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9878B1 - 휴대폰 연결 사용이 가능한 욕실용 멀티미디어 복합기고정구조 - Google Patents

휴대폰 연결 사용이 가능한 욕실용 멀티미디어 복합기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9878B1
KR100889878B1 KR1020080042406A KR20080042406A KR100889878B1 KR 100889878 B1 KR100889878 B1 KR 100889878B1 KR 1020080042406 A KR1020080042406 A KR 1020080042406A KR 20080042406 A KR20080042406 A KR 20080042406A KR 100889878 B1 KR100889878 B1 KR 100889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media
bathroom
fixed
mobile phone
moi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2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익권
권순화
박선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동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동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동이엔씨
Priority to KR1020080042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98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실에서 휴대폰을 거치하고, 욕실에서 멀티미디어 복합기를 통해 휴대폰 통화가 가능하게 하며, 멀티미디어 복합기가 욕실의 습기에서 보호될 수 있게 구성한 휴대폰 연결 사용이 가능한 욕실용 멀티미디어 복합기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며, 욕실과 거실 사이의 벽체(1)에 설치박스(10)가 배관(2)과 연결되도록 매입되어 설치되고, 설치박스(10)에 멀티미디어 복합기(40)가 욕실(3)에서 사용할 수 있게 고정되며, 멀티미디어 복합기(40)의 후방으로 공간이 형성되어 거실(4)에서 핸드폰을 연결한 후 욕실에서 멀티미디어 복합기(40)로 휴대폰 통화가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거실(3)과 거실(4) 사이 벽에 매입되어 설치되고, 전후가 개방된 사각의 박스체(11)의 욕실측 단부에 플랜지(12)가 형성되며, 박스체(11)의 내부에 상하를 구분하는 중간격벽(13)이 일체로 형성되고, 중간격벽(13)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공간부(14)는 전후로 구분되어 후방에 배선공간부(16)가 형성되며, 박스체(11)의 상면에 배선공간부(16)와 통하도록 배선홀(17)이 형성되어 배관(2)과 연결되고, 배선공간부(16)의 바닥은 배선도어(18)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며, 중간격벽(13)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공간부(15)에는 방습보호대(30)로 보호되는 멀티미디어복합기(40)가 고정되고, 상부공간부(14)의 전방에는 보조스피커(80)와 보조마이크(81)가 고정되는 설치박스(10); 설치박스(10)의 배선도어(18)에 형성된 다수개의 설치홀(18-1)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배관(2)에서 인출된 전기선과 통신선이 각각 연결되며, 멀티미디어복합기(40)의 연결선이 고정되어 전기선 과 통신선과 연결시키는 커넥터(20); 전후가 개방된 사각 박스 형상의 고무박스체(31)의 전단에 투명보호필름(33)이 부착되고, 고무박스체(31)의 상면 후단에 홈(32)이 형성되어 배선도어(18)가 개폐될 수 있게 되며, 내측 공간에 멀티미디어복합기(40)가 삽입되어 고정된채로 설치박스(10)의 하부공간부(15)에 삽입되고, 멀티미디어복합기(40)의 후방으로 내측면 둘레에 홈부(34)가 형성된 방습보호대(30); 전면에 터치패드(41)가 형성되고, 전면 일측에 스위치(42)가 형성되며, 휴대폰 연결 통화 모듈이 내장된 멀티미디어복합기(40); 방습보호대(30)의 홈부(34)에 끼워져 고정되고, 판체 일측에 홀(51)이 형성되어 멀티미디어복합기(40)의 연결선이 통과하여 커넥터(20)와 휴대폰에 연결되는 중간판체(50); 목재바(62)가 설치박스(10) 전단 둘레를 둘러싸도록 욕실 벽에 고정되고, 목재바(62)에 힌지(63)로 투명도어(61)가 고정되어 방습되게 하는 욕실케이스(60); 설치박스(10)의 거실쪽 단부에 거실을 향해 개방된 하부공간부(15)를 개폐하도록 판체(71)가 힌지핀(72)으로 고정되고, 판체(71) 일측에 손잡이부(73)가 형성된 거실도어(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80042406
욕실, 거실, 멀티미디어 복합기, 휴대폰, 설치박스, 방습보호대

Description

휴대폰 연결 사용이 가능한 욕실용 멀티미디어 복합기 고정구조{A fixing apparatus multimedia using a bath}
본 발명은 휴대폰 연결 사용이 가능한 욕실용 멀티미디어 복합기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거실에서 휴대폰을 거치하고, 욕실에서 멀티미디어 복합기를 통해 휴대폰 통화가 가능하게 하며, 멀티미디어 복합기가 욕실의 습기에서 보호될 수 있게 구성한 휴대폰 연결 사용이 가능한 욕실용 멀티미디어 복합기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폰의 경우 거의 대부분이 소지하고 있고, 유선전화 사용보다 휴대폰 사용이 일반화 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욕실에서 샤워나 목욕시 휴대폰을 외부에 두고 있을 경우가 대부분이고, 이러한 경우 휴대폰 전화를 받기 위해 젖은 몸으로 밖으로 나가야 하거나 급한 전화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휴대폰의 경우 습기에 취약하기 때문에 습기가 가득 차게 되는 욕실로 휴대폰을 가지고 들어오기에는 문제가 있다.
