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7748B1 - 어스 앵커 브라켓 - Google Patents

어스 앵커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7748B1
KR100887748B1 KR1020080010881A KR20080010881A KR100887748B1 KR 100887748 B1 KR100887748 B1 KR 100887748B1 KR 1020080010881 A KR1020080010881 A KR 1020080010881A KR 20080010881 A KR20080010881 A KR 20080010881A KR 100887748 B1 KR100887748 B1 KR 100887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s
plate
earth
earth anchor
ancho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0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연식
Original Assignee
노연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연식 filed Critical 노연식
Priority to KR1020080010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77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7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7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연약지반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반 내에 삽입 고정되는 어스 앵커(earth anchor)를 지지하는 어스 앵커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어스 앵커 브라켓은 수평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베이스 플레이트, 두 측판, 및 지압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는 두 측판을 연결하고 있다. 두 측판의 각각의 일측은 원호형태의 오목부가 제공된 경사변이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지압플레이트는 다리부와 몸체부를 포함하고 있다. 지압플레이트의 다리부는 두 측판의 오목부에 대응하는 볼록한 곡률로 접하고 경사변에 대한 앵커체의 각도가 자유롭게 조절되도록 오목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다. 지압플레이트의 몸체부는 두 다리부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부에는 앵커체를 인출하기 위한 인출공이 제공되어 있다. 두 측판의 사이에는 수평보에 걸리도록 굴곡 형성된 걸림편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앵커체의 자유단을 지지하는 지압플레이트가 측판의 원호형태의 오목부를 따라 이동됨으로써 앵커체의 고정각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어스 앵커, 브라켓, 어스 앵커 브라켓, 에이치빔

Description

어스 앵커 브라켓{EARTH ANCHOR BRACKET}
본 발명은 연약지반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반 내에 삽입 고정되는 어스 앵커(earth anchor)를 지지하는 어스 앵커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어스 앵커의 자유단을 지지하는 지압플레이트가 측판의 원호형태의 오목부를 따라 이동됨으로써 어스 앵커의 고정각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게 한 어스 앵커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건축 현장의 터파기 공사나 기초공사에서 굴착공을 형성할 때 토류벽이 굴착공쪽으로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어스 앵커 공법이 많이 이용된다. 어스 앵커 공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 중,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어스 앵커 브라켓의 사용 상태 단면도이고,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른 어스 앵커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에 H빔 등을 이용한 엄지말뚝을 박고 지정된 지반을 굴착한 후에 각각의 엄지말뚝 사이에 토류판을 삽입하여 토류벽(1)을 형성한다.
이어서 토류벽(1)으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으로 천공을 실시하고, 천공부(2)에 앵커체(3)를 박은 후에 정착장(Lb)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그라우팅을 실시하여 앵커체(3)를 고정시킨다. 일반적으로 앵커체(3)는 굴착공의 바닥면(6) 모서리와 지반사이에 토질에 따른 설계기준에 의해 가상붕괴선(도면상 점선)을 설정한 후 천공각과 만나는 부분을 기준으로 자유장(La)과 정착장(Lb)으로 구분되며 통상 1차 그라우팅은 정착장(Lb)에 대해 실시된다.
그라우팅의 양생이 완료되면 앵커체(3)의 자유장(La)에 인장력을 가하여 토류벽(1)의 수평보(4)에 설치된 브라켓(10)에 고정하며, 이를 위해 앵커체(3)의 자유장(La)을 브라켓(10)에 형성된 인출공을 통해 통과시킨 후에 상기 인출공보다 큰 직경의 콘(5)을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앵커체(3)를 브라켓(10)에 고정시킨 후에는 천공부(2)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2차 그라우팅을 실시하여 시공을 마치게 되며, 이를 통해 앵커체(3)의 인장력이 토압에 대응하여 토류벽(1)을 지지하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체(3)의 자유장(La)에 인장력을 가하여 고정하는 종래의 브라켓(10)으로서,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대략 삼각형상의 2개의 측판(11), 상기 양 측판(11)의 동일 경사변의 상부에 횡설(橫設)되어 양 측판(11)을 연결하는 한편 중심부에 앵커체(3)가 인출되는 인출공(12a)을 가지는 지압플레이트(12)를 포함한다.
