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7511B1 - 고압 절전형 안정기 - Google Patents

고압 절전형 안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7511B1
KR100887511B1 KR1020080126310A KR20080126310A KR100887511B1 KR 100887511 B1 KR100887511 B1 KR 100887511B1 KR 1020080126310 A KR1020080126310 A KR 1020080126310A KR 20080126310 A KR20080126310 A KR 20080126310A KR 100887511 B1 KR100887511 B1 KR 100887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imer
light emitting
emitting tub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6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형구
Original Assignee
배형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형구 filed Critical 배형구
Priority to KR1020080126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75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7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7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4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high frequency ac, or with separate oscillator frequenc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02Details
    • H05B41/04Starting switc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1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dc or by low-frequency ac, e.g. by 50 cycles/sec ac, or with network frequenci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6Controlling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발광관을 점등 및 제어할 수 있는 고압 절전형 안정기에 관한 것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일정 시간 간격에 따라 개폐시킬 수 있는 타이머 스위칭부, 및 상기 타이머 스위칭부와 연결되어 빛을 발산할 수 있는 램프를 구비한 점등부를 갖추고, 상기 타이머 스위칭부와 점등부 사이에는 상기 타이머 스위칭부와 램프에 연결되어 상기 램프를 점등시킬 수 있는 이그나이터(igniter) 회로부가 구비되고, 상기 타이머 스위칭부와 이그나이터 회로부 사이에는 상기 타이머 스위칭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역률을 개선할 수 있는 역률 개선부가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고압 절전형 안정기는 소모 전력이 다른 2개의 발광관을 일정 시간 간격에 따라 교대로 점등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압 절전형 안정기는 사람의 유동량이 많고 적은 시간에 따라 고전력 발광관과 저전력 발광관을 교대로 점등시킬 수 있어, 시간의 변화에 따라 고전력을 지속적으로 소모하는 램프에 비하여 소모 전력을 대폭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고압, 절전, 안정기, 역률, 이그나이터(Igniter), 램프, 타이머, 릴레이

Description

고압 절전형 안정기{A Power Saving Type High Pressure Ballast}
본 발명은 2개의 발광관을 점등 및 제어할 수 있는 고압 절전형 안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그나이터 회로를 이용하여 램프를 점등함과 동시에, 상기 2개의 발광관을 타이머와 릴레이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호 번갈아 가며 점등시킬 수 있는 고압 절전형 안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이용하고 있는 인도나 도로의 가장자리에는 어두운 주변 환경을 밝게 비춰주기 위하여 램프를 이용한 조명등이 일렬로 길게 배치되는바, 상기 램프를 이용한 조명등은 통상적으로 날이 어두워지는 저녁 7시부터 아침 7시까지 고정적인 소모 전력을 가진 하나의 램프를 지속적으로 점등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고정적인 소모 전력을 가진 하나의 램프를 일정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점등하는 방식은 사람의 유동이 적은 심야 시간대의 전력 낭비를 줄일 수 없으며, 하나의 램프를 일정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점등시키므로, 램프의 수명이 절감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램프 수명의 절감으로 인한 유지 보수 비용이 추가적으로 소요되어, 램프의 교체 비용 및 유지 보수를 위한 인력의 낭비가 심화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램프 발광 방식에 따른 구조상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사람의 유동량에 따라 고전력 발광관과 저전력 발광관을 교대로 발광시키도록 함으로써, 램프에 소모되는 전력을 대폭 줄임과 동시에, 램프의 수명 