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4173B1 - 이산화탄소 용접용 케이블의 복합 어댑터 - Google Patents

이산화탄소 용접용 케이블의 복합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4173B1
KR100884173B1 KR1020080080133A KR20080080133A KR100884173B1 KR 100884173 B1 KR100884173 B1 KR 100884173B1 KR 1020080080133 A KR1020080080133 A KR 1020080080133A KR 20080080133 A KR20080080133 A KR 20080080133A KR 100884173 B1 KR100884173 B1 KR 100884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adapter
welding
welding power
carbon di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0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우용
Original Assignee
오우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우용 filed Critical 오우용
Priority to KR1020080080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41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4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4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B23K9/323Combined coupling means, e.g. gas, electricity, water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6Arc welding or cutting making use of shielding gas
    • B23K9/164Arc welding or cutting making use of shielding gas making use of a moving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24Features related to electrodes
    • B23K9/28Supporting devices for electrodes
    • B23K9/29Supporting devices adapted for making use of shielding means
    • B23K9/291Supporting devices adapted for making use of shielding means the shielding means being a g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072Electrical cables comprising fluid supply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01R13/518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for holding or embracing several coupling parts, e.g.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 용접용 케이블의 복합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가스호스와 상호 연결되어 가스가 흐를 수 있도록 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제1콘트롤선과 연결되는 가스니플, 상기 가스니플에 접하는 원통형의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가스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가스이송포트가 형성된 소켓실린더몸체, 상기 소켓실린더몸체에 관통결합되어 상기 가스니플과 접점되는 도전금속편, 및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포트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제2콘트롤선과 연결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소켓실린더부, 그리고 상기 가스니플 및 상기 소켓실린더부의 외부를 감싸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용접파워용 소선이 바깥쪽으로 접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 용접파워를 중계하는 제1용접파워몸체부로 구성되는 어댑터소켓과, 상기 도전금속편 및 체크밸브와 접촉되어 전원을 중계하고 내부로 가스이동로가 형성되어 있어 가스를 중계하는 플러그실린더부, 그리고 플러그실린더부의 외부를 감싸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제1용접파워몸체부와 결합되어 용접파워를 중계하며 어댑터소켓의 대향측에 형성된 용접기 본체 또는 와이어 피더에 연결 설치되는 제2용접파워몸체부로 구성되는 어댑터케이블을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싱글케이블의 단말처리가 간단해지며 단말처리시 케이블의 낭비가 적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산화탄소 용접용 케이블의 복합 어댑터{COMPLEX ADAPTER OF CARBON DIOXIDE}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 용접용 케이블의 복합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CO2 가스와 용접파워 및 콘트롤신호를 함께 중계할 수 있는 암형의 어댑터소켓과 이를 다시 중계하여 CO2 가스와 용접파워 및 콘트롤신호를 분리해 낼 수 있는 수형의 어댑터플러그로 구성된 이산화탄소 용접용 케이블의 복합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접라인을 이루는 싱글 케이블은 전체 길이가 40 m 내지 50 m 정도를 이루는 것이 보통인데, 용접장소에 설치된 와이어 피더(Wire Feeder)와 결합하는 싱글 케이블의 단말처리 부분은 고장이 많다.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싱글케이블의 단말처리는 도 1의 같은 구조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글케이블(24)은 가스호스(Gas Hose)(30), 전력라인(Power Line)(38) 및 각종 신호라인(Control Line)(44)을 형성하고 외부를 피 복으로 감싸서 구성하는데, 상기 싱글케이블(24)의 단말처리는 각각의 라인별로 외부로 빼내어 와이더 피더(28)의 결합부와 결합시키는 방법이 사용된다. 즉, 싱글케이블의 단말부에서는 가스호스(30), 용접파워용 소선(38) 및 콘트롤선(44)이 3way로 분리되어 외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각각은 와이어 피더에 연결되는데, 그 연결부위인 단말부에서 결합링을 사용하여 각각의 라인을 흔들림이 없도록 고정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와이어 피더와 싱글케이블의 접속은 불안정하여 접속 부분에서 파손이 자주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기존의 싱글케이블을 단말처리 시에는 대개 1m 에서 1.5m 정도의 외피를 탈피하여, 콘트롤선은 보호튜브를 삽입하여 커넥터에 납땜한 후 조립하고, 용접파워용 소선은 보호관 튜브에 삽입하기 위하여 테이핑 처리 후 보호튜브에 삽입하여 압착처리를 하고, 가스호스에는 가스 니플을 체결한다. 이렇게 단말처리되어 분기되어진 각각의 케이블들의 끝단이 밀리지 않도록 다시 보호튜브를 이용하여 전체를 한 번 더 씌운 후 사용되어 진다.
