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4664B1 -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ubtitle i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ubtitle i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4664B1
KR100884664B1 KR1020070052820A KR20070052820A KR100884664B1 KR 100884664 B1 KR100884664 B1 KR 100884664B1 KR 1020070052820 A KR1020070052820 A KR 1020070052820A KR 20070052820 A KR20070052820 A KR 20070052820A KR 100884664 B1 KR100884664 B1 KR 100884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subtitle
channel audio
display area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28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105343A (en
Inventor
백인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맥스
Priority to KR1020070052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4664B1/en
Publication of KR20080105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53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4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46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4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the audio stream,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audio str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서브타이틀 표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디지털 텔레비전 또는 셋탑 박스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디지털 방송을 통해 수신되는 비디오와 오디오, 그리고 서브타이틀 데이터를 각각 디코딩 및 신호 처리하되, 사용자의 요청 등에 따라, 개선된 서브타이틀 표시 모드를 설정하는 경우, 좌 채널 오디오 또는 우 채널 오디오의 출력 상태를 검출하여, 메인 비디오에 중첩 표시되는 자막 문자의 서브타이틀을, 좌 채널 오디오에 적합하도록, 디스플레이 영역의 좌측 일부에 표시하거나, 또는 우 채널 오디오에 적합하도록, 디스플레이 영역의 우측 일부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방송 시청 도중 스테레오 오디오를 청취하면서, 청각적으로 입체감을 느낄 수 있게 됨은 물론, 서브타이틀의 표시 영역이 좌측 또는 우측 등으로 가변 표시되는 것을 보면서, 시각적으로 입체감을 느낄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tit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in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For example, in various types of digital broadcast receivers such as a digital television or a set top box, video and audio received through digital broadcast, and a sub Decoding and signal processing of the title data, respectively, but when the improved subtitle display mode is set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the output state of the left channel audio or the right channel audio is detected, and the caption character superimposed on the main video is displayed. By displaying the subtitle on a part of the left side of the display area to be suitable for the left channel audio or on the part of the right side of the display area to suit the right channel audio, the user hears the stereo audio while watching the broadcast. Of course, you can feel the three-dimensional sense, of course, Watching the display area of the title to be displayed in the variable, such as the left or right, it is extremely useful to be able to visually inventors feel a stereoscopic effect.

디지털 방송 수신기, 좌 채널 오디오, 우 채널 오디오, 서브타이틀, 디스플레이 영역 Digital broadcast receiver, left channel audio, right channel audio, subtitle, display area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서브타이틀 표시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ubtitle i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ubtitle i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서브타이틀 표시 장치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1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subtitle display apparatus in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서브타이틀 표시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고,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ubtitle display method in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의 우측 일부와 좌측 일부에 각각 서브타이틀이 선택 표시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3 and 4 illustrate embodiments in which subtitles are selectively displayed on a part of a right side and a part of a left side of the display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서브타이틀 표시 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FIG. 5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a subtitle display device in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오디오 헤더 정보로부터 오디오 채널 정보가 검출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6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audio channel information is detected from audio heade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서브타이틀 표시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7 illustrates an operation flowchart of another embodiment of a subtitle display method in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 for main part of drawing

10 : 비디오 처리부 11 : 서브타이틀 처리부10: video processing unit 11: subtitle processing unit

12 : 오디오 처리부 13 : 합성부12: audio processing unit 13: synthesis unit

14 : 오에스디 생성부 15 : 지연부14: OSD generator 15: delay unit

16 : 좌/우 검출부 17 : 제어부16: left and right detection unit 17: control uni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서브타이틀 표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디지털 텔레비전(Digital Television) 또는 셋탑 박스(STB: Set Top Box)와 같은 다양한 유형의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메인 비디오(Main Video)에 자막 문자 등으로 중첩 표시되는 서브타이틀(Subtitle) 표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tit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in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For example, in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of various types such as a digital television or a set top box (STB), a main video is provid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title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superimposing and displaying subtitle characters on (Main Video).

일반적으로, 디지털 텔레비전(D-TV) 또는 셋탑 박스(STB)와 같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는, 예를 들어 디지털 방송을 통해 전송되는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의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비디오(Video), 오디오(Audio), 그리고 서브타이틀(Subtitle) 데이터 등으로 각각 분리하게 된다. In general,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such as a digital television (D-TV) or a set-top box (STB) receives broadcast data of an MPEG2 transport stream transmitted through, for example, digital broadcast, thereby receiving a video. ), Audio, and subtitle data.

