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2771B1 - 목재 보존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목재 보존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2771B1
KR100892771B1 KR1020080083040A KR20080083040A KR100892771B1 KR 100892771 B1 KR100892771 B1 KR 100892771B1 KR 1020080083040 A KR1020080083040 A KR 1020080083040A KR 20080083040 A KR20080083040 A KR 20080083040A KR 100892771 B1 KR100892771 B1 KR 100892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composition
weight
peg
preserv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3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창섭
곽채을
최창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웰
Priority to KR1020080083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27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2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2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3/00Impregnating wood, e.g. impregnation pretreatment, for example puncturing; Wood impregnation aids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impregnation process
    • B27K3/02Processes; Apparatus
    • B27K3/15Impregnating involving polymerisation including use of polymer-containing impregna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3/00Impregnating wood, e.g. impregnation pretreatment, for example puncturing; Wood impregnation aids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impregnation process
    • B27K3/16Inorganic impregna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3/00Impregnating wood, e.g. impregnation pretreatment, for example puncturing; Wood impregnation aids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impregnation process
    • B27K3/34Organic impregnating agents
    • B27K3/36Aliphatic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3/00Impregnating wood, e.g. impregnation pretreatment, for example puncturing; Wood impregnation aids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impregnation process
    • B27K3/34Organic impregnating agents
    • B27K3/38Aromatic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2240/00Purpose of the treatment
    • B27K2240/20Removing fungi, molds or 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Toxicology (AREA)
  • Dentistr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hemical And Physical Treatments For Woo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매 20 내지 60 중량%, 가용화제 20 내지 60 중량%, 분산촉진제 0.1 내지 20 중량%, 및 보존제 11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용매가 방향족 또는 지방족 탄화수소 화합물, 또는 천연 오일이며, 상기 가용화제가 HLB 값이 5 이상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이며, 상기 보존제가 물불용성이며, 상기 분산촉진제가 양이온성 또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목재 보존제 조성물을 개시한다.
보존제, 목재

Description

목재 보존제 조성물{Wood preservative composition}
본 발명은 목재 보존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은 유기계 보존제를 고농도로 포함하는 목재 보존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목재의 생물학적 열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방부제, 방미제 및 방충제 등을 포함하는 보존제로 목재를 처리하여야 한다. 이러한 처리는 몇 가지 방법으로 행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목재를 밀폐된 가압계 또는 진공계, 가열계 또는 함침계 및 그 유사계 내에서 처리하거나, 목재를 목재용 보존제를 함유하는 약재에 함침 또는 침지시키거나 상기 약재를 분무하는 방법 등이 있다.
상기 목재 처리에 사용되는 종래의 대표적인 가압식 목재 보존제는 수용성인 구리-크롬-비소의 수용성 염(chromated copper arsenide, CCA)이다. 상기 CCA는 처리 시간이 짧고 효율적인 처리 방법인 가압계 내에서의 처리에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었으나, 독성 문제로 현재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CCA를 대체하는 다른 수용성 화합물로서 미국특허 제4,622,248호는 탄산구리와 수산화구리의 혼합물을 에탄올아민과 물의 혼합액에 용해하여 구리아민착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그러나, 상기 구리아민계 보존제는 CCA에 비해 용탈에 의한 구리 손실이 크다.
상기 수용성 금속 보존제 외에 유기 보존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현재 사용중인 많은 유기 보존제는 물불용성이다. 따라서, 유기 보존제를 유기 용매에 녹여서 사용하거나, 가용화제, 계면활성제 등을 추가로 첨가하여 가용화시켜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유기 보존제를 포함하는 보존제 조성물들은 상기 유기 보존제를 조성물 총 중량의 10중량% 초과 상태로 포함시키는 것이 실질적으로 어려웠다. 상기 유기 보존제 함량이 10중량%를 초과할 경우 침전이 발생하는 등 유기 보존제의 안정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은 유기 보존제를 보존제 조성물 총 중량의 10중량% 초과 상태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실질적으로 개시하고 있지 않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특허공개 제2000-0066624호는 요오드계 방부제 화합물을 0.25 내지 0.5중량% 포함하는 목재방부제 조성물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종래의 유기 보존제 조성물은 물과 혼합하여 O/W 에멀젼을 만들기 위하여 많은 양의 가용화제, 계면활성제 및 습윤제 등이 소모되며, 상기 조성물의 보관 및 운반에 많은 비용이 소모된다. 그리고, 상기 O/W에멀젼의 제조에 상업적으로 통상 사용되는 약액의 pH에 따라 에멀젼 입자의 분산 안정성이 크게 달라지므로 사용될 수 있는 pH의 범위가 제한되었다.
