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2239B1 - 압력 레귤레이터 - Google Patents

압력 레귤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2239B1
KR100882239B1 KR1020047002238A KR20047002238A KR100882239B1 KR 100882239 B1 KR100882239 B1 KR 100882239B1 KR 1020047002238 A KR1020047002238 A KR 1020047002238A KR 20047002238 A KR20047002238 A KR 20047002238A KR 100882239 B1 KR100882239 B1 KR 100882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cover
chamber
valve body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2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0108A (ko
Inventor
매센게일로저
프라이스탠리이.
맥피찰스제이.
포터빌
Original Assignee
아이-플로우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플로우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아이-플로우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40030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0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2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2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04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16/06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 G05D16/08Control of liquid pressur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04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16/06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 G05D16/063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the sensing element being a membrane
    • G05D16/0644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the sensing element being a membrane the membrane acting directly on the obturator
    • G05D16/0647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the sensing element being a membrane the membrane acting directly on the obturator using one membrane without sp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37/00Fluid handling
    • Y10S137/903Rubber valve sp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0318Processes
    • Y10T137/0324With control of flow by a condition or characteristic of a fluid
    • Y10T137/0379By fluid pres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0318Processes
    • Y10T137/0396Involving pressure contr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0318Processes
    • Y10T137/0402Cleaning, repairing, or assembling
    • Y10T137/0491Valve or valve element assembling, disassembling, or replacing
    • Y10T137/0497Fluid actuated or retard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781With separate connected fluid reactor surface
    • Y10T137/7793With opening bias [e.g., pressure regulator]
    • Y10T137/7822Reactor surface closes chamber
    • Y10T137/7823Valve head in inlet chamber
    • Y10T137/7825Rectilinear valve stem rigid with reactor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869Biased open
    • Y10T137/7871Weight bias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904Reciprocating valves
    • Y10T137/7922Spring bias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158With indicator, register, recorder, alarm or inspection means
    • Y10T137/8225Position or extent of motion indic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158With indicator, register, recorder, alarm or inspection means
    • Y10T137/8326Fluid pressure responsive indicator, recorder or alar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밸브몸체를 이루는 유체의 배출압력을 조절하는 가변 장치(10')는 챔버(60') 내 압력에 민감히 반응하는 탄성 자기복원 다이어프램(20')에 의해 형성된 벽을 구비하는 압력감지챔버를 포함한다. 상기 다이어프램(20')에 연결된 밸브부재(80')는 상기 챔버(60') 내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 챔버(60') 내 증가된 압력은 상기 챔버(60') 내로의 흐름을 감소시키고 감소된 압력은 상기 챔버(60')가 설정 압력을 유지하도록 유체의 흐름을 증가시킨다. 상기 배출압력은 상기 밸브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상기 다이어프램(20')을 편향시키고 밸브부재(80')에 연결된 상기 다이어프램(20')의 일부가 상기 챔버(60') 내 압력에 민감히 반응하도록 조절된다. 조절커버(150)는 상기 다이어프램(20')을 조절가능하게 편향시키도록 제공하고 상기 유체배출압력의 조절을 허용하고 또한 설정 값으로 상기 장치(10')를 유지하기 위한 캐치 메카니즘을 포함한다. 인디케이터 장치는 상기 유체배출압력을 가시적으로 지시해주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가변 장치, 유체배출압력, 다이어프램, 압력감지챔버, 캐치 메카니즘, 커버

Description

압력 레귤레이터{PRESSURE REGULATOR}
본 발명은 유압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엘라스토머 기구(elastomeric balloon) 또는 기계적 펌프(mechanical pump)의 출력압력을 제어하기에 적합한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유체 출력압력의 조절을 용이하게 한 가변 유압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당해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는 압력 레귤레이터는 출력압력이 소정의 최대값을 초과하기 시작했을 때 유체의 유입을 감소시키거나 차단하고, 출력압력이 충분히 감소되었을 때 유체를 개방시키거나 증가시킨다. 이러한 레귤레이터들은 일반적으로 밸브부재 입구에 구비된 코일스프링, 및 입구압력의 초과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밸브부재를 폐쇄하는 압력감지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장치에서, 유압이 증가함에 따라 밸브시트(seat) 측으로 향해 밸브부재에 힘을 가하기 위해 상기 스프링을 압축시킨다. 상기 밸브부재가 밸브시트에 접근됨에 따라, 상기 레귤레이터를 통하는 유체흐름은 더 제한되게 된다. 일정 압력레벨에 도달될 때, 유체흐름을 더 제한하는 것이 멈추게 하거나, 유체흐름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밸브 시트에 접촉된다. 상기 출력압력이 일정 압력 이하로 떨어질 때,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밸브시트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되고 유체흐름은 증가된다. 이런 사이클은 요구된 세팅값으로 출력압력을 유지하기 위해 신속하게 반복된다.
다수의 압력 조절장치는 스탱(Stang)에 의해 출원된 미국특허제3,412,650호, 켈리에 의해 출원된 미국특허제3,547,427호, 뮤렐(Murrell)에 의해 출원된 미국특허제3,603,214호, 바우만(Bauman)에 의해 출원된 미국특허제3,747,629호, 겐바우페(Genbauffe)에 의해 출원된 미국특허제3,825,029호, 리)Lee)에 의해 출원된 미국특허제4,074,694호, 뷰지스(Buezis) 등에 의해 출원된 미국특허제4,621,658호, 오트만(Otteman)에 의해 출원된 미국특허제4,744,387호, 블랙(Black)에 의해 출원된 미국특허제5,141,022호, 및 올리비아(Ollivier)에 의해 출원된 미국특허제5,732,736호와 같이 코일스프링의 사용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스프링코일 없이, 조립이 보다 용이하고 저비용의 몇몇 부품들로 이루어진 보다 신뢰성 있는 압력 레귤레이터를 필요로 한다.
