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1932B1 - Cleaning article - Google Patents

Cleaning art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1932B1
KR100881932B1 KR1020030044808A KR20030044808A KR100881932B1 KR 100881932 B1 KR100881932 B1 KR 100881932B1 KR 1020030044808 A KR1020030044808 A KR 1020030044808A KR 20030044808 A KR20030044808 A KR 20030044808A KR 100881932 B1 KR100881932 B1 KR 100881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support
cleaning sheet
cross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48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04154A (en
Inventor
수다도모카츠
사이다요시코
후지와라마사토시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04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41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1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19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6Plate frames for mops made of cloth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체에 일회용의 청소용 시트를 부착하여 닦아 낼 때에, 청소용 시트의 넓은 영역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청소용 시트를 피청소면에 안정적으로 미끄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파지부(8)의 선단부(8a)에 지지체(2)가 부착되어 있다. 이 지지체(2)는 지지 플레이트(5)와 탄성 변형 가능한 청소 기능 부재(11)를 갖고 있고, 청소용 시트는 상기 청소 기능 부재(11)의 표면(11a)에 설치된다. 청소 기능 부재(11)는 중심부(12)에 있어서 표면(11a)의 돌출량이 작고, 그 양측의 돌출 꼭대기부(13, 13)에 있어서 돌출량이 커지고 있다. 상기 표면(11a)을 청소용 시트를 통해 피청소면(25)에 압박할 때에, 돌출 꼭대기부(13, 13)의 부분이 변형하여 이 부분에서 청소용 시트를 압박할 수 있다. 또한 중심부(12)부근에서는 비교적 큰 먼지를 포착할 수 있다.

Figure R1020030044808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effectively use a large area of a cleaning sheet when attaching and wiping a disposable cleaning sheet to a support and to slidably move the cleaning sheet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The support body 2 is attached to the front-end | tip part 8a of the holding part 8. This support body 2 has the support plate 5 and the cleaning function member 11 which can be elastically deformed, and the cleaning sheet is provided in the surface 11a of the said cleaning function member 11. As for the cleaning function member 11, the protrusion amount of the surface 11a is small in the center part 12, and the protrusion amount is large in the protrusion top parts 13 and 13 on both sides. When the surface 11a is pressed against the surface 25 to be cleaned through the cleaning sheet, portions of the protruding tops 13 and 13 may be deformed to press the cleaning sheet at this portion. In addition, relatively large dust can be captured near the central portion 12.

Figure R1020030044808

Description

청소 용구{CLEANING ARTICLE}Cleaning tool {CLEANING ARTICL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청소 용구에 청소용 시트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leaning sheet is attached to a cleaning tool in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제1 실시예의 청소 용구를 청소용 시트를 벗긴 상태로 도시하는 사시도.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leaning tool of the first embodiment with the cleaning sheet peeled off;

도 3은 도 2의 III-III선으로 절단한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of FIG.

도 4는 도 3의 IV-IV선으로 절단한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3.

도 5는 도 3의 V-V선으로 절단한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3.

도 6은 제1 실시예의 청소 용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Fig. 6 is a side view showing a use state of the cleaning tool of the first embodiment.

도 7은 도 6의 사용 상태를 VII 화살 표시 방향에서 본 정면도.FIG. 7 is a front view of the use state of FIG. 6 as viewed in the VII arrow display direction. FIG.

도 8은 제1 실시예에 자유 상태의 섬유 또는 실을 갖는 청소용 시트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Fig. 8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leaning sheet having fibers or yarns in a free state is attached to the first embodiment.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청소 용구를 도시하는 정면도.Fig. 9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leaning tool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9를 X 방향에서 본 측면도.FIG. 10 is a side view of FIG. 9 viewed in the X direction. FIG.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청소 용구를 도시하는 정면도.Fig. 1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leaning tool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청소 용구를 도시하는 중앙선으로 절단한 단면도. 12 is a cross-sectional view cut along the center line showing the cleaning tool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청소 용구 및 청소용 시트를 도시하는 사시도.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eaning tool and a cleaning sheet of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도 13을 XIV 화살 표시 방향에서 본 측면도.FIG. 14 is a side view of FIG. 13 viewed in the XIV arrow display direction; FIG.

도 15는 도 13을 XV 화살 표시 방향에서 본 정면도.FIG. 15 is a front view of FIG. 13 viewed in the XV arrow display direction;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101, 201, 301, 401: 청소 용구1, 101, 201, 301, 401: Cleaning tool

2, 102, 202, 302, 402: 지지체2, 102, 202, 302, 402: support

3: 청소 작업측3: cleaning working side

4: 지지측4: support side

5: 지지 플레이트5: support plate

8: 파지부8: gripper

11, 111, 211, 311, 411: 청소 기능 부재11, 111, 211, 311, 411: no cleaning function

11a, 111a, 211a, 311a, 411a: 표면11a, 111a, 211a, 311a, 411a: surface

20, 26: 청소용 시트20, 26: cleaning sheet

25: 피청소면25: Cleaned surface

212: 중앙 기능 부재212: absence of central function

213: 측부 기능 부재213: no side function

본 발명은 청소용 시트가 부착되어 마루나 가구 등의 청소를 하는 청소 용구에 관한 것이며, 특히 청소용 시트의 표면을 넓은 범위에서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청소 용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ing tool to which a cleaning sheet is attached to clean a floor or furni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eaning tool that can effectively use the surface of a cleaning sheet in a wide range.

부직포 등으로 형성된 일회용 청소용 시트는 전용의 청소 용구에 부착되어 사용된다.A disposable cleaning sheet formed of a nonwoven fabric or the like is used by being attached to a dedicated cleaning tool.

상기 청소 용구는 플레이트형의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상면에 연결된 파지부를 갖는 구조가 일반적이다. 상기 지지체는 하면이 청소 작업측이며, 청소용 시트는 상기 하면에 설치되는 동시에, 양가장자리 부분이 지지체의 상면에 휘감겨져, 상기 양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상면에서 고정된다.The cleaning tool generally has a plate-like support and a gripping portion connect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is the cleaning operation side, and the cleaning sheet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and both edge portions are wound arou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and both edge portions are fixed on the upper surface.

상기 지지체의 하면에 부착된 청소용 시트를 마루면 등의 피청소면에 대어, 상기 몸체를 유지하여 상기 청소용 시트를 피청소면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피청소면의 먼지나 티끌을 상기 청소용 시트로 포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The cleaning sheet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is applied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such as a floor surface, and the body is held so that the cleaning sheet is slid along the surface to be cleaned to catch dust or dirt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by the cleaning sheet. To make it work.

그러나, 종래의 상기 지지체는 청소 작업측인 하면이 평탄면이기 때문에, 이 평탄면에 설치되어 있는 청소용 시트 중 상기 평탄면의 가장자리 부분을 덮는 부분에 먼지나 티끌이 쌓이기 쉽지만, 그것보다도 내측의 부분에는 먼지나 티끌이 부착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가장자리 부분을 덮는 부분에 먼지나 티끌이 많이 부착된 시점에서, 청소용 시트의 청소 효과가 저하하게 되고, 청소용 시트의 면 전역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없다. However, since the lower surface of the conventional support body is a flat surface on the cleaning work side, dust and dirt are likely to accumulate in a portion of the cleaning sheet provided on the flat surface, covering the edge portion of the flat surface, but the inner side thereof. Dirt and dust are difficult to adhere to. Therefore, when a lot of dust and dirt adhere to the part which covers the said edge part, the cleaning effect of a cleaning sheet will fall, and the whole surface of a cleaning sheet cannot be utilized effectively.                         

특히, 마루면 등에 흩어져 있는 빵 부스러기 등과 같은 비교적 큰 먼지는 상기 가장자리 부분을 덮는 부분에 부착되기 쉽고, 상기 내측의 부분에서 이들 큰 먼지를 포착하는 것이 곤란하다.In particular, relatively large dust, such as breadcrumbs scattered on the floor surface or the like, is likely to adhere to the portion covering the edge portion, and it is difficult to capture such large dust in the inner portion.

또한 일본 특허 제2981110호의 특허 게재 공보에 개시된 청소 용구는, 상기 지지체의 청소 작업측에 발포 우레탄 등의 쿠션성을 갖는 베이스체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체의 표면 형상은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그 방향에서의 중앙부를 향함에 따라서 돌출량이 단계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2001-299659호 공보에도, 상기 지지체의 청소 작업측에 발포 우레탄 등으로 형성된 청소 쿠션체가 설치된 청소 용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청소 쿠션체는 만곡한 것으로, 그 표면은 지지체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그 방향에서의 중앙부를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돌출량이 커지는 만곡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청소 쿠션체에 청소용 시트를 설치하여 마루면 등의 피청소면에 압박했을 때에 상기 청소 쿠션체의 표면이 평탄면으로 변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cleaning tool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No. 2981110 discloses a base body having cushioning properties such as urethane foam on the cleaning work side of the support, and the surface shape of the base body i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supposed that the amount of protrusion increases step by step toward the center in the direction.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1-299659 also discloses a cleaning tool provided with a cleaning cushion body formed of foamed urethane or the like on the cleaning work side of the support. The said cleaning cushion body is curved, The surface becomes the curved shape which becomes large in the protrusion amount gradually toward the center part in the direction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support body. The surface of the cleaning cushion body is deformed into a flat surface when a cleaning sheet is attached to the cleaning cushion body and pressed against the surface to be cleaned such as a floor surface.

