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4070B1 - 방향제 용기 - Google Patents

방향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4070B1
KR100894070B1 KR1020070084770A KR20070084770A KR100894070B1 KR 100894070 B1 KR100894070 B1 KR 100894070B1 KR 1020070084770 A KR1020070084770 A KR 1020070084770A KR 20070084770 A KR20070084770 A KR 20070084770A KR 100894070 B1 KR100894070 B1 KR 100894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fragrance
guide
containe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4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0211A (ko
Inventor
전일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70084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4070B1/ko
Publication of KR20090020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0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4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4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5Supporting means, e.g. stands, hooks, holes for han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방향제 용기는 평소에는 방향제를 방출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옷걸이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탈취제를 방출하여 옷에서 냄새를 탈취하는 기능을 더 가지게 한다. 본 발명의 방향제 용기는, 방향제와 탈취제 중 하나를 내장하여 방출하는 제1 케이싱, 상기 제1 케이싱에 결합되는 제2 케이싱, 및 상기 제1 케이싱과 상기 제2 케이싱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2 케이싱 상에서 상기 제1 케이싱을 슬라이딩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방향제, 탈취제, 제1 케이싱, 제2 케이싱, 결합부재, 슬라이딩

Description

방향제 용기 {Aromatic Vessel}
본 발명은 방향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평소에는 방향제를 방출하고 옷걸이로 사용시에는 탈취제를 방출하는 옷걸이 기능을 가지는 방향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향제는 겔 또는 고체 상태의 방향제와, 액체 상태의 방향제로 구분될 수 있다. 겔 또는 고체 상태의 방향제는 개구를 가진 용기체에 내장되어 개구를 통하여 공기와 접촉하면서 방출된다.
고체 방향제를 내장하는 방향제 용기는 방향제를 내장하는 공간과, 외부 공기를 방향제에 유도하여 방향제를 기체화시키고, 기체화된 방향제 배출을 위한 개구를 일측에 구비하게 된다.
고체 방향제는 짧은 시간내에 대기 중으로 발산되기 어려우므로 통상적으로 사람들의 생활 반경 내에 설치된다.
액체 상태의 방향제는 고압의 용기에 내장되어 용기의 일측에 노즐를 구비하여, 노즐의 개폐 조작에 따른 압력 차이로 대기로 무화시켜 방출된다.
액체 방향제를 내장하는 방향제 용기는 고압 용기로 형성되고 노즐의 개폐를 위한 별도의 장치에 내장되어 사용된다.
방향제가 사람을 향하여 분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압 용기와 노즐을 갖는 방향제 용기는 사람들의 생활 반경보다 더 멀고 높은 곳에 설치된다.
고체 또는 액체의 방향제를 내장하는 방향제 용기는 사람들의 생활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됨에도 불구하고 방향제를 방출하는 기능 이외의 다른 기능을 가지지 못한다.
본 발명은 방향제를 내장하여 방출하는 기능에 더하여 옷걸이 기능을 더 가지는 방향제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평소에는 방향제를 방출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옷걸이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탈취제를 방출하여 옷에서 냄새를 탈취하는 기능을 더 가지는 방향제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 용기는, 방향제와 탈취제 중 하나를 내장하여 방출하는 제1 케이싱, 상기 제1 케이싱에 결합되는 제2 케이싱, 및 상기 제1 케이싱과 상기 제2 케이싱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2 케이싱 상에서 상기 제1 케이싱을 슬라이딩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싱은, 상기 제2 케이싱에 마주하는 부분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케이싱은, 상기 가이드 돌기에 마주하는 부분에 파 여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제1 케이싱의 후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가이드 돌기의 슬라이딩 범위를 한정하도록 슬라이딩 방향을 따른 상기 제2 케이싱 길이의 1/2 범위 이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제1 케이싱의 폭 방향 양쪽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가이드 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케이싱의 폭 방향 양쪽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싱이 상기 제2 케이싱 상에서 최대 범위로 슬라이딩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케이싱과 상기 제2 케이싱은, 서로 흡인력을 유지하도록 서로 마주하는 각 측에 구비되는 제1 자석과 제2 자석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자석은, 상기 슬라이딩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 돌기의 반대 쪽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2 케이싱에 슬라이딩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슬라이딩 홀에 일측으로 걸리고, 다른 일측으로 상기 슬라이딩 