또한, 상기 분리된 비디오, 오디오, 그리고 서브타이틀 데이터를 각각 디코딩하여 신호 처리하게 되는 데, 상기 비디오 데이터는, 비디오 디코더(Video Decoder)에 의해 디코딩되어, 메인 비디오로 출력 표시되고, 상기 서브타이틀 데이터는, 예를 들어 서브타이틀 디코더(Subtile Decoder)에 의해 텍스트(Text) 데이터로 디코딩된 후, 오에스디 생성부(OSD Generator)에 의해 자막 문자의 서브타이틀 영상으로 신호 처리되어, 상기 메인 비디오의 일부 영역에 중첩 표시된다.In addition, the separated video, audio, and subtitle data are respectively decoded and signal processed. The video data is decoded by a video decoder to be displayed as a main video, and the subtitle data is displayed. For example, the signal is decoded into text data by a subtile decoder, and then signal-processed into a subtitle image of a subtitle character by an OSD generator to generate a part of the main video. Overlaid on the area.

그리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디코더(Audio Decoder)에 의해 디코 딩되어, 고음질의 오디오로 출력되는 데, 예를 들어 스테레오(Stereo) 오디오의 경우, 좌 채널(L_CH) 오디오와 우 채널(R_CH) 오디오가 서로 분리되어 각각 다른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므로, 사용자는 메인 비디오에 중첩 표시되는 자막 문자의 서브타이틀을 보면서, 스테레오 오디오를 청취할 수 있게 된다.The audio data is decoded by an audio decoder and output as high quality audio. For example, in case of stereo audio, the left channel (L_CH) audio and the right channel (R_CH) are output. Since the audio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output through different speakers, the user can listen to the stereo audio while watching the subtitle of the subtitle characters superimposed on the main video.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는, 예를 들어 좌 채널 오디오 또는 우 채널 오디오 중 어느 한 채널의 오디오만이 일정 시간 이상 연속적으로 출력되는 경우에도, 상기 메인 비디오에 중첩 표시되는 자막 문자의 서브타이틀을, 디스플레이 영역 내의 고정된 위치(예: 화면 하단의 중앙 위치)에 계속 표시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스테레오 오디오의 청취를 통해서만, 청각적으로 입체감을 느낄 수 있을 뿐, 자막 문자의 서브타이틀 영상을 보면서 시각적으로는 입체감을 전혀 느낄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general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as described above, even if only audio of one channel of left channel audio or right channel audio is continuously output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for example, the subtitle of the subtitle character superimposed on the main video is displayed. Since the title is continuously displayed at a fixed position in the display area (for example, the center position at the bottom of the screen), the user can only sense the stereoscopic sound by listening to the stereo audio, but also the subtitle image of the subtitle character. There is a problem that you can not visually feel the three-dimensional effect at all.