그러나, 상기 종래예는 모두 지지체의 표면이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그 방향에서의 중앙부가 돌출하고 있는 형상이기 때문에, 상기 지지체에 청소용 시트를 부착하여 닦아 낼 때, 상기 돌출하고 있는 부분에 먼지나 티끌을 부착시키는 것은 가능하지만, 지지체의 길이 방향을 향해서 돌출량이 일정하기 때문에, 닦아 낼 때에 비교적 큰 먼지가 상기 돌출하고 있는 부분으로 압출되어, 이들 비교적 큰 먼지를 유효하게 포착할 수 없다.However, in the above conventional examples, since the surface of the support is in a shape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in the direction protrudes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the cleaning sheet is attached to the support and wiped off, dust is applied to the protruding portion. It is possible to adhere the dust, but since the amount of protrusion is constant towar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a relatively large dust is extruded into the protruding portion when wiping, so that these relatively large dust cannot be effectively captured.

또한, 상기 일본 특허 공개 2001-299659호 공보에 기재한 것은, 지지체를 마 루면 등에 강하게 압박하면, 청소 쿠션체의 표면이 평탄면으로 변형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하면이 평탄면의 지지체를 사용하는 것과 동일하게 되어, 청소용 시트의 표면을 넓은 범위에 걸쳐 유효하게 이용할 수 없다.In additio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1-299659 discloses that when the support is strongly pressed on the floor or the like, the surface of the cleaning cushion is deformed into a flat surface. The surface of the cleaning sheet cannot be effectively used over a wide range.

또한, 상기 종래예는 모두 지지체의 표면이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중앙부에서 돌출하고 있지만, 이 돌출부는 길이 방향으로 균일하게 연속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청소 작업측의 표면을 마루면에 설치했을 때에 지지체가 불안정하다. 따라서, 마루면 등을 닦고 있을 때에 몸체로부터 지지체에 부여하는 힘을 잘 가감하지 않으면 지지체가 극단적으로 기울거나, 또 최악의 경우에는 지지체가 닦는 방향의 전방을 향해서 전도하는 등의 문제가 생기기 쉽다.Moreover, although all the said prior art examples protrude from the center part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a longitudinal direction, since this protrusion part continues uniform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urface of the said cleaning work side should be provided in the floor surface. The support is unstable at the time. Therefore, when the floor surface or the like is polished, if the force applied from the body to the support is not well reduced, the support is extremely inclined, or in the worst case, the support tends to fall toward the front in the wiping direction.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지지체에 청소용 시트를 설치하여 닦아 내는 작업을 했을 때에 청소용 시트의 표면 전역을 닦아 내는 작업에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비교적 큰 먼지도 포착하기 쉽게 한 청소 용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when the cleaning sheet is installed and wiped on the suppor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ffectively used for wiping the entire surface of the cleaning sheet, and it is easy to catch relatively large dust. It aims at providing the cleaning tool.

또한 본 발명은 지지체를 마루면 등의 피청소면을 따라서 이동시킬 때의 안정성이 풍부하고, 지지체를 상기 피청소면을 따라서 안정적으로 미끄럼 이동시킬 수 있는 청소 용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Moreover, 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provide the cleaning tool which is rich in the stability at the time of moving a support body along a to-be-cleaned surface, such as a floor surface, and can stably slide a support along the said to-be-cleaned surface.

본 발명은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지지체와 일체로 형성된 파지부를 갖고, 상기 지지체의 적어도 한쪽 면에 청소용 시트를 설치할 수 있는 청소 작업면이 형성된 청소 용구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eaning tool having a support and a holding portion connected to the support or formed integrally with the support, the cleaning tool having a cleaning work surface on which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upport can be provided.

상기 지지체는 제1 방향의 치수가 제2 방향의 치수보다도 긴 형상으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분하는 중심부를 갖고 있고,The support has a shape in which the dimension in the first direction is longer than the dimension in the second direction, and has a central portion bisecting in the first direction.

상기 청소 작업면에는 상기 중심부를 사이에 두고 제1 방향으로 소정 거리 떨어진 양측 부분에 상기 중심부보다도 그 표면이 돌출한 돌출 꼭대기부가 설치되고 있고, 적어도 돌출 꼭대기부를 포함하는 소정의 영역이 탄성 변형 가능한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said cleaning work surface is provided with the protrusion top part which protruded the surface rather than the said center part in the both side parts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1st direction across the said center part, and the member which can elastically deform the predetermined area | region containing at least the protrusion top part.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by.

본 발명의 청소 용구에서는 지지체의 길이 방향(제1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청소 작업면은 제1 방향에서의 중앙부에서 돌출량이 작고 상기 중앙부를 사이에 둔 양측에서 돌출량이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청소용 시트를 부착하여 피청소면을 닦을 때에 상기 중앙 부분으로 먼지나 티끌을 포착하기 쉬워지고, 빵 부스러기 등의 비교적 큰 먼지도 청소용 시트의 중앙부에서 포착할 수 있게 된다.In the cleaning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irst direction) of the support, the cleaning work surface has a small protrusion amount at the center portion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large protrusion amount at both sides between the center portions. When the cleaning sheet is attached and the surface to be cleaned is cleaned, dust and dirt can easily be picked up by the center portion, and relatively large dust such as bread crumbs can be picked up by the central portion of the cleaning sheet.

또한, 지지체의 청소 작업측은 제1 방향을 향하는 양측에 돌출 꼭대기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청소 작업측을 마루면 등에 대었을 때의 안정감이 우수하고, 또한, 적어도 돌출 꼭대기부가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파지부에 힘을 부여할 때에 지지체가 마루면 등을 원활하게 미끄럼 이동할 수 있게 된다.Moreover, since the protruding top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working side of the support body in the first direction, the feeling of stability when the cleaning work side is placed on the floor surface or the like is excellent, and at least the protruding tops are elastically deformable. Therefore, when the force is applied to the gripping portion, the support can smoothly move the floor surface or the like.

예컨대, 상기 돌출 꼭대기부를 지나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에서 절단한 단면에 있어서, 상기 청소 작업면과 상기 단면과의 교선은 상기 돌출 꼭대기부로부터 상기 중심부에 걸쳐서 서서히 돌출량이 작아지는 오목 곡선이다.For example, in the cross section cut | disconnected in the surface extended in a 1st direction past the said projection top part, the intersection of the said cleaning work surface and the said cross section is a concave curve which gradually reduces the protrusion amount from the said projection top part to the said center part.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지지체를 마루면 등에 압박하는 힘을 가감함으로 써 청소 작업면의 평탄형으로 변형하는 영역의 면적을 조정할 수 있는 동시에, 돌출량이 작은 중앙부와 마루면과의 접촉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청소용 시트의 비교적 넓은 면적으로 먼지나 티끌을 유효하게 포착할 수 있게 된다.With this arrangement, the area of the area deformed into a flat shape of the cleaning work surface can be adjusted by applying a force for pressing the support on the floor surface or the like, and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central portion and the floor surface with a small protrusion amount can be adjusted. have. Therefore, dust and dirt can be effectively captured by the relatively large area of the cleaning sheet.

또한, 상기 돌출 꼭대기부를 지나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에서 절단한 단면에 있어서, 상기 청소 작업면과 상기 단면과의 교선은 상기 단면의 양측부에서 단면의 중간부를 향해서 서서히 돌출하는 볼록 곡선인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돌출 꼭대기부로부터 상기 중심부에 이르는 모든 곳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에서 절단했을 때의 단면과 상기 청소 작업면과의 교선은 상기 단면의 양측부보다도 중간부를 향해서 서서히 돌출하는 볼록 곡선인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cross section cut in the surface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past the protruding top portion, the intersection between the cleaning working surface and the cross section is a convex curve which gradually projects toward the middle of the cross section at both sides of the cross section. Preferably, the cross section between the cross section and the cleaning work surface when cut at the surface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from the protruding top portion to the center portion is directed toward the middle portion from both sides of the cross section.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convex curve which protrudes gradually.

청소 작업면이 상기 형상이면 지지체를 왕복 이동시켰을 때에 지지체를 왕복 이동의 양방향을 향해서 적절하게 기울게 할 수 있으며, 청소용 시트가 앞으로 가는 동작을 할 때에는 전방부 영역을 피청소면에 우선적으로 접촉시킬 수 있으며, 뒤로 오는 동작을 할 때는 후방부 영역을 피청소면에 우선적으로 접촉시킬 수 있게 되어, 청소용 시트의 표면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If the cleaning work surface has the above-mentioned shape, the support body can be inclined appropriately in both directions of the reciprocating movement when the support body is reciprocated. When the cleaning sheet moves forward, the front region can be preferentially contacted with the surface to be cleaned. In the back movement, the rear region can be preferentially contacted with the surface to be cleaned, so that the surface of the cleaning sheet can be effectively used.

