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8534B1 - 시멘트 조성물 및 고유동 콘크리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시멘트 조성물 및 고유동 콘크리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8534B1
KR100888534B1 KR20070079629A KR20070079629A KR100888534B1 KR 100888534 B1 KR100888534 B1 KR 100888534B1 KR 20070079629 A KR20070079629 A KR 20070079629A KR 20070079629 A KR20070079629 A KR 20070079629A KR 100888534 B1 KR100888534 B1 KR 100888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ment
concrete
fly ash
blast furnace
furnace sl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79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환선
권기주
강형남
이평석
노재명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씨엠씨 코리아 주식회사
주식회사 코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씨엠씨 코리아 주식회사, 주식회사 코센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20070079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85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5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6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 C04B18/08Flue dust, i.e. fly as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Abstract

본 발명의 시멘트 조성물은 시멘트, 플라이애시, 고로슬래그 분말 및 석회석 분말을 포함한다. 상기 시멘트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의 36~44 중량%인 시멘트를 포함하고, 전체 조성물의 18~22 중량%인 플라이 애쉬, 전체 조성물의 27~37 중량%인 고로슬래그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플라이 애쉬 및 고로슬래그 분말과 함께 전체 조성물의 9~11 중량%인 석회석 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시멘트, 플라이애시, 고로슬래그

Description

시멘트 조성물 및 고유동 콘크리트 제조방법{CEMENT COMPOSI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HIGH FLOW CONCRETE}
본 발명은 시멘트 조성물 및 콘크리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고유동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시멘트 조성물 및 고유동 콘크리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발전소의 콘크리트 구조물은 시공성 및 강도 등의 품질 외에도 내구성이 확보되어야하므로, 내구성 개선 및 고유동성을 위한 배합설계 기준을 만족하는 고유동 콘크리트로 시공된다. 일반적으로 고유동 콘크리트는 플라이애쉬를 20~30 중량비%를 함유한 시멘트 조성물을 사용하고 있고, 콘크리트의 유동성 및 재료분리 저항성 향상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혼화제를 사용하고 있다.
시멘트는 자본 집약산업에서 생산되는 제품으로서, 제조과정에서 다량의 석유 및 석탄 등의 화석연료가 필요하다. 플라이애쉬를 함유하여 유동성 및 재료분리 저항성이 높은 콘크리트를 제조하는데 있어서도 시멘트의 중량비가 70%이상이 요구되기 때문에 시멘트 제조단가 상승 및 건설자재의 부족이 문제되고 있는 것이 실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시멘트의 중량비가 작으면서도 유동성 및 재료분리 저항성이 높은 고유동 콘크리트를 제조할 수 있는 시멘트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시멘트의 중량비가 작으면서도 유동성 및 재료분리 저항성이 높은 고유동 콘크리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산업부산물을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 조성물은 시멘트, 플라이애시, 고로슬래그 분말 및 석회석 분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멘트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의 36~44 중량%인 시멘트를 포함하고, 전체 조성물의 18~22 중량%인 플라이 애쉬, 전체 조성물의 27~37 중량%인 고로슬래그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플라이 애쉬 및 고로슬래그 분말과 함께 전체 조성물의 9~11 중량%인 석회석 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시멘트 조성물을 사용하여 고유동성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물, 골재 및 혼화제와, 플라이애시, 고로슬래그 분말을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을 교반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멘트 조성물은 석회석 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유동 콘크리트는 시멘트 조성물 20~25 중량%, 물 5~10 중량%, 골재 65~75 중량% 및 혼화제 0.1~0.5 중량%를 교반하여 제조할 수 있 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멘트 조성물은 시멘트와 무기질계 포졸란 재료인 플라이애시 및 슬래그 분말을 포함한다. 이 시멘트 조성물은 중량백분율로서 시멘트 36~44%, 플라이애시 18~22% 및 고로슬래그 분말 27~3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석회석 분말을 9-11% 더 포함하여 수화열 저감, 내해수성 및 내화학성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고유동 콘크리트의 경제성·적용 용이성 및 초기 강도 등을 고려할 때 1종 시멘트를 사용할 수 있다. 콘크리트 제조시 단위시멘트량이 높은 경우 수화반응에 의해 수화열이 증가하며 체적변화 및 응력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고로슬래그 분말 및 플라이애시를 혼화재로 사용함으로써 콘크리트의 온도상승을 낮추고 수화열에 의한 균열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시멘트 조성물의 유동성이 향상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우수한 작업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제조방법은 중량백분율로서 상기 시멘트 조성물 20~25%, 물 5~10%, 골재 65~74.9% 및 혼화제 0.1~0.5%를 교반하는 것이 특징이다. 혼화제로는 시공성 및 단위수량이나 단위시멘트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감수제, 공기연행제 및 유동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원자력 발전소 구조물은 압축강도 5500psi (380kgf/㎠)에 대한 배합설계 기준이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멘트 조성물 및 콘크리트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배합설계 기준을 만족하는 시멘트 조성물 및 콘크리트 조성물의 내구성을 시험하고 평가하였다.
