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0472B1 - Rfid를 이용한 부재자 투표의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Rfid를 이용한 부재자 투표의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0472B1
KR100890472B1 KR1020070069139A KR20070069139A KR100890472B1 KR 100890472 B1 KR100890472 B1 KR 100890472B1 KR 1020070069139 A KR1020070069139 A KR 1020070069139A KR 20070069139 A KR20070069139 A KR 20070069139A KR 100890472 B1 KR100890472 B1 KR 100890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ot
voter
identification data
envelope
information ba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9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5806A (ko
Inventor
유재형
Original Assignee
(주)알에프캠프
안재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에프캠프, 안재명 filed Critical (주)알에프캠프
Priority to KR1020070069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0472B1/ko
Publication of KR20090005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0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0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부재자 투표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은 비접촉 태그를 포함하는 투표용지 및 상기 투표용지를 수용하며 유권자를 식별하기 위한 유일 표지가 표시된 봉투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비접촉 태그로부터 기록된 유권자의 식별 데이터를 읽는 단계; 상기 유일 표지에 의한 유권자 정보와 상기 식별 데이터에 의한 유권자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유일 표지에 의한 유권자 정보와 식별 데이터에 의한 유권자 정보가 일치하면 투표용지의 정상 처리를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RFID를 이용한 부재자 투표의 처리방법{METHOD OF SERECTLY TREATING ABSENTEE VOTING USING RFID}
본 발명은 부재자 투표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도움 없이도 부재자 투표를 공정하게 검증하고 집계할 수 있는 부재자 투표를 위한 용지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투표나 선거는 유권자가 직접 투표소에 방문하고, 본인임을 확인한 후 진행된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유권자가 투표소가 직접 방문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특정된 투표소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유권자를 부재자라 정의할 수 있으며, 이들에 의한 투표를 부재자 투표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부재자 투표를 하려면 일정한 사유에 해당하고 부재자 신고를 하여야 하며, 부재자 신고인명부에 등재(登載)되어야 하며, 투표방법은 우편투표법 등에 의한다. 참고로, 부재자로 등재되기 위해서는 그가 속하는 지역 밖에서 직무 또는 근무에 종사하고 있다든가, 부득이한 용무 또는 사고로 말미암아 투표구가 있는 지역 밖의 곳에 여행 중이거나 또는 체재 중에 있는 등의 사정이 있어야 한다.
최근 해외에서 거주하고 있는 유권자에 대한 선거권 제한이 완화되고 있으 며, 이에 따라 부재자 투표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가에 대한 기술적 논란이 커지고 있다. 특히 투표소 방문을 통한 투표 자체가 해외에서는 현실성이 떨어지고, 인터넷 등을 이용한 전자투표는 해킹(Hacking) 등에 노출되어 위험하다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게다가 인터넷에 익숙하지 아니한 유권자에 대한 역차별의 가능성도 있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적 보완이 시급하다. 특히 우편을 이용한 투표의 경우 투표용지의 위조 발생 가능성도 우려되는 사안 중의 하나이다.
본 발명은 부재자 투표를 공정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투표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송부된 투표 용지와 투표한 유권자 간의 매칭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투표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부재자의 투표를 처리함에 있어 비밀투표원칙을 고수할 수 있는 투표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재자 투표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은 비접촉 태그를 포함하는 투표용지 및 상기 투표용지를 수용하며 유권자를 식별하기 위한 유일 표지가 표시된 봉투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비접촉 태그로부터 기록된 유권자의 식별 데이터를 읽는 단계; 상기 유일 표지에 의한 유권자 정보와 상기 식별 데이터에 의한 유권자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유일 표지에 의한 유권 자 정보와 식별 데이터에 의한 유권자 정보가 일치하면 투표용지의 정상 처리를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투표용지 및 봉투는 유권자로부터 배송된 것으로서, 그 내용에는 유권자의 선택이 표시될 수 있다. 비밀투표의 원칙 상 유권자의 선택을 포함하는 투표용지는 봉투 내에 밀봉되어 있으며, 투표용지는 임의로 확인되어서는 안 된다. 그런데, 상기 비접촉 태그는 봉투를 개봉하지 않아도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으며, 비접촉 태그에 저장된 식별 데이터를 통해 투표용지의 주인이 누군지를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투표용지에 포함된 비접촉 태그는 투표용지에 부착될 수 있으며, 투표용지 자체가 비접촉 태그를 포함하도록 일체로 제작될 수가 있다. 