상기 참고 특허들의 압력 레귤레이터의 과제의 대부분은, 하나의 특정 유체 배출압력을 제공하거나, 높은 세팅값과 낮은 세팅값 사이에서 조절가능하게 제조되는 것이다. 그러나, 사용자에 의해 요구된 유체 배출압력을 값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는 가변 압력 레귤레이터가 필요하다. 이런 성능은 특히 환자에 유체를 공급되는 의료분야에서 사용되는 소형 펌프에 관련하여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적은 부품들을 구비하여, 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비용이 적게 들며, 파손이 덜 일어나는 단순화된 압력 레귤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유연성 다이어프램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된 종래의 스프링을 구비하는 대신에, 스스로 입력 흐름을 제어하고 출력 압력을 조절하는 탄성부재인 탄성 다이어프램을 구비한다. 상기 다이어프램은 엘라스토머 재료로 이루어지고, 다이어프램으로서 동작될 뿐만 아니라 압력감지 스프링과 밸브시트 스프링으로 대치될 수 있게 설계된다.
상기 다이어프램은 편평하게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레귤레이터에 설치 후에는 조절기(adjustor)가 상기 다이어프램에 편향되게 이동된다. 상기 편향된 양은 요구된 유체출력압력에 상응한다. 상기 다이어프램은 출력압력이 요구된 레벨보다 낮을 경우 편향에 저항하지만, 상기 출력 압력이 요구된 레벨을 초과할 경우 폐쇄 위치를 향해 휘어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프램은 상기 설명한 단점 없는 스프링 역할을 하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유압 레귤레이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조절기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회전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다이어프램을 편향시키기 위한 조절기를 회전시키고 유체 출력압력을 조절한다. 이런 구성은 의료인들에 의해 유체 출력압력의 조절을 용이하게 하고, 따라서 가변 유압 레귤레이터는 필요한 다양한 유체 투여에 편의를 도모한다.
참조도면과 연관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은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도1은 압력 레귤레이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2는 압력 레귤레이터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3은 위에서 본 도2의 압력 레귤레이터의 분해사시도.
도4는 아래에서 본 도2의 압력 레귤레이터의 분해사시도.
도5는 압력 레귤레이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6은 위에서 본 도5의 압력 레귤레이터의 분해사시도.
도7은 아래에서 본 도5의 압력 레귤레이터의 분해사시도.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번호 10까지 표시된 미리 세팅된 압력 레귤레이터는, 베이스(15), 탄성 벽 또는 다이어프램(diaphram)(20), 리테이너(retainer)(25) 및 캡(30) 형태의 초기 조절기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15)는, 유체가 상기 레귤레이터(10)로 유입되는 유입구(35)와, 유체가 요구된 압력에서 배출되는 배출구(40)를 구비한다. 중앙 축상 통로(axial passage)(45)는 상기 베이스(15)를 거쳐 연장되고, 상기 유입구(35)와 연통된다. 하부보다 작은 상기 통로(45)의 상부에서 개방단(open end)의 직경은 밸브시트(50)를 형성한다. 플러그(55)는 상기 통로(45)의 하단을 폐쇄한다.
상기 베이스(15)의 상면은 오목하고, 유압감지 챔버(60)의 하부 경계(boundary)를 이룬다. 상기 베이스(15) 상면의 경계(perimeter)에는 상기 다이 어프램(20)에 대해 안착(seating) 및 그리핑(gripping)하는 면을 형성하는 경사진, 환형 쇼울더(65)가 구비된다. 상기 쇼울더(65)는 일반적으로 링 형상을 가진 상기 리테이너(25) 위에 내면에 나사 가공된 부분과 대응되는 외부에 나사 가공된 립(70)을 구비한다. 상기 챔버(60)와 연통되는 배출구 도관(conduit)은 상기 베이스(15)의 상면에서 외면까지 연장된다.
상기 다이어프램(20)은 대략 원형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 쇼울더(65)와 환영면(90) 사이를 밀봉하기 위해 상기 리테이너(25) 위에 상기 베이스 쇼울더(65)와 편평한 환형면(90) 사이를 고정하는 외측 환형부를 구비하는 대략 편평한 부재이다. 이는 상기 다이어프램(20)의 저면이 상기 압력감지챔버(60)의 상부 경계를 형성하게 한다. 상기 다이어프램(20)은 바람직하게 실리콘 같은 엘라스토머 재료(elastomeric material)로 이루어져, 상기 챔버(60) 내의 유압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소위 자기 복원(self-restoring)이라고 하는 충분한 복원력(memory)을 갖는다. 상기 챔버(60)를 관통하고 상기 통로(45)로 축상 연장되는 밸브스템(75)은 상기 다이어프램(20)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스템(75)의 하단 위의 밸브부재(80)는 상기 밸브시트(50)와 협력하기(cooperating) 위해 상기 통로(45)에 위치된다. 상기 밸브부재(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볼 형상이지만, 상기 밸브시트(50)와 적절히 어울리는 디스크 형상 또는 적당한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조립하는 동안에, 상기 밸브부재(80)는 상기 통로(45) 내로 상기 밸브시트(50)를 통해 밀려질 수 있게 알콜로 매끄럽게 될 수 있다.
상기 리테이너(25)는, 필요할 경우 상기 베이스(15)에 초음파 용접될 수 있다. 상기 리테이너(25)의 환형 영역(95)은 상기 리테이너(25)의 일부인 내부에 나사 가공된 컬러(105)의 상향 및 내측으로 경사진다. 상기 조절캡(30)은 편평한 상부 벽(110)과 상기 컬러(105) 하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플랜지(115)를 구비한다. 상기 플랜지(115)의 외면은 상기 컬러(105)의 나사 가공된 부분에 대응되게 나사 가공된다. 상기 캡(30)은 그 환형의 저단부가 상기 다이어프램(20)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조절된다. 상기 원통형 플랜지(120)에 의해 경계지어지는 상기 다이어프램(20)의 원통형, 중앙부위는 상기 챔버(60) 내의 유압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상기 조절캡(30)에 의한 로딩(loading)은 상기 다이어프램(20)을 하향으로 밀고,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부재(80)를 아래로 분리시킨다(unseating). 상기 조절기(10)는 상기 리테이너(25)와 슬라이딩 되거나 캠 같이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다이어프램(20)의 상면과 초기 조절캡(30)은 상기 다이어프램(20)에 의해 상기 압력감지챔버(60)로부터 분리된 상측 내부공간(130)을 형성한다. 통기공들(vents)(125)은 상기 상측 내부공간(130) 내의 압력 증가를 방지하고 요구된 압력값이 세팅될 경우 상기 조절캡(30)의 회전을 촉진시키기 위해 상기 조절캡(30)의 편평한 면(110)을 통해 연장된다.