시멘트 조성물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중량백분율로서 시멘트 40%, 플라이애시 20% 및 고로슬래그 분말 40%로 구성된 것과, 시멘트 40%, 플라이애시 20%, 고로슬래그 분말 30% 및 석회석 10%로 구성된 것을 사용하였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것으로서 시멘트 80% 및 플라이애시 20%로 구성된 것을 사용하였다.
[표 1]은 내구성 시험을 위한 본 발명의 배합조건 및 종래의 배합조건을 나타낸 표이다.
종류 W/B (%) S/a (%) 단 위 중 량(㎏/㎥)
물 (W) 골재 (B) 시멘트 플라이애쉬 고로슬래그 석회석분말 SP제 증점제
배합1 39.4 42 185 470 376 94 - - 2.82 -
배합2 37 53 185 500 200 100 200 - 6.5 0.2498
배합3 38 53 190 500 200 100 200 - 10.5 0.2489
배합4 42 40 185 440 176 88 176 - 5.28 -
배합5 37 53 185 500 200 100 150 50 5.65 0.2498
배합6 38 53 190 500 200 100 150 50 10.25 0.2489
상기 배합1은 리그닌계 일반 감수제를 사용하는 종래에 따른 배합조건이고, 배합2 내지 배합6은 다양한 감수제를 적용한 본 발명에 따른 배합조건이다. 구체적으로, 배합2 및 배합5는 폴리카르본산계 고성능 감수제를 사용하였고, 배합3, 4 및 5는 멜라민계 고성능 감수제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시멘트 조성물의 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시멘트 조성물 및 혼합재 및 혼화제의 양이 다른 배합조건을 적용하였다.
먼저 상기 배합조건으로 중성화 시험을 실시하였다. 중성화 실험을 위하여, 10×10×15㎝ 몰드를 사용하여 배합조건별로 8개의 시료를 제작하였다. 콘크리트 타설 1일 후 탈형하여 23℃ 수중에서 조건별 4개의 시료는 28일, 조건별 4개의 시료는 91일동안 표준양생하였다. 시료의 5면은 에폭시로 코팅하여 일방향으로 이산화탄소의 침투를 유도하였다.
[표 2]는 표준양생기간에 따른 중성화촉진 시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종류 중성화 깊이(㎜)
7일 28일 60일 91일
배합1 1.04 5.1 7.5 8.36
배합2 0.95 4.12 6.15 6.73
배합3 0.93 4.49 5.27 5.77
배합4 1.1 4.44 4.98 6.26
배합5 1.4 3.94 6.18 6.66
배합6 1.8 4.17 5.53 7.4
중성화촉진 시험결과에서, 본 발명의 배합조건은 종래의 배합조건에 비해 중성화 깊이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 나아가서,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를 사용한 조건에서는 석회석 분말을 혼합함으로써 중성화 진행속도가 저하됨을 알 수 있다.
