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4405B1 - 맞춤형 다공성 골대체제 성형방법 및 그 골대체제 - Google Patents

맞춤형 다공성 골대체제 성형방법 및 그 골대체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4405B1
KR100884405B1 KR1020070067689A KR20070067689A KR100884405B1 KR 100884405 B1 KR100884405 B1 KR 100884405B1 KR 1020070067689 A KR1020070067689 A KR 1020070067689A KR 20070067689 A KR20070067689 A KR 20070067689A KR 100884405 B1 KR100884405 B1 KR 100884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mold
ceramic
bone replacement
porous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7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3916A (ko
Inventor
선두훈
김용식
김정성
이의종
신태진
김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렌텍
Priority to KR1020070067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4405B1/ko
Publication of KR20090003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4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4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 손상부위를 복원할 수 있는 골대체제를 성형하는 방법과 그 골대체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결손부위에 대한 3차원적 영상설계기술로 외관과 다공성 내부구조를 설계하고 쾌속조형기술로 위 설계사항이 반영된 골대체제 몰드를 성형하며 위 골대체 몰드에 세라믹슬러리를 도포하거나 충진하여 최종적으로 다공성 구조를 가진 골대체제를 성형함으로서 환자의 실제 결손부위의 해부학적 측면을 반영할 수 있으며 골상에 작용하는 각종 하중을 지지할 수 있고 조골세포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맞춤형 다공성 골대체제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성형방법은, 환자의 영상자료로부터 골 손상부위를 3차원 형상으로 구현하여 골대체제의 외형과 조골세포의 유도와 성장에 적합한 다공성 구조를 설계하는 설계단계와, 쾌속조형법(Rapid prototyping)에 따라 쾌속조형기내에서 다공성 골대체제 몰드를 성형하는 몰드성형단계와, 상기 다공성 골대체제 몰드에 세라믹슬러리를 주입거나 충진하여 코팅하는 세라믹코팅단계와, 상기 세라믹코팅된 골대체제 몰드를 가열 제거하는 몰드소실단계와, 상기 몰드소실단계 후 남겨진 세라믹을 고온으로 소결하여 세라믹 골대체제를 성형하는 골대체제 소결단계를 포함한다.
골대체제, 다공성

Description

맞춤형 다공성 골대체제 성형방법 및 그 골대체제{Method for fabricating a Member for restoring a damaged Bone and A Member for restoring a damaged Bone}
본 발명은 골 손상부위를 복원할 수 있는 골대체제를 성형하는 방법 및 그 골대체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결손부위에 대한 3차원적 영상설계기술로 외관과 다공성 내부구조를 설계하고 쾌속조형기술로 위 설계사항이 반영된 골대체제 몰드를 성형하며 위 골대체 몰드에 세라믹슬러리를 도포하거나 충진하여 최종적으로 다공성 구조를 가진 골대체제를 성형함으로서 환자의 실제 결손부위의 해부학적 측면을 반영할 수 있으며 골상에 작용하는 각종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고 조골세포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맞춤형 다공성 골대체제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골대체제는 파우더(Powder), 그레뉼(Granule), 블럭(Block) 등의 정형화된 형태도 공급된다. 하지만, 파우더 형태의 경우, 하중을 지지해야 하는 손상부위 이외의 부위에만 골손실 부분을 충진하기 위한 충전재로서만 활용되어, 하중 지지의 필요성이 있는 손상부위에는 사용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진다. 그리고, 그레뉼이나, 블럭은 외형을 가지고 있어서 하중을 지지하는 곳에 사용될 수 있지만 골 손상부위의 해부학적 측면이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해부학적 불일치 가능성이 항상 상존하게 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골 결손부위의 인체 해부학적 측면이 반영될 수 있고 상호 교차하는 다공성 구조를 구현하여 조골세포의 성장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환자의 골 손상부위의 3차원적 영상설계기술과 쾌속조형기술을 이용해 다공성 구조를 가진 골대체제 몰드를 성형하고, 이어서 세라믹으로 골대체제 몰드를 코팅하고 골대체몰드를 소실 제거하는 과정을 통해 우수한 강도와 경도를 가진 세라믹 골대체제를 성형할 수 있는 맞춤형 다공성 골대체제 성형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골대체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라믹 