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8647B1 - Filter structure of water purifier - Google Patents
Filter structure of water purifi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88647B1 KR100888647B1 KR1020070101011A KR20070101011A KR100888647B1 KR 100888647 B1 KR100888647 B1 KR 100888647B1 KR 1020070101011 A KR1020070101011 A KR 1020070101011A KR 20070101011 A KR20070101011 A KR 20070101011A KR 100888647 B1 KR100888647 B1 KR 1008886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ter
- housing
- water
- case
-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Other filtering devices;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1—Constructions of two or more hous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27—Metallic material
- B01D39/2051—Metallic foa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01D39/2058—Carbonaceous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articulate
- B01D39/2062—Bonded, e.g. activated carbon blocks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정수기의 필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단계의 정수 작용이 하나의 필터에 의해 이루어져 정수기의 제조 및 필터 교체의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필터의 내부 세척이 용이하고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정수기의 필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er device of a water purifier, and more particularly, a multi-stage water purification action is performed by a single filter, thereby reducing the burden of manufacturing and replacing the filter, and easily cleaning the filter and preventing leakage. The filter apparatus of the water purifier which can be performed.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가정이나 사무소 등에 설치되어 급수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 내에 포함된 유해 성분이나 냄새 등을 필터를 통해 제거하고 냉수나 온수로 변환시켜 깨끗한 물을 마실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In general, a water purifier is installed in homes or offices to remove harmful components or odors contained in raw water supplied from a water supply pipe through a filter and convert them into cold or hot water to drink clean water.
이러한 정수기 내부에는 유해 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필터가 구비되는데, 일반적으로 정수기에는 세디먼트 필터(Sediment Filter,2)와 전처리 탄소필터(Pre-carbon Filter,3), UF 멤브레인 필터(UF-Membrane Filter,4), 후처리 탄소필터(Post-carbon Filter,5)로 구성되어, 원수는 각각의 필터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각종 유해 성분이나 냄새 등이 제거되어 최종적으로 깨끗한 물을 출수 된다.In the water purifier, a plurality of filters are provided to remove harmful substances. In general, the water purifier includes a sediment filter (2), a pre-carbon filter (3), and an UF membrane filter (UF-Membrane). Filter, 4) and post-carbon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정수기의 필터 구조를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세디 먼터 필터(2)와 전처리 탄소 필터(3), UF 멤브레인 필터(4), 후처리 탄소 필터(5) 가 개별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필터는 직렬 형태로 연결되어 필터 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급수관(1)으로부터의 원수는 먼저 세디먼트 필터로 입수되며, 세디먼트 필터에서 1차 정수되어 출수되는 물은 다시 전처리 탄소 필터에 의해 2차 정수되고, UF 멤브레인 필터, 후처리 탄소필터에 의해 각 단계별 정수 과정을 거친다. 이렇게 각 단계의 필터 작용을 거친 원수는 완전히 정화되어 정수탱크(6)에 집수되며, 냉온수로 조절되어 외부로 출수된다.Looking at the filter structure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with reference to Figure 1, the sedimenter filter (2), pre-treated carbon filter (3), UF membrane filter (4), after-treatment carbon filter (5) is configured separately Each filter is connected in series to form a filter device. In this structure, the raw water from the water supply pipe 1 is first obtained by the sediment filter, and the water which is first purified by the sediment filter and withdrawn is again purified by the pretreated carbon filter, and the UF membrane filter and the post treated carbon filter By each step of the water purification process. The raw water that has undergone the filter action in this step is completely purified and collected in the purified water tank (6), and controlled by cold and hot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한편 정수기의 필터 장치는 영구적인 것이 아니므로 오랜 시간 사용함에 따라 정수 기능이 떨어지게 되어, 소정의 기간이 경과되는 경우 새로운 필터로 교체해 주어야 한다. 또한, 각 필터의 교체시기는 서로 다른 것으로 종래의 기술에 따른 필터 장치는 각 필터가 별도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교체도 개별적으로 하여야 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filter device of the water purifier is not permanent, the water purifying function is degraded as it is used for a long time, and aft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 new filter must be replaced. In addition, the replacement timing of each filter is different, and since the filter devic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each filter configured separately, replacement must be performed separately.
