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5569B1 - Dlp광학엔진 - Google Patents

Dlp광학엔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5569B1
KR100885569B1 KR1020030001147A KR20030001147A KR100885569B1 KR 100885569 B1 KR100885569 B1 KR 100885569B1 KR 1020030001147 A KR1020030001147 A KR 1020030001147A KR 20030001147 A KR20030001147 A KR 20030001147A KR 100885569 B1 KR100885569 B1 KR 100885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bracket
optical engine
fix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1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3653A (ko
Inventor
박상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1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5569B1/ko
Publication of KR20040063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3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5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5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1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combined with movable closure elements in the bowl outle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10Bowls with closure elements provided between bottom or outlet and the outlet pipe; Bowls with pivotally supported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9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 E03D5/094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the flushing element, e.g. siphon bell, being actuated through a cable, chain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DLP광학엔진는, 백색광원을 형성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를 고정시키도록 된 램프 브라켓과, 상기 램프 브라켓이 유동될 수 있는 상태로 고정되는 브라켓 지지판과, 상기 브라켓 지지판이 일 측벽을 이루도록 체결함으로서 내부에 램프 및 램프 브라켓이 수납되도록 한 램프케이스와, 상기 램프케이스 전체를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도록 한 램프 하우징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램프유닛과;
상기 램프 브라켓과 결합되도록 하는 램프 덕트와, 상기 램프 덕트를 통해 램프 유닛으로부터 입사된 빛이 영상 신호로 변환되도록 하는 광학부품들이 내장된 엔진 하우징과, 상기 엔진 하우징 상부에 장착되어 변환된 영상 신호가 투사될 수 있도록 하는 투사 렌즈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광학엔진유닛과;
상기 광학엔진유닛을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보스와, 상기 램프유닛을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체결 홀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광학엔진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광축일치를 위해 소요되던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게 되고, 각 부품들의 가공오차 범위를 넓게 하여 관리할 수 있게 되며, 어떠한 상황에서도 쉽게 광축이 일치됨으로 인해 불량률을 현저하게 줄이게 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DLP광학엔진{DLP Optical engi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램프유닛과 광학엔진유닛의 결합구조를 보인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DLP광학엔진을 보인 전체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램프유닛의 램프장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DLP광학엔진의 광학엔진유닛과 광학엔진지지대의 결합구조를 보인 결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램프유닛의 램프 장착구조를 보인 결합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램프케이스의 브라켓 지지판 결합구조를 보인 결합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램프유닛 110: 램프 하우징
111: 개구부 113: 통기 창
115: 슬라이드 돌기 117: 덕트 삽입홀
119: 체결부 120: 램프 케이스
121: 통기공 123: 슬라이드 홈
125: 손잡이 127: 픽싱부재
130: 브라켓 지지판 131: 브라켓 삽입홀
140: 램프 브라켓 141: 외경부
142: 브릿지 143: 내경부
145: 인장형 스프링 147: 탄성 플레이트
150: 램프 200: 광학엔진유닛
210: 투사렌즈 220: 엔진하우징
230: 램프 덕트 231: 내경부
233: 커플링부 235: 가이드 돌기
240: 립 300: 광학엔진 지지대
310: 보스 320: 체결홀
본 발명은 DLP 프로젝션 TV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DLP 프로젝션 TV에 사용되고 있는 광학엔진유닛과 램프유닛 정합공정에서 램프의 광축을 일치시키고 누광 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DLP광학엔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로젝션 텔레비전 등에 사용되는 광학 엔진은 그 특성에 따라서, PRT(CRT)방식, LCD방식, DLP방식 등이 있는데, 이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종래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던 방식으로서, PRT(CRT) 방식이 있다. 이는, 작고 상당히 밝은 브라운관에서 원하는 화면을 생성한 후 이를 렌즈를 통하여 투사하는 방식을 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PRT방식은 PRT가 하나인 1관식과, 적색, 녹색, 청색 3개의 PRT로 이루어진 3관식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PRT(CRT)방식은 점차 밝기의 저하, 퍼스널 컴퓨터 입력시의 주파수에 따른 편향 조정의 어려움, 촛점 조정의 어려움 등의 이유로 점차 사용이 줄고 있는 추세이다.