골대체제에 HA(Hydroxyapatite) 등과 같은 생체활성재료를 코팅하여 조골세포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맞춤형 다공성 골대체제 성형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골대체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세라믹 골대체제에 FA(Fluorapatie)를 도포하여 세라믹 골대체와 HA간의 반응을 억제하여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맞춤형 다공성 골대체제 성형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골대체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 예에 의하여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성형방법은 환자의 골 손상부위를 촬영한 영상자료에 기초하여 골대체제의 외형을 설계하는 외형설계단계와, 상기 골대체제의 내부 다공성 구조를 설계하는 다공성구조설계단계와, 서로 다른 형상의 결합 및 결합 된 구성에서 일부를 추출하는 불린(Boolean)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외형설계단계에서 설계된 골대체제의 전체 외형과 상기 다공성구조설계단계에서 설계된 골대체제 내부의 다공성 구조를 결합하여 다공성 구조를 갖는 골대체제를 최종설계하는 최종골대체제설계단계를 포함하여 골대체제의 외형과 내부 다공성 구조를 설계하는 설계단계와;
상기 설계단계에서 설계된 골대체제의 외형과 내부 다공성 구조를 기초로 레진을 연속적으로 적층시켜 모델링된 형상에 일치된 시제품을 제작하는 쾌속조형기법을 사용하여 쾌속조형기 내에서 레진으로 이루어진 다공성 구조를 갖는 골대체제 몰드를 성형하는 몰드성형단계와;
상기 몰드성형단계에서 성형된 다공성 구조를 갖는 골대체제 몰드에 세라믹슬러리를 도포하거나 주입하는 세라믹충진단계와;
상기 세라믹충진단계를 통해 세라믹슬러리가 충진된 다공성 구조를 갖는 골대체제 몰드를 가열하여 레진으로 이루어진 골대체제 몰드를 버닝아웃(Burn-out)시킴으로써 내부에 다공성 구조를 갖는 세라믹 골대체제만을 남기는 몰드소실단계와;
상기 몰드소실단계 후 남겨진 세라믹 골대체제를 고온으로 소결하여 세라믹 골대체제를 성형하는 골대체제소결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성형방법은 상기 세라믹 골대체제는 지르코늄이나 알루미나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세라믹 골대체제에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A)를 코팅하는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A)코팅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성형방법은 상기 세라믹 골대체제와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A)간의 계면반응을 억제하고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플로오르화아파타이트(FA)를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성형방법은 상기 최종골대체제설계단계를 거쳐 설계된 다공성 구조를 갖는 골대체제 모델에 컴퓨터에서 구현되는 가상시뮬레이션 기법인 유한요소해석법을 적용하여 상기 골대체제 모델이 환자의 손상부위에 적용되었을 경우를 가상으로 구현하여 구조해석을 수행하여 검증하고 상기 골대체제 모델을 수정하는 검증 및 모델수정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성형방법은 상기 세라믹 골대체제에 칼슘메타포스테이트(CMP),트리칼슘포스테이트(TCP), 키토산, 전이성장인자(transforming growth factor(TGF)), 인슐린성장인자(Insulin-like growth factor(IGF)), 골형성단백질(Bone morphogentic protein(BMP))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코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골대체제는 세라믹 골대체제로서 다공성 구조를 가져서 조골세포의 성장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고 세라믹으로 인한 우수한 하중지지 성능을 가진다.
본 발명은 골 결손부위의 인체 해부학적 측면이 반영될 수 있고 상호 교차하는 다공성 구조를 구현하여 조골세포의 성장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환자의 골 손상부위의 3차원적 영상설계기술과 쾌속조형기술을 이용해 다공성 구조를 가진 골대체제 몰드를 성형하고, 이어서 세라믹으로 골대체제 몰드를 코팅하고 골대체몰드를 소실 제거하는 과정을 통해 우수한 강도와 경도를 가진 세라믹 골대체제를 성형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세라믹 골대체제에 HA(Hydroxyapatite) 등과 같은 생체활성재료를 코팅하여 조골세포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세라믹 골대체제에 FA(Fluorapatie)를 도포하여 세라믹 골대체와 HA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출원인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앞서 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 다.
