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9135B1 - 콘텐츠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9135B1
KR100889135B1 KR1020070116088A KR20070116088A KR100889135B1 KR 100889135 B1 KR100889135 B1 KR 100889135B1 KR 1020070116088 A KR1020070116088 A KR 1020070116088A KR 20070116088 A KR20070116088 A KR 20070116088A KR 100889135 B1 KR100889135 B1 KR 100889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movie
contents
top box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6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현
박명환
류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데이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데이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데이콤
Priority to KR1020070116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91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22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용 컴퓨터(PC)나 IPTV 셋탑박스 등 각종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콘텐츠가 실행되면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서버에서 해당 콘텐츠의 종류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이용한 콘텐츠와 관련한 여러 콘텐츠를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관심 있는 콘텐츠 정보를 손쉽게 얻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이용한 콘텐츠가 불법 콘텐츠인 경우에는 합법적 콘텐츠 이용을 적극적으로 유도할 수도 있게 되어 콘텐츠 유통 시장을 더욱 활성화할 수 있다.
인터넷, IPTV, 콘텐츠, 특성, 안내, 유통

Description

콘텐츠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s Guide Service }
본 발명은 콘텐츠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개인용 컴퓨터(PC)나 IPTV 셋탑박스 등 각종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콘텐츠가 실행되면 그와 관련된 콘텐츠 정보를 안내하여, 사용자들에게 관심 있는 콘텐츠 정보를 제공함과 아울러 합법적 콘텐츠 이용을 적극적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인터넷 기술과 컴퓨터 가술이 발전하면서 온라인 상에서 다양한 서비스가 이루어지게 되었으며, 종래 오프라인상에서 유통되는 상품과는 구별되는 음반, 영화, 강의, 만화 등 온라인 상에서 서비스될 수 있는 콘텐츠가 새로운 형태의 상품으로서 주목을 받게 되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콘텐츠가 인터넷망을 통해 서비스되고 있는데,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콘텐츠 시장의 경쟁은 매우 치열하며,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자들의 구매를 유도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콘텐츠는 그 성질상 무단 복제와 유통이 쉬워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 제작한 콘텐츠가 불법 유통되면 콘텐츠 제작자에게 큰 손해를 입히게 되며, 창작 의욕을 떨어뜨려 양질의 콘텐츠를 공급하는데 장애 요인이 된다.
그러므로, 콘텐츠의 불법 유통을 차단하는 것이 주요 관심 사항이 되고 있으며, 현재 콘텐츠의 불법 유통을 막고자 하는 시도는 콘텐츠를 암호화시킨다거나, 최초 콘텐츠를 다운로드한 기기에서만 재생되도록 한다거나 하는 등 불법 콘텐츠의 사용을 막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들은 사용자의 불법 콘텐츠 사용을 막는 데는 효과가 있을 수 있겠지만 사용자들을 합법적인 콘텐츠 수요자로 유도하기는 어렵다. 물론, 사용자들이 불법 콘텐츠를 사용하기 어려워지면 합법적으로 콘텐츠를 구입하고자 할 수는 있지만, 사용자들의 콘텐츠에 관한 인식이나 자유로운 콘텐츠 유통의 필요성 등을 고려하면 불법 콘텐츠의 유통 차단이 바로 합법적 콘텐츠의 구입으로 이어진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러므로, 콘텐츠 시장에서 사용자들에게 콘텐츠를 더욱 효과적으로 홍보할 뿐 아니라 불법 콘텐츠 사용자들을 적극적으로 합법적 콘텐츠 사용자로 유도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한 시점이라 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개인용 컴퓨터(PC)나 IPTV 셋탑박스 등 각종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이루어지는 콘텐츠 실행과 관련 콘텐츠의 홍보를 결합하여, 사용자들에게 효율적으로 콘텐츠를 홍보하고 불법 콘텐츠 사용자들이 합법적인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콘텐츠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안내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 디바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가 실행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실행된 콘텐츠의 특성정보를 확인하여 인터넷망을 통해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콘텐츠의 특성정보가 지시하는 콘텐츠가 어떤 것인지를 특정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가 상기 특정된 콘텐츠와 관련된 다른 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가 상기 검색된 관련 콘텐츠에 관한 안내 정보를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해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개인용 컴퓨터(PC)나 IPTV 셋탑박스 등 인터넷망을 통해 콘텐츠 서비스 서버와 접속하여 콘텐츠 서비스 서버가 제공하는 콘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안내 