또한, 단말처리하는데 작업자의 체결작업이 용접파워용 소선 체결, 콘트롤선 체결, 가스호스 체결의 3단계로 이루어져 작업공정이 엄청나고, 추가로 들어가는 재료들도 만만찮게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다. 만약 작업하다가 단말처리 부분 중 분기된 3개 중 하나의 케이블이라도 소손되면 다시 소손된 부분을 잘라내고 많게는 1m 내지 1.5m정도 더 외피를 탈피하여 단말처리 작업을 해야한다. 이와 같이, 단말처리시 싱글케이블의 끊어내는 부분이 많아서 3번 내지 4번 정도만 단말처리를 하 게 되면 작업자들이 케이블의 길이가 짧다고 안 쓰고 전체를 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종래의 싱글 케이블은 가스호스, 용접파워용 소선 및 콘트롤선의 단말부가 각각 따로 따로 연결되어 형성되므로 상기 단말부 중 특히, 용접파워 단말부는 많은 열이 발생하여 열화현상을 초래하게 되고, 콘트롤선 단말부는 사용 중 PIN의 파손, 납땜부의 단선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용접작업 시에 많은 고장으로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단말처리작업이 간단한 이산화탄소 용접용 케이블의 복합 어댑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단말처리시 케이블의 낭비가 적은 이산화탄소 용접용 케이블의 복합 어댑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단말처리 부분의 정확한 접속을 유도하고, 접촉저항에 의한 발열을 냉각시켜주어 고장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산화탄소 용접용 케이블의 복합 어댑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용접용 케이블의 복합 어댑터는, 가스호스의 내부로 제1콘트롤선 및 제2콘트롤선이 구비되고 상기 가스호스의 외경에는 용접파워용 소선이 구비된 싱글케이블을 어댑터소켓과 어댑터플러그의 결합으로 용접기 본체 또는 와이어 피더에 접속되도록 하는 이산화탄소 용접용 케이블의 복합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소켓은 양단이 개구된 중공축 형상을 가지며 내부로 상기 가스호스로부터 가스가 이송되는 가스통로가 형성되며 단부에 상기 제1콘트롤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스니플, 상기 가스니플에 접하는 원통형의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가스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가스이송포트가 형성되어 있는 소켓실린더몸체, 상기 소켓실린더몸체에 관통결합되어 상기 가스니플과 접점되는 도전금속편,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가스이송포트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상기 제2콘트롤선과 연결되는 체크밸브, 및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체크밸브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체크밸브를 상기 어댑터플러그 측으로 밀어주는 리턴스프링을 포함하는 소켓실린더부, 그리고 상기 가스니플 및 상기 소켓실린더부의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용접파워용 소선이 바깥쪽으로 접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 용접파워를 중계하며, 절연외피로 피복되어 있는 제1용접파워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어댑터플러그는 상기 도전금속편 및 상기 체크밸브와 접촉되어 전원을 중계하고, 내부로 가스이동로가 형성되어 있어 가스를 중계하는 플러그실린더부, 그리고 상기 플러그실린더부의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용접파워몸체부와 결합되어 용접파워를 중계하며, 상기 어댑터소켓의 대향측에 형성된 상기 용접기 본체 또는 와이어 피더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제2용접파워몸체부를 포함한다.
상기 어댑터소켓은 상기 가스니플과 상기 소켓실린더부는 나사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삭제
상기 소켓실린더부는 상기 가스니플과 상기 리턴스프링 간을 절연시키는 제1절연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댑터소켓은 상기 가스니플과 상기 제1용접파워몸체부 간을 절연시키는 제2절연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댑터소켓은 상기 용접파워용 소선과 상기 제1용접파워몸체부 간의 전기적인 접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압착공구를 사용하여 압착할 수 있는 압착슬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실린더부는 상기 체크밸브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관수용부와 상기 도전금속편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한 쌍의 핀수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플러그실린더몸체, 도전금속으로 형성되어 상기 관수용부에 설치되며 상기 체크밸브와 접촉되어 전원 및 가스를 가스중계관, 도전금속으로 형성되어 상기 핀수용부에 수용되며 상기 도전금속편에 접점되어 전원을 중계하는 도전접촉핀, 그리고 상기 가스중계관 및 상기 도전접촉핀과 연결되어 각각의 전원을 상기 용접기 본체 또는 와이어 피더로 접속되도록 인출하는 전원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실린더부는 상기 가스중계관의 내부 공간을 막는 차폐부분을 포함하며, 이산화탄소 가스가 상기 차폐부분을 우회하여 상기 플러그실린더몸체를 통과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냉각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용접파워몸체부는 상기 전원라인을 외부로 인출하여 상기 용접기 본체 또는 와이어 피더로 접속되도록 하는 전원인출구, 상기 가스중계관으로부터 이송된 가스가 인출되도록 하는 가스인출구, 그리고 상기 제1용접파워몸체부로부터 전송된 용접파워가 상기 용접기 본체 또는 와이어 피더와 접속되도록 하는 터미널 접속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용접파워몸체부와 상기 제2용접파워몸체부는 테이퍼면을 포함하고, 이 테이퍼면이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어댑터플러그는 상기 제2용접파워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된 이탈방지홈, 및 상기 이탈방지홈에 안착되고 단부가 상기 용접기 본체 또는 와이어 피더에 지지되며 이탈방지스냅링에 의해 상기 이탈방지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지지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상기 지지스프링은 상기 제2용접파워몸체부가 상기 제1용접파워몸체부 측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탄소 용접용 케이블의 복합 어댑터에 의하면 싱글케이블의 단말처리가 간단해지며 단말처리시 케이블의 낭비가 적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탄소 용접용 케이블의 복합 어댑터에 의하면 싱클케이블 단말처리시 분기되지 않음으로써 구조가 직선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어 단말부분의 고장이 현저히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탄소 용접용 케이블의 복합 어댑터에 의하면 작업자의 체결작업이 종래 용접파워 체결, 콘트롤커넥터 체결, 가스니플 체결의 3단계에서 1단계로 단번에 체결되어 작업공정 및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탄소 용접용 케이블의 복합 어댑터에 의하면 용 접기 본체와 와이어피더 간의 어댑터플러그와 어댑터소켓이 정확하게 체결되지 않을 시에는 용접기 본체와 와이어피더 간의 원격제어가 동작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어 정확한 접속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탄소 용접용 케이블의 복합 어댑터에 의하면 CO2 가스의 유량을 열이 많이 발생하는 플러그측 용접파워 몸체의 내경면에 가스를 흘려 보내어 냉각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단말처리 부분에서 일어나는 열화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탄소 용접용 케이블의 복합 어댑터에 의하면 어댑터 체결시 상호 용접파워몸체부 접촉면을 경사로 가공하고 스프링을 이용하여 항상 접촉면을 밀어주는 구조로 되어 있어 접촉저항에 의한 발열이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 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이산화탄소가스 용접기의 2라인 제어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전체 구성도이다.
