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9354B1 - Wire Lockup Members - Google Patents

Wire Lockup Memb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9354B1
KR100889354B1 KR1020070053295A KR20070053295A KR100889354B1 KR 100889354 B1 KR100889354 B1 KR 100889354B1 KR 1020070053295 A KR1020070053295 A KR 1020070053295A KR 20070053295 A KR20070053295 A KR 20070053295A KR 100889354 B1 KR100889354 B1 KR 100889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ixing
fixing member
convex portion
flan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32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105553A (en
Inventor
이상규
Original Assignee
이상규
주식회사 남영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규, 주식회사 남영휀스 filed Critical 이상규
Priority to KR1020070053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9354B1/en
Publication of KR20080105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55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3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 Y10S256/03Wire cla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의 탈부착이 용이하면서도, 와이어와 지지빔간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한 와이어 고정부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fixing member that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a wire, and that can be firmly fixed between the wire and the support beam.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고정부재는 지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기립하여 설치되는 철제빔에 상기 기립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 고정부재에 있어서, 상기 철제빔과 맞닿는 바닥면에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돌기를 가지는 고정홈이 상기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철부; 상기 기립방향으로 상기 철부의 측면에 상기 철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철제빔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홀이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wire fix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 fixing member for fixing a wir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tanding direction to the iron beam is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ground, the bottom surface in contact with the iron beam An iron portion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and having a fixing groove having a protrusion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flange port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vex portion on the side of the convex portion in the standing direction and having a coupling hole for coupling with the iron beam.

와이어, 낙석, 펜스, 클립 Wire, rockfall, fence, clip

Description

와이어 고정부재{Wire Lockup Members}Wire Locking Member {Wire Lockup Members}

도 1은 종래의 펜스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fence structur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re fix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의 와이어 고정부재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써3A to 3C are views showing the wire fixing member of FIG. 1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도 3a는 하부 사시도,3a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도 3b는 저면도,3b is a bottom view,

도 3c는 도 1의 A-A`을 따라 절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예시도.3C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1.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부재 예를 도시한 사시도.4A and 4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wire fix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부재(400)를 도시한 예시도.5a to 5c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wire fixing member 4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부재(500)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wire fixing member 5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0, 300, 400 : 와이어 고정부재 210, 310, 410 : 철부200, 300, 400: wire fixing member 210, 310, 410: iron

220, 420 : 플랜지부 230, 330, 430 : 고정홈220, 420: Flange 230, 330, 430: fixing groove

240, 440 : 고정홀 250 : 바닥면240, 440: fixing hole 250: bottom surface

251, 351, 451 : 경사면 252, 352, 452 : 상면251, 351, 451: slope 252, 352, 452: top

260, 460 : 돌기 370, 570 : 가압홀260, 460: projection 370, 570: pressure hole

371, 571 : 나사산 390 : 가압부재371, 571: thread 390: pressure member

본 발명은 낙석방지용 펜스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와이어의 탈부착이 용이하면서도, 와이어와 지지빔간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한 와이어 고정부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nce member for preventing rockfall,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 fixing member that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the wire and that can be firmly fixed between the wire and the support beam.

절개지와 같이 낙석으로 인한 피해가 예상되는 지역에는 낙석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낙석 방지수단이 설치된다. 이러한 낙석방지 수단으로는 주로 콘크리트에 의해 가설되는 옹벽구조물과 철제 빔을 이용하는 펜스구조물로 구분된다. 옹벽구조물은 펜스구조물에 비해 낙석에 의한 충격 및 하중에 견디는 힘이 강한 장점이 있지만, 1회 설치 후 보수 및 재설치가 어려우며 설치 비용이 비싼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 도로의 주변 및 낙석의 위험이 비교적 적은 곳, 낙석에 의한 충격이 상대적으로 적은 곳, 낙석의 발생시 낙석 하중이 상대적으로 적은 곳에는 철제 빔을 이용한 펜스구조물을 설치하는 것이 보편적이다.Rockfall prevention measures are installed in areas where rockfall damage is expected, such as an incision. Such rockfall prevention means are mainly classified into retaining wall structures which are constructed by concrete and fence structures using steel beams. Retaining wall structure has a strong strength to withstand the impact and load caused by rockfall compared to the fence structure, but it is difficult to repair and reinstall after one installation and has the disadvantage of high installation cost. For this reason, it is common to install fence structures using steel beams in the vicinity of roads and in places where the risk of falling rocks is relatively low, where the impact of falling rocks is relatively low, and where the load of falling rocks is relatively low.