[표 3]은 콘크리트 염해시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10×10×40㎝ 몰드를 사용하여 각 조건별로 6개의 시료를 제작하였다. 콘크리트 타설 1일 후 탈형하여 23℃ 수중에서 배합조건별로 3개씩 28일 및 91일동안 표준양생하였다.
본 시험에서 3.6% NaCl 농도의 염화물 용액을 사용하여 28일, 60일 및 91일 동안 침전시킨 후 KS F2713, 2714, 2715와 ASTM C1152 및 1218에 의해 염화물을 측정하였다.
염분 함유율(%)
28일 60일 91일
배합1 0.0238 0.318 0.0339
배합2 0.0176 0.0277 0.0332
배합3 0.022 0.0262 0.0301
배합4 0.0231 0.0331 0.0355
배합5 0.0221 0.0248 0.0279
배합6 0.0225 0.0288 0.0304
시험결과 유동화멜라민계 감수제를 사용한 본원 발명의 배합조건에서 염분 함유율이 다소 높게 측정되었으나 허용 범위에 해당하고, 석회석 분말을 포함하는 본원의 배합조건에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를 사용할 때 염소 이온침투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내구성 시험 결과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멘트 조성물은 종래의 배합비에 따른 시멘트 조성물에 비해 콘크리트의 내구성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혼화제의 종류를 변경하더라도 본 발명의 배합조건은 종래의 배합조건에 비해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제조방법을 위한 배합조건을 나타낸 것이다.
성분 함량(㎏/㎥)
185
분체 시멘트 200
플라이애시 100
고로슬래그 분말 150
석회석 분말 50
소계 500
골재 잔골재 802
굵은골재 770
소계 1572
혼화제 고유동화제 5.65
공기연행제 0.04
증점제 0.2492
소계 5.9398
합계 2263
[표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최적화된 콘크리트 제조방법의 배합설계를 나타낸 것으로서, 조성물의 중량백분율은 상기 본 발명의 범위에서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배합비에 따라 통상의 콘크리트 타설방법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이 제조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량의 무기질계 포졸란 재료로 시멘트를 대체함으로써 수화열이 저감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낮은 열응력이 요구되는 매스 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내구성이 향상되어 콘크리트의 1회 타설 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어 공사기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산업부산물인 플라이애시 및 고로슬래그를 활용함으로써 시멘트 소모량을 감소할 수 있어, 시멘트 생산을 위한 에너지 소비를 현저히 절감할 수 있다.

Claims (8)

  1. 중량백분율로서 시멘트 36~44%, 플라이애시 18~22%, 고로슬래그 분말 27~37% 및 석회석 분말 9~11%를 포함하고, 상기 플라이애시 및 고로슬래그 분말의 분말도는 6000 내지 10000 ㎠/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중량백분율로서 시멘트 조성물 20~25%, 물 5~10%, 골재 65~74.9% 및 고유동화제, 공기연행제, 점증제를 포함하는 혼화제 0.1~0.5%를 교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시멘트 조성물은 중량백분율로서 시멘트 36~44%, 플라이애시 18~22%, 고로슬래그 분말 27~37% 및 석회석 분말 9~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동성 콘크리트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20070079629A 2007-08-08 2007-08-08 시멘트 조성물 및 고유동 콘크리트 제조방법 KR100888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79629A KR100888534B1 (ko) 2007-08-08 2007-08-08 시멘트 조성물 및 고유동 콘크리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79629A KR100888534B1 (ko) 2007-08-08 2007-08-08 시멘트 조성물 및 고유동 콘크리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8534B1 true KR100888534B1 (ko) 2009-03-11

Family