또는, 상기 돌출 꼭대기부를 지나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에서 절단한 단면에 있어서, 상기 청소 작업면과 상기 단면과의 교선은 상기 단면의 양측부에서 중간부를 향해서 서서히 돌출하고 또한 상기 단면의 중앙부에서 돌출량이 작아지는 볼록 곡선이라도 좋다.Or in the cross section cut in the surface extended in a 2nd direction past the said protruding top part, the intersection of the said cleaning work surface and the said cross section will protrude gradually toward the middle part from both sides of the said cross section, and will also be center part of the said cross section. It may be a convex curve in which the protrusion amount becomes small.

이 구조에서는 청소용 시트를 장착한 지지체를 마루면에 설치할 때에 지지체의 설치 상태가 안정하다. In this structure,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support is stable when the support on which the cleaning sheet is mounted is installed on the floor surface.                     

또한, 상기 청소 작업면은 연속면이라도 좋지만, 상기 지지체의 적어도 상기 돌출 꼭대기부를 포함하는 소정의 영역에는 탄성 변형 가능한 복수의 돌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청소 작업면을 개개의 돌기의 선단면을 포함하는 가상면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Moreover, although the said cleaning work surface may be a continuous surface, the some area | region which can be elastically deformed is provided in the predetermined area | region containing at least the said protruding top part of the said support body, and the said cleaning work surface includes the front end surface of an individual processus | protrusion. It is also possible to make a virtual surface.

청소 작업측에 탄성 변형 가능한 돌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에서는 개개의 돌기가 변형함으로써 상기 가상면을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게 되고, 피청소면에 대하여 추종성이 좋아지며, 또한 안정된 자세로 닦아 낼 수 있게 된다.In the case where an elastically deformable projection is provided on the cleaning operation side, the individual projection can deform so that the virtual surface can be freely deformed, the followability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can be improved, and it can be wiped off in a stable postur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청소 용구에 청소용 시트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청소용 시트를 벗긴 상태의 청소 용구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III-III선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IV-IV선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V-V선의 단면도, 도 6은 상기 청소 용구의 청소 작업 동작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7은 도 6의 VII 화살 표시의 정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eaning sheet attached to the cleaning tool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eaning tool in a peeling off the cleaning sheet,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line III-III of Figure 2,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3, FIG. 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3, FIG. 6 is a side view showing the cleaning operation operation of the cleaning tool, and FIG. 7 is a front view of the VII arrow mark in FIG.

상기 제1 실시예의 청소 용구(1)는 청소용 시트(20)를 부착하는 것이 가능한 지지체(2)와, 상기 지지체(2)에 연결된 파지부(8)를 갖고 있다. 상기 지지체(2)는 하면측이 청소 작업측(3)이며, 상면측이 지지측(4)이다.The cleaning tool 1 of the first embodiment has a support 2 to which the cleaning sheet 20 can be attached, and a holding part 8 connected to the support 2. The lower surface side is the cleaning work side 3, and the upper surface side is the support side 4 of the support 2.

상기 지지체(2)는 직사각형이며, X 방향이 제1 방향이고, X 방향과 직교하는 Y 방향이 제2 방향이다. 또한, 상기 제1 방향의 치수가 제2 방향의 치수보다도 크다. 그리고 상기 제2 방향(Y 방향)이 청소 작업을 할 때의 상기 지지체(2)의 주된 미끄럼 이동 방향이다. 또한, 지지체(2)는 제1 방향(X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변 가장자리 부분(2a, 2b)과, 제2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는 짧은 변 가장자리 부분(2c, 2d)을 갖고 있다.The support body 2 is rectangular, the X direction is the first direction, and the Y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X direction is the second direction. Moreover, the dimension of the said 1st direction is larger than the dimension of a 2nd direction. And the said 2nd direction (Y direction) is a main sliding direction of the said support body 2 at the time of a cleaning operation. Moreover, the support body 2 has the long side edge parts 2a and 2b extended in a 1st direction (X direction), and the short side edge parts 2c and 2d extended in a 2nd direction (Y direction). .

상기 지지체(2)는 상기 지지측(4)에 지지 플레이트(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 플레이트(5)는 합성 수지를 재료로 한 사출성형, 또는 경합금을 재료로 한 다이캐스트 성형 등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5)의 상면에는 한 쌍의 지지 돌기(5a, 5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 돌기(5a)와 지지 돌기(5a)와의 사이에 중간 지지체(6)가 축(6a)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파지부(8)의 선단부(8a)는 위로 두개로 분기되어, 각각의 팔이 상기 중간 지지체(6)의 양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선단부(8a)는 축(6b)에 의해서 상기 중간 지지체(6)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 결과, 상기 파지부(8)는 X 방향과 Y 방향의 쌍방을 향해서 쓰러질 수 있게 되어 있다.The support plate 5 is provided with a support plate 5 on the support side 4. The support plate 5 is formed by injection molding made of synthetic resin or die cast molding made of light alloy. A pair of support protrusions 5a and 5a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5, and an intermediate support 6 is formed on the shaft 6a between the support protrusion 5a and the support protrusion 5a. It is supported so that rotation is possible. The front end portion 8a of the gripping portion 8 is bifurcated in two, each arm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intermediate support 6, and the front end portion 8a is supported by the shaft 6b. 6) is pivotally connected. As a result, the holding part 8 can fall toward both the X direction and the Y direction.

상기 지지 플레이트(5)의 상면에는 상기 지지 돌기(5a, 5a)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양측에 각각 누름 부재(7, 7)가 설치되어 있다. 이 누름 부재(7, 7)는 상기 지지 돌기(5a, 5a)를 향하는 기단부가 축(7a, 7a)에 의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5)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누름 부재(7, 7)는 지지 플레이트(5)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부(5b, 5b) 내로 쓰러질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소용 시트(20)가 설치되었을 때에 그 긴 변(22, 22)을 상기 누름 부재(7, 7)로 지지 플레이트(5)의 상면에 밀어 넣어 청소용 시트(20)의 가장자리 부분을 고정하는 고착 수단으로서 기능할 수 있게 되어 있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5, pressing members 7 and 7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portions where the support protrusions 5a and 5a are formed, respectively. The pressing members 7 and 7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ing plate 5 by proximal ends facing the supporting protrusions 5a and 5a by shafts 7a and 7a.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pressing members 7 and 7 are able to fall into recesses 5b and 5b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5. As shown in FIG. 1, when the cleaning sheet 20 is installed, the long sides 22 and 22 are pushed on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5 with the pressing members 7 and 7 to clean the sheet 20. It can function as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edge portion of the.

상기 지지체(2)의 청소 작업측(3)에는 청소 기능 부재(11)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실시예에서는 상기 청소 기능 부재(11)가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로 전체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5)의 하면에 밀착하여 고정되어 있다. 상기 청소 기능 부재(11)를 구성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는 발포 우레탄이나 발포 폴리에틸렌 또는 고무 스폰지 등의 발포 성형된 것이고, 또는 엘라스토머이다.The cleaning function member 11 is provided on the cleaning work side 3 of the support 2. In the first embodiment, the cleaning function member 11 is integrally formed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and is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5. The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constituting the cleaning function member 11 is foamed molded such as urethane foam, polyethylene foam or rubber sponge, or is an elastomer.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청소 기능 부재(11)는 이면(11b)이 평탄면으로 이 이면(11b)이 상기 지지 플레이트(5)의 하면에 밀착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청소 기능 부재(11)의 표면(11a)은 3차원적으로 변화되는 연속 곡면이며, 이 표면(11a)이 청소 작업면으로 되어 있다.3 to 5, the cleaning function member 11 is fixed with the rear surface 11b being a fla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11b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5. Moreover, the surface 11a of the said cleaning function member 11 is a continuous curved surface which changes three-dimensionally, This surface 11a becomes a cleaning work surface.

지지 플레이트(5)의 직사각형의 중심에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5)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을 O-O로 했을 때에, 상기 표면(11a)은 상기 중심선 O-O에 대하여 회전 대칭 형상이다. 또한, 상기 중심선 O-O는 상기 지지체(2)를 제1 방향(X 방향)과 제2 방향(Y 방향)의 쌍방으로 이분하는 중심선이다. 도 3에서는 상기 표면(11a)과 상기 중심선 O-O가 교차하는 점을 중심부(12)로서 나타내고 있다.When the center line extending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plate 5 at the center of the rectangle of the support plate 5 is O-O, the surface 11a is rotational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O-O. The center line O-O is a center line that bisects the support 2 in both the first direction (X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Y direction). In FIG. 3, the point where the surface 11a and the centerline O-O intersect is shown as the central portion 12.

도 3은 상기 중심선 O-O를 포함하는 X-Z면(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에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며, 도 5는 상기 중심선 O-O를 포함하는 Y-Z면(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에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청소 기능 부재(11)의 두께가 가장 큰 돌출 꼭대기부(13)를 지나는 Y-Z면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cut in the XZ plane (surface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including the center line OO, and FIG. 5 is a cut in the YZ plane (surface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including the center line OO. It is sectional drawing whe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Y-Z plane passing through the protruding top portion 13 with the largest thickness of the cleaning function member 11 in FIG. 3.

도 4와 도 5에 도시하는 단면에 나타나 있는 상기 표면(11a)의 능선의 형상은 중심선 O-O를 지나는 X-Z면에 대하여 면 대칭 형상이다. The shape of the ridgeline of the surface 11a shown in the cross sections shown in FIGS. 4 and 5 is a plane symmetrical shape with respect to the X-Z pla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line O-O.                     