및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고압 절전형 안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압 절전형 안정기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일정 시간 간격에 따라 개폐시킬 수 있는 타이머 스위칭부, 및 상기 타이머 스위칭부와 연결되어 빛을 발산할 수 있는 램프를 구비한 점등부를 갖추고, 상기 타이머 스위칭부와 점등부 사이에는 상기 타이머 스위칭부와 램프에 연결되어 상기 램프를 점등시킬 수 있는 이그나이터(igniter) 회로부가 구비되고, 상기 타이머 스위칭부와 이그나이터 회로부 사이에는 상기 타이머 스위칭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역률을 개선할 수 있는 역률 개선부가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고압 절전형 안정기는 소모 전력이 다른 2개의 발광관을 일정 시간 간격에 따라 교대로 점등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고압 절전형 안정기는 사람의 유동량이 많고 적은 시간에 따라 고전력 발광관과 저전력 발광관을 교대로 발광시킬 수 있어, 시간의 변화에 따라 고전력을 지속적으로 소모하는 램프에 비하여 소모 전력을 대폭 줄일 수 있고, 2개의 발광관을 교대로 점등시키므로, 램프 수명을 연장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압 절전형 안정기를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면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압 절전형 안정기의 내부 블록도이고, 도면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압 절전형 안정기의 내부 회로도이며, 도면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압 절전형 안정기의 외부에 입출력 단자가 장착된 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압 절전형 안정기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 공급부(1)와, 상기 전원 공급부(1)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일정 시간 간격에 따라 개폐시킬 수 있는 타이머 스위칭부(3), 및 상기 타이머 스위칭부(3)와 각각 연결되어 빛을 발산할 수 있는 램프를 구비한 점등부(5)를 갖추고, 상기 타이머 스위칭부(3)와 점등부(5) 사이에는 상기 타이머 스위칭부(3)와 램프에 연결되어 상기 램프를 점등시킬 수 있는 이그나이터(igniter) 회로부(7)가 구비되고, 상기 타이머 스위칭부(3)와 이그나이터 회로부(7) 사이에는 상기 타이머 스위칭부(3)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역률을 개선할 수 있는 역률 개선부(9)가 연결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1)는 도면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원을 이용하고, 상기 점등부(5)는 아크 점화식으로서, 도면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이그나이터 회로부(7)에 연결되는 400와트의 고전력 발광관(Discharge Lamps)(17)과, 100와트의 저전력 발광관(19)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타이머 스위칭부(3)는 도면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전력 발광관(17)와 저전력 발광관(19)를 일정 시간 간격에 따라 점등시킬 수 있는 제 1 타이머 스위치(11)와 제 2 타이머 스위치(13)로 이루어진다(여기서 '제 1'은 고전력 발광관에 연결되고, '제 2'는 저전력 발광관에 연결된다. 이하 같다).
또한, 상기 제 1 타이머 스위치(11)에는 세팅된 일정 시간에 따라 특정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제 1 타이머(15a)와, 상기 제 1 타이머(15a)를 온, 오프 시킬 수 있는 A 접점 릴레이 스위치(Ry(A)), 및 상기 제 1 타이머(15a)에 갖추어진 제 1 릴레이 코일(RC1)의 신호에 따라 온,오프될 수 있는 B 접점 릴레이 스위치(Ry(B))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제 2 타이머 스위치(13)는 세팅된 일정 시간에 따라 특정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제 2 타이머(15b)와, 상기 제 2 타이머(15b)에 갖추어진 제 2 릴레이 코일(RC2)의 신호에 따라 온,오프 될 수 있는 A 접점 릴레이 스위치(Ry(A))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역률 개선부(9)는 도면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역률 개선 회로(10a)와 제 2 역률 개선 회로(10b)로 이루어지는바, 상기 제 1 역률 개선 회로(10a) 또는 제 2 역률 개선 회로(10b)는 상기 제 1 타이머 스위치(11) 또는 제 2 타이머 스위치(13)를 거쳐 출력되는 전원선에 각각 커패시터(C1,C2)와 저항(R1,R2)을 병렬 연결함으로써, 상기 전원 공급부(1)로부터 인입되는 전원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이그나이터 회로부(7)는 상기 각각의 램프 즉, 400와트의 고전력 발광관(17)과, 100와트의 저전력 발광관(19)에 연결될 수 있는 제 1 이그나이터 회로(21a)와, 제 2 이그나이터 회로(21b)로 구성할 수 있는 바, 상기 제 1 이그나이터 회로(21a)와 제 2 이그나이터 회로(21b)는 상기 전력 소모가 각기 다른 발광관에 각각 연결된다는 것만 상이할 뿐, 내부 회로는 상호 동일하므로, 상기 이그나이터 회로부(7)에 갖추어진 제 1 이그나이터 회로(21a)와 제 2 이그나이터 회로(21b)를 동시에 설명한다.