상기 베이스(15), 플러그(55), 조절캡(30) 및 리테이너(25)는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로 이루어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자에게 알려진 내구성 있고, 저단가의 다른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다이어프램(20)이 상기 베이스(15)의 경사진 쇼울더(65)와 상기 리테이너(25)의 편평한 면(90) 사이에서 압력 레귤레이터(10) 내에 조립될 경우, 상기 밸브부재(80)는 밀봉 폐쇄된 위치에 안착된다. 압력원이 상기 유입구(35)를 유입된 후, 상기 캡 플랜지(115)의 환형 팁을 상기 다이어프램(20)을 변형시켜 상기 캡(30)이 상기 다이어프램(20)에 대해 돌출되고(advanced), 따라서 상기 밸브시트(50)에서 상기 밸브부재(80)를 아래로 분리시킨다. 상기 밸브부재(80)가 아래로 분리되는 동안, 유체는 상기 유입구(35)와 밸브시트(50)를 거쳐 이동되고, 배출구(40)를 거쳐 상기 유체감지챔버(60) 내로 흐른다. 상기 캡(30)은 요구된 배출구 압력에 이를 때까지 조절된다. 미리 설정된 압력장치에 대하여, 배출압력 세팅값의 변화를 방지하기 위해 적당한 접합제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이 상기 플랜지(115)의 나사 가공된 부분에 적용된다.
상기 챔버(60) 내 유체의 압력이 상기 조절캡(30)에 의해 초기 세팅된 설정값 보다 더 크게 상기 다이어프램(20)의 저면으로 힘을 가할 경우, 힘의 불균형이 발생한다. 상기 챔버(60) 내 유체의 힘은 상기 밸브부재(80)가 상기 밸브시트(50)를 향해 유체를 감소시키거나 정지시키는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여 상기 다이어프램(20)의 탄성 중앙부위를 상향으로 밀어 올린다. 상기 배출구(40) 압력이 요구된 레벨 이하로 떨어질 경우, 상기 탄성 다이어프램(20) 중앙부위는 상기 밸브부재(80)를 상기 밸브시트(50)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키고 상기 챔버(60) 내로의 유체흐름을 증가시킨다. 상기 다이어프램(20)의 탄성은 상기 유체압력감지챔버(60) 내 유체의 압력에 민감히 반응하도록 중앙부위에 자기 복원 유연성을 제공한다. 결론적으로, 다이어프램(20)은 통상적인 스프링을 필요로 하지 않고도 압력 변화에 민감히 반응할 수 있는 활성 부재이다.
상기 밸브스템(75) 및 밸브는 상기 다이어프램(20)과 밸브부재(80)와 같은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다이어프램(20) 보다 더 단단한 재료로 이루어진 밸브스템(75)은 보다 넓은 범위의 유입압력에 거쳐 일정한 압력을 보다 잘 유지할 수 있다. 강성을 증가시키고 이런 향상된 효과를 얻기 위해서, 상기 다이어프램(20)이 밸브몸체에 조립된 후 그러나 상기 조절캡(30)이 설치되기 전에, 강성핀(미도시)이 상기 밸브스템(75)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스템(75)의 단면부는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일부 또는 이것의 길이에 거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스템(75)은 상기 다이어프램(20)에 분리된 밸브부재(80)를 연결하는 완전히 별도의 부품일 수 있다.
압력 레귤레이터는 많은 적용분야에서 유용하지만, 특히 엘라스토머 기구 또는 다른 기계적 펌프의 출력 압력을 제어하는데 적합하다.
도2 내지 도4는 일반적으로 번호 10'까지 표시된 유압 레귤레이터의 추가 실시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압력 레귤레이터(10')는 도1의 압력 레귤레이터(10)의 구성과 기능이 유사하다. 따라서, ' 이 첨가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같은 구성요소에는 같은 참조번호로 표시한다.
도1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압력 레귤레이터(10')는 베이스(15'), 리테이너(25'), 탄성벽 또는 다이어프램(20') 및 캡(30')의 형태인 조절기로 이루어진 밸브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15')는 유체가 상기 레귤레이터(10')에 유 입되는 곳에 유입구(35')와 유체가 설정 압력에서 유체가 배출되는 곳에 배출구(40')가 구비된다. 중앙의 축통로(45')는 상기 베이스(15')를 거쳐 연장되고, 상기 유입구(35')와 연통된다. 하방부보다 더 작은 상기 통로(45')의 상부에서 개방단(open end)의 직경은 밸브(50')를 형성한다. 플러그(55')는 상기 통로(45')의 하단을 폐쇄한다.
도1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레귤레이터(10')의 다이어프램(20')은 상기 베이스(15')와 리테이너(25') 사이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다이어프램(20')의 저면은 상기 압력감지챔버(60')의 상부 경계를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15')의 상면은 상기 압력감지챔버(60')의 저면을 형성한다. 상기 챔버(60')를 관통하고 상기 통로(45') 내로 축상 연장되는 밸브스템(75')은 상기 다이어프램(20')과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밸브스템(75')의 하단 위의 밸브부재(80')는 상기 밸브시트(50')와 협력하기 위해 상기 통로(45')에 위치된다.
도1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레귤레이터(10')의 조절캡(30')은 상기 리테이너(25')의 중앙부위 내에 나사 가공되어 결합된다. 상기 조절기(30')는 환형 저단부(120')가 상기 다이어프램(20')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리테이너(25')에 대해 돌출되거나(advance) 수용(retract)될 수 있다. 상기 조절기(30')의 돌출 또는 삽입은 상기 밸브시트(50')에 대해 상기 밸브부재(80')를 폐쇄하는 힘을 대신하고, 따라서 도1의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압력 레귤레이터(10')의 유압을 조절한다.
