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6693B1 - 온라인상에서의 입찰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상에서의 입찰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6693B1
KR100886693B1 KR1020080072454A KR20080072454A KR100886693B1 KR 100886693 B1 KR100886693 B1 KR 100886693B1 KR 1020080072454 A KR1020080072454 A KR 1020080072454A KR 20080072454 A KR20080072454 A KR 20080072454A KR 100886693 B1 KR100886693 B1 KR 100886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bid
bidding
unique value
valid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2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은정범
Original Assignee
(주)이노가드
(주)이비즈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노가드, (주)이비즈소프트 filed Critical (주)이노가드
Priority to KR1020080072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66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6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6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07File encryp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상에서의 입찰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입찰목적 등에 따라 설정된 제약사항 및 기재사항을 설정하고, 제약사항이 설정된 입찰서 전체 또는 입찰서의 항목별로 고유값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입찰서의 열람과 기재사항 작성 및 입찰신청 등의 과정에서 상기 고유값의 정당성을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온라인상에서의 입찰서 작성 및 입찰과정에서 발생되는 오류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해당 입찰서의 제출기한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담당자의 부주의에 의하여 제출기한을 놓치거나, 제출기한이 지난 입찰서가 제출 및 심사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입찰 후 사후업무에서 발생될 문제점들을 미연에 방지하여, 각 기업간 마찰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해당 기업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입찰, 제약사항, 기재사항, 고유값, 헥사(Hexa)코드, 이진코드

Description

온라인상에서의 입찰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bid in on-line}
본 발명은 온라인상에서의 입찰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입찰목적 등에 따라 설정된 제약사항 및 기재사항을 설정하고, 제약사항이 설정된 입찰서 전체 또는 입찰서의 항목별로 고유값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입찰서의 열람과 기재사항 작성 및 입찰신청 등의 과정에서 상기 고유값의 정당성을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온라인상에서의 입찰서 작성 및 입찰과정에서 발생되는 오류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프라인상에서 행해지는 상거래는, 기업간 전자 상거래, 기업과 소비자간의 전자상거래 및 기업과 정부간의 상거래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업과 소비자간의 상거래를 실현하는 것으로는 각종 쇼핑몰 등이 있으며, 기업과 정부간의 상거래의 하나로 정부 조달물품을 조달청에서 입찰하는 것 등이 있다.
기업과 기업 간 상거래는 발주사 등의 기업에서 물품, 공사 또는 용역 등에 관한 입찰 사항을 공고하고, 입찰에 응할 신청자로부터 신청서를 접수받아 심사하 여 적절한 낙찰자를 결정하는 것 등을 말한다.
그러나, 오프라인상의 상거래의 경우, 입찰 참여에서 낙찰까지의 시간이 최소 1달 이상, 통상 3-4달이 소요되며, 입찰 참여를 위해 제출하는 서류가 과다하고 입찰 참여 때마다 중복되는 서류를 제출해야 한다.
이러한 업무의 과중은 입찰을 공고하는 측(입찰자)이나 입찰에 참여하는 측(응찰자) 양자 모두에게, 입찰진행 등의 업무수행을 위하여 많은 인원 및 시간을 요구하게 된다.
