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9656A - Sewage purification treatment system - Google Patents

Sewage purification treatmen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9656A
KR20130029656A KR1020110093058A KR20110093058A KR20130029656A KR 20130029656 A KR20130029656 A KR 20130029656A KR 1020110093058 A KR1020110093058 A KR 1020110093058A KR 20110093058 A KR20110093058 A KR 20110093058A KR 20130029656 A KR20130029656 A KR 20130029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hollow fiber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30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85291B1 (en
Inventor
송정호
Original Assignee
대송환경개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송환경개발(주) filed Critical 대송환경개발(주)
Priority to KR1020110093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5291B1/en
Publication of KR20130029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96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5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52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6Filters with built-in pumps filters provided with a pump mounted in or on the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PURPOSE: A sewage purification treatment system is provided to remarkably improve purification efficiency,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a backwashing filter, and to remarkably increase purification efficiency. CONSTITUTION: A sewage purification treatment system comprises a purifier(100), a hollow fiber membrane filtering apparatus(200), a backwashing storage tank(300), a filtering apparatus(400), a pump(500), and a controller. The purifier is divided into an inflow bath(110), an aeration tank(120), an anoxic chamber(130), and a discharge tank(140).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ing apparatus has a plurality of hollow membrane pipes. The backwashing storage tank is installed in the outer side of the purifier and selectively stores the treated water for backwashing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ing apparatus. The filtering apparatus filters the treated water and discharge the final treated water. The pump transfers the water to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ing apparatus. The controller controls the backwashing treatment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ing apparatus.

Description

오·폐수의 인·질소 제거용 정화처리 시스템{SEWAGE PURIFICATION TREATMENT SYSTEM}Purification and treatment system for phosphorus and nitrogen removal of sewage and wastewater {SEWAGE PURIFICATION TREATMENT SYSTEM}

본 발명은 오·폐수의 인·질소 제거용 정화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입수조로 유입되는 오·폐수를 반응 및 침전시켜 정화하는 정화조 중 최 후단에 구비되는 방류조 내측에 구비되어 방류조 측으로 유입된 처리수를 경유시키면서 필터링하는 중공사막 필터장치, 역세수 저장탱크 및 컨트롤러가 구비되는 한편, 중공사막 필터장치 외면에 흡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장치가 구비됨으로써 처리수의 수질을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중공사막 필터장치의 역세처리 및 표면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정화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오·폐수의 인·질소 제거용 정화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rification and treatment system for removing phosphorus and nitrogen of wastewater, and more particularly, is provided inside the discharge tank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septic tank for reacting and sedimenting and purifying the wastewater flowing into the inflow water tank. And a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a backwash water storage tank and a controller for filtering while passing through the treated water introduced into the discharge tank side, and a washing device for removing foreign matter adsorb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is provid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rification system for removing phosphorus and nitrogen from wastewater and wastewater to improve the purification efficiency by allowing the backwashing and surface cleaning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to be better.

일반적으로 급격한 경제발전 과정에서 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였다는 사실은 대기는 물론 수질 또한 그 오염의 정도가 매우 심각한 지경에 이르렀음을 통해서도 이미 잘 알고 있는 사실이다.In general, the lack of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he environment in the course of rapid economic development is well known from the fact that the pollution, as well as the water quality, has reached a very severe level.

특히, 인간활동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생활하수나 농·축산폐수 및 산업폐수 등은 호소나 내만 및 내해 등의 공용 수역과 도심 중소 하천 등의 수질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In particular, household sewage, agricultural and livestock waste, and industrial wastewater generated in the course of human activities are contributing to pollution of public waters such as appeals, inner bays and inland seas, and small and medium urban streams.

또한, 근래에 들어서 급속한 산업의 발전에 의한 도시의 인구집중으로 인하여 각종 용수량의 증가와 함께 오·폐수 중에는 무기 및 유기성분이 차지하는 비율이 점차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in recent years, due to urban population concentration due to rapid industrial development, the proportion of inorganic and organic components in wastewater and wastewater is gradually increasing along with the increase of various water volumes.

이러한 오·폐수의 경우 COD(Chemical Oxygen Demand), BOD(Biochemical Oxygen Demand), SS(현탁물질), 질소 및 인 등 고농도의 유기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하천이나 호소 및 댐 등에 그대로 흘러들어가면 부영양화 등 수자원의 오염은 물론, 독성으로 인한 생태계의 파괴 등으로 이어져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오·폐수는 일정의 기준을 정해 놓고 일정의 기준치 이하로 정화시켜 배수하도록 되어 있다.Such waste water contains high concentrations of organic substances such as chemical oxygen demand (COD),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suspended solids (SS), nitrogen and phosphorus, and flows into rivers, lakes, dams, etc. Pollution, as well as the destruction of the ecosystem due to toxicity will adversely affect the environment. Therefore, the waste water and waste water are set to a predetermined standard, and purified and drained to below a predetermined standard value.

전술한 바와 같은 오·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종래의 제어기술로는 필터를 이용한 여러가지 기술들이 다양하게 제시되고는 있지만 종래의 기술에 따른 필터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장치는 대부분 오·폐수를 단순히 여과하여 오니나 부유물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오·폐수의 처리량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As a conventional control technique for treating wastewater as described above, various techniques using a filter have been proposed, but most of th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a fil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simply filters the wastewater. It is composed of a type that filters foreign substances such as sludge and suspended solids, 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hroughput of waste and waste water is limited.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오·폐수처리장치로는 일반적으로 정화조를 그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러한 정화조는 오·폐수의 유입이 이루어져 오·폐수 중에 포함된 고형물의 침전이 이루어지는 유입수조, 유입수조로부터 유입된 상등수에 산소를 공급하여 미생물의 번식과 유기물의 분해를 통해 정화하는 반응조, 반응조로부터 유입된 상등수의 입자성 고형물을 침전시키는 침전조 및 침전조로부터 유입된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wastewater treatment device as described above may be a septic tank, for example, and the septic tank is from the inflow tank, the inflow water tank in which the sewage of the wastewater is made to settle the solids contained in the wastewater. It is composed of a reaction tank which supplies oxygen to the supernatant introduced and purifies through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and decomposition of organic matter, a settling tank which precipitates particulate solids of the supernatant water introduced from the reactor,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treated water introduced from the settling tank to the outside. Is done.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오·폐수처리장치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유입수조와 반응조 및 침전조를 통해 유입된 오·폐수를 정화 처리하여 처리수를 배출시키기 때문에 처리수의 수질이 양호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th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purifies the waste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flow water tank, the reaction tank and the sedimentation tank to discharge the treated water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quality of the treated water is good. There is a problem that it does not.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오·폐수처리장치는 유입수조와 반응조 및 침전조를 통해 유입된 오·폐수를 정화 처리하여 처리수를 배출시키기 때문에 SS(현탁물질)의 제거에는 유용하다 할 수 있으나 질소 및 인의 제거에는 한계가 있어 또 다른 오염원이 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s useful for the removal of SS (suspension material) because the treatment wastewater discharged by purifying the waste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flow water tank, the reaction tank and the sedimentation tank.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limit to the removal of nitrogen and phosphorus may be another source of pollution.

더욱이, 종래 기술에 따른 오·폐수처리장치는 처리수의 정화 필터링을 위한 필터링장치가 별도로 구비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경우에도 필터링장치의 필터부분에 대한 역세 처리가 되지않으므로 정화처리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Furthermore, th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separate filtering device for purifying and filtering the treated water, but even in this case, the backwashing treatment is not performed on the filter portion of the filtering device. .

그러므로, 질소 및 인을 제거하면서 처리수의 수질을 양호하도록 함은 물론, 필터 부분의 정화처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오·폐수 처리장치 또는 이러한 오·폐수 처리장치를 통한 오·폐수 처리 시스템에 대한 기술의 연구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Therefore,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or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through such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which improves the water quality of the treated water while removing nitrogen and phosphorus, as well as increasing the purification efficiency of the filter por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the situation is requir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입수조로 유입되는 오·폐수를 반응 및 침전시켜 정화하는 정화조 중 최 후단에 구비되는 방류조 내측에 구비되어 방류조 측으로 유입된 처리수를 경유시키면서 필터링하는 중공사막 필터장치, 역세수 저장탱크 및 컨트롤러가 구비되는 한편, 중공사막 필터장치 외면에 흡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장치가 구비됨으로써 처리수의 수질을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세척장치를 통하여 중공사막 필터장치의 표면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정화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오·폐수의 인·질소 제거용 정화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side the discharge tank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septic tank for reacting and sedimenting the sewage and waste water flowing into the inflow tank while passing through the treated water introduced to the discharge tank side. A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for filtering, a backwash water storage tank and a controller are provided, and a washing device for removing foreign matter adsorb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is provided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the treated water as well as to wash.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urification system for removing phosphorus and nitrogen from wastewater and wastewater, which enables the surface cleaning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to be performed through the device to improve the purification treatment efficiency.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폭기조 내측으로 인, 질소의 제거를 위한 정화약품을 분사시키는 정화제 투입장치가 구비됨으로써 오·폐수에 내포된 질소 및 인의 제거를 양호하게 할 수가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urifier injection device for injecting a purifying chemical for the removal of phosphorus, nitrogen into the aeration tank to improve the removal of nitrogen and phosphorus contained in the waste water. have.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또 다른 목적은 컨트롤러, 정역펌프 및 역세수 저장탱크가 구비됨으로써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어 시스템의 구동이 정화처리 및 역세정 처리가 교번되어 구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중공사막 필터장치의 역세정을 통하여 필터장치의 내구성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중공사막 필터장치에 의한 정화처리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y a controller, a forward pump and a backwash water storage tank is controlled by a controller, the drive of the system can be driven by alternating purification and backwash treatment, according to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filter device by backwashing the device and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purification treatment efficiency by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의 인·질소 제거용 정화처리 시스템은 내부가 유입수조, 폭기조, 무산소조, 방류조의 순서로 분리 형성되는 한편 상기 유입수조로 유입된 오염수가 상기 유입수조, 폭기조, 무산소조, 방류조를 통과하며 정화된 후 외부로 방류될 수 있게 구성되는 가운데 상기 유입수조, 폭기조, 무산소조 및 방류조의 상부에는 각각 별도의 뚜껑이 갖춰지는 한편 상기 유입수조, 폭기조, 무산소조, 방류조의 순으로 유체가 흐르도록 이웃하는 조와 조 사이의 격벽에는 물 이동통로가 관통 형성이 된 정화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오·폐수의 인·질소 제거용 정화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류조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방류조로 유입되는 처리수를 경유시키는 가운데 처리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도록 그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열고정되는 복수 개의 중공사막 파이프를 가지는 중공사막 필터장치; 상기 정화조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중공사막 필터장치를 통하여 필터링된 처리수를 상기 중공사막 필터장치의 역세정을 위하여 선택적으로 일정수위로 저장하는 역세수 저장탱크; 상기 역세수 저장탱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정화조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중공사막 필터장치를 거친 처리수를 유입시켜 여과한 후 최종 처리수를 배출시키는 여과필터장치; 상기 중공사막 필터장치, 역세수 저장탱크 및 여과필터장치를 연계시킬 수 있도록 양방향 중 택일적으로 펌핑되는 한편 상기 정화조와 역세수 저장탱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중공사막 필터장치를 경유한 처리수를 상기 여과필터장치 측으로 이송시키거나 상기 역세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역세수를 상기 중공사막 필터장치 측으로 이송시키는 정역펌프; 및 상기 역세수 저장탱크의 수위를 감지하는 한편, 선택적으로 상기 정역펌프를 통한 처리수 및 상기 역세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역세수의 이송방향을 전환하여 오·폐수의 정화처리 및 중공사막 필터장치의 역세정 처리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mentioned objects is as follows. That is, in the purification and treatment system for phosphorus and nitrogen removal of waste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ide is separated and formed in the order of the inflow tank, the aeration tank, the anoxic tank, and the discharge tank, while the contaminated water introduced into the inflow tank is the inflow tank, the aeration tank, The inflow tank, aeration tank, anoxic tank, and the upper part of the discharge tank are each equipped with separate lids, while the inflow tank, aeration tank, anoxic tank, and discharge tank are configured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fter being purified through the anoxic tank and the discharge tank. In the purification treatment system for phosphorus and nitrogen removal of wastewater and wastewater, comprising a septic tank having a water flow passage formed therethrough in a partition between neighboring tanks so that fluid flows through the tank. The lengthwise path therein is used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treated water while passing through the treated water flowing into the discharge tank. A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hollow fiber membrane pipes fixed to the crab; A backwash water storage tank installed outside the septic tank and selectively storing the treated water filtered through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at a predetermined level for backwashing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A filtration filter devic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septic tank with the backwash water storage tank interposed therebetween to introduce the treated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and to filter and discharge the final treated water; In order to connect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the backwash water storage tank and the filtration filter device, the pump is alternatively pumped in both directions, and is disposed between the septic tank and the backwash water storage tank, and the treated water is passed through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A forward / reverse pump transferring the backwash water stored in the filtration filter device side or the backwash water storage tank to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And detecting the water level of the backwash water storage tank, and selectively changi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treated water and the backwash water stored in the backwash water storage tank to purify the wastewater and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The controller further includes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backwashing process.

