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8435B1 - 다수의 반사체를 구비하는 평판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다수의 반사체를 구비하는 평판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8435B1
KR100888435B1 KR1020070051469A KR20070051469A KR100888435B1 KR 100888435 B1 KR100888435 B1 KR 100888435B1 KR 1020070051469 A KR1020070051469 A KR 1020070051469A KR 20070051469 A KR20070051469 A KR 20070051469A KR 100888435 B1 KR100888435 B1 KR 100888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source
reflectors
housing
ref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1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4553A (ko
Inventor
이기헌
Original Assignee
금호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1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8435B1/ko
Publication of KR20080104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4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25Combination of two or more reflectors for a singl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10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70Lamps with low-pressure unconstricted discharge having a cold pressure < 400 Torr
    • H01J61/76Lamps with low-pressure unconstricted discharge having a cold pressure < 400 Torr having a filling of permanent gas or gases only
    • H01J61/78Lamps with low-pressure unconstricted discharge having a cold pressure < 400 Torr having a filling of permanent gas or gases only with cold cathode; with cathode heated only by discharge, e.g. high-tension lamp for adverti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반사체를 구비하는 평판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평면 조명 장치는, 저면과 측면을 구비하며 사각통 형상을 지니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평판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서로 대향하는 두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측면과 대향하는 반대 측면 방향으로 광을 방사하는 광원; 반원기둥 형태로서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전면 방향으로 반사시키며, 반사 표면을 갖는 복수의 반사체; 상기 복수의 반사체에 의해 반사된 광이 입사되고, 상기 입사된 광을 확산시켜 균일한 조명을 제공하는 전면 확산체를 포함하되, 상기 광원과 반사체간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해당 반사체의 상기 반원기둥의 직경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명장치, 반사체, 확산체, 평판

Description

다수의 반사체를 구비하는 평판 조명 장치{planar display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reflector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평판 조명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도 1의 조명 장치 내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반사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1의 조명 장치 내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반사체에 의해 조명이 제공되는 원리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c는 평판 조명 장치가 정사각형 형상인 경우 평판 조명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d는 평판 조명 장치가 직사각형 형상인 경우 평판 조명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조명장치의 내부를 관찰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1의 조명 장치 내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반사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1의 조명 장치 내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반사체에 의해 조명이 제공되는 원리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4c는 평판 조명 장치가 정사각형 형상인 경우 평판 조명 장치의 내부 구 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d는 평판 조명 장치가 직사각형 형상인 경우 평판 조명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는 원통 형상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원통 형상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평판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반사체를 구비하는 평판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평판 조명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종래의 평판 조명 장치로서 다수의 형광등을 포함하고 형광등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확산하는 확산판을 포함하는 평판 조명장치가 있다. 상기 다수의 형광등으로부터 방사된 광은 다수의 형광등 위에는 형성된 확산판에 입사된다. 이러한 평판 조명 장치는 다수의 형광등을 포함하기 때문에 일정한 크기의 평판을 통해 조명을 제공하는 특징이 있고, 다수의 형광등 위에 설치되는 확산판에 의해 광균일도가 향상되고, 상대적으로 구성이 간단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다수의 형광등을 통해 평판 조명을 제공하기 때문에 평판 조명 장치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무게가 증 가하는 문제가 있고, 다수의 형광등 간의 간격 때문에 광균일도의 향상에 일정한 한계가 있는 단점이 있다.