따라서, 유기 보존제를 고농도로 포함하면서도 보존제의 침전 없이 안정하며, 혼용 시 약액의 pH에 무관하게 안정적인 에멀젼을 얻을 수 있는 보존제 조성물이 여전히 요구된다.
용매 20 내지 60 중량%, 가용화제 20 내지 60 중량%, 분산촉진제 0.1 내지 20 중량%, 및 보존제 11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용매가 방향족 또는 지방족 탄화수소 화합물, 또는 천연 오일이며,
상기 가용화제가 HLB 값이 5 이상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이며,
상기 보존제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100ppm 이하이며,
상기 분산촉진제가 양이온성 또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목재 보존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목재 보존제 조성물에 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목재 보존제 조성물은 용매 20 내지 60 중량%, 가용화제 10 내지 60 중량%, 분산촉진제 0.1 내지 20 중량%, 및 보존제 11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용매가 방향족 또는 지방족 탄화수소 화합물, 또는 천연 오일이며, 상기 가용화제가 HLB 값이 5 이상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이며, 상기 보존제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100ppm 이하이며, 상기 분산촉진제가 양이온성 또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이다.
상기 목재 보존제 조성물은 용매, 가용화제 및 분산촉진제의 적절한 선정에 의하여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고농도의 보존제를 포함하면서도 농축상태 및 희석 상태에서 조성물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목재 보존제 조성물은 고농도로 보존제를 포함함에 의하여 운반, 보관 등이 용이하며, 소량으로 많은 양의 희석액을 제조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또한, 상기 조성물을 물에 희석시켜 얻어진 분산액(O/W에멀젼)은 약액(수용액,W phase)의 pH에 무관하게 분산된 입자의 안정성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보존제를 용해시키기 위한 용매 역할 외에 약액의 pH에 대한 영향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므로 소수성 용매이어야 하며, 하이드록시기 등을 분자내에 가지고 있지 않은 용매이어야 한다. 또한, 상기 용매들은 분자의 크기가 작거나 가용화제의 소수부와 반데르발스결합에 의하여 서로 용이하게 중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를 가짐에 의하여, 상기 조성물이 물에 분산되어 O/W 에멀젼이 형성되는 경우에, 물과 용매 사이에서 계면활성제들이 계면에 조밀하게 분포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물의 pH에 무관하게 유기 용매 입자의 안정성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가용화제의 HLB 값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8, 더욱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8이다. 상기 HLB 값을 가지는 가용화제를 포함함에 의하여 상기 조성물이 물로 희석될 경우에, O/W 에멀젼이 순간적으로 용이하게 얻어질 수 있다.
상기 HLB 5 이상의 가용화제는 상기 용매와 함께 보존제의 용해도를 높여 고농도의 보존제 조성물이 얻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HLB 값이 5 미만이면 가용화제의 친수성이 증가하여 상기 보존제 조성물이 물에 희석될 경우 미셀 구조(micelle structure)가 불안정하여 안정적인 O/W 에멀젼이 얻어지지 않는다. 즉, 유기 보존제가 결정으로 석출될 수 있다.
상기 보존제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100 ppm 이하라는 것은 상기 보존제가 물불용성이라는 의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보존제의 함량이 고농도이므로 동일한 부피의 희석액을 제조하는데 저농도 보존제 조성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량만이 소요된다. 또한, 보존제 조성물의 제조, 운반, 보관 등에 있어서도 저농도 조성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비용이 소요된다. 따라서, 저농도 보존제 조성물에 비해 현저히 우수한 상업적 우위를 가진다. 실질적으로 고농도 조성물이 제조되어 시판될 경우 저농도 조성물의 상업적 가치는 거의 완전히 소멸된다.