여기서, 상기 폭기조는 상부에 상기 폭기조 내의 오염수에 내포된 질소 및 인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폭기조 내측으로 일정시간 간격을 두고 인, 질소의 제거용 정화약품을 분사시키는 정화제 투입장치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aeration tank is further provided with a purifier input device for injecting a purifying chemical for removal of phosphorus, nitrogen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nside the aeration tank to remove nitrogen and phosphorus contained in the contaminated water in the aeration tank at the top. This is preferred.

또한, 상기 중공사막 파이프는 'U'자 형상으로 일정길이 연장 형성되어 한 쌍의 개구부가 일측에 위치하는 한편, 상기 중공사막 필터장치는 상기 중공사막 파이프의 'U'자 형상 중 라운드부 측 단부가 고정되는 제1 파이프 고정판; 상기 제1 파이프 고정판과 대향되어 상기 중공사막 파이프의 상기 개구부 측 단부가 고정되는 제2 파이프 고정판; 양단이 개방된 원기둥 상으로 구비되는 한편, 상기 제1 파이프 고정판 및 제2 파이프 고정판에 양단이 고정된 상기 중공사막 파이프가 내설되어 상기 제1 파이프 고정판 및 제2 파이프 고정판에 의해 개방된 양단이 밀폐되는 본체하우징; 상기 본체하우징의 개방된 일단을 밀폐시키는 상기 제1 파이프 고정판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일정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본체하우징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1 뚜껑; 그리고 상기 본체하우징의 개방된 타단을 밀폐시키는 상기 제2 파이프 고정판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일정공간이 형성되는 한편, 일면에 상기 중공사막 파이프의 개구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처리수를 상기 정역펌프 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배출구를 가지는 제2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ollow fiber membrane pipe is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in a 'U' shape, a pair of openings are located on one side, while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is a round end side end of the 'U' shap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pipe The first pipe fixing plate is fixed; A second pipe fixing plate opposed to the first pipe fixing plate and fixed to the opening side end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pipe; While both ends are provided in an open cylindrical shape, the hollow fiber membrane pipes having both ends fixed to the first pipe fixing plate and the second pipe fixing plate are installed so that both ends opened by the first pipe fixing plate and the second pipe fixing plate are sealed. Main body housing; A first lid coupled to one end of the body housing such that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pipe fixing plate sealing the open end of the body housing; And a predetermined spac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pipe fixing plate which seals the other open end of the main body housing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and transfers the treat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opening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pipe to one of the forward and reverse pumps on one surface thereof.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lid having an outlet.

이때, 상기 제1 및 제2 파이프 고정판은 상기 중공사막 파이프의 양단이 각각 고정된 상태로 상기 본체하우징의 개방된 양단에 밀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 뚜껑을 통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하우징의 내경과 대응되어 원판 상으로 형성되는 한편,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기 본체하우징의 단부 두께만큼 밀착돌기가 각 한 쌍으로 외향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pipe fixing plate is in close contact with both open ends of the main body housing in a state in which both ends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pipe is fixed, the main body housing can be fix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lids It is preferably formed in the shape of a disc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while the contact protrusions are formed to protrude outward in pairs with the thickness of the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housing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또한, 상기 중공사막 필터장치는 상기 방류조 내에 저수된 처리수를 상기 중공사막 파이프 내측을 경유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하우징이 격자 망 또는 타공 망 타입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may be provided with any one of the grid housing or perforated network type so that the treated water stored in the discharge tank via the hollow fiber membrane pipe.

더욱이, 상기 중공사막 필터장치는 상기 방류조의 상단에 뚜껑이 결합되도록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결합부 상단에 외향 확장 형성되는 확장부의 상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대향되어 하향 함몰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되어 회전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홈과 대응되어 상기 제2 뚜껑의 원주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외향 돌출되어 고정돌기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downward reces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pposit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xpansion portion is formed to extend outwardly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portion formed to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tank when rotating In order to be fixed,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ing protrusion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lid so as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groove.

한편, 상기 중공사막 필터장치의 본체하우징 표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세척하는 세척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세척수단은 상기 중공사막 필터장치 외면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중공사막 필터장치를 감싸도록 고정되되, 상면 중앙에 상기 제2 뚜껑 외주 면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클램프를 가지는 세척망 본체; 상기 세척망 본체의 내측에 수납되어 상기 세척망 본체 내에서 유동하면서 상기 거름망 표면에 붙은 이물질을 분리시켜 세척하는 세척볼; 및 상기 세척볼이 상기 세척망 본체 내에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세척망 본체 내측 바닥부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연결된 블로워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세척망 본체 내측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nd further comprising a washing means for washing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body housing surfac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the washing means is fixed to surround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A washing network main body having a fixing clamp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li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A washing ball that is received inside the washing net body and separates and cleans the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screen of the strainer while flowing in the washing net body; And an air injection device disposed in the bottom of the inside of the washing net body to selectively flow the washing ball into the washing net body, and selectively injecting air into the washing net body by a blower connected from the outside. It is preferably made of.

여기서, 상기 공기주입장치는 상기 세척망 본체의 바닥부에 구비되는 한편, 상기 세척망 본체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직경이 점차 증가하도록 연장되는 원형 코일 형상의 공기주입관 및 상기 공기주입관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공기주입관 내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블로워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air injection device is provided on the bottom portion of the main body of the cleaning network, while connected to the air coiled pipe and one end of the air injection tube of a circular coil shape extending so that the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center of the washing network body to the outside And it may be composed of a blower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air injection pipe.

또한, 상기 공기주입장치의 공기주입관은 원형 코일 형상 부분이 상기 세척망 본체의 내측 바닥부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ir injection pipe of the air injection device is preferably a circular coil-shaped portion is disposed on the inner bottom portion of the main body of the cleaning network.

더욱이, 상기 공기주입관은 상기 세척망 본체 내측으로 공기가 주입되도록 외면 사방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 이상에 대하여 공기주입공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공기주입공은 상기 공기주입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air injection pipe is formed with an air injection hole in at least one direction of at least one of the four sides of the outer surface so that the air is injected into the main body of the cleaning network, the air injection hole is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ir injection pipe It is preferably formed spaced apart.

한편, 상기 여과필터장치는 양측이 개구되어 일정길이로 형성된 중공의 필터케이스; 상기 필터케이스 선단 내측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처리수로부터 이물질을 여과하는 제1여과매트; 상기 필터케이스 내측의 제1여과매트 후단에 설치되어지되 경유하는 처리수와의 접촉을 통해 정수처리하는 바이오볼이 충진된 바이오필터; 상기 필터케이스 내측의 제1여과매트 후단에 설치되어지되 코코넛 차콜이 충진되어 경유하는 처리수에 각종 미네랄이 공급되도록 하는 한편 이물질을 여과하는 차콜필터; 상기 필터케이스 내측의 상기 차콜필터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차콜필터를 경유한 처리수로부터 이물질을 여과하는 제2여과매트; 및 상기 필터케이스의 선단과 후단에 나사결합을 통해 결합되어지되 각각에는 노즐공이 형성된 캡의 구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filtration filter device is a hollow filter case formed in a predetermined length on both sides opening; A first filtration mat installed inside the front end of the filter case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from the treated water; A biofilter which is installed at a rear end of the first filtration mat inside the filter case and is filled with a bioball for purifying water through contact with treated water; A charcoal filter installed at a rear end of the first filtration mat inside the filter case to supply various minerals to the treated water which is filled with coconut charcoal while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A second filtration mat installed at a rear end of the char filter inside the filter case and filtering foreign matter from the treated water passing through the char filter; And it is preferred th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filter case is coupled through a screw coupling, each of which consists of a cap formed with a nozzle hole.

여기서, 상기 제1여과매트는 전후로 구성되어 유입되는 처리수로부터 이물질을 여과하는 스펀지 매트; 및 상기 스펀지 매트 사이에 설치되어 이물질의 여과와 미네랄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코코넛 매트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first filtration mat is composed of a sponge mat for filtering the foreign matter from the treated water is formed before and after; And it is installed between the sponge mat may be made of a configuration of the coconut mat to filter the foreign matter and supply of minerals.

이때, 상기 여과필터장치는 내부공간을 통하여 여과되어 상기 필터케이스의 후단에 결합된 캡의 노즐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최종처리수가 동계에 얼지 않고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필터케이스의 외면을 감싸는 한편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필터케이스의 표면 온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일정시간 주기적으로 발열되는 제1 발열 코일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filtration filter device is wrapped through the outer space of the filter case so as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nozzle hole of the cap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filter case is filtered through the inner space without freezing in the winter season, The first heating coil may be further controlled by a controller to selectively generate heat periodically for a predetermined time depending on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filter case.

또한, 상기 역세수 저장탱크는 내부공간에 저수되는 역세수가 동계에 얼지 않도록 상기 역세수 저장탱크 외면을 감싸는 한편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역세수 저장탱크의 표면 온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일정시간 주기적으로 발열되는 제2 발열 코일이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ckwash storage tank wraps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wash water storage tank so that the backwash water stored in the inner space does not freeze in the winter, and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to selectively periodically periodically maintain the backwash 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backwash water storage tank. A second heating coil for generating heat may be further provided.