상기 제 1 이그나이터 회로(21a) 또는 제 2 이그나이터 회로(21b)는 도면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역률 개선 회로(10a) 또는 제 2 역률 개선 회로(10b)로부터 입력되는 특정 레벨의 교류 전원을 임의의 레벨을 가진 교류 전원으로 변압할 수 있는 트랜스포머(LT1,LT2)와, 상기 트랜스포머(LT1,LT2)의 중간 탭(23a,23b)에 연결된 커패시터(C3,C4), 및 상기 커패시터(C3,C4)와 직렬 접속되어 상기 커패시터(C3,C4)가 일측 방향으로 충전될 수 있게 하는 제 1 다이오드(D1,D2)를 갖추고, 상기 제 1 다이오드(D1,D2)에는 상기 제 1 다이오드(D1,D2)의 역방향으로 병렬 연결되어 상기 커패시터(C3,C4)의 방전 전압을 스위칭할 수 있는 사이리스터(SCR1,SCR2)가 연결되고, 상기 트랜스포머(LT1,LT2)의 출력단에는 고전력 발광관(17) 또는 저전력 발광관(19)과 병렬 접속되어 있으면서, 상기 사이리스터(SCR1,SCR2)를 제어할 수 있는 저항(R3,R4)과, 제 2 다이오드(D3,D4) 및 분배 저항(R5,R6)이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상기 제 1 이그나이터 회로(21a)와, 제 2 이그나이터 회로(21b)가 동작 되는 과정을 도면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 1 이그나이터 회로(21a)와, 제 2 이그나이터 회로(21b)에 갖추어진 제 1 다이오드(D1,D2)의 순방향 극성에 교류 전원의 정극성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정극성 신호는 상기 제 1 다이오드(D1,D2)의 순방향 극성에 따라 커패시터(C3,C4)로 충전된다.
한편, 상기 커패시터(C3,C4)로 충전된 충전 전하는 상기 제 1 다이오드(D1,D2)의 역방향과 사이리스터(SCR1,SCR2)의 턴오프 상태로 인한 방전 경로의 차단으로 충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반면, 상기 교류 전원의 극성이 변하여 상기 트랜스포머(LT1,LT2)의 입력단에 정극성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커패시터(C3,C4)의 전압은 상기 트랜스포머(LT1,LT2)로부터 입력되는 전압과 중첩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저항(R3,R4) 및 제 2 다이오드(D3,D4)에는 소정치의 전압이 공급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 다이오드(D3,D4)를 거쳐 인가되는 전압은 상기 분배 저항(R5,R6)을 통해 적정량의 전압으로 분배된다.
상기 분배 저항(R5,R6)에 의해서 분배된 전압은 상기 사이리스터(SCR1,SCR2)를 제어하기 위한 전압으로서, 상기 사이리스터(SCR1,SCR2)를 턴온 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상기 커패시터(C3,C4)의 충전 전하를 상기 사이리스터(SCR1,SCR2)를 통해 방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패시터(C3,C4)를 통한 방전 전압은 상기 트랜스포머(LT1,LT2)에 갖추어진 일차 권선(N1,N2)과 함께 높은 전압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1차 권선(N1,N2)을 통하여 높은 전압으로 변환된 상기 방전 전압은 상기 트랜스포머(LT1,LT2)에 갖추어진 이차 권선(N3,N4)으로 유도되어 커패시터(C3,C4)의 방전 경로에 따라 급속한 전류 변화를 가질 수 있다.