즉, 일반적으로 세디먼트 필터와 전처리 탄소 필터는 3개월 내지 6개월 마다 교체를 하여야 하며, UF 멤브레인 필터는 6개월 내지 8개월, 후처리 탄소 필터는 12개월 마다 교체를 해 주어야 한다. 이렇듯이 각 필터의 교체시기가 다르므로, 사용자는 각 필터의 교환시기를 꼼꼼히 체크 하여야 하고 하나의 필터 교체를 위해 필터 장치 전부를 분해하여야 하는 관리상의 어려운 점이 있다. 또한, 필터의 세척시에도 정수기를 분해하여 모든 필터를 꺼내어 세척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That is, in general, the sediment filter and the pretreated carbon filter should be replaced every 3 to 6 months, the UF membrane filter should be replaced every 6 to 8 months, the post-treated carbon filter every 12 months. As the replacement timing of each filter is different, the user has to check carefully the replacement timing of each filter, and there is a management difficulty in disassembling all the filter devices in order to replace one filter. In addition, even when the filter is washed, there is a need to disassemble the water purifier to take out all the filters and wash them.
본 발명은 정수기의 필터 장치에 있어서, 다수개의 필터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별도로 구성되는 구조의 복잡함과 서로 다른 교환 시기로 인하여 각 개별적으로 교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고, 정수기로부터 필터 장치를 분리하지 않고도 간단하 세척이 가능하도록 하며, 하나의 필터 장치로 다단계의 필터링이 한번에 가능하고, 사용과 관리가 용이한 정수기의 필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lter device of the water purifier, a plurality of filters are integrally formed to solve the complexity of the separate structure and the hassle of having to replace each individually due to different exchange time, and does not separate the filter device from the water purifi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lter device of a water purifier that can be easily cleaned without using a single filter device, and that a multi-stage filtering is possible at a time, and is easy to use and manag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필터 장치는 정수기용 필터 장치에 있어서, 입수되는 원수를 정수시키기 위하여 내부에 다수개의 필터가 배치되는 것으로, 상측 외주면에는 나사 결합을 위한 제1홈이 형성되고, 하측 중앙에 형성되는 홀(Hole)로서 상측 내주면에는 필터 모듈이 결합되기 위하여 링 형상의 패킹이 구비되며 하측 내주면에는 정수기 본체와 나사 결합되기 위한 제2홈이 구비된 체결 홀이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하우징;과, 외부의 급수관으로부터 원수가 유입되는 입수구가 상기 급수관과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상측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제1홈에 나사 결합되기 위한 결합 홈이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 홈의 상부 내주면을 따라 상기 하우징과 밀착되어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패킹이 구비되는 하우징 캡; 정수된 물이 배출되며 상기 하우징의 체결 홀에 끼움 결합되기 위한 출수구가 하측 중앙에 형성되고, 원통의 외벽면에는 물이 이동하기 위하여 수직 방 향의 홈 형상으로 이동로가 형성되며 하측 외측으로는 세디멘트 필트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측으로 절곡되는 고정턱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외벽면을 따라 끼움 결합되어 원수를 1차 정수시키기 위한 세디멘트 필터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측으로 부터 차례로 배치되어 1차 정수된 물을 단계적으로 다시 정수시키기 위한 전처리 탄소필터, 후처리 탄소 필터, UF 멤블레인 필터와, 상기 필터들을 각각 구획하기 위하여 필터 사이와 케이스 내부의 상하측에 배치되는 부직포와, 원수가 직접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상기 케이스 상부에서 결합되는 케이스 캡으로 구성되는 필터 모듈;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filt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filter device for a water purifier, a plurality of filters are disposed therein to purify the raw water obtained, the first outer groove for screwing is formed on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As a hole (Hole) formed in the lower center, the upper inner peripheral surface is provided with a ring-shaped packing for coupling the filter module, and the lower inner peripheral surface is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having a second groove for screwing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A housing having a shape; and an inlet through which raw water is introduced from an external water supply pipe so as to be screwed with the water supply pipe, and a coupling groove for screwing into a first groove of the housing is formed at the lower side. A housing cap in close contact with the housing along an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coupling groove and having a packing for preventing leakage;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and a water outlet for fitting into the fastening hole of the housing is formed in