상기 조성물에서 상기 보존제의 함량은 16 내지 50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며, 21 내지 40중량%가 더욱 더 바람직하며, 21 내지 30 중량%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용매의 함량이 20중량% 미만이면 상술한 보존제를 16중량% 이상 용해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상기 용매의 함량이 60중량% 초과이면 보존제의 O/W 에멀젼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가용화제 함량이 10중량% 미만이면 상술한 보존제에 함량 범위에서 O/W에멀젼이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있으며, 상기 가용화제 함량이 60중량% 초과이면 보존제를 용해시킬 수 있는 용매의 사용을 제한하게 되어 pH에 의한 영향을 받아 보존제의 약효가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분산촉진제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유기 분산제가 상기 조성물 바닥에 침전하게 되며 교반하더라도 그 분산 속도가 낮아 장시간 보관하면 다시 결정이 석출하거나 분말로 침전하여 목재 보존제로서의 기능을 실질적으로 상실하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상기 분산촉진제 함량이 20중량% 초과이면 물에 희석할 경우 유기 보존제 화합물의 경절이 석출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분산촉진제 함량이 50중량% 초과이면 보존제를 둘러싼 미셀구조의 약액에 대한 친수성이 높아져 약액이 미셀 내부로 원활하게 침투하여 보존제가 pH의 영향을 받게 될 뿐만 아니라 장기 보관시 보존제가 결정으로 석출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에서 상기 보존제가 유기요오드화합물, 트리아졸계 화합물, 다른 살균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리아졸계 화합물, 유기요오드화합물 및 다른 살균제는 방부제 또는 방미제로 사용된다.
상기 유기요오드 화합물은 3-아이오도-2-프로피닐부틸 카바메이트(3-iodo-2-propynylbutyl carbamate, IPBC), 3-아이오도-2-프로피닐부틸 카바메이트 피리딜 포스포로티오레이트(3-iodo-2-propynylbutyl carbamate phylidyl phospholothiolate, IPBCP), 3-아이오도-3-프로피닐숙시네이트(3-iodo-2-propynyl succinate), p-클로로페닐-3-아이오도프로피닐 포르말(p-chlorophenyl-3-iodopropynyl formal), 트리아이오도아릴 알코올류(triiodoallyl alcohols)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리아졸계 화합물은 테부코나졸(tebuconazole), 프로피코나졸(propiconazole), 아자코나졸(azaconazole), 시푸로코나졸(cyproconazole), 펜부코나졸(phenbuconazole), 미클로부타닐(myclobutanil), 트리아디메놀(triadimenol)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살균제는 피리미딘계 화합물, 설폰아미드계 화합물, 니트릴계 화합물, 벤조티아졸계 화합물, 이소티아졸린계 화합물, 벤조이소티아졸린계 화합물, 피리딘계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른 살균제는 누아리몰(nuarimol), 페나리몰(phenarimol), 톨일플루아나이드(tolylfluanide), 디클로로플루아나이드(dichlorofluanide), 클로로탈로닐(chlorothalonil), 헥사코나졸(hexaconazole), 벤조티아졸(benzothiazole), 옥틸리논(octhilinon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조성물에서 상기 보존제가 다른 살충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른 살충제는 페르메트린(permethrin), 비펜트린(bifenthrin), 시라플로펜(siraflufen), 트랄로메트린(tralomethrin), 사이페노트린(cyphenothrin), 아크리나트린(acrinathrin), 사이퍼메트린(cypermethrin), 퍼메트린(permethrin), 델타메트린(deltamethrin), 디아지논(diazinon), 클로르펜빈포스(chlorofenvinphos), 폭심(phoxim), 클로르피리포스(chloropyriphos), 스미치온(smithion)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살충제 중에서 저독성이며 약효 지속성이 우수한 델타메트린, 사이퍼메트린, 및 퍼메트린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합물들은 알칼리에서 쉽게 분해되지만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은 알칼리성 수용액에 희석되는 경우에도 물과의 접촉이 차단되므로 상기 화합물들이 분해되지 않고 방충능력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에서 상기 용매는 자일렌, 벤젠, 톨루엔, 파인오일(pine oil), 유동파라핀(liquid paraffin), 유동이소파라핀(liquid isoparaffin), 스쿠알란(squalane), 테르펜틴오일(turpentine oil), 오렌지오일(orange oil), 레몬오일(lemon oil),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가용화제는 에틸렌옥사이드(EO) 반복단위, 프로필렌옥사이드(PO) 반복단위,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 반복단위, 및/또는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반복단위의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용화제 한 분자 내에 존재하는 상기 반복단위들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2 내지 100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 가장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 이다.