밖에 두었다가 전화를 받을 경우에도 젖은 손을 닦고 통화를 하여야 하는 불 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욕실에는 일반 유선전화가 연결되어 전화연결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복합기가 사용되고 있으나, 휴대폰을 욕실에서 이용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기기가 욕실에 설치된 경우는 없었다.
또한 현재 휴대폰을 충전시킬 때마다 별도의 충전기를 전기 콘센트에 연결하여 휴대폰을 충전하여야 하나 충전기를 충전할 때마다 찾아서 콘센트에 연결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거실에서 휴대폰을 설치박스에 넣어서 멀티미디어 복합기에 연결하여 욕실에서 멀티미디어 복합기를 이용하여 휴대폰 통화를 할 수 있게 하고, 멀티미디어 복합기가 습기에 의한 손상을 받지 않도록 방습보호대에 의한 습기 보호를 할 수 있게 하며, 배관에서 연결된 통신선과 전기선을 커넥터에 의해 쉽게 연결할 수 있게 하는 휴대폰 연결 사용이 가능한 욕실용 멀티미디어 복합기 고정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방습보호대에 의해 멀티미디어 복합기가 보호되도록 구성하고, 커넥터에 직류로 바꾸어 충전할 수 있게 구성한 모듈을 내장하여 휴대폰을 연결하면 충전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욕실과 거실 사이의 벽체에 설치박스가 배관과 연결되도록 매입되어 설치되고, 설치박스에 멀티미디어 복합기가 욕실에서 사용할 수 있게 고정되며, 멀티미디어 복합기의 후방으로 공간이 형성되어 거실에서 핸드폰을 연결한 후 욕실에서 멀티미디어 복합기로 휴대폰 통화가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연결 사용이 가능한 욕실용 멀티미디어 복합기 고정구조. 및 욕실과 거실 사이 벽에 매입되어 설치되고, 전후가 개방된 사각의 박스체의 욕실측 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되며, 박스체의 내부에 상하를 구분하는 중간격벽이 일체로 형성되고, 중간격벽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공간부는 전후로 구분 되어 후방에 배선공간부가 형성되며, 박스체의 상면에 배선공간부와 통하도록 배선홀이 형성되어 배관과 연결되고, 배선공간부의 바닥은 배선도어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며, 중간격벽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공간부에는 방습보호대로 보호되는 멀티미디어복합기가 고정되고, 상부공간부의 전방에는 보조스피커와 보조마이크가 고정되는 설치박스; 설치박스의 배선도어에 형성된 다수개의 설치홀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배관에서 인출된 전기선과 통신선이 각각 연결되며, 멀티미디어복합기의 연결선이 고정되어 전기선과 통신선과 연결시키는 커넥터; 전후가 개방된 사각 박스 형상의 고무박스체의 전단에 투명보호필름이 부착되고, 고무박스체의 상면 후단에 홈이 형성되어 배선도어가 개폐될 수 있게 되며, 내측 공간에 멀티미디어복합기가 삽입되어 고정된채로 설치박스의 하부공간부에 삽입되고, 멀티미디어복합기의 후방으로 내측면 둘레에 홈부가 형성된 방습보호대; 전면에 터치패드가 형성되고, 전면 일측에 스위치가 형성되며, 휴대폰 연결 통화 모듈이 내장된 멀티미디어복합기; 방습보호대의 홈부에 끼워져 고정되고, 판체 일측에 홀이 형성되어 멀티미디어복합기의 연결선이 통과하여 커넥터와 휴대폰에 연결되는 중간판체; 목재바가 설치박스 전단 둘레를 둘러싸도록 욕실 벽에 고정되고, 목재바에 힌지로 투명도어가 고정되어 방습되게 하는 욕실케이스; 설치박스의 거실쪽 단부에 거실을 향해 개방된 하부공간부를 개폐하도록 판체가 힌지핀으로 고정되고, 판체 일측에 손잡이부가 형성된 거실도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연결 사용이 가능한 욕실용 멀티미디어 복합기 고정구조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휴대폰을 외부에 놓고도 욕실에서 휴대폰 통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고, 방습보호대에 의해 멀티미디어 복합기를 욕실에서 사용할 