the lower center, and a moving path is formed in the groove shape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move the water on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cylinder. A case having a fixing jaw that is bent upwards so that the sediment filter can be fixed, a sediment filter which is fitted along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case to firstly purify raw water, and from the inside of the case from the upper side in order A pre-treated carbon filter, a post-treated carbon filter, an UF membrane filter, and a nonwoven fabric disposed between the filters and i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ase for partitioning the filters, respectively, for re-refining the primary purified water step by step; Composed of a case cap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so that raw water does not flow directly into the case Filter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물을 상기 필터 모듈을 거치지 않고 직접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drain for directly draining the water inside the housing without passing through the filter module.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제1홈 상부는 상측으로 직경이 좁아지도록 경사면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과 하우징 캡이 나사 결합될수록 상기 하우징 캡의 패킹이 상기 하우징의 경사면을 따라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groove of the housing is formed while forming an inclined surface to narrow the upper side, the packing of the housing cap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housing as the housing and the housing cap is screw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한 본 발명의 정수기용 필터 장치는 다수개의 필터가 하나의 모듈로 구성되어 필터의 교체가 용이하며, 필터의 세척시에도 정수기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간단한 세척이 가능하여 정수기 및 필터의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하우징과 하우징 캡 사이에서 누수를 효과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 다.Filter device for wate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s easy to replace the filter because a plurality of filters are composed of a single module, and even when the filter is washed, it is possible to simple cleaning without separating from the water purifier Easy to maintain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leakage between the housing and the housing cap.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The technical problems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The following examples are merely illustrat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하우징과 하우징 캡의 결합 상태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lter device for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coupling state of the housing and the housing cap.
도면을 참조하면, 필터 장치는 필터 장치의 외부 몸체를 이루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 상부에 결합되는 하우징 캡(20),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필터 모듈(30)로 구성된다. 이러한 필터 장치는 외부의 급수 장치를 통해 원수를 공급받고, 최종적으로 정수된 물을 냉온수 장치로 출수시키는 것으로 급수 장치와 냉온수 장치는 도시하지 않았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filter device is composed of a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술한 하우징(10)은 합성 수지의 사출에 의해 성형되는 용기 형상으로, 내부에는 필터 모듈(30)이 수납되고, 상측에서 하우징 캡(20)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Looking at this in more detail, the
이를 위해 상측 외주면에는 나사 형상의 결합 홈(11)이 형성되어 있어, 이와 결합 가능한 동일한 형상의 홈(21)이 내주면에 형성된 하우징 캡(20)이 나사 체결 방식에 의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내부 하측의 중앙에는 필터 모 듈(30)과 정수기의 본체(미도시)와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 홀(13)이 형성되며, 체결 홀(13)의 상측에서 필터 모듈(30)이 끼움 결합되고, 하측은 정수기 본체에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산 형상의 홈이 형성된다. To this end, a screw-
그리고 하우징(10)의 하측 일측에는 하우징(10) 내의 원수를 직접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구(14)와 배수구의 조절을 위한 밸브(15)가 구비된다. 이러한 배수구(14)는 필터 모듈(30)이 하우징(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우징(10) 내부나 필터 모듈(30)의 외벽이나 제1필터인 세디먼트 필터(41)를 세척할 경우 세척수를 직접 배출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즉, 하우징(10)과 필터 모듈(30)을 분리하지 않고 하우징 내부를 간단히 세척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 lower side of the