구체적으로, 바람직한 가용화제는 PEG 지방산에스테르(PEG fatty acid ester), PEG 지방산에스테르 이량체(PEG fatty acid diester), 폴리에톡시레이티드 1,3-디글리세라이드(polyethoxylated 1,3-diglyceride), 폴리글리세릴 모노에스테르(polyglyceryl monoester), 폴리에톡시레이티드 소르비탄 모노에스테르(polyethoxylated sorbitan monoester), PEG(20) 트리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PEG(20) tristearate sorbitan, Span 20), PEG(20) 트리올레이트 소르비탄(PEG(20) trioleate sorbitan, Tween 65), PEG(20) 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PEG(20) monostearate sorbitan, Tween 85), PEG(20) 모노올레이트 소르비탄(PEG(20) monooleate sorbitan, Tween 60), PEG(20) 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PEG(20) monopalmitate sorbitan, Tween 40), PEG(20) 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 탄(PEG(20) monolaurate sorbitan), PEG(8) 스테아레이트(PEG(8) stearate, Myrj 45R), PEG(40) 스테아레이트(PEG(40) stearate, Myrj 52R), PEG(50) 스테아레이트(PEG(50) stearate, Myrj 53R),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에테르(polyoxyethylene nonylphenyl ether), 폴리옥시에틸렌 옥틸페닐에테르(polyoxyethylene octylphenyl ether) 등이다. 상기 가용화제에서 괄호로 표시된 숫자는 반복단위의 갯수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조성물에서 상기 분산촉진제는 소듐도데실벤젠술포테이트, 소듐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설페이트, 암모늄폴리옥시에틸렌알킬설페이트, 소듐라우릴설페이트, 라우릴아민옥사이드, 데실테트라데실아민옥사이드, 디소듐세티아릴술포석시네이트, 세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메틸벤젤라우릴암모늄클로라이드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조성물이 구리를 포함하는 염, 구리를 포함하는 착물, 아연을 포함하는 염, 아연을 포함하는 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에 의하여도 상기 조성물의 분산 안정성이 유지되며 보존 능력이 추가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구리계 및 아연계 화합물이 포함된 수용액이 산성 또는 염기성의 pH 를 가지나, 상기 수용액의 첨가에 의하여도 상기 유기 보존제 조성물은 분산 안정성이 유지된다.
상기 구리를 포함하는 염 및 구리를 포함하는 착물은 예를 들어 KS M 1701:2005에 고시된 ACQ-1, ACQ-2, CUAZ-1, CUAZ-2이 바람직하나, 이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사용되는 구리계 수용성 화합물이라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아연을 포함하는 염 및 아연을 포함하는 착물은 예를 들어 국립산림과학원 고시 제2004-6호에 고시된 NZn (zinc naphthenate)이 바람직하나, 이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사용되는 아연계 수용성 화합물이라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보존제 조성물은 저온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글리콜 에테르계 화합물을 5중량% 이하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글리콜 에테르계 화합물로는 분지된 알킬렌기 또는 불포화된 알킬렌기를 포함하는 글리콜 에테르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화합물을 포함함에 의하여 저온에서 보존제 조성물의 겔화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글리콜 에테르계 화합물은 보존제 조성물에 1 내지 5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여야 한다.
상기 글리콜 에테르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R1-(EO)m-R3-(EO)n-R2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며,
R3는 사슬내에 이중 결합을 0 내지 5개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20의 분지형 알킬렌기이며,
EO은 에틸렌 옥사이드기이며,
m 및 n은 서로 독립적으로 1 내지 20 이다.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이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단,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들만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하에서 희석액은 물로 희석한 용액을 의미한다.