결국, 상기 트랜스포머(LT1,LT2)의 2차 권선(N3,N4)은 렌츠의 법칙을 적용받아 상기 고전력 발광관(17) 또는 저전력 발광관(19) 방향으로 높은 전압을 순간적으로 흘려 보낼 수 있다.
한편, 상기 트랜스포머(LT1,LT2)의 2차 권선(N3,N4)으로부터 출력되는 높은 전압은 상기 고전력 발광관(17) 또는 저전력 발광관(19)을 한번에 점등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교류 전원의 전압 변환을 통해 높은 전압이 반복적으로 상기 고전력 발광관(17) 또는 저전력 발광관(19)의 안쪽으로 입력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전력 발광관(17) 또는 저전력 발광관(19)은 펄스 형태의 고 전압을 인가 받아 상기 고전력 발광관(17) 또는 저전력 발광관(19)의 내부 온도를 상승시키게 되고, 상기 내부 온도가 일정 수준으로 상승된 고전력 발광관(17)과 저전력 발광관(19)은 결국 점등된다.
한편, 상기 점등된 고전력 발광관(17) 또는 저전력 발광관(19)은 내부 저항이 급격하게 저하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저항으로 유입되는 전압 또한, 소정치의 레벨 이하로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저항으로 유입되는 전압이 일정 레벨 이하로 떨어짐에 따라 상기 분배 저항(R5,R6)에 의해 분배되는 전압은 상기 사이리스터(SCR1,SCR2)를 턴온시키지 못하게 되고, 상기 제 1, 2 이그나이터 회로(21a,21b)는 작동을 마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압 절전형 안정기의 외부에는 도면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원 공급부(1)로 인입되는 교류 전원 단자와 상기 이그나이터 회로부(7)를 거쳐 상기 고전력 발광관(17)과 저전력 발광관(19)으로 인입되는 전원 단자로 구성된 입출력 단자(25)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고압 절전형 안정기가 동작 되는 제 1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최초, 본 발명에 따른 고압 절전형 안정기가 동작되면, 상기 제 1 이그나이터 회로(21a)가 상기 B 접점 릴레이 스위치(Ry(B))를 통해 전원 공급부(1)로부터의 전원을 공급 받아 일정 고압 펄스를 이용하여 상기 고전력 발광관(17)을 점등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전력 발광관(17)이 점등된 다음, 일정 시간이 지나고 나면, 제 2 타이머(15b)에 의해 A 접점 릴레이 스위치(Ry(a))가 작동되어 상기 제 2 이그나이터 회로(21b)에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타이머 스위치(11)에 갖추어진 A 접점 릴레이 스위치(Ry(A))를 동작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저전력 발광관(19)은 상기 제 2 이그나이터 회로(21b)로부터 출력되는 일정 고압 펄스에 의해서 점등되고, 상기 제 1 타이머 스위치(11)에 갖추어진 A 접점 릴레이 스위치(Ry(a))는 상기 제 1 타이머(15a)를 작동시켜 일정 시간이 경과된 다음, 상기 제 1 타이머(15a)에 갖추어진 제 1 릴레이 코일(RC1)에 의해서 상기 B 접점 릴레이 스위치(Ry(B))가 오프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압 절전형 안정기는 사람의 활동이 많은 주 시간 동안에 고전력 발광관(17)을 점등시키다가 사람의 왕래가 드문 심야 시간에 상기 고전력 발광관(17)에서 저전력 발광관(19)으로 전환할 수 있고, 상기 고전력 발광관(17)이 소등되기 전 저전력 발광관(19)을 일정시간 점등시킬 수 있어 상기 저전력 발광관(19)이 점등되는 지연 시간을 보상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고압 절전형 안정기는 소모 전력이 다른 2개의 발광관을 일정 시간 간격에 따라 교대로 점등하거나 동시에 점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압 절전형 안정기는 사람의 유동량에 따라 고전력 발광관(17)과 저전력 발광관(19)을 교대로 발광 및 동시에 발광시킬 수 있어, 시간의 변화에 따라 고전력을 지속적으로 소모하는 램프에 비하여 소모 전력을 대폭 줄 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과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면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압 절전형 안정기의 내부 블록도이고,
도면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압 절전형 안정기의 내부 회로도이며,
