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5156B1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정보 전달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정보 전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5156B1
KR100885156B1 KR1020040048618A KR20040048618A KR100885156B1 KR 100885156 B1 KR100885156 B1 KR 100885156B1 KR 1020040048618 A KR1020040048618 A KR 1020040048618A KR 20040048618 A KR20040048618 A KR 20040048618A KR 100885156 B1 KR100885156 B1 KR 100885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se station
mobile terminal
wireless access
access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8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22937A (ko
Inventor
조기형
김용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1/165,662 priority Critical patent/US7778640B2/en
Priority to CA2569210A priority patent/CA2569210C/en
Priority to CN200580020936XA priority patent/CN1981551B/zh
Priority to EP05856320.6A priority patent/EP1767047B1/en
Priority to JP2007517967A priority patent/JP4742100B2/ja
Priority to BRPI0511414-4A priority patent/BRPI0511414A/pt
Priority to AU2005323614A priority patent/AU2005323614B2/en
Priority to PCT/KR2005/001997 priority patent/WO2006073228A1/en
Priority to MXPA06014983A priority patent/MXPA06014983A/es
Publication of KR20050122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2937A/ko
Priority to IL180226A priority patent/IL180226A/en
Priority to US12/034,456 priority patent/US815039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5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5156B1/ko
Priority to US12/833,876 priority patent/US847826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2Network node acting on behalf of an other network entity, e.g. prox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하향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단말의 정보 전송방법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기지국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정상 수신모드에 있는 단말로 하향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하여, 라우터가 목적 네트워크 주소를 이용하여 단말의 링크계층주소를 알아낼 수 있도록 기지국으로 소정의 주소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기지국은 라우터로부터 전달된 주소요청 메시지를 다수의 단말들로 방송하고, 상기 다수의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응답 메시지를 라우터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은 목적 네트워크 주소를 이용해 단말의 링크계층주소를 알아내기 위한 주소요청 메시지가 라우터로부터 수신되면, 단말을 대신하여 직접 상기 주소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라우터로 전송한다.
주소요청 메시지, 네트워크 주소, 유휴모드,수면모드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정보 전달방법{INFORMATION TRANSFER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YSTEM}
도 1은 종래의 등록 해지요청(DREG-REQ) 메시지의 포멧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수면요청 메시지(MOB-SLP-REQ)의 포멧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단말의 요청에 의해 유휴모드로 들어간 단말이, 하향으로 수신할 데이터가 발생하여 정상모드로 전환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단말의 요청에 의해 수면모드로 들어간 단말이, 하향으로 수신할 데이터가 발생하여 정상모드로 전환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종래의 IPv4의 ARP 패킷의 포멧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IPv6의 Neighbor Solicitation 메시지의 포멧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IPv6의 Neighbor Advertisement 메시지의 포멧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단말이 정상동작 상태에 있을 때 라우터에 의한 ARP요청(IPv4)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라우터가 하향 데이터를 전송할 때 종래 수면모드에서의 문제점을 IPv4에 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10은 라우터가 하향 데이터를 전송할 때 종래 유휴모드에서의 문제점을 IPv4에 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면요청(MOB-SLP-REQ) 메시지의 포멧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등록해지요청(DREG-REQ) 메시지의 포멧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기지국에 의해 단말이 수면/유휴모드로 들어갈 때 단말의 네트워크 주소를 기지국으로 알려 주기 위한 메시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4은 본 발명에서 단말이 정상 수신모드에 있을 때 단말로 전달할 데이터를 위해 라우터가 목적 네트워크 주소의 링크계층주소를 획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서 단말에 의해 수면모드에 들어간 경우 단말로 전달할 데이터를 위해 라우터가 목적 네트워크 주소의 링크계층주소를 획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면모드로 들어간 경우 단말로 전달할 데이터를 위해 라우터가 목적 네트워크 주소의 링크계층주소를 획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에서 단말에 의해 유휴모드로 들어간 경우 단말로 전달할 데이터를 위해 라우터가 목적 네트워크 주소의 링크계층주소를 획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18은 본 발명에서 기지국에 의해 유휴모드로 들어간 경우 단말로 전달할 데이터를 위해 라우터가 목적 네트워크 주소의 링크계층주소를 획득하는 방법을 나 타낸 도면.
도 19는 수면모드에 대한 본 발명의 전체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
도 20은 유휴모드에 대한 본 발명의 전체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수면상태의 단말 20 : 유휴상태의 단말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향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정보 전송방법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기지국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이동/고정 단말(이하 단말로 약칭함)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유휴모드(Idle Mode)를 지원하고 있다. 호출 영역(Paging Zone)은 호출그룹이라는 다수의 기지국이 담당하는 전체 영역으로서, 동일한 호출영역에 포함되는 기지국들은 동일한 호출 주기(Paging Cycle)와 호출 오프셋 (Paging Offset)을 갖는다.
단말은 도 1과 같은 등록 해지요청(DREG-REQ) 메시지를 통하여 기지국으로 유휴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할 수 있으며, 기지국은 응답으로 자신의 호출영역 ID(Paging-group ID), 호출주기 및 호출오프셋을 단말로 전달하여 단말이 유휴모드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유휴모드동안 단말은 약속한 호출주기마다 기지국으로부터 방송 (broadcast) 형태로 전달되는 호출(Paging)을 통하여 계속 유휴모드를 유지할 것인지 종료할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유휴모드에 있는 단말이 전송해야 할 트래픽이 발생한 경우 해당 단말은 언제든지 유휴모드를 종료할 수 있으며, 유휴모드에 있는 단말에게 전달해야 할 트래픽이 발생한 경우 기지국은 호출을 통해 단말로 하여금 유휴모드를 종료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휴모드에 있던 단말이 다른 호출영역으로 이동하거나 동기를 상실하는 등의 이유로 정해진 시간에 호출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해당 단말은 유휴모드를 종료한다.