종래의 또다른 평판 조명 장치로는 엘씨디(LCD)에 주로 사용되는 백라이트유닛(Back Light Unit)이 있다. 백라이트유닛은, 광원과, 광원에서 방사된 광을 엘씨디 패널 전부분으로 전달하는 광유도체(예를 들어, 도광체)와, 광반사를 수행하는 반사체와, 광균일도 향상을 위한 광확산체를 포함한다. 종래의 백라이트유닛은 상대적으로 균일한 조명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으나, 도광체와 같은 광유도체의 무게가 매우 무겁고 일반적인 조명 장치로 사용하기에는 효율이 낮고 구조가 지나치게 복잡한 문제를 갖는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피와 무게를 감소시킨 평판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이용한 평판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평면 조명 장치는, 저면과 측면을 구비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평판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측면과 대향하는 반대 측면 방향으로 광을 방사하는 광원; 광 방사 방향의 단면이 실질적으로 반원 형태로서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전면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복수의 반사체; 상기 복수의 반사체에 의해 반사된 광이 입사되고, 상기 입사된 광을 확산시켜 균일한 조명을 제공하는 전면 확산체를 포함하되, 상기 광원과 반사체간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해당 반사체의 상기 단면의 직경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 조명 장치의 또 다른 일 양상에 따른 복수의 반사체는 서로 동일한 크기의 형상을 갖고, 상기 광원과의 거리가 먼 반사체일수록 반사체 간의 간격이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광원은 상기 평판 조명 장치의 모든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반사체는 실질적으로 반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모든 측면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은 사각통 형상을 지니고, 상기 광원은 상기 하우징의 서로 대향하는 두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반사체는 실질적으로 반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두 측면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광원은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또는 냉음극 형광 램프 또는 고온 음극 형광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는 방열판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효과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는 조명 장치 내에 구비되는 반사체의 형태에 따라 크게 두 가지의 실시예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평판 조명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평판 조명 장치(100)에는 하우징(110)이 포함되고, 상기 하우징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형상일 수 있다. 평판 조명 장치는 다양한 기하학적 형태를 갖는 출광면을 통해 조명을 제공하는 장치이며, 상기 출광면이 반드시 편평한 면일 필요는 없으며 다양한 굴곡 내지 입체적 형상을 갖는 면일 수 있다.
도 1의 조명 장치의 하우징(110)에는 복수의 반사체와 광원이 구비된다. 제1 실시예에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반사체(reflector)와 광원이 포함된다. 이하, 제1 실시예에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반사체의 구조와 도 1의 조명 장치가 조명을 제공하는 원리를 설명한다.
도 2a는 도 1의 조명 장치(100) 내부, 즉 상기 하우징(110)에 형성되는 복수의 반사체(201)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복수의 반사체(201)는 도 1의 조명 장치(100)의 내부를 A-A' 지시선을 기준으로 관찰한 것이다. 도 2a의 반사체(201)는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반원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에 구비되는 광원(202)에 의해 광이 방사되는 방향은 A-A' 지시선의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광 방사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반사체(201)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반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반사체(201)는 복수 개로 형성되고, 중앙 부에 형성되는 반사체의 크기가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반사체(201)는 상기 하우징의 저면(120)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b는 도 1의 조명 장치(100) 내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반사체(201)에 의해 조명이 제공되는 원리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1의 조명 장치(100)의 내부를 A-A' 지시선을 기준으로 관찰한 수평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반사체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는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필름에 반사 물질이 코팅된 반사필름 등을 사용하여 반사체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202a, 202b)을 포함한다. 상기 광원(202a)은 상기 하우징의 어느 한 측면(203)에 구비되고, 상기 구비된 측면(203)과 대향하는 반대 측면(204) 방향으로 광을 방사한다. 즉, 광원(202)이 설치되는 측면에 마주보는 반대 측면(204) 방향으로 광을 방사한다.
상기 광원(202)에서 방사된 광은 곧바로 확산체(diffuser)(205)에 입사되거나 도 2a에서 설명한 복수의 반사체(201)에 입사될 수 있다. 복수의 반사체(201)에 입사된 광은 반사체(201)의 의해 반사된다. 상기 확산체는 광원으로부터 들어온 광을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장치이며, 일반적인 확산체는 표면 조도를 이용하여 수많은 방향으로 굴절시키거나 분산시키는 면 확산판 방식과 평탄한 표면과 내재된 광분산 요소를 가지는 벌크 확산판 방식 등의 종류로 구분된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확산체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확산체에 요구되는 특성인 투광도 및 흐림도(haze)가 우수한 확산체가 적용될 수 있다.
