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8007B1 - 디지털 낙서장 - Google Patents

디지털 낙서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8007B1
KR100888007B1 KR1020070011651A KR20070011651A KR100888007B1 KR 100888007 B1 KR100888007 B1 KR 100888007B1 KR 1020070011651 A KR1020070011651 A KR 1020070011651A KR 20070011651 A KR20070011651 A KR 20070011651A KR 100888007 B1 KR100888007 B1 KR 100888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creen
date
lcd touch
camera
hou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1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3086A (ko
Inventor
김명석
이동규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70011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8007B1/ko
Publication of KR20080073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3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11/00Synchronisation of independently-driven clocks
    • G04C11/06Synchronisation of independently-driven clocks with direct mechanical action on the time-indicat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8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sensing at the edges of the touch surface the interruption of optical paths, e.g. an illumination plane, parallel to the touch surface which may be virtu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디지털 낙서장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시계와; 시계에 설치되는 LCD 터치스크린, 작동버튼, 탐색버튼, 전원버튼과; LCD 터치스크린에 사용자가 터치하면 이를 감지를 하는 센서와; 시계에 설치되며, LCD 터치스크린에 기록된 내용 및 기록할 당시의 사용자의 모습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카메라에서 촬영된 내용이 날짜별로 저장되는 메모리와; 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카메라가 작동되도록 하고, 카메라에서 촬영된 내용이 날짜별로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하며, 탐색버튼을 누른 후 날짜를 맞추면 그 날짜에 해당하는 내용을 상기 LCD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글씨로 된 내용과 그 당시의 모습을 남길 수 있으며 출력이 용이하여 기억하고자 하는 소중한 시간들을 생동감 있게 소중히 간직할 수 있다.
디지털, 낙서장, 시계, LCD 터치스크린, 메모리, 센서, 제어부

Description

디지털 낙서장{Digital scribble pa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낙서장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침링, 분침링과 센서들의 구조 및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낙서장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의 작동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및
도 5a 내지 도 5f는 LCD 터치스크린에 기재된 내용의 예시 화면들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낙서장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록된 내용을 입출력할 수 있는 디지털 낙서장에 관한 것이다.
시간과 일에 치여 사는 현대인에게 시계와 스케줄러, 다이어리 등은 필수이다. 바쁜 와중에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순간을 기록하고 싶은 때가 자주 생기기 마련이다. 다이어리, 메모장, PDA 등의 개인용품 뿐 아니라 집안의 달력, 아이들의 그림 일기장, 그리고 커피숍의 테이블 위의 낙서들 등은 그 순간을 기록하고 기억하기 위한 여러 가지 도구들이다. 하지만, 디지털화된 현대에서는 그러한 도구들도 내용들을 저장하고 출력할 수 있도록 디지털화할 필요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발명자에 의하여 전시회에 발표되고 그 후 특허 출원되어 2006년 6월 16일 10-2006-66334호로 공개된 발명에는 기록된 내용들을 날짜별로 생동감 있게 저장하고 출력할 수 있는 디지털 낙서장이 개시되어 있지만 구체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구성이 기재되지 못하여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록된 내용들을 날짜별로 생동감 있게 저장하고 출력할 수 있는 디지털 낙서장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낙서장은: 날짜 표시란이 있는 시간 문자판과, 분침이 있으며 상기 시간 문자판에 새겨진 문자들이 외측에 위치되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분침링과, 시침이 있으며 상기 분침링이 외측에 위치되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시침링을 포함하는 시계와; 상기 시침의 위치를 파악하는 제1 센서 및 상기 분침의 위치를 파악하는 제2 센서와; 상기 시계에 설치되는 LCD 터치스크린, 작동버튼, 탐색버튼 및 전원버튼과; 상기 LCD 터치스크린에 사용자가 터치하면 이를 감지를 하는 제3 센서와; 상기 시계에 설치되며, 상기 LCD 터치스크린에 기록된 내용 및 기록할 당시의 사용자의 모습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내용이 날짜별로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제1 및 제2 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시침과 상기 분침을 상기 시간 문자판의 12에 맞춘 상태에서 상기 시침링과 상기 분침링을 동시에 회전시키면 상기 시간 문자판 상의 1분이 1년에 해당되어 연도(年度)가 변화되고 상기 시침링만을 회전시키면 상기 시간 문자판 상의 1시간이 1월에 해당되어 월(月)이 변화되며 상기 분침링만을 회전시키면 상기 시간 문자판 상의 1분이 1일에 해당되어 일(日)이 변화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3 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카메라가 작동되도록 하고,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내용이 날짜별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하며, 상기 탐색버튼을 누른 후 날짜를 맞추면 그 날짜에 해당하는 내용을 상기 LCD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낙서장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낙서장은 시계(100), LCD 터치스크린(200), 작동버튼(310), 탐색버튼(320), 전원버튼(330), 카메라(400), 제1, 제2 및 제3 센서(미도시), 메모리(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시계(100)는, 날짜 표시란을 포함하는 통상의 시간 문자판(110)과,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1회전으로 12시간의 흐름을 나타내는 시침링(120)과,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1회전으로 60분의 흐름을 나타내는 분침링(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시침링(120)에는 시침(121)이 있고, 분침링(130)에는 분침(131)이 있다. 한편 시침링(120)과 분침링(130)은, 분침링(130) 외측에 시간 문자판(110)에 새겨진 문자들이 위치되도록, 그리고 분침링(130) 내측에는 시침링(120)이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시계에는 벽에 걸기위한 홈(140)이 형성된다.
