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5259B1 - 골프매트 - Google Patents

골프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5259B1
KR100885259B1 KR1020070055553A KR20070055553A KR100885259B1 KR 100885259 B1 KR100885259 B1 KR 100885259B1 KR 1020070055553 A KR1020070055553 A KR 1020070055553A KR 20070055553 A KR20070055553 A KR 20070055553A KR 100885259 B1 KR100885259 B1 KR 100885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golf
mat
turn
gol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5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7600A (ko
Inventor
신경운
신동진
Original Assignee
신경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경운 filed Critical 신경운
Priority to KR1020070055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5259B1/ko
Publication of KR20080107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7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5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5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1Mats for golf practice, e.g. mats having a simulated turf, a practice tee or a green are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12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mirr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골프매트는 골프공이 올려질 수 있는 스윙매트를 갖는 스윙부와; 상기 스윙매트 상에 올려져 있는 골프공을 골퍼가 골프채로 타격하기 위하여 상기 골퍼가 타석위치를 정하는 타석부와; 상기 스윙부와 상기 타석부 사이에 위치하고, 표면에 반사면을 갖는 반사부재를 구비한 반사부와; 상기 반사부의 상부에 제공된 투명체를 갖는 덮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하므로, 골퍼는 스윙동작시 경사진 상태의 반사면을 통해서 자신의 스윙자세를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으므로 부정확한 스윙자세는 스스로 교정할 수 있고 또한 골퍼의 실수로 반사면이 손상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사면, 스윙부, 타석부, 덮개부

Description

골프매트{GOLF MA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매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선 B-B를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부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골프매트
112 : 스윙부
122 : 반사부
122a : 반사면
132 : 타석부
140 : 덮개부
142 : 투명체
144 : 프레임 구조체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044881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6253호
[특허문헌 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38626호
본 발명은 골퍼가 골프매트의 스윙매트에 놓여져 있는 골프공을 타격하기 위하여 스윙동작할 때 골프공을 응시하면서 자신의 스윙자세를 관찰할 수 있는 골프매트에 관한 것이고, 더 상세하게 골퍼가 스위동작시 임팩트 순간에 헤드업하지 않고 자신의 스윙자세를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으면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골프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는 골퍼가 우드, 아이언, 퍼터 등의 여러가지 골프클럽으로 이루어지는 골프채를 가지고 임의로 정해진 코스와 타수의 그린을 돌면서 골프공을 홀컵에 넣는 스포츠로서, 타수가 적은 골퍼가 우승하게 된다.
이러한 스포츠에 있어서, 골퍼에게는 타수를 줄이기 위하여 올바른 어드레스 자세와 정확한 스윙자세가 요구된다. 즉, 어드레스 자세와 스윙자세가 좋지않으면, 골프공에 정확한 타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골프공은 원하는 타구방향으로 날아가지 않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거리도 짧아질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타수를 줄이지 못하게 될 수 있다.
그래서, 골퍼는, 필드의 라운딩에 앞서 올바른 어드레스 자세와 정확한 스윙 자세를 익히기 위하여, 골프연습장에서 다양한 종류의 골프연습기, 골프시뮬레이션, 골프 스윙가이드, 골프스윙 교정장치, 퍼팅연습기 등을 이용하여 어드레스 자세와 스윙자세를 연습하게 된다. 그리고, 대부분의 골퍼들은 어드레스 자세 또는 스윙자세를 연습하기 위하여 골프연습용 매트를 사용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특허문헌 1에는 퍼팅매트(스윙매트)와 타석매트를 연결핀으로 조립 연결하여 사용하는 골프 연습용 매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골프 연습용 매트를 통해서도 골퍼는 자신의 어드레스 자세 또는 스윙자세를 관찰할 수 없으므로, 세워져 있는 거울을 이용하여 자신의 어드레스 자세 및 스윙자세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교정하게 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골퍼가 순간적으로 이루어지는 스윙동작을 하면서 그의 스윙자세를 육안으로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 골퍼는 세워져 있는 거울을 보기 위하여 헤드업(head up)하게 되며, 이는 골프공을 원하는 타구방향으로 보내지 못하는 문제가 될 수 있었다.
한편, 센서들을 이용하여 연습하는 스윙연습기는 스윙동작후에 표시되는 것으로 골퍼의 스윙자세를 분석하고 확인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스윙연습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골퍼는 스윙동작시 취해던 스윙자세를 쉽게 기억되지 못하게 되므로, 그의 스윙자세를 분석하여 교정하는 데 미흡한 점이 있었다.