(목재 보존제 조성물)
실시예 1
IPBC 23중량%
자일렌 35중량%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 에테르 40중량%(Jilin Zhongxin Chemical Co., Ltd., NP-10)
라우릴 아민옥사이드 2중량%(Feixiang Chemical, HYOA-12)
실시예 2
프로피코나졸 25중량%
자일렌 33중량%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 에테르 40중량%(Jilin Zhongxin Chemical Co., Ltd., NP-10)
라우릴 아민옥사이드 2중량%(Feixiang Chemical, HYOA-12)
실시예 3
테부코나졸 23중량%
자일렌 35중량%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 에테르 40중량%(Jilin Zhongxin Chemical Co., Ltd., NP-10)
라우릴 아민옥사이드 2중량%(Feixiang Chemical, HYOA-12)
실시예 4
시푸로코나졸 12중량%
IPBC 12중량%
자일렌 36중량%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 에테르 38중량%(Jilin Zhongxin Chemical Co., Ltd., NP-10)
라우릴 아민옥사이드 2중량%(Feixiang Chemical, HYOA-12)
실시예 5
처방 1
프로피코나졸 22중량%
자일렌 38중량%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 에테르 38중량%(Jilin Zhongxin Chemical Co., Ltd., NP-10)
라우릴 아민옥사이드 2중량%(Feixiang Chemical, HYOA-12)
상기 처방 1의 50 내지 200배 희석액과 시판중인 천년(㈜휴나, Cu-8 10%와 카벤다짐 10% 혼합 약제, pH 1.0)의 100 배 희석액의 혼합액
실시예 6
처방 1
시프로코나졸 12중량%
IPBC 10중량%
페르메트린 2중량%
자일렌 36중량%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 에테르 38중량%(Jilin Zhongxin Chemical Co., Ltd., NP-10)
라우릴 아민옥사이드 2중량%(Feixiang Chemical, HYOA-12)
상기 처방 1의 100배 희석액과 상기 시판 중인 ㈜ 휴나 천년 ACQ (KS M 1701:2005에 고시된 ACQ-2와 동일 조성, pH 9.5)의 20 배 희석액의 혼합액
실시예 7
처방 1
시프로코나졸 12중량%
IPBC 10중량%
페르메트린 3중량%
톨루엔 38중량%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 에테르 35중량%(Jilin Zhongxin Chemical Co., Ltd., NP-10)
라우릴 아민옥사이드 2중량%(Feixiang Chemical, HYOA-12)
상기 처방 1의 100배 희석액과 상기 시판 중인 ㈜ 휴나 천년 ACQ (KS M 1701:2005에 고시된 ACQ-2와 동일 조성, pH 9.5)의 20 배 희석액의 혼합액
실시예 8
처방 1
클로로탈로닐 16중량%
폭심 9중량%
파인오일 38중량%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 에테르 35중량%(Jilin Zhongxin Chemical Co., Ltd., NP-10)
라우릴 아민옥사이드 2중량%(Feixiang Chemical, HYOA-12)
상기 처방 1의 100배 희석액과 시판 중인 ㈜ 휴나 천년 ACQ (KS M 1701:2005에 고시된 ACQ-2와 동일 조성, pH 9.5)의 20 배 희석액의 혼합액
실시예 9
처방 1
IPBC 22중량%
델타메트린 3중량%
톨루엔 38중량%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 에테르 35중량%(Jilin Zhongxin Chemical Co., Ltd., NP-10)
라우릴 아민옥사이드 2중량%(Feixiang Chemical, HYOA-12)
상기 처방 1의 100배 희석액과 시판 중인 ㈜ 휴나 천년 ACQ (KS M 1701:2005에 고시된 ACQ-2 과 동일 조성, pH 9.5)의 20 배 희석액의 혼합액
실시예 10
처방 1
IPBC 22중량%
페르메트린 3중량%
톨루엔 38중량%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 에테르 35중량%(Jilin Zhongxin Chemical Co., Ltd., NP-10)
라우릴 아민옥사이드 2중량%(Feixiang Chemical, HYOA-12)
처방 2 (pH 9.45)
염화구리(zinc chloride) 20중량%
모노에탄올아민 45중량%
물 35중량%
상기 처방 1의 100배 희석액과 상기 처방 2의 30 배 희석액의 혼합액
비교예 1
IPBC 15중량%
프로필렌글리콜 43중량%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 에테르 40중량%(Jilin Zhongxin Chemical Co., Ltd., NP-10)
라우릴 아민옥사이드 2중량%(Feixiang Chemical, HYOA-12)
비교예 2
IPBC 13중량%
PEG 200 45중량%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 에테르 42중량%(Jilin Zhongxin Chemical Co., Ltd., NP-10)
비교예 3
시프로코나졸 15중량%
에탄올 40중량%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 에테르 43중량%(Jilin Zhongxin Chemical Co., Ltd., NP-10)
라우릴 아민옥사이드 2중량%(Feixiang Chemical, HYOA-12)
비교예 4
시프로코나졸 15중량%
에탄올 40중량%
라우릴 아민옥사이드 45중량%(Feixiang Chemical, HYOA-12)
평가예 1 : 물리적 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목재 보존제 조성물을 -2℃ 및 60℃에서 각각 1개월간 방치한 후 유기 보존제가 결정으로 석출되는지 유 무를 육안으로 판정하였다.