도 1은 종래의 펜스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fence structure.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에 빈번하게 이용되는 펜스구조물은 크게 지지구조물(102), 지주빔(100) 및 와이어(101)로 구성된다. 지지구조물(102)은 콘크리트 등으로 가설되어 일종의 옹벽 역할을 수행하고, 지주빔(100)을 고정 및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지지구조물(102)은 낙석에 의한 하중 발생시 지주빔(100) 및 와이어(101)를 통해 전달되는 낙석의 하중을 견디어 낙석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1, a fence structure frequently used in the related art is largely composed of a support structure 102, a support beam 100, and a wire 101. The support structure 102 is hypothesized by concrete or the like to serve as a kind of retaining wall, and serves to fix and support the holding beam 100. Through this, the support structure 102 serves to withstand the load of the falling rock transmitted through the support beam 100 and the wire 101 when the load is generated by the falling rock to prevent an accident caused by the falling rock.

지주빔(100)은 철제 빔으로 형성되고 지지구조물(102) 상에 수직 기립 설치되어 와이어(101)를 고정한다. 이 지주빔(100)은 지지구조물(102)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지주빔(100)과 이웃한 지주빔(100)은 지주빔(100)의 기립방향과 수직으로 설치되는 와이어(101)에 의해 연결된다.The strut beam 100 is formed of an iron beam and is vertically installed on the support structure 102 to fix the wire 101. The strut beam 100 is installed on the support structure 102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strut beam 100 and the neighboring strut beam 100 are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standing direction of the strut beam 100. Is connected by.

와이어(101)는 다수의 강선을 꼬아서 형성한 강선체를 2조이상 다시 꼬아 형성된 형태를 주로 이용하며, 지주빔(100)의 기립방향과 대략 수직으로 지주빔(100)에 설치된다. 이러한, 와이어(10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빔(100)에 형성된 홀을 통해 지주빔(100)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The wire 101 mainly uses a form formed by twisting two or more sets of steel wires formed by twisting a plurality of steel wires, and is installed on the support beam 100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tanding direction of the support beam 100. As shown in FIG. 1, the wire 101 is installed to penetrate the support beam 100 through a hole formed in the support beam 100.

이러한 구조의 펜스구조물은 옹벽구조물과 구분되는 장점인 용이한 보수를 실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지지빔(100) 중 어느 하나 혹은 와이어(101) 중 일부분이 파손되어 교체가 필요한 경우, 와이어(101) 및 지지빔(100)의 교체를 위해 교체 대상 지지빔(100)에 결합된 와이어(101)를 모두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문제가 되고 있다.The fence structure of this structure has a problem in that it does not realize easy repair, which is an advantage that is distinguished from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That is, when any one of the support beams 100 or a part of the wires 101 is damaged and needs to be replaced, a wire coupled to the support beams 100 to be replaced for replacement of the wires 101 and the support beams 100. The trouble of having to remove all 101 becomes a problem.