우선, 본 발명에 있어서 종래의 용접기 본체(10)와 와이어 피더(20) 및 토치(30)의 구성은 본 발명에 그대로 적용되므로 여기서는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사용되는 이산화탄소 가스 용접기의 2라인 제어장치는 용접기 본체(10), 와이어 피더(20) 및 용접토치(30)의 서로 간에는 싱글케이블(40)로 연결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싱글케이블(40)의 단면도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글케이블(40)은 가스호스(42)의 내측으로 한 쌍의 제1콘트롤선(44)과 제2콘트롤선(46)이 구비되고, 가스호스(42)의 외경으로 용접파워용 소선(48)과 최외곽 외피(49)의 형태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콘트롤선(44)과 제2콘트롤선(46)은 DC 전원라인으로서 전력선통신을 수행한다. 즉, 와이어 피더(20)나 용접토치(30)에서 수집된 가변전압, 가변전류, 스위치의 상태값들을 디지털(digital)화하여 전력선 통신모듈을 통해서 용접기 본체(10)로 보내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러한 형태의 싱글케이블(40)을 용접기 본체(10)나 와이어 피더(20)에 상호 연결하기 위한 어댑터소켓(100) 및 어댑터플러그(200)를 제안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용접용 케이블의 복합 어댑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어댑터소켓과 어댑터플러그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4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소켓의 단면도, 도 8은 도 7의 분리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소켓의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분리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용접용 케이블의 복합 어댑터는 크게 어댑터소켓(100)과 어댑터플러그(200)를 구비하여 싱글케이블(40)을 용접기 본체(10)나 와이어 피더(20)에 한 번에 접속시킬 수 있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상 싱글케이블(40) 쪽을 어댑터소켓(100)라 칭하고, 용접기 본체(10)나 와이어 피더(20) 쪽을 어댑터플러그(200)라 칭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소켓(100)을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댑터소켓(100)은 가스니플(110), 소켓실린더부(120) 및 제1용접파워몸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가스니플(110)에 대해 살펴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스니플(110)은 가스호스(42)에 내장된 제1콘트롤선(44)과 연결되어 (-)전원을 중계할 수 있도록 전기가 잘 통하는 동과 같은 도전금속으로 설계되며, 양단이 개구된 중공축 형상으로 제작되며, 단부에는 상기 가스호스(42)의 일부가 외부로 끼움결합되며, 내부에는 상기 가스호스(42)로부터 가스가 이송될 수 있도록 가스통로(110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스니플(110)의 끝단에는 제1콘트롤선(44)이 납땜이나 권회하여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가스니플(110)의 끝단에는 납땜구멍(1102)이 형성되어 제1콘트롤선(44)과 납땜시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스니플(110)의 단부에는 후술되는 소켓실린더부(120)와의 결합을 위하여 니플나사부(1104)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소켓실린더부(120)에 대해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켓실린더부(120)는 어댑터소켓(100)의 내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크게 소켓실린더몸체(122), 도전금속편(124), 체크밸브(126) 및 리턴스프링(128)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소켓실린더몸체(122)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소켓실린더몸체(122)는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스니플(110)의 단부를 일부 수용하여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가스니플(110)로부터 중계된 가스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양단이 개구된 중공의 원통 형상의 내부공간(12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공간(1220)의 단부에는 가스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가스이송포트(1222)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가스니플(110)을 거쳐 유입된 이산화탄소 가스를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소켓실린더몸체(122)의 내부공간(1220)에는 후술되는 체크밸브(126) 및 리턴스프링(128)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소켓실린더몸체(122)는 상기 가스니플(110)과 안정적인 전류흐름을 위하여 상기 소켓실린더몸체(122)와 가스니플(110)은 나사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에서 도면부호 1224는 상기 가스니플(100)의 니플나사부(1104)와 결합되는 소켓실린더몸체(122)의 실린더몸체나사부(1224)를 도시한 것이다.