또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이동/고정 단말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수면모드(Sleep Mode)를 지원하고 있다.
단말은 도 2와 같은 수면요청 메시지(MOB-SLP-REQ)를 기지국으로 전송하여 수면상태로의 천이를 요청하고, 기지국으로부터 수면응답 메시지(MOB-SLP-RSP)를 수신하여 수면모드로 천이한다. 상기 수면요청 메시지와 수면응답 메시지에는 단말이 수면상태에 머물 수 있는 시작시점, 최소 및 최대 수면주기(Sleep interval)(프레임 단위) 및 수면상태에서 깨어나 다시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청취주기 (listening interval)의 값들을 포함한다.
단말의 수면주기가 끝나는 지점에서 기지국은 트래픽 지시 메시지(Traffic Indication Message: MOB-TRF-IND)를 단말로 전송하여, 단말로 전송할 트래픽이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통보한다. 만약, 상기 MOB-TRF-IND에 의해 새로운 트래픽이 출현하지 않았다고 통보되는 경우 단말은 다시 수면상태로 돌아 갈 수 있다.
이후, 종래 기술에 따른 유휴모드, 수면모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전달 및 ARP 동작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단말의 요청에 의해 유휴모드로 들어간 경우, 하향으로 수신할 데이터가 발생하여 단말이 유휴모드에서 정상모드로 전환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그리고, 기지국의 명령에 의해 유휴모드로 들어간 경우도 단말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정상모드로 전환되는 것은 동일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유휴모드로 천이하기 위하여 단말(MSS)은 기지국 (BS#1-호스트 기지국)과 등록해지 절차를 수행한다(S10). 여기서, DREG-REQ와 DREG-CMD는 각각 등록해지 요구메시지와 등록해지 명령이다.
단말(MSS)이 등록해지절차를 수행한 기지국(BS#1)은 동일 호출영역에 있는 기지국 (BS#2,BS#3)들에게 단말(MSS)이 유휴모드로 천이 하였음을 통지하고(S11), 각 기지국(BS#2,BS#3)들은 기지국(BS#1)의 호출통지(Paging announce)에 포함된 단말(MSS)의 MAC주소를 자신의 호출 리스트(Paging list)에 등록한다. 이 호출 리스트 (Paging List)는 같은 호출 영역 내에 있는 모든 기지국이 공유한다.
이후, 상기 단말(MSS)로 전달될 데이터(하향 트래픽)가 도착하면, 호스트 기지국 (BS#1)은 호출통지를 통하여 동일한 호출영역내에 있는 다른 기지국 (BS#2,BS#3)들에게 단말(MSS)로 전달할 데이터가 도착하였음을 알린다(S12). 따라서, 각 기지국 (BS#2,BS#3)들은 기지국(BS#1)의 호출통지에 포함된 MAC주소를 이용하여 단말(MSS)을 호출 기간 동안에 호출한다(S13). 즉, 각 기지국은 단말로 호출 메시지를 전송한다.
단말은 기지국(BS#2,BS#3)들로부터 호출 메시지를 수신하여, 만약 기지국 (BS#3)으로부터의 전송된 호출 메시지의 동작코드(Action code)가 초기 망 진입(initial network entry)을 나타내는 "10"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기지국 (BS#3)과 접속하기 위하여 레인징(Ranging)절차 및 초기 망 접속 절차를 수행한다(S14,S15). 여기서, RNG-REQ는 레인징 요구 메시지이고, RNG-RSP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이다.
따라서, 단말(MSS)의 초기 망 진입 절차가 완료되면 기지국(BS#3)은 망에 접속한 단말(MSS)로 하향 데이터를 전달한다(S16).
도 4는 단말의 요청에 의해 수면모드로 들어간 상태에서, 하향으로 수신할 데이터가 있어 단말이 정상모드로 전환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기지국의 명령에 의해 수면모드로 들어간 경우도 단말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정상 모드로 전환되는 것은 동일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단말(MSS)은 수면모드로 천이하기 위해 기지국(BS)으로 수면요청 메시지(MOB-SLP-REQ)를 전송하고(S20), 기지국(BS)은 단말(MSS)의 수면요청에 대하여 수면응답 메시지(MOB-SLP-RSP)을 전송한다(S21). 이때, 상기 MOB-SLP-RSP에는 프레임 단위의 수면 시작시간(M), 최소 및 최대 수면주기(N1,N2) 및 청취주기(L1)등이 포함된다.
단말(MSS)은 상기 수면 요청/응답절차(S20,S21)에서 결정된 최초 수면주기 (N1)동안 수면모드로 들어가고, 기지국(BS)은 수면 요청/응답절차(S20,S21)에서 결정된 청취주기(L1)동안에 단말로 트래픽지시자(MOB-TRF-IND)를 전송한다(S22). 여기서, 상기 트래픽지시자는 단말이 수신할 하향 데이터의 유/무(Negative/ Positive)를 알려 주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단말(MSS)은 청취주기(L1)동안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트래픽지시자 MOB-TRF-IND를 청취하여, 수신할 하향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체크한다. 체크결과, 트래픽지시자가 수신할 하향 데이터가 없음을 나타내면(Negative indication), 단말(MSS)은 정해진 수면윈도우설정 방법에 의해 수면 윈도우 크기를 조정한 (2배씩 증가) 다음 다시 수면모드로 들어간다.