도2 내지 도4의 압력 레귤레이터(10')는 추가적으로 커버(150)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150)는 상기 리테이너(25')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조절기(30')와 결합되어 상기 조절기(30')가 커버(150)와 함께 회전되도록 고정된다. 이처럼, 상기 커버(150)는 상기 조절기(30')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어서 상기 다이어프램(20')의 변형이 대치되고, 따라서 유체 유출구 압력을 조절한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150)는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유연성 록킹탭(lock tab)(152)을 포함한다. 상기 록킹탭(152)은 실질적으로 상기 리테이너(25')와 일측상에 고정되고 회전되는 상기 커버(150)를 잡기 위해 상기 리테이너(25')에 결합된다.
각 록킹탭(152)은 상기 리테이너(25')의 리테이닝면(156)에 결합되게 형성된 실질적으로 횡적으로 연장되는 록킹면(154)를 구비한다. 상기 리테이닝면(156)은 횡적으로 연장되는 연속적인 환형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리테이닝면(156)은 또한 일련의 연속되는 면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연성 록킹탭(152)의 어느 하나의 폭 보다는 작은 불연속면을 가질 수 있다.
상술된 압력 레귤레이터(10')는 네 개의 등간격의 록킹탭(152)(도4)을 포함하지만, 상기 록킹탭(156)의 개수는 더 적게 또는 더 많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록킹탭(152)과 리테이닝면(156) 구성은 도구 또는 추가적인 패스너(fastener)의 사용 없이 상기 리테이너(25')에 상기 커버(150)를 조립할 수 있게 하는 잇점이 있다. 그러나, 다른 적합한 연결 방법들도 또한 사용 가능하다.
도2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150)는 상기 조절캡(30')의 통기공(125')과 결합되는 한 쌍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샤프트 또는 핀(157)을 포함한다. 상기 샤프트(157)는 상기 통기공(125') 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서 상기 상부챔버(130')의 압력증가를 피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157)는 상기 커버(150)와 함께 회전되는 조절캡(30')을 고정하는 동시에 상기 조절캡(30')은 상기 샤프트(157) 상에서의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커버(150)에 대해 축상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커버(150)가 회전될 때, 상기 조절캡(30')은 상기 샤프트(157)을 거쳐 상기 커버(150)와 결합으로 인해 회전되고, 나사 가공되어 상기 리테이너(25')와 결합으로 인해 상기 커버(150)에 대해 축상으로 이동된다.
상기 압력 레귤레이터(10')는 또한 상기 리테이너(25')에 대해 요구된 각을 이루는 포지션에 상기 커버(150)를 위치시키기 위해 캐치(catch), 멈춤(detent) 메카니즘(158) 장치를 포함한다. 복수의 각 홈들(160)은 상기 베이스(15')에 관하여 복수의 환형 포지션을 제한한다. 상기 커버(150)는 상기 커버(150) 외면에 인전한 유연성 탭(162)을 포함한다. 상기 탭(162)은 내측으로 연장되는 돌기(164)를 구비한다(도4). 상기 돌기(164)는 반구 형상이고 상기 각 홈들(160)은 대략 반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당업계의 기술자에 의해 결정됨에 따라 다른 적합하게 어울리는 형상도 이용할 수 있다.
도2를 참조하면, 상기 돌기(164)가 상기 유연성 탭(162)의 고유 편향력(inherent biasing force)에 의해 홈(160)에 결합되어 편향되도록 상기 캐치 메카니즘(158)은 구성된다. 결과로, 상기 커버(150) 및 조절캡(30')이 상기 복수의 홈들(160)에 의해 제한된 환형 위치의 하나에 홀딩된다. 상기 커버(150)가 충분 한 힘으로 상기 베이스(15')를 회전시킬 때, 상기 돌기(164)는 상기 홈(160)으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캡(150)의 회전 방향으로 다음 인접 홈(160)과 결합되게 이동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연성 탭(162)의 고유 편향력은 간병인 및/또는 환자가 수동으로 상기 커버(150)를 회전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진동 또는 부주의한 접촉으로 인한 상기 커버(150)의 원하지 않는 회전을 방지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커버(150)의 회전은 유연한 다이어프램 부재(20')의 편향을 차례로 반복하는 상기 조절캡(30')을 회전되게 하는 잇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배출구 유압은 유연한 다이어프램 부재(20')의 편향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상기 압력 레귤레이터(10')를 이용하여 간병인 및/또는 환자가 요구된 배출구 압력값으로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도3을 참조하면, 상기 유압 레귤레이터(10')는 조절결과의 유압 배출구 압력과 상기 커버(150)의 각 위치를 연관짓는 인디케이터(166)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간병인은 가변 압력 레귤레이터(10')를 조절하여 투여되는 특정 유체에 대한 적당한 배출구 압력으로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166)는 상기 리테이너(25')에 환형 스케일(scale)(168)을 구비한다. 참조 표시(170)는 상기 캡(150) 상에 제공되고, 상기 캡(150)이 상기 리테이너(25')에 조립될 때 정렬되어, 적어도 상기 스케일(168)의 한 부분이 상기 참조 표시(170)에 의해 표시된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상기 참조 표시(170)는 윈도우(172) 및 화살표(174)를 포함한다. 상기 윈도우(172)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케일(168)의 한 경계를 나타내 주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다. 상기 화살표(174)는 상기 윈도우(172)의 위치를 빨리 확인 할 수 있게 하고, 제공될 수도 있고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설명된 실시예의 상기 스케일(168)은 배출구 압력의 관련 지시를 제공하는 표시 스케일이다. 이처럼, 상기 표시 스케일(168)의 각 범위는 유체 배출 압력에 대한 미리 예정된 값 또는 값의 범위에 상응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스케일(168)은 실제 유압 배출구 값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보면, 상기 스케일(168)은 상기 캡(150) 상에 제공되고 상기 참조표시(170)는 상기 리테이너(25') 또는 가능하게는 베이스(15')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런 장치에서, 상기 참조표시(170)는 상기 리테이너(25') 또는 베이스(15')의 돌기 및/또는 채색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스케일(168) 상에 어떤 값을 표시하기 위한 다른 적합한 장치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에 공개된 실시예에 인디케이터 장치(166)에 단순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르게 적절히 변경 될 수 있다.