이러한 비접촉 태그는 우편에 의한 투표에 있어 발생 가능한 투표 용지의 위조 방지에도 최적의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비접촉 태그에 저장된 식별데이터는 선거 관리자에 의해서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권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지문, 우편 배송처, 자필서명 등이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비접촉 태그에 식별 데이터를 저장 한 후, 암호화 또는 잠금 지시 (Lock command)에 의하여 태그에 있는 식별 데이터의 위조 및 변조를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투표용지를 수용하는 봉투에는 유권자가 투표 후 작성한 유일 표지가 표시될 수 있다. 유일 표지는 유권자의 작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신체적 특징으로부터 구별될 수 있는 지문이 될 수 있으며, 유권자가 직접 서명한 자필서명이 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선거 관리자와 유권자 식별을 위해 미리 약속된 고유번호, 고유코드 등이 유일 표지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OMR 또는 OCR 방식의 관련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선거 관리자로부터 배급 받은 고유 식별태그 등이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유권자의 선택이 표시된 투표용지와 유일 표지가 표시된 봉투는 알에프 리더기와 유일 표지 식별장치를 통과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선거 관리자는 비접촉 태그에 저장된 식별 데이터를 읽어 유권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유일 표지를 읽어 다른 유권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두 표지로부터 확인된 유권자 정보가 일치하면, 선거 관리자는 해당 투표용지 및 봉투가 정상적으로 처리된 것으로 간주하고 투표함으로 이송할 수 있다. 하지만, 두 유권자 정보가 불일치하면, 선거 관리자는 비정상 처리로 간주하고 해당 용지 및 봉투를 회수함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때 식별 데이터는 유일 표지를 이미지화한 정보일 수 있으며, 유권자를 특정하기 위한 다른 단서가 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투표 처리방법은 봉투 개봉 없이도 투표의 진위 여부를 바로 판단할 수 있으며, 부재자 투표를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처리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투표 처리방법은 송부된 투표 용지와 투표한 유권자 간의 매칭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진위 판별에서 신속한 절차 진행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투표 처리방법은 봉투 개봉 시기를 최소로 하고, 진위 판별 후에 투표용지의 기록을 삭제하는 것이 용이하게 때문에 비밀투표원칙을 고수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재자 투표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장치의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재자 투표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부재자 투표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를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를 읽고 쓰기 위한 RFID 리더기(10) 및 유일 표지를 판독하기 위한 옵티컬 센서(20)를 포함할 수 있다. 투표용지(110) 및 봉투(120)는 봉인된 상태로 컨베이어 벨트와 같은 이송장치를 통과할 수 있으며, 통과하는 투표용지(110) 및 봉투(120)로부터 RFID 리더기(10) 및 옵티컬 센서(20)는 식별 데이터 및 유일 표지를 각각 읽을 수 있다. 참고로, 투표용지 및 봉투는 유권자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발송될 수 있으며, 이들은 한 세트의 발송물로 유권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투표용지(110)에는 선거 관리자에 의해서 부여된 RFID 태그(130)가 부착되어 있으며, RFID 태그(130)는 일종의 비접촉 태그로서 특정 유권자를 식별하기 위 한 식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데이터라 함은, 일 예로 특정 유권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거주지 또는 우편 배송처, 지문 이미지, 자필서명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권자를 특정할 수 있는 다양한 데이터가 사용될 수가 있다.
물론, 투표용지(110)는 유권자로부터 전달된 것으로서, 투표용지(110)에는 유권자의 선택 의사가 표시될 수 있으며, 투표용지 자체가 유권자의 선택에 의해서 선택된 것일 수도 있다. 참고로, 투표용지(110)에 포함된 RFID 태그(130)는 투표용지에 부착될 수 있지만, 그 외에도 투표용지 자체가 일종의 알에프 태그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봉투(120)에는 유권자에 의해서 표시된 유일 표지가 제공될 수 있다. 유일 표지라 함은 투표용지가 정당한 유권자에 의해서 작성 또는 선택된 것임을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지문(140)이 사용되고 있다. 지문(140)은 선거 관리자와 미리 약속된 손가락 또는 순서에 의해서 특정될 수 있으며, 가능하면 봉투와 분리가 어렵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지문(140)의 용이한 판독을 위해 지문이 인쇄된 스티커를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외에도, 유일 표지는 다양한 선택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문이 아닌 자필서명을 통해 유일 표지를 표시할 수 있으며, 선거 관리자와 미리 약속된 고유번호 또는 고유코드를 통해 유일 표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선거 관리자가 부재자 등록 시 배급하는 다른 RFID태그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바코드 등이 표시된 태그를 유일 표지로 사용할 수도 있다.