상기 특허문헌 2에는, 골퍼의 스윙자세를 교정하기 위하여, 골프채의 헤드에 스윙동작시 광의 길이로 스윙궤적, 각도와 스윙속도, 타구방향을 분석하는 스윙분석수단을 포함한 골프 스윙 연습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골프 스윙 연습장치는 필드에서 사용하지 못하므로, 골퍼는 상 기 골프 스윙 연습장치를 사용하여 골프채를 스윙할 때의 스윙감각과 필드에서 골프채를 스윙할 때의 스윙감각이 다르게 느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3에는 고무재질로 제작된 받침매트의 상부에 인조잔디를 깔아준 형태의 골프 연습용 매트에 있어서, 상기 받침매트의 골프공이 놓이는 곳에 잔디매트를 수납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잔디매트는 수납틀의 일측으로 평편한 티샷연습부를 형성시키는 한편 다른 쪽에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함몰되는 형태의 굴곡연습부를 형성시킨 후 상기 티샷연습부와 굴곡연습부로 천연잔디 또는 인조잔디판을 씌워줌으로서 이루어지는 골프연습용 매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골프연습용 매트를 사용함으로써, 골퍼는 다양한 형태의 연습이 가능할 수 있지만, 실제로 골퍼는 스윙동작시 그의 스윙동작을 관찰하면서 교정할 수는 없었다.
현실적으로, 스윙동작시 타격하는 순간에 골퍼가 헤드업(head up)되지 않고 정확하게 골프공을 타격할 수 있도록 자세를 취할 수 있는 장치가 없으므로, 정확한 스윙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교정 연습을 수행하기 위하여 골퍼가 자신의 스윙자세를 관찰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골퍼의 스윙동작시 정확한 스윙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골퍼가 골프연습용 골프매트에서 스윙동작시 그의 스윙자세를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골프매트를 제공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골프연습용 골프매트에서 골퍼가 스윙동작하는 때, 타격 순간에 헤드 업을 방지하여 정확한 타격 자세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된 스윙자세를 익힐 수 있도록, 골퍼가 그의 스윙자세를 육안으로 관찰하면서 연습할 수 있고 또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골프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골프매트는 골프공이 올려질 수 있는 스윙매트를 갖는 스윙부와; 상기 스윙매트 상에 올려져 있는 골프공을 골퍼가 골프채로 타격하기 위하여 상기 골퍼가 타석위치를 정하는 타석부와; 상기 스윙부와 상기 타석부 사이에 위치하고, 표면에 반사면을 갖는 반사부재를 구비한 반사부와; 상기 반사부의 상부에 제공된 투명체를 갖는 덮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명체에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선이 새겨진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투명체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체를 더 구비한다.
상기 반사부의 반사면은 경사진 상태로 위치하고, 상기 타석부와 반사부 사이에 제공된 단턱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반사부재는 반사면을 자체적으로 갖는 재질 또는 반사물질을 피복 또는 코팅함으로써 형성되는 반사면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타석부에는 타석위치를 정할 수 있는 타석위치 표시부재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매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선 B-B를 취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골프매트(100)는 골퍼(미도시)가 실내연습장 등에서 실제 필드와 유사한 조건에서 스윙동작을 연습할 수 있도록 사용하기 위한 매트이다. 이러한 골프매트(100)는 골프공이 올려질 수 있는 스윙부(112)와, 스윙부(112) 상에 올려져 있는 골프공을 골퍼(미도시)가 골프채(미도시)로 타격하기 위하여 상기 골퍼가 타석위치를 정하는 타석부(132)와, 스윙부(112)와 타석부(132) 사이에 위치하고, 표면에 반사면(122a)을 갖는 반사부(122)와, 반사부(122)의 상부에 안착되어 반사면(122a)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덮개부(140)로 이루어진다.
도 1에서, 도면번호 1은 스윙부(112)에 골프공(1a)을 공급하는 볼공급기(1)이다.
스윙부(112)는 골프공(1a)이 올려질 수 있도록 대체적으로 편평한 상태로 제공되고, 바람직하게는 골프공(1a)이 올려질 수 있는 인조잔디, 예를 들어 스윙매트(114)가 제공될 수 있다. 스윙매트(114)가 스윙부(112)에 제공될 수 있도록, 스윙부(112)에는 소정 깊이로 형성되어 있는 요홈부(미도시) 또는 관통하고 있는 천공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스윙매트(114)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레탄 폼과 같은 플라스틱 재질 또는 고무재질의 제1바닥부재(114a)와 제1바닥부재(114a) 위에 제공된 제1인조잔디(114b)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스윙매트(114)는 예를 들어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퍼팅매트 또는 상기 특허문헌 3에 개시되어 있는 잔디매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스윙매트(14)에는 볼공급기(1)로부터 공급되는 골프공(1a)이 안착될 수 있는 골프티(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타석부(132)는 스윙부(112) 또는 스윙매트(114) 상에 올려져 있는 골프공을 골퍼(미도시)가 골프채로 타격하기 위하여 어드레스 자세를 취할 수 있는 부분이다. 타석부(132)에서, 상기 골퍼는 스윙부(112) 또는 스윙매트(114) 상에 올려져 있는 골프공을 타격하기 위하여 타석위치를 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골퍼가 상술된 타석위치를 용이하게 정할 수 있도록, 타석부(132)에는 타석위치 표시부재(116)가 제공될 수 있다.