그리고, 근래에 많이 사용되는 방식으로 LCD 방식이 있다.
이는, 강력한 빛을 발하는 램프에서 생성된 빛을 투과형의 LCD 패널에 통과시킨 다음 렌즈로 투사하는 방식으로서, 촛점 조정의 어려움이 없으며, 설치도 용이하고 기기의 크기도 PRT(CRT) 방식과 비교하여 상당히 소형화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화상을 상대적으로 밝게 만들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물론, 상기 LCD방식에도 자연스러운 색의 재현이나 높은 콘트라스트 비를 구현하기가 어렵고, 감마(gamma) 특성 또한 나쁜 단점이 있으나, 가격대비 성능, 퍼스널 컴퓨터 입력 호환성의 우수함, 작은 사이즈, 밝은 화면 등의 장점으로 인하여 그 사용이 점점 늘고 있는 추세이다.
마지막으로,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방식이 있는데, 이는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사가 개발한 DMD(Digital Micro mirror Device) 칩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 DMD(Digital Micro mirror Device)라 함은, 미세 구동거울을 집적한 반도체 광 스위치로서,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의 1셀의 상부에 미세한 알루미늄합금 거울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미세 거울은 하부의 메모리의 정전계작용에 의하여 작동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DMD 방식 또한 단판식과 적색, 녹색, 청색을 분리하여 관리하는 3판식으로 나눌 수 있으나, 상기 방식 모두 기존 방식과 대비하여 완전한 디지털 방식으로 색 재현성이 매우 뛰어난 장점이 있다.
이 외에도, 긴 수명과 높은 선명도, 입력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별도의 보정없이 바로 재현 가능하므로 원화질을 그대로 재현할 수 있는 점등이 높이 평가되고 있는 방식이다.
상기 DLP 방식의 광학엔진은 외부 광원인 램프를 사용하는데,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빛을 발하는 램프 유닛과, 외부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램프 유닛으로부터 유입된 빛을 적당한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광학 엔진 유닛 및 상기 램프 유닛 및 광학 엔진 유닛의 지지를 위한 광학 엔진 지지대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램프 유닛은 모든 색을 포함하는 백색광을 제공하는 광원으로써 사용되며, 주로 메탈 할라이드 램프(Metal Halide Lamp)가 사용된다.
참고적으로, 메탈 할라이드 램프는 저가의 금속 필라멘트 램프보다 완전하며 밝은 백색광을 제공하기 위하여 가스를 통하여 전기를 방전하는 방식으로 빛을 내는 램프이다.
그리고, 상기 광학 엔진 유닛은 상기 램프 유닛에서 생성되는 백색광을 외부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에 대응되도록 색을 분리, 조합하여 화상을 형성한 뒤 이 를 투사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DLP광학엔진에 있어서는, 램프유닛과 광학엔진유닛의 정합과정에서 램프의 빛 누설을 차단하고 광축을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만약, 램프 빛이 누설되고 광축이 일치되지 않게 되면, 화면의 밝기 및 포커스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광학엔진의 정합공정을 보면, 정밀 작업공정을 통해 정확한 치수로 설계 의도된 램프유닛 및 광학엔진유닛과, 광학엔진 지지대를 제작한 뒤 이를 서로 정합하게 된다.
이때, 램프유닛과 광학엔진유닛 시에 광축을 일치시키기 위한 세밀한 주의를 요하게 되며, 이러한 세밀한 작업공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데, 이에 따른 작업 수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세밀한 정합공정에도 불구하고, 각 부품들의 제작 오차나 작은 변형 등에 의해서도 광축이 불일치되거나, 더 나아가 램프 불빛이 밖으로 새어나와 빛 효율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이는, 제품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주요 원인이 되는 것으로서 제품 경쟁력을 저하시키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부품 제작에 필요한 정밀도를 낮추어 작업시간을 단축되도록 하면서도, 광축일치 및 불빛 샘이 방지되도록 하는 광학엔진 정합구조의 개선이 절실히 요구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DLP광학엔진의 램프유닛과 광학엔진유닛의 정합 시 램프 브라켓의 유동구조에 의해 자동적으로 광축 보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램프의 불빛 누설 방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DLP광학엔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DLP광학엔진는, 백색광원을 형성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를 고정시키도록 된 램프 브라켓과, 상기 램프 브라켓이 유동될 수 있는 상태로 고정되는 브라켓 지지판과, 상기 브라켓 지지판이 일 측벽을 이루도록 체결함으로서 내부에 램프 및 램프 브라켓이 수납되도록 한 램프케이스와, 상기 램프케이스 전체를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도록 한 램프 하우징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램프유닛과;
상기 램프 브라켓과 결합되도록 하는 램프 덕트와, 상기 램프 덕트를 통해 램프 유닛으로부터 입사된 빛이 영상 신호로 변환되도록 하는 광학부품들이 내장된 엔진 하우징과, 상기 엔진 하우징 상부에 장착되어 변환된 영상 신호가 투사될 수 있도록 하는 투사 렌즈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광학엔진유닛과;
상기 광학엔진유닛을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보스와, 상기 램프유닛을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체결 홀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광학엔진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램프유닛과 광학엔진유닛의 결합구조를 보인 결합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DLP광학엔진을 보인 전체 분해 사시도 이다.