본 발명의 성형방법은 설계단계(S1), 몰드성형단계(S3), 세라믹충진단계(S5), 몰드소실단계(S7), 골대체제소결단계(S9)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설계단계(S1)은 맞춤형 골대체제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골손상부위의 해부학적 형상에 일치하는 복잡한 3차원 형상을 구현함과 동시에 조골세포의 침투와 생체 조직의 재생에 적합한 내부의 기공들이 3차원적 채널 형상으로 연통되는 다공성구조를 제어하기 위하여 요구되는데, 구체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골손상부위(11)를 촬영한 영상자료(CT/MRI)에 기초하여 골손상부위(11)를 3차원적 형상으로 모델링하고 이를 토대로 손상부위(11)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원하여 골대체제의 외형(2)을 설계하는 외형설계단계(S1b)와, 상기 골대체제 내부로 조골세포의 침투와 성장 환경을 제공하여 주변 골과의 우수한 골일체화를 유도하는데 적합한 내부의 기공들이 3차원적 채널 형상으로 연통되는 다공성 구조를 설계하는 다공성구조설계단계(S1c)와, 서로 다른 형상의 결합 및 결합 된 구성에서 일부를 추출하는 불린(Boolean)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외형설계단계에서 설계된 골대체제의 전체 외형과 상기 다공성구조설계단계에서 설계된 골대체제 내부의 다공성 구조를 결합하여 다공성 구조를 갖는 골대체제 모델을 최종설계하는 최종골대체제설계단계(S1d)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설계단계는 상용화된 영상 기초 설계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예를 들면 Interactive Design Language(IDL, Research Systems, Inc.), Advanced Visualization System(AVS, AVS, Inc.), PV-Wave(Visual Numerics, Inc.), Mimics(Materialise NV), 3Matic(Materialise NV)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불린(Boolean)기법은 상기와 같은 영상 기초 프로그램에 의하여 구현되는 것으로 동종업에 종사하는 동종업자들에게 일반적으로 알려진 공지기술이며, 상기 불린(Boolean)기법에 의한 상기 최종골대체제설계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먼저 외형설계단계(S1b)와 다공성구조설계단계(S1c)에서 각각 설계된 외형과 내부 다공성 구조를 서로 결합시켜 전체 입체형상을 하나의 단면적을 갖는 구조로 변환시키며, 상술한 프로그램은 단면적을 갖는 전체구조에서 상호 중첩되지 않는 부분 또는 상호 중첩되는 부분을 추출하므로 최종적인 골대체제를 설계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최종적인 골대체제의 설계 모델이 완성되면 컴퓨터 프로그래밍에 의해 구현되는 가상 시뮬레이션을 기법인 유한요소해석법을 적용하여 구조해석을 수행하고 취약부분을 발견하여 보강하고 수정함으로서 최적의 골대체제 모델을 완성하는 검증 및 수정단계(S1e)를 추가로 가진다. 여기서 상기 유한요소해석법 역시 동종업에 종사하는 동종업자들에게 일반적으로 알려진 공지기술로서 상술한 영상기초프로그램(예를 들면 Interactive Design Language(IDL, Research Systems, Inc.), Advanced Visualization System(AVS, AVS, Inc.), PV-Wave(Visual Numerics, Inc.), Mimics(Materialise NV), 3Matic(Materialise NV))에 의해 구현되는 가상모의실험(Computer Aided Engineering)을 통해 상기 최종적인 골대체제의 설계모델이 실제 환자에 적용되었을 경우에 발생되는 구조해석(예를 들면, 각 방향별로 힘을 가할 때, 상기 골대체제가 이동되는 거리나 위치범위나 기울어짐, 이동범위, 방향)을 수행하고 취약부분을 발견 및 보강할 수 있다.