다음, 도전금속편(124)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도전금속편(124)은 상기 플러그실린더몸체(212)와 함께 일체로 사출성형되거나, 상기 플러그실린더몸체(212)에 별도의 금속편수용부(1226)를 형성시켜 도전금속편(124) 없이 금속편수용부(1226) 를 사출제작 후 상기 금속편수용부(1226)에 도전금속편(124)을 삽입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도전금속편(124)은 양단이 개구된 중공축 형상으로 제작되며, 일측 단부에 상기 가스니플(110)의 단부와 접촉되고, 타측 단부에 후술되는 어댑터플러그(200)의 도전접촉핀(216)의 단부에 결속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도전금속편(124)은 종래의 전류용 접촉핀과 마찬가지로 도전접촉핀(216)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구속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체크밸브(126)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체크밸브(126)는 상기 내부공간(1220)의 단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가스이송포트(1222)의 입구측에 구비되어 어댑터소켓(100)과 어댑터플러그(200)가 서로 체결될 때에만 가스의 유로를 확보함과 동시에 충전된 가스의 누설을 방지한다. 여기에는 도면부호 1262와 같은 O-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126)의 단부에는 리턴스프링(128)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어댑터소켓(100)과 어댑터플러그(200)의 분리상태일 때는 리턴스프링(128)에 의해 내부공간(1220)과 가스이송포트(1222) 사이를 폐쇄된 상태로 유지하고, 어댑터소켓(100)과 어댑터플러그(200)의 결합상태일 때는 내부공간(1220)과 가스이송포트(1222) 사이의 유로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한다. 상기 리턴스프링(128)은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126)는 동 재질과 같은 도전금속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체크밸브(126)는 상기 싱글케이블(40)의 제2콘트롤선(46)과 납땜이나 권 회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중계한다. 이를 위해 상기 체크밸브(126)에는 체결구멍(1260)이 형성되어 있어 제2콘트롤선(46)과 납땜시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스니플(110)과 리턴스프링(128) 사이에는 합성수지나 고무 등과 같은 재질의 제1절연체(1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체크밸브(126)와 리턴스프링(128)은 도체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제2콘트롤선(46)과 연결되면 전기적으로 (+)전원이 흐르게 된다. 그런데 상기 가스니플(110)과 소켓실린더부(120)가 나사결합되면 가스니플(110)에는 전기적으로 (-)전원이 흐르고 있기 때문에 가스니플(110)과 리턴스프링(128)이 접촉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여기서 쇼트(short)가 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리턴스프링(128)의 외부를 감쌀 수 있는 제1절연체(140)를 구비하여 가스니플(110)과 리턴스프링(128)이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1용접파워몸체부(130)에 대해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용접파워몸체부(130)는 어댑터소켓(100)의 최외각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가스니플(110) 및 소켓실린더부(120)의 외부를 감싸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싱글케이블(40)의 용접파워용 소선(48)과 연결되어 용접파워를 중계할 수 있도록 동 재질과 같은 도전금속으로 형성되고, 도시되어 있지 않은 절연외피로 피복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용접파워몸체부(130)는 용접파워용 소선(48)이 바깥쪽으로 접할 수 있는 돌출부(132)가 형성되어 있어 이 돌출부(132)의 외주에 용접파워용 소 선(48)이 끼워지고, 별도로 구비되는 압착슬리브(150)에 의해 견고하게 체결되어 상기 용접파워용 소선(48)과 제1용접파워몸체부(130) 간의 전기적인 접촉을 긴밀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와 같은 상기 제1용접파워몸체부(130)의 형상이나 상기 용접파워용 소선(48)과 제1용접파워몸체부(130) 간의 결합구조는 다른 형태의 구성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가스니플(110)과 제1용접파워몸체부(130) 사이에는 합성수지와 같은 제2절연체(16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스니플(110)에는 전기적으로 (-)전원이 흐르고 상기 제1용접파워몸체부(130)에는 용접파워가 흐르기 때문에 이들을 절연시키기 위하여 제2절연체(160)를 가스니플(110)의 일측에 끼워준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플러그(200)를 설명한다.
도 6,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댑터플러그(200)는 어댑터소켓(100)과 체결되어 용접파워, (+)(-)전원 및 가스를 용접기 본체(10)나 와이어 피더(20)로 다시 분기하여 전달한다. 이를 위해 상기 어댑터플러그(200)는 크게 플러그실린더부(210) 및 제2용접파워몸체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플러그실린더부(210)를 설명한다.
상기 플러그실린더부(210)는 상기 어댑터소켓(100)의 소켓실린더부(120)와 접촉되어 (+)(-)전원 및 가스를 용접기 본체(10)나 와이어 피더(20)로 중계하기 위한 것으로, 크게 플러그실린더몸체(212), 가스중계관(214), 도전접촉핀(216) 및 전원라인(218)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플러그실린더몸체(212)에 대해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실린더몸체(212)는 어댑터플러그(200)의 내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대략 원통 형상으로 합성수지 등과 같은 절연체로 만들어진다. 상기 플러그실린더몸체(212)는 가운데 길이방향으로 관수용부(2120)가 형성되어 있고 관수용부(2120)의 외측으로 한 쌍의 핀수용부(212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 각각 후술되는 가스중계관(214)과 도전접촉핀(216)이 수용된다. 이때, 상기 플러그실린더몸체(212)는 후술되는 가스중계관(214) 및 도전접촉핀(216)과 함께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관수용부(2120) 및 핀수용부(2122)를 형성시키거나, 가스중계관(214)이나 도전접촉핀(216) 없이 관수용부(2120) 또는 핀수용부(2122)를 사출제작 후 상기 관수용부(2120)에 가스중계관(214)을 삽입하거나 상기 핀수용부(2122)에 도전접촉핀(216)을 삽입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다음, 가스중계관(214)에 대해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스중계관(214)은 도전금속의 원통관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실린더몸체(212)의 관수용부(2120)에 수용된다. 상기 가스중계관(214)의 일측 단부는 상기 어댑터소켓(100) 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어서 어댑터소켓(100)과 어댑터플러그(200)의 결합시 상기 체크밸브(126)를 밀면서 가스이송포트(1222)를 개방시켜 가스를 중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의해, 제2콘트롤선(46), 체크밸브(126), 가스중계관(214) 그리고 후술되는 전원라인(218)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면서 (+)전원을 중계하게 된다.
다음, 도전접촉핀(216)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도전접촉핀(216)은 상기 도전금속편(124)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도전금속으로 형성되어 상기 핀수용 부(2122)에 수용된다. 상기 도전접촉핀(216)의 일측 단부는 상기 도전금속편(124)에 접점되고 수용되어 상기 도전접촉핀(216)의 타측 단부는 상기 핀수용부(2122)의 타측으로 돌출되게 수용되어 후술되는 전원라인(218)과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제1콘트롤선(44), 가스니플(110), 도전금속편(124), 도전접촉핀(216)의 접촉구(2160), 그리고 전원라인(218)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면서 (-)전원을 중계하게 된다.