때 습기에 의해 손상받지 않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중간판체에 의해 멀티미디어 복합기의 배면과 거실과의 공간이 분리 되므로 분리된 거실쪽 하부 공간부에 휴대폰을 넣어 충전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설치박스에 고정된 보조스피커와 보조마이크를 사용하여 습기에 의한 멀티미디어복합기의 손상없이 음향을 더 크게 들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설치박스의 배선공간부에 의하여 배선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거실쪽에 설치된 거실도어에 의하여 휴대폰을 보관하는 공간을 개폐가능하게 밀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되지 않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욕실(3)과 거실(4) 사이에 벽체(1)에 설치박스(10)가 매입되어 설치되고, 설치박스(10)에 멀티미디어 복합기(40)가 방습보호대(30)에 의하여 보호되 면서 고정되며, 방습보호대(30)의 내벽에 중간판체(50)가 설치되어 거실(4) 쪽에서 휴대폰을 거치하는 공간을 멀티미디어 복합기(40)와 분리시키고, 배관(2)으로 부터 인출된 전기선과 통신선을 커넥터(20)에 의하여 멀티미디어 복합기(40)와 휴대폰에 연결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즉 욕실(3)과 거실(4) 사이의 벽체(1)에 설치박스(10)가 배관(2)과 연결되도록 매입되어 설치되고, 설치박스(10)에 멀티미디어 복합기(40)가 욕실(3)에서 사용할 수 있게 고정되며, 멀티미디어 복합기(40)의 후방으로 공간이 형성되어 거실(4)에서 핸드폰을 연결한 후 욕실에서 멀티미디어 복합기(40)로 휴대폰 통화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거실(4)은 특정된 공간이 아니고 욕실(3)과 붙어 있는 공간을 지칭하므로 꼭 거실이 아니어도 된다.
설치박스(10)는 욕실(3)과 거실(4) 사이 벽체(1)에 매입되어 설치되고, 설치박스(10)는 전후가 개방된 사각의 박스체(11)의 욕실측 단부에 플랜지(12)가 형성되어 벽체(1)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설치박스(10)의 박스체(11) 내부에 상하를 구분하는 중간격벽(13)이 일체로 형성되고, 중간격벽(13)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공간부(14)는 전후로 구분되어 후방에 배선공간부(16)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기재에 있어서 편의를 위해 욕실 쪽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하여 사용한다.
박스체(11)의 상면에 배선공간부(16)와 통하도록 배선홀(17)이 형성되어 배 관(2)과 연결되고, 배선공간부(16)의 바닥은 배선도어(18)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형성된다. 배선도어(18)는 커넥터(20)를 고정하면서 배선공간부(16)를 개폐하는 구성으로서, 도 5와 도 6의 분해사시도에서 잘 도시되어 있다.
배선도어(18)는 판체에 다수개의 커넥터(20)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설치홀(18-1)이 형성되어 있고, 판체의 일측단에 형성된 힌지부가 고정핀(18-2)으로 배선공간부(16)의 하부에 형성된 개방구 일측에 고정되어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힌지부 반대쪽에는 자석을 이용한 일반적인 고정구조가 형성되어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중간격벽(13)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공간부(15)에는 방습보호대(30)로 보호되는 멀티미디어복합기(40)가 고정되고, 상부공간부(14)의 전방에는 보조스피커(80)와 보조마이크(81)가 고정된다. 보조스피커(80)와 보조마이크(81)는 연결용 커넥터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복합기(40)에 고정되어 멀티미디어 복합기(40)에 형성된 마이크와 스피커를 대신하게 된다.