이와 같은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와이어(101)를 'U'자 클립(미 도시)을 이용하여 지지빔(100)의 일면에 고정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U자 클립의 경우 보수의 용이함만을 부각시킨 것으로 와이어(101)의 견고한 지지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 U자 클립을 이용한 펜스구조물의 경우 낙석 발생시 클립의 파손, 와이어(101)의 유동 등으로 인해 펜스구조물의 심각한 파손 및 낙석의 침하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때문에, 보수의 용이함을 확보하면서도 지지빔(100)과 와이어(101) 간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한 와이어(101) 고정부재가 필요한 실정이다.In order to eliminate such inconvenience, conventionally, a method of fixing the wire 101 to one surface of the support beam 100 using a 'U' clip (not shown) is used. It is difficult to firmly support the wire 101 by emphasizing ease. For this reason, in the case of the fence structure using the U-shaped clip, there is a problem that severe breakage of the fence structure and falling of the rockfall due to the breakage of the clip when the falling rock occurs, the flow of the wire 101, and the like. Therefore, a situation in which wire 101 fixing members capable of firmly fixing the support beam 100 and the wire 101 while ensuring ease of repair is requir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와이어의 탈부착이 용이하면서도, 와이어와 지지빔간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한 와이어 고정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 fixing member that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a wire and that can be firmly fixed between the wire and the support bea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고정부재는 지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기립하여 설치되는 철제빔에 상기 기립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 고정부재에 있어서, 상기 철제빔과 맞닿는 바닥면에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돌기를 가지는 고정홈이 상기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철부; 상기 기립방향으로 상기 철부의 측면에 상기 철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철제빔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홀이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wire fix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 fixing member for fixing a wir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tanding direction to the iron beam is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ground, the iron A convex portion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on the bottom surfac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beam, and having a fixing groove having a protrusion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flange port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vex portion on the side of the convex portion in the standing direction and having a coupling hole for coupling with the iron beam.

상기 돌기는, 편자 또는 U자형태로 개구부가 상기 철제빔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돌기의 곡면부는 상기 고정홈의 곡면과 동심원형태를 이루도록 상기 고정홈 내부로 돌출된다.The protrusions are formed in a horseshoe or U shape so that the openings face the steel beams, and the curved portions of the protrusions protrude into the fixing grooves so as to form concentric circles with the curved surfaces of the fixing grooves.

상기 돌기는, 상기 수평방향 절단면이 비대칭으로 형성된다.The projections are formed asymmetrically in the horizontal cut surface.

상기 철부는, 상기 철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고정홈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가압부재가 결합되는 가압홀이 형성된다.The convex portion is formed to penetrate the fixing groove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and a pressing hole to which the pressing member is coupled is formed.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철제빔의 상기 수평방향 폭보다 크거나 같은 폭을 가진다.The flange portion has a width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horizontal width of the iron beam.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수평방향 가장자리에는 가이드플랫이 상기 플랜지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Guide flanges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langes at the horizontal edges of the flanges.

상기 가이드플랫은 상기 바닥면과 수직방향으로 돌출된다.The guide flat protrud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작용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Other features and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 objects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면과 연관하여 이하에서 개시되는 상세한 설명은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할 의도로서 행해진 것이고, 발명이 실행될 수 있는 형태들만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에 포함된 동일한 또는 등가의 기능들이 다른 실시예들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n connection with the appended drawings is made with the intention of describ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does not represent the only form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or equivalent functions included in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chieved by other embodiments.

도면에 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Certain features disclosed in the drawings are enlarged for ease of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and their components are not necessarily drawn to scale.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ese details.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re fix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부재(200)는 철부(210) 및 플랜지부(220 : 220a, 22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2, the wire fixing memb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vex portion 210 and the flange portion (220: 220a, 220b).

철부(210)는 플랜지부(22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플랜지부(220)에 비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철부(210)의 상면(252)은 플랜지부(22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또한, 철부(210)와 플랜지부(220)를 잇는 면은 경사면(251)을 이루도록 하여 와이어 고정부재(200)의 측면 형태가 대략 중앙부분으로부터 플랜지부(220)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해, 와이어 고정부재(200)가 철제빔(미도시)에 고정되는 경우, 고정된 방향으로 와이어를 효율적으로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이 철부(210)의 대략 중앙 바닥면(250)에는 와이어를 고정부재(200)와 철제빔(미도시) 사이에 개재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홈(230)이 형성된다. 이 고정홈(230)의 방향은 철부(210)를 중심으로 플랜지부(220)와 수직방향에 형성된다. 즉, 와이어 고정부재(200)를 철제빔에 고정하는 경우 와이어는 철제빔의 기립 방향과 수직으로 배치되고, 이 와이어 고정부(200)의 플랜지부(220)를 잇는 가상의 선은 철제빔의 기립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설치된다. 아울러, 고정홈(230)에는 와이어의 고정을 확고히 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이후의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convex portion 21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lange portion 220 and is formed to protrude relative to the flange portion 220, so that the upper surface 252 of the convex portion 210 is formed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flange portion 220. In addition, the surface connecting the iron portion 210 and the flange portion 220 forms an inclined surface 251 so that the side shape of the wire fixing member 200 becomes lower from the center portion toward the edge of the flange portion 220. It is formed to have a shape. Through this, when the wire fixing member 200 is fixed to the steel beam (not show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ress the wire in the fixed direction. The fixing groove 230 is formed on the center bottom surface 250 of the convex portion 210 so as to fix the wire between the fixing member 200 and the steel beam (not shown). The direction of the fixing groove 230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flange portion 220 about the convex portion 210. That is, when the wire fixing member 200 is fixed to the steel beam, the wire is disposed perpendicularly to the standing direction of the steel beam, and the imaginary line connecting the flange portion 220 of the wire fixing portion 200 is the steel beam. It is provided so that it may become the same direction as a standing direction. In addition, the fixing groove 230 may be formed with one or more protrusions (not shown) to firmly fix the wire,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rawings.