다음, 전원라인(218)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전원라인(218)은 상기 가스중계관(214) 및 상기 도전접촉핀(216)과 각각 연결되어 (+)전원과 (-)전원을 상기 용접기 본체(10)나 와이어 피더(20)로 접속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한 쌍의 도전접촉핀(216)의 2개의 (-)전원은 하나의 전선으로 모아서 인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원의 전달을 확실하게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2용접파워몸체부(220)를 설명한다.
상기 제2용접파워몸체부(220)는 상기 플러그실린더부(210)를 수용하여 어댑터플러그(200)의 최외각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동 재질과 같은 도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용접파워몸체부(130)와 결합되어 용접파워를 전달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용접파워몸체부(130)와 제2용접파워몸체부(220)의 상호 대응되는 단부에는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어 긴밀하게 접촉 유지되도록 하거나 후술되는 후크(134)와 인입홈(222)의 결합에 의해 결속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상기 제1용접파워몸체부(130)와 제2용접파워몸체부(220) 간의 결합구조는 키(key) 결합과 같은 다양한 다른 형태의 구성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일반적으로 용접파워용 소선(48)과 단말처리된 부분에는 열이 많이 발생하여 열화에 따른 부품의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사용상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플러그실린더몸체(212)에는 냉각포트(2124)가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스중계관(214)의 내부 공간을 막는 차폐부분(2140)이 구비되고, 상기 차폐부분(2140)에서 후술되는 가스인출구(2204)로 이산화탄소 가스가 우회하여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냉각포트(2124)가 형성되며, 상기 냉각포트(2124)는 상기 플러그실린더몸체(212) 내부를 링(ring) 형상으로 대각선으로 감싸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이산화탄소 가스가 가스중계관(214)을 거쳐 냉각포트(2124)의 좁고 빠른 속도의 흐름으로 지나가기 때문에 매우 큰 온도차이를 유발하여 지속적으로 냉각시키게 된다. 이때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 가스는 냉각포트(2124)에 의해 플러그실린더몸체(212)를 나선형이나 대각선으로 감싸며 흐르게 되고, 그 결과 냉각포트(2124)를 통과하는 이산화탄소 가스는 플러그실린더몸체(212)와 열 교환 관계로 흐르게 되어 데워진 열을 식히기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용접파워몸체부(130)의 선단에는 후크(hook)(134)가 형성되고, 상기 제2용접파워몸체부(220)에는 상기 제1용접파워몸체부(130)의 후크(134)의 대응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후크(134)가 결합되는 인입홈(2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입홈(222)은 후크(134)가 밀착될 수 있는 크기를 가져 압입(壓入)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는 제1용접파워몸체부(130)의 후크(134)가 제2용접파워몸체부(220)의 인입홈(222)에 정합(align) 상태로 진입되지 않으면 양자의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상기 인입홈(22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용접파워몸체부(220)의 외주를 따라 링(ring)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어댑터소켓(100)과 어댑터플러그(200)는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결합시 후크(134)가 인입홈(222)에 더욱 확고하게 결합되어 어댑터소켓(100)과 어댑터플러그(200)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이에 따라 용접작업의 중단이나 안전사고의 발생 등의 문제점이 해결된다. 물론 이와 같은 제1용접파워몸체부(130) 및 제2용접파워몸체부(220) 간의 결합구조는 다른 형태의 구성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용접파워몸체부(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기 본체(10)나 와이어 피더(20)와 나사 등의 체결부재(224)로 견고하게 체결된다. 이때, 상기 제2용접파워몸체부(220)와 용접기 본체(10)나 와이어 피더(20) 사이에는 합성수지나 고무 등과 같은 제3절연체(230)에 의해 절연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용접파워몸체부(220)에는 용접파워가 흐르고 있기 때문에 전기적인 충격을 피하기 위하여 제3절연체(230)에 의해 이들 사이를 절연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용접파워몸체부(220)의 단부에는 전원인출구(2202)와 가스인출구(2204) 및 터미널접속볼트(220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인출구(2202)는 상기 전원라인(218)을 외부로 인출하여 용접기 본체(10)나 와이어 피 더(20)로 접속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 전원인출구(2202)에는 가스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O-링 등으로 밀봉처리되어 있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가스인출구(2204)는 상기 가스중계관(214)으로부터 이송된 이산화탄소 가스가 인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산화탄소 가스는 측면으로 뺄 수도 있고, 최외각면으로도 뺄 수가 있으나 뒷단이 두꺼워질 수 있으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최외각면으로 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미널접속볼트(2206)는 상기 제2용접파워몸체부(220)로부터 전송된 용접파워가 용접기 본체(10)나 와이어 피더(20)의 터미널단자와 접속되는 부분으로, 단부에 터미널접속볼트홀(2206a)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용접파워몸체부(130)와 제2용접파워몸체부(220)가 금속이고 결합부분에는 용접파워에 의해 열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열이 발생하게 되면 금속이기 때문에 온도계수에 의해 어느 정도 팽창하게 되므로 접촉 부분의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전류경로가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어댑터플러그(200)가 지지스프링(2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용접파워몸체부(220)의 일측에 함몰된 이탈방지홈(226)을 형성시키고 이 이탈방지홈(226)에 지지스프링(240)을 안착시킨 다음 이탈방지스냅링(228)에 의해 지지스프링(240)이 이탈방지홈(226)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어댑터플러그(200)와 어댑터소켓(100)이 체결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스프링(240)이 압축된 상태로 있다가 체결된 후에는 지지스프링(240)의 반발탄성력이 작용하여 어댑터플러그(200)가 어댑터 소켓(100) 측으로 항상 살짝 밀어주는 구조가 되어 제1용접파워몸체부(130)와 제2용접파워몸체부(220) 간의 접촉이 항상 양호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용접파워몸체부(220)의 내부에 플러그실린더부(210)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되고 남는 빈 공간(2200)을 두어 상기 전원라인(218)을 임의로 빼줄 수 있도록 하고 절연처리하여 (+)전원선, (-)전원선끼리 쇼트(short)가 날 우려를 배제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용접용 복합 어댑터의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용접용 복합 어댑터는 어댑터소켓(100)의 형태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며, 다만 어댑터플러그(200)의 형태가 상이하다. 이하에서는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어댑터플러그(200)는 상기 제2용접파워몸체부(220)의 내부에 플러그실린더부(210)가 꽉 차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도전접촉핀(216)의 일측 단부는 상기 핀수용부(2122)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수용되고 상기 도전금속편(124)에 수용되어 무단이탈되지 않도록 결속되는 접촉구(2160)를 가진다. 상기 접촉구(2160)는 상기 도전금속편(124)의 전체 형상에 대응되어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도전접촉핀(21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을 중계하는 한 쌍의 도전핀과 상기 가스중계관(214)의 단부에 연결되어 (+)전원을 중계하는 도전핀의 3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전접촉핀(216)의 타측 단부는 상기 제2용접파워몸체부(220)의 용접파워와의 전기적인 충격을 피하기 위하여 외부로 합성수지 등과 같은 제4절연체(250)에 피복되어 외부로 돌출 형성되어 전원라인(218)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실린더부(210)의 후단에는 빈 공간이 없기 때문에 가스중계관(214)에서 냉각포트(2124)로 이송된 이산화탄소 가스는 바로 가스인출구(2204)로 연결된다.