그런데, 이러한 브라켓(10)은 앵커체(3)의 인장력이 지압플레이트(12)와 양 측판(11)을 통해 분배되기 때문에 실제 시공과정에서 지압플레이트(12)가 휘어지거나 측판(11)이 변형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0)은 수평보(4)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브라켓(10)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브라켓(10)의 양 측판을 수평보(4)에 용접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브라켓(10)을 수평보(4)에 용접 결합하기 전에 임시 고정이 어려워 불편함이 있었으며 시공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앵커체의 인장방향이 기준 인장각도와 달라지더라도 하나의 브라켓만으로 앵커체의 고정각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게 하고, 앵커체에 대한 지지력을 강화시키며, 수평보에 브라켓을 더욱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어스 앵커 브라켓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스 앵커 브라켓은,
토류벽에 형성된 천공에 삽입되는 앵커체의 자유단을 고정하기 위해 토류벽의 측면에 결합된 수평보에 의해 지지되는 것으로서,
각각의 일측은 원호형태의 오목부가 제공된 경사변이고, 타측은 수평보에 의해 지지되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측판; 및
두 측판의 오목부에 대응하는 볼록한 곡률로 접하고 경사변에 대한 앵커체의 각도가 자유롭게 조절되도록 오목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다리부, 및 두 다리부를 연결하고 앵커체를 인출하기 위한 인출공이 제공된 몸체부를 갖는 지압플레이트를 포함하고,
두 측판의 오목부와 지압플레이트의 다리부는 접합면에 각각 요철이 형성되어 상호 요철 결합에 의해 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바람직하게는, 지압플레이트의 다리부는 두 측판의 오목부를 수용하는 홈을 갖고 오목부의 양측을 감싸는 보조 다리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두 측판의 오목부는 지압플레이트의 다리부를 수용하는 홈을 갖고 다리부의 양측을 감싸는 보조 벽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두 측판의 외측벽 및 내측벽에는 지압플레이트의 각 보조 다리부를 지지하기 위한 보강편이 보조 다리부에 대응하는 곡률로 각각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두 측판으로부터 지압플레이트의 이탈 방지를 위하여, 일단이 두 측판의 내측벽에 제공된 보강편에 고정되고 타단이 보강편에 대응하는 쪽의 지압플레이트의 각 보조 다리부에 제공된 홈에 수용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두 측판으로부터 지압플레이트의 이탈 방지를 위하여, 일단이 지압플레이트의 내측의 각 보조 다리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각 보조 다리부에 대응하는 두 측판의 내측벽의 보강편에 제공된 홈에 수용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스 앵커 브라켓은,
토류벽에 형성된 천공에 삽입되는 앵커체의 자유단을 고정하기 위해 토류벽의 측면에 결합된 수평보에 의해 지지되는 것으로서,
각각의 일측은 원호형태의 오목부가 제공된 경사변이고, 타측은 수평보에 의해 지지되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측판; 및
두 측판의 오목부에 대응하는 볼록한 곡률로 접하고 경사변에 대한 앵커체의 각도가 자유롭게 조절되도록 오목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다리부, 및 두 다리부를 연결하고 앵커체를 인출하기 위한 인출공이 제공된 몸체부를 갖는 지압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지압플레이트의 다리부는 두 측판의 오목부를 수용하는 홈을 갖고 오목부의 양측을 감싸는 보조 다리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스 앵커 브라켓은,
토류벽에 형성된 천공에 삽입되는 앵커체의 자유단을 고정하기 위해 토류벽의 측면에 결합된 수평보에 의해 지지되는 것으로서,
각각의 일측은 원호형태의 오목부가 제공된 경사변이고, 타측은 수평보에 의해 지지되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측판; 및
두 측판의 오목부에 대응하는 볼록한 곡률로 접하고 경사변에 대한 앵커체의 각도가 자유롭게 조절되도록 오목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다리부, 및 두 다리부를 연결하고 앵커체를 인출하기 위한 인출공이 제공된 몸체부를 갖는 지압플레이트를 포함하며,
두 측판의 오목부는 지압플레이트의 다리부를 수용하는 홈을 갖고 다리부의 양측을 감싸는 보조 벽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두 측판을 연결하도록 두 측판의 타측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두 측판의 사이에는 수평보에 걸리도록 굴곡 형성된 걸림편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앵커체의 인장방향에 따라 지압플레이트의 각도를 무한히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서 시공효율이 높아지며, 지압플레이트를 인장방향에 대해 항상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어서 최대의 인장력을 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 크기의 브라켓을 기준으로 볼 때 종래에 비해 앵커체의 인장력을 버티는 성능이 강화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브라켓의 경량화와 소형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걸림편을 이용하여 브라켓을 수평보에 임시 고정한 후 결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 중,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어스 앵커 브라켓이 나타나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어스 앵커 브라켓의 사용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어스 앵커 브라켓은, 수평보(4, 도 3 참조)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베이스 플레이트(130), 베이스 플레이트(130)에 평행하게 배치된 대략 삼각형의 두 측판(110), 및 두 측판(110)의 경사변의 위쪽에 결합된 지압플레이트(120)를 포함하고 있다.