그리고, 상기 폭기조의 내부에는 상하의 간격이 유지되는 크로스 바가 가로질러 설치되되, 상기 크로스 바에는 스크린 타입 미생물 접촉여재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폭기조의 내부 하측에는 상기 폭기조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산기관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And, inside the aeration tank is provided with a cross bar across the top and bottom intervals, the screen type microorganism contact medium is installed on the cross bar, while the inside of the aeration tank is provided with an diffuser for supplying air into the aeration tank It is preferred to be installed.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의 인·질소 제거용 정화처리 시스템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 of the purification treatment system for phosphorus and nitrogen removal of waste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첫째, 유입수조로 유입되는 오·폐수를 반응 및 침전시켜 정화하는 정화조 중 최 후단에 구비되는 방류조 내측에 구비되어 방류조 측으로 유입된 처리수를 경유시키면서 필터링하는 중공사막 필터장치, 역세수 저장탱크 및 컨트롤러가 구비되는 한편, 중공사막 필터장치 외면에 흡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장치가 구비됨으로써 처리수의 수질을 보다 양호하게 함은 물론, 세척장치를 통하여 중공사막 필터장치의 표면 세척이 이루어짐에 따라 정화처리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First,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for filtering while passing through the treated water introduced into the discharge tank, which is provided inside the discharge tank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septic tank for reacting and sedimenting the sewage and waste water flowing into the inflow tank, and backwash water storage While the tank and the controller are provided, the cleaning device for removing foreign matter adsorb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is provided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the treated water, as well as to wash the surfac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through the washing device. This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purification treatment efficiency.

둘째, 폭기조 내측으로 인, 질소의 제거를 위한 정화약품을 분사시키는 정화제 투입장치가 구비됨으로써 오·폐수에 내포된 질소 및 인의 제거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Second, by providing a purifier injection device for injecting a purifying chemical for the removal of phosphorus, nitrogen into the aeration tank,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removal of nitrogen and phosphorus contained in the waste water.

셋째, 컨트롤러, 정역펌프 및 역세수 저장탱크가 구비됨으로써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어 시스템의 구동이 정화처리 및 역세정 처리가 교번되어 구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중공사막 필터장치의 역세정을 통하여 필터장치의 내구성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중공사막 필터장치에 의한 정화처리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Third, the controller, the forward pump and the backwash storage tank is provided by the controller to control the drive of the system can be driven by alternately purifying and backwash treatment, according to the filter device through the backwash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In addition to increasing durability, the efficiency of purification treatment by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의 인·질소 제거용 정화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의 인·질소 제거용 정화처리 시스템의 요부인 중공사막 필터장치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의 인·질소 제거용 정화처리 시스템의 요부인 중공사막 필터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의 인·질소 제거용 정화처리 시스템의 요부인 여과필터장치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의 인·질소 제거용 정화처리 시스템의 정화처리 및 역세처리 상태를 나타낸 작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의 인·질소 제거용 정화처리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의 인·질소 제거용 정화처리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의 인·질소 제거용 정화처리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요부인 중공사막 필터장치의 본체하우징 표면을 세척하는 세척수단을 나타낸 분리 구성도.
도 10은 도 9의 세척수단에 대한 세척작용을 나타낸 작용상태 단면도.
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purification treatment system for phosphorus and nitrogen removal of waste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which is a main part of a purification system for removing phosphorus and nitrogen of waste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isolat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which is a main part of a purification and treatment system for phosphorus and nitrogen removal of waste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filtration filter device which is a main part of a purification system for removing phosphorus and nitrogen of waste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the purification and backwashing state of the purification system for phosphorus and nitrogen removal of waste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urification treatment system for phosphorus and nitrogen removal of waste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urification treatment system for phosphorus and nitrogen removal of waste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separate configuration showing the cleaning means for cleaning the main body housing surfac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which is the main part in the phosphorus-nitrogen removal purification system of waste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washing unit of FIG. 9.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의 인·질소 제거용 정화처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urifying treatment system for phosphorus and nitrogen removal of waste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의 인·질소 제거용 정화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의 인·질소 제거용 정화처리 시스템의 요부인 중공사막 필터장치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의 인·질소 제거용 정화처리 시스템의 요부인 중공사막 필터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의 인·질소 제거용 정화처리 시스템의 요부인 여과필터장치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의 인·질소 제거용 정화처리 시스템의 정화처리 및 역세처리 상태를 나타낸 작용상태도이다.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phosphorus-nitrogen removal purification system for waste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hollow fiber membrane which is a main part of the phosphorus-nitrogen removal purification system for waste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filter device, Figure 3 is a separate perspective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which is a main part of the purification system for removing phosphorus and nitrogen of waste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filtration filter device which is a main part of a phosphorus / nitrogen removal purification system of wastewater and wastewater, and FIGS. 5 and 6 are purification treatments of a purification system for phosphorus / nitrogen removal of waste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working state diagram showing the backwashing state.

도 1 내지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의 인·질소 제거용 정화처리 시스템은 정화조(100), 중공사막 필터장치(200), 역세수 저장탱크(300), 여과필터장치(400), 정역펌프(500) 그리고 컨트롤러(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ures 1 to 6, the purifying treatment system for phosphorus and nitrogen removal of the waste wa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rification tank 100,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200, backwash water storage tank 300 , Filtration filter device 400, the stationary pump 500 and the controller 600 is made.

여기서, 상기 정화조(100)는 내부가 일측으로부터 유입수조(110), 폭기조(120), 무산소조(130) 및 방류조(140)의 순서로 분리 형성되며, 상기 유입수조(110)로 유입된 오염수가 유입수조(110), 폭기조(120), 무산소조(130) 및 방류조(140)를 통과하며 정화된 후 외부로 방류될 수 있게 구성된다.Here, the septic tank 100 is formed inside of the inflow water tank 110, the aeration tank 120, the anaerobic tank 130 and the discharge tank 140 in order from one side, the contamination introduced into the inflow water tank 110 The water passes through the inflow tank 110, the aeration tank 120, the anaerobic tank 130 and the discharge tank 140, and is configured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fter being purified.

이때, 상기 유입수조(110), 폭기조(120), 무산소조(130) 및 방류조(140)의 상부에는 각각 별도의 뚜껑이 갖춰지는 한편, 상기 유입수조(110), 폭기조(120), 무산소조(130) 및 방류조(140)의 순으로 유체가 흐르도록 이웃하는 조와 조 사이의 격벽에는 물 이동통로가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inlet water tank 110, the aeration tank 120, the oxygen-free tank 130 and the discharge tank 140, each of which is equipped with a separate lid, the inflow water tank 110, aeration tank 120, anoxic tank ( 130 and the partition wall between the neighboring tank and the tank so that the fluid flows in the order of the discharge tank 140 is preferably formed through the water movement passage.

더욱이, 상기 폭기조(120)는 상부에 상기 폭기조(120) 내의 오염수에 내포된 질소 및 인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폭기조(120) 내측으로 일정시간 간격을 두고 인, 질소의 제거용 정화약품을 분사시키는 정화제 투입장치(121)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정화제 투입장치(121)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유입수조(110)를 거쳐 유입된 오염수에 내포되는 인 및 질소를 효율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aeration tank 120 has a purification agent for removing phosphorus and nitrogen at regular intervals to the inside of the aeration tank 120 to remove nitrogen and phosphorus contained in the contaminated water in the aeration tank 120 at the top. It is preferable that the purifier input device 121 for injection is further provided. As such, since the purifier input device 121 is provided, phosphorus and nitrogen contained in the contaminated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flow water tank 110 may be efficiently removed.

또한, 상기 폭기조(120)의 내부에는 상하의 간격이 유지되는 크로스 바(122)가 가로질러 설치되되, 상기 크로스 바(122)에는 스크린 타입 미생물 접촉여재(123)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폭기조(120)의 내부 하측에는 상기 폭기조(120)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산기관(124)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aeration tank 120 is provided with a cross bar 122 is maintained across the top and bottom, the cross bar 122 is provided with a screen type microbial contact medium 123, the aeration tank 120 In the lower side of the inside is preferably an diffuser 124 for supplying air into the aeration tank 120 is installed.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정화조(100) 내측에는 상기 중공사막 필터장치(200)가 그의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이러한 중공사막 필터장치(200)는 상기 방류조(140)로 유입되는 처리수를 경유시키는 가운데 처리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도록 그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열고정되는 복수 개의 중공사막 파이프(210)를 가진다.On the other hand,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200 is installed inside the septic tank 100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upper surface thereof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200 is a process flowing into the discharge tank 140. It has a plurality of hollow fiber membrane pipe 210 is arrang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inside so as to filter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treated water while passing through the water.

다시 말하면, 상기 중공사막 필터장치(200)는 상기 방류조(140)로 유입된 처리수를 상기 중공사막 파이프(210)를 통하여 경유시켜 상기 역세수 저장탱크(300) 또는 여과필터장치(400) 측으로 선태적으로 이송킨다.In other words,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200 passes the treated water introduced into the discharge tank 140 through the hollow fiber membrane pipe 210 to the backwash water storage tank 300 or the filtration filter device 400. It is transferred to the side selectively.

여기서, 상기 중공사막 필터장치(200)의 중공사막 파이프(210)는 'U'자 형상으로 일정길이 연장 형성되어 한 쌍의 개구부(211)가 상측에 위치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방류조(140)로 유입된 처리수가 상기 중공사막 파이프(210) 외면을 통하여 내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개구부(211)를 통하여 배출되는 가운데 처리수의 필터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hollow fiber membrane pipe 210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200 is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U' shape so that the pair of openings 211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according to the discharge tank 140 The filtered water may be filtered in the middle of the treated water introduced into the through-hole and discharged through the opening 211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pipe 210.

상세히, 상기 중공사막 필터장치(200)는 'U'자 형상으로 일정길이 연장 형성되어 한 쌍의 개구부(211)가 상측에 위치하는 중공사막 파이프(210)를 포함하는 한편, 제1 파이프 고정판(220), 제2 파이프 고정판(230), 본체하우징(240), 제1 뚜껑(250) 및 제2 뚜껑(2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In detail,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200 includes a hollow fiber membrane pipe 21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extending in a 'U' shape and having a pair of openings 211 located thereon, and including a first pipe fixing plate ( 220, the second pipe fixing plate 230, the main body housing 240, the first lid 250 and the second lid 260 is further configured.

이때, 상기 제1 파이프 고정판(220)은 상기 중공사막 파이프(210)의 'U'자 형상 중 라운드부 측 단부가 고정된다.At this time, the first pipe fixing plate 220 of the 'U' shap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pipe 210 is fixed to the round end side end.

그리고, 상기 제2 파이프 고정판(230)은 상기 제1 파이프 고정판(220)과 대향되어 구비되는 한편, 상기 중공사막 파이프(210)의 개구부(211) 측 단부가 관통되어 상기 개구부(211)가 일면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고정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cond pipe fixing plate 230 is provided to face the first pipe fixing plate 220, and an opening 211 side end portion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pipe 210 penetrates so that the opening 211 is one surface. It is preferable to be fixed to open outward.