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케이싱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홀은, 상기 슬라이딩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을 따라 쌍으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는, 쌍으로 형성되는 상기 슬라이딩 홀에 각각 걸리도록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싱은 상기 슬라이딩 홀의 양측에 상기 결합부재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안내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홀을 통하여 상기 제1 케이싱에 밀착되어 나사로 체결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내턱에 걸리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싱은 방향제를 수납하고, 상기 제2 케이싱은 탈취제를 수납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싱은, 상기 방향제를 방출하도록 전방에 형성되는 제1 개구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케이싱은, 상기 제1 케이싱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하여 개폐되어 상기 탈취제를 방출하도록 전방에 형성되는 제2 개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싱 및 상기 제2 케이싱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아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싱은, 제1 개구를 형성하는 제1 프론트 커버와, 상기 프론트 커버의 배면에 형성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에 결합되는 결합홈을 형성하는 제1 백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백커버는 상기 방향제를 수납하는 제1 수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싱은, 제2 개구를 형성하는 제2 프론트 커버와, 상기 제2 프론트 커버의 배면에 형성되른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에 결합되는 결합홈을 형성하는 제2 백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백커버는 상기 탈취제를 수납하는 제2 수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 용기는 방향제와 탈취제를 수납하므로 방향제 및 탈취제를 방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 용기는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을 결합부재로 슬라이등 가능하게 결합시키므로 평소에는 방향제를 방출하는 기능을 가지게 하고, 제1 케이싱을 제2 케이싱으로부터 슬라이딩 인출하여 옷걸이로 사용 가능하게 하며, 이때 탈취제를 방출하여 옷으로부터의 탈취를 가능하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 용기의 슬라이딩 인입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2는 방향제 용기의 슬라이딩 인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방향제 용기는 제1 케이싱(10)과 제2 케이싱(20)을 포함하고, 제1 케이싱(10)은 제2 케이싱(20)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방향제 용기는 방향제 및 탈취제를 내장하여 방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제 1 케이싱(10) 및 제2 케이싱(20) 중 어느 하나는 방향제를 내장하고 다른 하나는 탈취제를 내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케이싱(10)에 방향제를 내장하고, 제2 케이싱(20)에 탈취제를 내장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방향제 용기는 평소에 방향제를 방출하고, 제1 케이싱(10)을 제2 케이싱(20)으로부터 슬라이딩 인출하여 옷걸이로 사용하는 경우에 방향제 및 탈취제를 방출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방향제 용기는 주 용도로 방향제를 방출이고, 부수적인 옷걸이 용도로 사용시 탈취제를 더 방출한다. 또한 방향제와 탈취제는 서로 바뀌어 내장될 수 있고, 이때, 주용도와 부수적인 용도 또한 서로 바뀌게 된다.
제2 케이싱(20)에 내장된 탈취제를 방출하거나 방출을 차단할 수 있도록 제1 케이싱(10)과 제2 케이싱(20)은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결합부재(30)를 통하여 슬라이딩 구조로 결합된다(도5 참조). 제1 케이싱(10)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하여 제2 케이싱(20)에 내장되는 탈취제의 방출이 단속된다.
도3은 방향제 용기에서 제1 케이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제1 케이싱(10)은 상호 결합되어 방향제(11)를 내장하는 제1 프론트 커버(12)와 제1 백커버(13)를 포함한다.
제1 프론트 커버(12)는 제1 개구(14)를 형성하여 내장되는 방향제(11)를 방출할 수 있다. 제1 개구(14)는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도4는 도3의 Ⅳ-Ⅳ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제1 프론트 커버(12)는 제1 백커버(13)를 향하여 돌출되는 결합돌기(15)를 구비한다.
제1 백커버(13)는 결합돌기(15)와 결합되도록 결합돌기(15)의 대향 측에 결합홈(16)을 구비한다. 또한 제1 백커버(13)는 방향제(11)를 수납하는 제1 수납 공간(17)을 형성한다. 제1 수납 공간(17)의 전방은 제1 프론트 커버(12)로 밀폐되며, 방향제(11)는 제1 개구(14)를 통하여 방출된다.
도5는 방향제 용기에서 제2 케이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제2 케이싱(20)은 상호 결합되어 탈취제(21)를 내장하는 제2 프론트 커버(22)와 제2 백커버(23)를 포함한다.
제2 프론트 커버(22)는 제2 개구(24)를 형성하여 내장되는 탈취제(21)를 방출할 수 있다. 제2 개구(24)는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도6은 도2의 Ⅵ-Ⅵ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6을 참조하면, 제2 프론트 커버(22)는 제2 백커버(23)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25)를 구비한다.