도5 내지 도7은 캐치 메카니즘(158)의 다른 실시예의 장치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홈(160)은 상기 리테이너(25')의 상부 환형 표면 상에 제한되고 상기 유연성 탭(162)은 상기 커버(150)의 상면 상에 대응되게 위치된다. 또한, 상기 홈(160)은 도5에 보이는 것처럼 방사상으로 가장 안쪽 벽 부분이 라운딩되고 단면이 삼각형으로 이루어진다. 도7을 참조하면, 상기 돌기(164)는 반원통 형상이다. 그렇지 않으면, 도5 내지 도7의 실시예는 이미 앞에서 서술된 실시예와 구성과 기능이 유사하다.
본 발명이 어떤 실시예에 대해 서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분야에서 당업계의 일반적인 기술자에 있어 다른 실시예들도 적용됨이 명백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다양한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다음의 청구항에 의해 한정된다.

Claims (25)

  1. 유체 유입구, 유체 배출구, 유체압력감지챔버, 및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챔버로 개구부가 형성되는 밸브시트를 구비한 밸브몸체;
    상기 챔버 내의 압력에 반응하고 자기 복원력을 가지며 상기 챔버의 벽을 형성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챔버를 통해 상기 밸브시트 측으로 연장되는 밸브스템;
    상기 밸브시트와 유체유입구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밸브스템 상에 지지되고 상기 밸브시트와 협력하는 밸브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를 편향시키고 상기 밸브시트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탄성부재를 이동시키는 위치에서 상기 밸브몸체에 장착되고 상기 밸브스템에 연결된 상기 탄성부재의 일부가 상기 밸브시트에 대해 상기 밸브부재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챔버 내의 압력변화에 반응하도록 휘어지는 조절기;
    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몸체는 상기 유입구, 상기 배출구, 및 상기 밸브시트를 결합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조절기를 수용하는 구멍을 구비하는 리테이너;
    함께 회전되는 조절기를 고정시켜서 그 회전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의 편향이 조절될 수 있는 커버를 포함하는
    가변 압력 레귤레이터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체에 대해 복수의 각을 이루는 포지션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각을 이루는 포지션 중 하나에서 상기 커버를 위치시키도록 구성되는 캐치 메카니즘을 더 포함하는
    가변 압력 레귤레이터 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 메카니즘은
    상기 밸브몸체와 커버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홈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홈들 중 하나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돌기가 상기 밸브몸체와 커버 중 다른 하나에 대해 고정되는
    가변 압력 레귤레이터 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돌기는
    상기 홈과 결합하여 편향되어서 상기 커버의 회전 토크가 없는 경우 상기 커버의 회전을 제한하고 그 커버의 회전 토그에 반응하게 하는
    가변 압력 레귤레이터 제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밸브몸체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돌기는 상기 커버와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고,
    상기 커버는 하나 이상의 유연성 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돌기는 상기 유연성 탭부의 표면에 의해 형성되는
    가변 압력 레귤레이터 제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소정의 유체배출압력에 대하여 상기 밸브몸체에 대해 상기 커버의 각을 이루는 위치와 관련되어 구성된 인디케이터 장치를 더 포함하는
    가변 압력 레귤레이터 제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 장치는
    상기 밸브몸체와 커버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유체 배출 압력 스케일 및 상기 밸브몸체와 커버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참조표시를 포함하고,
    상기 참조표시는 요구되는 유체배출압력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유체배출압력의 경계와 정렬될 수 있는
    가변 압력 레귤레이터 제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배출 압력 스케일은 표시스케일을 포함하고,
    상기 경계는 유체 배출 압력의 범위에 대응하며,
    상기 참조표시는 상기 표시스케일의 단일 경계를 표시하는 크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진 뷰윈도우를 포함하는
    가변 압력 레귤레이터 제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록킹면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유연성 록킹탭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몸체는 리테이닝면을 포함하며,
    상기 록킹면은 상기 밸브몸체에 대해 상기 커버를 일축상 위치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리테이닝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가변 압력 레귤레이터 제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닝면은 상기 밸브몸체의 리테이너에 의해 형성된 연속적인 환형 면으로 이루어진
    가변 압력 레귤레이터 제어장치.
  11. 다이어프램이 기계적으로 편향되지 않을 때, 챔버의 벽을 형성하는 휨이 가능한 탄성 다이어프램을 이용하여, 밸브시트를 통해 밸브몸체 내의 유압챔버 내로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방지하는 단계;
    상기 유체챔버 내로 유체를 유입하기 위하여 상기 다이어프램의 자기 복원면을 편향시키는 단계;
    상기 챔버 내에 압력 변화에 반응하는 상기 자기 복원면을 구부리는 단계;
    상기 챔버 내 압력이 증가될 경우 상기 밸브시트 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챔버 내 압력이 감소될 경우 상기 밸브시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다이어프램부의 휨에 반응하여 이동되도록 장착된 밸브부재를 구비한 상기 챔버로 상기 밸브시트를 통해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챔버로부터 상기 밸브몸체 내의 배출구까지 유체를 유동시키는 단계;
    함께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조절기를 구비하는 커버를 회전시켜 압력을 조절하되, 상기 조절기는 요구되는 배출압력을 얻기 위해 상기 다이어프램부의 휨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상기 다이어프램을 편향시키는 단계;
    상기 밸브몸체에 대해 복수의 각을 이루는 포지션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각을 이루는 포지션 중 하나에 상기 커버를 위치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압을 조절하는 방법.