플랜지부(220)는 와이어 고정부재(200)를 철제빔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240 : 240a, 240b)이 형성된다. 이 플랜지부(220)는 고정홈(230)의 형성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철부(210)의 양측에 형성된다. 플랜지부(220)는 고정홀(240)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결합부재에 의해 철제빔에 고정되고, 이에 의해 철부(210)가 와이어를 고정하도록 한다. 여기서, 결합부재(미도시)는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 볼트, 스크류 등일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플랜지부(220)에 형성되는 고정홀(2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플랜지부(220a, 220b)에 각각 하나씩 형성될 수도 있지만, 다수의 고정홀(240)이 각 플랜지부(220a, 220b)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플랜지부(220)의 폭은 철부(210)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철부(210)와 플랜지부(220)의 폭이 반드시 같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폭은 고정홈이 형성된 방향과 수평방향의 플랜지부(220) 길이를 의미한다.The flange portion 220 has fixing holes 240: 240a and 240b for fixing the wire fixing member 200 to the steel beam. The flange portion 22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vex portion 210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fixing groove 230. The flange portion 220 is fixed to the steel beam by a coupling member coupled through the fixing hole 240, thereby allowing the iron portion 210 to fix the wire. Here, the coupling member (not shown) may be a threaded nut, bolt, screw, etc., but this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although the fixing holes 240 formed in the flange part 220 may be formed in each of the flange parts 220a and 220b as shown in FIG. 2, a plurality of fixing holes 240 may be formed in each flange part. It may be formed at (220a, 220b). In addition, although the width of the flange portion 220 is shown to be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convex portion 210, the width of the convex portion 210 and the flange portion 220 is not necessarily the same. Here, the width means the length of the flange portion 22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xing groove is formed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의 와이어 고정부재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3a는 하부 사시도이고, 도 3b는 저면도이며, 도 3c는 도1의 A-A`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3A to 3C are views of the wire fixing member of FIG. 1 viewed from different directions, FIG. 3A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FIG. 3B is a bottom view, and FIG. 3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A ′ of FIG. 1. to be.

도 3을 참조하면, 각 플랜지부(220a, 220b)의 고정홀(240a, 240b)는 플랜지부(220)를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철부(210)의 대략 직하부분는 고정홈(230)이 폭 방향(W)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고정홈(230)에는 하나 이상의 돌기(260)가 형성된다. 도 3a 내지 도 3c에서는 한 쌍의 돌기(260)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며,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는 예를 도시하였다. 이 돌기(260)는 와이어 고정부재(200)가 철제빔에 고정되는 경우 고정홈(230)에 안착되는 와이어를 보다 견고히 가압하기 위한 구조체로 기능한다.Referring to FIG. 3, fixing holes 240a and 240b of the flange parts 220a and 220b are formed to vertically penetrate the flange part 220. In addition, in the substantially right portion of the convex portion 210, the fixing groove 230 i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W). In addition, one or more protrusions 260 are formed in the fixing groove 230. In FIG. 3A to FIG. 3C, a pair of protrusions 260 are formed, and an example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s illustrated. The protrusion 260 functions as a structure for more firmly pressing the wire seated in the fixing groove 230 when the wire fixing member 200 is fixed to the steel beam.