스테레오 오디오에 의한 청각적인 입체감에 비해, 자막 문자의 서브타이틀에 의한 시각적인 입체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Compared with the auditory stereoscopic effect by stereo audi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isual stereoscopic effect by the subtitle of the subtitle character is lower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디지털 방송을 통해 수신되는 비디오와 오디오, 그리고 서브타이틀 데이터를 각각 신호 처리하되, 좌 채널 오디오 또는 우 채널 오디오의 출력 상태에 따라, 메인 비디오에 중첩 표시되는 자막 문자의 서브타이틀을, 디스플레이 영역의 좌측 일부 또는 우측 일부에 구분 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서브타이틀 표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for example, while processing the video, audio, and subtitle data received through digital broadcasting, respectively, the output of left channel audio or right channel audio A subtit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in a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for displaying a subtitle of a subtitle character superimposed on a main video on a part of a left or a part of a display area according to a state thereof, There is a purpo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서브타이틀 표시 방법은, 디지털 방송을 통해 수신되는 비디오와 오디오, 그리고 서브타이틀 데이터를 각각 신호 처리하는 1단계; 상기 신호 처리되는 오디오 중 좌 채널 오디오와 우 채널 오디오를 검출 및 비교하는 2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비디오에 중첩 표시될 서브타이틀을, 디스플레이 영역의 좌측 일부 또는 우측 일부에 구분 표시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displaying a subtitle in a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the method comprising: signal processing video, audio, and subtitle data received through digital broadcasting; Detecting and comparing a left channel audio and a right channel audio among the audio signals processed; And three steps of separately displaying subtitles to be superimposed on the video on the left part or the right part of the display area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서브타이틀 표시 장치는, 디지털 방송을 통해 수신되는 비디오, 오디오, 그리고 서브타이틀 데이터를 신호 처리하기 위한 비디오 처리수단, 오디오 처리수단, 서브타이틀 처리수단, 그리고 오에스디 생성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오디오 처리수단에 의해 신호 처리되는 오디오 중 좌 채널 오디오와 우 채널 오디오를 검출 및 비교하기 위한 검출수단;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비디오에 중첩 표시될 서브타이틀을, 디스플레이 영역의 좌측 일부 또는 우측 일부에 구분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오에스디 생성수단을 동작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In addition, the subtitle display apparatus in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video processing means for processing video, audio, and subtitle data received through digital broadcasting, audio processing means, subtitle processing means, and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nd comparing a left channel audio and a right channel audio among audio processed by the audio processing means; And control means for operationally controlling the OSD generating means in order to separately display the subtitles to be superimposed on the video on the left part or the right part of the display area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서브타이틀 표시 방법은, 디지털 방송을 통해 수신되는 비디오와 오디오, 그리고 서브타이틀 데이터를 각각 신호 처리하는 1단계; 상기 신호 처리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헤더 정보로부터, 오디오 채널 정보를 검출하는 2단계; 및 상기 검출되는 오디오 채널 정보에 따라, 상기 비디오에 중첩 표시될 서브타이틀을, 디스플레이 영역의 좌측 일부 또는 우측 일부에 구분 표시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In addition, the subtitle display method in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signal processing video, audio, and subtitle data received through digital broadcasting, respectively; Detecting audio channel information from header information of the audio data processed by the signal; And displaying, according to the detected audio channel information, subtitles to be superimposed on the video on a part of a left side or a part of a right side of the display area.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서브타이틀 표시 장치는, 디지털 방송을 통해 수신되는 비디오, 오디오, 그리고 서브타이틀 데이터를 신호 처리하기 위한 비디오 처리수단, 오디오 처리수단, 서브타이틀 처리수단, 그리고 오에스디 생성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오디오 처리수단에 의해 신호 처리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헤더 정보로부터, 오디오 채널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 및 상기 검출되는 오디오 채널 정보에 따라, 비디오에 중첩 표시될 서브타이틀을, 디스플레이 영역의 좌측 일부 또는 우측 일부에 구분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오에스디 생성수단을 동작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btitle display apparatus in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video processing means for processing video, audio, and subtitle data received through digital broadcasting, audio processing means, subtitle processing means, and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udio channel information from header information of audio data signal-processed by the audio processing means, and overlaying the video according to the detected audio channel information. And controlling means for operationally controlling the OSD generating means in order to distinguish and display the subtitle to be displayed on a part of the left side or the part of the right side of the display area.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서브타이틀 표시 장치 및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a subtit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in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서브타이틀 표시 장치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예를 들어, 디지털 텔레비전 또는 셋탑 박스와 같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는, 비디오 처리부(10), 서브타이틀 처리부(11), 오디오 처리 부(12), 합성부(13), 오에스디 생성부(14), 지연부(15), 좌/우 검출부(16), 그리고 제어부(17) 등이 포함 구성된다.1 shows a configuration of a subtitle display device in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such as a digital television or a set-top box includes a video processor 10 and a subtitle processor. (11), audio processing unit 12, synthesizing unit 13, OSD generating unit 14, delay unit 15, left / right detection unit 16, control unit 17, and the like.

한편, 상기 비디오 처리부(10)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지털 방송을 통해 수신되는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방송 데이터로부터 분리된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메인 비디오로 신호 처리하는 비디오 디코더(Video Decoder)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오디오 처리부(12)는, 상기 방송 데이터로부터 분리된 스테레오(Stereo)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좌 채널 오디오와 우 채널 오디오로 신호 처리하는 오디오 디코더(Audio Decoder)가 사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ideo processor 10,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1, a video decoder for decoding the video data separated from the broadcast data of the MPEG2 transport stream received through digital broadcast signal processing to the main video A video decoder may be used, and the audio processor 12 decodes stereo audio data separated from the broadcast data and processes the audio signal into left channel audio and right channel audio. Can be used.

또한, 상기 서브타이틀 처리부(11)는, 상기 방송 데이터로부터 분리된 서브타이틀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텍스트 데이터로 출력하는 서브타이틀 디코더(Subtitle Decoder)가 사용될 수 있는 데, 상기 텍스트 데이터는, 상기 오에스디 생성부(14)에 의해 자막 문자(Text)의 서브타이틀 영상으로 변환 생성된 후, 상기 합성부(13)에 의해, 상기 메인 비디오와 중첩 표시된다.The subtitle processor 11 may use a subtitle decoder that decodes the subtitle data separated from the broadcast data and outputs the subtitle data as text data. The text data may be generated by the OSD. The unit 14 converts and generates the subtitle image of the subtitle character Text, and then displays the super video with the main video.

그리고, 상기 좌/우 검출부(16)에서는, 상기 오디오 처리부(12)에 의해 신호 처리되는 좌 채널 오디오(L_Audio)와 우 채널 오디오(R_Audio)의 신호 레벨을 각각 검출하여 비교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17)에서는, 상기 비교결과, 좌 채널 오디오의 레벨이, 우 채널 오디오의 레벨 보다 일정 기준 값 이상 더 크면, 상기 오에스디 생성부(14)를 동작 제어하여, 상기 메인 비디오에 중첩 표시될 자막 문자의 서브타이틀을, 디스플레이 영역의 좌측 일부에 표시하게 된다.The left / right detection unit 16 detects and compares the signal levels of the left channel audio L_Audio and the right channel audio R_Audio which are signal-processed by the audio processor 12, respectively. In operation 17), if the level of the left channel audio is larger than a level of the right channel audio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OSD generator 14 controls the subtitle character to be superimposed on the main video. The subtitle of is displayed on the left part of the display area.

