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9237B1 - 기기 동작 제어 방법 및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기기 동작 제어 방법 및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9237B1
KR100889237B1 KR1020070076545A KR20070076545A KR100889237B1 KR 100889237 B1 KR100889237 B1 KR 100889237B1 KR 1020070076545 A KR1020070076545 A KR 1020070076545A KR 20070076545 A KR20070076545 A KR 20070076545A KR 100889237 B1 KR100889237 B1 KR 100889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control
spatial movement
response
voip
identified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6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2597A (ko
Inventor
전형준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6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9237B1/ko
Publication of KR20090012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제1 기기(폰, 마우스 등)의 공간적인 움직임을 인지하여 제2 기기(PC, 노트북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기 동작 제어 방법 및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기기 동작 제어 방법은 VoIP 전화 기능을 갖는 제1 기기의 공간 움직임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공간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기기와 연관된 제2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VoIP, 마우스, 폰, 기기, 동작 제어

Description

기기 동작 제어 방법 및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behavior of machine}
본 발명은 제1 기기(폰, 마우스 등)의 공간적인 움직임을 인지하여 제2 기기(PC, 노트북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기 동작 제어 방법 및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제2 기기(PC, 노트북 등)와 연관된 제1 기기(폰, 마우스 등)는 VoIP 전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VoIP 전화 기능은 음성 데이터를 인터넷 프로토콜 데이터 패킷으로 변화하여, 일반 전화망에서의 통화를 인터넷 망에서 가능하게 해주는 통신서비스 기술이다. 즉, 일반적인 전화기(유무선 전화)가 없더라도, VoIP 전화 기능을 가진 상기 제1 기기(폰, 마우스 등), 인터넷 망 및 상기 제1 기기와 인터넷 망을 연결하는 제2 기기(PC, 노트북 등)만 있다면, 사용자는 일반 전화망에서의 통화를 인터넷 망을 통해 똑같이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상기 제1 기기로 상기 VoIP 전화 기능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2 기기에서 웹페이지의 변경과 같은 컴퓨터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없었다. 즉, 사용자는 전화 통화와 컴퓨터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VoIP 전화 기능과 컴퓨터 작업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기기 동작 제어 방법 및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VoIP 전화 기능과 컴퓨터 작업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PSTN 전화 사용보다 저렴한 통신비가 소비되는 기기 동작 제어 방법 및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기 동작 제어 방법은, VoIP 전화 기능을 갖는 제1 기기의 공간 움직임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공간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기기와 연관된 제2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으로서,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은, VoIP 전화 기능을 갖는 제1 기기의 공간 움직임을 식별하는 식별 수단, 및 상기 식별된 공간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기기와 연관된 제2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VoIP 전화 기능과 컴퓨터 작업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기기 동작 제어 방법 및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VoIP 전화 기능과 컴퓨터 작업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PSTN 전화 사용보다 저렴한 통신비가 소비되는 기기 동작 제어 방법 및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기 동작 제어 방법의 작업 흐름도이다.
단계 101에서, 본 발명의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은 임의 키에 대한 푸쉬 동작에 연동하여 동작한다. 즉,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은, 제1 기기에 설치된 시스템의 동작과 연관되도록 설정된 키가 사용자에 의해 푸쉬되는 것을 인식하는 경우, 차순의 단계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기기는 VoIP 전화 기능을 갖춘 기기로서, 음성 데이터를 인터넷 프로토콜 데이터 패킷으로 변화하여, 일반 전화망에서의 통화를 인터넷 망에서 가능하게 해주는 통신서비스인 VoIP를 이용할 수 있는 VoIP 용 마우스, VoIP 용 폰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단계 102에서,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은 제1 기기에 의한 VoIP 전화 기능을 계속 유효화한다. 즉,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은 제1 기기의 VoIP 전화 기능과 특정 기능(제2 기기 제어 기능 등)이 함께 동작하는 경우, VoIP 전화 기능이 특정 기능과는 상관없이 계속 동작하도록 한다. 이로써,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로 하여금 특정 기능과 VoIP 전화 기능을 함께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기는 제1 기기의 공간 움직임에 연동하여, 설정된 동작을 수 행하는 기기로서, 컴퓨터의 모니터, IP TV, 노트북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단계 103에서,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은 VoIP 전화 기능을 갖는 제1 기기의 공간 움직임을 식별한다. 즉,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은 제1 기기의 전, 후, 좌, 우, 상 또는 하와 같은 방향으로의 공간 움직임을 식별한다. 또한,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은 제1 기기의 흔들기 횟수 또는 돌리기 횟수와 같은 공간 움직임을 식별할 수도 있다. 식별된 제1 기기의 공간 움직임은, 본 발명의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에 의해 식별 정보로서 생성된다.