도 2a의 반사체(201)의 경우, 평판 조명 장치의 중심부(달리 표현하면, 각 광원과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먼 부분)에 위치하는 반사체의 크기가 크며 평판 조명 장치의 태두리부에 위치하는 반사체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된 광이 확산체(205)를 향하게 된다. 즉, 광원과의 거리가 가까운 반사체는 그 크기가 작기 때문에, 광원에서 방사된 광 중 확산체(205)를 향하지 않는 광을 반사하게 되고, 광원과의 거리가 먼 반사체는 그 크기가 크기 때문에, 광원에서 방사된 광 중 반대 측면 방향으로 향하는 광을 반사하게 된다.
복수의 반사체(201)에 의해 확산체(205)를 향하는 방향으로 방사된 광은 확산체(205)에 의해 확산된다. 상기 확산체(205)는 광을 확산시켜 광균일성을 높인다.
제1 실시예에 따른 광원(202)은 다양한 종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선광원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선광원은, 다수의 점광원(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을 연결하여 선광원과 같은 조명을 제공하는 장치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평판 조명 장치에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LED)를 사용하는 경우, 조명 장치의 두께와 무게를 감소시키는 유리한 점이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평판 조명 장치는 간단하고 가벼운 구조로 균일성 높은 조명을 제공하는바, 광원으로서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면 조명 장치의 두께와 무게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광원은 냉음극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또는 열음극형광램프(Hot Cathode Fluorescent Lamp)과 같은 선광원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들 선광원은 일정한 전압을 외부에서 공급받아 음극에서 전자를 방출, 형광체를 조사하여 가시광선을 만들어 낸다. 이들 선광원 중에서 열 발산이 적은 냉음극형광램프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냉음극 형광 램프는 필라멘트의 가열 없이 저온에서 점등되는 형광등으로서, 유리관 양끝에 전극이 있고, 내부에는 일정량의 수은과 아르곤, 네온 등의 혼합 가스가 들어 있으며, 유리관 내부 표면은 형광체가 도포된 일반 형광등과 유사한 구조와 원리를 갖는다. 다만, 일반 형광등은 가열에 의해 전자 방출이 시작되는 데 반해 냉음극 형광 램프는 두 전극에 가해진 고전압 전계에 의해 전자 방출이 일어난다. 전자 방출이 시작되면 수은이 여기되어 자외선이 발산되며, 이 자외선이 유리관 벽의 형광체와 충돌하면서 가시 광선을 발산시킨다.
제1 실시예에 따른 광원(202)과 반사체 사이(201)에는 다양한 매질(medium)(206)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매질(206)은 액체 또는 기체일 수 있다. 도 2b의 일례는 공기층이 포함된 것을 나타낸다.
제1 실시예에 따른 광원(202)은 상술한 하우징(11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202a)에 구비된다. 다만,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반사체(201)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광원(202a, 202b)은 서로 대향하는 양 측면(203, 204)에 모두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2b의 평판 조명 장치는, 조명 장치를 보호를 위해 확산체(205) 위에 별도의 보호 장치(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으며, 만약 별도의 보호 장치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상기 확산체(205)가 조명을 제공하는 출사면의 역할을 수행한다.
도 2c는 하우징(110)의 형태가 실질적으로 정사각형의 사각통인 경우 평판 조명 장치(10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 징(110)이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사각통 형상인 경우에는, 광원(202)은 정사각형의 네 측면 모두에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반사체(201)는 네 측면 모두에서 방사되는 광을 효율적으로 반사하기 위해 반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c의 반사체(201)의 경우, 도 2a에서 설명한 반사체(201)가 적용되기 때문에 각각의 광원(201)과의 거리가 먼 반사체는 크기가 크며, 각 광원과의 거리가 가까운 반사체의 크기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10)은 정사각형 이외의 형상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는바, 이하 직사각형 형상의 평판 조명 장치를 설명한다.