최근 들어, 인터넷 등이 널리 보급되면서 오프라인상에서 행해지던 상거래를 온라인상에서 진행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오프라인상에서의 상거래를 온라인상에서 진행하게 될 경우, 정보의 전파가 빠르고, 입찰참여시 비용과 시간이 절약됨에 따라 오프라인에서의 입찰방식의 문제점을 다소 해소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인터넷 등의 온라인에서 이루어지는 입찰은 전술한 오프라인에서의 입찰에 비해 제출 서류가 간소화되고 입찰 참여에서 낙찰까지의 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역경매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낙찰가를 최저가로 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물품을 공급받거나 공사나 용역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오프라인에 비해 입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러나, 오프라인에 비하여 온라인을 통해 제출되는 서류가 간소화된다고 하더라도, 공사 또는 용역 등에 관한 입찰에 대해서는 업무진행에 따른 필수구비서류가 수백페이지에 달하는 경우가 빈번하며, 이러한 서류 전체를 작성 및 검토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거나, 인터넷 등의 온라인 상에서 파일 전송시 오류가 발생 하게 되면, 입찰자체가 무산되거나 입찰결과가 달라지게 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입찰이 결정된 이후, 상기와 같은 문제점 등으로 인하여 입찰결과에 따른 사후업무가 진행되지 못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문제로 인한 각 기업의 마찰은 해당 기업의 신뢰성 등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입찰목적 등에 따라 설정된 제약사항 및 기재사항을 설정하고, 이러한 사항에 대해서 작성 및 검토하도록 함으로써, 입찰에 따른 업무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온라인상에서의 입찰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제약사항이 설정된 입찰서 전체 또는 입찰서의 항목별로 고유값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입찰서의 열람과 기재사항 작성 및 입찰신청 등의 과정에서 상기 고유값의 정당성을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온라인상에서의 입찰서 작성 및 입찰과정에서 발생되는 오류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온라인상에서의 입찰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입찰 후 사후업무에서 발생될 문제점들을 미연에 방지하여, 각 기업간 마찰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해당 기업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한 온라인상에서의 입찰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상에서의 입찰 방법은, a) 입찰서버가 입찰내용에 대응하는 제약사항이 설정된 입찰파일 및 상기 입찰파일에 기초한 고유값을 생성하는 단계; b) 클라이언트가 상기 입찰서버로부터 입찰파일을 다운로드하고, 해당 입찰파일에 매칭된 고유값의 정당성을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고유값의 정당성인 인정된 경우, 해당 입찰파일을 열람하여 디스플레 이하고, 상기 입찰파일의 기재사항을 입력받아 추가하여 저장하며, 기재사항이 포함된 입찰파일을 상기 입찰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입찰서버가 전송받은 입찰파일에 매칭된 고유값의 정당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e) 상기 고유값의 정당성이 인정된 경우 해당 입찰파일이 정상적으로 입찰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약사항이 설정된 입찰파일을 항목별로 구분하고, 각 항목별 기본정보에 기초하여 고유값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고유값은 각 항목별 기본정보에 대응하는 헥사(Hexa)코드, 이진코드 및 문자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단계 c)는, c-1) 입찰파일에 기재사항을 입력받는 과정과, c-2) 입력된 기재사항을 포함하는 입찰파일에 대한 암호화 및 전자서명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c-3) 해당 입찰파일에 매칭된 고유값의 정당성을 판단하는 과정과, c-4) 상기 고유값의 정당성이 인정된 경우, 해당 입찰파일을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입찰파일에는 해당 입찰파일의 제출기한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고유값의 정당성인 인정된 경우, 해당 입찰파일에 포함된 제출기한을 더 확인하고, 상기 입찰파일에 포함된 제출기한 이내일 경우, 해당 입찰파일을 열람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입찰파일에는 해당 입찰파일의 제출기한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전송받은 입찰파일의 제출기한을 확인하여, 기한내 제출인 경우 해당 입찰파일이 정상적으로 입찰된 것으로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온라인상에서의 입찰 시스템은, 입찰내용에 대응하는 제약사항이 설정된 입찰파일 및 상기 입찰파일에 기초한 고유값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클라이언트의 요청시 해당 입찰파일을 해당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며, 클라이언트로부터 기재사항이 입력된 입찰파일이 전송되면 해당 입찰파일에 매칭된 고유값의 정당성을 판단한 후, 정당성이 인정되면 해당 입찰파일이 정상적으로 입찰된 것으로 판단하는 입찰서버와, 상기 입찰서버로부터 입찰파일을 다운로드하여 해당 입찰파일에 매칭된 고유값의 정당성을 판단하며, 정당성이 인정되면 해당 입찰서를 열람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입찰서의 기재사항을 입력받아 저장한 후, 기재사항이 포함된 입찰서를 상기 입찰서버로 전송하는 클라이언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찰서버가, 제약사항이 설정된 기본정보를 항목별로 구분하여 입찰파일을 생성하는 입찰파일생성부와, 상기 항목별 기본정보에 대응하는 헥사(Hexa)코드, 이진코드 및 문자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고유값을 