단계 104에서,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은 식별된 공간 움직임에 대응하여 제1 기기와 연관된 제2 기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은 식별된 제1 기기의 공간 움직임을 식별 정보로 인식하고, 인식된 식별 정보에 상응하여 제2 기기를 제어한다. 여기서, 식별 정보에 따라 제어할 수 있는 상기 제2 기기의 동작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단계 105에서,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은 임의 키에 대한 푸쉬 인식의 중단에 연동하여, 제1 기기의 공간 움직임에 대한 식별을 중단한다. 즉,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은 제1 기기의 공간 움직임에 대한 식별을 중단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 기기의 동작에 대한 제어를 중단한다. 이로써,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은 VoIP 전화 기능을 유지하면서, 제2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중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기기 동작 제어 방법에 대한 실시예들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기기에 대한 동작 제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제1 기기는 VoIP 용 폰으로, 제2 기기는 컴퓨터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2에서 예시한 동작 제어는, 컴퓨터에 의한 웹페이지 넘김을 예시한다.
본 발명의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은, 제1 기기인 VoIP 용 폰의 임의 키가 사용자에 의해 푸쉬되는 것을 인식하고 난 후, VoIP 전화 기능을 갖는 VoIP 용 폰의 공간 움직임을 식별하고, 식별된 공간 움직임에 대응하여 VoIP 용 폰과 연관된 제2 기기인 컴퓨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VoIP 용 폰에 구비된 설정키(본 발명이 동작하도록 사전에 설정한 임의의 키)를 푸쉬한 상태에서, VoIP 용 폰을 공중에서 좌방향으로 움직일 경우,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은 VoIP 용 폰의 상기 좌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식별하고 이를 식별 정보로서 생성한다. 또한,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은 생성된 식별 정보를 컴퓨터를 전송 함으로써, 상기 컴퓨터에 의해 모니터 상에 표시된 웹페이지의 페이지가 변경(페이지 넘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 정보를 수신한 컴퓨터는 모니터 상에서 표시하던 기존 웹페이지 (a)(201)를, 연속하는 다음 페이지의 웹페이지 (b)(202)로 변경 함으로써, 상기 VoIP 용 폰의 좌방향으로의 움직임에 따라 웹페이지의 페이지 넘김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의 의해 상기 VoIP 용 폰이 공중에서 우방향으로 움직일 경우,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은 식별 정보로서 VoIP 용 폰의 우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생성하고, 이를 컴퓨터 전송 함으로써 상기 컴퓨터에서 모니터 상에 표시되는 웹페이지 를, 상기 웹페이지 (b)(202)에서 다시 웹페이지 (a)(201)로 변경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은 VoIP 용 폰의 공간 움직임에 따라 모니터 상에 표시된 웹페이지를 페이지 넘김 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연속된 페이지로의 페이지 넘김 만을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변경될 웹페이지가 사전에 등록되는 경우, 본 발명의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은 제1 기기의 공간 움직임에 따라 지정된 다른 웹페이지로 표시 영역을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로써,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로 하여금 VoIP 용 폰을 이용하여 VoIP 전화 기능을 사용하게 하면서, 동시에 모니터 상에 표시되는 웹페이지를 변경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기기에 대한 동작 제어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 제1 기기는 VoIP 용 폰으로, 제2 기기는 컴퓨터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3에서 예시한 동작 제어는, 컴퓨터에 의한 웹페이지 표시 영역 변경을 예시한다.