하우징의 형상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사각통인 경우에, 서로 마주보는 두 측면에 광원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직사각형을 이루는 네 개의 측면 중에서 상대적으로 긴 두 개의 측면에 광원이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직사각형 사각통을 이루는 네 개의 측면 중 상대적으로 짧은 두 개의 측면에 광원이 설치되는 경우, 광원과 평판 조명 장치의 중심부 간의 거리가 증가 때문에 평판 조명 장치의 중심부에서 충분한 밝기의 조명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d는 평판 조명 장치의 하우징(110)이 직사각형 사각통인 경우 평판 조명 장치(10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을 이루는 네 개의 측면(301, 302, 303, 304) 중에서 상대적으로 긴 두 개의 측면(301, 302)에 광원(202)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광원이 양 측면(301, 302)에만 존재하기 때문에 반사체(201)는 반원기둥의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시된 바와 같이 반원기둥의 형상을 갖되, 광원과의 거리가 먼 반사체(반원기둥)은 크기가 크고, 광원과의 거리가 가까운 반사체(반원기둥)은 크기가 작도록 형성하면 두 개의 광원(202)에서 방사되는 광이 반사체(201)에 반사되어 확산체로 전달될 수 있다.
도 2c 및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이 방사되는 방향으로의 단면이 반원으로 형성되는 반사체(201)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광원(202)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확산체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반사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성이 높고 광 균일성이 높은 평판 조명 장치를 설계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광원 주변에는 방열판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광원을 만들거나, 램프를 이용한 선광원을 이용하는 경우 광원에서 열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제1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방열판은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전도율이 높은 금속의 일측을 광원(202)의 전부 또는 일부에 접촉시키고 상기 부재의 나머지 일측에는 공기 내지 유체와의 접촉면을 넓히는 구조를 형성하여 광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조명장치의 내부를 B-B' 지시선을 기준으로 관찰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점광원(402)을 이용하여 광원(202)을 형성한 경우, 각 점광원(402) 또는 광원 주변(207)에 방열판을 형성하여 광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이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반사체 및 이를 이용하여 도 1의 조명 장치 가 조명을 제공하는 원리를 설명한다.
도 4a는 도 1의 조명 장치 내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반사체(201)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복수의 반사체(201)는 도 1의 조명 장치(100)의 내부를 A-A' 지시선을 기준으로 관찰한 수평 단면도이다. 도 4a의 반사체(201)는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반원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의 반사체(201)는 하우징의 저면(120)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반사체(201)는 복수 개로 형성되고, 서로 동일한 크기의 형상을 갖는다. 도 4a에서 제안하는 복수의 반사체(201)는 광원과의 거리에 따라 반사체(201)가 형성되는 조밀도가 달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광원과 거리가 먼 반사체들은 조밀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b는 도 1의 조명 장치 내부(100)에 형성되는 복수의 반사체(201)에 의해 조명이 제공되는 원리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1의 조명 장치(100)의 내부를 A-A' 지시선을 기준으로 관찰한 수평 단면도이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203)에는 광원(202a)이 구비되며, 이러한 광원은 광원이 설치되는 측면(203)에 마주보는 반대 측면 방향(204)으로 광을 방사한다.
상기 광원(202)에서 방사된 광은 곧바로 확산체(205)에 입사되거나 도 4a에서 설명한 복수의 반사체(201)에 입사될 수 있다. 복수의 반사체(201)에 입사된 광은 반사체(201)의 의해 반사된다. 도 4a의 반사체(201)의 경우, 광원과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운 반사체들의 조밀도는 낮은 반면 광원과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먼 반사체들의 조밀도는 높기 때문에, 확산체(205)로 반사되는 광의 밀도는 균일해진다. 즉, 광원(202)과의 반사체(205) 간의 거리에 따라 반사체(205) 각각에 입사되는 광량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지만, 광원(202)과의 거리가 먼 반사체의 경우 반사체의 조밀도를 높이고, 광원(202)과의 거리가 가까운 반사체의 경우 조밀도를 낮추기 때문에, 반사되는 광량이 균일해진다.
복수의 반사체(201)에 의해 확산체(205)를 향하는 방향으로 방사된 광은 확산체(205)에 의해 확산된다. 상기 확산체(205)는 광을 확산시켜 광균일성을 높인다.
제2 실시예에 따른 광원(202)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종류일 수 있으며 선광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광원 주변에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방열판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광원과 반사체 사이에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매질(206)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매질은 액체 또는 기체일 수 있다. 도 2b의 일례는 공기층이 포함된 것을 나타낸다.