두 측판(110)의 일측 경사변에는 원호형태의 오목부(111)가 제공되어 있으며, 두 측판(110)의 하측은 하나 이상의 베이스 플레이트(130)에 결합되어 있다. 즉, 두 측판(110)의 하측은 베이스 플레이트(130)에 의해 평행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두 측판(110)의 경사변을 따라 어느 정도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연결편(112,114,116)이 제공되어 두 측판(110)의 상부를 연결하고 있다.
한편, 두 측판(110)의 사이에는 수평보(4)에 걸리도록 굴곡 형성된 걸림편(140)이 결합되어 있다. 걸림편(140)은 두 측판(110)의 내측벽에 각각 결합되는 지지부(142), 및 수평보(4)에 걸려 두 측판(110)을 임시 고정하기 위한 걸림부(144)를 포함하고 있다. 걸림편(140)은 어느 하나의 베이스 플레이트(130)에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편(140)은 베이스 플레이트(130)에 의한 두 측판(110)의 연결을 더욱 보완할 수 있다.
두 측판(110)의 오목부(111)는 일정 곡률을 갖는 원호형으로 경사변에 대해 도려진 형태로 제공되어 있으며, 지압플레이트(120)는 이 오목부(111)에 대응하는 볼록한 곡률로 접하고 있다. 지압플레이트(120)는 몸체부(128)와 다리부(124)를 포함하고 있는데, 다리부(124)의 하면이 오목부(111)에 대응하도록 원호형으로 제공되어 오목부(111)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즉, 도면상 두 측판(110)의 오목부(111)의 상면에 접하도록 지압플레이트(120)의 다리부(124)의 하면이 일정 곡률을 갖는 원호형으로 제공되어 있다.
지압플레이트(120)의 다리부(124)는 두 측판(110)의 오목부(111)와 각각 요철 결합에 의해 접하는데, 지압플레이트(120)의 다리부(124)에는 두 측판(110)의 오목부(111)를 수용하는 홈, 및 오목부(111)의 양측을 감싸는 보조 다리부(127)가 제공되어 있다. 그리하여, 지압플레이트(120)의 다리부(124)에 두 측판(110)의 오목부(111)가 각각 삽입되어 결합된 것이다. 한편, 두 측판(110)의 외측벽 및 내측벽에는 지압플레이트(120)의 각 보조 다리부(127)를 지지하기 위한 보강편(118)이 제공되어 있다. 이 보강편(118)은 보조 다리부(127)에 대응하는 곡률로 각각 제공되어 있으며, 지압플레이트(120)가 두 측판(110)의 오목부(111)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때 균형을 유지하도록 돕는다.
지압플레이트(120)의 몸체부(128)는 두 다리부(124)를 연결하고, 앵커체(3)를 인출하기 위한 인출공(122)을 구비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어스 앵커 브라켓의 사용 상태를 살펴볼 수 있다.