반면, 상기 제어부(17)에서는, 상기 비교결과, 상기 우 채널 오디오의 레벨 이, 좌 채널 오디오의 레벨 보다 일정 기준 값 이상 더 크면, 상기 오에스디 생성부(14)를 동작 제어하여, 상기 메인 비디오에 중첩 표시될 자막 문자의 서브타이틀을, 디스플레이 영역의 우측 일부에 표시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level of the right channel audio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an the level of the left channel audio, the controller 17 operates and controls the OSD generator 14 to control the main video. The subtitle of the subtitle character to be superimposed on is displayed on the right part of the display area.

한편, 상기 오에스디 생성부(14)에서는, 상기 제어부(17)의 동작 제어에 따라, 상기 자막 문자의 서브타이틀을, 디스플레이 영역의 좌측 일부, 우측 일부, 그리고 중앙 일부 중 어느 한 부분에 구분 표시할 수 있도록, 각각의 영역을 사전에 미리 분할 설정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OSD generation unit 14, the subtitle of the subtitle character is divided and displayed on any one part of the left part, the right part, and the center part of the display area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controller 17. In order to do this, each area is set in advance in advance.

그리고, 상기 지연부(15)에서는, 상기와 같이 좌 채널 오디오와 우 채널 오디오를 검출 및 비교함과 아울러, 상기 자막 문자의 서브타이틀을, 디스플레이 영역의 좌측 일부 또는 우측 일부 등에 구분 표시하는 데 소요되는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좌 채널 오디오와 우 채널 오디오의 출력 시점을 지연시키게 되는 데,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delay unit 15 detects and compares the left channel audio and the right channel audio as described above, and separately displays the subtitles of the subtitle characters on a part of the left side or the right of the display area. During the predetermined time, the output time of the left channel audio and the right channel audio is delayed,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서브타이틀 표시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으로,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오에스디 생성부(14)에서는, 메인 비디오에 자막 문자의 서브타이틀이 중첩 표시될 영역을, 디스플레이 영역의 좌측 일부, 우측 일부 또는 중앙 일부 등으로 다 분할하여 설정 저장하게 된다(S10).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 subtitle in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in the OSD generator 14, The area in which the subtitle of the subtitle character is superimposed on the main video is divided into a left part, a right part, a center part, and the like of the display area to be stored in settings (S10).

한편, 상기 제어부(17)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특정키가 입력되는 경우, 예를 들어 개선된 서브타이틀 표시 키(Advanced Subtitle Display Key)가 입력 되면, 그에 상응하는 개선된 서브타이틀 표시 모드로 진입하게 되고(S11), 상기 좌/우 검출부(16)에서는, 상기 오디오 처리부(12)에 의해 디코딩 및 신호 처리되는 좌 채널 오디오(L_Audio)와 우 채널 오디오(R_Audio)의 신호 레벨을 각각 검출하여 비교하게 된다(S12).On the other hand, in the controller 17, when an arbitrary specific key is input by the user, for example, when an advanced subtitle display key is input, the controller 17 enters the corresponding improved subtitle display mode. In step S11, the left / right detection unit 16 detects signal levels of left channel audio L_Audio and right channel audio R_Audio, which are decoded and signal-processed by the audio processor 12, respectively. The comparison is made (S12).

그리고, 상기 제어부(17)에서는, 상기 비교결과, 우 채널 오디오(R_Audio)의 레벨이, 좌 채널 오디오(L_Audio)의 레벨 보다 훨씬 큰 경우(S13), 예를 들어 사전에 설정된 일정 기준 값 이상 더 크면, 상기 우 채널 오디오에 대응되는 서브타이틀 표시 영역을 선택 결정하게 된다(S14).In addition, when the level of the right channel audio (R_Audio) is much greater than the level of the left channel audio (L_Audio) (S13),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7 further exceeds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If large, the subtitle display area corresponding to the right channel audio is selected and determined (S14).

반면, 상기 비교결과, 좌 채널 오디오(L_Audio)의 레벨이, 우 채널 오디오(R_Audio)의 레벨 보다 훨씬 큰 경우(S15), 예를 들어 사전에 설정된 일정 기준 값 이상 더 크면, 상기 좌 채널 오디오에 대응되는 서브타이틀 표시 영역을 선택 결정하게 되고(S16), 만일, 좌 채널 오디오(L_Audio)의 레벨과 우 채널 오디오(R_Audio)의 레벨 차이가, 상기 일정 기준 값을 초과하지 않으면, 좌/우 채널 오디오에 모두 대응되는 서브타이틀 표시 영역, 예를 들어 중앙 영역을 선택 결정하게 된다(S17).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when the level of the left channel audio (L_Audio) is much larger than the level of the right channel audio (R_Audio) (S15), for example,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set in advance, the left channel audio The corresponding subtitle display area is selected and determined (S16). If the level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the left channel audio L_Audio and the right channel audio R_Audio does not exceed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left / right channel is selected. The subtitle display area corresponding to all of the audio, for example, the center area, is selected and determined (S17).