제2 실시예에 따른 광원은 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구비된다. 다만, 제2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반사체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광원은 서로 대향하는 양 측면에 모두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4c는 하우징(110)이 정사각형 사각통인 경우 평판 조명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 조명 장치가 정사각형 형상인 경 우에는, 광원(202)은 정사각형의 네 측면 모두에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반사체(201)는 네 측면 모두에서 방사되는 광을 효율적으로 반사하기 위해 반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c의 반사체(201)의 경우, 도 4a에서 설명한 반사체(201)가 적용되기 때문에 각 반사체는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며, 반사체와 광원과의 거리에 따라 반사체가 형성되는 조밀도가 결정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반사체(201)는,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202)과의 거리가 먼 경우에 조밀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은 정사각형 이외의 형상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는바, 이하 직사각형 형상의 평판 조명 장치를 설명한다.
평판 조명 장치의 하우징의 형상이 직사각형 사각통인 경우에, 서로 마주보는 두 측면에 광원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직사각형을 이루는 네 개의 측면 중에서 상대적으로 긴 두 개의 측면에 광원이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직사각형을 이루는 네 개의 측면 중 상대적으로 짧은 두 개의 측면에 광원이 설치되는 경우, 광원과 평판 조명 장치의 중심부 간의 거리가 증가 때문에 평판 조명 장치의 중심부에서 충분한 밝기의 조명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d는 평판 조명 장치의 하우징의 형상이 직사각형 사각통인 경우 평판 조명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을 이루는 네 개의 측면(501, 502, 503, 504) 중에서 상대적으로 긴 두 개의 측면(501, 502)에 광원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광원(202)이 양 측면(501, 502)에만 존재 하기 때문에 반사체(201)는 반원기둥의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기둥의 형상을 갖되, 광원과의 거리가 먼 반사체(반원기둥)들은 조밀하게 형성되고, 광원과의 거리가 가까운 반사체(반원기둥)은 크기가 작도록 형성하면 두 개의 광원에서 방사되는 광이 반사체에 반사되어 확산체로 전달될 수 있다.
도 4c 및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이 방사되는 방향으로의 단면이 반원으로 형성되는 반사체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확산체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반사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성이 높고 광 균일성이 높은 평판 조명 장치를 설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형상은 사각통에만 한정되지 않는바, 이하 다양한 형상의 일례로서 원통의 형상을 갖는 하우징을 설명한다.
도 5a는 원통 형상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a의 하우징(110)은 원통 형상을 갖으며, 복수의 반사체(201)를 포함한다. 도 5a의 반사체(201)는, 도 2c의 반사체와 마찬가지로, 하우징(110)의 중심부(즉, 광원과의 거리가 먼 부분)에서는 크기가 큰 특징이 있다. 하우징(110)의 측면에는 광원이 포함되어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광을 방사한다.
도 5b는 원통 형상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의 다른 일례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b의 하우징(110)은 원통 형상을 갖으며, 복수의 반사체(201)를 포함한다. 도 5b의 반사체(201)는, 도 4c의 반사체와 마찬가지로, 하우징(110)의 중심부(즉, 광원과의 거리가 먼 부분)에서는 조밀하게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하우징(110)의 측면에는 광원이 포함되어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광을 방사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내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인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부피가 작고, 무게가 가벼운 평판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유리한 효과가 있고, 또한,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조를 이용하여 고효율과 높은 광균일도를 얻을 수 있는 평판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저면과 측면을 구비하며 사각통 형상을 지니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평판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서로 대향하는 두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측면과 대향하는 반대 측면 방향으로 광을 방사하는 광원;
    반원기둥 형태로서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전면 방향으로 반사시키며, 반사 표면을 갖는 복수의 반사체;
    상기 복수의 반사체에 의해 반사된 광이 입사되고, 상기 입사된 광을 확산시켜 균일한 조명을 제공하는 전면 확산체를 포함하되,
    상기 광원과 반사체간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해당 반사체의 상기 반원기둥의 직경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반사체를 구비하는 평판 조명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또는 냉음극 형광 램프 또는 고온 음극 형광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반사체를 구비하는 평판 조명 장치.