타석위치 표시부재(116)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레탄 폼과 같은 플라스틱 재질 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제1바닥부재(116a)와, 제1바닥부재(116a) 위에 설치되는 제2인조잔디(116b)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타석위치 표시부재(116)는 인조잔디가 제공되지 않은 상태의 플라스틱 재질 또는 고무재질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타석위치 표시부재(116)는 소정 간격, 예를 들어 어깨폭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2개의 표시부재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소정의 넓 이를 갖는 하나의 표시부재로도 구성될 수 있다.
반사부(122)는 표면에 반사면(122a)이 제공되어 있는 반사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반사부재는 금속재질, 플라스틱 재질, 석재재질 또는 목재재질 등의 재질 또는 거울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반사부재는 자체적으로 반사면을 갖는 재질이거나 또는 반사물질을 코팅 또는 피복함으로써 형성되는 반사면을 갖는 재질일 수 있다.
여기에서, '자체적으로 반사면을 갖는 재질'이란 예를 들어 표면을 연마가공함으로써 미러면, 즉 반사면이 형성될 수 있는 재질 등을 의미한다. 그리고, 비록 상기 반사물질의 종류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지만, 이와 관련된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은 코팅 또는 피복할 수 있는 반사물질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반사부(122)의 반사면(122a)은 타석부(132)와 스윙부(112) 사이에서 경사진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용어 '경사진 상태'는 도 2에서 관찰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울어진 상태를 의미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오목한 상태' 또는 '볼록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반사부(122)와 타석부(132) 사이에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단턱부(132a)가 제공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부(122)의 반사면(122a)이 경사진 상태로 제공되어 있으면, 타석부(132)에서 타석위치를 정한 골퍼는 스윙부(112) 상에 올려져 있는 골프공을 응시하면서도 반사면(122a)을 통해서 자신의 어드레스 자세 또는 스 윙동작시의 스윙자세를 관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골프매트는 반사부(122)의 상부에 제공된 덮개부(140)를 갖는다. 덮개부(140)에는 투명체(142; 도 3 참조)가 제공된다. 덮개부(140)는 골퍼(미도시) 또는 골프채(미도시) 등에 의해서 반사부(122)의 반사면(122a)이 손상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투명체(142)는 투명합성수지 또는 강화유리와 같이 강성이면서도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3을 참조하면, 덮개부(140)는 투명체(142)와 투명체(142)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체(144)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 구조체(144)는 타석부(132)에서 타석위치를 정하고 있는 골퍼가 반사면(122a)을 통해서 자신의 스윙자세를 관찰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구조로 제작된다. 도면에서 프레임 구조체(144)는 단순히 4각형의 틀구조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프레임 구조체(144)에는 투명체(142)가 안착될 수 있는 단턱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투명체(142)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 또는 접착제 등을 통해서 프레임 구조체(144)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투명체(142)에는 적어도 하나의 직선형태의 기준선(142a)이 제공될 수 있다. 기준선(142a)은 타석부(132) 상에 타석위치를 정하고 있는 골퍼가 스윙동작을 하는 동안 그의 스윙자세가 올바른지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기준선(142a)은 도면에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직선 또는 도트(점)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면에 있어서, 덮개부(140)의 투명체(142)는 플레이트 구조로 이루어져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윙부(112)와 타석부(132) 사이의 함몰부, 예를 들어 '∠' 형태의 함몰부를 매립할 수 있는 입체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투명체(142)가 입체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에, 프레임 구조체(144)는 대응하는 입체구조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골프매트(100)의 바람직한 사용예를 설명한다.