그리고, 상기 제어부(17)에서는,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오에스디 생성부(14)를 동작 제어하여, 메인 비디오에 중첩 표시될 자막 문자의 서브타이틀이, 디스플레이 영역의 좌측 일부, 우측 일부 또는 중앙 일부에 구분 표시되도록 한다(S18).In response to the determination, the controller 17 controls the OSD generation unit 14 so that the subtitle of the subtitle character to be superimposed and displayed on the main video is part of the left side, the right side, or the center of the display area. The part is marked separately (S18).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비디오에 중첩 표시되는 자막 문 자의 서브타이틀을, 우 채널 오디오(예: TV 기준)에 적합하도록, 디스플레이 영역 하단의 우측 일부에 표시하거나, 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 채널 오디오에 적합하도록, 디스플레이 영역 하단의 좌측 일부에 표시하게 된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a subtitle of a subtitle character superimposed on the main video is displayed in a part of the lower right of the display area so as to conform to the right channel audio (for example, TV reference), or FIG. As shown in Fig. 4, the left part of the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area is displayed to be suitable for the left channel audio.

한편, 상기 제어부(17)에서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키 입력 등에 의해, 상기와 같은 개선된 서브타이틀 표시 모드를 해제하는 경우(S19), 상기 오에스디 생성부(14)를 동작 제어하여, 사전에 디폴트(Default)로 설정된 서브타이틀 표시 영역(예: 중앙 영역)에, 자막 문자의 서브타이틀이 중첩 표시되도록 한다(S20).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roller 17 releases the improved subtitle display mode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by a user's key input (S19), the OSD generator 14 is operated and controlled in advance. Subtitles of the subtitle characters are superimposed and displayed in the subtitle display area (for example, the center area) set as the default (S20).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방송 시청 도중 스테레오 오디오를 청취하면서, 청각적으로 입체감을 느낄 수 있게 됨은 물론, 서브타이틀의 표시 영역이 좌측 또는 우측 등으로 가변 표시되는 것을 보면서, 시각적으로 입체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ile listening to stereo audio while watching a broadcast, the user may not only sense an audible stereoscopic feeling but also visually feel a three dimensional effect while watching the display area of the subtitle variably displayed to the left or the right. do.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서브타이틀 표시 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도 1을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디지털 텔레비전 또는 셋탑 박스와 같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는, 비디오 처리부(10), 서브타이틀 처리부(11), 오디오 처리부(12), 합성부(13), 오에스디 생성부(14), 지연부(15), 좌/우 검출부(26), 그리고 제어부(17) 등이 포함 구성된다.FIG. 5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a subtitle display device in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for example, a digital television such as a digital television or a set-top box. The broadcast receiver includes a video processor 10, a subtitle processor 11, an audio processor 12, a synthesizer 13, an OSD generator 14, a delayer 15, a left / right detector 26. And a controller 17 and the like.

한편, 상기 좌/우 검출부(26)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지털 방송을 통해 전송되는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의 방송 데이터 중, 상기 오디오 처리부(12)에 의해 디코딩 및 신호 처리되는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Audio Data Stream)의 헤더(Header) 정보 내에서, 좌 채널 오디오 또는 우 채널 오디오를 나타 내는 오디오 채널 정보(Audio Channel Info.)를 검출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left and right detection unit 26, as shown in Fig. 6, decoding and signal processing by the audio processing unit 12 of the broadcast data of the MPEG2 transport stream (TS) transmitted through digital broadcasting In the header information of the audio data stream, audio channel information indicating left channel audio or right channel audio is detected.

그리고, 상기 제어부(17)에서는, 상기 좌/우 검출부(26)에 의해 좌 채널 오디오 정보가, 일정 기준 값 이상 연속적으로 검출되면, 상기 오에스디 생성부(14)를 동작 제어하여, 메인 비디오에 중첩 표시될 자막 문자의 서브타이틀을, 디스플레이 영역의 좌측 일부에 표시하게 된다.When the left channel audio information is continuously detected by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or more by the left / right detection unit 26, the control unit 17 operates to control the OSD generation unit 14 to provide a main video. The subtitles of the subtitle characters to be superimposed are displayed on the left part of the display area.