  5. 삭제
  6. 저면과 측면을 구비하며 사각통 형상을 지니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평판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서로 대향하는 두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측면과 대향하는 반대 측면 방향으로 광을 방사하는 광원;
    반원기둥 형태로서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전면 방향으로 반사시키며, 반사 표면을 갖는 복수의 반사체;
    상기 복수의 반사체에 의해 반사된 광이 입사되고, 상기 입사된 광을 확산시켜 균일한 조명을 제공하는 전면 확산체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반사체는 서로 동일한 크기의 형상을 갖고, 상기 광원과의 거리가 먼 반사체일수록 반사체 간의 간격이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반사체를 구비하는 평판 조명 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또는 냉음극 형광 램프 또는 고온 음극 형광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반사체를 구비하는 평판 조명 장치.
  10. 삭제
KR1020070051469A 2007-05-28 2007-05-28 다수의 반사체를 구비하는 평판 조명 장치 KR100888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469A KR100888435B1 (ko) 2007-05-28 2007-05-28 다수의 반사체를 구비하는 평판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469A KR100888435B1 (ko) 2007-05-28 2007-05-28 다수의 반사체를 구비하는 평판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4553A KR20080104553A (ko) 2008-12-03
KR100888435B1 true KR100888435B1 (ko) 2009-03-11

Family

ID=40366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1469A KR100888435B1 (ko) 2007-05-28 2007-05-28 다수의 반사체를 구비하는 평판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84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927B1 (ko) * 2011-12-27 2012-08-03 김형태 이중 광원 조명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3643A2 (en) * 2010-05-14 2011-11-17 Matrix Railway Inc Led lighting apparatus
KR101130450B1 (ko) * 2010-05-06 2012-03-27 주식회사 디에스 조명 시스템
KR101683756B1 (ko) * 2014-09-03 2016-12-07 김태윤 반사판 및 이를 이용한 평판조명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8004A (ja) * 1995-06-01 1996-12-13 Alps Electric Co Ltd 液晶表示装置のバックライト構造
KR19990075202A (ko) * 1998-03-18 1999-10-15 윤종용 엘씨디 모듈
KR20010097147A (ko) * 2000-04-20 2001-11-08 박득일 백색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과 고순도백색광의 발광방법
KR20060007518A (ko) * 2004-07-20 2006-01-26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유니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8004A (ja) * 1995-06-01 1996-12-13 Alps Electric Co Ltd 液晶表示装置のバックライト構造
KR19990075202A (ko) * 1998-03-18 1999-10-15 윤종용 엘씨디 모듈
KR20010097147A (ko) * 2000-04-20 2001-11-08 박득일 백색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과 고순도백색광의 발광방법
KR20060007518A (ko) * 2004-07-20 2006-01-26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유니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927B1 (ko) * 2011-12-27 2012-08-03 김형태 이중 광원 조명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4553A (ko) 2008-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82160B1 (en) Thin illumination device, display device and luminary device
JP5438766B2 (ja) 照明器具及び照明システム
RU2637513C2 (ru) Осветитель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JP2006267991A (ja) バックライトモジュール
JP2008288183A (ja) 照明器具
US20160123553A1 (en) Light-emitting module with a curved prism sheet
KR101993361B1 (ko) 광 조명 기구의 블레이드
US8556470B2 (en) Illuminator
JP2008053203A (ja) 面光源装置、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液晶表示装置
JP2016526762A (ja) 流体通路を有する光学素子を備えた照明デバイス
JP6339092B2 (ja) 光ガイドを用いた発光アレンジメント
JP2000030521A (ja) 面発光光源
KR100888435B1 (ko) 다수의 반사체를 구비하는 평판 조명 장치
US20030039113A1 (en) Lighting unit
RU2633924C2 (ru)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на основе теплопроводного листа со светорассеивающими частицами
JP2007294252A (ja) 発光パネル並びに照明器具及び電照パネル
TW573181B (en) Direct backlight module
KR20080049347A (ko) 백색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명등
JP4841513B2 (ja) 照明装置
JP2006228716A (ja)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のバックライトモジュール
JP2006313682A (ja) 光源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光源装置
KR20090116991A (ko) 조명 장치
JP4465416B2 (ja) フィールドエミッション型面状光源および面状光源装置
TWI281070B (en) Backlight moduld
JP2002040970A (ja) 面光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