ID=40698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79629A KR100888534B1 (ko) 2007-08-08 2007-08-08 시멘트 조성물 및 고유동 콘크리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8534B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071B1 (ko) 2010-09-20 2012-07-31 한국전력공사 고유동 저열저항성 전력구 채움재 및 그 시공 방법
KR101223161B1 (ko) * 2011-01-05 2013-01-17 삼성물산 주식회사 지반 치환용 고유동 저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KR101312562B1 (ko) * 2011-11-02 2013-09-30 (주)건설표준시험원 바텀애시를 포함하는 콘크리트용 결합재 조성물
KR101347792B1 (ko) * 2013-07-30 2014-01-06 강창구 해조류를 이용한 친환경 일반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04291749A (zh) * 2014-09-22 2015-01-21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混凝土材料及其制备方法
KR20160000989A (ko) 2014-06-25 2016-01-06 (주)대우건설 조기강도 발현형 고유동 저발열 고내구성 이산화탄소 저감형 콘크리트 조성물
KR20160027338A (ko) 2014-08-28 2016-03-10 주식회사트라이포드 원전 구조물용 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
CN106007535A (zh) * 2016-05-27 2016-10-12 宜兴市太湖地基工程有限公司 一种高强度混凝土及其制备方法
CN106045391A (zh) * 2016-05-27 2016-10-26 宜兴市太湖地基工程有限公司 一种高发泡性混凝土及其制备方法
CN106045390A (zh) * 2016-05-27 2016-10-26 宜兴市太湖地基工程有限公司 一种耐酸碱混凝土及其制备方法
KR101969328B1 (ko) 2017-10-12 2019-04-17 동남기업 주식회사 저분체 고유동성 콘크리트용 혼화제 조성물
KR20190047421A (ko) 2017-10-27 2019-05-08 대림산업 주식회사 고유동성혼화제가 포함된 자기충전 콘크리트 조성물
KR101992232B1 (ko) 2018-10-31 2019-06-25 대림산업 주식회사 콘크리트용 자기충전 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저강도 자기충전 콘크리트 구조물
KR20210055280A (ko) 2019-11-07 2021-05-17 동남기업 주식회사 일반강도 고유동성 콘크리트용 혼화제 조성물
KR102439808B1 (ko) 2021-08-17 2022-09-02 동남기업 주식회사 Bpg 부산물을 이용한 저점성 혼화제 조성물
KR20230160445A (ko) 2022-05-17 2023-11-2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나노버블수를 이용한 고유동성 시멘트계 복합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6564A (ko) * 1997-09-25 1999-04-15 정환진 증기양생용 시멘트의 고강도 혼합재 조성물
KR20000074430A (ko) * 1999-05-20 2000-12-15 명호근 벨라이트 리치 시멘트와 고미분말 무기재료와 고성능감수제 및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틸 셀루로오즈(에이치피엠씨)계 증점제를 사용한 저발열성의 다짐이 필요 없는 고유동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6564A (ko) * 1997-09-25 1999-04-15 정환진 증기양생용 시멘트의 고강도 혼합재 조성물
KR20000074430A (ko) * 1999-05-20 2000-12-15 명호근 벨라이트 리치 시멘트와 고미분말 무기재료와 고성능감수제 및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틸 셀루로오즈(에이치피엠씨)계 증점제를 사용한 저발열성의 다짐이 필요 없는 고유동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071B1 (ko) 2010-09-20 2012-07-31 한국전력공사 고유동 저열저항성 전력구 채움재 및 그 시공 방법
KR101223161B1 (ko) * 2011-01-05 2013-01-17 삼성물산 주식회사 지반 치환용 고유동 저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KR101312562B1 (ko) * 2011-11-02 2013-09-30 (주)건설표준시험원 바텀애시를 포함하는 콘크리트용 결합재 조성물
KR101347792B1 (ko) * 2013-07-30 2014-01-06 강창구 해조류를 이용한 친환경 일반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60000989A (ko) 2014-06-25 2016-01-06 (주)대우건설 조기강도 발현형 고유동 저발열 고내구성 이산화탄소 저감형 콘크리트 조성물