도 4의 단면에 나타나 있는 상기 표면(11a)의 능선은 긴 변 가장자리 부분(2a)과 긴 변 가장자리 부분(2b)과의 중점(돌출 꼭대기부(13))에 있어서 아래 방향으로 가장 돌출하고, 상기 중점으로부터 상기 긴 변 가장자리 부분(2a) 및 긴 변 가장자리 부분(2b)을 향해서 그 돌출량이 서서히 작아지는 아래를 향해서 볼록한 형상의 곡선이다. 마찬가지로 도 5에 단면으로서 나타나 있는 상기 표면(11a)의 능선도 긴 변 가장자리 부분(2a)과 긴 변 가장자리 부분(2b)과의 중점(중심부(12))에 있어서 아래 방향으로 가장 돌출하고, 상기 중점으로부터 상기 긴 변 가장자리 부분(2a)과 긴 변 가장자리 부분(2b)을 향해서 그 돌출량이 서서히 작아지는 아래쪽을 향해서 볼록한 형상의 곡선이다.The ridgeline of the surface 11a shown in the cross section of Fig. 4 most protrudes downward in the midpoint (protrusion top 13) between the long side edge portion 2a and the long side edge portion 2b, It is a curve of the convex shape downwards from the said midpoint toward the said long side edge part 2a and the long side edge part 2b, and the protrusion amount becomes small gradually. Similarly, the ridgeline of the surface 11a shown as a cross section in FIG. 5 also protrudes downward in the midpoint (center portion 12) between the long side edge portion 2a and the long side edge portion 2b, and It is a curve of convex shape toward the said downward side from which a midpoint is gradually reduced toward the said long side edge part 2a and the long side edge part 2b.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중심부(12)로부터 상기 돌출 꼭대기부(13)에 이르는 영역의 모든 곳의 Y-Z면의 단면에 있어서, 그 단면에 나타나는 표면(11a)의 능선이 긴 변 가장자리 부분(2a)과 긴 변 가장자리 부분(2b)과의 중점에 있어서 아래 방향으로 가장 돌출하고, 상기 중점으로부터 상기 긴 변 가장자리 부분(2a) 및 긴 변 가장자리 부분(2b)을 향해서 그 돌출량이 서서히 작아지는 볼록 곡선 형상이다.In this embodiment, in the cross section of the YZ surface in every part of the area from the center portion 12 to the protruding top portion 13, the ridge line of the surface 11a appearing in the cross section has a long side edge portion 2a; It is the convex curve shape which protrudes downward in the midpoint with the long side edge part 2b, and the protrusion amount gradually becomes small toward the said long side edge part 2a and the long side edge part 2b from the said midpoint. .

도 3의 단면도에 나타나 있는 상기 표면(11a)의 능선은 상기 중심부(12)로부터 돌출 꼭대기부(13)까지 연속하는 선으로 되어 있다. 도 3에서는 중심부(12)에 있어서 상기 능선의 아래 방향으로의 돌출량이 가장 작고, 상기 중심부(12)를 기점으로서, 그 양측쪽에 위치하는 상기 돌출 꼭대기부(13)와 돌출 꼭대기부(13)를 향해서 상기 능선의 하방향에의 돌출량이 서서히 커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 꼭대기부(13)와 돌출 꼭대기부(13)와의 사이에서 상기 능선은 오목형의 곡선으로 되 어 있다. 또한, 돌출 꼭대기부(13)와 짧은 변 가장자리 부분(2c)과의 사이에서는 상기 능선의 아래 방향의 돌출량이 상기 짧은 변 가장자리 부분(2c)을 향해서 서서히 작아진다. 이것은 다른쪽의 돌출 꼭대기부(13)와 짧은 변 가장자리 부분(2d)과의 사이에 있더라도 동일하다.The ridgeline of the surface 11a shown in the sectional view of FIG. 3 is a continuous line from the central portion 12 to the protruding top portion 13. In FIG. 3, the protrusion amount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ridgeline is the smallest in the central portion 12, and the protruding top portion 13 and the protruding top portion 13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portion 12 as a starting point. The protrusion amount toward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ridge gradually increases. The ridge line is a concave curve between the protruding top 13 and the protruding top 13. In addition, between the protruding top portion 13 and the short side edge portion 2c, the amount of protrusion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ridge line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short side edge portion 2c. This is the same even if it is between the other protruding top part 13 and the short side edge part 2d.

또한 도 3의 단면과 평행한 X-Z면의 단면에서 상기 지지체(2)를 절단했을 때에, 그 단면이 어떤 위치라도 그 단면에 나타나는 청소 기능 부재(11)의 표면(11a)의 능선 아래 방향의 돌출량은 상기 중심부(12)와 동일한 위치에서 가장 작고, 그 위치로부터 돌출 꼭대기부(13)와 동일한 위치를 향해서 서서히 커지는 오목 곡선 형상이다.In addition, when the said support body 2 is cut | disconnected in the cross section of the XZ surface parallel to the cross section of FIG. 3, the protrusion below the ridgeline of the surface 11a of the cleaning function member 11 which appears in the cross section at any position of the cross section. The amount is the smallest at the same position as the central portion 12, and has a concave curved shape that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position toward the same position as the protruding top portion 13.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방향(X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중심부(12)로부터 각각의 짧은 변 가장자리 부분(2c, 2d)까지의 길이를 L0으로 하고, 상기 중심부(12)로부터 각각의 돌출 꼭대기부(13, 13)까지의 최단 거리를 L1로 했을 때에, 상기 L1은 L0/2 이상이고 L0 이하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L1이 상기 (2/3)·L0 이상이고 L0 이하이다. 상기 범위이면 상기 표면(11a)이 청소용 시트를 통해 마루면 등의 피청소면에 가압되었을 때에 지지체(2)의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length from the said central part 12 to each short side edge part 2c, 2d in a 1st direction (X direction) is set to L0, respectively, from the said central part 12, respectively. When L1 is the shortest distance to the protruding tops 13 and 13 of L1, L1 is L0 / 2 or more and L0 or less is preferable, More preferably, L1 is (2/3) · L0 or more L0 or less If it is the said range, the attitude | position of the support body 2 can be stabilized when the said surface 11a is pressed to the to-be-cleaned surface, such as a floor surface, through the cleaning sheet.

또한, 상기 중심부(12)와 상기 돌출 꼭대기부(13)와의 Z 방향의 고저차(H)는 1 mm 이상이고 15 mm 이하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 mm 이상이고 10 mm 이하이다. 상기 범위 내이면 상기 표면(11a)이 청소용 시트를 통해 마루면 등에 압박되고, 돌출 꼭대기부(13)의 부분을 기점으로 하여 표면(11a)이 평탄해지도록 압 박 변형시켜졌을 때에, 그 중간의 오목 형상의 부분에서 청소용 시트의 표면과 피청소면을 가볍게 접촉시킨 상태, 또는 청소용 시트와 피청소면과의 사이에 상기 청소용 시트의 표면에서 돌출하는 섬유나 실이 존재하는 상태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오목 형상의 부분에서 표면 시트에 비교적 큰 먼지를 포착시킬 수 있게 된다.Further, the elevation difference H in the Z direction between the central portion 12 and the protruding top portion 13 is preferably at least 1 mm and preferably at most 15 mm, more preferably at least 3 mm and at most 10 mm. When it is in the said range, when the said surface 11a is pressed by the floor surface etc. through the cleaning sheet | seat, and the surface 11a is pressed and deformed so that the surface 11a may become flat from the part of the protrusion top part 13, In the concave portion, the surface of the cleaning sheet and the surface to be cleaned may be lightly contacted, or a fiber or a thread may be present between the cleaning sheet and the surface to be cleaned to protrude from the surface of the cleaning sheet. As a result, relatively large dust can be captured by the surface sheet in the concave portion.

상기 청소 용구(1)의 지지체(2)에 부착되는 청소용 시트(20)는 직사각형이며 일회용이다. 이 청소용 시트(20)는 스펀 레이스 부직포 등의 부직포로 형성하여, 부직포의 표면에 나타나 있는 기모형의 섬유로 먼지나 티끌을 포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는, 상기 부직포를 기재로 하고, 이 부직포의 표면에 장섬유 등의 다수의 섬유 또는 섬유를 꼰 실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부착하여, 이 섬유 사이 또는 실 사이에서 먼지나 티끌을 포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cleaning sheet 20 attached to the support 2 of the cleaning tool 1 is rectangular and disposable. The cleaning sheet 20 is formed of a nonwoven fabric such as a spunlace nonwoven fabric so that dust and dirt can be captured by the raised fibers appearing on th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Alternatively, based on the nonwoven fabric, a plurality of fibers such as long fibers or fibers braided on th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can be freely moved so that dust or dust can be caught between the fibers or between the yarns. will be.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청소용 시트(20)는 청소에 적합한 표면이 외측을 향한 상태로, 상기 지지체(2)의 청소 작업측(3)에 있어서 상기 청소 기능 부재(11)의 표면(11a)에 설치된다. 이 때 청소용 시트(20)의 짧은 변(21, 21)이 지지체(2)의 짧은 변 가장자리 부분(2c, 2d)과 평행하게 향해지고, 청소용 시트(20)의 긴 변(22, 22)이 지지체(2)의 지지측(4)을 향해서 휘감겨진다. 그리고, 상기 청소용 시트(20)의 긴 변(22, 22)이 지지 플레이트(5)의 오목부(5b, 5b)와 누름 부재(7, 7) 사이에 끼워지도록 하여 고정된다.As shown in FIG. 1, the said cleaning sheet 20 is the surface of the said cleaning function member 11 in the cleaning operation side 3 of the said support body 2, with the surface suitable for cleaning facing outward. It is installed in 11a). At this time, the short sides 21 and 21 of the cleaning sheet 20 are directed in parallel with the short side edge portions 2c and 2d of the support 2, and the long sides 22 and 22 of the cleaning sheet 20 are It is wound toward the support side 4 of the support 2. The long sides 22 and 22 of the cleaning sheet 20 are fixed by being sandwiched between the recesses 5b and 5b of the support plate 5 and the pressing members 7 and 7.