제2 백커버(23)는 결합돌기(25)와 결합되도록 결합돌기(25)의 대향 측에 결합홈(26)을 구비한다. 또한 제2 백커버(23)는 탈취제(21)를 수납하는 제2 수납 공간(27)을 형성한다. 제2 수납 공간(27)의 전방은 제2 프론트 커버(22)로 밀폐되며, 탈취제(21)는 제2 개구(24)를 통하여 방출된다.
도7은 도1의 Ⅶ-Ⅶ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7을 참조하면, 제1 케이싱(10)은 제2 케이싱(20)에 마주하는 부분에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18)를 구비한다.
또한, 제2 케이싱(20)은 가이드 돌기(18)에 마주하는 부분에 오목하게 파여 형성되는 가이드 홈(28)을 포함한다. 가이드 돌기(18)는 가이드 홈(28)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된다.
가이드 돌기(18)는 제1 케이싱(10)의 후면 일측, 즉 제1 백커버(13)의 후방에 형성된다. 가이드 홈(28)은 제2 케이싱(20)의 전방 일측, 즉 제2 프론트 커버(22)의 전방에 형성되어 가이드 돌기(18)와 서로 대응한다.
가이드 홈(28)은 가이드 돌기(18)의 슬라이딩 범위를 한정하며, 제2 케이싱(20), 즉 제2 프론트 커버(22) 길이의 1/2 범위 내에서 형성된다.
도8은 도1의 Ⅷ-Ⅷ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8을 참조하면, 가이드 돌기(18)는 제1 케이싱(10), 즉 제1 백버커(13)의 폭 방향 양쪽에 형성된다. 따라서 가이드 홈(28)은 가이드 돌기(18)에 대응하도록 제2 케이싱(20) 즉 제2 프론트 커버(22)의 폭 방향 양쪽에 형성된다.
도2, 도5 및 도8을 참조하면, 가이드 돌기(18) 및 가이드 홈(28)이 각각 제1 케이싱(10)과 제2 케이싱(20)의 폭 방향 양쪽에 구비되므로, 제2 케이싱(20) 상에서 제1 케이싱(10)의 슬라이드 이동이 안정된다.
도5 내지 도8을 참조하면, 제1 케이싱(10)과 제2 케이싱(20)은 슬라이딩 인출 상태에서 서로 마주하는 각측에 제1 자석(19)과 제2 자석(29)을 각각 구비한다. 제1 케이싱(10)에 구비되는 제1 자석(19)은 제1 케이싱(10)을 제2 케이싱(20) 상에서 최대 범위로 슬라이딩 인출된 상태에서 제2 케이싱(20)에 구비되는 제2 자석(29)과 서로 흡인력을 발생시킨다.
제1 케이싱(10)의 제1 자석(19)은 슬라이딩 방향을 기준으로 가이드 돌기(18)의 반대 쪽에 형성된다.
제1 케이싱(10)과 제2 케이싱(20)이 체결부재(30)에 의하여 슬라이딩 구조로 체결된 상태에서, 가이드 돌기(18)와 가이드 홈(28)은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또한 제1 자석(19)과 제2 자석(29)이 서로 흡인력을 발생하므로, 제1 케이싱(10)은 제2 케이싱(20)에서 인출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즉, 제1 케이싱(10)과 제2 케이싱(20)은 슬라이딩 방향에 대하여 양쪽이 결합되고, 또한 폭 방향에 대하여 양쪽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9는 도1의 Ⅸ-Ⅸ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9를 참조하면, 결합부재(30)는 제2 케이싱(20)에 슬라이딩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슬라이딩 홀(31)에 일측으로 걸리고, 다른 일측으로 슬라이딩 홀(31)을 관통하여 제1 케이싱(10)에 장착된다.
도10은 도5의 Ⅹ-Ⅹ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10을 참조하면, 슬라이딩 홀(31)은 슬라이딩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을 따라 양쪽에 쌍으로 나란하게 형성된다.
결합부재(30)는 쌍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 홀(31)에 각각 걸리도록 쌍으로 형성된다.
제1 케이싱(20)의 제2 프론트 커버(22)는 슬라이딩 홀(31)의 양측에 형성되어 결합부재(30)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턱(32)를 포함한다.