생성하는 고유값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찰서버가,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기재사항이 입력된 입찰파일이 전송되면, 해당 입찰파일의 항목별 기본정보에 대응하는 헥 사(Hexa)코드, 이진코드 및 문자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비교대상고유값을 생성한 후, 상기 입찰파일에 저장된 고유값과 상기 생성한 비교대상고유값을 비교하여 일치한 경우, 상기 입찰파일에 저장된 고유값의 정당성을 인정하는 정당성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입찰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은 입찰파일의 항목별 기본정보에 대응하는 헥사(Hexa)코드, 이진코드 및 문자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비교대상고유값을 생성한 후, 상기 입찰파일에 저장된 고유값과 상기 생성한 비교대상고유값을 비교하여 일치한 경우, 상기 입찰파일에 저장된 고유값의 정당성을 인정하는 정당성판단부와, 상기 입찰서버로부터 입찰파일을 다운로드 받으며, 다운로드받은 입찰파일의 열람 및 저장 중 어느 하나의 과정을 수행할 경우, 해당 입찰파일의 고유값의 정당성여부를 상기 정당성판단부에 요청하는 데이터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입찰서버는, 해당 입찰파일의 제출기한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여 입찰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클라이언트의 데이터처리부는, 해당 입찰파일의 제출기한을 더 확인하여 제출기한 이내일 경우, 해당 입찰파일을 열람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입찰서버는, 해당 입찰파일의 제출기한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여 입찰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기재사항이 입력된 입찰파일이 전송되면, 해당 입찰파일의 제출기한을 더 확인하여 제출기한 이내일 경우, 해당 입찰파일이 정상적으로 입찰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입찰목적 등에 따라 설정된 제약사항 및 기재사항을 설정하고, 이러한 사항에 대해서 작성 및 검토하도록 함으로써, 입찰에 따른 업무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제약사항이 설정된 입찰서 전체 또는 입찰서의 항목별로 고유값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입찰서의 열람과 기재사항 작성 및 입찰신청 등의 과정에서 상기 고유값의 정당성을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온라인상에서의 입찰서 작성 및 입찰과정에서 발생되는 오류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어, 작성 및 제출되는 입찰서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입찰서의 제출기한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담당자의 부주의에 의하여 제출기한을 놓치거나, 제출기한이 지난 입찰서가 제출 및 심사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입찰 후 사후업무에서 발생될 문제점들을 미연에 방지하여, 각 기업간 마찰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해당 기업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상에서의 입찰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상에서의 입찰 방법에 대한 실시 예를 나타낸 흐름도로서, 도 2를 참조하여 공사수주를 위한 입찰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입찰서버는 발주업체에서 관리하는 서버를 말하고, 클라이언트는 발주업체에 입찰을 하는 원청업체 및 하청업체 등의 도급업체에서 관리하는 단말기이다.
발주업체의 입찰관리 담당자가 입찰내용을 온라인 및 오프라인 상으로 공고하고, 해당 입찰내용과 입찰내용에 포함될 제약사항이 설정된 입찰서의 내용을 입찰서버(100)에 입력하면, 입찰서버(100)는 입력된 내용에 기초하여 입찰파일을 생성하고, 제약사항이 설정된 기본정보를 항목별로 구분한 입찰파일에 기초하여 고유값을 생성한다(S100).
여기서, 상기 입찰파일은 전자상거래의 각 시스템(또는 장치) 간의 호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ebXML(electronic business eXtensible Markup Language)에 의한 포맷(Format)을 적용하여 생성한다. 또한 입찰파일은 입찰서를 전자문서로 변환한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입찰파일과 입찰서를 혼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약사항은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항목번호, 명칭, 규격, 단위, 수량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약사항은 입찰서버를 관리하는 발주업체에서 설정 및 관리하는 내용으로, 도급업체에서는 수정이 불가능한 정보들을 말한다.
그리고, 고유값은 데이터의 오류 등의 검사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각 항목별 기본정보에 대응하는 헥사(Hexa)코드, 이진코드 및 문자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생성된 고유값은 입찰파일에 포함되어 저장된다.
도급업체의 담당자는 클라이언트(200)를 이용하여 입찰서버(100)로부터 해당 입찰파일을 다운로드하고, 해당 입찰파일에 매칭된 고유값의 정당성을 판단한다(S200).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입찰파일에 포함된 고유값과, 클라이언트(200)가 제약사항이 설정된 기본정보를 항목별로 구분한 입찰파일에 기초하여 비교대상이 되는 고유값(이하, 비교대상고유값이라 함)을 생성하고, 생성된 비교대상고유값과 입찰파일에 포함된 고유값을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 상기 고유값의 정당성을 인정(해당 입찰파일이 정상적임을 확인)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해당 입찰파일의 정당성이 인정된 경우, 클라이언트(200)는 해당 입찰파일을 열람하여 디스플레이하고, 도급업체의 담당자는 디스플레이된 내용을 확인하여 추가적인 기재사항을 입력하며, 클라이언트(200)는 입력된 기재사항을 입찰파일에 추가하여 저장하며, 기재사항이 포함된 입찰파일을 상기 입찰서버(100)로 전송한다(S300).