동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DLP광학엔진는, 크게 백색광을 형성 및 제공하는 램프유닛(100)과, 상기 램프유닛(100)으로부터 유입된 빛을 적당한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광학엔진유닛(200)과, 상기 램프유닛(100) 및 광학엔진유닛(200)의 지지를 위한 광학엔진 지지대(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램프유닛(100)의 구성은, 백색광원을 형성하는 램프(150)와, 상기 램프(150)를 고정시키도록 된 램프 브라켓(140)과, 상기 램프 브라켓(140)이 유동될 수 있는 상태로 고정되는 브라켓 지지판(130)과, 상기 브라켓 지지판(130)이 일 측벽을 이루도록 체결함으로서, 내부에 램프(150) 및 램프 브라켓(140)이 수납되도록 한 램프케이스(120)와, 상기 램프케이스(120) 전체를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도록 한 램프 하우징(11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광학엔진유닛(200)의 구성은, 상기 램프 브라켓(140)과 결합되도록 하는 램프 덕트(230)와, 상기 램프 덕트(230)를 통해 램프유닛(100)으로부터 입사된 빛이 영상 신호로 변환되도록 하는 광학부품들이 내장된 엔진 하우징(220)과, 상기 엔진 하우징(220) 상부에 장착되어 변환된 영상 신호가 투사될 수 있도록 하는 투사 렌즈(21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 광학엔진 지지대(300)의 구성은, 상기 광학엔진유닛(200)을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보스(310)와, 상기 램프유닛(100)을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체결 홀(320) 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램프유닛의 램프장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램프유닛의 각 구성요소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램프(150)에 대해 설명하면, 모든 색을 포함하는 백색광을 제공하는 광원으로써, 주로 메탈 할라이드 램프(Metal Halide Lamp)가 사용되는데, 금속 필라멘트 램프에 비해 보다 완전하며 밝은 백색광을 제공하기 위하여 가스를 통하여 전기를 방전하는 방식으로 빛을 내는 램프이다.