반면, 상기 좌/우 검출부(26)에 의해 우 채널 오디오 정보가, 일정 기준 값 이상 연속적으로 검출되면, 상기 오에스디 생성부(14)를 동작 제어하여, 메인 비디오에 중첩 표시될 자막 문자의 서브타이틀을, 디스플레이 영역의 우측 일부에 표시하게 되는 데,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if the right channel audio information is continuously detected by the left / right detection unit 26 more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OSD generator 14 is operated to control the subtitle of the subtitle character to be superimposed on the main video. The title is displayed on the right part of the display area,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서브타이틀 표시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으로,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오에스디 생성부(14)에서는, 메인 비디오에 자막 문자의 서브타이틀이 중첩 표시될 영역을, 디스플레이 영역의 좌측 일부, 우측 일부 또는 중앙 일부 등으로 다 분할하여 설정 저장하게 된다(S30).FIG. 7 illustrates an operation flowchart of another embodiment of a subtitle display method in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In step S30, the area where the subtitle of the subtitle character is superimposed on the main video is divided into a left part, a right part, a center part, and the like of the display area, and the setting is stored (S30).

한편, 상기 제어부(17)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특정키가 입력되는 경우, 예를 들어 개선된 서브타이틀 표시 키(Advanced Subtitle Display Key)가 입력되면, 그에 상응하는 개선된 서브타이틀 표시 모드로 진입하게 되고(S31), 상기 좌/우 검출부(26)에서는, 상기 오디오 처리부(12)에 의해 디코딩 및 신호 처리되는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의 헤더(Header) 정보 내에서, 오디오 채널 정보를 검출하게 된다(S32).On the other hand, in the controller 17, when an arbitrary specific key is input by the user, for example, when an advanced subtitle display key is input, the controller 17 enters the corresponding improved subtitle display mode. In step S31, the left / right detection unit 26 detects audio channel information in the header information of the audio data stream decoded and signal-processed by the audio processing unit 12 ( S32).

그리고, 상기 제어부(17)에서는, 상기 검출결과, 우 채널 오디오(R_Audio) 정보가, 사전에 설정된 일정 기준 값 이상 연속적으로 검출되면(S33), 우 채널 오디오에 대응되는 서브타이틀 표시 영역을 선택 결정하게 된다(S34).The control unit 17 selects and determines the subtitle display area corresponding to the right channel audio when the right channel audio (R_Audio) information is continuously detected over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S33). It is made (S34).

반면, 상기 검출결과, 좌 채널 오디오(L_Audio) 정보가, 사전에 설정된 일정 기준 값 이상 연속적으로 검출되면(S35), 좌 채널 오디오에 대응되는 서브타이틀 표시 영역을 선택 결정하게 되고(S36), 만일, 좌 채널 오디오(L_Audio) 정보 또는 우 채널 오디오(R_Audio) 정보가 교번적으로 검출되는 경우에는, 좌/우 채널 오디오에 모두 대응되는 서브타이틀 표시 영역, 예를 들어 중앙 영역을 선택 결정하게 된다(S37). On the other hand, if the left channel audio (L_Audio) information is continuously detected over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S35), the subtitle display area corresponding to the left channel audio is selected and determined (S36). When the left channel audio (L_Audio) information or the right channel audio (R_Audio) information is alternately detected, the subtitle display area corresponding to both the left and right channel audio, for example, the center area, is selected and determined. S37).

그리고, 상기 제어부(17)에서는,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오에스디 생성부(14)를 동작 제어하여, 메인 비디오에 중첩 표시될 자막 문자의 서브타이틀이, 디스플레이 영역의 좌측 일부, 우측 일부 또는 중앙 일부에 구분 표시되도록 한다(S38).In response to the determination, the controller 17 controls the OSD generation unit 14 so that the subtitle of the subtitle character to be superimposed and displayed on the main video is part of the left side, the right side, or the center of the display area. The part is marked separately (S38).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 비디오에 중첩 표시되는 자막 문자의 서브타이틀을, 우 채널 오디오(예: TV 기준)에 적합하도록, 디스플레이 영역 하단의 우측 일부에 표시하거나, 또는 좌 채널 오디오에 적합하도록, 디스플레이 영역 하단의 좌측 일부에 표시하게 된다. 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subtitles of subtitle characters superimposed and displayed in the main video are placed on the right part of the bottom of the display area so as to be suitable for right channel audio (for example, TV reference). To the left side of the bottom of the display area, or to be suitable for left channel audio.

한편, 상기 제어부(17)에서는, 사용자의 키 입력 등에 의해, 상기와 같은 개선된 서브타이틀 표시 모드를 해제하는 경우(S39), 상기 오에스디 생성부(14)를 동 작 제어하여, 사전에 디폴트(Default)로 설정된 서브타이틀 표시 영역(예: 중앙 영역)에, 자막 문자의 서브타이틀이 중첩 표시되도록 한다(S40).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17, when canceling the improved subtitle display mode as described above by a user's key input (S39), controls the OSD generation unit 14 and defaults in advance. The subtitle of the caption character is superimposed on the subtitle display area (for example, the center area) set to (Default) (S40).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방송 시청 도중 스테레오 오디오를 청취하면서, 청각적으로 입체감을 느낄 수 있게 됨은 물론, 서브타이틀의 표시 영역이 좌측 또는 우측 등으로 가변 표시되는 것을 보면서, 시각적으로 입체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ile listening to stereo audio while watching a broadcast, the user may not only sense an audible stereoscopic feeling but also visually feel a three dimensional effect while watching the display area of the subtitle variably displayed to the left or the right. do.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Or mor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and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appended claims below, to further improve various other embodiments Changes, substitutions or additions will be possible.