도 1과 같이, 지지체(2)에 청소용 시트(20)가 부착된 상태로, 청소용 시트(20)를 마루면 등의 피청소면(25)에 설치하고, 파지부(8)에 의해서 지지체(2) 를 피청소면(25)에 압박하여 피청소면(25)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시키면, 청소용 시트(20)의 표면에서 피청소면(25)상의 먼지나 티끌을 포착할 수 있다. 파지부(8)로 지지체(2)를 피청소면(25)에 압박하면 청소 기능 부재(11)가 압축 변형하지만, 이 때, 맨 처음에 돌출 꼭대기부(13, 13)의 부분에서 청소 기능 부재(11)가 압축 변형한다. 그리고, 상기 돌출 꼭대기부(13, 13)로부터 중심부(12)에 걸쳐서 표면(11a)이 곡선적으로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파지부(8)의 압박력을 바꿈으로써 상기 표면(11a)의 평면형으로 변형하고 있는 영역의 면적을 가감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cleaning sheet 20 is attached to the cleaning surface 25 such as a floor surface with the cleaning sheet 20 attached to the support 2, and the support 2 is supported by the grip portion 8. ) Is pressed against the surface 25 to be cleaned, and the dust and dirt on the surface 25 to be cleaned can be captured from the surface of the cleaning sheet 20. The cleaning function member 11 compresses and deforms when the support body 2 is pressed against the surface to be cleaned 25 by the gripping portion 8, but at this time, the cleaning function member is first formed at the portions of the protruding top portions 13 and 13. 11 compressively deforms. Since the surface 11a is curved from the protruding top portions 13 and 13 to the central portion 12, the surface 11a is deformed into a planar shape by changing the pressing force of the holding portion 8. The area of the area | region made can be added or subtracted.

또한, 돌출 꼭대기부(13)와 돌출 꼭대기부(13)와의 중간 부분에 있어서 상기 표면(11a)은 피청소면(25)으로부터 조금 떨어진 상태, 또는 청소용 시트(20)를 통해 피청소면(25)에 가볍게 압박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중간 부분에 위치하는 청소용 시트(20)는 그 표면의 섬유나 실이 피청소면(25)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 또는 청소용 시트(20)의 표면이 피청소면(25)에 가볍게 접촉하는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피청소면(25)의 표면에 존재하는 빵 부스러기와 같은 비교적 큰 먼지를 표면(11a)에 설치된 청소용 시트(20)의 중앙 부분으로 안내하여 포착할 수 있다.Further,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protruding top 13 and the protruding top 13, the surface 11a is slightly separated from the surface to be cleaned 25 or the surface to be cleaned 25 through the cleaning sheet 20. It is in a lightly compressed state. Therefore, the cleaning sheet 20 located in the intermediate portion is in a state in which fibers or yarns on the surface of the cleaning sheet 20 are in contact with the surface to be cleaned 25, or a surface in which the surface of the cleaning sheet 20 is in light contact with the surface to be cleaned 25. Becomes Therefore, relatively large dust such as breadcrumbs existing on the surface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25 can be guided and captur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cleaning sheet 20 provided on the surface 11a.

또한, 파지부(8)로부터 지지체(2)의 중앙 부분에 압박력이 작용하여, 상기 파지부(8)로부터 소정 거리(L1, L1)만큼 떨어진 양측에 돌출 꼭대기부(13, 13)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청소용 시트(20)를 통해 지지체(2)가 피청소면(25)에 안정적으로 압박되게 되고, 지지체(2)는 안정된 자세로 피청소면(25) 상을 미끄럼 이동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pressing force acts 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 2 from the grip portion 8, and protruding top portions 13 and 13 are provided on both sides separated from the grip portion 8 by a predetermined distance L1 and L1. Since the support body 2 is stably pressed against the surface 25 to be cleaned through the cleaning sheet 20, the support body 2 can slide on the surface 25 to be cleaned in a stable posture.

도 6은 파지부(8)를 Y2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쓰러뜨려, 파지부(8)의 상부를 잡고 지지체(2)를 상기 제2 방향을 향해서 화살표 Y1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시키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7은 도 6의 VII 화살 표시 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FIG. 6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ing portion 8 is obliquely fell in the Y2 direction, holding the upper portion of the holding portion 8 and sliding the support 2 in the direction of arrow Y1 toward the second direction. FIG. 7 is a front view of the arrow VII shown in FIG. 6.

상기 지지체(2)에 설치된 청소 기능 부재(11)의 표면(11a)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방에서 봤을 때에, 긴 변 가장자리 부분(2a)과 긴 변 가장자리 부분(2b)과의 중점에서 돌출량이 가장 크고, 또한 상기 중점에 대하여 Y 방향의 양측에서 면 대칭이 되는 볼록 곡면 형상이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surface 11a of the cleaning function member 11 provided on the support 2 has a long side edge portion 2a and a long side edge portion 2b. It is the convex curved shape which has the largest protrusion amount in the middle point of and becomes symmetrical on both sides of the Y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aid middle point.

따라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지부(8)로부터 지지체(2)의 중심부에 대하여 작업 압박력(F)이 비스듬히 주어지면, 지지체(2)는 미끄럼 이동 방향의 전방을 향하는 긴 변 가장자리 부분(2a)이 아래를 향하는 경사 자세가 된다. 이 때, 돌출 꼭대기부(13, 13)의 부근에서는 그 전방 부분이 피청소면(25)에 우선적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청소 기능 부재(11)의 표면(11a)에 X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평탄면(i)(i)이 형성되고, 이 평탄면(i)(i)의 아래에 위치하는 청소용 시트(20)가 피청소면(25)에 밀착한다. 상기 평탄면(i)(i)은 작업 압박력(F)의 작용점의 양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지지체(2)의 자세가 안정적이고, 지지체(2)가 도 6의 자세로부터 더욱 전방으로 쓰러져 전방으로 전도하는 일이 잘 생기지 않는다.Therefore, as shown in FIG. 6, when the work pressing force F is obliquely given to the center part of the support body 2 from the holding part 8, the support body 2 will be a long side edge part facing forward of a sliding direction ( 2a) is inclined downward. At this time, in the vicinity of the protruding tops 13 and 13, since the front portion is preferentially pressed against the surface to be cleaned 25, as shown in Fig. 7, the surface 11a of the cleaning function member 11 Flat surfaces i (i) are formed at intervals in the X direction, and the cleaning sheet 20 positioned below the flat surfaces i (i)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to be cleaned 25. Since the flat surfaces i and i ar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working point of the work pressing force F, the posture of the support 2 is stable, and the support 2 falls further forward from the posture of FIG. Evangelism is not good.

이 상태에서 화살표 Y1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시키면, 주로 평탄면(i)(i)에 있어서 청소용 시트(20)의 표면에 먼지나 티끌이 부착되기 쉬워진다. 또한, 표면(11a)의 미끄럼 이동 방향의 전방에서 또한 상기 평탄면(i)과 평탄면(i)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부분(ii)에서는 청소용 시트(20)의 표면의 섬유나 실이 피청소면(25)에 접촉하는 상태로 존재하거나, 또는 청소용 시트(20)의 표면이 피청소면(25)에 가볍게 접촉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 중간 부분(ii)에 있어서 빵 부스러기와 같은 비교적 큰 먼지를 포착하기 쉬워진다.In this state, sliding in the direction of arrow Y1 tends to cause dust and dirt to adhere to the surface of the cleaning sheet 20 mainly on the flat surface i (i). Further, in the middle portion (ii) located in front of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urface 11a and between the flat surface i and the flat surface i, fibers or yarns on the surface of the cleaning sheet 20 are removed. It exists in the state which contacts the to-be-cleaned surface 25, or the surface of the cleaning sheet | seat 20 is in the state which touched lightly the cleaned surface 25. Therefore, in this intermediate part (ii), it becomes easy to capture comparatively large dust, such as breadcrumbs.