다시 도면을 참조하면, 지문(140)은 봉투(120)에 미리 지정된 날인란(125)에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지문(140)이 일정한 위치에 형성되면 카메라 또는 CCD와 같은 옵티컬 센서(20)는 봉투의 정해진 위치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지문(140)의 이미지를 쉽게 인지할 수가 있다.
참고로, 상술한 RFID 읽기/쓰기 기술 및 지문 이미지 판독 기술 등은 당업자라면 현재 기술 수준으로 용이하게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는 기술로서, 단수 또는 복수 RFID의 처리, 지문 이미지 비교, 일정한 봉투 이송 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부재자 투표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적으로 유권자의 선택을 포함하는 투표용지(110) 및 봉투(120)가 제공되며, 투표용지(110) 및 봉투(120)는 RFID 리더기(10)와 옵티컬 센서(20)를 통과하게 된다(S201). 투표용지(110)는 봉투(120) 내에 봉인되어 있으며, 봉인된 상태로 컨베이어벨트나 기타 이송장치를 통해 이송될 수 있다.
봉투(120)가 통과하면서, RFID 리더기(10)는 투표용지(110)에 부착된 RFID 태그(130)로부터 유권자의 식별 데이터를 읽는다(S202). 본 실시예에서 식별 데이터는 유권자의 지문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유권자의 지문 이미지를 바로 유일 표지인 지문과 비교함으로써 데이터 처리속도로 빠르게 할 수가 있다. 이때 식별 데이터는 유권자의 이름 및 주민등록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정보는 서버에 저장되어 부재자 투표의 집계 등에 사용될 수 있다.
RFID 리더기(10)를 이용하여 읽는 과정과 동시에 또는 선후에, 옵티컬 센 서(20)는 봉투(120)이 날인란(125)에 표시된 지문(140)을 읽을 수 있다. 지문(140)은 유권자에 의해서 날인된 것으로서, 옵티컬 센서 촬영을 통해 기록될 수 있다(S203). 상술한 바와 같이, 식별 데이터 및 유일 표지의 판독은 동시에 또는 시간 차를 두고 진행될 수 있으며, 이들 과정은 선거 관리자의 선택에 의해서 바뀔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청구범위에서도 별다른 한정을 하지 않는다.
옵티컬 센서(20)로부터 읽힌 지문(140) 이미지와 식별 데이터에 포함된 지문 이미지를 상호 비교할 수 있다(S204). 양 지문 이미지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면, 이는 정상적으로 처리 가능한 투표용지(110)로 분리될 수 있지만(S205), 만약 양 지문 이미지가 서로 다르면 비정상적인 용지로서 투표 결과에 포함시킬 수가 없을 것이다(S208).
정상적으로 처리되면(S205), RFID 리더기(10)는 RFID 태그(130)에 저장된 식별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이는 유권자의 선택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단 정상 처리가 확정되면 투표용지는 출처를 알 수 없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RFID 리더기(10)를 이용하여 식별 데이터를 삭제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알에프 태그 자체를 제거하도록 할 수가 있다(S206).
정상적으로 처리된 투표용지(110) 및 봉투(120)는 투표함으로 이동하여, 투표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가 있다(S207). 하지만, 비정상적으로 처리된 용지는 회수함 또는 기타 다른 분류로 분류되어 투표 결과에 영향으로 미치지 않게 되거나 재 검사를 받을 수가 있다(S209).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재자 투표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장치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재자 투표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투표용지 120:봉투
130:RFID 태그 140:지문

Claims (9)

  1. 비접촉 태그를 포함하는 투표용지 및 상기 투표용지를 수용하며 유권자를 식별하기 위한 유일 표지가 표시된 봉투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비접촉 태그로부터 기록된 유권자의 식별 데이터를 읽는 단계;
    상기 유일 표지에 의한 유권자 정보와 상기 식별 데이터에 의한 유권자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유일 표지에 의한 유권자 정보와 상기 식별 데이터에 의한 유권자 정보가 일치하면 투표용지의 정상 처리를 승인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부재자 투표의 처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권자의 유일 표지는 유권자의 지문 또는 자필서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자 투표의 처리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또는 상기 자필 서명은 상기 봉투의 외면에 직접 형성되거나 용지 부착에 의해 간접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자 투표의 처리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또는 상기 자필서명은 옵티컬 센서에 의해 판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자 투표의 처리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데이터는 상기 지문 또는 상기 자필서명에 대응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자 투표의 처리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일 표지에 의한 유권자 정보와 상기 식별 데이터에 의한 유권자 정보가 불일치하면 불일치한 상기 투표용지 및 상기 봉투를 회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자 투표의 처리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표용지의 정상 처리를 승인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유일 표지를 포함하는 상기 비접촉 태그에 저장된 유권자 관련 정보를 상기 투표용지로부터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자 투표의 처리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 태그에는 유권자를 식별하기 위한 상기 식별 데이터를 암호화된 상태로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자 투표의 처리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부재자 투표의 처리방법을 위한 투표용지 및 봉투를 포함하는 투표 발송물.
