 신발
JP2012517318A (ja) * 2009-02-11 2012-08-02 フットバランス株式会社 機能性靴
KR100937471B1 (ko) * 2009-03-24 2010-01-19 주식회사 풋바란스 족궁 지지체를 구비한 인솔
KR101123838B1 (ko) * 2009-06-09 2012-03-15 주식회사 풋바란스 기능성 신발
KR101155182B1 (ko) * 2010-02-04 2012-06-13 홍해근 족궁 지지체 커버를 구비하는 피로회복 기능성 신발
KR101751795B1 (ko) * 2013-02-08 2017-07-03 홍해근 기능성 신발
KR101691591B1 (ko) 2016-04-08 2016-12-30 김진석 3단 보행용 미드솔
KR101708907B1 (ko) 2016-11-01 2017-02-21 김진석 3단 보행용 미드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800Y1 (ko) * 2002-10-08 2003-03-03 박현식 다기능 쿠션 지압판 건강 슬리퍼
KR200359622Y1 (ko) * 2004-05-31 2004-08-18 김대일 지압 신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800Y1 (ko) * 2002-10-08 2003-03-03 박현식 다기능 쿠션 지압판 건강 슬리퍼
KR200359622Y1 (ko) * 2004-05-31 2004-08-18 김대일 지압 신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671B1 (ko) 2009-05-08 2009-11-17 주식회사화승 신장 성장 촉진을 위한 기능성 신발
KR101770563B1 (ko) * 2015-07-02 2017-08-24 엔에이피 주식회사 수지침이 구비된 운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7514A (ko) 200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4091B1 (ko) 높낮이 조절이 되는 발바닥 지압 신발
KR100870929B1 (ko) 발바닥 지압겸용 통기성 신발
US7013583B2 (en) Footwear with removable foot-supporting member
JP4511515B2 (ja) 調整可能な特性を備えたソール構造を有するソール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及びフットウェア製品
US8850718B2 (en) Shoe with support system
JP2018110889A (ja)
US20090139114A1 (en) Sole Assembly for an Article of Footwear
KR101067892B1 (ko) 이종 경도에 의한 다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
KR20020077379A (ko) 공기 분산식 깔창
MXPA03007050A (es) Un sistema de amortiguacion para el calzado y un dispositivo que comprende dicho sistema, el cual se activa por medio de la presion ejercida sobre las protuberancias provistas en el extremo en contacto con el terreno, presionando las proyecciones de
US11684116B2 (en) Mid-sole for shoes
KR20080088331A (ko) 충격흡수와 반발탄성 및 공기순환이 동시에 이루어지는기능성 신발
JPH0747003A (ja) 靴 底
EP2278895B1 (en) Moulded shoe bottom with high anti-shock properties
KR20090076188A (ko) 굽 조절 지압 신발
KR200427366Y1 (ko) 아치형 지지부를 갖는 충격완충용 샌들
TWM544807U (zh) 矯正鞋墊
JPH0217003A (ja) 靴底
US20130074367A1 (en) Insole with concept of harmonic tai chi
CN112890367A (zh) 一种可调节高度的增高鞋及其制造工艺
CN219719875U (zh) 一种轻便型运动鞋
US11452337B2 (en) Walking-assisted air-jet insole
CN214710834U (zh) 一种关节炎矫形器
CN201294912Y (zh) 高度可调的增高鞋
JPH0217004A (ja) 靴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