특히, 와이어 고정부재(200)에 의해 고정된 와이어는 고정홈(230)의 형성방향 즉, 와이어 고정부재(200)의 폭 방향(W)으로 유동이 발생 될 수 있으므로, 돌기(260)는 와이어의 폭 방향(W) 유동을 방지하는 형태로 고정홈(230)에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고정홈(230)에 형성되는 돌기(260)는 폭 방향(W)과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되어 와이어의 유동을 저지하게 된다. 이 돌기는 편자 또는 U자형태로 개구부가 상기 철제빔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돌기의 곡면부는 상기 고정홈의 곡면과 동심원형태를 이루도록 상기 고정홈 내부로 돌출된다.In particular, the wire fixed by the wire fixing member 200 may be flow in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fixing groove 230, that is,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wire fixing member 200, the projection 260 is a wire The widthwise direction of the (W) is formed in the fixing groove 230 to prevent the flow. In other words, the protrusion 260 formed in the fixing groove 230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idth direction W to block the flow of the wire. The protrusion is formed in a horseshoe or U shape so that an opening is directed toward the iron beam, and the curved portion of the protrusion protrudes into the fixing groove so as to form a concentric shape with the curved surface of the fixing groove.

더불어, 돌기(260)는 와이어의 유동 저지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돌기(260a, 260b)가 서로 비대칭적인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돌기(260a, 260b)는 축(X)를 기준으로 바깥부분의 경사도 또는 곡률이 더 크고, 축(X)을 기준으로 안쪽 부분의 경사도 또는 곡률이 작은 형태로 형성된다. 이를 통해 고정홈(230)에 안착된 와이어가 A` 방향으로 유동하는 경우 제 2 돌기(260b), 특히 제 2 돌기(260b)의 바깥 경사면(260O)에 유동하중이 집중되고, 제 2 돌기(260b)가 A` 방향의 걸림돌 역할을 하게 되어 와이어의 유동을 저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돌기(260)가 형성된 와이어 고정부재(200)를 사용함으로써 와이어의 유동으로 인한 일부 철제빔에의 낙석 하중의 집중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the protrusion 26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protrusions 260a and 260b are asymmetric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2C, in order to maximize the flow stopping force of the wire. That is, the protrusions 260a and 260b have a larger inclination or curvature of the outer portion based on the axis X, and a smaller inclination or curvature of the inner portion based on the axis X. As a result, when the wire seated in the fixing groove 230 flows in the A ′ direction, the flow load is concentrated on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60b of the second protrusion 260b, especially the second protrusion 260b, and the second protrusion ( 260b) acts as an obstacle in the A 'direction, thereby preventing the effect of blocking the flow of the wire. By using the wire fixing member 200 in which the protrusion 260 is formed, it becomes possible to prevent concentration of a rockfall load on some iron beams due to the flow of the wire.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부재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도 2 및 도 3과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하며, 도 4와 도 2 및 도 3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4A and 4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wire fix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FIGS. 2 and 3, and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ased on differences from FIGS. 4, 2, and 3. Let's explain.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와 전술한 실시예의 차이점은 철부(310)의 대략 중앙에 철부(310)의 상면(352)과 고정홈(330)의 대략 중앙의 관통하는 가압홀(370)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 가압홀(370)에는 가압부재(390)가 결합되어, 고정홈(330)에 안착되는 와이어를 가압함으로써 더욱 견고한 고정이 가능해진다. 이를 위해 가압홀(370)에는 가압부재(390)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371)이 형성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4,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that the upper surface 352 of the convex portion 310 and the pressing hole 370 penetrating approximately the center of the fixing groove 330 in the substantially center portion of the convex portion 310. This is to be formed. The pressing member 390 is coupled to the pressing hole 370 to press the wire seated in the fixing groove 330, thereby enabling more firm fixing. To this end, a screw thread 371 may be formed in the pressing hole 370 to be coupled to the pressing member 39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아울러, 도 4에는 가압부재(390)로 육각렌치에 의해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볼트가 도시되어 있으나, 가압부재(390)를 도시된 볼트로써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철부(310)에 형성되는 가압홀(370)은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와이어를 가압하기 위해 필요한 수만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in Figure 4 is shown a bolt that can be coupled and separated by a hexagon wrench to the pressing member 390, but the pressing member 390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bolt. In addition, one or more pressing holes 370 formed in the convex portion 310 may be formed, and as many as necessary to press the wire may be formed.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부재(400)를 도시한 예시도들이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부재(400)는 철부(410), 플랜지부(420) 및 가이드플랫(4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구성요소의 특징 중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특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위 주로 설명하기로 한다.5A to 5C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a wire fixing member 4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C, the wire fixing member 4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vex portion 410, a flange portion 420, and a guide flat 480.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FIGS. 5A to 5C,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same features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mong the features of the components will be omitted and differences will be mainly described above.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부재(400)는 플랜지부(420)의 폭 방향(W) 가장자리에 가이드플랫(480)이 형성된다. 이 가이드플랫(480)은 와이어 고정부재(400)를 철제빔에 더욱 견고히 고정함으로써 와이어의 고정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된다. 때문에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플랫(480)은 플랜지부(420)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방 즉, 고정홈(430)이 형성된 면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 가이드플랫(480)은 와이어 고정부재(400)를 철제빔에 고정하는 경우, 걸림쇠 역할을 하여 와이어 고정부재(400)의 유동을 저해하는 요소로 이용된다. 이 가이드플랫(480)의 하방 돌출길이는 철제빔에 견고한 고정이 가능한 정도이면 무방하며, 실제 가설 상황에 따라 가변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wire fixing member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 guide flat 480 is formed at an edge in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flange portion 420. The guide flat 480 is used as a means for improving the fixing ability of the wire by fixing the wire fixing member 400 to the steel beam more firmly. Therefore, as shown in FIG. 5C, the guide flat 480 protrudes downward from the edge of the flange portion 420, that is, in a plane direction in which the fixing groove 430 is formed. The guide flat 480 is used as an element for inhibiting the flow of the wire fixing member 400 by acting as a latch when fixing the wire fixing member 400 to the steel beam. The downward protruding length of the guide flat 480 may be as long as it can be fixed firmly to the steel beam, and it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actual construction situation.