본 발명의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은, 제1 기기인 VoIP 용 폰의 임의 키가 사용자에 의해 푸쉬되는 것을 인식하고 난 후, VoIP 전화 기능을 갖는 VoIP 용 폰의 공간 움직임을 식별하고, 식별된 공간 움직임에 대응하여 VoIP 용 폰과 연관된 제2 기기인 컴퓨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VoIP 용 폰에 구비된 설정키를 푸쉬한 상태에서, VoIP 용 폰을 공중에서 하방향으로 움직일 경우,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은 VoIP 용 폰의 상기 하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식별하고 이를 식별 정보로서 생성한다. 또한,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은 생성된 식별 정보를 컴퓨터를 전송 함으로써, 상기 컴퓨터에 의해 모니터 상에 표시된 웹페이지의 표시 영역이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 정보를 수신한 컴퓨터는 모니터 상에서 표시하던 웹페이지 (C)의 상단 영역(301)을, 상기 VoIP 용 폰의 하방향으로의 움직임에 따라 웹페이지 (C)의 하단 영역(302)으로 변경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의 의해 상기 VoIP 용 폰이 공중에서 상방향으로 움직일 경우,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은 식별 정보로서 VoIP 용 폰의 상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생성하고, 이를 컴퓨터 전송 함으로써 상기 컴퓨터에서 모니터 상에 표시되는 웹페이지 (C)의 하단 영역(302)이 다시 상단 영역(301)으로 변경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은 VoIP 용 폰의 공간 움직임에 따라 모니터 상에 표시되는 웹페이지의 특정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이로써,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로 하여금 마우스를 이용하여 VoIP 전화 기능을 사용하게 하면서, 동시에 웹페이지의 영역(301->302)을 변경하는 컴퓨터 작업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기기에 대한 동작 제어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 제1 기기는 VoIP 용 폰으로, 제2 기기는 컴퓨터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4에서 예시한 동작 제어는, 컴퓨터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구동을 예시한 다.
본 발명의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은, 제1 기기인 VoIP 용 폰의 임의 키가 사용자에 의해 푸쉬되는 것을 인식하고 난 후, VoIP 전화 기능을 갖는 VoIP 용 폰의 공간 움직임을 식별하고, 식별된 공간 움직임에 대응하여 VoIP 용 폰과 연관된 제2 기기인 컴퓨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VoIP 용 폰에 구비된 설정키를 푸쉬한 상태에서, VoIP 용 폰을 공중에서 상하방향으로 3회 움직일 경우,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은 VoIP 용 폰의 상기 상하방향으로의 3회 움직임을 식별하고 이를 식별 정보로서 생성한다. 또한,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은 생성된 식별 정보를 컴퓨터를 전송 함으로써, 상기 컴퓨터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 정보를 수신한 컴퓨터는 모니터 상에서 음악 실행 어플리케이션(401)을 구동하고, 음악 실행 어플리케이션(401)에 포함되는 음악 리스트 중 임의 하나의 음악이 자동으로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음악 실행 어플리케이션(401)이 구동되는 상태하에서, 만약 사용자의 의해 상기 VoIP 용 폰이 공중에서 상하방향으로 3회 움직일 경우,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은 식별 정보로서 VoIP 용 폰의 상하방향으로의 3회 움직임을 생성하고, 이를 컴퓨터 전송 함으로써 컴퓨터에서 구동되던 음악 실행 어플리케이션(401)을 구동 해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은 VoIP 용 폰의 공간 움직임에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 또는 구동 해제할 수 있다.