그리고, 상기 램프(150)가 고정되는 램프 브라켓(140)의 구성을 살펴보면, 원추형상의 경사면을 이루는 외경부(141)가 형성되고, 상기 외경부(141) 내측에 램프(150)를 장착하도록 된 내경부(143)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내경부(143)의 배면 수평축 좌우끝단에 각각 별도로 준비되는 인장형 스프링(145)의 일 끝단을 걸 수 있도록 하는 걸이부(143a)를 형성하고, 상기 내경부(143) 배면과 일정간격 동심원을 이루는 외경부(141) 배면이 등 간격으로 배치된 브릿지(142)에 의해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브릿지(142)는 대략 3~4개가 형성되며, 각 브릿지(142) 상에는 관통 홀(142a)이 하나씩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램프 브라켓(140)을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 지지판(130)의 구성을 살펴보면, 판상체 중앙에 상기 램프 브라켓(140)의 외경부(141)가 삽입되기 위한 브라켓 삽입홀(131)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 삽입홀(131)의 대각방향 4곳에는 대략 사각형상의 귀 홈(131a)이 파여지고, 상기 브라켓 삽입홀(131)의 수평축 좌우 끝단에 이탈 방지 홈(131b)이 형성되며, 상기 이탈 방지 홈(131b)으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곳에 인장형 스프링(145)의 일 끝단의 고리를 걸기 위한 걸이 홈(131c)이 형성되고, 판상체 각 코너부에 체결부재(S) 관통 홀(132)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 지지판(130)이 고정되어지는 램프 케이스(120)의 구성을 살펴보면, 내부에 램프(150) 및 램프 브라켓(140)이 수납되도록 하는 중공의 구조체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구조체의 좌, 우측벽에 각각 무수한 통기공(121)이 뚫려져 있어 내부의 램프(150)에서 발생된 열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되며, 상기 통기공(121)이 형성된 좌, 우측벽의 횡 방향에 일정 깊이의 슬라이드 홈(123)이 형성되고, 상기 구조체의 배면부에 좌우 회동 가능한 상태로 손잡이(125)가 힌지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램프케이스(120)를 내부에 수납하도록 된 램프 하우징의 구성을 살펴보면, 1면이 개구부(111)를 이루는 중공의 구조체로 형성되고, 상기 구조체의 좌, 우측벽에는 커다란 통기 창(113)이 상하 분리되는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통기 창(113)이 형성된 좌, 우측벽에는 상기 램프케이스(120)의 좌, 우측벽에 형성한 슬라이드 홈(123)과 일치되는 슬라이드 돌기(115)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11)와 대향하는 전면부에는 상기 브라켓 지지판(130)에 형성된 브라켓 삽입홀(131) 및 귀홈(131a)와 일치되는 형상의 덕트 홀(117) 및 귀홈(117a)가 형성되며, 상기 구조체를 광학엔진 지지대(300)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119)를 바닥부 4모서리에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체결부(119) 상에는 관통 홀(119a)이 형성되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DLP광학엔진의 광학엔진유닛과 광학엔진지지대의 결합구조를 보인 결합사시도 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광학엔진유닛 및 광학엔진지지대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동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광학엔진유닛(200)의 구성은, 상기 램프 브라켓(140)과 결합되도록 하는 램프 덕트(230)를 구성하고, 상기 램프 덕트(230)를 통해 램프유닛(100)으로부터 입사된 빛이 영상 신호로 변환되도록 하는 광학부품들이 내장된 알루미늄재질의 엔진 하우징(220)을 구성하며, 상기 엔진 하우징(220) 상부에 장착되어 변환된 영상 신호가 투사될 수 있도록 하는 투사 렌즈(21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엔진하우징(220)의 일측에는 립(240)이 부착되어 광학엔진유닛(200)을 광학엔진 지지대(1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 상기 램프 덕트(230)의 구성을 보면,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나팔관 형상의 내부 경사면(231a)을 이루는 내경부(231)를 형성하고, 상기 내경부(231) 외측으로 빛을 차단하기 위한 커플링부(233)를 일정면적 형성하며, 상기 커플링부(233)에는 대각 방향 4곳에 가이드 돌기(235)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235)의 사이사이에 체결 홀(237)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 광학엔진 지지대(3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변형을 방지하고 평탄도 를 좋게 하기 위해 두꺼운 메탈(metal) 재질의 판상체로 구성되고, 상기 판상체 상에 광학엔진유닛(200)을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보스(310)가 형성되며, 상기 램프유닛(100)을 고정하기 위해 탭핑(tapping)처리된 다수의 체결 홀(320)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DLP광학엔진의 조립과정 및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광학엔진 지지대(300) 상에 광학엔진유닛(200)이 장착되도록 한다.
이는, 상기 광학엔진 지지대(300) 상에 형성한 다수의 보스(310)와 광학엔진유닛(200)에 부착되도록 한 립(240)과의 결합에 의해 가능해지게 된다.
그리고 난 후, 상기 광학엔진 지지대(300)에 광학엔진(200)에 광원을 제공하기 위한 램프유닛(100)을 결합하도록 한다.
상기 결합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몇 단계의 조립과정을 거치게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램프유닛의 램프 장착구조를 보인 결합사시도 이다.
동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램프 장착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램프 브라켓(140)의 내경부(143)에 램프(150)가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램프(15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원주 상에 형성한 각 브릿지(142)에 탄성 플레이트(147)를 별도의 체결부재(S)를 이용하여 체결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난 다음, 상기 램프 브라켓(140)을 브라켓 지지판(130)에 고정시키도록 하는데, 이때의 고정 방법으로 인장형 스프링(145)을 이용하도록 한다.