먼저, 종래와 같이 토류벽(1)을 형성하고 토류벽(1)으로부터 일정 경사각으로 천공을 실시한 후, 천공부(2)에 앵커체(3)를 박았다. 이어서, 토류벽(1)의 수평보(4)에 본 발명의 어스 앵커 브라켓을 설치하고, 앵커체(3)의 자유단을 당긴 다음 콘(5)을 이용하여 고정시켰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어스 앵커 브라켓을 사용하면, 지압플레이트(120)가 두 측판(110)의 오목부(111)의 원호를 따라 이동하므로, 앵커체(3)의 자유단을 최대 인장력으로 당겨도 지압플레이트(120)가 두 측판(111)에 대해 자유롭게 각도 조절되어 안착되어, 앵커체(3)가 최대 인장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즉, 두 측판(110)의 오목부(111)의 원호를 따라 지압플레이트(120)가 슬라이딩 가능하여, 앵커체(3)가 최대로 당겨졌을 때 지압플레이트(120)가 오목부(111)에 대해 고정된다.
물론, 본 발명의 제 2 내지 제 4 실시예에 따른 어스 앵커 브라켓의 사용 상태도 위에 설명한 바와 같다.
첨부 도면 중,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어스 앵커 브라켓이 나타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어스 앵커 브라켓은 제 1 실시예와 거의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두 측판(210)으로부터 지압플레이트(220)의 이탈 방지를 위하여 고정부재(230)가 더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어스 앵커 브라켓도 하나 이상의 베이스 플레이트(130), 두 측판(210), 및 지압플레이트(220)를 포함하고 있다.
두 측판(210)의 일측 경사변에는 원호형태의 오목부(211)가 제공되어 있으며, 두 측판(210)의 하측은 베이스 플레이트(130)에 의해 평행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두 측판(210)의 경사변을 따라 어느 정도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연결편(212,214,216)가 제공되어 두 측판(210)의 상부를 연결하고 있다. 또한, 두 측판(210)의 사이에는 걸림편(140)이 결합된다.
두 측판(210)의 오목부(211)와 지압플레이트(220)는 서로 대응하는 곡률로 접하고 있다. 지압플레이트(220)는 몸체부(228)와 다리부(224)를 포함하고 있으며, 몸체부(128)에는 인출공(122)이 구비되어 있다. 지압플레이트(220)의 다리부(224)는 오목부(211)를 수용하는 홈(225), 및 오목부(211)의 양측을 감싸는 보조 다리부(227)를 갖고 있어서, 이 홈(225)에 오목부(211)가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어 있다. 두 측판(210)의 외측벽 및 내측벽에는 지압플레이트(220)의 각 보조 다리부(227)를 지지하기 위한 보강편(218)이 제공되어 있다.
두 측판(210)으로부터 지압플레이트(220)의 이탈 방지를 위하여 제공된 고정부재(230)는, 일단이 두 측판(210)의 내측벽에 제공된 보강편(218)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이 보강편(218)에 대응하는 쪽의 지압플레이트(220)의 각 보조 다리부(227)에 제공된 홈(226)에 수용되어 있다. 즉, 지압플레이트(220)의 각 보조 다리부(227)에 일정 곡률을 갖는 원호형태의 홈(226)을 가공하고 고정부재(230)의 일단을 두 측판(210)의 내측벽에 제공된 보강편(218)에 결합하면, 고정부재(230)의 타단이 보조 다리부(227)의 홈(226)에 수용된다. 지압플레이트(220)는 이동시 홈(226)에 의해 고정부재(230)에 걸리지 않고 부드럽게 이동될 수 있다. 한편, 고정부재(230)에 의해서 지압플레이트(120)와 두 측판(110)은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동 및 설치시 사용자에게 더욱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어스 앵커 브라켓이 나타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어스 앵커 브라켓은 제 2 실시예와 거의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 2 실시예와는 고정부재(230)의 설치구조가 다를 뿐이다.