전술한 하우징 캡(20)은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되어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 몸체 내부에서 필터 모듈(30)에 의해 원수를 정수시킬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다. 또한 하우징 캡(20)의 가운데 부분에는 원수가 유입되기 위한 입수구(23)가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입수구(23)의 내주면은 급수관과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하우징 캡(20)의 하측 내주면에는 상기 하우징의 결합 홈(11)과 나사 결합되기 위한 홈(21)이 형성된다. 여기서 입수구(2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원수가 공급되는 방향에 적합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이러한 하우징(10)과 하우징 캡(20)의 결합 상태를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며보면, 하우징(10)의 결합 홈(11)과 하우징 캡(20)의 결합 홈(21)은 나사 결합이 가능하도록 각각 형성되며, 하우징 캡(20)의 결합 홈(21)에는 누수 방 지를 위한 링 형상의 실리콘 패킹(22)이 내주면을 따라 부착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의 결합 홈(11) 상측으로는 내측으로 경사면을 이루도록 돌출부(16)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하우징(10)과 하우징 캡(20)이 나사 체결될수록 패킹은 경사면에 더욱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When the
일반적으로 급수관에서는 정수기 내부로 고압으로 원수를 공급하므로 정수기 장치의 각 결합 부위에서는 누수 현상이 발생하기 쉬우나, 상기와 같은 결합 구조는 구조는 평면 형상의 돌출부에 비하여 하우징(10)과 하우징 캡(20)이 나사 체결 되면 될수록 패킹(22)이 더욱 밀착될 수 있어 누수 방지에 효과적이다.In general, water supply pipes supply raw water at high pressure to the inside of the water purifier, so water leaks are likely to occur at each coupling portion of the water purifier, but the above coupling structure has a structure of the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전술한 필터 모듈(30)은 하우징 내부로 입수되는 원수를 정수시키기 위한 것으로, 합성 수지 혹은 스테인리스 재질의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는 케이스(31)와 원수를 정수시키기 위한 4단계의 필터(41 내지 44), 필터 모듈(30) 내부로 원수가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케이스 캡(35)으로 구성된다.Referring back to FIG. 2, the
상기 케이스(31)는 외벽에 1차 정수된 물이 흐를 수 있는 다수개의 홈이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하측에는 외부에 끼움 결합되는 세디멘트 필터(41)를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턱(36)이 형성된다. 케이스 외부에는 1차 정수를 위한 세디먼트 필터(41)가 케이스 외벽을 따라 끼움 결합되며, 2차 내지 4차 필터(42,43,44)는 케이스 내부에 상측에서 각각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필터 모듈의 필터 구조와 정수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case 31 has a plurality of grooves through which the first purified water flows on the outer wall at regular interval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fixing jaw to fix the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1)의 하측에는 정수된 물이 배출되는 출수구(33)가 형성되며, 출구수(33)의 외주면에는 상기 하우징(10)의 체결 홀(13)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링 형상의 패킹이 구비된다. 또한 하우징(10)의 체결 호(13) 하측부 내주면에는 정수기 본체(미도시)와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4, the lower side of the case 31 is formed with a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6은 필터 모듈의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ilt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of the filter module.
도 5를 참조하면, 필터 모듈(30)은 케이스(31), 케이스 캡(35)과 함께 4개의 필터(41 내지 44)로 구성된다. 여기서 4개의 필터는 세디먼트 필터(Sediment Filter,41)와, 전처리 탄소 필터(Pre-Carbon Filter,42), 후처리 탄소 필터(Post-Carbon Filter,43), UF 멤브레인 필터(UF Membrane Filter,44)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5, the
즉, 상기 케이스(31)는 원통 형상으로 케이스(31)의 외부에 1차 필터인 세디먼트 필터(41)가 끼움 결합되고, 내부에는 2차 필터인 전처리 탄소 필터(42)와 3차 필터인 후처리 탄소 필터(43), 4차 필터인 UF 멤브레인 필터(44)가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케이스 내부의 각 필터 사이와 상하측에는 부직포(45)가 삽입되어 각 필터를 구획한다.That is, the case 31 has a cylindrical shape and a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모듈(30)의 케이스(31)에는 외부 벽면에 원수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로(34)가 형성되어 있다. 즉, 1차 필터(41)를 통과한 원수는 케이스 외벽면의 이동로(34)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한 후, 다시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어 2차 내지 4차 필터(42,43,44)를 통과하도록 구성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6, the case 31 of the
그리고, 케이스 하측에는 외부에 끼워지는 세디멘트 필터(41)가 고정 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다시 상측으로 절곡되는 형상의 고정턱(36)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턱(13)에 의해 세디멘트 필터가 끼워져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