KR20160027338A (ko) 2014-08-28 2016-03-10 주식회사트라이포드 원전 구조물용 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
CN104291749A (zh) * 2014-09-22 2015-01-21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混凝土材料及其制备方法
CN104291749B (zh) * 2014-09-22 2016-04-27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混凝土材料及其制备方法
CN106007535A (zh) * 2016-05-27 2016-10-12 宜兴市太湖地基工程有限公司 一种高强度混凝土及其制备方法
CN106045391A (zh) * 2016-05-27 2016-10-26 宜兴市太湖地基工程有限公司 一种高发泡性混凝土及其制备方法
CN106045390A (zh) * 2016-05-27 2016-10-26 宜兴市太湖地基工程有限公司 一种耐酸碱混凝土及其制备方法
KR101969328B1 (ko) 2017-10-12 2019-04-17 동남기업 주식회사 저분체 고유동성 콘크리트용 혼화제 조성물
KR20190047421A (ko) 2017-10-27 2019-05-08 대림산업 주식회사 고유동성혼화제가 포함된 자기충전 콘크리트 조성물
KR101992232B1 (ko) 2018-10-31 2019-06-25 대림산업 주식회사 콘크리트용 자기충전 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저강도 자기충전 콘크리트 구조물
KR20210055280A (ko) 2019-11-07 2021-05-17 동남기업 주식회사 일반강도 고유동성 콘크리트용 혼화제 조성물
KR102439808B1 (ko) 2021-08-17 2022-09-02 동남기업 주식회사 Bpg 부산물을 이용한 저점성 혼화제 조성물
KR20230160445A (ko) 2022-05-17 2023-11-2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나노버블수를 이용한 고유동성 시멘트계 복합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8534B1 (ko) 시멘트 조성물 및 고유동 콘크리트 제조방법
CN105777040B (zh) 瓷砖粘结剂及其制备方法
US8353984B2 (en) Compressive strength improvement of cement and gypsum products
Razali et al. Preliminary studies on calcinated chicken eggshells as fine aggregates replacement in conventional concrete
CN101016205A (zh) 含超细碳酸盐岩粉的混凝土组合物及其配制方法
CN109293318A (zh) 透水混凝土
US20070256604A1 (en) Mortar Compositions with Base on Ultra-Fine Clinker, Refined Sand and Chemical Additives
KR101654568B1 (ko) 조강형 숏크리트 조성물
CN104591633A (zh) 一种聚丙烯腈纤维抗渗混凝土的制造方法
KR20110024618A (ko) 고로슬래그, 분말형 규산나트륨, 탈황석고를 포함하는 결합재를 이용하는 무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무시멘트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KR101993203B1 (ko) 시멘트용 친수성 아미노알콕시실란계 발수제의 제조방법,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발수제를 이용한 콘크리트용 고성능 구체방수재 조성물과 구체방수 콘크리트 조성물
CN103467037A (zh) 一种活性粉末水泥基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7512892A (zh) 一种瓷砖胶黏剂及其制备方法
CN108298915A (zh) 一种含有玻璃钢回收纤维的外墙抹面抗裂砂浆及其制备方法
KR101390132B1 (ko) 1종 조강형 시멘트를 사용한 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및 콘크리트
CN103086627B (zh) 用于免高压蒸养工艺生产phc管桩的矿物掺合料及应用
KR100878551B1 (ko) 초고강도 콘크리트 결합재와 그를 이용한 초고강도콘크리트의 제조방법
EP4082984A1 (en) Binder composition comprising pozzolanic material and fine filler
CN109650815A (zh) 抗裂混凝土
KR101217059B1 (ko) 혼화재 사용율을 높인 콘크리트 조성물
CN114455920A (zh) 一种高性能玄武岩纤维增强增韧混凝土及其制备方法
CN102659359A (zh) 一种耐腐蚀的grc制品
CN115231868A (zh) 一种抗裂防腐蚀c30混凝土及其制备方法
KR101582992B1 (ko)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시멘트 모르타르, 그 제조방법
KR102146455B1 (ko) 고로슬래그 기반 조성물 및 이의 경화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