커넥터(20)는 설치박스(10)의 배선도어(18)에 형성된 다수개의 설치홀(18-1)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배관(2)에서 인출된 전기선과 통신선이 각각 연결된다. 전기선에 연결되는 커넥터(20)와 통신선을 연결하는 커넥터(20)는 별도로 형성되어 멀티미디어 복합기(40)에서 유선 통화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안테나 선을 연결하여 TV수신과 라이오 수신도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20)는 일반적인 것을 사용하면 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고정되는 커넥터(20)중 교류 전기선을 직류로 바꾸어주는 회로를 내 장하여 직류전원 충전에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멀티미디어복합기(40)에서 사용하는 전원선, 통신선, 안테나선과 같은 연결선을 커넥터(20)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멀티미디어 복합기(40)는 다량의 습기가 존재하는 욕실에서 사용되므로 방습보호대(30)로 기기를 보호한다.
방습보호대(30)는 전후가 개방된 사각 박스 형상의 고무박스체(31)의 전단에 투명보호필름(33)이 부착되고, 고무박스체(31)의 상면 후단에 홈(32)이 형성되어 배선도어(18)가 개폐될 수 있게 된다. 투명보호필름(33)은 멀티미디어 복합기(40)의 터치패드(41)를 작동시킬 수 있을 정도의 두께로 형성한다. 투명보호필름(33)의 외측단은 고무박스체(31)의 전단에 고정되어 고무박스체(31) 내부로 습기가 침투되지 않게 한다.
방습보호대(30)는 고무박스체(31)의 내측 공간에 멀티미디어복합기(40)가 삽입되어 고정된 채로 설치박스(10)의 하부공간부(15)에 삽입되고, 멀티미디어복합기(40)의 후방으로 내측면 둘레에 홈부(34)가 형성된다. 고무박스체(31)는 재질이 고무로 형성되어 설치박스(10)에 밀착되게 되고, 고무박스체(31)의 전단에 고정된 투명보호필름(33)에 의해 습기가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복합기(40)는 전면에 터치패드(41)가 형성되고, 전면 일측에 스위치(42)가 형성되며, 휴대폰 연결 통화 모듈이 내장되어 휴대폰과 연결하였을 때 전화통화가 가능하다. 터치패드(41)에 휴대폰 버튼이 표시되어 전화번호를 눌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멀티미디어 복합기(40)의 기계 장치에 대한 내용이 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중간판체(50)는 방습보호대(30)의 홈부(34)에 끼워져 고정되고, 판체 일측에 홀(51)이 형성되어 멀티미디어복합기(40)의 연결선이 통과하여 커넥터(20)와 휴대폰에 연결된다. 중간판체(50)의 후방으로 중간판체(5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휴대폰이 수납되어 멀티미디어 복합기(40)와 연결되거나, 커넥터(20)에 연결되어 충전을 할 수 있게 한다.
욕실케이스(60)는 욕실 내부에 가득한 습기가 평소에 멀티미디어 복합기(40)와 보조마이크(80)와 보조스피커(81)에 침투하여 고장을 일으키지 않도록 차단하여 주는 구성으로, 목재바(62)가 설치박스(10) 전단 둘레를 둘러싸도록 욕실 벽에 고정되고, 목재바(62)에 힌지(63)로 투명도어(61)가 고정된다.
목재바(62)는 사각을 이루도록 벽체(1)에 몰타르나 에폭시 등으로 고정할 수 있고, 실리콘을 이용하여 틈새를 메울 수 있다.
거실도어(70)는 설치박스(10)의 거실쪽 단부에 거실을 향해 개방된 하부공간부(15)를 개폐하도록 판체(71)가 힌지핀(72)으로 고정되고, 판체(71) 일측에 손잡이부(73)가 형성된다.