도면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압 절전형 안정기의 외부에 입출력 단자가 장착된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전원 공급부 3. 타이머 스위칭부
5. 점등부 7. 이그나이터 회로부
9. 역률 개선부 11. 제 1 타이머 스위치
13. 제 2 타이머 스위치 15a. 제1 타이머
15b. 제 2 타이머 17. 고전력 발광관
19. 저전력 발광관 21a. 제 1 이그나이터 회로
21b. 제 2 이그나이터 회로 23a. 중간 탭
25. 입출력 단자

Claims (3)

  1.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 공급부(1)와;
    상기 전원 공급부(1)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일정 시간 간격에 따라 개폐시킬 수 있는 타이머 스위칭부(3); 및
    상기 타이머 스위칭부(3)와 각각 연결되어 빛을 발산할 수 있는 램프를 구비한 점등부(5)를 갖추고,
    상기 타이머 스위칭부(3)와 점등부(5) 사이에는 상기 타이머 스위칭부(3)와 램프에 연결되어 상기 램프를 점등시킬 수 있는 이그나이터 회로부(7)가 구비되고,
    상기 타이머 스위칭부(3)와 이그나이터 회로부(7) 사이에는 상기 타이머 스위칭부(3)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역률을 개선할 수 있는 역률 개선부(9)가 연결되며,
    상기 전원 공급부(1)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원을 이용하고,
    상기 점등부(5)는 아크 점화식으로서, 고전력 발광관(17)과 저전력 발광관(19)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타이머 스위칭부(3)는 상기 고전력 발광관(17)과 저전력 발광관(19)을 일정 시간 간격에 따라 점등시킬 수 있는 고전력 발광관(17)에 연결되는 제 1 타이머 스위치(11)와, 저전력 발광관(19)에 연결되는 제 2 타이머 스위치(13)로 이루어지고,
    상기 역률 개선부(9)는 고전력 발광관(17)에 연결되는 제 1 역률 개선 회로(10a)와, 저전력 발광관(19)에 연결되는 제 2 역률 개선 회로(10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역률 개선 회로(10a) 또는 제 2 역률 개선 회로(10b)는 상기 제 1 타이머 스위치(11) 또는 제 2 타이머 스위치(13)를 거쳐 출력되는 전원선에 커패시터(C1,C2)와 저항(R1,R2)을 병렬 연결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그나이터 회로부(7)는 상기 고전력 발광관(17)에 연결되는 제 1 이그나이터 회로(21a)와, 저전력 발광관(19)과 연결되는 제 2 이그나이터 회로(21b)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타이머 스위치(11)에는 세팅된 일정 시간에 따라 특정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제 1 타이머(15a)와, 상기 제 1 타이머(15a)를 온,오프 시킬 수 있는 A 접점 릴레이 스위치(Ry(A)), 및 상기 제 1 타이머(15a)에 갖추어진 제 1 릴레이 코일(RC1)의 신호에 따라 온,오프 될 수 있는 B 접점 릴레이 스위치(Ry(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타이머 스위치(13)는 세팅된 일정 시간에 따라 특정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제 2 타이머(15b)와, 상기 제 2 타이머(15b)에 갖추어진 제 2 릴레이 코일(RC2)의 신호에 따라 온,오프 될 수 있는 A 접점 릴레이 스위치(Ry(a))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절전형 안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그나이터 회로(21a) 또는 제 2 이그나이터 회로(21b)는 상기 제1 역률 개선 회로(10a) 또는 제 2 역률 개선 회로(10b)로부터 입력되는 특정 레벨의 교류 전원을 임의의 레벨을 가진 교류 전원으로 변압할 수 있는 트랜스포머(LT1,LT2)와;
    상기 트랜스포머(LT1,LT2)의 중간탭(23a,23b)에 연결된 커패시터(C3,C4);
    상기 커패시터(C3,C4)와 직렬 접속되어 상기 커패시터(C3,C4)가 일측 방향으로 충전될 수 있게 하는 제 1 다이오드(D1,D2);
    상기 제 1 다이오드(D1,D2)의 역방향으로 병렬 연결되어 상기 커패시터(C3,C4)의 방전 전압을 스위칭할 수 있는 사이리스터(SCR1,SCR2);