이 상태에서 단말(MSS)로 전달되어야 하는 데이터가 기지국(BS)으로 도착하면, 기지국(BS)은 도착된 데이터를 소정의 저장장소에 저장한 후 다음 청취기간(L1)동안에 트래픽지시자((MOB-TRF-IND)를 통하여 단말로 하향 데이터가 있음을 알린다(S23).
따라서, 단말(MSS)은 청취주기(L1)동안 수신한 트래픽지시자를 통해 수신할 데이터가 있음을 알고(Positive indication)(S28), 수면모드에서 정상동작(Normal operation)모드로 전환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S24).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정상동작 상태에 있을 때 단말로 전송될 IP(Internet Protocol)패킷(데이터)이 도착하면, 라우터는 상기 IP패킷을 기지국을 통해 단말로 전달하기 위해 IPv4의 경우는 ARP, IPv6의 경우는 ND(Neighbor Discovery)를 수행해야 한다. 즉, IP패킷을 전송할 때 라우터는 ARP 또는 ND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목적(Target) 네트워크 주소(EX.IP주소)에 해당하는 목적 링크계층 주소(e.g., MAC주소 또는 Ethernet 주소)를 알아내야 한다. 상기 ARP는 네트워크 주소를 링크계층주소 (MAC 주소 또는 이더넷 주소)로 변환할 때 사용되는 IPv4의 프로토콜이며, ND 프로토콜은 접속되어 있는 링크의 이웃들의 링크 레이어 (Link-layer) 주소들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IPv6의 프로토콜이다. 상기 주소변환은 IP헤더와 링크계층 주소(e.g., MAC주소 또는 이더넷 주소) 헤더가 생성되는 시점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출력 IP패킷에 대해서만 일어난다.
도 5에는 IPv4의 ARP 패킷의 포멧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6과 도 7은 IPv6의 Neighbor Solicitation 메시지와 Neighbor Advertisement 메시지의 포멧이다.
도 8은 단말이 정상동작 상태에 있을 때 라우터에 의한 ARP요청(IPv4)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단말로 전송될 IP패킷(데이터)가 도착되면 라우터는 목적 네트워크 주소(150.150.58.162)에 해당하는 링크계층 주소(e.g., MAC주소 또는 이더넷 주소)(08-00-28-00-38-A9)를 구하기 위해 IPv4의 경우는 ARP요청, IPv6의 경우 Neighbor Solicitation 을 수행하고, 기지국(BS)은 라우터의 ARP요청 또는 Neighbor solicitation을 청취하여 이를 단말들로 전달하여야 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서는 기지국(BS)이 어떤 방법으로 ARP요청 및 Neighbor Solicitation을 단말들로 전달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다. 즉, 종래에는 단말이 정상동작상태에 있을 때 라우터가 IP패킷(데이터)을 전달하기 위하여 ARP(IPv4의 경우) 또는 ND(IPv6의 경우)를 수행할 경우 이를 단말에 전달해 주기 위한 기지국의 동작이 명확히 정의되어 있지 않으므로 라우터에 도착한 IP패킷(데이터)는 단말로 전달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보통 수면/유휴모드에 있는 단말은 특정 주기에만 신호를 수신한다. 따라서, 단말로 전달될 데이터가 라우터에 도착하여, 기지국이 라우터의 ARP요청 또는 Neighbor Solicitation을 단말로 전달할 수 있는 경우라도 단말이 수면/유휴모드에서는 상기 ARP요청 또는 Neighbor Solicitation에 대한 응답을 할 수 없기 때문에 결국 단말은 데이터를 수신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9는 수면모드에서의 문제점을 IPv4에 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서 제기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ARP 요청을 기지국이 단말들로의 방송을 통해 해결되었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현재 수면모드에 있는 단말(10)로 데이터(패킷)를 전송할 경우 라우터는 기지국(BS)으로 ARP 요청을 전송하고, 기지국(BS)은 ARP요청을 단말들로 방송(Broadcast) 한다. 그런데, 단말(10)은 특정 주기동안만 기지국의 트래픽지시자(MOB-TRF-IND)를 청취하기 때문에 상기 ARP요청을 들을 수 없으며, 그 대한 응답을 보낼 수도 없다. 따라서, 패킷은 라우터에서 기지국까지 도착을 할 수 없다. 또한, ARP대신 Neighbor Discovery Protocol을 사용하는 IPv6도 수면모드에서 동일한 문제점을 갖는다.