또한, 상기 본체하우징(240)은 양단이 개방된 원기둥 상으로 구비되는 한편, 상기 제1 파이프 고정판(220) 및 제2 파이프 고정판(230)에 하단 및 상단, 즉 양단이 고정된 상기 중공사막 파이프(210)가 내설되어 상기 제1 파이프 고정판(220) 및 제2 파이프 고정판(230)에 의해 개방된 양단이 밀폐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housing 240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both ends open, while the lower and the upper end, that is, both ends are fixed to the first pipe fixing plate 220 and the second pipe fixing plate 230, the hollow fiber membrane pipe 210 is internally sealed so that both ends opened by the first pipe fixing plate 220 and the second pipe fixing plate 230 are sealed.

그러므로, 상기 본체하우징(240)의 외면에 형성된 복수의 통공을 통하여 유입된 처리수가 상기 중공사막 파이프(210)를 내측으로 안내되어 필터링되어 상기 개구부(211)로 배출될 수 있다.Therefore, the treated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housing 240 may be guided to the hollow fiber membrane pipe 210 and filtered to be discharged to the opening 211.

즉, 상기 본체하우징(240)은 격자 망 또는 타공 망 타입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어 이러한 본체하우징(240)의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통공을 통하여 상기 방류조(140)로 유입되어 저수되는 처리수가 상기 중공사막 파이프(210) 내측으로 안내되며, 이와 같이 안내되는 처리수는 상기 중공사막 파이프(210) 내측으로 안내되는 가운데 필터링되어 상기 개구부(211)로 배출될 수 있다.That is, the main body housing 240 is provided with any one of a grid net or a perforated net type, and the treated water flowing into and stored in the discharge tank 140 throug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housing 240 is hollow. Guided to the inside of the desert pipe 210, the treated water guided in this way may be filtered in the middl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pipe 210 is discharged to the opening 211.

한편, 상기 제1 뚜껑(250) 및 제2 뚜껑(260)은 상기 본체하우징(24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되, 상기 제1 뚜껑(250)은 상기 본체하우징(240)의 개방된 하단을 밀폐시키는 상기 제1 파이프 고정판(220)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본체하우징(240)의 하단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first lid 250 and the second lid 260 ar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main body housing 240, respectively, and the first lid 250 seals the open lower end of the main body housing 240. Preferably, the first pipe fixing plate 220 is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main body housing 240 so that an inner space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또한, 상기 제2 뚜껑(260)은 상기 본체하우징(240)의 개방된 상단을 밀폐시기는 상기 제2 파이프 고정판(230)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일정공간이 형성되는 한편, 일면에 상기 중공사막 파이프(210)의 개구부(211)를 통하여 배출되는 처리수를 상기 정역펌프(500) 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배출구(261)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econd lid 260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pipe fixing plate 23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seal the open upper end of the main body 240,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the hollow fiber membrane pipe on one surface A feed discharge port 261 is formed to transfer the treat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opening 211 of the 210 to the forward and reverse pump 500.

더욱이, 상술한 제1 파이프 고정판(220) 및 제2 파이프 고정판(230)은 각각 상기 본체하우징(240)의 내경과 대응되어 원판 상으로 형성되는 한편,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기 본체하우징(240)의 단부 두께만큼 외향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밀착돌기(221, 231)가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pipe fixing plate 220 and the second pipe fixing plate 230 described above are formed in a disc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main body housing 240, respectively, and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housing. Preferably, a pair of contact protrusions 221 and 231 are formed to protrude outward as much as the end thickness of 240.

즉, 상기 각각 한 쌍의 밀착돌기(221, 231)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중공사막 파이프(210)의 양단이 상기 제1 파이프 고정판(220) 및 제2 파이프 고정판(230)에 각각 고정된 상태로 상기 본체하우징(240)의 개방부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하우징(240)의 양단에 밀착되어 상기 제1 뚜껑(250) 및 제2 뚜껑(260)을 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That is, the pair of adhesion protrusions 221 and 231 are formed so that both ends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pipe 210 are fixed to the first pipe fixing plate 220 and the second pipe fixing plate 230, respectively. Penetrating through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housing 24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both ends of the main housing 240 may be fixed through the first lid 250 and the second lid 260.

또한, 상기 중공사막 필터장치(200)는 상기 방류조(140)의 상단에 뚜껑이 결합되도록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결합부(145) 상단으로부터 외향 확장 형성되는 확장부(146)의 상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대향되어 하향 함몰 형성된 결합홈(146a)에 삽입되어 회전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홈(146a)과 대응되어 상기 제2 뚜껑(260)의 원주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외향 돌출되어 고정돌기(263)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200 has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xpansion portion 146 extending outwardly formed from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portion 145 extending upwardly so that the lid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tank 140. Accordingly, the fixing protrusion is projected outwardly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lid 260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groove 146a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46a recessed downwardly so as to face each other. 263 is preferably formed.

즉, 상기 방류조(140)의 결합부(145)에는 상기 중공사막 필터장치(200)가 삽입된 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중공사막 필터장치(200)의 결합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방류조(140)의 결합부(145)에는 뚜껑이 없이 상기 중공사막 필터장치(200)가 삽입되어 결합 고정되는 것이다.That is, after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20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portion 145 of the discharge tank 140,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200 is fixedly coupled as it rotates. The coupling portion 145 of the 140 is a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200 is inserted and fixed without a lid.

상술한 바와 같은 중공사막 필터장치(200)는 상기 정역펌프(500)와 이송관(150)을 통하여 연결되며, 즉 상기 이송관(150)의 일단이 상기 중공사막 필터장치(200)의 제2 뚜껑(260) 상면에 돌출 형성된 상기 이송배출구(261)과 연결되는 한편, 상기 이송관(150)의 타단은 상기 정역펌프(500)와 연결된다.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200 as described above is connected through the forward and reverse pump 500 and the transfer pipe 150, that is, one end of the transfer pipe 150 is the second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200 The other end of the transfer pipe 150 is connected to the forward / reverse pump 500 while the transfer outlet 261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id 260.

한편, 상기 정화조(100) 외측에는 상기 역세수 저장탱크(300)가 설치되며, 상기 역세수 저장탱크(300)는 상기 중공사막 필터장치(200)를 통하여 필터링된 처리수가 상기 중공사막 필터장치(200)의 역세정을 위하여 사용되도록 선택적으로 일정수위로 저장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backwash water storage tank 300 is installed outside the septic tank 100, the backwash water storage tank 300 is treated water filtered through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200 is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 It is preferably stored at a certain level to be used for back washing of 200).

이러한 상기 역세수 저장탱크(300)는 내측에 역세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310)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정역펌프(500) 측으로 연결되는 역세정 배관(320) 상에 역세정 밸브(321)가 구비되며, 상기 역세정 밸브(321)는 상기 수위센서(310)에 의한 감지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600)를 통하여 제어됨이 바람직하다.The backwash water storage tank 300 is provided with a water level sensor 310 for detecting the level of the backwash water inside, while the backwash valve (320) on the backwash pipe 320 connected to the forward and reverse pump 500 side ( 321 is provided, the backwash valve 321 is preferably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ler 600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by the water level sensor (310).

이때, 상기 수위센서(310)는 역세수의 수위를 만수위인지 저수위인지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역세수 저장탱크(300)의 내측 상부 및 하부에 역세수 만수위감지센서(311) 및 역세수 저수위감지센서(312)로 각각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역세수 만수위감지센서(311) 및 역세수 저수위감지센서(312)는 상기 컨트롤러(600)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water level sensor 310 is a reverse water wash water level detection sensor 311 and a reverse water wash water level detection sensor on the inner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ackwash water storage tank 300 to detect whether the water level of the backwash water is full water level or low water level. It is preferable that each of the 312 is provided, and such a backwash water level sensor 311 and a backwash water level sensor 312 are preferab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600.

또한, 상기 여과필터장치(400)는 상기 역세수 저장탱크(30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중공사막 필터장치(200)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중공사막 필터장치(200)를 거친 처리수를 상기 정역펌프(500)의 정방향 구동에 따라 유입시켜 여과한 후 최종처리수를 외부로 방류시킨다.In addition, the filtration filter device 40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200 with the backwash water storage tank 300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treated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200 is forward and reversed. After the inlet is filtered by forward driving of the pump 500, the final treated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한편, 상기 정역펌프(500)는 상기 중공사막 필터장치, 역세수 저장탱크 및 여과필터장치를 연계시킬 수 있도록 양방향 중 택일적으로 펌핑되며, 즉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펌핑 구동된다.Meanwhile, the forward and reverse pump 500 may be alternatively pumped in both directions so as to connect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the backwash water storage tank, and the filtration filter device, that is, the pump is driven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이러한 상기 정역펌프(500)는 일측이 펌핑 배관(520)으로 상기 중공사막 필터장치(200)와 연결되는 한편 타측이 상기 여과필터장치(400)와 정화처리 배관(420)으로 연결된다.The stationary pump 500 is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200 by the pumping pipe 520, while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filtration filter device 400 and the purification treatment pipe 420.

이때, 상기 정화처리 배관(420)의 중앙에는 상기 정역펌프(500)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구동에 따라 상기 여과필터장치(400) 및 역세수 저장조(300) 측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처리수의 이송경로를 선택적으로 전환시키는 전환밸브(510)가 구비된다.At this time, in the center of the purification pipe 420, according to the forward or reverse driving of the forward and reverse pump 500, the transfer of the treated water in any one direction of the filtration filter device 400 and the backwash water storage tank 300 side A switching valve 510 for selectively switching the path is provided.

여기서, 상기 정화처리 배관(420)의 중앙에 구비된 상기 전환밸브(510)는 상기 역세수 저장조(300)의 역세정 배관(320)과 연결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switching valve 510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purification pipe 420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back washing pipe 320 of the backwash water storage tank 300.

더욱이, 상기 정화처리 배관(420)의 중앙에 구비된 상기 전환밸브(510) 일측, 즉 상기 여과필터장치(400) 측에는 상기 여과필터장치(400)로의 처리수의 유입 및 차단을 시킬 수 있는 정화처리 밸브(421)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one side of the switching valve 510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purification pipe 420, that is, the filtration filter device 400, may purify the inflow and blocking of the treated water to the filtration filter device 400. Preferably, a treatment valve 421 is provided.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정역펌프(500)는 상기 전환밸브(510), 정화처리 밸브(421) 및 역세정 밸브(321)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중공사막 필터장치(200)를 경유한 처리수를 상기 여과필터장치(400) 측으로 이송시키거나, 상기 역세수 저장탱크(300)에 저장된 역세수를 상기 중공사막 필터장치(200) 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orward and reverse pump 500 is selectively treated through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200 through the switching valve 510, the purification valve 421, and the backwash valve 321. It may be transferred to the filtration filter device 400 side, or the backwash water stored in the backwash water storage tank 300 to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200 side.

여기서, 상기 전환밸브(510), 정화처리 밸브(421) 및 역세정 밸브(321)는 각각 상기 컨트롤러(600)와 연결되어 제어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switching valve 510, the purification treatment valve 421 and the backwash valve 321 is preferably controlled in connection with the controller 600, respectively.