상기 인장형 스프링(145)은 양 끝단에 고리가 형성되어져 있어, 일 끝단의 고리를 램프 브라켓(140)의 내경부(143)에 형성한 걸이부(143a)에 걸도록 하고, 다른 끝단의 고리는 브라켓 지지판(130) 상에 형성된 걸이 홈(131c)에 걸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램프 브라켓(140)의 외경부(141)가 브라켓 지지판(130)의 브라켓 삽입홀(131)에 삽입되어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램프 브라켓(140)의 외경부(141)가 브라켓 지지판(130)의 브라켓 삽입홀(131)보다 크게 형성되어져야함은 당연하다.
이러한, 결합구조에서 외부적 힘에 의해 상기 램프 브라켓(140)을 밀게되면, 상기 램프 브라켓(140)이 인장형 스프링에 의해 이탈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탄력적으로 밀리게 된다.
즉, 미는 방향에 따라서 상기 램프 브라켓(140)의 중심축 이 변화될 수 있는 구조를 갖게된다.
이는, 본 발명이 갖는 가장 큰 특징으로서, 램프 브라켓(140)의 중심축이 변화될 수 있다고 하는 것은 곧, 이후에 설명하게 될 광학엔진(200)의 램프 덕트(230)와의 정합과정에서 최초의 광축이 틀어진 상태에서 정합이 진행되더라도, 자동 보정이 가능하게 된다는 의미다.
그리고, 상기 램프 브라켓(140)과 브라켓 지지판(130)의 이탈방지를 위한 보조적인 역할로서, 이탈 방지부재(135)를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이탈 방지부재(135)는 램프 브라켓(140) 상에 고정되어, 상기 브라켓 지지판(130)에 형성된 이탈 방지 홈(131b) 끼워져 일정간격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게 되며, 램프 브 라켓(140)의 만약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램프(150) 및 램프 브라켓(140)의 결합이 완료된 브라켓 지지판(130)은 도 6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램프 케이스(120) 상에 별도의 체결부재(S)를 이용하여 체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램프 케이스(120)는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광학엔진 지지대(300)에 미리 장착되어진 별도의 램프 하우징(110)의 개구부(111)을 통해 삽입된 후, 광학엔진(200)과 정합 되어진다.
이때, 상기 램프 하우징(110)과 램프 케이스(120)의 좌, 우측벽에는 슬라이드 돌기(115) 및 이와 결합되는 슬라이드 홈(123)이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램프 케이스(120) 배면에는 손잡이(125)가 형성되어지는 구조로서, 램프 하우징(110)으로부터 램프 케이스(120)를 쉽게 분리 장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수작업이 용이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램프 케이스(120)의 장착이 이루어진 후에는 배면에 형성된 픽싱부재(127)를 사용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정합과정에 의해 램프유닛(100)이 완성되어지게 되는데, 이는 동시에 램프유닛(100)과 광학엔진과의 광축일치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기도 하다.
이에 대해 다시 설명하면, 상기 램프 하우징(110)은 바닥부 4모서리에 각각 구성한 체결부(119)를 이용해 광학엔진 지지대(300) 상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램프 하우징(110)의 개구부(111) 반대쪽 전면에 형성한 덕트 삽입홀(117)에 광학엔진 유닛(200)의 램프 덕트(230)가 삽입 고정된다.
상기 램프 덕트(230)의 구성을 도 5를 참조하여 다시 살펴보면, 나팔관 형상의 내부 경사면(231a)을 이루는 내경부(231)를 형성하고, 상기 내경부(231) 외측으로 빛을 차단하기 위한 커플링부(233)를 일정면적 형성하며, 상기 커플링부(233)에는 대각 방향 4곳에 가이드 돌기(235)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235)의 사이 사이에 체결 홀(237)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가이드 돌기(235)는 램프 하우징(110)의 귀홈(117a)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커플링부(233)이 램프 하우징(110)의 전면에 밀착되어진 후, 체결 홀(237)을 통해 별도의 체결부재(S)를 이용 체결함으로써, 불빛 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정합상태에서 도 1에서와 같이 램프 케이스(120)을 전진시켜 램프 하우징(110) 내로 삽입시키게 되면, 램프 케이스(120)에 장착되어진 램프 브라켓(140)의 외경부(141)가 램프 덕트(230)의 내경부(231) 내로 삽입되어지게 된다.