또한, 도 6의 상태에서 파지부(8)를 상기와는 반대의 Y2 방향으로 당기면, 지지체(2)는 도 6과는 반대의 전도 방향, 즉 Y2측 전방의 긴 변 가장자리 부분(2b)이 아래를 향해 쓰러지는 자세가 된다. 이 때는, 지지체(2)의 청소 기능 부재(11)의 표면(11a)의 Y2측의 부분에 상기 평탄부(i)(i) 및 중간 부분(ii)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들 부분이 화살표 Y1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할 때와 같은 청소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Further, in the state of FIG. 6, when the grip portion 8 is pulled in the Y2 direction opposite to the above, the support 2 has a reverse side opposite to FIG. 6, that is, the long side edge portion 2b in front of the Y2 side. You will fall down. At this time, the flat part i (i) and the intermediate part ii are formed in the part on the Y2 side of the surface 11a of the cleaning function member 11 of the support body 2. As shown in FIG. And these parts can exhibit the cleaning function like when sliding to the arrow Y1 direction.

따라서, 지지체(2)를 Y1 방향과 Y2 방향으로 교대로 미끄럼 이동시킴으로써, 청소 기능 부재(11)의 표면(11a)을 덮고 있는 청소용 시트(20)의 표면의 전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먼지나 티끌, 게다가 빵 부스러기와 같은 비교적 큰 먼지를 포착할 수 있다.Therefore, by sliding the support body 2 in the Y1 direction and the Y2 direction alternately, the whole area | region of the surface of the cleaning sheet | seat 20 which covers the surface 11a of the cleaning function member 11 can be used efficiently, and a dust and dirt In addition, it can catch relatively large dust such as crumbs.

도 8은 상기 청소 용구(1)의 지지체(2)에 상기 청소용 시트(20)와는 다른 청소용 시트(26)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청소용 시트(26)는 청소 기능 부재(11)의 표면(11a)에 설치되는 기재(27)에 자유 상태의 섬유(28)가 다수 부착된 것이다. 상기 기재(27)는 열가소성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등으로, 상기 섬유(28)는 TOW라고 불리는 장섬유의 집합체를 푸는 것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이 섬유(28) 다발의 기초부가 상기 기재(27)에 열융착 등에 의해 부착되어 상기 청소용 시트(26)가 형성되어 있다. 또는 상기 섬유를 꼰 실이 기재(27)의 표면에 다수 고정된 것을 청소용 시트로서 이용하더라도 좋다.FIG. 8 shows a state in which a cleaning sheet 26 different from the cleaning sheet 20 is attached to the support 2 of the cleaning tool 1. The cleaning sheet 26 is formed by attaching a large number of fibers 28 in a free state to the substrate 27 provided on the surface 11a of the cleaning function member 11. The base material 27 is a nonwoven fabric containing thermoplastic fibers, and the fiber 28 is formed by loosening an aggregate of long fibers called TOW, and the base of the bundle of fibers 28 is formed on the base material 27. The cleaning sheet 26 is formed by attaching by heat fusion or the like. Alternatively, a plurality of yarns in which the fibers are braided may be fixed to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27 as a cleaning sheet.

이 청소용 시트(26)를 이용하면 청소 기능 부재(11)의 표면(11a)을 청소용 시트(26)를 통해 피청소면(25)에 압박할 때에, 청소용 시트(26) 중의 피청소면(25)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부분에 있어서, 상기 자유 상태의 섬유(28) 또는 실이 기재(27)와 피청소면(25)과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기재(27)가 피청소면(25)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부분에 있어서, 빵 부스러기 등의 비교적 큰 먼지를 상기 섬유(28) 또는 실로 얽어 포착할 수 있다. 또한 섬유(28) 또는 실에 얽힌 먼지가 피청소면(25)에 낙하하는 일이 잘 생기지 않게 된다.When the cleaning sheet 26 is used, when the surface 11a of the cleaning function member 11 is pressed against the surface 25 to be cleaned via the cleaning sheet 26, the surface 25a of the cleaning sheet 26 is removed from the surface to be cleaned 25. In the remote part, the free fiber 28 or yarn is positioned between the base 27 and the surface 25 to be cleaned, and the base 27 is separated from the surface 25 to be cleaned. Therefore, relatively large dust such as bread crumbs can be trapped by the fibers 28 or yarns. In addition, the dust entangled in the fiber 28 or the thread does not easily fall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25.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청소 용구(101)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0은 상기 청소 용구(101)를 측방의 X 화살 표시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FIG. 9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leaning tool 101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side view of the cleaning tool 101 seen in the lateral X arrow direction.

또, 도 9와 도 10에 도시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제1 실시예의 청소 용구(1)와 동일한 구조의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Example shown to FIG. 9 and FIG. 10, th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part of the structure same as the cleaning tool 1 of 1st Example shown in FIGS. 1-8, and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제2 실시예의 청소 용구(101)의 지지체(102)는 파지부(8)가 연결되어 있는 지지 플레이트(5)의 청소 작업측(3)에 청소 기능 부재(111)가 부착되어 있다. 이 청소 기능 부재(111)에서는 플레이트형의 기부(112)와, 이 기부(112)로부터 돌출하는 다수의 돌기(11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청소 기능 부재(111)는 천연 고무나 합성 고무 또는 그 밖의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개개의 돌기(113)가 탄성 변형 가능하다. As for the support body 102 of the cleaning tool 101 of 2nd Example, the cleaning function member 111 is attached to the cleaning operation side 3 of the support plate 5 to which the holding part 8 is connected. In this cleaning function member 111, a plate-shaped base 112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113 protruding from the base 112 are integrally formed. The cleaning function member 111 is formed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such as natural rubber, synthetic rubber, or other elastomer, and the individual protrusions 113 are elastically deformable.                     

이 청소 기능 부재(111)의 개개의 돌기(113)의 선단면을 포함하는 가상 연속면을 청소 기능 부재(111)의 표면(111a)이라고 하면, 이 표면(111a)이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청소 기능 부재(11)의 표면(11a)과 동일한 곡면의 청소 작업면으로 되어 있다.If the virtual continuous surface including the front end surface of each protrusion 113 of this cleaning function member 111 is called the surface 111a of the cleaning function member 111, this surface 111a will be shown in FIGS. It is a cleaning work surface of the same curved surface as the surface 11a of the cleaning function member 11 shown in figure.

따라서, 상기 청소 용구(101)의 지지체(102)에 청소용 시트(20)를 부착하여 피청소면(25)의 닦아 내기를 하면, 그 때의 청소 기능 부재(111)의 변형 상태 및 티끌이나 먼지의 포착 기능은 상기 제1 실시예의 청소 용구(1)를 이용한 경우와 거의 동일하다.Therefore, when the cleaning sheet 20 is attached to the support 102 of the cleaning tool 101 and wiped off the surface to be cleaned 25, the deformed state of the cleaning function member 111 and dust or dust The capturing function is almost the same as in the case of using the cleaning tool 1 of the first embodiment.

단, 도 9와 도 10에 도시하는 청소 용구(101)에서는 개개의 돌기(113)가 변형하기 쉽기 때문에, 청소 기능 부재(111)를 비교적 내구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하더라도 상기 표면(111a)을 자유롭게 변형시킬 수 있게 된다.However, in the cleaning tool 101 shown in FIG. 9 and FIG. 10, since each protrusion 113 is easy to deform | transform, even if the cleaning function member 111 is formed from a comparatively durable material, the said surface 111a can be made free. It can be transformed.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청소 용구(201)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또, 도 11에 도시하는 실시예에 있어서도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제1 실시예의 청소 용구(1)와 동일한 구조의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Fig. 1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leaning tool 201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part of the structure same as the cleaning tool 1 of 1st Example shown in FIGS. 1-8, and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제3 실시예의 청소 용구(201)에서는 지지체(202)에 파지부(8)의 선단부(8a)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지지체(202)는 지지 플레이트(5)에 청소 기능 부재(211)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청소 기능 부재(211)는 상기 중심부(12)를 기점으로 하여, X 방향의 좌우 양측으로 소정의 치수로 형성된 중앙 기능 부재(212)를 갖고, 그 양측에 측부 기능 부재(213, 213)가 밀착하여 설치되어 있다. In the cleaning tool 201 of the third embodiment, the distal end portion 8a of the gripping portion 8 is connected to the support 202. The support 202 has a cleaning function member 211 attached to the support plate (5). The cleaning function member 211 has a central function member 212 formed in a predetermined dimension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in the X direction starting from the center 12, and side function members 213 and 213 are provided on both sides thereof. It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상기 중앙 기능 부재(212)는 X 방향을 따르는 어떤 위치에 있어서도 Y-Z면의 단면 형상이 동일하며, 그 단면 형상은 도 5에 나타나 있는 청소 기능 부재(11)의 단면과 동일하다. 또한, 측부 기능 부재(213, 213)의 단면 형상은 도 4에 도시한 청소 기능 부재(11)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며, 이 측부 기능 부재(213, 213)는 도 3에 도시하는 제1 실시예의 상기 청소 기능 부재(11)에 있어서 중앙 부분을 제거한 것과 동일한 형상이다.The central functional member 212 has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Y-Z surface at any position along the X direction, and its cross-sectional shape is the same as that of the cleaning functional member 11 shown in FIG. 5. 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ide function members 213 and 213 is the same as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leaning function member 11 shown in FIG. 4, and this side function member 213 and 213 is the 1st implementation shown in FIG. It is the same shape as the center part was removed in the said cleaning function member 11 of an example.