즉, 상기 컨트롤러(600)는 상기 역세수 저장탱크(300)의 수위를 감지함과 동시에, 상기 정역펌프(500)를 경유하는 처리수 및 상기 역세수 저장탱크(300)에 저장된 역세수의 이송방향을 선택적으로 전환 및 차단하여 오·폐수의 정화처리 및 중공사막 필터장치의 역세정 처리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진다.That is, the controller 600 detects the water level of the backwash water storage tank 300 and simultaneously transfers the treated water passing through the forward / reverse pump 500 and the backwash water stored in the backwash water storage tank 300. By selectively switching and blocking the direction, control is performed for the purification of the waste water and the backwashing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또한, 상기 컨트롤러(600)는 상기 방류조(140) 내측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방류조(140) 내의 처리수 수위를 감지하는 만수위감지센서(149a) 및 저수위감지센서(149b)가 연결되어 감지되는 수위에 따라 상기 정역펌프(500)의 구동을 제어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600 is provid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discharge tank 140, respectively, is connected to the low water level sensor 149a and the low water level sensor 149b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of the treated water in the discharge tank 140.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forward and reverse pump 500 according to the detected water level.

이때, 상기 만수위감지센서(149a) 및 저수위감지센서(149b)는 상기 무산소조(130)로부터 유입되어 상기 방류조(140) 내에 저수되는 처리수의 수위를 감지하게 되며, 이러한 감지가 상기 컨트롤러(600)에 전달되어 상기 컨트롤러(600)를 통하여, 상기 방류조(140) 내의 상기 만수위감지센서(149a) 및 저수위감지센서(149b)로부터 감지되는 수위에 따라 상기 정역펌프(500)의 정방향 구동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high water level sensor 149a and the low water level sensor 149b detect the level of the treated water flowing from the oxygen-free tank 130 and stored in the discharge tank 140, and the detection is performed by the controller 600. And forwarded to the forward / reverse pump 500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detected by the high water level sensor 149a and the low water level sensor 149b in the discharge tank 140 through the controller 600. Control can be made.

다시 말하면, 상기 만수위감지센서(149a)를 통하여 상기 방류조(140)의 만수위가 감지되면 상기 컨트롤러(600)를 통하여 상기 정역펌프(500)가 구동되며, 상기 저수위감지센서(149B)를 통하여 상기 방류조(140)의 저수위가 감지되면 상기 컨트롤러(600)를 통하여 상기 정역펌프(500)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된다.In other words, when the high water level of the discharge tank 140 is detected through the high water level sensor 149a, the forward and reverse pump 500 is driven through the controller 600, and the low water level sensor 149B is used. When the low water level of the discharge tank 140 is detected, the driving of the forward and reverse pump 500 is stopped through the controller 600.

한편, 상기 여과필터장치(400)는 양측이 개구되어 일정길이로 형성된 중공의 필터케이스(451), 상기 필터케이스(451) 선단 내측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처리수로부터 이물질을 여과하는 제1여과매트(452), 상기 필터케이스(451) 내측의 제1여과매트(452) 후단에 설치되어지되 경유하는 처리수와의 접촉을 통해 정수처리하는 바이오볼이 충진된 바이오필터(453), 상기 필터케이스(451) 내측의 제1여과매트(452) 후단에 설치되어지되 코코넛 차콜이 충진되어 경유하는 처리수에 각종 미네랄이 공급되도록 하는 한편 이물질을 여과하는 차콜필터(454), 상기 필터케이스(451) 내측의 상기 차콜필터(454)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차콜필터(454)를 경유한 처리수로부터 이물질을 여과하는 제2여과매트(455) 및 상기 필터케이스(451)의 선단과 후단에 나사결합을 통해 결합되어지되 각각에는 노즐공(456a)이 형성된 캡(456)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filtration filter device 400 is the first filter mat for filtering the foreign matter from the treated water is installed inside the filter case 451, the front end of the filter case 451, the filter case 451 formed in a predetermined length both sides are opened 452, a biofilter 453 filled with a bioball, which is installed at a rear end of the first filtration mat 452 inside the filter case 451, and which is purified through contact with treated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case 451, the filter case A char filter 454 which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filtration mat 452 in the inner side, and supplies various minerals to the treated water through which coconut charcoal is filled, and filters foreign substances, and the filter case 451. The second filter mat 455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char filter 454 and filters the foreign matter from the treated water passing through the char filter 454 and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filter case 451. Combined through each Is mad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ap 456 is formed with a nozzle hole (456a).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여과필터장치(400)를 통한 처리수의 필터링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정화처리배관(420)의 끝단이 필터케이스(451) 선단에 결합된 캡(456)의 노즐공(456a)에 연결되어 처리수의 유입이 이루어지면 유입된 처리수는 제1여과매트(452)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처리수에 포함된 이물질의 여과가 이루어진다.Looking at the filtering process of the treated water through the filtration filter device 4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irst, the nozzle hole 456a of the cap 456, the end of the purification treatment pipe 420 is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filter case 451. When the inflow of the treated water is connected to the inflow, the introduced treated water is filtered through the first filtration mat 452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treated water.

다음으로, 제1여과매트(452)를 경유한 처리수는 바이오필터(453)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바이오필터(453)에 충진된 바이오볼로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이나 바이오볼과의 접촉을 통해 처리수의 정화가 이루어진다.Next, the treated wa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filtration mat 452 is treated water through contact with far infrared rays or bioballs emitted from the bioball filled in the biofilter 453 in the course of passing through the biofilter 453. Purification takes place.

이처럼 바이오필터(453)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정화된 처리수는 연이어 설치된 차콜필터(454)를 경유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처리수에는 차콜필터(454) 내부의 차콜에 함유된 각종 미네랄이 공급되어진다.As such, the treated water purified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biofilter 453 is subsequently passed through the char filter 454 installed. In this process, the treated water is supplied with various minerals contained in the char inside the char filter 454.

전술한 바와 같이 차콜필터(454)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각종 미네랄이 공급된 상태의 처리수는 차콜필터(454)의 후단에 설치된 제2여과매트(455)를 경유하여 최종처리되어 최종처리수가 필터케이스(451) 후단에 결합된 캡(456)의 노즐공(456a)을 통해 외부로 방류된다.As described above, the treated water in which various minerals are supplied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charcoal filter 454 is finally processed through the second filtration mat 455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charcoal filter 454 so that the final treated water is filtered.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nozzle hole 456a of the cap 456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case 451.

전술한 바와 같은 여과필터링장치(400)을 구성하는 제1여과매트(452)는 전후로 구성되어 상기 중공사막 필터장치(200)를 경유하여 유입되는 처리수로부터 이물질을 여과하는 스펀지 매트(452a) 및 스펀지 매트(452a) 사이에 설치되어 이물질의 여과와 미네랄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코코넛 매트(452b)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구성된 제1여과매트(452)는 스펀지 매트(452a)와 코코넛 매트(452b)의 구성을 통해 경유하는 처리수로부터 이물질의 여과를 효과적으로 할 수가 있으며, 이와 같이 처리된 최종처리수는 필터케이스(451) 후단에 결합된 캡(456)의 노즐공(456a)을 통해 외부로 방류된다.The first filtration mat 452 constituting the filtration filtering device 400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by the front and rear sponge sponge 452a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from the treated water flowing through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200 and It is provided between the sponge mat 452a is composed of a coconut mat (452b) to allow the filtration of foreign matters and the supply of minerals. The first filtration mat 452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effectively filter foreign matters from the treated water passing through the sponge mat 452a and the coconut mat 452b. The final treated water may be a filter case ( 451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nozzle hole 456a of the cap 456 coupled to the rear end.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의 인·질소 제거용 정화처리 시스템에서 요부인 중공사막 필터장치(200) 부분을 중점적으로 정화처리 및 역세정 처리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in the purifying system for removing phosphorus and nitrogen of waste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tate of the purifying and back-cleaning treatment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200, which is the main part,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

먼저, 오·폐수의 인·질소 제거용 정화처리 시스템은 정화처리 및 역세정 처리가 컨트롤러(600)을 통하여 일정시간, 예컨대 50분 정화처리 및 10분 역세정 처리 등으로 정화 및 역세정 처리가 일정시간마다 교번되어 구동된다.First, the purification and backwashing treatment system for phosphorus and nitrogen removal of wastewater and wastewater is purged and backwashed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50 minutes purification and 10 minutes backwashing, etc. through the controller 600. It is driven alternately every certain time.

이때, 정화처리는 정화조(100) 중, 유입수조(110) 측으로 유입 저장된 오염수가 폭기조(120)를 거쳐 인, 질소가 제거되는 동시에 미생물에 의해 정화처리되어 무산소조(130)로 처리수가 이송된다.At this time, the purification process, the contaminated water stored in the inflow water tank 110 side of the septic tank 100, phosphorus, nitrogen is removed through the aeration tank 120, and is purified by microorganisms and the treated water is transferred to the anaerobic tank 130.

이후, 상기 무산소조(130)를 통하여 처리수로부터 침전이 이루어진 후에 방류조(140)로 이송되며, 이와 같이 방류조(140)로 이송되어 저수되는 처리수는 정역펌프(500)의 정방향 작동에 따라 중공사막 필터장치(200)로 유입되어 중공사막 파이프(210) 내측으로 안내되어 추가적으로 필터링된다.Thereafter, after the precipitation is made from the treated water through the anoxic tank 130, it is transferred to the discharge tank 140, and thus the treated water transferred to the discharge tank 140 and stored according to the forward operation of the forward and reverse pump 500.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200 is introduced into the hollow fiber membrane pipe 210 and further filtered.

그리고, 상기 중공사막 필터장치(200)를 통하여 추가적으로 필터링된 처리수는 상기 정역펌프(500)를 거쳐 역세수 저장탱크(300)로 안내되되, 상기 역세수 저장탱크(300) 내측에 구비된 역세수 만수위감지센서(311)에 의해 역세수의 저장수위가 만수위가 되면, 역세정 밸브(321)가 차단된다.Further, the filtered water additionally filtered through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200 is guided to the backwash water storage tank 300 via the forward / reverse pump 500 and is provided inside the backwash water storage tank 300. The backwash valve 321 is shut off when the stored water level of the backwash water reaches the full water level by the washing water full water level sensor 311.

이후, 상기 중공사막 필터장치(200)의 중공사막 파이프(210) 내측으로 안내되어 개구부(211)로 배출되면서 추가적으로 필터링된 처리수는 정화처리배관(420) 상의 정화처리 밸브(421)가 개방되어 상기 정역펌프(500)를 거쳐 여과필터장치(400)로 유입되며, 상기 여과필터장치(400)의 선단으로부터 후단으로 이송되면서 최종 필터링되며, 최종 필터링된 최종처리수가 상기 여과필터장치(400)의 후단에 구비된 캡(456)의 노즐공(456a)을 통하여 외부로 방류된다.Subsequently, the filtered water is guided into the hollow fiber membrane pipe 210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200 and discharged into the opening 211 to further filter the purified water treatment valve 421 on the purification pipe 420. The filter is introduced into the filtration filter device 400 through the forward / reverse pump 500, and finally filtered while being transferred from the front end of the filtration filter device 400 to the rear end, and the final filtered final treatment water of the filtration filter device 400.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nozzle hole 456a of the cap 456 provided at the rear end.