  12. 유압감지챔버의 벽을 형성하는 벽, 상기 챔버에 밸브시트 개구부와 연통되는 유체 유입구, 및 상기 챔버와 연통되는 유체유입구를 포함하는 베이스;
    상기 챔버의 벽을 형성하고, 유연성을 갖는 탄성 다이어프램;
    상기 베이스와의 사이에서 상기 다이어프램의 환형 주연부를 클램핑하는 리테이너;
    상기 챔버 내 압력이 증가될 경우 밸브 폐쇄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챔버 내 압력이 감소될 경우 밸브 개방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밸브시트와 협력하여 상기 다이어프램의 중앙부분에 장착되는 밸브부재;
    상기 리테이너와 나사결합되고, 상기 밸브시트 측으로 상기 다이어프렘을 편 향함에 따라 상기 다이어프램과 결합되는 플랜지를 구비하며, 상기 플랜지는 상기 챔버 내 유압에 반응하여 이동 가능한 상기 다이어프램의 중앙부분을 형성하는 조절기; 및
    함께 회전되게 상기 조절기에 고정되어, 상기 탄성 다이어프램의 편향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조절기를 축이동시키는 커버
    를 포함하는 가변 유압 레귤레이터 제어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에 대해 복수의 각을 이루는 포지션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각을 이루는 포지션 중 하나에 상기 커버를 위치시키는 캐치 메카니즘을 더 포함하는
    가변 유압 레귤레이터 제어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에 대한 상기 커버의 각을 이루는 포지션이 소정의 유체 배출 압력과 관련되어 구성되는 인디케이터 장치를 더 포함하는
    가변 유압 레귤레이터 제어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록킹면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유연성 록킹탭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리테이닝면을 포함하고,
    상기 록킹면은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기 커버를 일축상 위치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리테이닝면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가변 유압 레귤레이터 제어장치.
  16. 유체유입구, 유체배출구, 유체압력감지챔버, 및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챔버로 개구부를 형성하는 밸브시트를 구비하는 밸브몸체;
    상기 챔버의 이동가능한 벽을 형성하고 상기 챔버 내 압력에 반응하는 부재;
    상기 챔버 내 압력이 증가될 경우 밸브의 폐쇄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챔버 내 압력이 감소될 경우 밸브 개방 방향으로 이동되는 방식으로, 상기 밸브시트와 협력하고 상기 부재에 장착되는 밸브부재;
    상기 밸브몸체에 결합되어 그 회전에 의해 상기 부재를 편향시키고, 유체 배출 압력을 조절하는 조절기; 및
    함께 회전되게 상기 조절기를 고정하고, 상기 부재의 편향이 그 회전에 의해 조절될 수 있게 하는 커버
    를 포함하는 가변 유압 레귤레이터 제어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체에 대해 복수의 각을 이루는 포지션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각을 이루는 포지션 중 하나에 상기 커버를 위치시키는 캐치 메카니즘을 더 포함하는
    가변 유압 레귤레이터 제어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 메카니즘은
    상기 밸브몸체와 커버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홈과,
    상기 밸브몸체와 커버 중 다른 하나에 대해 고정되고 상기 복수의 홈 중 하나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돌기를 포함하는
    가변 유압 레귤레이터 제어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돌기는
    상기 홈과 결합하여 편향되어서 상기 커버의 회전 토크가 없는 경우 상기 커버의 회전을 제한하고 그 커버의 회전 토크에 반응하게 하는
    가변 유압 레귤레이터 제어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밸브몸체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돌기는 상기 커버와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고,
    상기 커버는 하나 이상의 유연성 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돌기는 상기 유연성 탭부의 표면에 의해 형성되는
    가변 유압 레귤레이터 제어장치.
  21. 제16항에 있어서,
    소정의 유체배출압력에 대하여 상기 밸브몸체에 대해 상기 커버의 각을 이루는 위치와 관련되어 구성된 인디케이터 장치를 더 포함하는
    가변 유압 레귤레이터 제어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 장치는
    상기 밸브몸체와 커버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유체 배출 압력 스케일 및 상기 밸브몸체와 커버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참조표시를 포함하고,
    상기 참조표시는 요구되는 유체배출압력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유체배출압력의 경계와 정렬될 수 있는
    가변 유압 레귤레이터 제어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배출 압력 스케일은 표시스케일을 포함하고,
    상기 경계는 유체 배출 압력의 범위에 대응하며,
    상기 참조표시는 상기 표시스케일의 단일 경계를 표시하는 크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진 뷰윈도우를 포함하는
    가변 유압 레귤레이터 제어장치.
  24.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록킹면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유연성 록킹탭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몸체는 리테이닝면을 포함하며,
    상기 록킹면은 상기 밸브몸체에 대해 상기 커버를 일축상 위치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리테이닝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가변 유압 레귤레이터 제어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닝면은 연속적인 환형 면으로 이루어진
    가변 유압 레귤레이터 제어장치.
KR1020047002238A 2001-08-14 2002-08-14 압력 레귤레이터 KR1008822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931,385 2001-08-14
US09/931,385 US6619308B2 (en) 1999-07-09 2001-08-14 Pressure regulator
PCT/US2002/027095 WO2003017020A1 (en) 2001-08-14 2002-08-14 Pressure regul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0108A KR20040030108A (ko) 2004-04-08
KR100882239B1 true KR100882239B1 (ko) 2009-02-06

Family

ID=25460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2238A KR100882239B1 (ko) 2001-08-14 2002-08-14 압력 레귤레이터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6) US6619308B2 (ko)
EP (1) EP1419426B1 (ko)
JP (1) JP2005500602A (ko)
KR (1) KR100882239B1 (ko)
AT (1) ATE374965T1 (ko)
AU (1) AU2002329852B2 (ko)
CA (1) CA2457776C (ko)
DE (1) DE60222780T2 (ko)
HK (1) HK1066286A1 (ko)
IL (2) IL160332A0 (ko)
MX (1) MXPA04001354A (ko)
PL (1) PL365949A1 (ko)
WO (1) WO200301702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542B1 (ko) 2022-08-29 2023-02-16 주식회사 넥젠 상시 폐쇄형 정밀 유체압력제어용 레귤레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19308B2 (en) * 1999-07-09 2003-09-16 I-Flow Corporation Pressure regulator
ITTO20050106U1 (it) * 2005-07-25 2007-01-26 Borla Ind Camera di gocciolamento con regolatore di flusso integrato per linee medicali
US20070051409A1 (en) * 2005-09-02 2007-03-08 Belmont Instrument Corporation Pressure responsive fluid flow control valves
ES1061777Y (es) * 2005-12-02 2006-07-16 Coprecitec Sl Regulador de una presion de gas dual para un aparato electrodomestico.