즉,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부재(230)는 일단이 지압플레이트(220)의 내측의 각 보조 다리부(227)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이 각 보조 다리부(227)에 대응하는 두 측판(210)의 내측벽의 보강편(218)에 제공된 홈(219)에 수용되어 있다. 즉, 두 측판(210)의 내측벽의 보강편(218)에 일정 곡률을 갖는 원호형태의 홈(219)을 각각 가공하고 고정부재(230)의 일단을 지압플레이트(220)의 보조 다리부(227)에 결합하면, 고정부재(230)의 타단이 보강편(218)의 홈(219)에 수용된다. 지압플레이트(220)의 이동시 고정부재(230)의 타단이 홈(219)을 따라 부드럽게 이동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어스 앵커 브라켓이 나타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어스 앵커 브라켓은 제 1 실시예와 거의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 1 실시예와는 두 측판(310)과 지압플레이트(320)가 접하는 부분의 구조가 다를 뿐이다.
즉, 두 측판(310)의 오목부에는 지압플레이트(320)의 다리부를 수용하는 홈(314), 및 지압플레이트(320)의 다리부의 양측을 감싸는 보조 벽부(316)가 제공 되어 있다. 그리하여, 두 측판(310)의 오목부에 지압플레이트(320)의 다리부가 각각 삽입되어 결합된 것이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 4 실시예에도 제 2 또는 제 3 실시예와 같이, 두 측판(310)으로부터 지압플레이트(320)의 이탈 방지를 위하여 고정부재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즉, 지압플레이트(320)의 다리부에 홈을 가공하고 두 측판(310)의 내측벽에 고정부재의 일단을 결합하여, 고정부재의 타단이 지압플레이트(320)의 다리부의 홈에 수용되게 하거나, 두 측판(310)의 내측벽에 홈을 가공하고 지압플레이트(320)의 다리부에 고정부재의 일단을 결합하여, 고정부재의 타단이 두 측판(310)의 내측벽의 홈에 수용되게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앵커체의 인장방향에 따라 지압플레이트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서 시공효율이 높아지며, 지압플레이트를 인장방향에 대해 항상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어서 최대의 인장력을 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 크기의 브라켓을 기준으로 볼 때 종래에 비해 앵커체의 인장력을 버티는 성능이 강화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브라켓의 경량화와 소형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걸림편을 이용하여 브라켓을 수평보에 임시 고정한 후 결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어스 앵커 브라켓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어스 앵커 브라켓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스 앵커 브라켓의 사용 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어스 앵커 브라켓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어스 앵커 브라켓의 결합 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어스 앵커 브라켓의 결합 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어스 앵커 브라켓의 결합 상태 단면도,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어스 앵커 브라켓의 사용 상태 단면도, 및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른 어스 앵커 브라켓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210, 310 : 측판 120, 220, 320 : 지압 플레이트
130 : 베이스 플레이트 140 : 걸림편
230 : 고정부재

Claims (11)

  1. 삭제
  2. 토류벽에 형성된 천공에 삽입되는 앵커체의 자유단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토류벽의 측면에 결합된 수평보에 의해 지지되는 어스 앵커 브라켓으로서,
    각각의 일측은 원호형태의 오목부가 제공된 경사변이고, 타측은 수평보에 의해 지지되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측판; 및
    상기 두 측판의 오목부에 대응하는 볼록한 곡률로 접하고 상기 경사변에 대한 상기 앵커체의 각도가 자유롭게 조절되도록 상기 오목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다리부, 및 상기 두 다리부를 연결하고 상기 앵커체를 인출하기 위한 인출공이 제공된 몸체부를 갖는 지압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두 측판의 오목부와 상기 지압플레이트의 다리부는 접합면에 각각 요철이 형성되어 상호 요철 결합에 의해 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 앵커 브라켓.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압플레이트의 다리부는 상기 두 측판의 오목부를 수용하는 홈을 갖고 상기 오목부의 양측을 감싸는 보조 다리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 앵커 브라켓.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두 측판의 오목부는 상기 지압플레이트의 다리부를 수용하는 홈을 갖고 상기 다리부의 양측을 감싸는 보조 벽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어스 앵커 브라켓.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두 측판의 외측벽 및 내측벽에는 상기 지압플레이트의 각 보조 다리부를 지지하기 위한 보강편이 상기 보조 다리부에 대응하는 곡률로 각각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 앵커 브라켓.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두 측판으로부터 상기 지압플레이트의 이탈 방지를 위하여, 일단이 상기 두 측판의 내측벽에 제공된 보강편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보강편에 대응하는 쪽의 상기 지압플레이트의 각 보조 다리부에 제공된 홈에 수용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 앵커 브라켓.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두 측판으로부터 상기 지압플레이트의 이탈 방지를 위하여, 일단이 상기 지압플레이트의 내측의 각 보조 다리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각 보조 다리부에 대응하는 상기 두 측판의 내측벽의 보강편에 제공된 홈에 수용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 앵커 브라켓.