서비스 시스템은, 각종 콘텐츠와 그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저장하는 콘텐츠 정보 저장부; 인터넷망을 통해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콘텐츠 특성정보를 수신하는 특성정보 수신부; 상기 특성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콘텐츠 특성정보가 나타내는 콘텐츠가 어떠한 것인지를 특정하는 콘텐츠 특정부; 상기 콘텐츠 특정부를 통해 특정된 콘텐츠와 관련된 다른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정보 저장부에서 검색하는 콘텐츠 검색부; 및 상기 콘텐츠 검색부에서 검색된 관련 콘텐츠에 관한 안내 정보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해주는 안내정보 전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콘텐츠 특정부는 각 콘텐츠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특성정보를 저장하는 특성정보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검색부는 상기 검색 대상 콘텐츠가 멀티미디어 콘텐츠인 경우에는 재생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인 콘텐츠만을 검색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용 컴퓨터(PC)나 IPTV 셋탑박스 등 각종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콘텐츠가 실행되면 관련 콘텐츠 정보를 안내하므로 사용자들은 관심 있는 분야의 콘텐츠 정보를 손쉽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이용한 콘텐츠가 불법 콘텐츠이더라도 또 다른 불법 콘텐츠를 확보하는데 드는 시간과 노력에 비해 경제적으로 합법적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으므로, 합법적 콘텐츠 이용을 적극적으로 유도할 수 있어 콘텐츠 유통 시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안내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 디바이스(11)와 콘텐츠 서비스 서버(12)의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절차로서, 사용자 디바이스(11)와 콘텐츠 서비스 서버(12)는 통신망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1)란 인터넷망을 통해 콘텐츠 서비스 서버(12)에 접속하여 콘텐츠 서비스 서버(12)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장치이며, 콘텐츠 서비스 서버(12)는 사용자들이 인터넷망을 통해 각종 콘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하거나 스트리밍 방식 등으로 콘텐츠를 실시간 서비스하는 등 인터넷망을 통해 콘텐츠와 관련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용자 디바이스(11)는 데스크 탑 컴퓨터, 노트 북 컴퓨터 등의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나 IPTV 셋탑박스 등 인터넷망과 연결할 수 있고,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일체의 기기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IPTV 셋탑박스란 각 가정에 위치하는 장치로서, 인터넷망을 통해 인터넷 프로토콜 티브이(Internet Protocol TV) 서비스를 제공하는 IPTV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텔레비전 수상기를 통해 출력하는 단말이다. IPTV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개인용 컴퓨터(PC)를 사용하는 것과 유사하게 IPTV 셋탑박스의 리모콘을 이용하여 텔레비전 화면을 통해 인터넷 검색 등을 수행하거나, IPTV 셋탑박스에 저장되어 있는 음반이나 영화 등 각종 콘텐츠를 실행시킬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안내 서비스 방법의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 디바이스(11)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콘텐츠를 실행한다(S11),
그러면 사용자 디바이스(11)는 단계 S11에서 실행된 콘텐츠의 특성정보를 확인하여(S12), 인터넷망을 통해 콘텐츠 서비스 서버(12)로 전송한다(S13). 단계 S12와 S13이 이루어지는 시점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자면 사용자 디바이스(11)에서의 콘텐츠 실행이 종료되는 시점일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1)에서 실행될 수 있는 콘텐츠는 텍스트 파일, 이미지 파일, 앨범 파일 등 다양한 종류의 것일 수 있으며, 특히 음반 콘텐츠나 영화 콘텐츠 등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단계 S12에서 사용자 디바이스(11)가 확인하는 콘텐츠 특성정보란 해당 콘텐츠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콘텐츠의 종류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콘텐츠의 파일 이름, 확장자, 파일 작성 일자, 파일 크기 등 서지 사항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MP3 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가수나 곡명, 플레이 시간 등 태그(Tag) 정보와 같이 콘텐츠 파일 내부에 위치한 데이터도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1)는 단계 S12에서 확인된 콘텐츠 특성정보를 단계 S13에서 콘텐츠 서비스 서버(12)로 전송하기 위하여 콘텐츠 서비스 서버(12)의 인터넷 주소(IP 주소)를 가지고 있다.
또한, 단계 S13은 사용자가 실행한 콘텐츠가 일정 시간 이상 재생되었을 때만 콘텐츠 특성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해당 콘텐츠에 대해 어느 정도 관심을 보인 상태에서만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관련 콘텐츠 안내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예로서, 해당 콘텐츠의 총 재생 시간 대비 몇 퍼센트(%) 이상 재생되어야만 콘텐츠 특성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단계 S13을 통해 사용자 디바이스(11)로부터 콘텐츠 특성정보를 수신한 콘텐츠 서비스 서버(12)는 해당 콘텐츠가 어떤 것인지를 특정한다(S14).