시계(100)에는 LCD 터치스크린(200)과, 작동버튼(310)과, 탐색버튼(320)과, 전원버튼(330)과 제1, 제2 및 제3 센서가 설치된다. 제1 센서는 시침의 위치를 파악하고, 제2 센서는 분침의 위치를 파악하며, 제3 센서는 사용자가 LCD 터치스크린을 터치하면 이를 감지한다. 전원버튼(330)을 온(on)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낙서장이 작동된다. 작동버튼(310)은 LCD 터치스크린(200)에 기록을 할 수 있는 상태 및 그 때 당시 작성자의 모습을 카메라(400)에 담아서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 때 사용하는 버튼이다. 사용자는 LCD 터치스크린(200)에 펜 또는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내용을 기재하게 된다. 그러면, 제3 센서가 이를 감지하고 신호를 제어부로 보내면 제어부에서는 카메라(400)가 이를 촬영하도록 한다. 탐색버튼(320)은 메모리에 저장된 내용을 LCD 터치스크린(200)에 표시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버튼이다.
카메라(400)는 시계(100)에 설치되며, 작동버튼(310)을 누른 후 LCD 터치스크린(200)에 내용을 기록하면 LCD 터치스크린(200)에 기록된 내용 및 기록할 당시의 작성자의 모습을 촬영한다.
메모리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카메라(400)에서 촬영된 내용을 날짜별로 저장한다.
제어부는 제3 센서에 의해 카메라(400)를 작동시키게 하고, 카메라(400)에서 촬영된 내용이 메모리에 날짜별로 저장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탐색버튼(320)을 누른 후 내용을 기록했던 날짜를 맞추면 그 때의 내용이 LCD 터치스크린(20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제1 및 제2 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날짜가 변화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는 제1 및 제2 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시침(121)과 분침(131)을 시간 문자판의 12에 맞춘 상태에서 시침링(120)과 분침링(130)을 동시에 회전시키면 시간 문자판 상의 1분이 1년에 해당되어 연도(年度)가 변화되고 시침링(120)만을 회전시키면 시간 문자판 상의 1시간이 1월에 해당되어 월(月)이 변화되며 분침링(130)만을 회전시키면 시간 문자판 상의 1분이 1일에 해당되어 일(日)이 변화되도록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침링, 분침링과 센서들의 구조 및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이 때, 시침링 및 제1 센서의 구조 및 작동 원리와 분 침링 및 제2 센서의 구조 및 작동 원리는 동일하므로 시침링 및 제1 센서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시침링(120)은 중심축에 고정되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바퀴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시침링(120)의 외면에는 시침링이 이루는 각도 즉, 360°를 복수 개로 분할할 수 있는 패턴을 가지고 있다.
제1 센서(510)로는 시침링(120)에 형성된 패턴을 인식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모든 종류의 감지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제1 센서(510)에 어떤 특정의 패턴이 감지되면 시침(121)이 지시하는 위치를 전기적 시호로 발생시켜 제어부로 송신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낙서장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낙서장의 작동을 위해서는 센서들과 정보 입출력 및 외부 메모리와 제어부의 연결에 의하여 신호 처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정보 입출력부는 LCD 화면 및 그 화면 전면에 부착된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진다.