이로써,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로 하여금 마우스를 이용하여 VoIP 전화 기능을 사용하게 하면서, 동시에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인 음악 실행 어플리케이션(401)을 구동하는 컴퓨터 작업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이 이외에 제1 기기의 공간 움직임에 따라 제2 기기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예는, 본 명세서를 참조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제2 기기의 모든 동작 제어로 확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은 제1 기기가 좌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상기 움직임에 대응하여 제2 기기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할 수도 있다.
또한,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은 제1 기기가 앞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상기 움직임에 대응하여 제2 기기의 소리 크기를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은 제1 기기가 후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상기 움직임에 대응하여 제2 기기의 소리 출력을 차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500)은 제1 기기의 임의 키에 대한 푸쉬를 인식하여 동작하는 것을 명시한다.
유효 수단(501)은 제1 기기에 의한 VoIP 전화 기능을 계속 유효화한다. 즉, 유효 수단(501)은 제1 기기에서 다른 기능과 함께 VoIP 전화 기능이 계속 동작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식별 수단(502)은 VoIP 전화 기능을 갖는 제1 기기의 공간 움직임을 식별한 다. 즉, 식별 수단(502)은 제2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제1 기기의 공간 움직임을 식별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 수단(503)은 식별된 공간 움직임에 대응하여 제1 기기와 연관된 제2 기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컨대, 제어 수단(503)은 제1 기기가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공간 움직임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2 기기를 설정된 동작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수단(50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의 제1 기기의 공간 움직임에 연동하여, 제2 기기에 의한 모니터 상에서의 웹페이지 넘김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수단(50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의 제1 기기의 공간 움직임에 연동하여, 제2 기기에 의한 모니터 상에서의 웹페이지 표시 영역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수단(50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기의 공간 움직임 횟수에 연동하여, 제2 기기에 의한 소정 어플리케이션 구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외에, 제어 수단(503)은 제1 기기의 공간 움직임에 따라, 제2 기기의 전원 온/오프, 제2 기기의 소리 크기 조정, 제2 기기의 소리 크기 차단(묵음)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기기에 대한 동작 제어 이후, 상기 임의 키에 대한 사용자에 의한 푸쉬 중단이 발생하는 경우, 식별 수단(502)은 제1 기기의 공간 움직임에 대한 식별을 중단한다. 더불어, 식별 수단(502)에 의한 상기 식별이 중단 됨에 따라, 제어 수 단(503)은 제2 기기의 동작에 대한 제어를 중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해서는, VoIP 전화 기능과 컴퓨터 작업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서는, VoIP 전화 기능과 컴퓨터 작업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PSTN 전화 사용보다 저렴한 통신비가 소비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기 동작 제어 방법의 작업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기기에 대한 동작 제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기기에 대한 동작 제어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기기에 대한 동작 제어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500 :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
501 : 식별 수단
502 : 유효 수단
503 : 제어 수단
510 : 차단 수단

Claims (19)

  1. VoIP 전화 기능을 갖는 제1 기기의 상, 하, 좌 또는 우 중 어느 한 방향으로의 공간 움직임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방향으로의 공간 움직임에 상응하여, 상기 제1 기기와 연관된 제2 기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제1 웹페이지를, 상기 제1 웹페이지와 상이한 제2 웹페이지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동작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방향으로의 공간 움직임에 상응하여, 상기 제2 기기에서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제1 웹페이지의 영역을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동작 제어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방향으로의 공간 움직임에 상응하여, 상기 제2 기기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동작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방향으로의 공간 움직임에 상응하여, 상기 제2 기기의 소리 크기를 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동작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방향으로의 공간 움직임에 상응하여, 상기 제2 기기의 소리 출력을 차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동작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방향으로의 공간 움직임에 상응하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2 기기에서 구동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동작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움직임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기 내 임의 키에 대한 푸쉬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공간 움직임을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동작 제어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과 무관하게 상기 제1 기기에 의한 상기 VoIP 전화 기능을 계속 유효화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동작 제어 방법.