JP4879285B2 (ja) * 2006-03-15 2012-02-22 ノルグレン・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反発性ダイヤフラムを備える弁
US8087428B1 (en) * 2006-12-07 2012-01-03 Beswick Engineering Co., Inc. High pressure inlet regulator
US7967005B2 (en) * 2007-04-13 2011-06-28 Daniel Parrish Dual fuel gas valve and gas grill
US20090214356A1 (en) * 2008-02-22 2009-08-27 Barrett Ii F Madison Pump control valve
US8191574B1 (en) * 2008-05-27 2012-06-05 Davis Edward H Visual indicator for air tank valve handle
CN103695530B (zh) 2008-07-07 2016-05-25 牛津纳米孔技术有限公司 酶-孔构建体
US8864106B2 (en) * 2008-12-03 2014-10-21 Emerson Process Management Regulator Technologies, Inc. Valve seat apparatus having positive retention for use with fluid control devices
US8424561B1 (en) 2009-02-25 2013-04-23 Carroll G. Rowe Pressure regulator
US8869822B2 (en) * 2009-03-11 2014-10-28 Victor Equipment Company Gas pressure regulator having energy absorbing features
WO2011071501A1 (en) * 2009-12-11 2011-06-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essure regulator apparatus to detect out of fluid state
GB0921970D0 (en) * 2009-12-16 2010-02-03 Norgren Ltd C A Pressure regulator
US9092037B2 (en) 2010-02-10 2015-07-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essure-regulating valve
US8522824B2 (en) * 2010-04-23 2013-09-03 Feldmeier Equipment, Inc. Aseptic or sanitary diaphragm valve
CA2803925C (en) * 2010-06-29 2018-03-13 Research Medical Pty Ltd Wound drainage control apparatus
US9593370B2 (en) 2010-10-01 2017-03-14 Oxford Nanopore Technologies Ltd. Biochemical analysis apparatus and rotary valve
HUP1000680A2 (hu) * 2010-12-21 2012-08-28 Eurojet Medical Kft Nyomásszabályozó szelep
US8960216B2 (en) * 2011-03-21 2015-02-24 Tescom Corporation Diaphragm control valve having a universal diaphragm mounting location
DE102011018980A1 (de) * 2011-04-28 2012-10-31 Eagle Actuator Components Gmbh & Co. Kg Ventil zur Begrenzung des Drucks im Kurbelwellengehäuse
GB2492955A (en) * 2011-07-13 2013-01-23 Oxford Nanopore Tech Ltd One way valve
WO2013038163A2 (en) 2011-09-15 2013-03-21 Oxford Nanopore Technologies Limited Pump
US8905064B2 (en) 2011-10-03 2014-12-09 Seik Oh Flow regulator for infusion pump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13089694A1 (en) 2011-12-14 2013-06-20 Numatics, Incorporated Adjustable pressure controlled valve
JP5889649B2 (ja) * 2012-01-26 2016-03-22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流量調整装置
JP5889648B2 (ja) 2012-01-26 2016-03-22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流量調整装置
JP6559565B2 (ja) 2012-06-27 2019-08-14 フィッシャー アンド ペイケル ヘルスケア リミテッド 呼吸補助装置
WO2014022469A2 (en) * 2012-07-31 2014-02-06 Fairchild Industrial Products Company Improved valve seat for a pressure regulator
DK177597B1 (en) * 2012-09-17 2013-11-11 Flowcon Internat Aps Detachable grip for adjusting a valve and unit comprising a detachable grip and valve
KR101476042B1 (ko) * 2013-07-09 2014-12-23 김용무 약물주입용 레귤레이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약물주입장치
JP6282439B2 (ja) * 2013-10-30 2018-02-21 愛三工業株式会社 減圧弁
WO2015112109A1 (en) 2014-01-21 2015-07-30 Numatics, Incorporated Pressure controlled and pressure control valve for an inflatable object
US9551999B2 (en) * 2015-05-15 2017-01-24 Yung Shen Gas Appliance Co., Ltd. Structure of gas regulator
SE1850619A1 (sv) 2015-11-24 2018-05-24 Walbro Llc Throttle trigger actuated throttle position sensor and engine control module
WO2017127266A1 (en) 2016-01-19 2017-07-27 Walbro Llc Engine operator initiated self-adjustment system
US10544745B2 (en) 2016-01-20 2020-01-28 Walbro Llc Engine self-adjustment system
CN108474305B (zh) 2016-01-25 2021-12-07 沃尔布罗有限责任公司 发动机切断开关和控制组件
WO2018175304A1 (en) 2017-03-21 2018-09-27 Walbro Llc Ignition module with low speed control
US20190388611A1 (en) 2018-06-20 2019-12-26 Baxter International Inc. Infusion device
GB2585035B (en) * 2019-06-25 2023-04-26 Intersurgical Ag An adjustable valve
TWI714279B (zh) 2019-09-24 2020-12-21 丁原傑 溫度補償限流裝置與彈性輸液系統
DE102020124541A1 (de) 2020-09-21 2022-03-24 Woco Industrietechnik Gmbh Stellventilpositionserfassung
WO2022266924A1 (zh) * 2021-06-24 2022-12-29 白翼志 辨识结构及应用有辨识结构的燃气阀
CN217539625U (zh) 2022-03-28 2022-10-04 上海荣威塑胶工业有限公司 用于充气产品的恒压阀和充气产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5997A (en) * 1991-12-05 1993-09-21 Respirator Research, Inc. Valve cartridge assembly for a pressure regulator of supplied air breathing apparatus
US5492146A (en) * 1992-09-02 1996-02-20 Richards Industries, Inc. Pressure regulators
US5697398A (en) * 1995-08-08 1997-12-16 Fisher Controls International, Inc. Fluid pressure regulator with boost tube unit including stem guide and lever retainer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4143A (en) 1902-04-08 1902-11-25 Sven Carlson Pressure-reducing valve.