필터 모듈(30)에서의 각 필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세디먼트 필터(Sediment Filter,41)는 원수를 1차적으로 정수시키는 필터로, 통상 0.5마이크론 이상 크기의 찌꺼기나 오염 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필터이다. 세디먼트 필터(41)의 주 원료는 부직포를 이용한 것으로 이는 탄력성과 복원력이 우수하여 케이스(31)에 쉽게 끼워질 수 있다. 1차적으로 찌꺼기나 오염 물질이 걸러진 원수는 케이스 외벽에 형성된 이동로(34)를 따라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어, 순차적으로 필터링 작용을 거치게 된다.Looking at each filter in the
상기 전처리 탄소 필터(Pre-Carbon Filter,42)와 후처리 탄소 필터(Post-Carbon Filter,43)는 고열로 처리된 카본으로 원수 속에 함유되어 있는 유해 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한 고체형 카본 필터이다. 1차 정수된 원수 속에는 염소 등을 포함하는 유해 화학 물질들이 함유되어 있는데, 카본 필터의 주요 구성인 활성탄이 이러한 유해 화학 물질들은 흡착하여 원수를 다시 정수시키게 된다.The
상기 UF 멤브레인 필터(UF Membrane Filter,44)는 0.01 마이크론 이하의 미세한 기공이 형성된 막으로 바이러스나 박테리아 등의 유기물이나 기타 이물질들을 제거하는 필터이다. 즉, 세디먼트 필터와 전처리 탄소 필터, 후처리 탄소 필터에 의한 정수를 거친 원수는 최종적으로 UF 멤브레인 필터에 의해 바이러스 등의 유기물들이 걸러지게 된다.The
이러한 전처리 탄소 필터(42)와 후처리 탄소 필터(43), UF 멤브레인 필터(44)는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측에서 부터 순차로 배치되어, 세디먼트 필터(41)에 의해 1차 정수된 원수를 단계적으로 다시 정수시키게 되고, 최종적으로 정수된 물은 케이스의 출수구(33)를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모듈에 있어서 각 필터 교체를 적당한 시기에 일치될 수 있도록 카본 필터의 활성탄 함유량이나 두께, 세디먼트 필터 및 UF 멤브레인 필터의 밀도, 두께 등이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Th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후처리 탄소 필터(43)와 UF 멤브레인 필터(44)에 의해 3차 및 4차 정수가 되는 것으로 구성되었으나, 후처리 탄소 필터(43)와 UF 멤브레인 필터(44)의 순서가 서로 바뀌어도 정수 작용을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장치의 원수에 대한 이동 경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7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ving path of raw water of a filter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하우징 캡(20)의 입수구(23)로 입수된 원수는 하우징(10) 내에서 필터 모듈(30)의 외측으로 흘러들게 되며, 급수관의 수압에 의해 원수는 세디먼트 필터(41)로 스며들게 된다. 이 과정에서 1차적으로 이물질들이 걸러지게 되며, 세디먼트 필터()를 통과한 원수는 필터 모듈의 케이스 외벽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케이스(31) 외벽에는 원수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수직 방향으로 홈 형상의 이동로(34)가 형성되어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raw water obtained through the
1차 정수된 원수는 이동로(34)에 의해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며, 이는 다시 케이스 내부의 전처리 탄소 필터(42)와 후처리 탄소 필터(43), UF 멤브레인 필터(44)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유해 화학 성분이나 바이러스 등의 이물질들이 제거되고, 케이스의 하측 출수구(33)로 배출되어 정수기의 냉온수 장치로 이동하게 된다.The primary purified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case by the moving
이상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필터 장치의 필터링 구조를 나타내 도면,1 is a view showing a filtering structure of a filter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lter device for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장치의 하우징과 하우징 캡의 결합 상태를 상세히 나타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in detail the coupling state of the housing cap and the housing of the filt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장치의 하우징과 필터 모듈의 결합 상태를 상세히 나타낸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in detail the coupling state of the filter module and the housing of the filt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ilt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모듈의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of a filt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장치의 필터링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filtering structure of a filt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
10 : 하우징 11,12,21 : 나사결합홈(나사산)10:
13 : 체결 홀 20 : 하우징 캡13: fastening hole 20: housing cap
22 : 실리콘 패킹 23 : 입수구22: silicon packing 23: inlet
30 : 필터모듈 31 : 케이스30: filter module 31: case
33 : 출수구 34 : 이동로33: outlet 34: moving path
35 : 케이스 캡 36: 고정턱35: case cap 36: fixed jaw
41,42,43,44 : 필터 45 : 부직포41,42,43,44: filter 45: nonwoven fabric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1011A KR100888647B1 (en) | 2007-10-08 | 2007-10-08 | Filter structure of water purifi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1011A KR100888647B1 (en) | 2007-10-08 | 2007-10-08 | Filter structure of water purifi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88647B1 true KR100888647B1 (en) | 2009-03-17 |
Family