따라서 청소 기능 부재(211)의 표면(211a)의 형상은 도 11의 정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중심부(12)를 중심으로 하는 X 방향의 소정 범위에서 아래 방향으로의 돌출량이 작고, 측부 기능 부재(213, 213)에 설치된 돌출 꼭대기부(13, 13)에 있어서 그 돌출량이 최대로 되어 있다.Therefore, when the shape of the surface 211a of the cleaning function member 211 is viewed from the front of FIG. 11, the amount of protrusion in the downward direction in the X-direction centering on the center 12 is small, and the side functional member 213 is formed. In the protruding top portions 13 and 13 provided at the 213.

제3 실시예의 청소 용구(201)에서는 중앙 기능 부재(212)와 측부 기능 부재(213, 213)의 쌍방이 탄성 변형 가능한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고, 또는 중앙 기능 부재(212)가 실질적으로 탄성 변형하지 않고, 측부 기능 부재(213, 213)가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는, 중앙 기능 부재(212)가 실질적으로 탄성 변형하지 않고, 측부 기능 부재(213, 213)가 도 9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탄성 변형 가능한 돌기(113)를 갖는 것이라도 좋다.In the cleaning tool 201 of the third embodiment, both the central functional member 212 and the side functional members 213 and 213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or the central functional member 212 is substantially elastic. The side functional members 213 and 213 may be formed of the material which can be elastically deformed without deforming. Alternatively, the central functional member 212 may not substantially elastically deform, and the side functional members 213 and 213 may have a plurality of elastically deformable protrusions 113 as shown in FIGS. 9 and 10.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청소 용구(301)를 도시한 도 5와 같은 중심선 O-O를 포함하는 Y-Z면의 단면도이다.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Y-Z plane including the centerline O-O as shown in FIG. 5 showing the cleaning tool 301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실시예는 상기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하는 모든 실시예의 변형예가 되는 것으로, 상기 각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의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This embodiment is a modification of all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1 to 12,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parts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above embodiment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상기 청소 용구(301)의 지지체(302)는 지지 플레이트(5)의 청소 작업측(3)에 청소 기능 부재(311)가 부착되어 있다. 이 청소 기능 부재(311)는 제1 실시예의 청소 기능 부재(11)와 동일한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청소 기능 부재(311)의 표면(311a)의 곡면 형상은 긴 변 가장자리 부분(2a)의 전방, 즉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이 도 7과 동일하다. 또한 중심부(12)에서의 Y-Z면에서의 단면 형상은 도 5에 도시하는 청소 기능 부재(11)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다.As for the support body 302 of the said cleaning tool 301, the cleaning function member 311 is attached to the cleaning operation side 3 of the support plate 5. As shown in FIG. This cleaning function member 311 is integrally formed of the same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as the cleaning function member 11 of the first embodiment. The shape of the curved surface of the surface 311a of the cleaning function member 311 is the same as that of FIG. 7 when seen from the front side, that is, the front side of the long side edge part 2a. 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shape in the Y-Z surface in the center part 12 is the same as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leaning function member 11 shown in FIG.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부(12)로부터 양측에 거리(L1, L1)만큼 떨어진 각각의 부분에서는 돌출 꼭대기부(13a, 13b)가 Y 방향으로 간격을 두거나, 또한 각각이 중심선 O-O에 대하여 Y 방향의 양측에 동일한 간격을 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the protruding top portions 13a and 13b are spaced in the Y direction at each portion separated from the central portion 12 by the distances L1 and L1 on both sides, or each of them is located at the center line OO. It is formed at the same interval on both sides of the Y direction.

이 청소 용구(301)에서는 지지체(302)에 청소용 시트(20)를 부착하여 피청소면(25)을 미끄럼 이동시킬 때에, 4곳의 상기 돌출 꼭대기부(13a, 13a, 13b, 13b)의 부분에서 청소용 시트(20)가 피청소면(25)에 맞닿기 때문에, 지지체(302)의 자세가 안정적이고, 피청소면(25)상에서 지지체(302)를 각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시킬 때에 지지체(302)가 잘 기울지 않게 되어 안정적인 미끄럼 이동을 실현할 수 있다.In the cleaning tool 301, when the cleaning sheet 20 is attached to the support 302 to slide the surface 25 to be cleaned, at the portions of the four protruding top portions 13a, 13a, 13b, and 13b. Since the cleaning sheet 20 abuts against the surface 25 to be cleaned, the posture of the support 302 is stable, and the support 302 is well formed when the support 302 is slid in each direction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25. Since it does not tilt, stable sliding movement can be realized.

또한 지지체(302)를 피청소면(25)에 압박하여 청소 기능 부재(311)를 변형시킬 때에, 4곳의 상기 돌출 꼭대기부(13a, 13a, 13b, 13b)의 부분에서 그 표면(311a)을 평탄면으로 변형할 수 있고, 또한 이 평탄면의 면적은 지지체(302)에 부여하는 압박력에 의해 가감할 수 있다. 또한 이 평탄면 이외의 영역에서 청소용 시트(20)와 피청소면(25)과의 사이에 비교적 큰 먼지를 포착하기 쉬워진다.In addition, when the support body 302 is pressed against the surface to be cleaned 25 to deform the cleaning function member 311, the surface 311a is removed from the four protruding top portions 13a, 13a, 13b, and 13b. The flat surface can be deformed, and the area of the flat surface can be added or subtracted by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support 302. Moreover, it becomes easy to capture comparatively big dust between the cleaning sheet 20 and the to-be-cleaned surface 25 in area | regions other than this flat surface.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지지체(302)에 부착된 청소용 시트(20)의 표면의 각 개소에 균일하게 티끌이나 먼지가 부착되기 때문에 청소용 시트(20)의 표면 전체를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since dust and dust adhere uniformly to each part of the surface of the cleaning sheet 20 attached to the support body 302, the whole surface of the cleaning sheet 20 can be used effectively.

또, 도 12에 도시하는 제4 실시예에서의 청소 기능 부재(311)는 도 9와 도 10에 도시하는 다수의 탄성 변형 가능한 돌기를 갖는 것이라도 좋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기능 부재와, 그 양측의 측부 기능 부재로 분리된 것이라도 좋다.In addition, the cleaning function member 311 in the fourth embodiment shown in FIG. 12 may have a plurality of elastically deformable projections shown in FIGS. 9 and 10, and as shown in FIG. And the side functional members on both sides thereof may be separated.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청소 용구(401)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4는 도 13을 XIV 화살 표시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15는 도 13을 XV 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leaning tool 401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side view of Fig. 13 viewed from the XIV arrow display direction, and Fig. 15 is a front view of Fig. 13 viewed from the XV direction.

이 청소 용구(401)는 몸체형의 파지부(408)의 선단에 지지체(402)가 연결되어 있다. 이 지지체(402)는 지지 부재(405)를 갖고 있다. 지지 부재(405)의 기단부면에는 지지 아암(405a)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지부(408)의 선단부는 상기 지지 아암(405a)에 축(406)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The support 402 is connected to the tip of the gripping portion 408 of the body type. This support body 402 has a support member 405. A support arm 405a is integrally formed on the proximal end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405, and the tip end of the grip portion 408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 arm 405a by a shaft 406. .

상기 지지체(402)는 테이퍼 형상이며, 상반하는 면(405b, 405b)이 서로 예각의 각도를 갖고 대향한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면(405b, 405b)의 각각에 청소 기능 부재(411, 411)가 부착되어 있다. 이 청소 기능 부재(411, 411)는 제1 실시예의 청소 기능 부재(11), 제2 실시예의 청소 기능 부재(111), 제3 실시예 의 청소 기능 부재(211), 제4 실시예의 청소 기능 부재(311) 중 어느 하나와 같은 것이어도 좋지만, 도 15에서는 2개의 청소 기능 부재(311)가 상기 제1 실시예의 청소 기능 부재(11)와 같은 것으로 되어 있다.The support body 402 has a tapered shape, and the opposite surfaces 405b and 405b are inclined surfaces facing each other with an acute angle. Cleaning function members 411 and 411 are attached to each of the surfaces 405b and 405b. The cleaning function members 411 and 411 are the cleaning function member 11 of the first embodiment, the cleaning function member 111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cleaning function member 211 of the third embodiment, and the cleaning function of the fourth embodiment. Although it may be the same as any one of the members 311, in FIG. 15, the two cleaning function members 311 are the same as the cleaning function member 11 of the said 1st Example.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체(402)에 청소용 시트(20)를 부착할 때에는 이 청소용 시트(20)가 2개의 청소 기능 부재(411, 411)의 표면(411a, 411a)의 쌍방을 덮도록 설치되어, 그 긴 변(22, 22)이 청소 기능 부재(411, 411)의 이면에 면 패스너나 점착 테이프 등으로 고착된다.As shown in FIG. 13, when the cleaning sheet 20 is attached to the support body 402, the cleaning sheet 20 cuts both surfaces 411a and 411a of the two cleaning function members 411 and 411. It is provided so as to cover, and the long sides 22 and 22 are fix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cleaning function members 411 and 411 with a surface fastener, an adhesive tape, or the like.