한편, 상기와 같은 정화처리과정이 일정시간 이루어진 후, 컨트롤러(600)에 의해 상기 중공사막 필터장치(200) 내에 구비된 중공사막 파이프(210)의 표면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세정 처리가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역세정 처리에 대한 구동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진다.Meanwhile, after the above purification process is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time, a backwashing process for removing foreign matter adsorbed on the surfac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pipe 210 provided in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200 by the controller 600 is performed. The driving of the backwashing process is performed as follows.

먼저, 상기 여과필터장치(400) 측의 정화처리배관(420) 상에 구비된 정화처리 밸브(421)가 상기 컨트롤러(600)에 의해 차단됨과 동시에, 전환밸브(510)가 역세정 배관(320) 측으로 변환되면서 역세정 밸브(321)가 개방된다.First, the purification valve 421 provided on the purification pipe 420 on the side of the filtration filter device 400 is blocked by the controller 600, and the switching valve 510 is backwashed. The reverse washing valve 321 is opened while being converted to the side.

이후, 상기 정역펌프(500)가 역방향 구동되어 상기 역세수 저장탱크(300)로부터 저장된 역세수가 상기 정역펌프(500)를 거쳐 중공사막 필터장치(200)의 이송배출구(261) 측으로 유입된다.Thereafter, the forward and reverse pump 500 is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the reverse wash water stored from the backwash water storage tank 300 flows into the feed outlet 261 sid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200 through the forward and reverse pump 500.

이와 같이 유입된 역세수는 상기 중공사막 필터장치(200) 내에 설치된 복수 개의 중공사막 파이프(210)의 개구부(211)로 안내되어 상기 중공사막 파이프(210) 내부공간을 거쳐 파이프 표면 측으로 배출되면서 표면에 흡착된 이물질이 분리 제거된다.The backwash water introduced in this way is guided to the openings 211 of the plurality of hollow fiber membrane pipes 210 installed in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200 and discharged to the pipe surface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pipe 210. Foreign matter adsorbed on is separated and removed.

상기와 같은 역세정 처리는 상기 역세수 저장탱크(300)의 수위가 저수위에 이르게 되면, 역세수 저수위감지센서(312)를 통하여 감지되어 상기 컨트롤러(600)에 의해 상기 역세정 밸브(321)가 폐쇄됨으로써 역세정 처리가 완료된다.The backwashing proces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water level of the backwash water storage tank 300 reaches a low water level, the backwash valve 321 is detected by the backwash water low water level sensor 312 by the controller 600. By closing, the backwashing process is completed.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정화처리 및 역세정 처리의 과정은 상기 컨트롤러(600)에 의해 주기적으로 각각 일정시간 교번되어 이루어지며, 이러한 정화처리 및 역세정 처리가 교번되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중공사막 필터장치(200)의 필터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process of the purification process and the backwashing process is performed by the controller 600 are periodically altern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purification process and the backwashing process are alternately made by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filtering efficiency of 200).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의 인·질소 제거용 정화처리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이다.7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urification treatment system for phosphorus and nitrogen removal of waste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의 실시예는 도 1 내지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제1 발열 코일(401) 및 제2 발열 코일(301)이 설치되어 컨트롤러(600')에 의해 제어된다는 점에서 차이를 가지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하여서만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서는 도 1 내지 6을 함께 참조하기로 한다.7 is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in that the first heating coil 401 and the second heating coil 301 are installed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600 ′. In the following, only the configuration having a difference will be described with emphasis, and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referred to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의 인·질소 제거용 정화처리 시스템에서 역세수 저장탱크(30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정역펌프(500) 일측에 설치되는 여과필터장치(400)는 내부공간을 경유하면서 여과되어 필터케이스(451)의 후단에 결합된 캡(456)의 노즐공(456a)을 통하여 배출되는 최종처리수가 동계에 얼지 않고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필터케이스(451)의 외면을 감싸는 한편 컨트롤러(600)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필터케이스(451)의 표면 온도에 따라 발열이 이루어지는 제1 발열 코일(401)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7, the filtration filter device 400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stationary pump 500 with a backwash water storage tank 300 interposed therebetween in a purification and treatment system for phosphorus and nitrogen removal of waste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Is filtered through the internal space so that the final treat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nozzle hole 456a of the cap 456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filter case 451 can be discharged without freezing in the winter seas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heating coil 401 is further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rol panel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600 to generate heat according to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filter case 451.

여기서, 상기 제1 발열 코일(401)은 상기 컨트롤러(600)에 의해 기준온도, 예컨대 ±5℃ 범위를 기준으로 하여 5℃ 이하가 되면 가열되어 발열이 이루어지는 한편, 5℃ 이상이 되면 가열을 해지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기준온도의 범위는 환경조건에 따라 사용자가 다양하게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Here, the first heating coil 401 is heated by the controller 600 when the temperature is 5 ° C or less based on a reference temperature, for example, ± 5 ° C, to generate heat, and when the temperature is 5 ° C or more, the heating is terminated. The reference temperature is preferably controlled. The range of the reference temperature may be set by the user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environmental conditions.

한편, 역세수 저장탱크(300)는 내부공간에 저수되는 역세수가 동계에 얼지 않도록 상기 역세수 저장탱크(300) 외면을 감싸는 한편, 컨트롤러(600)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역세수 저장탱크의 표면 온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일정시간 주기적으로 발열이 이루어지는 제2 발열코일(301)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backwash water storage tank 300 surrounds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wash water storage tank 300 so that the backwash water stored in the internal space does not freeze in winter, and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600 to control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backwash water storage tank. In accordance with the second heat generating coil 301, which selectively generates hea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t is preferable to be further provided.

이때, 상기 제2 발열 코일(301)은 상기 컨트롤러(600)에 의해 기준온도, 예컨대 ±5℃ 범위를 기준으로 하여 5℃ 이하가 되면 가열되어 발열이 이루어지는 한편, 5℃ 이상이 되면 가열을 해지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기준온도의 범위는 환경조건에 따라 사용자가 다양하게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heating coil 301 is heated by the controller 600 when the temperature is 5 ° C or less based on a reference temperature, for example, ± 5 ° C, and generates heat, and when the temperature is 5 ° C or more, the heating is terminated. The reference temperature is preferably controlled. The range of the reference temperature may be set by the user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environmental conditions.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의 인·질소 제거용 정화처리 시스템은 유입수조(110)로 유입되는 오·폐수를 반응 및 침전시켜 정화하는 정화조 (100)일측에 정화된 처리수를 강제로 이송시키면서 방류조(140)에 저수되는 처리수를 2차에 걸쳐 필터링하는 중공사막 필터장치(200) 및 여과필터장치(400)의 부가적인 필터링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처리수의 수질을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다.The purifying treatment system for phosphorus and nitrogen removal of wastewater and waste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purifies the treated water on one side of the septic tank 100 for purifying by reacting and sedimenting the wastewater flowing into the inflow water tank 110. The water quality of the treated water is better by providing an additional filtering devic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200 and the filtration filter device 400 for secondarily filtering the treated water stored in the discharge tank 140 while forcibly transferring it. It can be done.

또한, 상기 폭기조(120) 내측으로 인, 질소의 제거를 위한 정화약품을 분사시키는 정화제 투입장치(121)가 구비됨으로써 오·폐수에 내포된 질소 및 인의 제거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purifier injection device 121 for injecting a purifying chemical for removing phosphorus and nitrogen into the aeration tank 120,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removal of nitrogen and phosphorus contained in the waste water.

더욱이, 상기 컨트롤러(600) 및 역세수 저장탱크(300)가 구비됨으로써 컨트롤러(600)에 의해 제어되어 정화처리 시스템의 구동이 정화처리 및 역세정 처리가 교번되어 구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중공사막 필터장치(200)의 내구성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중공사막 필터장치(200)에 의한 정화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more, the controller 600 and the backwash water storage tank 300 are provided to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600 so that the driving of the purification treatment system is alternately driven by the purification treatment and the backwashing treatmen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filter device 200 and at the same time improve the purification treatment efficiency by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200.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의 인·질소 제거용 정화처리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의 인·질소 제거용 정화처리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요부인 중공사막 필터장치의 본체하우징 표면을 세척하는 세척수단을 나타낸 분리 구성도이며, 도 10은 도 9의 세척수단에 대한 세척작용을 나타낸 작용상태 단면도이다.8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hosphorus-nitrogen removal purification system for waste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phosphorus-nitrogen purification system for removing wastewater and waste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parate configuration showing the cleaning means for cleaning the main body housing surfac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that is the main part,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ction of the cleaning means for the cleaning means of FIG.

상기와 같은 도 8 내지 10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1 내지 6을 참조한 실시예와는 세척수단(160)이 더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를 가지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차이가 있는 세척수단(160)의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동일부호의 구성은 도 1 내지 6을 함께 참조하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8 to 10 as described above has a difference in that the washing means 160 is further provided from the embodiment referring to FIGS. 1 to 6. The configuration will be mainly describ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도 8 내지 10에서 보는 바와 같은 오·폐수의 인·질소 제거용 정화처리 시스템은 중공사막 필터장치(200)의 본체하우징(240) 표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세척하는 세척수단(16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S. 8 to 10, the purification and treatment system for removing phosphorus and nitrogen of wastewater further includes washing means 160 for washing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housing 240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200. It is preferable to make it.

여기서, 상기 세척수단(160)은 세척망 본체(161), 세척볼(165) 및 공기주입장치(166)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상기 세척망 본체(161)는 상기 중공사막 필터장치(200) 외면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중공사막 필터장치(200)를 감싸도록 고정되되, 상면 중앙에 제2 뚜껑 외주 면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클램프(164)를 가진다.Here, the washing means 160 is preferably made of a configuration including a washing net body 161, the washing ball 165 and the air injection device 166, the washing net body 161 is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200) It is fixed to surround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200 is spaced a certain distance from the outer surface, and has a fixed clamp 164 is fix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lid in close contact with the center.

또한, 상기 세척볼(165)은 상기 세척망 본체(161)의 내측에 수납되어 상기 세척망 본체(161) 내에서 유동하면서 상기 거름망(151) 표면에 붙은 이물질을 분리시켜 세척한다.In addition, the washing ball 165 is accommodated inside the washing net body 161 and flows within the washing net body 161 to separate and wash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sieve 151.

한편, 상기 공기주입장치(166)는 상기 세척볼(165)이 상기 세척망 본체(161) 내에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세척망 본체(161) 내측 바닥부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연결된 블로워(169)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세척망 본체(161) 내측으로 공기를 주입시킨다.On the other hand, the air injection device 166 is provided on the inner bottom portion of the washing net body 161 so that the washing ball 165 may flow in the washing net body 161 is connected to the blower (169) By selectively injecting air into the cleaning net body 161.

여기서, 상기 공기주입장치(166)는 상기 세척망 본체(161)의 바닥부에 구비되는 한편, 상기 세척망 본체(161)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직경이 점차 증가하도록 연장되는 원형 코일 형상의 공기주입관(167) 및 상기 공기주입관(167)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공기주입관(167) 내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블로워(169)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air injection device 166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cleaning net body 161, while the air injection of the circular coil shape extending so that the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center of the cleaning net body 161 to the outside The blower 169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ipe 167 and the air injection pipe 167 to introduce air into the air injection pipe 167.