  8. 삭제
  9. 삭제
  10. 제 2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측판을 연결하도록 상기 두 측판의 타측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 앵커 브라켓.
  11. 제 2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측판의 사이에는 상기 수평보에 걸리도록 굴곡 형성된 걸림편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 앵커 브라켓.
KR1020080010881A 2008-02-01 2008-02-01 어스 앵커 브라켓 KR100887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881A KR100887748B1 (ko) 2008-02-01 2008-02-01 어스 앵커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881A KR100887748B1 (ko) 2008-02-01 2008-02-01 어스 앵커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7748B1 true KR100887748B1 (ko) 2009-03-12

Family

ID=40697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0881A KR100887748B1 (ko) 2008-02-01 2008-02-01 어스 앵커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77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6656A (ko) 2021-09-08 2023-03-15 금오금속공업 주식회사 어스앵커 공법에 관한 각도 자동 조절형 앵커브라켓의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1972U (ko) * 1989-08-31 1991-04-22
JPH06322759A (ja) * 1993-05-14 1994-11-22 Kajima Corp アンカーの台座
KR200372358Y1 (ko) 2004-06-30 2005-01-14 대한금속주식회사 앵커체의 삽입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어스 앵커용 브라켓
KR200428745Y1 (ko) * 2006-07-14 2006-10-16 이기웅 그라운드 앵커용 브라켓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1972U (ko) * 1989-08-31 1991-04-22
JPH06322759A (ja) * 1993-05-14 1994-11-22 Kajima Corp アンカーの台座
KR200372358Y1 (ko) 2004-06-30 2005-01-14 대한금속주식회사 앵커체의 삽입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어스 앵커용 브라켓
KR200428745Y1 (ko) * 2006-07-14 2006-10-16 이기웅 그라운드 앵커용 브라켓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6656A (ko) 2021-09-08 2023-03-15 금오금속공업 주식회사 어스앵커 공법에 관한 각도 자동 조절형 앵커브라켓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0213B1 (ko) 톱니가 형성된 곡선부를 가지는 어스 앵커 브라켓
KR101888737B1 (ko) 조립식 철판 흙막이 구조물
JP6606911B2 (ja) 山留め壁の支持構造および山留め壁の支持工法
KR100887748B1 (ko) 어스 앵커 브라켓
KR102052591B1 (ko) 지오벨트 지지구, 지오벨트 고정장치 및 옹벽 시공방법
KR101034900B1 (ko) 어스앵커용 3d 브라켓
KR100980185B1 (ko) 다각을 갖는 브라켓
KR200354027Y1 (ko) 어스앵커 브라켓 지지구조
KR100950683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대좌
KR100899528B1 (ko) 스토퍼를 가지는 어스 앵커 브라켓
KR101597137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어스 앵커용 브라켓
KR101473704B1 (ko) 스프링 결합형 소일네일
KR101348339B1 (ko) 비개착공법용 지중압입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2007039937A (ja) 建物の基礎構造
KR101147334B1 (ko) 어스 앵커 브래킷
KR100575107B1 (ko) 옹벽지지를 위한 소일-네일링의 체결구조
KR200457659Y1 (ko) 어스 앵커용 브래킷
KR101042130B1 (ko) H빔을 이용한 어스 앵커용 브라켓
KR101004639B1 (ko) 앵커 브라켓
KR200449592Y1 (ko) 어스 앵커용 브라켓
JPH045308A (ja) 鉄筋かご
KR20170129327A (ko) Phc 파일
KR101661084B1 (ko) 프리스트레스 빔 및 복띠장을 이용한 흙막이벽 설치공법
KR200283335Y1 (ko) 그라운드 앵커용 내하체
KR101470895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어스앵커용 내설 대좌 및 이를 이용한 어스앵커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