단계 S14에서 콘텐츠 특성정보를 통해 해당 콘텐츠가 어떤 콘텐츠인지를 확인하는 방법은 사용자 디바이스(11)가 전송하는 콘텐츠 특성정보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간단한 예로서 콘텐츠 특성정보가 콘텐츠 파일명을 포함하고 있다면 이 파일명을 그대로 이용하여 해당 콘텐츠를 특정할 수도 있으며, 콘텐츠의 변형 등을 고려하자면 MP3 파일에 일반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태그 정보(가수이름, 곡명, 플레이 시간 등)를 대조하여 확인할 수도 있다.
단계 S14를 통해 사용자 디바이스(11)로부터 수신된 콘텐츠 특성정보가 지시하는 콘텐츠를 특정하면, 콘텐츠 서비스 서버(12)는 특정된 콘텐츠와 관련된 다른 콘텐츠를 검색한다(S15).
이때 특정된 콘텐츠와 어떠한 관계에 있는 콘텐츠를 관련된 콘텐츠로 볼 것인지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S14에서 특정된 콘텐츠가 영화 콘텐츠인 경우에는 동일 영화의 선행편이나 후속편, 같은 장르에 속하는 영화 콘텐츠, 감독이 같은 영화 콘텐츠, 주인공이 같은 영화 콘텐츠, 영화 등급이 같은 콘텐츠, 제작된 국가가 같은 콘텐츠 등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음반 콘텐츠라면 같은 가수의 음악 콘텐츠, 같은 장르의 음반 콘텐츠, 같은 앨범에 수록된 음반 콘텐츠 등으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단계 S15에서 관련 콘텐츠가 검색되면, 콘텐츠 서비스 서버(12)는 검색된 각 관련 콘텐츠를 안내하는 정보를 인터넷망을 통해 사용자 디바이스(11)로 전송해준다(S16).
즉, 단계 S16에서 콘텐츠 서비스 서버(12)가 사용자 디바이스(11)로 전송해주는 것은 관련 콘텐츠 그 자체가 아니라 관련 콘텐츠를 안내하는 정보이며,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이러한 안내정보를 통해 자신이 단계 S11에서 실행하였던 콘텐츠와 관련된 여러 콘텐츠 정보를 손쉽게 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단계 S16을 통해 안내된 콘텐츠를 이용하고자 한다면, 일반적인 콘텐츠 이용 절차에 따라 콘텐츠를 이용하게 된다(S17).
도 2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각 과정에 따라 이루어지는 서비스 형태를 개략적으로 살펴보자면, 만일 사용자가 자신의 디바이스에서 제목이 '스타워즈 제2편'인 영화 콘텐츠를 재생시켜 보았다면, 이 영화 콘텐츠의 특성정보가 콘텐츠 서 비스 서버(12)로 전송되고, 콘텐츠 서비스 서버(12)는 '스타워즈 제2편'과 관련된 영화 안내 정보로서 '스타워즈 제1편'과 '스타워즈 제3편'을 안내하는 정보를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스타워즈 제2편'의 시청을 종료하였을 때 '스타워즈 제1편' 안내정보와 '스타워즈 제3편' 안내정보를 보게 되고, 원하는 경우에는 바로 결제 절차를 진행하여 '스타워즈 제1편'이나 '스타워즈 제3편'을 다운로드하거나 실시간으로 시청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안내 서비스 시스템(30)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콘텐츠 안내 서비스 시스템(30)과 연결되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사용자 디바이스(11)에 관하여 살펴보자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데스크 탑 컴퓨터, 노트 북 컴퓨터 등의 개인용 컴퓨터(PC)나 IPTV 셋탑박스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디바이스(11)는 콘텐츠가 실행되면 실행된 콘텐츠의 특성정보를 확인하는 특성정보 확인부(11-1)와 특성정보 확인부(11-1)에서 확인된 콘텐츠 특성정보를 인터넷망을 통해 콘텐츠 안내 서비스 시스템(30)으로 전송하는 특성정보 전송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콘텐츠 안내 서비스 시스템(30)은 특성정보 수신부(31), 콘텐츠 특정부(32), 콘텐츠 검색부(33), 콘텐츠 정보 저장부(34), 안내정보 전송부(35)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특성정보 수신부(31)는 인터넷망을 통해 사용자 디바이스(11)로부터 콘텐츠 특성정보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콘텐츠 특정부(32)는 특성정보 수신부(31)를 통해 수신된 콘텐츠 특성정보가 지시하는 콘텐츠가 어떠한 것인지를 특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콘텐츠 특정부(32)가 특성정보 수신부(31)를 