상기와 같이 구성 및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서브타이틀 표시장치 및 방법은, 예를 들어, 디지털 텔레비전 또는 셋탑 박스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디지털 방송을 통해 수신되는 비디오와 오디오, 그리고 서브타이틀 데이터를 각각 디코딩 및 신호 처리하되, 사용자의 요청 등에 따라, 개선된 서브타이틀 표시 모드를 설정하는 경우, 좌 채널 오디오 또는 우 채널 오디오의 출력 상태를 검출하여, 메인 비디오에 중첩 표시되는 자막 문자의 서브타이틀을, 좌 채널 오디오에 적합하도록, 디스플레이 영역의 좌측 일부에 표시하거나, 또는 우 채널 오디오에 적합하도록, 디스플레이 영역의 우측 일부 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방송 시청 도중 스테레오 오디오를 청취하면서, 청각적으로 입체감을 느낄 수 있게 됨은 물론, 서브타이틀의 표시 영역이 좌측 또는 우측 등으로 가변 표시되는 것을 보면서, 시각적으로 입체감을 느낄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The subtit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in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nd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used in various types of digital broadcast receivers, such as digital television or set-top boxes, and the like. Decode and signal the audio and subtitle data, respectively, and when the improved subtitle display mode is set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the output state of the left channel audio or the right channel audio is detected and displayed in the main video. By displaying a subtitle of a subtitle character to be displayed on a part of the left side of the display area to be suitable for the left channel audio or on a part of the right side of the display area to be suitable for the right channel audio, the user can display stereo audio during broadcasting. While listening, sense the three-dimensional sense acoustically Doemeun able, of course, that while the display area of subtitles to be displayed in the variable, such as the left or right, it is extremely useful to be able to visually inventors feel a stereoscopic effect.

Claims (16)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디지털 방송을 통해 수신되는 비디오와 오디오, 그리고 서브타이틀 데이터를 각각 신호 처리하는 1단계; Signal processing of video, audio, and subtitle data received through digital broadcasting, respectively; 상기 신호 처리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헤더 정보 내에서, 좌 채널 오디오 또는 우 채널 오디오를 나타내는 오디오 채널 정보를 검출하는 2단계; 및 Detecting audio channel information indicating left channel audio or right channel audio in header information of the audio data processed by the signal; And 상기 검출 결과, 상기 좌 채널 오디오가 일정 기준 값 이상 연속되면, 상기 비디오에 중첩 표시될 서브타이틀을, 디스플레이 영역의 좌측 일부에 표시하고, 상기 우 채널 오디오가 일정 기준 값 이상 연속되면, 상기 비디오에 중첩 표시될 서브타이틀을, 디스플레이 영역의 우측 일부에 표시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서브타이틀 표시 방법. As a result of the detection, when the left channel audio is continuous for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subtitle to be superimposed on the video is displayed on a part of the left side of the display area. And displaying the subtitles to be superimposed on the right part of the display area. 삭제delete 제 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비디오에 중첩 표시될 서브타이틀을, 디스플레이 영역의 좌측 일부, 우측 일부, 그리고 중앙 일부 중 어느 한 부분에 구분 표시하기 위하여, 그에 해당하는 각각의 영역을 사전에 미리 분할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서브타이틀 표시 방법.Pre-dividing each corresponding area in advance in order to distinguish and display the subtitle to be superimposed on the video in any one of a left part, a right part, and a center part of the display area; And a subtitle display method in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제 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오디오 채널 정보를 검출함과 아울러, 상기 비디오에 중첩 표시될 서브타이틀을, 디스플레이 영역의 좌측 일부 또는 우측 일부에 구분 표시하기 위해 소요되는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좌 채널 오디오와 우 채널 오디오의 출력 시점을 지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서브타이틀 표시 방법.An output time point of the left channel audio and the right channel audio for a predetermined time required for detecting the audio channel information and separately displaying a subtitle to be superimposed on the video on a part of a left side or a part of a right side of a display area. The subtitle display method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laying. 디지털 방송을 통해 수신되는 비디오, 오디오, 그리고 서브타이틀 데이터를 신호 처리하기 위한 비디오 처리수단, 오디오 처리수단, 서브타이틀 처리수단, 그리고 오에스디 생성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It includes video processing means for processing video, audio, and subtitle data received through digital broadcasting, audio processing means, subtitle processing means, and OSD generating means, 상기 오디오 처리수단에 의해 신호 처리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헤더 정보 내에서, 좌 채널 오디오 또는 우 채널 오디오를 나타내기 위한 오디오 채널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 및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udio channel information for indicating left channel audio or right channel audio in header information of audio data signal-processed by said audio processing means; and 상기 검출 결과, 상기 좌 채널 오디오가 일정 기준 값 이상 연속되면, 상기 비디오에 중첩 표시될 서브타이틀을, 디스플레이 영역의 좌측 일부에 표시하고, 상기 우 채널 오디오가 일정 기준 값 이상 연속되면, 상기 비디오에 중첩 표시될 서브타이틀을, 디스플레이 영역의 우측 일부에 표시하도록, 상기 오에스디 생성수단을 동작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서브타이틀 표시 장치. As a result of the detection, when the left channel audio is continuous for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subtitle to be superimposed on the video is displayed on a part of the left side of the display area. And control means for operationally controlling the OSD generating means to display the subtitles to be superimposed on the right part of the display area. 삭제delete 제 1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오에스디 생성수단은, 비디오에 중첩 표시될 서브타이틀을, 디스플레이 영역의 좌측 일부, 우측 일부, 그리고 중앙 일부 중 어느 한 부분에 구분 표시하기 위하여, 그에 해당하는 각각의 영역을 사전에 미리 분할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서브타이틀 표시 장치. The OSD generating means presets each region corresponding thereto in advance in order to separately display the subtitles to be superimposed on the video in any one of the left part, the right part, and the center part of the display area. A subtitle display apparatus in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제 1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오디오 채널 정보를 검출함과 아울러, 상기 비디오에 중첩 표시될 서브타이틀을, 디스플레이 영역의 좌측 일부 또는 우측 일부에 구분 표시하기 위해 소요되는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좌 채널 오디오와 우 채널 오디오의 출력 시점을 지연시키기 위한 지연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서브타이틀 표시 장치. An output time point of the left channel audio and the right channel audio for a predetermined time required for detecting the audio channel information and separately displaying a subtitle to be superimposed on the video on a part of a left side or a part of a right side of a display area. Subtitle display device in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elay means for delaying.
KR1020070052820A 2007-05-30 2007-05-30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ubtitle i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KR1008846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2820A KR100884664B1 (en) 2007-05-30 2007-05-30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ubtitle i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2820A KR100884664B1 (en) 2007-05-30 2007-05-30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ubtitle i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343A KR20080105343A (en) 2008-12-04
KR100884664B1 true KR100884664B1 (en) 2009-02-18