이때, 상기 공기주입관(167)은 상기 세척망 본체(161) 내측으로 공기가 주입되도록 외면 사방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 이상에 대하여 공기주입공(167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공기주입공(167a)은 상기 공기주입관(167)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In this case, the air injection pipe 167 is preferably formed with an air injection hole 167a in at least one direction of the outer four sides so that air is injected into the washing net body 161, the air injection hole ( 167a is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ir injection pipe 167.

즉, 상기 블로워(169)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가 상기 공기주입관(167)의 공기주입공(167a)을 통하여 주입되어 상기 세척수단(160) 내에 위치하는 상기 중공사막 필터장치(200)의 본체하우징(240) 표면에 붙은 이물질이 떨어지게 된다.That is, the main body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200 in which the air generated by the blower 169 is injected through the air injection hole 167a of the air injection pipe 167 and positioned in the cleaning means 160. Foreign matter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housing 240 falls.

여기서, 상기 본체하우징(240) 표면으로부터 떨어진 이물질은 상기 세척망 본체(161) 내에 부유하게 되며, 이러한 이물질의 누적량에 따라 주기적으로 상기 세척망 본체(161)를 상기 고정클램프(164)를 통하여 분리하여 비운 후 재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척수단(160)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Here, foreign matters that are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housing 240 is suspended in the cleaning net body 161, and periodically separates the cleaning net body 161 through the fixing clamp 164 according to the cumulative amount of the foreign matter. After emptying it, you can use it again. Thus, maintenance of the cleaning means 160 can be easily made.

더욱이, 상술한 바와 같은 세척수단(160)은 컨트롤러(6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방류조(140) 내측에 구비된 거름망(151) 표면에 붙은 이물질을 주기적으로 제거하여 상기 이송관(150)을 통한 처리수의 이송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eaning means 160 as described above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600, and thus periodically removes the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strainer 151 provided inside the discharge tank 140, the transfer The transfer of the treated water through the pipe 150 can be maintained smoothly.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s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정화조 110: 유입수조
120: 폭기조 130: 무산소조
140: 방류조 145: 연결부
146: 확장부 146a: 결합고정홈
149a: 만수위감지센서 149b: 저수위감지센서
150: 이송관
200: 중공사막 필터장치
210: 중공사막 파이프 211: 개구부
220: 제1 파이프 고정판 221, 231: 밀착돌기
230: 제2 파이프 고정판 240: 본체하우징
250: 제1 뚜껑 260: 제2 뚜껑
261: 이송배출구 263: 고정돌기
300: 역세수 저장탱크 301: 제1 발열코일
310: 수위센서 320: 역세정 배관
321: 역세정 밸브
400: 여과필터장치 401: 제2 발열코일
420: 정화처리 배관 421: 정화처리 밸브
500: 정역펌프 510: 전환밸브
600: 컨트롤러
100: septic tank 110: inflow water tank
120: aeration tank 130: anaerobic tank
140: discharge tank 145: connection portion
146: expansion portion 146a: coupling fixing groove
149a: Low water level sensor 149b: Low water level sensor
150: Transfer pipe
200: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210: hollow fiber membrane pipe 211: opening
220: first pipe fixing plate 221, 231: adhesion protrusion
230: second pipe fixing plate 240: the body housing
250: first lid 260: second lid
261: transfer outlet 263: fixed projection
300: backwash water storage tank 301: first heating coil
310: water level sensor 320: backwash pipe
321: backwash valve
400: filtration filter device 401: second heating coil
420: purification pipe 421: purification valve
500: static pump 510: switching valve
600: controller

Claims (15)

내부가 유입수조, 폭기조, 무산소조, 방류조의 순서로 분리 형성되는 한편 상기 유입수조로 유입된 오염수가 상기 유입수조, 폭기조, 무산소조, 방류조를 통과하며 정화된 후 외부로 방류될 수 있게 구성되는 가운데 상기 유입수조, 폭기조, 무산소조 및 방류조의 상부에는 각각 별도의 뚜껑이 갖춰지는 한편 상기 유입수조, 폭기조, 무산소조, 방류조의 순으로 유체가 흐르도록 이웃하는 조와 조 사이의 격벽에는 물 이동통로가 관통 형성이 된 정화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오·폐수의 인·질소 제거용 정화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류조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방류조로 유입되는 처리수를 경유시키는 가운데 처리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도록 그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열고정되는 복수 개의 중공사막 파이프를 가지는 중공사막 필터장치;
상기 정화조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중공사막 필터장치를 통하여 필터링된 처리수를 상기 중공사막 필터장치의 역세정을 위하여 선택적으로 일정수위로 저장하는 역세수 저장탱크;
상기 역세수 저장탱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정화조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중공사막 필터장치를 거친 처리수를 유입시켜 여과한 후 최종 처리수를 배출시키는 여과필터장치;
상기 중공사막 필터장치, 역세수 저장탱크 및 여과필터장치를 연계시킬 수 있도록 양방향 중 택일적으로 펌핑되는 한편 상기 정화조와 역세수 저장탱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중공사막 필터장치를 경유한 처리수를 상기 여과필터장치 측으로 이송시키거나 상기 역세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역세수를 상기 중공사막 필터장치 측으로 이송시키는 정역펌프; 및
상기 역세수 저장탱크의 수위를 감지하는 한편, 선택적으로 상기 정역펌프를 통한 처리수 및 상기 역세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역세수의 이송방향을 전환하여 오·폐수의 정화처리 및 중공사막 필터장치의 역세정 처리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의 인·질소 제거용 정화처리 시스템.
While the inside is separated and formed in the order of the inflow tank, the aeration tank, the anaerobic tank and the discharge tank, the contaminated water introduced into the inflow tank is passed through the inflow tank, the aeration tank, the anoxic tank, and the discharge tank to be purified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Separate caps are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s of the inflow tank, the aeration tank, the anaerobic tank, and the discharge tank, respectively, and water flow passages are formed in the partition walls between the neighboring tank and the tank so that the fluid flows in the order of the inflow tank, the aeration tank, the oxygen chamber, and the discharge tank. In the purification processing system for phosphorus and nitrogen removal of the wastewater and wastewater comprised including this septic tank,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hollow fiber membrane pipes are installed inside the discharge tank and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filter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treated water while passing through the treated water flowing into the discharge tank. ;
A backwash water storage tank installed outside the septic tank and selectively storing the treated water filtered through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at a predetermined level for backwashing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A filtration filter devic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septic tank with the backwash water storage tank interposed therebetween to introduce the treated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and to filter and discharge the final treated water;
In order to connect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the backwash water storage tank and the filtration filter device, the pump is alternatively pumped in both directions, and is disposed between the septic tank and the backwash water storage tank, and the treated water is passed through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A forward / reverse pump transferring the backwash water stored in the filtration filter device side or the backwash water storage tank to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And
The water level of the backwash water storage tank is sensed, and the transfer direction of the treated water and the backwash water stored in the backwash water storage tank is selectively switched by purifying the waste water and the revers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cleaning process; Purifying treatment system for phosphorus and nitrogen removal of waste wat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further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폭기조는 상부에 상기 폭기조 내의 오염수에 내포된 질소 및 인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폭기조 내측으로 일정시간 간격을 두고 인, 질소의 제거용 정화약품을 분사시키는 정화제 투입장치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의 인·질소 제거용 정화처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aeration tank is further provided with a purifier injection device for injecting a purifying chemical for removal of phosphorus, nitrogen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nside the aeration tank so as to remove nitrogen and phosphorus contained in the contaminated water in the aeration tank at the top. Purification and treatment system for phosphorus and nitrogen removal of sewage and wastewa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사막 파이프는 'U'자 형상으로 일정길이 연장 형성되어 한 쌍의 개구부가 일측에 위치하는 한편, 상기 중공사막 필터장치는 상기 중공사막 파이프의 'U'자 형상 중 라운드부 측 단부가 고정되는 제1 파이프 고정판;
상기 제1 파이프 고정판과 대향되어 상기 중공사막 파이프의 상기 개구부 측 단부가 고정되는 제2 파이프 고정판;
양단이 개방된 원기둥 상으로 구비되는 한편, 상기 제1 파이프 고정판 및 제2 파이프 고정판에 양단이 고정된 상기 중공사막 파이프가 내설되어 상기 제1 파이프 고정판 및 제2 파이프 고정판에 의해 개방된 양단이 밀폐되는 본체하우징;
상기 본체하우징의 개방된 일단을 밀폐시키는 상기 제1 파이프 고정판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일정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본체하우징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1 뚜껑; 그리고
상기 본체하우징의 개방된 타단을 밀폐시키는 상기 제2 파이프 고정판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일정공간이 형성되는 한편, 일면에 상기 중공사막 파이프의 개구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처리수를 상기 정역펌프 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배출구를 가지는 제2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의 인·질소 제거용 정화처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hollow fiber membrane pipe is formed to extend a certain length in a 'U' shape, a pair of openings are located on one side, while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is fixed to the round end side end of the 'U' shap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pipe A first pipe fixing plate;
A second pipe fixing plate opposed to the first pipe fixing plate and fixed to the opening side end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pipe;
While both ends are provided in an open cylindrical shape, the hollow fiber membrane pipes having both ends fixed to the first pipe fixing plate and the second pipe fixing plate are installed so that both ends opened by the first pipe fixing plate and the second pipe fixing plate are sealed. Main body housing;
A first lid coupled to one end of the body housing such that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pipe fixing plate sealing the open end of the body housing; And
A transport outlet for transferring the treat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opening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pipe to the stationary pump side, while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cond pipe fixing plate which seals the other open end of the main body housing. Purifying treatment system for phosphorus and nitrogen removal of the waste water,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second lid having 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파이프 고정판은 상기 중공사막 파이프의 양단이 각각 고정된 상태로 상기 본체하우징의 개방된 양단에 밀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 뚜껑을 통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하우징의 내경과 대응되어 원판 상으로 형성되는 한편,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기 본체하우징의 단부 두께만큼 밀착돌기가 각 한 쌍으로 외향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의 인·질소 제거용 정화처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and second pipe fixing plates are in close contact with both open ends of the body housing in a state where both ends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pipe are fixe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pipe fixing plates can be fix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lids.
Corrosion and wastewater of the wastewat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shape of a disc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main body housing, the contact protrusions are formed outwardly as a pair of end thicknesses of the main body housing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Purification system for nitrogen remova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사막 필터장치는 상기 방류조 내에 저수된 처리수를 상기 중공사막 파이프 내측을 경유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하우징이 격자 망 또는 타공 망 타입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의 인·질소 제거용 정화처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body housing is provided in any one of the grid mesh or perforated network type so that the treated water stored in the discharge tank via the inner hollow fiber membrane pipe, phosphorus and nitrogen of the waste water. Purification system for remova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사막 필터장치는 상기 방류조의 상단에 뚜껑이 결합되도록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결합부 상단에 외향 확장 형성되는 확장부의 상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대향되어 하향 함몰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되어 회전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홈과 대응되어 상기 제2 뚜껑의 원주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외향 돌출되어 고정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의 인·질소 제거용 정화처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downward recess is opposed to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xpansion portion is formed extending outward to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portion formed to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tank is fixed when rotating So as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groove, the outwardly protru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lid is a purification process for removing phosphorus and nitrogen of the waste wa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projections are form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사막 필터장치의 본체하우징 표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세척하는 세척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세척수단은 상기 중공사막 필터장치 외면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중공사막 필터장치를 감싸도록 고정되되, 상면 중앙에 상기 제2 뚜껑 외주 면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클램프를 가지는 세척망 본체;
상기 세척망 본체의 내측에 수납되어 상기 세척망 본체 내에서 유동하면서 상기 거름망 표면에 붙은 이물질을 분리시켜 세척하는 세척볼; 및
상기 세척볼이 상기 세척망 본체 내에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세척망 본체 내측 바닥부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연결된 블로워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세척망 본체 내측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의 인·질소 제거용 정화처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washing means for washing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body housing surfac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The washing means is fixed to surround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the washing net body having a fixed clamp fix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li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A washing ball that is received inside the washing net body and separates and cleans the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screen of the strainer while flowing in the washing net body; And
And an air injection device disposed in the bottom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washing net body so as to flow in the washing net body, and selectively injecting air into the washing net body by a blower connected from the outside. Purification and treatment system for phosphorus and nitrogen removal of the waste water, characterized in that mad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장치는 상기 세척망 본체의 바닥부에 구비되는 한편, 상기 세척망 본체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직경이 점차 증가하도록 연장되는 원형 코일 형상의 공기주입관 및 상기 공기주입관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공기주입관 내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블로워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의 인·질소 제거용 정화처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air injection device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air injection pipe and a circular coil-shaped air injection pipe which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cleaning network main body, the diameter of the cleaning network main body to gradually increase outward from the A purifying and treating system for removing phosphorus and nitrogen from wastewater and wastewater, comprising a blower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air injection pip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장치의 공기주입관은 원형 코일 형상 부분이 상기 세척망 본체의 내측 바닥부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의 인·질소 제거용 정화처리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air injection pipe of the air injection device is a purification system for phosphorus and nitrogen removal of the waste wa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ircular coil-shaped portion is dispos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main body of the cleaning network.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관은 상기 세척망 본체 내측으로 공기가 주입되도록 외면 사방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 이상에 대하여 공기주입공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공기주입공은 상기 공기주입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의 인·질소 제거용 정화처리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air injection pipe is formed with an air injection hole in at least one direction of at least one of the four sides of the outer surface so that air is injected into the main body of the cleaning network, the air injection hole is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ir injection pipe Purification and treatment system for phosphorus and nitrogen removal of waste wat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필터장치는 양측이 개구되어 일정길이로 형성된 중공의 필터케이스;
상기 필터케이스 선단 내측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처리수로부터 이물질을 여과하는 제1여과매트;
상기 필터케이스 내측의 제1여과매트 후단에 설치되어지되 경유하는 처리수와의 접촉을 통해 정수처리하는 바이오볼이 충진된 바이오필터;
상기 필터케이스 내측의 제1여과매트 후단에 설치되어지되 코코넛 차콜이 충진되어 경유하는 처리수에 각종 미네랄이 공급되도록 하는 한편 이물질을 여과하는 차콜필터;
상기 필터케이스 내측의 상기 차콜필터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차콜필터를 경유한 처리수로부터 이물질을 여과하는 제2여과매트; 및
상기 필터케이스의 선단과 후단에 나사결합을 통해 결합되어지되 각각에는 노즐공이 형성된 캡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의 인·질소 제거용 정화처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filtration filter device is a hollow filter case formed at a predetermined length by opening both sides;
A first filtration mat installed inside the front end of the filter case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from the treated water;
A biofilter which is installed at a rear end of the first filtration mat inside the filter case and is filled with a bioball for purifying water through contact with treated water;
A charcoal filter installed at a rear end of the first filtration mat inside the filter case to supply various minerals to the treated water which is filled with coconut charcoal while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A second filtration mat installed at a rear end of the char filter inside the filter case and filtering foreign matter from the treated water passing through the char filter; And
The filter case for the phosphorus and nitrogen removal of the waste wat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ap formed with a nozzle hole is coupled to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filter case, respectively.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여과매트는 전후로 구성되어 유입되는 처리수로부터 이물질을 여과하는 스펀지 매트; 및
상기 스펀지 매트 사이에 설치되어 이물질의 여과와 미네랄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코코넛 매트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의 인·질소 제거용 정화처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1,
The first filtration mat is composed of a sponge mat for filtering the foreign matter from the treated water flowing in and out of; And
It is installed between the sponge mat is a purification system for removing phosphorus and nitrogen of waste wat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oconut mat to filter the foreign matter and supply of mineral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필터장치는 내부공간을 통하여 여과되어 상기 필터케이스의 후단에 결합된 캡의 노즐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최종처리수가 동계에 얼지 않고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필터케이스의 외면을 감싸는 한편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필터케이스의 표면 온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일정시간 주기적으로 발열되는 제1 발열 코일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의 인·질소 제거용 정화처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1,
The filtration filter device surrounds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case so as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nozzle hole of the cap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filter case to be discharged without freezing in the winter season. And a first heating coil controlled by the filter case to generate heat periodically for a predetermined time selectively according to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filter c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세수 저장탱크는 내부공간에 저수되는 역세수가 동계에 얼지 않도록 상기 역세수 저장탱크 외면을 감싸는 한편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역세수 저장탱크의 표면 온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일정시간 주기적으로 발열되는 제2 발열 코일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의 인·질소 제거용 정화처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backwash water storage tank surrounds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wash water storage tank so that the backwash water stored in the internal space does not freeze in winter, and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to selectively generate heat periodically for a predetermined time according to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backwash water storage tank. A purifying treatment system for removing phosphorus and nitrogen of waste water,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heating coil is further provi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폭기조의 내부에는 상하의 간격이 유지되는 크로스 바가 가로질러 설치되되, 상기 크로스 바에는 스크린 타입 미생물 접촉여재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폭기조의 내부 하측에는 상기 폭기조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산기관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의 인·질소 제거용 정화처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ross bar is installed across the aeration tank to maintain the interval between the top and bottom, the screen type microorganism contact medium is installed on the cross bar, while the lower side of the aeration tank inside the aeration tank for supplying air into the aeration tank is installed A purification and treatment system for removing phosphorus and nitrogen from wastewater and wastewater.
KR1020110093058A 2011-09-15 2011-09-15 Sewage purification treatment system KR1012852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058A KR101285291B1 (en) 2011-09-15 2011-09-15 Sewage purification treat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058A KR101285291B1 (en) 2011-09-15 2011-09-15 Sewage purification treatment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656A true KR20130029656A (en) 2013-03-25
KR101285291B1 KR101285291B1 (en) 2013-07-16