결합부재(30)는 결합부(130)와 걸림부(230)을 포함한다. 결합부(130)는 슬라 이딩 홀(31)을 통하여 제1 케이싱(10), 즉 제1 백커버(13)에 밀착되어 나사(33)로 체결된다. 걸림부(230)는 결합부(130)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안내턱(32)에 걸리어 슬라이드 이동한다.
슬리이딩 홀(31)과 결합부재(31)의 예에 의하여, 제1 케이싱(10)은 제2 케이싱(20)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제1 케이싱(10) 및 제2 케이싱(20)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아치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케이싱(10)을 제2 케이싱(20) 상에서 인출하게 되면 제1 케이싱(10)의 상단으로 제2 케이싱(20)으로부터 멀어져 옷을 걸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11은 방향제 용기로 사용되는 사용 상태 사시도이고, 도12는 옷걸이로 사용되는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도11은 방향제 용기를 벽에 설치한 일상적인 사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제1 케이싱(10)에 내장되어 있는 방향제(11)는 제1 개구(14)를 통하여 방출된다.
도11은 벽에 설치되는 방향제 용기를 옷걸이로 사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제1 케이싱(10)은 제2 케이싱(20)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제1 케이싱(10)의 제1 자석(19)과 제2 케이싱(20)의 제2 자석(29)은 서로의 흡인력에 의하여 제1 케이싱(10)의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1 케이싱(10)에 내장되어 있는 방향제(11)는 제1 개구(14)를 통하여 방출되는 상태를 유지하고, 이에 더하여 제2 케이싱(20)에 내장되어 있는 탈취제(21)는 제2 개구(24)를 통하여 방출된다. 방출되는 탈취제(21)는 제1 케이싱(10)에 걸린 옷의 냄새를 제거하게 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 용기의 슬라이딩 인입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2는 방향제 용기의 슬라이딩 인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3은 방향제 용기에서 제1 케이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4는 도3의 Ⅳ-Ⅳ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5는 방향제 용기에서 제2 케이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6은 도2의 Ⅵ-Ⅵ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7은 도1의 Ⅶ-Ⅶ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8은 도1의 Ⅷ-Ⅷ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9는 도1의 Ⅸ-Ⅸ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10은 도5의 Ⅹ-Ⅹ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11은 방향제 용기로 사용되는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도12는 옷걸이로 사용되는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 케이싱 20 : 제2 케이싱
30 : 결합부재 11 : 방향제
12 : 제1 프론트 커버 13 : 제1 백커버
14 : 제1 개구 15 : 결합돌기
16 : 결합홈 17 : 제1 수납 공간
21 : 탈취제 22 : 제2 프론트 커버
23 : 제2 백커버 24 : 제2 개구
25 : 결합돌기 26 : 결합홈
27 : 제2 수납 공간 18 : 가이드 돌기
28 : 가이드 홈 19 : 제1 자석
29 : 제2 자석 31 : 슬라이딩 홀
32 : 안내턱 130 : 결합부
230 : 걸림부

Claims (18)

  1. 방향제와 탈취제 중 하나를 내장하여 방출하는 제1 케이싱,
    상기 제1 케이싱에 결합되는 제2 케이싱, 및
    상기 제1 케이싱과 상기 제2 케이싱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2 케이싱 상에서 상기 제1 케이싱을 슬라이딩 결합시키는 결합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싱 및 상기 제2 케이싱은 앞뒤로 상호 대향 배치되고, 상기 제1 케이싱은 상기 제2 케이싱 위에서 상기 제2 케이싱을 타면서 상기 결합부재에 의해 직선형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방향제 용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싱은,
    상기 제2 케이싱에 마주하는 부분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케이싱은,
    상기 가이드 돌기에 마주하는 부분에 파여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방향제 용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제1 케이싱의 후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가이드 돌기의 슬라이딩 범위를 한정하도록 슬라이딩 방향을 따른 상기 제2 케이싱 길이의 1/2 범위 이내로 형성되는 방향제 용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제1 케이싱의 폭 방향 양쪽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가이드 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케이싱의 폭 방향 양쪽에 형성되는 방향제 용기.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싱이 상기 제2 케이싱 상에서 최대 범위로 슬라이딩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케이싱과 상기 제2 케이싱은,
    서로 흡인력을 유지하도록 서로 마주하는 각 측에 구비되는 제1 자석과 제2 자석을 각각 포함하는 방향제 용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석은,
    상기 슬라이딩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 돌기의 반대 쪽에 형성되는 방향제 용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2 케이싱에 슬라이딩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슬라이딩 홀에 일측으로 걸리고, 다른 일측으로 상기 슬라이딩 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케이싱에 장착되는 방향제 용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홀은,