KR1020070069139A 2007-07-10 2007-07-10 Rfid를 이용한 부재자 투표의 처리방법 KR100890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139A KR100890472B1 (ko) 2007-07-10 2007-07-10 Rfid를 이용한 부재자 투표의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139A KR100890472B1 (ko) 2007-07-10 2007-07-10 Rfid를 이용한 부재자 투표의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806A KR20090005806A (ko) 2009-01-14
KR100890472B1 true KR100890472B1 (ko) 2009-03-26

Family

ID=40487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139A KR100890472B1 (ko) 2007-07-10 2007-07-10 Rfid를 이용한 부재자 투표의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047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4805A (ja) * 1995-08-17 1997-02-25 Fujitsu Ltd 不在者投票装置及び不在者投票機能を有する媒体発行装置
JP2002063317A (ja) 2000-08-22 2002-02-28 Logic:Kk 不在者投票支援システム
KR20060083454A (ko) * 2005-01-17 2006-07-21 대한민국(관리부서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 전자투개표 및 전자선거시스템
KR20080011989A (ko) * 2006-08-02 2008-02-11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전자 선거(또는 투표) 처리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선거(또는 투표) 처리서버와 프로그램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4805A (ja) * 1995-08-17 1997-02-25 Fujitsu Ltd 不在者投票装置及び不在者投票機能を有する媒体発行装置
JP2002063317A (ja) 2000-08-22 2002-02-28 Logic:Kk 不在者投票支援システム
KR20060083454A (ko) * 2005-01-17 2006-07-21 대한민국(관리부서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 전자투개표 및 전자선거시스템
KR20080011989A (ko) * 2006-08-02 2008-02-11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전자 선거(또는 투표) 처리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선거(또는 투표) 처리서버와 프로그램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806A (ko) 2009-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46139B1 (en) Voting system
US20030062411A1 (en) Electronic vo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ptically scanned ballot
US2006015755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ocument verification
US20040003295A1 (en) Biometric document authentication system
US20040049401A1 (en) Security methods employing drivers licenses and other documents
CN112384373B (zh) 物件防伪保护
US20100001862A1 (en) Method for authenticat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WO1999052058A1 (fr) Procede et dispositif servant a identifier les personnes ayant qualite d&#39;electeurs
MXPA06008875A (es) Uso de una firma digital obtenida de al menos una caracteristica estructural de un elemento de hardware para proteger la lectura directa de informacion sensible y metodo para leer informacion sensible protegida.
US20090101418A1 (en) Apparatus and methods relating to voting systems and the like
RU2002134748A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создания и аутентификации оригиналов документов
US6929413B2 (en) Printer driver log security verification for identification cards
CA2507836A1 (en) Identification card issuing apparatus and identification card issuing method
US20090121019A1 (en) Voting system and ballot paper
US7789306B2 (en) Voting method
WO2001035348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 of shipping transactions using printable and readable biometric data
US8857717B2 (en) Method and device for checking an electronic passport
US20090283597A1 (en) Electronic Voting Device, and Correspond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N101271597A (zh) 记录客户唯一性特征的售票系统
US20210090011A1 (en) Identifying and Tracking System for Searching Items
US20070091377A1 (en) Real-time auditing of covert data marks
KR100890472B1 (ko) Rfid를 이용한 부재자 투표의 처리방법
WO2017134904A1 (ja) 紙幣処理装置
US7673790B2 (en) Vote by mail envelope that protects integrity of ballot during signature verification
US8870067B2 (en) Identification device having electronic key stored in a memo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