이때, 상기 클라이언트(200)에서 입찰파일에 대한 작업(기재사항 입력 등)이 완료되면, 해당 입찰파일과 더불어 고유값을 암호화하고,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전자서명을 수행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유값을 포함하여 입찰파일 전체를 암호화하는 경우, 해당 입찰파일이 입찰서버(100)로 전송된 후, 입찰 마감시간 이후 입찰파일의 개봉작업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암호화된 입찰파일을 복호화하여 원본내용을 복원하게 되며, 입찰파일이 복호화되기 전에는 고유값의 확인은 불가능한 상태이다.
따라서, 입찰파일이 복호화된 이후에 고유값의 정당성을 판단하여, 해당 입찰파일이 입찰된 것으로 판단한다.
다시 말해, 입찰서버(100)는 클라이언트(200)로부터 전송받은 입찰파일에 포함(매칭)된 고유값의 정당성을 판단하고, 상기 고유값의 정당성이 인정된 경우 해당 입찰파일이 정상적으로 입찰된 것으로 판단한다(S400). 여기서, 상기 입찰서버(100)에서 수행되는 고유값의 정당성 판단은 클라이언트(200)에서 수행되는 고유값의 정당성 판단과 동일함이 바람직하며,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상에서의 입찰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발주업체의 입찰관리 담당자가 입찰서버(100)를 통해 입찰내용을 온라인 상으로 공고하고(S501), 해당 입찰내용과 입찰내용에 포함될 제약사항이 설정된 입찰서의 내용을 입찰서버(100)에 입력하면(S502), 입찰서버(100)의 데이터처리부(130)는 입력된 내용을 입찰서생성부(110)로 전송한다.
상기 입찰서생성부(110)는 입력된 내용에 기초하여 입찰파일을 생성하여(S503) 고유값생성부(120)로 전송하며, 상기 고유값생성부(120)는 제약사항이 설정된 기본정보를 항목별로 구분한 입찰파일에 기초하여 고유값을 생성하여(S504) 데이터처리부(130)로 전송한다.
상기 데이터처리부(130)는 입찰파일에 고유값을 포함(매칭)하여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이후, 도급업체의 담당자는 클라이언트(200)를 이용하여 입찰공고내용을 확인하고 입찰하고자 할 경우, 입찰서버(100)에 로그인한다(S601). 여기서 로그인을 위한 처리과정은 당업자간에 널리 알려진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로그인하게 되면, 클라이언트(200)는 입찰서버(100)에 입찰공고내용에 대응하는 입찰파일의 다운로드를 요청하며(S505), 입찰서버(100)는 해당 입찰파일을 클라이언트(200)에 전송하고(S506), 클라이언트(200)는 전송된 입찰파일을 다운로드한다(S602).
도급업체의 담당자가 클라이언트(200)를 이용하여 입찰파일을 열람 및 작성하고자 하는 경우, 클라이언트(200)의 데이터처리부(210)가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은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열람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도급업체의 담당자는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확인한 후 원하는 입찰파일을 선택하면(S603), 클라이언트(200)의 데이터처리부(210)는 정당성판단부(220)에 선택된 입찰파일에 포함된 고유값의 정당성 판단을 요청한다.
상기 정당성판단부(220)는 데이터처리부(210)의 요청에 의해 해당 입찰파일의 고유값에 대한 정당성을 판단하여(S604), 그 결과를 데이터처리부(210)로 전송하며, 상기 데이터처리부(210)는 해당 입찰파일의 고유값에 대한 정당성이 인정되지 않는 경우, "해당 파일을 열수 없습니다" 등의 오류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S610).