도 10은 유휴모드에서의 문제점을 IPv4에 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에서 제기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ARP 요청을 기지국이 단말들로의 방송을 통해 해결되었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현재 유휴모드(20)에 있는 단말로 데이터(패킷)를 전송할 경우 라우터는 기지국(BS)으로 ARP요청을 전송하고, 기지국은 상기 ARP요청을 단말들로 방송(Broadcast) 한다. 그런데, 단말(20) 역시 특정 주기동안만 기지국의 호 출메시지(MOB-PAG-ADV)를 청취하기 때문에 상기 ARP요청을 들을 수 없으며, 이에 대한 응답을 보낼 수도 없다. 따라서, 패킷은 라우터에서 기지국까지 도착을 할 수 없다. 또한, ARP대신 Neighbor Discovery Protocol을 사용하는 IPv6도 유휴모드에서 IPv4와 동일한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는 단말이 전력절약(Power Saving)을 위해 유휴모드나 수면모드에 있을 때 데이터가 기지국까지 도착할 수 없기 때문에, 결국 데이터는 라우터에서 기지국을 통해 단말로 전달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이 정상동작상태에 있을 때 라우터가 IP패킷 (데이터)을 전달하기 위해 주소요청 메시지(ARP 또는 ND) 전송할 때 이를 단말에 전달해 주기 위한 기지국의 동작을 정의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이 유휴모드나 수면모드에 있을 때 데이터가 라우터에서 기지국을 통해 단말로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지국은 기지국 내에 초기 접속 과정을 통해 등록하는 모든 단말의 네트워크 주소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단말의 네트워크 주소에 대한 정보는 첫째, 기지국에 등록이 끝난 단말이 기지국으로 알리는 방법, 둘째, 기지국에 등록이 끝난 단말에 기지국이 요청하는 방법, 셋째, 기지국이 단말과 라우터의 메시지 모니터링을 통해 알아내는 방법이 있다. 이런 절차를 통해 기지국이 획득한 단말의 네트워크 주소와 단말의 등록과정에서 기지국이 획득한 링크계층 주소에 대한 정보를 통해, 라우터가 기지국으로 ARP 요청 또는 Neighbor Solictation을 전송에 대한 응답을 단말을 대신하여 시행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 주소를 유지할 것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제1 네트워크 엔터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네트워크 엔터티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 유휴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유휴 모드 동안 제2 네트워크 엔터티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엔터티에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네트워크 주소에 상응하는 하향링크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에 진입하는 단계는,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 주소를 유지할 것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네트워크 엔터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 유휴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유휴 모드 동안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에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네트워크 주소에 상응하는 하향링크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에 진입하는 단계는,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 주소를 유지할 것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이동 단말로부터 제1 네트워크 엔터티가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네트워크 엔터티가 상기 이동 단말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이동 단말의 유휴 모드로의 진입을 허용하는 단계; 상기 유휴 모드 동안에 제2 네트워크 엔터티가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제2 네트워크 엔터티로 진입하는 것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네트워크 주소에 상응하는 하향링크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엔터티로 진입을 허용하는 단계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 주소를 유지할 것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이동 단말로부터 네트워크 엔터티가 수신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가 상기 이동 단말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이동 단말의 유휴 모드로의 진입을 허용하는 단계; 상기 유휴 모드 동안에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가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로 진입하는 것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네트워크 주소에 상응하는 하향링크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엔터티로 진입을 허용하는 단계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엔터티; 및 네트워크 주소를 유지할 것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로 송신하고,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 유휴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유휴 모드 동안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에 진입하는 이동 단말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엔터티는,
네트워크 주소를 유지할 것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이동 단말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이동 단말의 유휴 모드로의 진입을 허용하고, 상기 유휴 모드 동안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로 진입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정상 수신모드에 있는 단말로 하향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하여 라우터가 기지국으로 주소요청 메시지(ARP요청 또는 Neighbor Solicitation)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라우터로부터 전달된 주소요청 메시지를 다수의 단말들로 방송하거나, 기지국과 연결된 모든 단말에 일대일 전송을 하고, 상기 다수의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응답 메시지(ARP응답 또는 Neighbor Advertisement)를 라우터로 전달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응답 메시지는 제2관리연결 또는 일반 데이터 버스트를 통하여 기지국으로 전달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소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다수의 단말들중에서 목적 네트워크 주소가 자기 주소인 단말은 자신의 링크계층주소가 포함된 응답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달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면/유휴모드에 있을 단말로 하향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하여 라우터가 기지국으로 주소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목적 네트워크 주소를 이용해 단말의 링크계층주소를 알아내기 위한 주소요청 메시지가 라우터로부터 전송되면, 단말을 대신하여 응답 메시지를 라우터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지국은 단말이 수면모드/유휴모드로 천이할 때 단말로부 터 미리 네트워크 주소정보를 제공받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지국은 단말이 수면/유휴모드로 들어갈 때 소정의 메시지를 통하여 제공받은 단말의 네트워크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주소요청 메시지에 대하여 응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말의 네트워크 주소는 단말의 요청에 의해 수면/유휴모드로 들어간 경우는 수면요청 메시지 또는 등록해지 요청 메시지를 통해 전달된다. 또한, 상기 단말의 네트워크 주소는 기지국의 요청에 의해 수면/유휴모드로 들어간 경우는 단말 정보 메시지를 통해 전달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지국은 수면/유휴모드에서 소정의 메시지를 통하여 제공받은 단말의 네트워크 주소를 이용하여, Gratuitous ARP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인접 라우터로 방송한다. 방송은 라우터의 ARP 캐쉬가 유지될 수 있는 빈도로 시행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이동/고정 단말(이하 단말로 칭함)이 정상 수신모드에 있을 때 라우터에서 단말로 하향 패킷을 전달하기 위해 기지국이 수행해야 하는 동작을 정의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이 수면모드/유휴모드로 천이할 때 단말을 대신하여 기지국이 라우터의 ARP요청에 대해 응답함으로써 원할한 데이터 전달을 지원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메시지를 정의한다.