상기 몰드성형단계(S3)는 몰드성형을 위하여 시제품 생산기법 중 하나인 쾌속조형기법(Rapid prototyping)에 의해 다공성 골대체제 몰드를 성형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쾌속조형기법(Rapid prototyping)은 몰드 내에서 레진을 연속적으로 적층시켜 모델링된 형상에 일치하는 시제품을 제작하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이다. 도 3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에 같이, 공지의 쾌속조형기(3)내에 레진(4)을 준비한다. 여기서, 레진(4)을 구성하는 물질은 추후 버닝아웃(Burn Out, 태워 제거함)이 가능한 소재이어야 하고 세라믹 소재와 친화도가 높아서 세라믹 코팅이 잘 되어야 하며, 녹는 온도가 높아서 세라믹을 부분 소결이 일어나는 온도까지 골대체제 몰드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하고, 가열 중 부피변화가 적어야 하는데,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수지가 적합할 수 있다. 프린터헤드장치(31)가 레진(41)을 스캐닝하고 레이저 빔을 레진층으로 유도하여 인접 레진입자와 폴리머코팅을 융합시켜 도 3a에 같이 부분적으로 완성된 골대체제 몰드(5)를 성형하게 된다. 그리고 부분적으로 완성된 골대체제 몰드(5)위에 다른 레진층을 적층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되풀이함으로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공성을 가진 최종 완성된 골대체제 몰드(5)의 성형을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은 쾌속조형기법에 사용되는 장비는 현재 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장비들이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Stereolitholgraphy(SLA, 3D systems, Inc.), Fused Deposition(FDM, Stratasys, Inc.), Selective Laser Sintering(SLS, DTM corporation), Thermoplastic Ink-Jetting(Model Maker, Sanders Prototypes), 3D Printings(3DP, Z corporation) 등이 있다.
상기 몰드성형단계를 거쳐 만들어진 골대체제 몰드(5)가 도4에 도시되어 있 다. 상기 몰드(5)는 전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환자의 골손상부위(11)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데, 서로 얽혀 있는 가느다란 프레임(53)과 이들 프레임(53)사이에 빈 공간인 기공(51)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세라믹충진단계(S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골대체제 몰드(5)에 지르코니아, 알루미나 등으로 이루어진 세라믹 슬러리(6)를 도포하거나 주입하여 세라믹 슬러리가 몰드(5)의 기공(51)으로 충진되어 프레임(53)을 에워싸게 된다. 이처럼, 세라믹 슬러리를 도포하거나 주입하는 것은 세라믹이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지며 생체친화성도 우수하기 때문이다.
상기 몰드소실단계(S7)는 상기 세라믹충진단계(S5) 후 세라믹 슬러리가 충진된 골대체제 몰드(5)를 가열하여 버닝아웃시켜 골대체제 몰드를 구성하는 고분자 수지(레진)를 제거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를 감싸고 있던 세라믹 골대체제(7)만 남겨두는 단계이다. 따라서, 몰드소실단계(S7) 이후에 남겨진 세라믹 골대체제(7)는 도 5의 몰드(5)의 기공(51)이 메워져 형성된 프레임(71)과 몰드의 프레임(53)이 버닝아웃되어 형성된 기공(73)으로 구성된다.
상기 세라믹소결단계(S9)는 상기 몰드소실단계(S7) 결과 남겨지는 세라믹골대체제(7)를 고온에서 소결시켜 최종적인 골대체제를 성형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단계들을 거쳐 만들어진 골대체제(7)는 환자의 골 손상부위와 동일한 외형을 가지고 있어서 골 손상부위의 해부학적 구조를 그대로 반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라믹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지고 있어서 각종 하중을 지지할 필요가 있는 골 손상부위의 복원재로서 충분히 활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내부에 기공들이 3차원적 채널 형상으로 연통되는 다공성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조골세포의 침투와 성장이 용이한 환경을 제공함으로서 주변 골과의 우수한 골일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성형방법은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A)코팅단계(S13)를 추가로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A)코팅단계(S13)는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를 다공성 골대체제의 표면에 코팅하는 과정인데, 이는 골조직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물론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A) 이외의 다양한 생체활성재료, 예를 들면 칼슘메타포스테이트(CMP),트리칼슘포스테이트(TCP), 키토산, 전이성장인자(transforming growth factor(TGF)), 인슐린성장인자(Insulin-like growth factor(IGF)), 골형성단백질(Bone morphogentic protein(BMP)) 등도 코팅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세라믹 골대체제가 지르코늄이나 알루미나 또는 이들을 혼합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골조직과의 친화성을 위하여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A)를 사용하여 코팅단계를 진행하고, 세라믹 골대체제가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A)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A)를 코팅재료로 사용하지 않고 그 외의 상기 재료들을 