상기와 같이 오류 메시지가 출력되면, 도 4와 같이 입찰파일을 재작성 할 수 있으며, 오류 메시지 출력 이후의 과정에 대해서는 당업자의 요구 및 입찰 대상에 따라 다양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고유값의 정당성이 인정된 경우(S604), 상기 데이터처리부(210)는 해당 입찰파일의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며, 도급업체의 담당자는 디스플레이된 내용을 확인하고 클라이언트(200)를 이용하여 입찰파일에 도 5에 나타난 재료단가 등의 기재사항을 입력한다(S605).
상기와 같이 입력된 정보는 변경정보입력부(230)로 입력되며, 데이터처리부(210)는 변경정보입력부(230)로 입력된 정보를 해당 입찰파일에 포함시킨다.
이후, 입력이 완료되면 데이터처리부(210)는 해당 입찰파일을 암호화 및 전자서명을 수행여부를 입력받아 처리하게 된다(S606). 여기서, 상기 입찰파일에 대한 암호화 및 전자서명은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그 방법에 대해서도 다양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과정이 완료된 후, 도급업체의 담당자가 도 5에 나타난 저장아이콘을 선택하면, 클라이언트(200)의 데이터처리부(210)는 해당 입찰파일에 대한 고유값의 정당성 재확인을 정당성판단부(220)에 요청하며(S607), 정당성이 인정되지 않는 경우 클라이언트(200)의 데이터처리부(210)는 오류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입찰파일의 내용 작성시 또는 해당 파일을 보관시 발생할 수 있는 기본정보의 변경이나 오류의 발생에 대하여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고유값의 정당성이 인정된 경우(S607), 클라이언트(200)의 데이터처리부(210)는 입력된 기재사항이 포함된 입찰파일을 저장하고(S608) 입찰서버(100)로 업로드하여 입찰을 신청한다.
입찰서버(100)는 클라이언트(200)로부터 입찰파일이 업로드되면(S507), 입찰서버(100)의 데이터처리부(130)가 업로드된 입찰파일에 포함(매칭)된 고유값의 정당성 판단여부를 저앙성판단부(140)에 요청하고(S508), 정당성이 인정되지 않는 경우 오류메시지를 클라이언트(200)로 전송하며, 고유값의 정당성이 인정된 경우(S509), 해당 입찰파일을 정상적으로 접수하게 된다(S510).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찰파일에 고유값과 더불어 해당 입찰파일의 제출기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고유값의 정당성을 판단하는 과정과 더불어 입찰파일의 제출기한의 초과여부를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담당자의 부주의에 의하여 제출기한을 놓치거나, 제출기한이 지난 입찰서가 제출 및 심사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상에서의 입찰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공사수주를 위한 입찰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물품의 납품이나 용역 등 다양한 입찰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 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상에서의 입찰 방법에 대한 실시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상에서의 입찰 시스템에 대한 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난 입찰서버의 데이터처리에 대한 실시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난 클라이언트의 데이터처리에 대한 실시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작성되는 입찰서의 실시 예를 나타낸 화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입찰서버 110 : 입찰파일 생성부
120 : 고유값 생성부 130 : 데이터 처리부
140 : 정당성 판단부 150 : 저장부
200 : 클라이언트 210 : 데이터 처리부
220 : 정당성 판단부 230 : 변경정보 입력부

Claims (13)

  1. a) 입찰서버가 입찰내용에 포함되는 제약사항이 설정된 입찰파일 및 상기 입찰파일의 항목별 기본정보에 기초한 데이터 오류 검사용의 고유값을 생성하여 상기 고유값을 상기 입찰파일에 포함하는 단계;
    b) 클라이언트가 상기 입찰서버로부터 입찰파일을 다운로드하고, 해당 입찰파일의 항목별 기본정보에 기초하여 비교대상고유값을 생성한 후, 상기 입찰파일에 포함된 고유값과 상기 생성된 비교대상고유값을 비교하여 상기 고유값의 정당성을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고유값의 정당성이 인정된 경우, 해당 입찰파일을 열람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입찰파일의 기재사항을 입력받아 해당 입찰파일에 포함된 고유값의 정당성을 판단한 후 저장하며, 기재사항이 포함된 입찰파일을 상기 입찰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입찰서버가 전송받은 입찰파일에 매칭된 고유값의 정당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e) 상기 고유값의 정당성이 인정된 경우 해당 입찰파일이 정상적으로 입찰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상에서의 입찰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값은 각 항목별 기본정보에 대응하는 헥사(Hexa)코드, 이진코드 및 문자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상에서의 입찰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c-1) 입찰파일에 기재사항을 입력받는 과정과,
    c-2) 입력된 기재사항을 포함하는 입찰파일에 대한 암호화 및 전자서명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상에서의 입찰 방법.