그리고, 도면부호 260은 키(key)로서 도시되지 않은 제1용접파워몸체부(130)의 절연외피(미도시)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용접용 복합 어댑터의 조립방법을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소켓(100)을 준비한다.
먼저, 소켓실린더부(120)를 조립한다. 즉, 소켓실린더몸체(122)에 한 쌍의 도전금속편(124)을 수평관통하여 조립하여준다. 그리고, 체크밸브(126)에 가스호스(42)에 내장된 제1콘트롤선(44)을 납땜하여 연결시킨 후 이 소켓실린더몸체(122)의 내부공간(1220)에 밀어넣어 억지끼움한 다음 체크밸브(126)의 끝단에 리턴스프링(128)를 체결한다. 또한, 상기 리턴스프링(128)의 외부를 감싸도록 제1절연체(150)를 조립하여 주어 소켓실린더부(120)를 조립완성한다. 이후, 가스니플(110)의 니플나사부(1104)와 소켓실린더부(120)의 실린더몸체나사부(1224)를 체결시킨다. 그리고, 상기 가스니플(110)과 상기 제1용접파워몸체부(130) 사이를 절연시키 기 위하여 제2절연체(160)를 가스니플(110)의 일측에 끼워준다. 마지막으로 가스니플(110) 및 소켓실린더부(120)를 상기 제1용접파워몸체부(130)의 내부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밀어넣어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소켓(100)의 조립이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성된 어댑터소켓(100)을 싱글케이블(40)과 조립한다.
싱글케이블(40)의 가스호스(42) 외피를 끝단에서 10cm 내지 20cm 탈피하여 주고, 외경에 압착슬리브(140)를 미리 끼워 놓는다. 상기 가스니플(110) 끝단에 형성된 납땜구멍에 가스호스(42)에 내장된 (-)전원이 흐르는 제1콘트롤선(44)을 탈피하여 납땜한다. 따라서, 싱글케이블(40)의 단말처리시에는 싱글케이블(40)의 외피를 20cm 정도만 탈피하여도 단말작업이 되며, 여러 번의 단말처리 작업을 하여도 싱글케이블(40) 전체의 길이(보통 50m)가 크게 줄어들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126)의 끝단에 납땜구멍을 형성하고, 작업의 용이성을 위해서 미리 체결구멍(1260)에다가 인출선(미도시)을 연결해 놓은 다음, 상기 체결구멍(1260)에 가스호스(42)에 내장된 (+)전원이 흐르는 제2콘트롤선(46)을 탈피하여 납땜하여 준 후 가스니플(110)을 가스호스(42) 속으로 밀어넣는다. 이와 동시에 제1용접파워몸체부(130)의 돌출부(132)가 싱글케이블(40)의 용접파워용 소선(48)의 내경과 가스호스(42)의 외경 사이에 자연스럽게 위치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싱글케이블(40)에 미리 끼워져 있는 압착슬리브(140)를 제1용접파워몸체부(130)의 압착부위인 돌출부(132)로 이동시켜서 압착공구(미도시)를 이용하여 압착시키면, 용접파워용 소선(48)과 제1용접파워몸체부(130)는 전기적으로 접촉이 원활하게 결합됨으로써 용접작업시 용접전류를 600A까지 흘릴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플러그(200)를 준비한다.
먼저, 플러그실린더부(210)를 조립한다. 플러그실린더몸체(212)에 가스중계관(214) 및 한 쌍의 도전접촉핀(216)을 수평관통하여 조립하여 준 다음, 가스중계관(214)의 중간부에서 (+)전원선을 납땜하여 인출하여 놓고 상기 플러그실린더몸체(212) 끝단에 돌출된 도전접촉핀(216)에 (-)전원선을 납땜하여 인출하여 놓는다. 이들 (+)전원선과 (-)전원선이 전원라인(218)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실린더부(210)와 제2용접파워몸체부(220)를 억지끼움해야 하는데, 이때 플러그실린더몸체(212)에 인출된 2가닥의 전원라인(218)을 제2용접파워몸체부(220)에 형성되어 있는 전원인출구(2202)로 미리 끼워넣어 외부로 인출시킨 다음 억지끼움하여 조립을 완성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성된 어댑터플러그(200)는 용접기 본체(10)나 와이어 피더(20)에 선택적으로 고정되어서 사용되는바, 어댑터플러그(200)를 고정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순서로 조립한다.