이 때문에 본 실시예의 와이어 고정부재(400)는 철부(410) 및 플랜지부(420)의 폭 방향(W) 길이(L)가 전술한 실시예들에 비해 길어진다. 특히, 플랜지부(420)는 가이드플랫(480)이 철제빔에 유효한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철제빔의 폭 방향(W) 길이와 대략 동일하거나 조금 긴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For this reason, in the wire fixing member 40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length L in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convex portion 410 and the flange portion 420 is longer tha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 particular, the flange portion 420 is formed to have a width substantially equal to or slightly longer than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steel beam so that the guide flat 480 is effectively engaged with the steel beam.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와이어 고정부재(400)는 철제빔(미도시)에 설치되어 와이어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때문에, 와이어 고정부재(400)의 고정홈(430) 형성방향인 폭 방향(W)은 철제빔의 기립방향과 대략 수직을 이루게 된다. 이때, 와이어 고정부재(400)의 폭 방향(W) 길이(L)는 철제빔의 수평 폭과 대략 같은 길이가 되어, 가이드플랫(480)은 철제빔의 면 경계 밖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결합부재에 의해 와이어 고정부재(400)를 철제빔에 결합하게 되면, 가이드플 랫(480)은 철제빔과 와이어 고정부재(400)의 접합면인 바닥면(450)보다 돌출되어 철제빔의 폭 방향(W) 가장자리에 걸리는 형태를 형성하게 된다. 이로 인해, 와이어에 하중이 가해져 한쪽으로 쏠리는 경우에도 와이어 고정부재(400)의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와이어 고정부재(400)를 철제빔에 고정하기 위한 결합부재에 가해지는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more detail, the wire fixing member 400 is installed in an iron beam (not shown) to serve to fix the wire. Therefore,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fixing groove 430 forming direction of the wire fixing member 400 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tanding direction of the steel beam. At this time, the width (W) length (L) of the wire fixing member 400 is approximately the same length as the horizontal width of the steel beam, the guide flat 480 is projected out of the plane boundary of the steel beam. When the wire fixing member 400 is coupled to the steel beam by the coupling member, the guide flat 480 protrudes from the bottom surface 450, which is a bonding surface of the steel beam and the wire fixing member 400, to protrude the steel beam. It forms a shape that is caught in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edge. As a result, even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wire and is pulled to one side, the flow of the wire fixing member 400 can be minimized, and the burden on the coupling member for fixing the wire fixing member 400 to the steel beam is reduced. It becomes possible.