따라서 거실도어(70)를 열고 휴대폰을 넣어 멀티미디어 복합기(40)와 USB케이블로 연결하게 되면 플러그 앤 플레이 방식으로 멀티미디어 복합기(40)가 작동하여 터치패드(41) 화면에 휴대폰을 작동시키고 수신할 수 있는 메뉴가 나타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폰 연결 사용이 가능한 욕실용 멀티미디어 복합기 고정구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폰 연결 사용이 가능한 욕실용 멀티미디어 복합기 고정구조를 도시한 도 1의 A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폰 연결 사용이 가능한 욕실용 멀티미디어 복합기 고정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휴대폰 연결 사용이 가능한 욕실용 멀티미디어 복합기 고정구조를 거실쪽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휴대폰 연결 사용이 가능한 욕실용 멀티미디어 복합기 고정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휴대폰 연결 사용이 가능한 욕실용 멀티미디어 복합기 고정구조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휴대폰 연결 사용이 가능한 욕실용 멀티미디어 복합기 고정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휴대폰 연결 사용이 가능한 욕실용 멀티미디어 복합기 고정구조의 배선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벽체 2 : 배관
3 : 욕실 4 : 거실
10 : 설치박스 11 : 박스체
12 : 플랜지 13 : 중간격벽
14 : 상부공간부 15 : 하부공간부
16 : 배선공간부 17 : 배선홀
18 : 배선도어 18-1 : 설치홀
18-2 : 고정핀 20 : 커넥터
30 : 방습보호대 31 : 고무박스체
32 : 홈 33 : 투명보호필름
34 : 홈부 40 : 멀티미디어복합기
41 : 터치패드 42 : 스위치
50 : 중간판체 51 : 홀
60 : 욕실케이스 61 : 투명도어
62 : 목재바 63 : 힌지
70 : 거실도어 71 : 판체
72 : 힌지핀 73 : 손잡이부
80 : 보조스피커 81 : 보조마이크

Claims (2)

  1. 삭제
  2. 욕실과 거실 사이의 벽체에 설치박스가 배관과 연결되도록 매입되어 설치되고, 설치박스에 멀티미디어 복합기가 욕실에서 사용할 수 있게 고정되며, 멀티미디어 복합기의 후방으로 공간이 형성되어 거실에서 핸드폰을 연결한 후 욕실에서 멀티미디어 복합기로 휴대폰 통화가 가능하게 구성된 휴대폰 연결 사용이 가능한 욕실용 멀티미디어 복합기 고정구조에 있어서,
    욕실(3)과 거실(4) 사이 벽체(1)에 매입되어 설치되고, 전후가 개방된 사각의 박스체(11)의 욕실측 단부에 플랜지(12)가 형성되며, 박스체(11)의 내부에 상하를 구분하는 중간격벽(13)이 일체로 형성되고, 중간격벽(13)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공간부(14)는 전후로 구분되어 후방에 배선공간부(16)가 형성되며, 박스체(11)의 상면에 배선공간부(16)와 통하도록 배선홀(17)이 형성되어 배관(2)과 연결되고, 배선공간부(16)의 바닥은 배선도어(18)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며, 중간격벽(13)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공간부(15)에는 방습보호대(30)로 보호되는 멀티미디어복합기(40)가 고정되고, 상부공간부(14)의 전방에는 보조스피커(80)와 보조마이크(81)가 고정되는 설치박스(10);
    설치박스(10)의 배선도어(18)에 형성된 다수개의 설치홀(18-1)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배관(2)에서 인출된 전기선과 통신선이 각각 연결되며, 멀티미디어복합기(40)의 연결선이 고정되어 전기선과 통신선과 연결시키는 커넥터(20);
    전후가 개방된 사각 박스 형상의 고무박스체(31)의 전단에 투명보호필름(33)이 부착되고, 고무박스체(31)의 상면 후단에 홈(32)이 형성되어 배선도어(18)가 개폐될 수 있게 되며, 내측 공간에 멀티미디어복합기(40)가 삽입되어 고정된채로 설치박스(10)의 하부공간부(15)에 삽입되고, 멀티미디어복합기(40)의 후방으로 내측면 둘레에 홈부(34)가 형성된 방습보호대(30);
    전면에 터치패드(41)가 형성되고, 전면 일측에 스위치(42)가 형성되며, 휴대폰 연결 통화 모듈이 내장된 멀티미디어복합기(40);
    방습보호대(30)의 홈부(34)에 끼워져 고정되고, 판체 일측에 홀(51)이 형성되어 멀티미디어복합기(40)의 연결선이 통과하여 커넥터(20)와 휴대폰에 연결되는 중간판체(50);
    목재바(62)가 설치박스(10) 전단 둘레를 둘러싸도록 욕실 벽에 고정되고, 목재바(62)에 힌지(63)로 투명도어(61)가 고정되어 방습되게 하는 욕실케이스(60);
    설치박스(10)의 거실쪽 단부에 거실을 향해 개방된 하부공간부(15)를 개폐하도록 판체(71)가 힌지핀(72)으로 고정되고, 판체(71) 일측에 손잡이부(73)가 형성된 거실도어(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연결 사용이 가능한 욕실용 멀티미디어 복합기 고정구조.