먼저, 용접기 본체(10)나 와이어 피더(20)에 제2용접파워몸체부(220)를 나사 등의 체결부재(224)로 고정한다. 또한, 상기 제2용접파워몸체부(220)의 이탈방지홈(228)에 지지스프링(240)을 끼워넣는다. 이후, 용접기 본체(10)나 와이어 피더(20)에 어댑터플러그(200)의 터미널접속볼트(2206) 쪽이 먼저 들어가게 조립하면, 지지스프링(240)이 상기 제3절연체(230)에 닿게 되어 지지스프링(240)의 반발탄성이 작용하며, 이탈방지홈(226)에 이탈방지스냅링(228)을 끼우면 조립이 완료된 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싱글케이블(40)과 연결된 어댑터소켓(100)과 용접기 본체(10)나 와이어 피더(20)와 연결된 어댑터플러그(200)의 조립한다. 즉, 상기 어댑터소켓(100)과 어댑터플러그(200)의 결합은 제1용접파워몸체부(130)와 제2용접파워몸체부(220) 간의 조립으로 체결된다. 이때, 상기 제1용접파워몸체부(130)와 제2용접파워몸체부(220)의 체결면에는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어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서로 긴밀하게 체결되도록 하거나 키 결합에 의해 간단하게 체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싱글케이블의 단말처리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이산화탄소가스 용접기의 2라인 제어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싱글케이블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용접용 케이블의 복합 어댑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어댑터소켓과 어댑터플러그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4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소켓의 단면도,
도 8은 도 7의 분리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플러그의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분리단면도,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소켓 및 어댑터플러그의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용접기 본체 20: 와이어 피더
30: 용접토치 40: 싱글케이블
42: 가스호스 44: 제1콘트롤선
46: 제2콘트롤선 48: 용접파워용 소선
49: 최외곽 외피 100: 어댑터소켓
110: 가스니플 120: 소켓실린더부
122: 소켓실린더몸체 124: 도전금속편
126: 체크밸브 128: 리턴스프링
130: 제1용접파워몸체부 132: 돌출부
134: 후크 140: 제1절연체
150: 압착슬리브 160: 제2절연체
200: 어댑터플러그 210: 플러그실린더부
212: 플러그실린더몸체 214: 가스중계관
216: 도전접촉핀 218: 전원라인
220: 용접파워몸체부 222: 인입홈
224: 체결부재 226: 이탈방지홈
228: 이탈방지스냅링 230: 제3절연체
240: 지지스프링 250: 제4절연체
260: 키(key) 1100: 가스통로
1102: 납땜구멍 1104: 니플나사부
1220: 내부공간 1222: 가스이송포트
1224: 실린더몸체나사부 1226: 금속편수용부
1260: 체결구멍 1262: O-링
2120: 관수용부 2122: 핀수용부
2124: 냉각포트 2140: 차폐부분
2160: 접촉구 2200: 빈 공간
2202: 전원인출구 2204: 가스인출구
2206: 터미널접속볼트 2206a: 터미널접속볼트홀

Claims (11)

  1. 가스호스의 내부로 제1콘트롤선 및 제2콘트롤선이 구비되고 상기 가스호스의 외경에는 용접파워용 소선이 구비된 싱글케이블을 어댑터소켓과 어댑터플러그의 결합으로 용접기 본체 또는 와이어 피더에 접속되도록 하는 이산화탄소 용접용 케이블의 복합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소켓은
    양단이 개구된 중공축 형상을 가지며, 내부로 상기 가스호스로부터 가스가 이송되는 가스통로가 형성되며, 단부에 상기 제1콘트롤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스니플,
    상기 가스니플에 접하는 원통형의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가스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가스이송포트가 형성되어 있는 소켓실린더몸체, 상기 소켓실린더몸체에 관통결합되어 상기 가스니플과 접점되는 도전금속편,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가스이송포트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상기 제2콘트롤선과 연결되는 체크밸브, 및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체크밸브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체크밸브를 상기 어댑터플러그 측으로 밀어주는 리턴스프링을 포함하는 소켓실린더부, 그리고
    상기 가스니플 및 상기 소켓실린더부의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용접파워용 소선이 바깥쪽으로 접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 용접파워를 중계하며, 절연외피로 피복되어 있는 제1용접파워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어댑터플러그는
    상기 도전금속편 및 상기 체크밸브와 접촉되어 전원을 중계하고, 내부로 가스이동로가 형성되어 있어 가스를 중계하는 플러그실린더부, 그리고
    상기 플러그실린더부의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용접파워몸체부와 결합되어 용접파워를 중계하며, 상기 어댑터소켓의 대향측에 형성된 상기 용접기 본체 또는 와이어 피더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제2용접파워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산화탄소 용접용 케이블의 복합 어댑터.
  2. 제1항에서,
    상기 어댑터소켓은,
    상기 가스니플과 상기 소켓실린더부는 나사결합되어 있는 이산화탄소 용접용 케이블의 복합 어댑터.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소켓실린더부는,
    상기 가스니플과 상기 리턴스프링 간을 절연시키는 제1절연체를
    더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용접용 케이블의 복합 어댑터.
  5. 제1항에서,
    상기 어댑터소켓은,
    상기 가스니플과 상기 제1용접파워몸체부 간을 절연시키는 제2절연체를
    더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용접용 케이블의 복합 어댑터.