먼저, 스윙매트(114)에 볼공급기(1)의 골프공(1a)이 제공되어 있는 상태에서, 골퍼(미도시)는 타석위치 표시부재(116)에 위치한 후 그의 골프클럽(미도시)의 헤더를 상기 골프공에 인접하여 위치시킨다. 이 후, 상기 골퍼는 어드레스 자세를 취한 후 상기 골프공을 타격하기 위한 스윙동작을 취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골퍼는 경사진 상태로 제공되어 있는 반사부재(122)의 반사면(122a)을 통해서 자신의 어드레스 자세와 스윙자세를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스윙동작시, 백스윙, 다운스윙, 임팩트 및 피니쉬 등의 스윙자세가 정확하여야 하므로, 상기 골퍼는 스윙매트(114)에 올려져 있는 골프공을 응시하면서 경사진 상태의 반사면(122a)을 통하여 헤드업없이 자신의 스윙자세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부정확한 스윙자세를 바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골퍼는 다음 스윙동작시에는 부정확한 스윙자세를 스스로 교정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임팩트 순간에 헤드업없이 자신의 스윙자세를 관찰할 수 있으므로, 헤드업에 의한 부정확한 타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반사부(122)의 상부에 덮개부(140)가 제공되어 있으므로, 골퍼가 스윙동작시 실수로 반사면을 골프채로 타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골퍼는 타석부(132)로부터 스윙부(112)에 근접하게 덮개부(140) 위로 위치이동한 후에 퍼팅연습을 행할 수 있고 또한 반사면(122a)을 통해서 자신의 퍼팅자세를 관찰할 수도 있다.
상술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골퍼는 스윙동작시 경사진 상태의 반사면을 통해서 자신의 스윙자세를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으므로 부정확한 스윙자세는 스스로 교정할 수 있고 또한 골퍼의 실수로 반사면이 손상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0)

  1. 골프공이 올려질 수 있는 스윙부와;
    상기 스윙부 상에 올려져 있는 골프공을 골퍼가 골프채로 타격하기 위하여 상기 골퍼가 타석위치를 정하는 타석부와;
    상기 스윙부와 상기 타석부 사이에 위치하고, 표면에 반사면을 갖는 반사부와;
    상기 반사부의 상부에 제공된 투명체를 갖는 덮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투명체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체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매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체에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선이 새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매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의 반사면은 경사진 상태로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매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체는 입체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매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타석부와 반사부 사이에 제공된 단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매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반사면을 자체적으로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매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타석부에는 상기 타석위치를 정할 수 있는 타석위치 표시부재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매트.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반사물질을 피복 또는 코팅함으로써 형성되는 반사면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매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타석부에는 상기 타석위치를 정할 수 있는 타석위치 표시부재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매트.
KR1020070055553A 2007-06-07 2007-06-07 골프매트 KR100885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5553A KR100885259B1 (ko) 2007-06-07 2007-06-07 골프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5553A KR100885259B1 (ko) 2007-06-07 2007-06-07 골프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7600A KR20080107600A (ko) 2008-12-11
KR100885259B1 true KR100885259B1 (ko) 2009-02-23

Family

ID=40367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5553A KR100885259B1 (ko) 2007-06-07 2007-06-07 골프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525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531Y1 (ko) 2004-02-16 2004-08-21 김흥구 휴대용 골프스윙매트
KR200372814Y1 (ko) 2004-06-02 2005-01-14 김흥구 골프스윙매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531Y1 (ko) 2004-02-16 2004-08-21 김흥구 휴대용 골프스윙매트
KR200372814Y1 (ko) 2004-06-02 2005-01-14 김흥구 골프스윙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7600A (ko) 2008-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6312B2 (en) Device and method to precisely isolate and minimize direction errors for short putts
EP2429666B1 (en) Visual swing indicator golf club head
KR100694855B1 (ko) 실내 퍼팅 연습기
US7112146B2 (en) Putting practice and training device
US20100130299A1 (en) Visual Aid
WO2006062310A1 (en) Apparatus for putting correcting and training
US7927228B2 (en) Golf swing training mat
US7455596B1 (en) Alignment device for aligning an impact point of a golf ball
JPH06506620A (ja) ゴルフクラブにおけるパターの構造
US6746339B1 (en) Putting practice device and practice method using said device
KR200446609Y1 (ko) 골프 퍼터
KR100885259B1 (ko) 골프매트
US20170326427A1 (en) Golf swing teaching device
KR200414543Y1 (ko) 골프퍼팅연습장치
KR20090000718U (ko) 정확한 퍼팅을 위한 수직돌출부를 갖는 골프용 퍼터
KR200253447Y1 (ko) 골프용 퍼팅연습구
KR200389827Y1 (ko) 타격상태 확인이 가능한 골프연습용 매트
KR100885258B1 (ko) 골프매트
KR200469230Y1 (ko) 골프연습용 매트
KR102250134B1 (ko) 뒤땅 방지를 위한 골프스윙 연습용 골프채
KR100885262B1 (ko) 골프매트
KR20160079550A (ko) 골프 스윙연습 매트
KR200363332Y1 (ko) 골프퍼팅연습기
WO2011146201A1 (en) Device and method to precisely isolate and minimize direction errors for short putts
WO2010053476A1 (en) Alignment device for aligning an impact point of a golf b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