    상기 슬라이딩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을 따라 쌍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방향제 용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쌍으로 형성되는 상기 슬라이딩 홀에 각각 걸리는 쌍으로 형성되는 방향제 용기.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싱은,
    상기 슬라이딩 홀의 양측에 상기 결합부재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도록 형성되 는 안내턱을 포함하는 방향제 용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홀을 통하여 상기 제1 케이싱에 밀착되어 나사로 체결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내턱에 걸리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방향제 용기.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싱은 방향제를 수납하고,
    상기 제2 케이싱은 탈취제를 수납하는 방향제 용기.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싱은,
    상기 방향제를 방출하도록 전방에 형성되는 제1 개구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케이싱은,
    상기 제1 케이싱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하여 개폐되어 상기 탈취제를 방출하도록 전방에 형성되는 제2 개구들을 포함하는 방향제 용기.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싱 및 상기 제2 케이싱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아치형으로 형성되는 방향제 용기.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싱은,
    제1 개구를 형성하는 제1 프론트 커버와,
    상기 프론트 커버의 배면에 형성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에 결합되는 결합홈을 형성하는 제1 백커버를 포함하는 방향제 용기.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백커버는,
    상기 방향제를 수납하는 제1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방향제 용기.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싱은,
    제2 개구를 형성하는 제2 프론트 커버와,
    상기 제2 프론트 커버의 배면에 형성되른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에 결합되는 결합홈을 형성하는 제2 백커버를 포함하는 방향제 용기.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백커버는,
    상기 탈취제를 수납하는 제2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방향제 용기.
KR1020070084770A 2007-08-23 2007-08-23 방향제 용기 KR100894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770A KR100894070B1 (ko) 2007-08-23 2007-08-23 방향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770A KR100894070B1 (ko) 2007-08-23 2007-08-23 방향제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0211A KR20090020211A (ko) 2009-02-26
KR100894070B1 true KR100894070B1 (ko) 2009-04-21

Family

ID=40687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4770A KR100894070B1 (ko) 2007-08-23 2007-08-23 방향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40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744B1 (ko) * 2012-09-21 2014-05-27 김신훈 필기구용 방향제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674B1 (ko) * 2010-12-27 2013-04-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내용물 넘침 방지 커버 및 이를 이용한 내용물 넘침 방지 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2140Y1 (ko) * 1997-08-01 2000-03-02 성재갑 휴대용 방향제 케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2140Y1 (ko) * 1997-08-01 2000-03-02 성재갑 휴대용 방향제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744B1 (ko) * 2012-09-21 2014-05-27 김신훈 필기구용 방향제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0211A (ko) 200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2041B2 (en) Spray dispensers
AR021132A1 (es) Recipiente para toallitas humedecidas
US20100140298A1 (en) Dispensing Device, Refill Cartridge and Jacket Assembly
TW201134409A (en) A simulated smoking device
CA2637605C (en) Spray dispensers
KR100894070B1 (ko) 방향제 용기
FR2824812B1 (fr) Capsule de distribution avec ouverture securisee
BR0114120A (pt) Tampa distribuidora e unidade da mesma
KR101984459B1 (ko) 코인 티슈용 케이스
JP2021506547A (ja) ポリケトン材質の部品を有するポンプが装着された化粧品容器
ATE406186T1 (de) Verbesserung bezüglich verdampfer
KR20200002455U (ko) 옷가방 파우치
KR200380265Y1 (ko) 방향제필통
KR200168457Y1 (ko) 방향성의 욕실용 캐비닛
KR100964033B1 (ko) 향 발산 접철패널
KR200171292Y1 (ko) 필통
JP5212999B1 (ja) ロック機構およびロック機構付き除菌液ディスペンサー
KR200286779Y1 (ko) 방향성 티슈 리필케이스
JP2791656B2 (ja) 仏 壇
MXPA05010182A (es) Un dispositivo de empaque.
JP5193625B2 (ja) 化粧料容器
KR200368049Y1 (ko) 가구용 서랍
KR200436904Y1 (ko) 스프레이를 구비한 휴대폰
KR200209113Y1 (ko) 살균 소독기
KR200209378Y1 (ko) 사무용 소물품 보관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