  6. 제1항에서,
    상기 어댑터소켓은,
    상기 용접파워용 소선과 상기 제1용접파워몸체부 간의 전기적인 접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압착공구를 사용하여 압착할 수 있는 압착슬리브를
    더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용접용 케이블의 복합 어댑터.
  7. 제1항에서,
    상기 플러그실린더부는,
    상기 체크밸브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관수용부와 상기 도전금속편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한 쌍의 핀수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플러그실린더몸체,
    도전금속으로 형성되어 상기 관수용부에 설치되며 상기 체크밸브와 접촉되어 전원 및 가스를 가스중계관,
    도전금속으로 형성되어 상기 핀수용부에 수용되며 상기 도전금속편에 접점되어 전원을 중계하는 도전접촉핀, 그리고
    상기 가스중계관 및 상기 도전접촉핀과 연결되어 각각의 전원을 상기 용접기 본체 또는 와이어 피더로 접속되도록 인출하는 전원라인을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용접용 케이블의 복합 어댑터.
  8. 제7항에서,
    상기 플러그실린더부는,
    상기 가스중계관의 내부 공간을 막는 차폐부분을 포함하며, 이산화탄소 가스가 상기 차폐부분을 우회하여 상기 플러그실린더몸체를 통과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냉각포트를
    더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용접용 케이블의 복합 어댑터.
  9. 제7항 또는 제8항에서,
    상기 제2용접파워몸체부는,
    상기 전원라인을 외부로 인출하여 상기 용접기 본체 또는 와이어 피더로 접속되도록 하는 전원인출구,
    상기 가스중계관으로부터 이송된 가스가 인출되도록 하는 가스인출구, 그리고
    상기 제1용접파워몸체부로부터 전송된 용접파워가 상기 용접기 본체 또는 와 이어 피더와 접속되도록 하는 터미널접속볼트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용접용 케이블의 복합 어댑터.
  10. 제1항에서,
    상기 제1용접파워몸체부와 상기 제2용접파워몸체부는 테이퍼면을 포함하고, 이 테이퍼면이 맞물려 결합되는 이산화탄소 용접용 케이블의 복합 어댑터.
  11. 제1항에서,
    상기 어댑터플러그는,
    상기 제2용접파워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된 이탈방지홈, 및
    상기 이탈방지홈에 안착되고 단부가 상기 용접기 본체 또는 와이어 피더에 지지되며 이탈방지스냅링에 의해 상기 이탈방지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지지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상기 지지스프링은 상기 제2용접파워몸체부가 상기 제1용접파워몸체부 측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도록 구비되는 이산화탄소 용접용 케이블의 복합 어댑터.
KR1020080080133A 2008-08-14 2008-08-14 이산화탄소 용접용 케이블의 복합 어댑터 KR100884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133A KR100884173B1 (ko) 2008-08-14 2008-08-14 이산화탄소 용접용 케이블의 복합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133A KR100884173B1 (ko) 2008-08-14 2008-08-14 이산화탄소 용접용 케이블의 복합 어댑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4173B1 true KR100884173B1 (ko) 2009-02-17

Family

ID=40681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0133A KR100884173B1 (ko) 2008-08-14 2008-08-14 이산화탄소 용접용 케이블의 복합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41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28475A (zh) * 2017-10-30 2019-05-07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器组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4442Y1 (ko) * 1996-03-08 1999-06-15 최기환 용접기의 토오치 커넥터
KR20040032219A (ko) * 2002-10-08 2004-04-17 허수범 이산화탄소가스 용접기용 케이블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412164Y1 (ko) * 2006-01-06 2006-03-23 남성덕 전기 용접기의 케이블 연결용 콘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4442Y1 (ko) * 1996-03-08 1999-06-15 최기환 용접기의 토오치 커넥터
KR20040032219A (ko) * 2002-10-08 2004-04-17 허수범 이산화탄소가스 용접기용 케이블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412164Y1 (ko) * 2006-01-06 2006-03-23 남성덕 전기 용접기의 케이블 연결용 콘넥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28475A (zh) * 2017-10-30 2019-05-07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器组件
CN109728475B (zh) * 2017-10-30 2024-05-07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器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49250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для токопроводящего шланга пылесоса
US10205274B2 (en) Electronic connection arrangement
CA2461041C (en) Socket contact with integrally formed arc arresting portion
JP5040821B2 (ja) 電気接続用コネクタ
EP2784878B1 (en) Female connector
US8137136B1 (en) Electrical disconnect for hazardous areas
US8357007B2 (en) Welding control cable assembly with strain relief
CN109742576A (zh) 一种用于导电连接的快插接头
US7403372B2 (en) Multiple fused junction with blown fuse indication
CN210926537U (zh) 一种多芯连接器
CN104521075B (zh) 用于车辆装置的互连组件以及互连方法
KR100884173B1 (ko) 이산화탄소 용접용 케이블의 복합 어댑터
KR20100007644U (ko) 케이블 접속장치 및 케이블 접속장치 조립체
CA2561526C (en) A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CN111541061A (zh) 一种线路修复装置
CN104466522B (zh) 适合于被连接到燃气安全阀和热电偶的热电偶连接器
KR102046412B1 (ko) 밀폐형 고전압 전선 조인트 클립
CN204760585U (zh) 电气设备接头的t型连接端子接头
JP2014072195A (ja) 差し込みコネクタ
KR101156698B1 (ko) 고전압 전송용 커넥터
CN106711657B (zh) 一种分体式2m接头及其制作方法
CN204741258U (zh) 电力电缆t型连接端子构件
CN218275409U (zh) 一种电池导线结构及电池
CN204633010U (zh) 电缆接线器
CN204732588U (zh) 电气设备接头的t型连接端子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