Family

ID=40366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2820A KR100884664B1 (en) 2007-05-30 2007-05-30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ubtitle i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466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69821B2 (en) * 2009-01-27 2012-09-18 EchoStar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losed captioning in three-dimensional imagery
WO2010099495A2 (en) * 2009-02-27 2010-09-02 Laurence James Claydo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subtitling for stereoscopic content
WO2011056803A2 (en) * 2009-11-06 2011-05-12 Sony Corporation Of America Stereoscopic overlay offset creation and edit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7306A (en) * 1995-05-17 1996-11-29 Toshiba Corp Television signal reproducing device
JPH09233442A (en) * 1996-02-21 1997-09-05 Casio Comput Co Ltd Face image display device and face image communication system
KR20050038720A (en) * 2003-10-22 2005-04-29 주식회사 휴맥스 Method for transmitting volume control information of digital broadcasting progra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dio volume i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7306A (en) * 1995-05-17 1996-11-29 Toshiba Corp Television signal reproducing device
JPH09233442A (en) * 1996-02-21 1997-09-05 Casio Comput Co Ltd Face image display device and face image communication system
KR20050038720A (en) * 2003-10-22 2005-04-29 주식회사 휴맥스 Method for transmitting volume control information of digital broadcasting progra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dio volume i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343A (en) 200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8658B2 (en) Receiving apparatus
JP2007311942A (en) Content display apparatus
JP2007013725A (en) Video display device and video display method
KR100707259B1 (en) Digital ??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88466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ubtitle i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JPH0775015A (en) Television channel switching device
JP2006279447A (en) Television receiver
JPH06133239A (en) Monitor
JP2008278199A (en) Television receiver
JP2009124325A (en) Television receiver, and broadcast image display method
JP2010258776A (en)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KR101537613B1 (en) Broadcast receiver and method for display of channel changing
JP2008005190A (en) Television set
JP2015019299A (en) Scene detection apparatus and mobile apparatus
JP4266905B2 (en) Television receiver
KR10074608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locking partial video/audio output
KR0182455B1 (en) Apparatus for osd displaying sound equalizer level in widevision
KR100720575B1 (en) Television Set Having Audio Mode Conversion Function Depending On Nois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5333551A (en) Tv receiver
KR10106777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 woofer of TV
KR100747842B1 (en) Method for selecting audio according to screen size change in picture display device
JP2005295262A (en) Program receiving system and program receiver
KR20060008785A (en) Automatic audio mode setting method of television using composite video banking sync
KR100210777B1 (en) Stereo-mode setting control apparatus for television
JP2007142539A (en) Voice outputting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