  5. 삭제
  6. 제 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상기 입찰파일에는 해당 입찰파일의 제출기한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단계 c)는,
    상기 고유값의 정당성인 인정된 경우, 해당 입찰파일에 포함된 제출기한을 더 확인하고, 상기 입찰파일에 포함된 제출기한 이내일 경우, 해당 입찰파일을 열람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상에서의 입찰 방법.
  7. 제 1항 ,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상기 입찰파일에는 해당 입찰파일의 제출기한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단계 d)는,
    상기 전송받은 입찰파일의 제출기한을 확인하여, 기한내 제출인 경우 해당 입찰파일이 정상적으로 입찰된 것으로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상에서의 입찰 방법.
  8. 입찰내용에 포함되는 제약사항이 설정된 입찰파일 및 상기 입찰파일의 항목별 기본정보에 기초한 데이터 오류 검사용의 고유값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고유값을 상기 입찰파일에 포함하며, 클라이언트의 요청시 해당 입찰파일을 해당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며, 클라이언트로부터 기재사항이 입력된 입찰파일이 전송되면 해당 입찰파일에 매칭된 고유값의 정당성을 판단한 후, 정당성이 인정되면 해당 입찰파일이 정상적으로 입찰된 것으로 판단하는 입찰서버와,
    상기 입찰서버로부터 입찰파일을 다운로드하여 해당 입찰파일의 항목별 기본정보에 기초하여 비교대상고유값을 생성한 후, 상기 입찰파일에 포함된 고유값과 상기 생성된 비교대상고유값을 비교하여 상기 고유값의 정당성을 판단하며, 정당성이 인정되면 해당 입찰서를 열람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입찰서의 기재사항을 입력받아 해당 입찰파일에 포함된 고유값의 정당성을 판단하여 저장한 후, 기재사항이 포함된 입찰서를 상기 입찰서버로 전송하는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 온라인상에서의 입찰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입찰서버는,
    제약사항이 설정된 기본정보를 항목별로 구분하여 입찰파일을 생성하는 입찰파일생성부와,
    상기 항목별 기본정보에 대응하는 헥사(Hexa)코드, 이진코드 및 문자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고유값을 생성하는 고유값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상에서의 입찰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입찰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기재사항이 입력된 입찰파일이 전송되면, 해당 입찰파일의 항목별 기본정보에 대응하는 헥사(Hexa)코드, 이진코드 및 문자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비교대상고유값을 생성한 후, 상기 입찰파일에 저장된 고유값과 상기 생성한 비교대상고유값을 비교하여 일치한 경우, 상기 입찰파일에 저장된 고유값의 정당성을 인정하는 정당성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상에서의 입찰 시스템.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입찰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은 입찰파일의 항목별 기본정보에 대응하는 헥사(Hexa)코드, 이진코드 및 문자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비교대상고유값을 생성한 후, 상기 입찰파일에 저장된 고유값과 상기 생성한 비교대상고유값을 비교하여 일치한 경우, 상기 입찰파일에 저장된 고유값의 정당성을 인정하는 정당성판단부와,
    상기 입찰서버로부터 입찰파일을 다운로드 받으며, 다운로드받은 입찰파일의 열람 및 저장 중 어느 하나의 과정을 수행할 경우, 해당 입찰파일의 고유값의 정당성여부를 상기 정당성판단부에 요청하는 데이터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상에서의 입찰 시스템.
  12. 제 8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찰서버는,
    해당 입찰파일의 제출기한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여 입찰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클라이언트의 데이터처리부는,
    해당 입찰파일의 제출기한을 더 확인하여 제출기한 이내일 경우, 해당 입찰 파일을 열람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상에서의 입찰 시스템.
  13. 제 8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찰서버는,
    해당 입찰파일의 제출기한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여 입찰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기재사항이 입력된 입찰파일이 전송되면, 해당 입찰파일의 제출기한을 더 확인하여 제출기한 이내일 경우, 해당 입찰파일이 정상적으로 입찰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상에서의 입찰 시스템.