- 수면요청(MOB-SLP-REQ) 메시지 : 이 메시지는 수면모드에 들어가기 위해 단말이 기지국으로 수면을 요청하는 메시지이다. 상기 수면요청(MOB-SLP-REQ) 메시지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면모드 천이 후 라우터에서 전송되는 ARP 요청(IPv4의 경우) 또는 Neighbor Solicitation(IPv6의 경우)에 대해 기지국이 단말을 대신해서 응답을 하게 하기 위하여 단말의 네트워크 주소를 알려 주는 부분을 추가로 포함한다.
- 등록해지요청(DREG-REQ) 메시지 : 이 메시지는 유휴모드에 들어가기 위해 단말이 기지국으로 등록 해지를 요청하는 메시지이다. 상기 등록해지요청 (DREG-REQ) 메시지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같이, 유휴모드 천이 후 라우터에서 전송되는 ARP요청 (IPv4의 경우) 또는 Neighbor Solicitation(IPv6의 경우)에 대해, 기지국이 단말을 대신해서 응답을 하게 하기 위해 단말의 네트워크 주소를 알려주는 TLV tuple부분을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단말의 등록해지요청코드(De-Registration_Request_Code)가 0x01일 경우에는 네트워크 주소를 TLV에 포함하여야 한다.
- 단말정보(MOB-INFO) 메시지 : 이 메시지는 기지국에 의해 단말이 수면모드 및 유휴모드로 들어갈 때 단말의 네트워크 주소를 기지국으로 알려 주기 위한 메시지이다. 상기 단말정보 메시지의 일 예는 도 13에 도시되어 있으며, 네트워크 주소를 기지국에 알려 줄 수 있다면 다른 형태도 가능하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IP패킷 전송을 위한 단말의 정상수신모드와 휴지/수면모드에서의 기지국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말이 정상 수신모드에 있을 경우 IP패킷(데이터)이 라우터와 기지국을 통 해 단말로 전달될 수 있도록 라우터는 IP목적지 주소를 이용하여 단말의 링크계층주소 (e.g.,MAC 주소 혹은 이더넷 주소)를 알아내는데, 이를 위해 라우터는 기지국으로 주소요청 메시지 즉, IPv4의 경우 ARP요청, IPv6의 경우는 Neighbor Solicitation을 전송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지국은 라우터로부터 주소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를 다수의 단말들로 방송하거나 모든 단말로 1:1 전송하고, 상기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응답 메시지 즉 ARP응답 또는 Neighbor Advertisement를 라우터로 전달한다. 상기 주소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중에서 자신의 MAC 주소(혹은 Ethernet 주소- 링크계층 주소)가 있는 단말은 제2관리연결(Secondary management connection) 또는 일반 데이터 버스트(burst)를 통해 응답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달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지국이 수면/휴지 모드에 있는 단말의 허위 (Proxy) ARP응답 (또는 Neighbor Advertisement)을 라우터로 전송할 수 있도록 단말이 수면요청 메시지(MOB-SLP-REQ) 또는 등록해지 요청 메시지(DREG-REQ)에 자신의 네트워크 주소를 포함시켜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또한, 기지국의 명령에 의해 단말이 휴지 /수면모드로 들어 가는 경우 단말은 휴지/수면모드로 들어가기 전에 자신의 네트워크 주소 정보를 기지국에 알려 준다. 그리고, 본 발명은 IPv4를 예로들어 설명하였지만 ARP대신 ND (Neighbor Discovery) 프로토콜을 사용하면 IPv6의 경우도 동일하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 단말이 정상 수신모드에 있을 때 데이터 전달을 위하여 라우터가 목적 네트워크 주소의 링크계층주소를 획득하는 방법을 나 타낸 도면이다. 이때, IPv6의 경우는 ARP 요청 대신에 Neighbor solicitation, ARP응답 대신에 Neighbor advertisement로 바꾸어 설명하면 IPv4와 동일하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같이, 단말로 전달될 데이터(IP 패킷)가 도착하면, 라우터는 ARP 테이블을 검사하여 목적(target) 네트워크 주소(150.150.58.162)에 해당하는 링크계층 주소(e.g., MAC주소 또는 이더넷 주소)가 존재하는지 체크한다. 체크결과, 상기 테이블에 목적 네트워크 주소에 해당하는 링크계층 주소(e.g., MAC주소 또는 이더넷 주소)가 없는 경우(blank) 라우터는 기지국(BS)으로 ARP요청 (Request)을 전송한다.
상기 ARP 요청을 수신한 기지국(BS)은 모든 단말들로 ARP요청을 방송 (Broadcast)하고, 상기 ARP 요청을 수신한 단말중에서 목적 네트워크 주소가 자기 주소인 단말은 자신의 링크계층 주소(08-00-28-00-38-A9)를 담아 ARP응답(Reply)을 기지국 (BS)으로 전달하고, 해당 기지국(BS)은 상기 ARP응답을 라우터로 전달한다. 이때, 단말은 제2관리연결(secondary management connection) 또는 일반 데이터 버스트를 통해 ARP응답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라우터는 ARP응답으로부터 목적 네트워크 주소((150.150.58.162))에 해당하는 MAC주소(08-00-28-00-38-A9)를 획득한 후 이를 이용해 단말로 데이터를 전달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기지국이 허위(Proxy) ARP 또는 허위 ND프로토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단말이 수면/유휴모드에서 동작할 때 데이터가 기지국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제1실시예시에서는 기지국이 단말로 ARP 및 Neighbor Discovery 관련 메시지를 전달하였으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기지국이 단말의 네트워크 주소와 링크계층주소 (MAC 주소 또는 이더넷 주소)를 가지고 있는 경우 기지국은 라우터의 ARP요청 또는 Neighbor Solicitation에 직접 응답을 전송한다. 이를 위해 기지국은 단말의 네트워크 주소와 링크계층주소를 단말이 기지국에 수면 또는 휴지 모드를 등록하는 과정을 통해 알거나, 단말의 네트워크 주소 설정을 감시하여 얻을 수도 있다. 또한, 기지국은 단말에 직접 요청을 해서 얻을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과 데이터 전송을 단말의 동작 모드에 따라 자세히 살펴보자.