GB479042A (en) 1936-07-29 1938-01-31 William Sugg & Company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gas or other fluid pressure governors
US2960109A (en) * 1957-01-07 1960-11-15 Gen Controls Co Flow regulator
US3547427A (en) 1968-06-27 1970-12-15 Robertshaw Controls Co Reset mechanism for a spring assembly
US3552431A (en) 1968-07-05 1971-01-05 Singer General Precision Fluidic pressure regulator
US3603217A (en) * 1969-01-16 1971-09-07 Robinson E S & A Canada Method of forming a bag
US3603214A (en) 1969-09-18 1971-09-07 Robertshaw Controls Co Pressure regulator converter
US3747629A (en) 1972-06-28 1973-07-24 Essex International Inc Convertible fluid pressure regulator
US3825029A (en) 1973-01-02 1974-07-23 Robertshaw Controls Co Plural range pressure regulator construction or the like and the method of making the same or the like
US3921664A (en) * 1974-02-26 1975-11-25 Edgar W Almquist Vacuum powered ball valve fuel control
US4074694A (en) 1976-04-09 1978-02-21 Leemco, Inc. Pressure regulator with soft valve seat
US4121615A (en) * 1977-04-27 1978-10-24 B. W. B. Controls, Inc. Valve control with indicator
US4537387A (en) 1982-09-30 1985-08-27 Anatros Corporation Precision valve assembly
US4622994A (en) * 1984-08-15 1986-11-18 Rosaen Nils O Fluid handling device
US4621658A (en) 1986-02-18 1986-11-11 Honeywell Inc. Non-removable spring holder for a pressure operated valve
US4744387A (en) 1987-06-25 1988-05-17 Otteman John H Fluid pressure regulator
DE8709978U1 (ko) * 1987-07-21 1987-10-08 A. U. K. Mueller Gmbh & Co Kg, 4000 Duesseldorf, De
US5141022A (en) 1990-04-12 1992-08-25 Cashco, Inc Pressure regulating valve apparatus
US5226446A (en) * 1991-06-25 1993-07-13 Eaton Corporation Flow noise reduction
US5732736A (en) 1994-07-15 1998-03-31 Veriflo Corporation Pressure regulator with lower outlet pressure drop
US5609185A (en) * 1995-05-31 1997-03-11 H-Tech, Inc. Valve indicator and handle assembly
US5954090A (en) * 1997-10-14 1999-09-21 Amot Controls Corporation Flexible flower indicator mechanism
US6273117B1 (en) * 1999-07-09 2001-08-14 I-Flow Corporation Pressure regulator
US6619308B2 (en) * 1999-07-09 2003-09-16 I-Flow Corporation Pressure regulator
US6254576B1 (en) 1999-11-18 2001-07-03 Medrip Ltd. Pressure-responsive flow regulator and drug delivery devices employ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5997A (en) * 1991-12-05 1993-09-21 Respirator Research, Inc. Valve cartridge assembly for a pressure regulator of supplied air breathing apparatus
US5492146A (en) * 1992-09-02 1996-02-20 Richards Industries, Inc. Pressure regulators
US5697398A (en) * 1995-08-08 1997-12-16 Fisher Controls International, Inc. Fluid pressure regulator with boost tube unit including stem guide and lever retai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542B1 (ko) 2022-08-29 2023-02-16 주식회사 넥젠 상시 폐쇄형 정밀 유체압력제어용 레귤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374965T1 (de) 2007-10-15
EP1419426B1 (en) 2007-10-03
WO2003017020A1 (en) 2003-02-27
US7546846B2 (en) 2009-06-16
US7766028B2 (en) 2010-08-03
US20090250124A1 (en) 2009-10-08
US20070289644A1 (en) 2007-12-20
AU2002329852B2 (en) 2008-08-21
DE60222780D1 (de) 2007-11-15
MXPA04001354A (es) 2004-05-05
CA2457776A1 (en) 2003-02-27
US6938642B2 (en) 2005-09-06
DE60222780T2 (de) 2008-07-17
US20070017580A1 (en) 2007-01-25
IL160332A0 (en) 2004-07-25
US20020104569A1 (en) 2002-08-08
US20060048822A1 (en) 2006-03-09
US20040123906A1 (en) 2004-07-01
HK1066286A1 (en) 2005-03-18
PL365949A1 (en) 2005-01-24
IL160332A (en) 2009-02-11
US6619308B2 (en) 2003-09-16
US7114520B2 (en) 2006-10-03
KR20040030108A (ko) 2004-04-08
JP2005500602A (ja) 2005-01-06
EP1419426A1 (en) 2004-05-19
CA2457776C (en) 2009-10-20
US7264018B2 (en) 2007-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2239B1 (ko) 압력 레귤레이터
AU2002329852A1 (en) Pressure regulator
US6273117B1 (en) Pressure regulator
US5988204A (en) Adjustable fluid flow regulator
EP1793299B1 (en) Dual gas pressure regulator for a household appliance
EP1125074B1 (en) Disc type check valve
US7261119B2 (en) Pressure regulator with improved outlet pressure control
US3062525A (en) Adjusting device for pressure regulator valve
JP5735049B2 (ja) ガスレギュレータの調節可能な弁体機構
EP0475743A1 (en) Pressure-compensated infusion regulator
KR0175162B1 (ko) 볼밸브 요소와 상부 밀봉가스킷을 갖춘 믹서밸브
US5771921A (en) Pressure regulator
EP0233604B1 (en) Pressure regulator
US6527195B2 (en) Regulating insert to be placed in valves, and valve unit
US8652056B2 (en) Deflation control valve
GB2378745A (en) Pilot operated demand valve
EP1059093B1 (en) Vacuum adjustment valve
JPH0729390Y2 (ja) ガス器具用圧力調整器
CA2014744C (en) Pressure regulator
GB2438371A (en) Deflation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