이용하여 코팅단계를 진행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A)와 세라믹 골대체제 간의 계면반응을 억제시킴과 동시에 계면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A)코팅 이전에 플로오르화아파타이트(Fluorapatie, FA)를 코팅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코팅단계와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코팅단계에 의해 코팅된 플루오르화아파타이트와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를 소결하는 플루오르화아파타이트/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소결단계(S15)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출원인은 이상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을 살펴보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변경하지 아니하는 다양한 변경예와 수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결손부위를 가진 환자의 두개골의 3차원적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컴퓨터에 의해 결손부위가 복원된 환자의 두개골의 3차원적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3a는 쾌속조형기에서 결손부위의 골대체제 몰드가 일부 자유성형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3b는 쾌속조형기에서 결손부위의 골대체제 몰드 전체가 자유성형 완료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a 내지 도 3b에 의해 성형 완료된 골대체제 몰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골대체제 몰드에 세라믹 슬러리가 침적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슬러리가 침적된 골대체제 몰드에서 골대체 몰드가 가열공정에 의해 소실되어 완성된 최종적인 골대체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대체제의 성형방법의 흐름도.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환자의 두개골 11: 골손상부위
2:복원부위 3:쾌속조형기
31:프린터헤드장치 4:레진
5:골대체제 몰드 51:기공 53:프레임
6:세라믹

Claims (7)

  1. 환자의 골 손상부위를 촬영한 영상자료에 기초하여 골대체제의 외형을 설계하는 외형설계단계와, 상기 골대체제의 내부 다공성 구조를 설계하는 다공성구조설계단계와, 서로 다른 형상의 결합 및 결합 된 구성에서 일부를 추출하는 불린(Boolean)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외형설계단계에서 설계된 골대체제의 전체 외형과 상기 다공성구조설계단계에서 설계된 골대체제 내부의 다공성 구조를 결합하여 다공성 구조를 갖는 골대체제를 최종설계하는 최종골대체제설계단계를 포함하여 골대체제의 외형과 내부 다공성 구조를 설계하는 설계단계와;
    상기 설계단계에서 설계된 골대체제의 외형과 내부 다공성 구조를 기초로 레진을 연속적으로 적층시켜 모델링된 형상에 일치된 시제품을 제작하는 쾌속조형기법을 사용하여 쾌속조형기 내에서 레진으로 이루어진 다공성 구조를 갖는 골대체제 몰드를 성형하는 몰드성형단계와;
    상기 몰드성형단계에서 성형된 다공성 구조를 갖는 골대체제 몰드에 세라믹슬러리를 도포하거나 주입하는 세라믹충진단계와;
    상기 세라믹충진단계를 통해 세라믹슬러리가 충진된 다공성 구조를 갖는 골대체제 몰드를 가열하여 레진으로 이루어진 골대체제 몰드를 버닝아웃(Burn-out)시킴으로써 내부에 다공성 구조를 갖는 세라믹 골대체제만을 남기는 몰드소실단계와;
    상기 몰드소실단계 후 남겨진 세라믹 골대체제를 고온으로 소결하여 세라믹 골대체제를 성형하는 골대체제소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맞춤형 다공성 골대체제 성형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골대체제는 지르코늄이나 알루미나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세라믹 골대체제에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A)를 코팅하는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A)코팅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다공성 골대체제 성형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골대체제와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A)간의 계면반응을 억제하고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플로오르화아파타이트(FA)를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다공성 골대체제 성형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골대체제설계단계를 거쳐 설계된 다공성 구조를 갖는 골대체제 모델에 컴퓨터에서 구현되는 가상시뮬레이션 기법인 유한요소해석법을 적용하여 상기 골대체제 모델이 환자의 손상부위에 적용되었을 경우를 가상으로 구현하여 구조해석을 수행하여 검증하고 상기 골대체제 모델을 수정하는 검증 및 모델수정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다공성 골대체제 성형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골대체제에 칼슘메타포스테이트(CMP),트리칼슘포스테이트(TCP), 키토산, 전이성장인자(transforming growth factor(TGF)), 인슐린성장인자(Insulin-like growth factor(IGF)), 골형성단백질(Bone morphogentic protein(BMP))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코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다공성 골대체제 성형방법.
  7. 제 3 항 또는 제 6 항의 성형방법에 따라 성형된 세라믹 골대체제로서 다공성 구조를 가져서 조골세포의 성장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고 세라믹으로 인한 우수한 하중지지성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다공성 골대체제.