제어부는 제1, 제2 및 제3 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 입력부와,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사용자가 지시하는 정보를 받아들이는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와,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사용자가 지시한 날짜에 해당하는 내용을 LCD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비디오 포트와, 외부 메모리와 연결하기 위한 메모리 인터페이스와, 프로 그래머블 메모리 및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프로그래머블 메모리는 시침링, 분침링 및 터치스크린의 입력에 따른 화면 출력과 메모리 기억 등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낙서장의 작동을 가능하게 해주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내부 메모리이고,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프로그래머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제어부의 입력, 출력 장치에 접근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순차적으로 발생 할 수 있도록 한다.
외부 메모리로는 사용자가 임의로 기록한 자료를 저장 할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Hard disk),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및 시디-롬(CD-ROM) 등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데이터 저장 장치를 사용할 수 있고, 재어부와의 데이터의 전송 방식으로는 IDE, USB, internet protocol, 이동통신용 송수신 protocol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데이터 전송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낙서장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낙서장은 평소에는 벽시계로 사용된다. 그러다가, 사용자가 작동버튼(310)을 누른 후 LCD 터치스크린(200)에 내용을 기재하면 그 내용과 사용자의 모습을 카메라(400)가 촬영하고 그 영상이 그 때의 날짜와 함께 메모리에 저장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탐색버튼(320)을 누른 후 시침링(120)과 분침링(130)을 회전시켜 해당 날짜가 입력되면 그 날짜에 저장된 내용이 LCD 터치스크린(200)을 통하여 출력된다. 이 때, 시침(121)과 분침(131)을 시간 문자판(110)의 12에 맞춘 상태에서 시침링(120)과 분침링(130)을 동시에 회전시키면 시간 문자판(110) 상의 1분이 1년에 해당되어 연도(年度)가 변화되고, 시침링(120)만을 회전시키면 시간 문자판(110) 상의 1시간이 1월에 해당되어 월(月)이 변화되며, 분침링(130)만을 회전시키면 시간 문자판(110) 상의 1분이 1일에 해당되어 일(日)이 변화되도록 프로그램됨으로써 용이하게 날짜를 조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의 작동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사용자 프로그램, 즉 프로그래머블 메모리에 의하여 신호 입력부에 반복적으로 접근하여 신호의 입력 여부를 확인하고, 분침링 및/또는 시침링의 회전으로 센서들이 반응하여 신호 입력부에 신호가 입력되면 사용자 프로그램은 입력된 신호가 담고 있는 정보들을 파악한다. 즉, 사용자 프로그램은 일(日), 월(月) 또는 연도(年度)가 변화되는 지를 파악한다. 그리고 그 신호들로부터 접근해야 하는 기록 데이터의 어드레스를 매칭시키며 외부 메모리에 접근하도록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명령을 내리고 매칭된 어드레스를 전송한다. 그러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기록 데이터를 외부 메모리로부터 불러오고, 사용자 프로그램은 불러온 데이터의 내용으로부터 화면 출력을 결정한다. 화면 출력 명령이 내려지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화면 출력내용과 비디오포트를 연결시키면 내용이 화면으로 출력되게 된다.
도 5a 내지 도 5f는 LCD 터치스크린에 기재된 내용의 예시 화면들이다.
도 5a 내지 도 5f를 참조하면, 월별로 바탕화면의 색상에 변화를 줌으로써 사용자의 기호를 한층 더 충족시켰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낙서장에 의하면, 글씨로 된 내용과 그 당시의 모습을 남길 수 있으며 출력이 용이하여 기억하고자 하는 소중한 시간들을 생동감 있게 소중히 간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Claims (2)

  1. 날짜 표시란이 있는 시간 문자판과, 분침이 있으며 상기 시간 문자판에 새겨진 문자들이 외측에 위치되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분침링과, 시침이 있으며 상기 분침링이 외측에 위치되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시침링을 포함하는 시계와;
    상기 시침의 위치를 파악하는 제1 센서 및 상기 분침의 위치를 파악하는 제2 센서와;
    상기 시계에 설치되는 LCD 터치스크린, 작동버튼, 탐색버튼 및 전원버튼과;
    상기 LCD 터치스크린에 사용자가 터치하면 이를 감지를 하는 제3 센서와;
    상기 시계에 설치되며, 상기 LCD 터치스크린에 기록된 내용 및 기록할 당시의 사용자의 모습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내용이 날짜별로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제1 및 제2 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시침과 상기 분침을 상기 시간 문자판의 12에 맞춘 상태에서 상기 시침링과 상기 분침링을 동시에 회전시키면 상기 시간 문자판 상의 1분이 1년에 해당되어 연도(年度)가 변화되고 상기 시침링만을 회전시키면 상기 시간 문자판 상의 1시간이 1월에 해당되어 월(月)이 변화되며 상기 분침링만을 회전시키면 상기 시간 문자판 상의 1분이 1일에 해당되어 일(日)이 변화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3 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카메라가 작동되도록 하고,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내용이 날짜별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하며, 상기 탐색버튼을 누른 후 날짜를 맞추면 그 날짜에 해당하는 내용을 상기 LCD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디지털 낙서장.