1개월 경과한 후 실시예 1 내지 4 모두에서 결정이 석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조성물은 물리적으로 안정하다.
한편, 1개월 경과한 후 비교예 1 내지 4 모두에서 결정이 석출되었다. 따라서, 상기 비교예 1 내지 4의 조성물은 물리적으로 불안정하다.
평가예 2 : 분산 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목재 보존제 조성물을 1중량% 용액이 되도록 물에 희석시킨 후 -4oC와 25oC에서 2개월간 방치한 후 침전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2개월 경과한 후 실시예 1, 2, 3 및 4의 조성물의 희석액에서는 침전이 발생하지 않았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조성물은 희석할 경우 분산액의 안정성이 유지된다.
한편, 2개월 경과한 후 비교예 1 내지 4의 조성물의 희석액에서는 침전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 비교예 1 내지 4의 조성물은 희석할 경우 분산액의 안정성이 유지되지 못한다.
평가예 3 : 분산된 입자의 크기 평가
상기 평가예 2에서 제조된 조성물 희석액의 분산된 입자의 크기를 측정하였 다. 분산된 입자의 크기 측정에는 (CILAS 1064 PARTICLE SIZE ANALYZER; 측정범위 0.04~500 ㎛)을 사용하였다. 분산된 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분산된 입자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측정 결과, 실시예 1의 조성물의 희석액의 분산된 입자의 평균입경은 380 nm 이었다. 실시예 2는 875 nm이었다. 실시예 3은 540 nm 이었다. 실시예 4는 690 nm 이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조성물은 희석할 경우 분산액의 안정성이 유지된다.
평가예 4 : 알칼리성 수용액에서의 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6 내지 10에서 제조된 처방 1 및 2의 희석액의 혼합액에서 유기 보존제 성분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희석액에 분산된 유기 보존제 성분의 함량을 평가하였다. 초기 보존제 농도를 100%로 가정하고 상대적인 함량으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1 내지 5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실시예 6 내지 10에서 제조된 희석액 중에 분산된 유기 보존제 성분들은 60일 경과 시까지 90% 이상의 잔존율을 보여 약액의 pH에 무관하게 분산된 에멀젼 입자의 안정성이 우수하다.
평가예 5 : 목재 보존 능력 평가
평가에 사용된 목재는 햄록(용적량: 550~600 kg/m2), 아피통(720~970 kg/m2), 소나무(600~650 kg/m2), 잣나무(450~500 kg/m2), 가문비(450~500 kg/m2), 낙엽송(600~650 kg/m2) 미송(670~720 kg/m2), 라디에타(600~650 kg/m2)이었으며 10.5 × 10.5 × 400 cm 규격인 제재목을 사용하였다.
침지방식의 목재 처리는 다음과 같이 수행되었다. 통상 목재제재업에서 사용되는 1톤 방미액통에 약액을 넣어 실질과 동일한 조건, 즉 5분 침지한 후 실외에 방치하여 방미효능을 검토하였다.
가압방식의 목재 처리는 다음과 같이 수행되었다. 상기에 기술한 8수종에 대해 전배기 (600 mmHg, 30분), 가압 (15 kg/m3, 3시간), 후배기 (600 mmHg, 30분), 정지 (30분) 순으로 동일한 가압처리를 실시하였다. 약액의 주입량은 햄록 200~300 kg/m2, 아피통 160~210 kg/m2, 소나무 200~300 kg/m2, 잣나무 200~300 kg/m2, 가문비 200~300 kg/m2, 낙엽송 120~200 kg/m2, 미송 120~200 kg/m2, 라디에타 200~300 kg/m2이었다.
실시예 1 내지 3의 조성물을 물로 100 내지 300배 희석하여 침지 방식으로 목재를 각각 처리하였다. 상기 목재는 시험기간인 3개월 동안 방미효과가 지속되었다.