상기 램프 브라켓(140)의 외경부(141)와 램프 덕트(230)의 내경부(231)는 일정한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외경부(141)과 내경부(231)의 광축이 일치되지 않는 상태에서 삽입이 이루어지게 되면, 삽입이 완전히 이루어지기 전에 면 마찰이 심하게 발생되고, 상기 램프 브라켓(140)의 일정 방향으로 미는 힘이 발생하게 된다.
이럴 때, 인장 스프링(145)에 의해 고정된 램프 브라켓(140)은 상기 미는 힘에 대하여 중심축을 변화시킴으로써, 광축이 일치시킬 수 있게 된다.
이처럼, 광학엔진유닛(200)의 램프 덕트(230)와의 정합과정에서 최초의 광축 이 틀어진 상태에서 정합이 진행되더라도, 자동 보정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DLP광학엔진의 램프유닛과 광학엔진유닛의 정합 시 램프 브라켓의 유동구조에 의해 자동적으로 광축 보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광축일치를 위해 소요되던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게 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그리고, 각 부품들의 가공오차 범위를 넓게 하여 관리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어떠한 상황에서도 쉽게 광축이 일치됨으로 인해 불량률을 현저하게 줄이게 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그리고, 불빛 샘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화면 밝기 및 포커스 품질 향상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12)

  1. 백색광원을 형성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를 고정시키도록 된 램프 브라켓과, 상기 램프 브라켓이 유동될 수 있는 상태로 고정되는 브라켓 지지판과, 상기 브라켓 지지판이 일 측벽을 이루도록 체결함으로서 내부에 램프 및 램프 브라켓이 수납되도록 한 램프케이스와, 상기 램프케이스 전체를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도록 한 램프 하우징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램프유닛과;
    상기 램프 브라켓과 결합되도록 하는 램프 덕트와, 상기 램프 덕트를 통해 램프 유닛으로부터 입사된 빛이 영상 신호로 변환되도록 하는 광학부품들이 내장된 엔진 하우징과, 상기 엔진 하우징 상부에 장착되어 변환된 영상 신호가 투사될 수 있도록 하는 투사 렌즈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광학엔진유닛과;
    상기 광학엔진유닛을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보스와, 상기 램프유닛을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체결 홀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광학엔진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P광학엔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브라켓은 원추형상의 경사면을 이루는 외경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경부 내측에 램프를 장착하도록 된 내경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내경부의 배면 수평축 좌우끝단에 각각 별도로 준비되는 인장형 스프링의 일 끝단을 걸 수 있 도록 하는 걸이부를 형성하고, 상기 내경부 배면과 일정간격 동심원을 이루는 외경부 배면이 등 간격으로 배치된 브릿지에 의해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P광학엔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는 다수개로 형성되며, 각 브릿지 상에는 관통 홀이 하나씩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P광학엔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지지판은 판상체 중앙에 상기 램프 브라켓의 외경부가 삽입되기 위한 브라켓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 삽입홀의 대각방향 4곳에 사각형상의 귀 홈이 파여지고, 상기 브라켓 삽입홀의 수평축 좌우 끝단에 이탈 방지 홈이 형성되며, 상기 이탈 방지 홈으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곳에 인장형 스프링의 일 끝단 고리를 걸기 위한 걸이 홈이 형성되고, 판상체 각 코너부에 체결부재 관통 홀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P광학엔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케이스는 내부에 램프 및 램프 브라켓이 수납되도록 하는 중공의 구조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조체의 좌, 우측벽에 각각 무수한 통기공이 뚫려져 있어 내부의 램프에서 발생된 열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되며, 상기 통기공이 형성된 좌, 우측벽의 횡 방향에 일정 깊이의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구조체의 배면부에 좌우 회동 가능한 상태로 손잡이가 힌지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P광학엔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하우징은 1면이 개구부를 이루는 중공의 구조체로 형성되고, 상기 구조체의 좌, 우측벽에는 커다란 통기 창이 상하 분리되는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통기 창이 형성된 좌, 우측벽에는 상기 램프케이스의 좌, 우측벽에 형성한 슬라이드 홈과 일치되는 슬라이드 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와 대향하는 전면부에는 상기 브라켓 지지판에 형성된 브라켓 삽입홀 및 귀홈와 일치되는 형상의 덕트 홀 및 귀홈이 형성되며, 상기 구조체를 광학엔진 지지대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를 