이 청소 용구(401)에서는 상하 양측에 청소 기능 부재(411)의 표면(411a, 411a)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각각의 표면(411a)이 청소 작업면으로서 기능하여 제1 실시예 등과 같은 청소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파지부(408)를 세워 사용함으로써 지지체(402)와 청소용 시트(20)를 이용하여 빗자루와 같이 티끌이나 먼지를 털도록 작업할 수도 있다.In this cleaning tool 401, the surfaces 411a and 411a of the cleaning function member 411 face the upper and lower sides, so that each surface 411a functions as a cleaning work surface to achieve the same cleaning effect as in the first embodiment. Can be exercised. In addition, by using the holding portion 408 standing up, it is also possible to work to shake the dust and dust, such as a broom using the support 402 and the cleaning sheet 20.

또,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청소 기능 부재의 표면의 돌출 꼭대기부가 거의 1점이 되도록 상기 표면이 곡면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상기 돌출 꼭대기부가 소정 면적의 평면으로 되어 있는 것이라도 좋다.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the surface is curved so that the protruding top of the surface of the cleaning function member is almost one point, but the protruding top may be a plane of a predetermined area.

또한, 상기 각 실시예의 청소 용구는 청소용 시트를 부착하여 실내의 마루면 등을 청소하는 데 알맞은 것이고, 각각의 지지체는 제1 방향(X 방향)의 길이 치수가 200∼300 mm, 제2 방향(Y 방향)의 길이 치수가 50∼150 mm인 것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체가 직사각형인 것 외에, 지지체가 타원 또는 타원 형상인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leaning tool of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is suitable for cleaning the floor surface of the room by attaching a cleaning sheet, and each support has a length dimension of 200 to 300 mm in the first direction (X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 The length dimension of the Y direction) is 50-150 mm, and as above-mentioned, besides being rectangular, a support body can be comprised as what is an ellipse or an ellipse shape.                     

단, 상기 지지체에 비교적 짧은 파지부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쪽 손으로 잡고 청소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라도 좋다.However, the relatively short holding | gripping part is integrally formed in the said support body, and may hold | maintain with one hand, and can perform a cleaning opera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지지체에 부착되는 청소 시트의 표면을 넓은 범위에서 유효하게 이용하여 티끌이나 먼지를 포착할 수 있으며, 또한 빵 부스러기 등의 비교적 큰 먼지도 포착하기 쉬워진다. 또한 청소용 시트를 부착하여 피청소면을 미끄럼 이동시킬 때에 지지체의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of the cleaning sheet attached to the support can be effectively used in a wide range to capture dust and dust, and also to easily catch relatively large dust such as breadcrumbs. In addition, the posture of the support can be stabilized when the cleaning sheet is attached to slide the surface to be cleaned.

Claims (6)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지지체와 일체로 형성된 파지부를 갖고, 상기 지지체에 청소용 시트를 설치할 수 있는 청소 작업면이 형성된 청소 용구에 있어서,In the cleaning tool which has a support body and the holding part connected to the said support body or formed integrally with the said support body, and the cleaning work surface which can install a cleaning sheet in the said support body, 상기 지지체는 제1 방향의 치수가 제2 방향의 치수보다도 긴 형상으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분하는 중심부를 갖고 있고,The support has a shape in which the dimension in the first direction is longer than the dimension in the second direction, and has a central portion bisecting in the first direction. 상기 청소 작업면에는 상기 중심부를 사이에 두고 제1 방향으로 소정 거리 떨어진 양측 부분에 상기 중심부보다도 그 표면이 돌출한 돌출 꼭대기부가 설치되어 있고, 돌출 꼭대기부를 포함하는 소정의 영역이 탄성 변형 가능한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The said cleaning work surface is provided with the protruding top part which protruded the surface rather than the said center part in the both side parts separated by the predetermined direction in the 1st direction across the said center part, and the predetermined area | region containing a protruding top part is provided in the member which can be elastically deformed. Formed by 상기 돌출 꼭대기부를 지나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에서 절단한 단면에서, 상기 청소 작업면과 상기 단면과의 교선은 상기 단면의 양측부로부터 중간부를 향해서 서서히 돌출하여, 양측부와 중심부 사이에서 돌출량이 최대가 되는 돌출 꼭대기부를 갖고, 상기 돌출 꼭대기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해서 서서히 함몰하는 곡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In the cross section cut in the surface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past the protruding top portion, the intersection between the cleaning work surface and the cross section gradually protrudes from both sides of the cross section toward the middle portion, protruding between both sides and the center portion. A cleaning tool having a protruding top portion with a maximum amount, and is a curve that is gradually recessed from the protruding top portion toward the center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꼭대기부를 지나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에서 절단한 단면에서, 상기 청소 작업면과 상기 단면과의 교선은 상기 돌출 꼭대기부로부터 상기 중심부에 걸쳐서 서서히 돌출량이 작아지는 오목 곡선인 청소 용구.2. The concav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n a cross section cut in a surface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past the top of the protrusion, the intersection between the cleaning working surface and the cross section is a concave in which the amount of protrusion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top of the protrusion to the center. Curved cleaning tool.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상기 돌출 꼭대기부를 포함하는 소정의 영역에는 탄성 변형 가능한 복수의 돌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청소 작업면이 개개의 돌기의 선단면을 포함하는 가상면인 청소 용구.The virtual surfac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predetermined region including the protruding top portion of the suppor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which are elastically deformable, and the cleaning work surface includes a tip surface of each protrusion. Cleaning too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30044808A 2002-07-04 2003-07-03 Cleaning article KR10088193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95813 2002-07-04
JP2002195813A JP4037190B2 (en) 2002-07-04 2002-07-04 Cleaning to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4154A KR20040004154A (en) 2004-01-13
KR100881932B1 true KR100881932B1 (en) 2009-02-06

Family

ID=31704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4808A KR100881932B1 (en) 2002-07-04 2003-07-03 Cleaning article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4037190B2 (en)
KR (1) KR100881932B1 (en)
CN (1) CN1480095A (en)
MY (1) MY139885A (en)
SG (1) SG116498A1 (en)
TW (1) TWI232742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2517B2 (en) 2004-06-03 2008-04-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Cleaning tool
KR100657275B1 (en) 2004-08-26 2006-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generating a stereoscopic image and method for scaling therefor
JP4698279B2 (en) * 2005-05-02 2011-06-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Cleaning tool
JP5959847B2 (en) * 2011-12-22 2016-08-02 株式会社ダスキン Torsional rotation type cleaning holder and cleaning tool
JP6963156B2 (en) * 2018-11-07 2021-11-05 株式会社南武 Cleaning tools and parts for cleaning tool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3511A (en) * 1996-05-02 1997-12-10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Cleaning tool
JPH11244210A (en) 1998-12-25 1999-09-14 Duskin Co Ltd Cleaning tool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0358Y2 (en) * 1990-01-09 1995-09-20 花王株式会社 Cleaning tool
JPH0740359Y2 (en) * 1990-02-08 1995-09-20 花王株式会社 Cleaning tool
JPH04114620A (en) * 1990-09-01 1992-04-15 Hookii:Kk Sweeping cleaner
JP3432109B2 (en) * 1996-05-02 2003-08-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Cleaning tools
US6842936B2 (en) * 1998-12-01 2005-01-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dapter plates for cleaning implement
JP3625045B2 (en) * 2000-04-19 2005-03-02 花王株式会社 Cleaning tool
JP2002102133A (en) * 2000-10-03 2002-04-09 Nobuhiko Sato Cleaning tool
JP2002165740A (en) * 2000-11-30 2002-06-11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Cleaning utensi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3511A (en) * 1996-05-02 1997-12-10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Cleaning tool
JPH11244210A (en) 1998-12-25 1999-09-14 Duskin Co Ltd Cleaning t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80095A (en) 2004-03-10
SG116498A1 (en) 2005-11-28
TW200412892A (en) 2004-08-01
MY139885A (en) 2009-11-30
TWI232742B (en) 2005-05-21
JP4037190B2 (en) 2008-01-23
JP2004033530A (en) 2004-02-05
KR20040004154A (en) 2004-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25482C (en) Cleaning implement
KR101157247B1 (en) Cleaning outfit
US7451519B2 (en) Sheet holding structure and cleaner having the same
US5280666A (en) Squeegee apparatus for a vacuum cleaner system
US20090131960A1 (en) Tongue cleaner
US6119298A (en) Disposable wiping sheet
KR100881932B1 (en) Cleaning article
JP2981110B2 (en) Cleaning tools
JP5405194B2 (en) Handy mop
JP3216580U (en) Cleaning tool
KR101228750B1 (en) Cleaning articles
KR100436470B1 (en) Cleaning tool
JP3432109B2 (en) Cleaning tools
JP2005087506A (en) Holding device for cleaning
JP4559877B2 (en) Cleaning tool
JP7046339B2 (en) Cleaning tool
JP3448230B2 (en) Wiping cleaning tool
JP2022040780A (en) Cleaning tool
JP2020058408A (en) Cleaning tool
JPH10201528A (en) Nail polisher
JP7492326B2 (en) Cleaning equipment
CN109715028B (en) Cleaning head and cleaning tool
JP3080933U (en) Cleaning tools
JPH0956653A (en) Sweeping tool
US20100139693A1 (en) Computer keyboard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