실시예 4의 조성물을 물로 100 내지 300배 희석하여 침지 방식으로 목재를 각각 처리하였다. 상기 목재는 시험기간인 6개월 동안 방미 효과가 지속되었다.
실시예 5의 희석액으로 침지 방식으로 목재를 처리하였다. 상기 목재는 시험기간인 6개월 동안 방미 효과가 지속되었다.
실시예 6의 희석액으로 가압 방식으로 목재를 처리하였다. 상기 8 수종의 목재는 시험기간인 12개월 동안 방충, 방미 및 방부 효과가 지속되었다.
실시예 7의 희석액으로 가압 방식으로 목재를 처리하였다. 상기 8 수종의 목재는 시험기간인 12개월 동안 방충, 방미 및 방부 효과가 지속되었다.
실시예 8의 희석액으로 가압 방식으로 목재를 처리하였다. 상기 8 수종의 목재는 시험기간인 12개월 동안 방충, 방미 및 방부 효과가 지속되었다.
실시예 9의 희석액으로 가압 방식으로 목재를 처리하였다. 상기 8 수종의 목재는 시험기간인 12개월 동안 방충, 방미 및 방부 효과가 지속되었다.
실시예 10의 희석액으로 가압 방식으로 목재를 처리하였다. 상기 8 수종의 목재는 시험기간인 12개월 동안 방충, 방미 및 방부 효과가 지속되었다.
상기 평가예 1 내지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목재 보존제 조성물은 보존제를 고농도로 포함하면서도, 물성이 안정되며, 희석시에도 물의 pH에 무관하게 안정성이 우수하고, 목재 보존성도 우수하다.
도 1은 실시예 6에서 제조된 희석액에 포함된 보존제의 시간에 따른 함량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7에서 제조된 희석액에 포함된 보존제의 시간에 따른 함량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8에서 제조된 희석액에 포함된 보존제의 시간에 따른 함량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9에서 제조된 희석액에 포함된 보존제의 시간에 따른 함량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시예 10에서 제조된 희석액에 포함된 보존제의 시간에 따른 함량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Claims (12)

  1. 용매 20 내지 60 중량%, 가용화제 20 내지 60 중량%, 분산촉진제 0.1 내지 20 중량%, 및 보존제 11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용매가 방향족 또는 지방족 탄화수소 화합물, 또는 천연 오일이며,
    상기 가용화제가 HLB 값이 5 이상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이며,
    상기 보존제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100ppm 이하이며,
    상기 분산촉진제가 양이온성 또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목재 보존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존제가 트리아졸계 화합물, 유기요오드화합물 및 다른 살균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아졸계 화합물이 테부코나졸, 프로피코나졸, 아자코나졸, 시푸로코나졸, 펜부코나졸, 미클로부타닐, 및 트리아디메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요오드화합물이 3-아이오도-2-프로피닐부틸 카바메이트(3-iodo-2-propynylbutyl carbamate, IPBC), 3-아이오도-2-프로피닐부틸 카바메이트 피리딜 포스포로티오레이트(3-iodo-2-propynylbutyl carbamate phylidyl phospholothiolate, IPBCP), 3-아이오도-3-프로피닐숙시네이트(3-iodo-2-propynyl succinate), p-클로로페닐-3-아이오도프로피닐 포르말(p-chlorophenyl-3-iodopropynyl formal), 트리아이오도아릴 알코올류(triiodoallyl alcohol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살균제가 피리미딘계 화합물, 설폰아미드계 화합물, 니트릴계 화합물, 벤조티아졸계 화합물, 이소티아졸린계 화합물, 벤조이소티아졸린계 화합물, 및 피리딘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살균제가 누아리몰(nuarimol), 페나리몰(phenarimol), 톨일플루아나이드(tolylfluanide), 디클로로플루아나이드(dichlorofluanide), 클로로탈로닐(chlorothalonil), 헥사코나졸(hexaconazole), 벤조티아졸(benzothiazole), 및 옥틸리논(octhilino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존제가 다른 살충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살충제가 페르메트린, 비펜트린, 시라플로펜, 트랄로메트린, 사이페노트린, 아크리나트린, 사이퍼메트린, 퍼메트린, 델타메트린, 디아지논, 크롤로펜빈포스, 폭심, 크롤르피리포스, 및 스미치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자일렌, 벤젠, 톨루엔, 파인오일, 유동파라핀,유동이소파라핀, 스쿠알란, 테르펜틴오일, 오렌지오일, 레몬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화제가 PEG 지방산 에스테르, PEG 지방산 에스테르 이량체, 폴리에톡시레이티드 1,3-디글리세라이드, 폴리글리세릴 모노에스테르, 폴리에톡시레이티드 소르비탄 모노에스테르, PEG(20) 트리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PEG(20) 트리올레이트 소르비탄, PEG(20) 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PEG(20) 모노올레이트 소르비탄, PEG(20) 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 