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0494B1 -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0494B1
KR100880494B1 KR1020070072267A KR20070072267A KR100880494B1 KR 100880494 B1 KR100880494 B1 KR 100880494B1 KR 1020070072267 A KR1020070072267 A KR 1020070072267A KR 20070072267 A KR20070072267 A KR 20070072267A KR 100880494 B1 KR100880494 B1 KR 100880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ust
flow
flow path
branc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2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8914A (ko
Inventor
현기탁
정경선
신진혁
조성구
황근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70072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0494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08801041707A priority patent/CN101784219B/zh
Priority to ES08766286.2T priority patent/ES2567446T3/es
Priority to PCT/KR2008/003324 priority patent/WO2009011494A1/en
Priority to EP08766286.2A priority patent/EP2170144B1/en
Priority to RU2010101787/12A priority patent/RU2428915C1/ru
Priority to AU2008276795A priority patent/AU2008276795B2/en
Publication of KR20090008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0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0494B1/ko
Priority to US12/404,105 priority patent/US8186006B2/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Construction of inl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08Cyclonic chambe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먼지가 이동되는 유로를 개선하여 먼지 유동이 원활해지도록 하고, 먼지가 먼지통 내부로 용이하게 흡입되도록 하기 위한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는, 복수의 공기 흡입부가 형성되는 먼지 분리부; 일측이 상기 각 공기 흡입부와 연결되고, 타측에는 공기 유입부가 형성되는 분지부: 상기 분지부에 제공되고, 적어도 상기 공기 유입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이동되는 제 1 유로 및 제 2 유로; 상기 제 1 유로는 상기 제 2 유로보다 체적이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진공 청소기에 의하면, 노즐로부터 흡입된 먼지가 본체 내부로 용이하게 흡입되어 먼지 유동이 원활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흡입된 먼지 중 휴지등 부피가 큰 이물질이 분배관에 걸리지 않게 되므로, 사용자가 이물질을 제거해야 하는 불편이 해소되는 효과가 있다.
분지부, 분배관, 메인 유로

Description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Dust separating apparatus of vacuun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에서 공기가 분지되는 분지부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먼지가 이동되는 유로를 개선하여 먼지 유동이 원활해지도록 하고, 먼지가 먼지통 내부로 용이하게 흡입되도록 하기 위한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먼지가 이동되는 유로를 개선하여 부피가 큰 이물질이 일방향으로 가이드 되도록 하고, 먼지 유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흡입 모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진공압을 이용하여,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한 다음, 본체 내부에서 먼지를 필터링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진공 청소기는 흡입 노즐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청소기 본체 내부로 흡입되기까지 원활히 유동되어야 하며,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이동 중에 유로 에 걸리는 현상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이는 진공 청소기의 성능을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한편, 먼지통이 2개 이상이거나, 먼지통에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부가 2개 이상인 진공 청소기의 경우, 상기 공기 흡입부로 공기가 나뉘어 이동될 수 있도록 하나의 유로로부터 공기가 분배되는 분배관 또는 분지관이 필요하게 된다.