KR1020080072454A 2008-07-24 2008-07-24 온라인상에서의 입찰 방법 및 시스템 KR100886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454A KR100886693B1 (ko) 2008-07-24 2008-07-24 온라인상에서의 입찰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454A KR100886693B1 (ko) 2008-07-24 2008-07-24 온라인상에서의 입찰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6693B1 true KR100886693B1 (ko) 2009-03-04

Family

ID=40697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2454A KR100886693B1 (ko) 2008-07-24 2008-07-24 온라인상에서의 입찰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66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72426A (zh) * 2019-08-02 2019-11-19 南京鑫智链科技信息有限公司 一种取代实物u盾的扫描加解密投标文件方法
CN110992155A (zh) * 2019-11-28 2020-04-10 珠海采筑电子商务有限公司 竞标入围处理方法及相关产品
CN117635283A (zh) * 2023-12-07 2024-03-01 北京鸿鹄元数科技有限公司 基于文本识别的投标方案制作检查和预评的方法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7364A (ko) * 2000-04-21 2001-11-08 김기철 입찰 서식 프로그램 및 입찰 매매 중개 방법 및 시스템
KR20010109534A (ko) * 2000-05-29 2001-12-12 김철주 네트워크 망에서의 공사 발주를 위한 전자 입찰 시스템 및방법
KR20020024826A (ko) * 2000-09-27 2002-04-03 송호상 건설분야의 발주/수주 시스템에서 입찰 제한방법 및맞춤서비스 제공방법
KR20070104970A (ko) * 2006-04-24 2007-10-30 서민철 전자입찰 실시간 자동적격여부 및 점수산출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7364A (ko) * 2000-04-21 2001-11-08 김기철 입찰 서식 프로그램 및 입찰 매매 중개 방법 및 시스템
KR20010109534A (ko) * 2000-05-29 2001-12-12 김철주 네트워크 망에서의 공사 발주를 위한 전자 입찰 시스템 및방법
KR20020024826A (ko) * 2000-09-27 2002-04-03 송호상 건설분야의 발주/수주 시스템에서 입찰 제한방법 및맞춤서비스 제공방법
KR20070104970A (ko) * 2006-04-24 2007-10-30 서민철 전자입찰 실시간 자동적격여부 및 점수산출 프로그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72426A (zh) * 2019-08-02 2019-11-19 南京鑫智链科技信息有限公司 一种取代实物u盾的扫描加解密投标文件方法
CN110472426B (zh) * 2019-08-02 2020-03-27 南京鑫智链科技信息有限公司 一种取代实物u盾的扫描加解密投标文件方法
CN110992155A (zh) * 2019-11-28 2020-04-10 珠海采筑电子商务有限公司 竞标入围处理方法及相关产品
CN117635283A (zh) * 2023-12-07 2024-03-01 北京鸿鹄元数科技有限公司 基于文本识别的投标方案制作检查和预评的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98014A1 (en) System for facilitating secure electronic communications between entities and processing resource transfers
US1019841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ed electronic signature documents
US9286281B2 (en) Computer form action zone summary system and method
AU2009244432B2 (en) Electronic submission of application programs for network-based distribution
US2020025221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cryption and authentication
US20030018585A1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communication of assured reputation information
US9542378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ploying a form template on multiple platforms
WO2020123464A1 (en) Decentralized marketplace and ecosystem powered by blockchain-based document delivery, collaboration, and dissemination
US20110270766A1 (en) Internet Based Offer Routing and Workflow Engine Method
CN103353968A (zh) 用于基于网络的分发的数字产品的电子提交和管理
US9397969B2 (en) Electronic system and method for creation and management of media content
WO2002035426A1 (en) Fulfilling a request for an electronic book
WO2002037294A1 (en) Electronic content distribution
US2010028710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aborative Innovation Management
US11455295B2 (en) Electronic document workflow
US20230334560A1 (en) Electronic disclosure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US8463652B2 (en) Method and system to facilitate on-line trading
WO2008108861A1 (en) Electronic document processing
KR100886693B1 (ko) 온라인상에서의 입찰 방법 및 시스템
WO2000025245A1 (en) Mechanism for multiple party notarization of electronic transactions
US7376615B2 (en) Restricted securities processing
US20220012807A1 (en) Dynamic Format Electronic Confirmations
US202002941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voicing, Financing, and Payments Exchange
KR102453918B1 (ko) 수출입 절차 자동화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20080172596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multimedia document interchange architecture between heterogeneous computer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