    상기 트랜스포머(LT1,LT2)의 출력단에 연결됨과 동시에 고전력 발광관(17) 또는 저전력 발광관(19)과 병렬 접속되어 있으면서, 상기 사이리스터(SCR1,SCR2)를 제어할 수 있는 저항(R3,R4)과, 제 2 다이오드(D3,D4) 및 분배 저항(R5,R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절전형 안정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절전형 안정기의 외부에는 상기 전원 공급부(1)로 인입되는 교류 전원 단자와 상기 이그나이터 회로부(7)를 거쳐 상기 고전력 발광관(17)과 저전력 발광관(19)으로 인입되는 전원 단자로 구성된 입출력 단자(25)가 장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절전형 안정기.
KR1020080126310A 2008-12-12 2008-12-12 고압 절전형 안정기 KR100887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310A KR100887511B1 (ko) 2008-12-12 2008-12-12 고압 절전형 안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310A KR100887511B1 (ko) 2008-12-12 2008-12-12 고압 절전형 안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7511B1 true KR100887511B1 (ko) 2009-03-10

Family

ID=40697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6310A KR100887511B1 (ko) 2008-12-12 2008-12-12 고압 절전형 안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751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3086A (ja) 2000-01-17 2001-07-27 Koito Mfg Co Ltd 放電灯点灯回路
KR20070086662A (ko) * 2004-11-26 2007-08-27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램프 선택부를 구비한 가스 방전 램프 구동 회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3086A (ja) 2000-01-17 2001-07-27 Koito Mfg Co Ltd 放電灯点灯回路
KR20070086662A (ko) * 2004-11-26 2007-08-27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램프 선택부를 구비한 가스 방전 램프 구동 회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19605A1 (en) Discharge lamp lighting control device
DE69822126D1 (de) Elektronisches vorschaltgerät mit parallelladung und reihensteuerung
US7453215B2 (en) Illumination system having cold cathode started, illumination controlled gas discharge lamps in series
KR100887511B1 (ko) 고압 절전형 안정기
CN200973195Y (zh) Hid灯用变功率节能型电感镇流器
US7443102B2 (en) Energy-conserving devices of illumination systems
WO2006085262A3 (en) A method and a circuit arrangement for operating a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
DE60122173D1 (de) Schaltung
KR100429047B1 (ko) 회로배열
US8084953B2 (en) Changing power input to a gas discharge lamp
KR200219334Y1 (ko) 형광램프의 예열 및 점등 제어장치
CN201854480U (zh) Led移相调光电路
KR200379220Y1 (ko) 조명등 절전 장치
JP2000306683A (ja) Led点灯回路
DE59104073D1 (de) Wechselspannungs-Vorschaltgerät für elektrische Entladungslampen.
CN217656779U (zh) 可调节缓启动和缓灭时间恒流控制电路驱动电源
KR200339292Y1 (ko) 여러 개의 램프를 선택 점등할 수 있는 스위치 장치
KR200423153Y1 (ko) 고압 방전등용 안정기
JP2001085169A (ja) 照明装置
KR200278359Y1 (ko) 전자식네온트랜스포머
RU45887U1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осветительной установкой наружного освещения
KR200310612Y1 (ko) 형광등용 전자식 안정기
RU2215382C2 (ru) Пускорегул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азоразрядных ламп
KR200330094Y1 (ko) 절전용 네온 변압기
KR100887298B1 (ko) 인공 지능형 디밍 안정기 및 그 디밍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