도 15는 단말에 의해 수면모드로 들어간 경우 단말로 전달할 IP패킷 (데이터)을 위해 라우터가 목적 네트워크 주소의 링크계층주소(e.g.,MAC 주소 또는 이더넷 주소)를 획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같이, 단말(MSS)은 수면모드로 들어가기 위해 기지국 (BS)으로 수면을 요청하는 메시지(MOB-SLP-REQ)를 전송하고(S30), 상기 기지국은 단말의 수면요청에 대하여 응답 메시지(MOB-SLP-RSP)을 전송한다(S31). 이때 단말은 향후 자신에 대해 라우터의 ARP 요청이 있을 때 기지국이 대신 ARP 응답을 할 수 있도록 자신의 네트워크 주소를 기지국으로 알려준다.
따라서, 단말은 MOB-SLP-RSP에 포함된 수면주기동안 수면모드로 들어간 다음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트래픽지시자(MOB-TRF-IND)를 청취주기(L1)동안 청취하여 수신할 하향 데이터의 유무를 확인한다(S32). 확인결과, 트래픽지시자가 하향 데이터가 없음을 나타내면 단말은 수면 윈도우를 정해진 길이만큼 증가시킨 후(2*N1) 다시 수면모드에 들어간다.
한편, 단말로 전달될 데이타(IP 패킷)가 도착하면, 라우터는 상기 데이터의 네트워크 주소에 해당하는 MAC주소를 알아 내기 위해 기지국으로 ARP 요청을 전송하고 (S33), 기지국은 라우터의 ARP요청에 대해 단말 대신에 ARP 응답을 한다(S34).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허위(Proxy) ARP응답이 수신되면 라우터는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달하고(S35), 기지국은 해당 데이터를 저장한 후 하향링크로 전달될 데이터가 있음을 단말의 청취주기(L1)동안 트래픽 지시자(MOB-TRF-IND)를 통해 단말로 알려준다(S36).
따라서, 단말은 청취주기(L1)동안 기지국으로 전달되는 트래픽지시자를 통해 수신할 하향 데이터가 있음을 알고, 수면모드에서 정상동작모드로 전환한 다음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S37).
도 16은 기지국에 의해 수면모드로 들어간 경우 데이터 전달을 위해 라우터가 목적 네트워크 주소의 링크계층주소를 획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동일하지만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는 기지국의 요청에 의해 수면모드로 들어가기 때문에 단말이 네트워크 주소를 기지국으로 알려주는 단계가 추가되었다.
도 17은 단말에 의해 유휴모드로 들어간 경우 데이터 전달을 위해 라우터가 목적 네트워크 주소의 링크계층주소를 획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단말(MSS)은 유휴모드로 들어가기 위해 기지국(BS)으로 등록 해지를 요청하는 메시지(DREG-REQ)를 전송하고, 기지국은 등록 해지 요청에 대해 등록 해지 응답 명령(DREG-CMD)을 전송한다(S40). 이때 단말은 향후 자신에 대해 라우터의 ARP요청이 있을 때 기지국이 대신 ARP응답을 할 수 있도록 자신의 네트워크 주소를 DREG-REQ를 통해 기지국으로 알려준다.
단말이 등록 해지 절차를 수행한 기지국(호스트 기지국)은 동일한 호출영역 내의 모든 기지국(BS#2,BS33)들에게 단말이 유휴모드로 천이 하였음을 알리고 (S41), 기지국(BS#1)의 호출통지를 수신한 각 기지국들은 호출 리스트(Paging list)에 상기 단말의 MAC 주소를 등록한다.
이후, 단말로 전달될 데이터(IP 패킷)이 도착하면, 라우터는 상기 데이터의 목적 네트워크 주소에 해당하는 MAC주소를 알아 내기 위하여 호스트 기지국(MS#1)으로 ARP 요청 (Requst)을 전송하고(S42), 기지국(BS#1)은 라우터의 ARP요청에 대하여 단말을 대신에 ARP 응답(Reply)를 한다(S43).
기지국(BS#1)으로부터 ARP 응답이 수신되면 라우터는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달하고, 기지국(BS#1)은 전달된 데이터를 저장한 다음 동일 호출영역내에 있는 다른 기지국(BS#2,BS#3)들에게 단말로 전달할 데이터가 도착하였음 알린다(S44).
따라서, 상기 기지국(BS#1)으로부터 호출통지(Paging announce)를 수신한 각 기지국(BS#2,BS#3)들은 해당 MAC주소를 가진 단말을 기지국 호출 기간동안에 호출한다(S45).