아울러, 본 실시예의 플랜지부(420)에 형성된 결합홀(440)은 예시적으로 도시된 것으로, 결합홀(440)의 갯수 및 배치를 도면에 도시된 바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즉, 플랜지부(420)에는 더 많은 수의 결합홀(440)의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홀(440)의 형성위치는 도시된 바와 상이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hole 440 formed in the flange portion 42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illustrated by way of example, and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coupling holes 440 are not limited to thos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at is, a greater number of coupling holes 440 may be formed in the flange portion 420, and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coupling holes 440 may be different from that shown.

또한, 고정홈(430)에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와 같은 돌기(460)가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와이어 고정부재(400)의 크기가 커진 만큼 더 많은 수의 돌기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the fixing groove 43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460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s the size of the wire fixing member 400 increases, it becomes possible to form a larger number of protrusions. .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부재(500)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실시예들과 유사한 구성 및 특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wire fixing member 5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scription of FIG. 6, detailed descriptions of components and features similar to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ll be omitted.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부재(500)의 형태는 전술한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와이어 고정부재(500)와 유사하다. 다만, 전술한 도 5a 내지 도 5c의 실시예와 도 6에 제시된 실시예의 차이점은 철부(510)에 가압홀(570)이 형성되는 점이다. 이 가압홀(570)에 대해서는 도 4를 통해 전술한 바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가압홀(570) 역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도 6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술한 도 4에서와 같이 가압홀(570)에는 가압부재(미도시)가 결합되어 고정홈(430)에 안착되는 와이어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6, the shape of the wire fixing member 5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e wire fixing member 500 illustrated in FIGS. 5A to 5C described above.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embodiment of FIGS. 5A to 5C and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is that the pressing hole 570 is formed in the convex portion 510. The pressing hole 570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4, and the pressing hole 570 shown in FIG. 6 also performs the same function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lthough not shown in FIG. 6, as shown in FIG. 4, the pressing hole 570 may be coupled to a pressing member (not shown) to press and fix the wire seated in the fixing groove 430. However, this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고정부재는 와이어의 탈부착이 용이하면서도, 와이어와 지지빔간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wire fix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from the wire, and can be firmly fixed between the wire and the support beam.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고정부재는 와이어가 고정되는 고정홈에 다수의 돌기를 형성하고, 돌기의 형태를 와이어의 하중 방향에 따라 비대칭으로 형성함으로써 와이어의 고정력을 최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wire fix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aximize the fixing force of the wire by form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in the fixing groove to which the wire is fixed, and by forming the shape of the protrusions asymmetrically according to the load direction of the wir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고정부재는 와이어의 고정을 위한 가압홀 및 가압부재와, 와이어 고정부재를 철제빔에 고정하기 위한 결합홀 및 결합부재를 별도로 구성하여, 설치의 용이함 및 견고함을 도모하는 한편, 와이어의 고정력을 최대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the wire fix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ressing hole and the pressing member for fixing the wire, and a coupling hole and the coupling member for fixing the wire fixing member to the steel beam,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and robustness On the other hand, it becomes possible to maximize the fixing force of the wire.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고정부재는 철제빔을 청공하지 않고도 와이어를 설치 및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며, U자 클립을 이용한 와이어 고정에 비해 월등히 향상된 고정력 및 지지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Finally, the wire fix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install and fix the wire without piercing the steel beam,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ignificantly improved fixing and supporting force compared to the wire fixing using the U-clip.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에 의해 한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를 포괄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only one embodiment for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is defined by the claims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limited.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that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7)