ID=40698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01011A KR100888647B1 (en) | 2007-10-08 | 2007-10-08 | Filter structure of water purifi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88647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06612B1 (en) | 2010-10-13 | 2012-11-29 |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 Filter Sump |
CN107986466A (en) * | 2016-10-26 | 2018-05-04 |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 Composite filter element, composite filter element component and water purifier for water purifier |
KR20180067459A (en) * | 2016-10-26 | 2018-06-20 | 미디어 그룹 코 엘티디 | Compound filter element, complex filter element assembly for water purifier and water purifier |
WO2022265443A1 (en) * | 2021-06-18 | 2022-12-22 | 코웨이 주식회사 | Water purifier having composite filte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39984U (en) * | 1998-04-23 | 1999-11-25 | 박진서 | Filter Housing for Water Purifier |
JP3377778B2 (en) | 2000-08-21 | 2003-02-17 | 株式会社日本ゼスト | Water purifier |
KR200383765Y1 (en) | 2005-01-31 | 2005-05-09 | 주식회사 피코그램 | Filter cartridge |
-
2007
- 2007-10-08 KR KR1020070101011A patent/KR100888647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39984U (en) * | 1998-04-23 | 1999-11-25 | 박진서 | Filter Housing for Water Purifier |
JP3377778B2 (en) | 2000-08-21 | 2003-02-17 | 株式会社日本ゼスト | Water purifier |
KR200383765Y1 (en) | 2005-01-31 | 2005-05-09 | 주식회사 피코그램 | Filter cartridge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06612B1 (en) | 2010-10-13 | 2012-11-29 |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 Filter Sump |
CN107986466A (en) * | 2016-10-26 | 2018-05-04 |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 Composite filter element, composite filter element component and water purifier for water purifier |
KR20180067459A (en) * | 2016-10-26 | 2018-06-20 | 미디어 그룹 코 엘티디 | Compound filter element, complex filter element assembly for water purifier and water purifier |
KR102018620B1 (en) * | 2016-10-26 | 2019-09-05 | 미디어 그룹 코 엘티디 | Complex filter element, complex filter element assembly and water purifier for water purifier |
WO2022265443A1 (en) * | 2021-06-18 | 2022-12-22 | 코웨이 주식회사 | Water purifier having composite filt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88647B1 (en) | Filter structure of water purifier | |
KR101402399B1 (en) | Lower water collecting assembly of pressured membrane module water-purifying apparatus | |
KR101935595B1 (en) | Multi water purifying filter | |
KR101285291B1 (en) | Sewage purification treatment system | |
KR100912268B1 (en) |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adsorption and filtration of biological activated carbon and cleansing method thereof | |
KR100974076B1 (en) | Filtering apparatus for water | |
KR101009654B1 (en) | water purification filtering device | |
KR101736833B1 (en) | Filter | |
KR200467091Y1 (en) | filter for seawater | |
KR102327425B1 (en) | Adsorption complex filter for running water partially interchangeable | |
KR100899071B1 (en) | Filtering apparatus for water | |
KR20170130703A (en) | Multiple filters for water purification | |
KR101350537B1 (en) | Apparatus for filtering used with multi-fiber layer and the backward wash method thereof | |
KR101313631B1 (en) | Filter tube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reof | |
CN202643465U (en) | Household tap water purification device | |
KR200304549Y1 (en) | Filtering equipment for dirty water and wastewater | |
KR20090089776A (en) | Block type water purifying apparatus and conduit thereof | |
KR200182218Y1 (en) | Deodorizer of excretions car | |
KR200257574Y1 (en) | Faucet Auxiliary Head with Filter | |
KR101472505B1 (en) | filter case of water purifier | |
KR200370743Y1 (en) | a sediment pre-filter | |
KR101474195B1 (en) | Cloth Filter and Hybrid Filter | |
KR200243062Y1 (en) | multipurpose filter case | |
KR200402258Y1 (en) | Filter apparatus for water purifier | |
KR20230078598A (en) | The apparatus for removing green water of water-clea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307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