바닥부 4모서리에 각각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P광학엔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덕트는 나팔관 형상의 내부 경사면을 이루는 내경부를 형성하고, 상기 내경부 외측으로 빛을 차단하기 위한 커플링부를 일정면적 형성하며, 상기 커플링부에는 대각 방향 4곳에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의 사이사이에 체결 홀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P광학엔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를 램프 브라켓에 장착한 후,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램프 브라켓의 원주 상에 형성한 각 브릿지에 탄성 플레이트를 별도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체결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P광학엔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브라켓을 브라켓 지지판에 인장형 스프링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P광학엔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브라켓과 브라켓 지지판의 이탈방지를 위한 보조수단으로 이탈 방지부재를 사용하는데, 상기 이탈 방지부재는 램프 브라켓 상에 고정되어, 상기 브 라켓 지지판에 형성된 이탈 방지 홈 끼워져 일정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P광학엔진.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하우징 내에 램프 케이스의 장착이 이루어진 후에 상기 램프 케이스 배면에 형성된 픽싱부재를 사용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P광학엔진.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브라켓의 외경부와 램프 덕트의 내경부가 일정한 경사면을 갖고, 서로 정합될 때, 인장 스프링에 의해 고정된 램프 브라켓이 중심축을 변화시킴으로써 광축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P광학엔진.
KR1020030001147A 2003-01-08 2003-01-08 Dlp광학엔진 KR100885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1147A KR100885569B1 (ko) 2003-01-08 2003-01-08 Dlp광학엔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1147A KR100885569B1 (ko) 2003-01-08 2003-01-08 Dlp광학엔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3653A KR20040063653A (ko) 2004-07-14
KR100885569B1 true KR100885569B1 (ko) 2009-02-24

Family

ID=37354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1147A KR100885569B1 (ko) 2003-01-08 2003-01-08 Dlp광학엔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556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6189U (ko) * 1998-02-16 1999-09-15 김영환 디.엘.피 프로젝터
JP3353774B2 (ja) 2000-03-17 2002-12-03 ウシオ電機株式会社 ランプ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6189U (ko) * 1998-02-16 1999-09-15 김영환 디.엘.피 프로젝터
JP3353774B2 (ja) 2000-03-17 2002-12-03 ウシオ電機株式会社 ランプユニット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ET CONFERENCE (1997. 9. 4p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3653A (ko) 2004-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4308B2 (en) Projector apparatus
CN100478777C (zh) 投影型图像显示装置
US7708412B2 (en) Light shielding member for a micro-mirror projection system
US6364491B1 (en) Liquid crystal projector
CN103207506B (zh) 投影显示器
CN101398599B (zh) 投影机的光学装置及投影机
US20060132728A1 (en) Thin projector
US6866389B2 (en) Optical device and projector
KR20020077113A (ko) 광학 부품의 장착 구조 및 프로젝터
US7553030B2 (en) Fan unit and optical apparatus
US6280036B1 (en) Projection apparatus
US7997740B2 (en) Integrator unit
KR100885569B1 (ko) Dlp광학엔진
CN210776142U (zh) 投影装置
JP3364953B2 (ja) プロジェクター
KR100746088B1 (ko) 자외선 흡수 필터 고정부재 및 이를 구비한 프로젝터광학엔진
US11531255B2 (en) Projector, projection optica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projector
KR100549308B1 (ko) Dlp광학엔진의 틸트 조정구조
KR100646243B1 (ko) 커버를 이용한 프로젝터용 냉각판
CN208076915U (zh) 一种充分利用光学引擎空间的高音质投影装置
KR100763394B1 (ko) 프로젝션 텔레비전
CN218213748U (zh) 投影仪
CN218332271U (zh) 一种投影光机结构
JP4115476B2 (ja) プロジェクタ装置
JP2008058673A (ja) 投写レンズ取り外し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投写型映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