지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기립하여 설치되는 철제빔에 상기 기립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 고정부재에 있어서,In the wire holding member for fixing the wire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tanding direction to the iron beam installed to stan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ground, 상기 철제빔과 맞닿는 바닥면에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돌기를 가지는 고정홈이 상기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철부;A convex portion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on a bottom surface in contact with the iron beam and having a fixing groove having a protrusion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기립방향으로 상기 철부의 측면에 상기 철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철제빔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홀이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되,And a flange port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vex portion on the side of the convex portion in the standing direction and having a coupling hole for coupling with the iron beam. 상기 돌기는, 편자 또는 U자형태로 개구부가 상기 철제빔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돌기의 곡면부는 상기 고정홈의 곡면과 동심원형태를 이루도록 상기 고정홈 내부로 돌출되며,The protrusions are formed in a horseshoe or U shape so that the openings face the steel beams, and the curved portions of the protrusions protrude into the fixing grooves so as to form concentric circles with the curved surfaces of the fixing grooves. 상기 수평방향 절단면이 비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고정부재.The wire holding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orizontal cutting surface is asymmetrical. 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고정부재.Wire holding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by.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철부는,The convex portion, 상기 철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고정홈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가압부재가 결합되는 가압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고정부재.The wire fixing member is formed so as to pass through the fixing groov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the pressing hole is coupled to the pressing member. 제 1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and 4, 상기 플랜지부는,The flange portion, 상기 철제빔의 상기 수평방향 폭보다 크거나 같은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고정부재.And a width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horizontal width of the iron beam.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수평방향 가장자리에는 가이드플랫이 상기 플랜지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고정부재.And a guide flat formed integrally with the flange portion at the horizontal edge of the flange portion.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가이드플랫은 상기 바닥면과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고정부재.The guide flat wire fixing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protru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bottom surface.
KR1020070053295A 2007-05-31 2007-05-31 Wire Lockup Members KR1008893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295A KR100889354B1 (en) 2007-05-31 2007-05-31 Wire Lockup Memb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295A KR100889354B1 (en) 2007-05-31 2007-05-31 Wire Lockup Memb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553A KR20080105553A (en) 2008-12-04
KR100889354B1 true KR100889354B1 (en) 2009-03-18

Family

ID=40366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3295A KR100889354B1 (en) 2007-05-31 2007-05-31 Wire Lockup Memb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9354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329U (en) * 1999-04-09 2000-11-15 황상호 Wire fixed clip for a prevention fence of falling stones
KR200333024Y1 (en) * 2003-08-14 2003-11-12 최광철 Wire fixture of an iron fence for prevention down stone
KR200381051Y1 (en) * 2005-01-05 2005-04-11 주식회사 주신기업 a wire rope fixture for the fen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329U (en) * 1999-04-09 2000-11-15 황상호 Wire fixed clip for a prevention fence of falling stones
KR200333024Y1 (en) * 2003-08-14 2003-11-12 최광철 Wire fixture of an iron fence for prevention down stone
KR200381051Y1 (en) * 2005-01-05 2005-04-11 주식회사 주신기업 a wire rope fixture for the fe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553A (en) 200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07941C (en) Attachment element
KR102256356B1 (en) Deck assembly
KR101962657B1 (en) Divisional Strip with Improved Assembly
KR100889354B1 (en) Wire Lockup Members
JP6181596B2 (en) Snowfall prevention structure and snowfall prevention fittings
KR102031421B1 (en) Profile unit and profile structure
JP6681766B2 (en) Above-ground partial protection structure of slope stabilization method
KR20110011998U (en) Connecting Structure of Grating for Trench
JP4473759B2 (en) Groove cover
KR102301214B1 (en) Grating with Embossed Structure
JP7231925B2 (en) Connection structure for temporary scaffolding
KR200452337Y1 (en) A type safety fence
KR20110006572U (en) Fixing device of wire lope for falling rock preventing net
JP4511330B2 (en) Rainwater shield on elevated road
KR200197317Y1 (en) A clamp for a falling stone prevention net
KR20160003162U (en) Grating having anti-theft structure
JP5755951B2 (en) Grating
KR200410682Y1 (en) Prop For Fence
KR102580473B1 (en) Fall Prevention Structure of Manhole
JP6883321B2 (en) Skeleton material stopper member
AU2018202357B2 (en) Clamp System
KR102593126B1 (en) Installation method of reinforcing plate for load reinforcement and safety accident prevention of grid-type grating
KR102139864B1 (en) A lateral coupling device for concrete mold Support
KR102321309B1 (en) Ceiling connecting hardware
JP7411963B2 (en) Wire rope mounting bracket to prevent falling of interlocking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