PEG(8) 스테아레이트, PEG(40) 스테아레이트, PEG(50) 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옥틸페닐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촉진제가 소듐도데실벤젠술포테이트, 소듐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설페이트, 암모늄폴리옥시에틸렌알킬설페이트, 소듐라우릴설페이트, 라우릴아민옥사이드, 데실테트라데실아민옥사이드, 디소듐세티아릴술포석시 네이트, 세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및 디메틸벤젤라우릴암모늄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구리를 포함하는 염, 구리를 포함하는 착물, 아연을 포함하는 염, 및 아연을 포함하는 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80083040A 2008-08-25 2008-08-25 목재 보존제 조성물 KR100892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040A KR100892771B1 (ko) 2008-08-25 2008-08-25 목재 보존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040A KR100892771B1 (ko) 2008-08-25 2008-08-25 목재 보존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2771B1 true KR100892771B1 (ko) 2009-04-15

Family

ID=40757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3040A KR100892771B1 (ko) 2008-08-25 2008-08-25 목재 보존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27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857B1 (ko) 2017-11-10 2019-02-11 대한민국 수목 상처 보호 및 치료 조성물
FR3090274A1 (fr) * 2018-12-21 2020-06-26 Patrick FOLSCHVEILLER Traitement antiparasitaire du palmier à activité élevée
KR102600888B1 (ko) * 2023-04-11 2023-11-13 주식회사 엘에프에프 유기태화 요오드 또는 유기태화 요오드 및 황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과수 화상병을 포함하는 식물 병원성 세균 방제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6108A (ja) * 1990-05-23 1993-05-14 Desowag Materialschutz Gmbh 木材及び木材加工材料の保存剤
JP2006001188A (ja) * 2004-06-18 2006-01-05 Japan Enviro Chemicals Ltd 木材保存剤
KR100553007B1 (ko) * 2004-02-20 2006-02-15 송민영 목재 방부ㆍ방미를 위한 목재 보존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6108A (ja) * 1990-05-23 1993-05-14 Desowag Materialschutz Gmbh 木材及び木材加工材料の保存剤
KR100553007B1 (ko) * 2004-02-20 2006-02-15 송민영 목재 방부ㆍ방미를 위한 목재 보존제 조성물
JP2006001188A (ja) * 2004-06-18 2006-01-05 Japan Enviro Chemicals Ltd 木材保存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857B1 (ko) 2017-11-10 2019-02-11 대한민국 수목 상처 보호 및 치료 조성물
FR3090274A1 (fr) * 2018-12-21 2020-06-26 Patrick FOLSCHVEILLER Traitement antiparasitaire du palmier à activité élevée
KR102600888B1 (ko) * 2023-04-11 2023-11-13 주식회사 엘에프에프 유기태화 요오드 또는 유기태화 요오드 및 황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과수 화상병을 포함하는 식물 병원성 세균 방제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95329B1 (en) Micronized wood preservative formulations
US7238654B2 (en) Compatibilizing surfactant useful with slurries of copper particles
KR101843593B1 (ko) 구리-내성이 있는 균류를 처리하는데 유용한 목재 보존 제형
CA2714681A1 (en) Wood preservative composition
KR101092621B1 (ko) 목재보존제조성물
KR100892771B1 (ko) 목재 보존제 조성물
US20110091575A1 (en) Strategies for reducing leaching of water-soluble metal biocides from treated wood products
CA2214761C (en) Wood preservative
KR20190108570A (ko) 목재 방부제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904721B1 (ko) 목재 보존제 조성물
CA2717545C (en) Hybrid strategies for reducing leaching of metal biocides from biodegradable substrates
NO20180566A1 (no) Mikroniserte treimpregneringsformulerin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