  2. 삭제
KR1020070011651A 2007-02-05 2007-02-05 디지털 낙서장 KR100888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651A KR100888007B1 (ko) 2007-02-05 2007-02-05 디지털 낙서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651A KR100888007B1 (ko) 2007-02-05 2007-02-05 디지털 낙서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3086A KR20080073086A (ko) 2008-08-08
KR100888007B1 true KR100888007B1 (ko) 2009-03-09

Family

ID=39883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1651A KR100888007B1 (ko) 2007-02-05 2007-02-05 디지털 낙서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80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75690A (zh) * 2011-10-25 2012-03-14 深圳桑菲消费通信有限公司 一种触屏移动终端及其设置时间的方法
KR102447246B1 (ko) * 2015-10-02 2022-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시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3444A (ja) 1998-11-25 2000-06-16 Seiko Epson Corp 携帯情報機器及び情報記憶媒体
KR20010050157A (ko) * 1999-08-25 2001-06-15 스와츠아크티엔게젤샤프트 컴퓨터 커서를 위한 비접촉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시계
KR20010113374A (ko) * 2000-06-19 2001-12-28 구자홍 냉장고의 일정표시장치 및 그 방법
US20060073851A1 (en) 2004-09-15 2006-04-06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of wireless data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3444A (ja) 1998-11-25 2000-06-16 Seiko Epson Corp 携帯情報機器及び情報記憶媒体
KR20010050157A (ko) * 1999-08-25 2001-06-15 스와츠아크티엔게젤샤프트 컴퓨터 커서를 위한 비접촉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시계
KR20010113374A (ko) * 2000-06-19 2001-12-28 구자홍 냉장고의 일정표시장치 및 그 방법
US20060073851A1 (en) 2004-09-15 2006-04-06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of wireless data
KR20060051353A (ko) * 2004-09-15 2006-05-19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무선 데이터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3086A (ko) 2008-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65449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and surrounding touch sensitive surfaces for user interface and control
CA2917174C (en) A mobile device operating system
CN104049734B (zh) 基于用户接触显示图形用户界面的方法和设备
US10706133B2 (en) Smart watch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2060153B1 (ko) 커버, 이를 이용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6048847B2 (ja) 相対時刻表示装置、および相対時刻表示プログラム
CN109144173A (zh) 电子手表的接触敏感冠部
JP2017504853A (ja) モバイルデバイスにおけるユーザ認証バイオメトリクス
EP2449434A1 (fr) Montre-bracelet a ecran tactile et procede d'affichage sur une montre a ecran tactile
TW201145077A (en) Magnetic sensor for use with hand-held devices
JP2011233064A (ja) 情報処理装置及び表示画面操作方法
KR102356449B1 (ko) 회전 입력에 따른 추가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10134039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CN109361794B (zh) 移动终端的变焦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JP2015533002A (ja) 書き込みのメモと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相関
KR100888007B1 (ko) 디지털 낙서장
CN107872573B (zh) 一种闹钟设置方法及终端
US2019006572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cessing Contents
CN109033100A (zh) 提供页面内容的方法及装置
JP2017078950A (ja) ウェアラブル端末装置及びウェアラブル端末装置の制御方法
TWI457822B (zh) 資訊顯示方法及其系統與儲存媒體
KR20060066334A (ko) 디지털 낙서장
US20160216942A1 (en) Method and system for e-reading page transition effect
JP2019096305A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3085530A (ja) 表示方法、及び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