KR1020080042406A 2008-05-07 2008-05-07 휴대폰 연결 사용이 가능한 욕실용 멀티미디어 복합기고정구조 KR100889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406A KR100889878B1 (ko) 2008-05-07 2008-05-07 휴대폰 연결 사용이 가능한 욕실용 멀티미디어 복합기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406A KR100889878B1 (ko) 2008-05-07 2008-05-07 휴대폰 연결 사용이 가능한 욕실용 멀티미디어 복합기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9878B1 true KR100889878B1 (ko) 2009-03-25

Family

ID=40698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2406A KR100889878B1 (ko) 2008-05-07 2008-05-07 휴대폰 연결 사용이 가능한 욕실용 멀티미디어 복합기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98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4437B1 (ko) 2011-04-05 2012-09-2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욕실 스피커 케이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438Y1 (ko) * 1999-10-27 2000-04-15 아남르그랑주식회사 화장실용 전화기
KR20000009699U (ko) * 1998-11-10 2000-06-05 류공현 욕실용 다기능 수납장
KR20040103074A (ko) * 2003-05-30 2004-12-08 코스텔(주) 욕실용 멀티 미디어 기기의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699U (ko) * 1998-11-10 2000-06-05 류공현 욕실용 다기능 수납장
KR200177438Y1 (ko) * 1999-10-27 2000-04-15 아남르그랑주식회사 화장실용 전화기
KR20040103074A (ko) * 2003-05-30 2004-12-08 코스텔(주) 욕실용 멀티 미디어 기기의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4437B1 (ko) 2011-04-05 2012-09-2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욕실 스피커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72090A1 (en) Protective Case with Speaker and Microphone
JP2015521814A (ja) 録音機能を有する携帯電話スマートケース
KR20110119752A (ko) 전자기기
KR100889878B1 (ko) 휴대폰 연결 사용이 가능한 욕실용 멀티미디어 복합기고정구조
KR101499060B1 (ko) 방수 이어폰 잭
CN205755185U (zh) 一种三防智能终端
KR20120078144A (ko) 이어마이크폰이 일체로 수납된 휴대폰 케이스
KR20060016824A (ko) 휴대폰 및 휴대용 음향기기의 이어폰 세트
JP2012252794A (ja) 防水キャップ構造
CN211456096U (zh) 一种防水插座
KR200440188Y1 (ko) 멀티미디어 콘센트
CN206698266U (zh) 防水手机
KR101159483B1 (ko) 선박용 전기/통신 네트워크 통합 분배상자
KR200406680Y1 (ko) 스피커 장치
KR101263632B1 (ko) 공동주택의 주름관을 통한 소음 전파의 방지구조
CN218998217U (zh) 一种防水结构及音箱
CN201197063Y (zh) 一种新型线槽
CN110534965A (zh) Usb插座及电子设备
CN214756839U (zh) 一种自动开关蓝牙耳机充电的充电盒
CN108495217A (zh) 一种具有高效防水性能的有线通信装置
JP2009010792A (ja) 携帯用電子機器
CN215119468U (zh) 一种办公家具用带有无线充电和usb充电的多功能插座盒
CN207677952U (zh) 一种耳机线控外壳
US20200162803A1 (en) Paddle boar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system
CN210927930U (zh) 一种全向麦克风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