이 경우, 부피가 큰 이물질 등이 상기 분배관으로 분배되지 못하고 분지부에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 경우, 청소기의 성능은 저하하게 되고, 사용자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청소기 내부를 열어서 청소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청소기 내부의 유로는 그 폭이 좁아서 사용자가 청소하기에도 어려움이 많았다.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배경하에서 제안된 것으로서,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이동되는 유로를 개선하여 이물질이 걸림이 없이 집진 장치로 공기가 원활히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흡입된 공기 유동이 분배관을 통하여 균등하게 배분될 수 있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장치는, 복수의 공기 흡입부가 형성되는 먼지 분리부; 일측이 상기 각 공기 흡입부와 연결되고, 타측에는 공기 유입부가 형성되는 분지부; 및 상기 분지부에 제공되고, 적어도 상기 공기 유입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이동되는 제 1 유로 및 제 2 유로가 포함되며, 상기 제 1 유로는 상기 제 2 유로보다 체적이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는, 피청소면으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부가 형성되는 분지부: 상기 분지부에 형성되며, 상기 공기 유입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적어도 2 방향으로 분지되는 제 1 분배관 및 제 2 분배관; 및 상기 각 분배관과 연결되며,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공기 흡입부가 제공되는 먼지 분리부가 포함되며, 상기 분지부는 일측이 타측보다 두께가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는, 공기 유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 유입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적어도 제 1 유동 및 제 2 유동으로 분배되는 분지부; 상기 분지부와 연결되며,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부가 제공되는 먼지 분리부; 및 상기 분지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유동이 이동되는 돌출부가 포함되며, 상기 제 1 유동은 상기 제 2 유동보다 더 많은 유동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 중 부피가 큰 이물질은 분지부의 일측 유로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되므로, 분지부 내에서 이물질의 걸림이 최소화 되고, 공기 유동이 원활해 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공기 유입부의 형상이 일측으로 편심되므로 부피가 큰 먼지와 미세 먼지가 분리되어 각 분배관으로 분배되므로 분지부의 중앙부에서 먼지가 걸리는 현상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1)는, 공기 중의 먼지를 분리시키는 먼지 분리부(20)와, 상기 먼지 분리부(20)로 공기가 배분되어 상기 먼지 분리부(20)에 흡입되도록 하는 분지부(10)와, 상기 분지부(10)로 공기가 이동되도록 하는 흡입 안내관(30)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흡입 안내관(30)은 도시되지 않은 흡입 노즐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상기 먼지 분리부(20)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부분이며, 청소기 본체 내부에 제공된다.
또한, 상기 먼지 분리부(20)는 상기 흡입 안내관(30)을 따라 이동된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 중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먼지 분리부(20)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부(210)가 양측에 제공되며, 각 공기 흡입부(210)를 통해 공기가 흡입된다.
또한, 상기 분지부(10)는 상기 흡입 안내관(30)과 상기 먼지 분리부(20)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흡입 안내관(30)을 따라 이동되는 공기는 상기 먼지 분리부(20)로 균등하게 배분되어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분지부(10)에는 양측에 공기가 분배되도록 하는 제 1 분배관(111) 및 제 2 분배관(112)과, 상기 분배관(111,112) 사이에는 공기가 상기 분배관(111,112)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하는 분배 가이드(130)가 포함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지부를 보여주는 측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지부를 보여주는 정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분지부(10)는 상기 먼지 분리부(20)의 하측에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분지부(10)는 소정 두께를 갖는 파이프 타입으로서 상기 흡입 안내관(30)을 중심으로 좌측 및 우측이 비대칭이며, 좌측 및 우측 유로의 크기가 각각 다르게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분지부(10)는 공기가 상기 먼지 분리부(20)로 분배되어 흡입되도록 하는 제 1 분배관(111) 및 제 2 분배관(112)과, 상기 흡입 안내관(30)으로부터 흡입되는 공기가 이동되는 제 1 유로(121) 및 제 2 유로(122)와, 상기 유로(121,122) 사이에 형성되어 공기가 분배되도록 가이드 하는 분배 가이드(13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분배관(111,112)은 상기 각 공기 흡입부(210)와 연결되며, 상기 분지부(10)의 양측에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분배 가이드(130)는 각 분배관(111,112)으로부터 연장되어 공기가 상기 분배관(111,112)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데, 공기가 상기 분배관(111,112)으로 용이하게 분배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분배 가이드(130)는 상기 분배관(111,112)의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분배 가이드(130)는 가로 방향으로 제공되며, 상기 분배 가이드(130)의 길이는 양측의 분배관(111,112) 사이의 간격만큼 충분히 길게 형성되므로 공기 중에 포함되는 먼지가 상기 분배관(111,112)에 걸리는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공기 유동이 원활해 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분배 가이드(130)는 상기 분배관(111,112)에 연결되지 않고 상기 공기 흡입부(210)와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흡입 안내관(30)으로부터 이동되는 공기는 상기 분지부(10) 내에 유입되어 상기 제 1 유로(121) 및 제 2 유로(122)를 따라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분지부(120)의 하단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부(12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공기 유입부(123)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 1 유로(121) 및 제 2 유로(122)를 거쳐 복수의 분배관(111,112)으로 분배된다.