Family

ID=48179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3058A KR101285291B1 (en) 2011-09-15 2011-09-15 Sewage purification treatmen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5291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9353A1 (en) * 2016-05-31 2017-12-07 박병선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external housing-type membrane bioreactor
CN110976387A (en) * 2019-12-25 2020-04-10 普沃(天津)科技有限公司 Full-automatic cleaning equipment for pedal
CN114517149A (en) * 2022-01-26 2022-05-20 文宾 Sodium nitrite's survey equipment
KR20220155885A (en) * 2021-05-17 2022-11-24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Water treatment system and water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KR20220156162A (en) * 2021-05-18 2022-11-25 주식회사 삼경이엔씨 A filtering device for recycle of waste copper sulfate solution
CN115445300A (en) * 2022-08-15 2022-12-09 中核核电运行管理有限公司 Nuclear power plant main pump shaft seal water riser reciprocating flushing type corrosion product discharg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1277A (en) * 1992-08-25 1994-03-15 Toto Ltd Septic tank and method for backwashing membrane separator in septic tank
JPWO2006038687A1 (en) 2004-10-07 2008-05-15 株式会社アイ・ピー・ビー Chemical process equipment with built-in filter
JP2007203218A (en) 2006-02-02 2007-08-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Membrane separation type water purifier
KR100989414B1 (en) 2010-03-15 2010-10-26 대송환경개발(주) Equipment for the treatment of waste liquid using water-purifier tank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9353A1 (en) * 2016-05-31 2017-12-07 박병선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external housing-type membrane bioreactor
CN110976387A (en) * 2019-12-25 2020-04-10 普沃(天津)科技有限公司 Full-automatic cleaning equipment for pedal
CN110976387B (en) * 2019-12-25 2023-09-05 普沃(天津)科技有限公司 Full-automatic cleaning equipment for foot pedals
KR20220155885A (en) * 2021-05-17 2022-11-24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Water treatment system and water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KR20220156162A (en) * 2021-05-18 2022-11-25 주식회사 삼경이엔씨 A filtering device for recycle of waste copper sulfate solution
CN114517149A (en) * 2022-01-26 2022-05-20 文宾 Sodium nitrite's survey equipment
CN115445300A (en) * 2022-08-15 2022-12-09 中核核电运行管理有限公司 Nuclear power plant main pump shaft seal water riser reciprocating flushing type corrosion product discharging device
CN115445300B (en) * 2022-08-15 2023-09-08 中核核电运行管理有限公司 Nuclear power plant main pump shaft seal water vertical pipe reciprocating flushing type corrosion product discharg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5291B1 (en) 2013-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5291B1 (en) Sewage purification treatment system
CA2325363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anitizing and cleaning a filter system
CN101205109B (en) Apparatus for treating chemical fiber waste water by anaerobic method
KR100303811B1 (en) Biological aerated filter system
KR101226547B1 (en) Sewage treatment system for marine use
BG66033B1 (en) Device and method for deep biological treatament of waste waters
KR100989414B1 (en) Equipment for the treatment of waste liquid using water-purifier tank
KR100507265B1 (en) Electrodeionization water purifier operated by intermittent regeneration process,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intermittent regeneration
CN201154935Y (en) Chemical fabrics waste water treatment plant
KR101546879B1 (en) Cleaning apparatus for water treating system for fountain and water play structure
KR100912268B1 (en)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adsorption and filtration of biological activated carbon and cleansing method thereof
KR101901527B1 (en) Wastewater Purifying Apparatus for Car Wash
CN115974305A (en) Integrated membrane method water treatment system and treatment method
JP3577663B2 (en) Water pur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0409108B1 (en) Artifical Pond
KR100434745B1 (en) Dirty and waste water purifying system
JP4019209B2 (en) Water purification system
CN207330494U (en) A kind of biological aerated filter
KR200420335Y1 (en) pretreating system for water purifier
KR101620069B1 (en) Chemical cleaning method of membrane for fluidized membrane bioreactor
KR0119265Y1 (en) Dairy waste treating equipment by using efeective microorganisms
KR100430034B1 (en)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KR200279425Y1 (en)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KR200337101Y1 (en) Low concentratio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by metal sieve membrane and catalyst ozone process
JP3707458B2 (en) Anti-contamination device for quartz tube and UV lamp of filtration device with sterilization ta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