  10. 제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11. VoIP 전화 기능을 갖는 제1 기기의 상, 하, 좌 또는 우 중 어느 한 방향으로의 공간 움직임을 식별하는 식별 수단; 및
    상기 식별된 방향으로의 공간 움직임에 상응하여, 상기 제1 기기와 연관된 제2 기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제1 웹페이지를, 상기 제1 웹페이지와 상이한 제2 웹페이지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식별된 방향으로의 공간 움직임에 상응하여, 상기 제2 기기에서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제1 웹페이지의 영역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식별된 방향으로의 공간 움직임에 상응하여, 상기 제2 기기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식별된 방향으로의 공간 움직임에 상응하여, 상기 제2 기기의 소리 크기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식별된 방향으로의 공간 움직임에 상응하여, 상기 제2 기기의 소리 출력을 차단하는 차단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식별된 방향으로의 공간 움직임에 상응하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2 기기에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수단은,
    상기 제1 기기 내 임의 키에 대한 푸쉬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공간 움직임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과 무관하게 상기 제1 기기에 의한 상기 VoIP 전화 기능을 계속 유효화하는 유효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
KR1020070076545A 2007-07-30 2007-07-30 기기 동작 제어 방법 및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 KR100889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545A KR100889237B1 (ko) 2007-07-30 2007-07-30 기기 동작 제어 방법 및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545A KR100889237B1 (ko) 2007-07-30 2007-07-30 기기 동작 제어 방법 및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597A KR20090012597A (ko) 2009-02-04
KR100889237B1 true KR100889237B1 (ko) 2009-03-16

Family

ID=40683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6545A KR100889237B1 (ko) 2007-07-30 2007-07-30 기기 동작 제어 방법 및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923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7203A (ko) * 1999-08-09 2001-03-05 윤종용 휴대폰의 동작인식장치 및 방법
KR20060039144A (ko) * 2004-11-02 2006-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7203A (ko) * 1999-08-09 2001-03-05 윤종용 휴대폰의 동작인식장치 및 방법
KR20060039144A (ko) * 2004-11-02 2006-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597A (ko) 2009-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0984B1 (ko)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상황 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7112017B (zh) 操作语音识别功能的电子设备和方法
CN113138743B (zh) 使用音频水印的关键词组检测
KR102089444B1 (ko) 음성 인식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 기기의 음성 입력 제어 방법 및 장치 장치
CN106448678B (zh) 用于在电子装置中执行语音命令的方法和设备
KR101992676B1 (ko) 영상 인식을 이용하여 음성 인식을 하는 방법 및 장치
US96521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signating entire area using partial area touch in a portable equipment
RU2355045C2 (ru) Последовательный мультимодальный ввод
CN102681763A (zh) 用于在便携式终端中提供用户界面的方法和设备
CN105378624A (zh) 在交互出现于白板上时显示交互
WO2015062439A1 (zh) 一种基于智能电视界面的指示模式切换方法和装置
CN103455275A (zh) 在具有触摸屏的终端中移动对象的方法和装置
KR20140142476A (ko)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3973542B (zh) 一种语音信息处理方法及装置
US20240062759A1 (en) Modifying spoken commands
WO2019228138A1 (zh) 音乐播放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20190034162A1 (en) Virtual reality device and input control method thereof
KR20120002737A (ko) 마이크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6528148A (zh) 界面跳转方法、界面跳转系统、及终端设备
WO2021258597A1 (zh) 遥控信号转触控操作方法、装置和显示设备
US11042587B2 (en) Performing behavior analysis on audio track data to obtain a name of an application
KR20160053676A (ko) 사용자 장치, 사용자 장치의 구동방법, 서비스제공장치 및 서비스제공장치의 구동방법
CN106201015A (zh) 基于输入法应用软件的语音输入方法及装置
KR100889237B1 (ko) 기기 동작 제어 방법 및 기기 동작 제어 시스템
KR20090024508A (ko) 통신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다중 윈도우 전환 방법 및 상기방법이 채용된 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