통해 수신된 콘텐츠 특성정보를 통해 해당 콘텐츠가 어떤 콘텐츠인지를 확인하는 방법은 사용자 디바이스(11)가 전송하는 콘텐츠 특성정보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간단한 예로서 콘텐츠 특성정보가 콘텐츠 파일명을 포함하고 있다면 이 파일명을 그대로 이용하여 해당 콘텐츠를 특정할 수도 있으며, 콘텐츠의 변형 등을 고려하자면 MP3 파일에 일반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태그 정보(가수이름, 곡명, 플레이 시간 등)를 대조하여 확인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콘텐츠 특정부(32)는 각 콘텐츠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특성정보를 저장하는 특성정보 저장부(32-1)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특성정보 저장부(32-1)는 각 콘텐츠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하여 각 콘텐츠별 파일명, 확장자, 태그 정보(가수이름, 곡명, 플레이 시간 등), 작성 일자, 파일 크기, 콘텐츠 파일 내부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정보 저장부(34)는 각종 콘텐츠와 그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각 콘텐츠에 대한 안내 정보란 콘텐츠 그 자체가 아니라 각 콘텐츠 를 사용자에게 홍보하기 위한 정보로서,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동영상, 애니메이션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영화 콘텐츠의 예로서 설명하자면, 영화 포스터 이미지, 개봉 일자, 주연 배우, 간단한 줄거리, 시청 비용, 관객 수 등 사용자에게 해당 영화 콘텐츠를 안내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검색부(33)는 콘텐츠 특정부(32)를 통해 특정된 콘텐츠와 관련된 다른 콘텐츠를 콘텐츠 정보 저장부(34)에서 검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콘텐츠 검색부(33)가 특정된 콘텐츠와 어떠한 관계에 있는 콘텐츠를 관련된 콘텐츠로 볼 것인지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특정부(32)를 통해 특정된 콘텐츠가 영화 콘텐츠인 경우에는 동일 영화의 선행편이나 후속편, 같은 장르에 속하는 영화 콘텐츠, 감독이 같은 영화 콘텐츠, 주인공이 같은 영화 콘텐츠, 영화 등급이 같은 콘텐츠, 제작된 국가가 같은 콘텐츠 등을 관련 콘텐츠로서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음반 콘텐츠라면 같은 가수의 음악 콘텐츠, 같은 장르의 음반 콘텐츠, 같은 앨범에 수록된 음반 콘텐츠 등을 관련 콘텐츠로서 검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콘텐츠 특정부(32)는 검색 대상 콘텐츠가 영화나 음악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라면, 재생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인 콘텐츠만을 검색 대상으로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현재 사용자 제작 콘텐츠(UCC: User Created Contents)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존재하므로, 상업적 가치가 있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만을 검색 대상으로 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안내정보 전송부(35)는 콘텐츠 검색부(33)에서 검색된 관련 콘텐츠에 관한 안내 정보를 인터넷망을 통해 사용자 디바이스(11)로 전송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안내정보 전송부(35)가 전송하는 정보는 콘텐츠 그 자체가 아니라 관련 콘텐츠를 안내하는 정보이며, 사용자는 사용자 디바이스(11)에서 실행하였던 콘텐츠와 관련된 여러 다른 콘텐츠 정보를 알 수 있어 다른 콘텐츠를 스스로 검색하는 노력을 하지 않고도 관심 있는 콘텐츠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만일 사용자가 사용자 디바이스(11)에서 불법 콘텐츠를 실행하였다고 해도 이러한 안내 정보를 통해 자신이 실행하였던 콘텐츠와 관련된 여러 콘텐츠 정보를 바로 알 수 있게 되므로, 불법 콘텐츠를 확보하고자 할 때 소요되는 시간이나 노력에 비해 합법적 구매가 더욱 경제적인 절차가 되어 사용자를 적극적으로 합법적 콘텐츠 사용자로 유도할 수도 있게 된다.