KR1020070067689A 2007-07-05 2007-07-05 맞춤형 다공성 골대체제 성형방법 및 그 골대체제 KR100884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7689A KR100884405B1 (ko) 2007-07-05 2007-07-05 맞춤형 다공성 골대체제 성형방법 및 그 골대체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7689A KR100884405B1 (ko) 2007-07-05 2007-07-05 맞춤형 다공성 골대체제 성형방법 및 그 골대체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916A KR20090003916A (ko) 2009-01-12
KR100884405B1 true KR100884405B1 (ko) 2009-02-18

Family

ID=40486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7689A KR100884405B1 (ko) 2007-07-05 2007-07-05 맞춤형 다공성 골대체제 성형방법 및 그 골대체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44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8676B1 (ko) * 2021-04-29 2022-02-28 주식회사 디엠에스 3d 프린터를 이용한 조종간 제작 방법 및 이를 통해 생산되는 조종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084A (ko) * 2000-08-16 2002-02-25 성열보 항생제 혼합시멘트 충전물 제작방법 및 충전물 제작용 형틀
JP2003180816A (ja) 2001-12-18 2003-07-02 Olympus Optical Co Ltd 複合構造骨補填材の製造方法
JP2005145755A (ja) * 2003-11-14 2005-06-09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高強度多孔質アパタイトセラミックス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品
KR20050055100A (ko) * 2003-12-05 2005-06-13 요업기술원 은이온 함유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를 함유하는 골 충전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084A (ko) * 2000-08-16 2002-02-25 성열보 항생제 혼합시멘트 충전물 제작방법 및 충전물 제작용 형틀
JP2003180816A (ja) 2001-12-18 2003-07-02 Olympus Optical Co Ltd 複合構造骨補填材の製造方法
JP2005145755A (ja) * 2003-11-14 2005-06-09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高強度多孔質アパタイトセラミックス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品
KR20050055100A (ko) * 2003-12-05 2005-06-13 요업기술원 은이온 함유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를 함유하는 골 충전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916A (ko) 2009-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hraminasab Challenges on optimization of 3D-printed bone scaffolds
Kumar et al. Low temperature additive manufacturing of three dimensional scaffolds for bone-tissue engineering applications: Processing related challenges and property assessment
Naing et al. Fabrication of customised scaffolds using computer‐aided design and rapid prototyping techniques
Giannitelli et al. Current trends in the design of scaffolds for computer-aided tissue engineering
US20180256341A1 (en) Metallic structures having porous regions from imaged bone at pre-defined anatomic locations
US6283997B1 (en) Controlled architecture ceramic composites by stereolithography
Marques et al. Review on current limits and potentialities of technologies for biomedical ceramic scaffolds production
US5762125A (en) Custom bioimplantable article
Duan et al. Selective laser sintering and its application in biomedical engineering
AU2010319306B2 (en) Controlled randomized porous structure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EP2456473B1 (en) Biomedical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use thereof
Shivalkar et al. Solid freeform techniques application in bone tissue engineering for scaffold fabrication
CA2561727A1 (en) A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biologically active prosthetic device for the reconstruction of bone tissue and the prosthetic device itself
CN109938885B (zh) 一种基于3dp与激光熔覆复合工艺制备骨软骨一体化支架的方法
Lipowiecki et al. Design of bone scaffolds structures for rapid prototyping with increased strength and osteoconductivity
CA2916586A1 (en) Bone replacement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bone replacement material
KR100884405B1 (ko) 맞춤형 다공성 골대체제 성형방법 및 그 골대체제
WO2001044141A2 (en) Porous ceramic body
WO2015082023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implantable bone augment
Chen et al. Biomimetic modeling and three-dimension reconstruction of the artificial bone
Aherwar et al. A review paper on rapid prototyping and rapid tooling techniques for fabrication of prosthetic socket
Gutiérrez 3D Printing of Biopolymers: Trends and Opportunities for Medical Applications
Arul et al. Investigation of porosity relationship in additive manufactured novel bone scaffold
Salehi et al. Three‐dimensional Printing Approaches for the Treatment of Critical‐sized Bone Defects
WO2006053132A2 (en) Prosthetic bone impl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