만약, 상기 기지국(BS#3)으로부터의 전송된 호출 메시지의 동작코드(Action code)가 초기 망 진입(initial network entry)을 나타내는 10로 설정되어 있는 경 우, 단말은 기지국(BS#3)과 접속하기 위하여 레인징(Ranging)절차 및 초기 망 접속 절차를 수행하고(S46,S47), 상기 기지국(BS#3)은 망에 접속한 단말로 데이터를 전달한다(S48)
도 18은 기지국에 의해 유휴모드로 들어간 경우 데이터 전달을 위해 라우터가 목적 네트워크 주소의 링크계층주소를 획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된 실시예는 기지국의 요청에 의해 유휴모드로 들어가기 때문에 단말이 네트워크 주소를 기지국에 알려주는 단계(MOB-INFO)를 제외하면 도 17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19는 수면모드에 대한 본 발명의 전체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단말에게 전송될 IP패킷(IP dadagram)이 도착하면 라우터는 기지국(BS)으로 ARP 요청(Request)을 전송하고, 기지국(BS)은 단말이 수면모드로 천이할 때 전송해 준 네트워크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ARP요청에 대한 허위 ARP 응답(Proxy ARP Reply)을 단말을 대신하여 상기 기지국(BS)으로 전송한다.
일단 ARP응답이 수신되면 라우터는 상기 IP 패킷을 기지국으로 전달하고, 기지국은 전달된 패킷(데이터)를 저장한 다음 단말의 청취주기동안 MOB-TRF-IND메시지를 통하여 하향링크로 전송될 데이터가 있음을 알려준다. 상기 MOB-TRF-IND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청취주기가 종료된 후 정상수신 모드로 전환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도 20은 유휴모드에 대한 본 발명의 전체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같이, 단말에게 전송될 IP패킷(IP dadagram)이 도착하면 라우터는 ARP 요청(Request)을 전송하고, 단말이 유휴모드로 천이하기 위해 등록 해지 요청을 한 기지국(호스트 기지국)(BS1)은 단말이 유휴모드로 천이할 때 전송해준 네트워크 주소를 이용하여 ARP요청에 대한 ARP응답(Proxy ARP Reply)을 단말을 대신하여 라우터로 전송한다.
ARP응답이 수신되면 라우터는 패킷을 기지국으로 전달하고, 기지국은 전달된 패킷(데이터)를 저장한 다음 호출통지를 통해 동일한 호출영역에 있는 모든 기지국으로 특정 단말(MAC 주소)로 전송될 하향 데이터가 있음을 알린다. 따라서, 호출영역내에 있는 기지국(예를들어 BS2)들은 호출 방송주기에 해당 단말로 호출 메시지(MOB-PAG-ADV)를 방송하고, 상기 메시지를 청취한 단말들중 해당 MAC주소를 가진 단말은 망 접속 절차를 수행한 다음 상기 라우터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단말이 정상수신모드에 있을 때 상기 단말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라우터의 ARP요청(IPv4) 또는 Neighbor Solicitation (IPv6)을 기지국이 단말들로 전달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하향링크 IP패킷을 효과적으로 전달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단말이 수면/유휴모드로 들어갈 때 상기 단말이 기지국으로 자신의 네트워크 주소를 알려 주고, 기지국은 패킷(데이터)이 라우터에 도착하였을 때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라우터의 ARP요청 또는 Neighbor Solicitation에 대하여, 단말 대신에 단말의 네트워크 주소가 포함된 ARP응답(IPv4) 또는 Neighbor Advertisement (IPv6)을 라우터로 전송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말이 전력절약(Power Saving)을 위해 유휴모드나 수면모드에 있을 때 데이터가 라우터에서 기지국을 통해 이동/고정 단말로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2)

  1.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단말이 상기 이동단말의 네트워크 주소를 유지할 것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제1 네트워크 엔터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네트워크 엔터티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 상기 이동단말이 유휴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유휴 모드 동안 제2 네트워크 엔터티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상기 이동단말이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단말이 상기 제2 네트워크 엔터티에 진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의 네트워크 주소에 상응하는 하향링크 패킷을 상기 이동단말이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이 상기 제2 네트워크 엔터티에 진입하는 단계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는, 상기 이동단말의 네트워크 주소가 유지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의 네트워크 주소는,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주소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는, 등록 해제 요청 메시지(de-registration request: DREG-REQ)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유휴 모드로 진입할 것을 요청하는 요청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는, 등록 해제 명령(de-registration command: DREG-CMD)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유휴 모드로 진입할 것을 명령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이동 단말의 하향 링크 데이터를 통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링크 데이터는 IP 패킷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엔터티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엔터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기지국 또는 페이징 제어기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15.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 있어서,
    제1 네트워크 엔터티가 이동단말의 네트워크 주소를 유지할 것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상기 이동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네트워크 엔터티가 상기 이동단말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이동 단말이 유휴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허용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단말의 유휴 모드 동안에 제2 네트워크 엔터티가 페이징 메시지를 상기 이동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엔터티가 상기 이동단말의 진입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의 네트워크 주소에 상응하는 하향링크 패킷을 상기 제1 네트워크 엔터티가 상기 이동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엔터티가 상기 이동단말의 진입을 허여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엔터티가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상기 이동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는, 상기 네트워크 주소가 유지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의 네트워크 주소는,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주소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는, 등록 해제 요청 메시지(de-registration request: DREG-REQ)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는, 등록 해제 요청 메시지(de-registration request: DREG-REQ)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유휴 모드로 진입할 것을 요청하는 요청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23.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는, 등록 해제 명령(de-registration command: DREG-CMD)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24.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유휴 모드로 진입할 것을 명령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25.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이동 단말의 하향 링크 데이터를 통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링크 데이터는 IP 패킷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2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엔터티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엔터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기지국 또는 페이징 제어기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KR1020040048618A 2004-06-25 2004-06-26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정보 전달방법 KR100885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165,662 US7778640B2 (en) 2004-06-25 2005-06-24 Method of communicating data in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XPA06014983A MXPA06014983A (es) 2004-06-25 2005-06-25 Un metodo para comunicar datos en un sistema de comunicacion movil inalambrica.