한편, 안내정보 전송부(35)가 관련 콘텐츠 안내 정보를 사용자 디바이스(11)에 전송하면, 사용자 디바이스(11)는 이 정보를 일정기간 동안 보유하고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디바이스(11)는 사용자가 콘텐츠 시청을 멈추거나 마쳤을 때 관련 콘텐츠 안내 정보를 출력하거나, 추후 사용자 디바이스(11)의 초기 화면 등을 이용하여 관련 콘텐츠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디바이스(11)는 안내정보 전송부(35)가 전송해준 관련 콘텐츠 안내 정보를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안내 서비스 방법의 일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관련 콘텐츠 정보가 안내되는 개요,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안내 서비스 시스템의 일 실시예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사용자 디바이스 12: 콘텐츠 서비스 서버
11-1: 특성정보 확인부 11-2: 특성정보 전송부
30: 콘텐츠 안내 서비스 시스템, 31: 특성정보 수신부
32: 콘텐츠 특정부 32-1: 특성정보 저장부
33: 콘텐츠 검색부 34: 콘텐츠 정보 저장부
35: 안내정보 전송부

Claims (5)

  1. IPTV 셋탑박스가 IPTV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하는 영화 또는 음반 콘텐츠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IPTV 셋탑박스가 상기 실행된 영화 또는 음반 콘텐츠가 일정 시간 이상 재생되었을 경우 해당 콘텐츠의 특성정보를 확인하여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IPTV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IPTV 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IPTV 셋탑박스로부터 수신된 특성정보가 지시하는 영화 또는 음반 콘텐츠가 어떤 것인지를 특정하는 단계;
    상기 IPTV 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IPTV 셋탑박스로 서비스할 수 있는 콘텐츠들 중 상기 특정된 영화 또는 음반 콘텐츠와 관련된 다른 영화 또는 음반 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IPTV 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검색된 영화 또는 음반 콘텐츠의 안내 정보를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IPTV 셋탑박스로 전송해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콘텐츠 안내 서비스 방법.
  2. 삭제
  3. IPTV 셋탑박스로 서비스할 수 있는 각종 영화 또는 음반 콘텐츠와 그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저장하는 콘텐츠 정보 저장부;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IPTV 셋탑박스부터 콘텐츠 특성정보를 수신하는 특성정보 수신부;
    상기 특성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콘텐츠 특성정보가 지시하는 영화 또는 음반 콘텐츠가 어떠한 것인지를 특정하는 콘텐츠 특정부;
    상기 특정된 영화 또는 음반 콘텐츠와 관련된 다른 영화 또는 음반 콘텐츠의 안내 정보를 상기 콘텐츠 정보 저장부에서 검색하는 콘텐츠 검색부; 및
    상기 콘텐츠 검색부에서 검색된 영화 또는 음반 콘텐츠의 안내 정보를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IPTV 셋탑박스로 전송해주는 안내정보 전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콘텐츠 안내 서비스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특정부는 각 영화 또는 음반 콘텐츠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특성정보를 저장하는 특성정보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안내 서비스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검색부는 재생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인 영화 또는 음반 콘텐츠만을 검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안내 서비스 시스템.
KR1020070116088A 2007-11-14 2007-11-14 콘텐츠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89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088A KR100889135B1 (ko) 2007-11-14 2007-11-14 콘텐츠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088A KR100889135B1 (ko) 2007-11-14 2007-11-14 콘텐츠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9135B1 true KR100889135B1 (ko) 2009-03-16

Family

ID=40698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6088A KR100889135B1 (ko) 2007-11-14 2007-11-14 콘텐츠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913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7544A (ko) * 2005-07-11 2007-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광고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7544A (ko) * 2005-07-11 2007-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광고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7834B2 (en) Using an audio stream to identify metadata associated with a currently playing television program
JP4025185B2 (ja) メディアデータ視聴装置及びメタデータ共有システム
EP2476233B1 (en) Module and method
CA2790227C (en) Content fragment storage and delivery
US9396193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playlists
US2008005998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media assets over a network
US7627560B2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processing method in the apparatus, and program for causing computer to execute the method
US20080159715A1 (en) Contextual linking and out-of-band delivery of related online content
JP2004519893A (ja) コンテンツ素材に関連するメタ情報の放送及び処理
CN105230035A (zh) 用于选择的时移多媒体内容的社交媒体的处理
EP1995970B1 (en) Receiving apparatus, recording apparatus, content receiving method, and content recording method
WO2007130472A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media assets over a network
US20160165203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y of Content Over Communication Networks
JP2015090717A (ja) 移動マルチメディア端末、動画番組推奨方法およびそのサーバ
JP2003168051A (ja) 電子カタログ提供システム、電子カタログ提供方法、その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0942268B1 (ko) 멀티미디어 북마크를 이용한 광고, 공유, 전송 및 검색방법
Tokmakoff et al. Home media server content management
KR100889135B1 (ko) 콘텐츠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128251A (ko)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내용에 기반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및그 광고 제공 방법
Solla et al. TV-anytime: Paving the way for personalized TV
Wales et al. IPTV-The revolution is here
JP4469884B2 (ja) メタデータ共有システム
JP4644951B2 (ja) 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サーバ、受信装置、情報配信方法、番組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4155586A1 (ja) 電子機器及び対価交換方法
Solla et al. TV-Anyti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