EP05856320.6A EP1767047B1 (en) 2004-06-25 2005-06-25 A method of communicating data in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07517967A JP4742100B2 (ja) 2004-06-25 2005-06-25 無線モバイル通信システムでデータを通信する方法
BRPI0511414-4A BRPI0511414A (pt) 2004-06-25 2005-06-25 método para comunicação de dados em um sistema de comunicação móvel sem fio
AU2005323614A AU2005323614B2 (en) 2004-06-25 2005-06-25 A method of communicating data in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2569210A CA2569210C (en) 2004-06-25 2005-06-25 A method of communicating data in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200580020936XA CN1981551B (zh) 2004-06-25 2005-06-25 无线移动通信系统中的数据通信方法
PCT/KR2005/001997 WO2006073228A1 (en) 2004-06-25 2005-06-25 A method of communicating data in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L180226A IL180226A (en) 2004-06-25 2006-12-21 A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2/034,456 US8150395B2 (en) 2004-06-25 2008-02-20 Method of communicating data in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2/833,876 US8478268B2 (en) 2004-06-25 2010-07-09 Method of communicating data in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48423 2004-06-25
KR1020040048423 2004-06-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2937A KR20050122937A (ko) 2005-12-29
KR100885156B1 true KR100885156B1 (ko) 2009-02-23

Family

ID=37294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8618A KR100885156B1 (ko) 2004-06-25 2004-06-26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정보 전달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85156B1 (ko)
CN (1) CN19815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9389B1 (ko) * 2008-05-09 2012-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접속시스템에서 페이징 수행 방법
KR101666899B1 (ko) * 2009-05-24 2016-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컨텐트 보존 등록해제 모드 동작 방법
CN103782529B (zh) * 2011-09-09 2016-10-12 Lg电子株式会社 在机器对机器通信中更新终端组标识符的方法
KR101617557B1 (ko) * 2011-09-12 2016-05-02 인텔 코포레이션 M2m 디바이스를 위한 그룹 매체 액세스 제어 메시지 및 그룹 식별자 업데이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566A (ko) * 2000-08-18 2002-02-25 윤종용 무선 패킷 데이터시스템의 도먼트상태 관리장치 및 방법
US20040072578A1 (en) 2001-02-23 2004-04-15 Heinz-Peter Keutmann Location update procedure when roaming from a first communication service domain to a second communications service domain
US20040121765A1 (en) 2002-09-24 2004-06-24 Idnani Ajaykumar R.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sip contact addresses using event subscrip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50581A (zh) * 1997-03-18 2000-04-12 西门子公司 在通信网络和通信终端之间传输信息的通信终端和方法
JP3214466B2 (ja) * 1998-04-07 2001-10-02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通信制御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基地局及び移動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566A (ko) * 2000-08-18 2002-02-25 윤종용 무선 패킷 데이터시스템의 도먼트상태 관리장치 및 방법
US20040072578A1 (en) 2001-02-23 2004-04-15 Heinz-Peter Keutmann Location update procedure when roaming from a first communication service domain to a second communications service domain
US20040121765A1 (en) 2002-09-24 2004-06-24 Idnani Ajaykumar R.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sip contact addresses using event subscriptio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S's Proxy ARPing for Sleep or Idle Mode MSSs (IEEE C802.16e-04/155r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2937A (ko) 2005-12-29
CN1981551B (zh) 2011-07-20
CN1981551A (zh) 200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323614B2 (en) A method of communicating data in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978638B2 (en) Method of transmitting network information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US7885224B2 (en) Method for reestablishment of IP address for idle mode MS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hereof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US7636563B2 (en) Performing idle mode in a wireless access system
KR101166765B1 (ko) IPv4 및 IPv6을 지원하기 위한 IP 주소 설정
US866058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n idle mod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A2569497C (en) Method of controlling idle mode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KR2010008031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갱신 방법
CN1985475A (zh) 最小化的ip连接建立过程
WO2008106889A1 (fr) Procédé, système de communication sans fil et dispositif de commande de mobilité de groupe pour traiter une mobilité de groupe
KR20070036758A (ko)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유휴모드 동작, 유휴모드 단말의위치갱신 및 유휴모드 종료방법
KR101606789B1 (ko)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수신하는 유휴 모드 상태의 단말들을 고려한 효과적인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법
KR10088515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정보 전달방법
JP4742100B2 (ja) 無線モバイル通信システムでデータを通信する方法
KR100885157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정보 전달방법
EP1832124B1 (en) Performing idle mode in a wireless access system
KR101554186B1 (ko) 클라이언트 기반의 크로스레이어 아이피 페이징 방법
KR20050089625A (ko) 유휴 상태를 지원하는 광대역 통신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