즉, 상기 제 1 유로(121) 및 제 2 유로(122)는 상기 공기 유입부(123)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분배되는 제 1 분배 유로 및 제 2 분배 유로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유로(121) 및 제 2 유로(122)는 그 크기가 다르게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분지부(10)의 일측은 상기 분지부(10)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형상, 즉 돌출부(101)를 가지며, 타측은 상기 분지부(10)의 전면 및 후면이 평행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일측 및 타측은 상기 분지부(10)의 후방으로 최대 "c"만큼 돌출되는 가이드 부(101a)에 의해 구획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분지부(10)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분지부(10)의 두께가 "b"가 되는 지점까지 후방으로 경사지게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분지부(10)의 두께가 "b"인 지점으로부터 상기 분지부(10)의 하단까지는 상기 분지부(10)의 두께가 감소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분지부(10)의 일측은 상기 제 1 분배관(111)이 형성되는 상단부와, 공기가 유입되는 하단부의 두께가 "a"가 된다.
즉, 상기 분지부(10)의 일측에서, 상기 분지부(10)의 최대 두께("b")는 상기 분지부(10)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의 길이 "a"에서 "c"만큼 돌출된 길이를 더한 값과 같다.
또한, 상기 돌출부(101)에는 상기 제 1 유로(121)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분지부(10)의 타측은 상기 분지부(10)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상기 분지부(10)의 두께가 일정한 값("a")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분지부(10)의 타측에는 상기 제 2 유로(122)가 형성된다.
다시 정리하면, 상기 먼지부(10)는 상기 제 1 유로(121)를 형성하는 일측부와, 상기 제 2 유로(122)를 형성하는 타측부가 포함되는데, 상기 일측부는 타측부보다 두께가 더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분지부(10)의 단면적은 상기 일측부와 타측부에서 거의 동일한 크기를 갖게 되므로, 상기 분지부(10)의 두께 차이에 의해서 상기 제 1 유로(121)의 체적이 제 2 유로의 체적보다 더 크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공기 유입부(123)를 통해 상기 분지부(10) 내로 유입된 부피가 큰 이물질을 포함한 공기는 유로의 체적이 더 큰 상기 제 1 유로(121) 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분배관(111)을 통해서 상기 먼지 분리부(20)로 흡입된다.
또한, 미세 먼지와 같은 부피가 작은 먼지는 상기 제 1 유로(121) 및 제 2 유로(122)에 분배되어 이동된다.
한편, 공기가 유입되는 상기 공기 유입부(123)는 상기 제 1 유로(121)와 제 2 유로(122)의 경계를 구획하는 상기 가이드 부(101a)를 중심으로 상기 제 1 유로(121) 측으로 편심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 유입부(123)를 통해 흡입된 공기 중 부피가 큰 먼지는 상기 가이드 부(101a)에 의해 자연스럽게 상기 제 1 유로(121)측으로 가이드 된다.
또한, 상기 제 1 유로(121) 및 제 2 유로(122)는 상기 흡입 안내관(30)으로부터 이동되는 공기가 상기 각 분배관(111,112)으로 분배되도록 하는 중간 유로 역할을 하며, 상기 공기 유입부(123)로부터 상기 각 분배관(111,112)으로 이어지는 상단까지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제공된다. 즉, 상기 제 1 유로(121) 및 제 2 유로(122)는 상기 공기 유입부(123) 측보다 상기 각 분배관(111,112) 측이 유로 단면적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유로(121) 및 제 2 유로(122)는 상하 길이가 긴 특징을 가지며, 상기 공기 유입부(123)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 부피가 큰 이물질은 상기 제 1 유로(121)를 통하여 상기 제 1 분배관(111)으로 쉽게 배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분배관(111,112)은 상기 공기 흡입부(210)의 외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공기 흡입부(210)와 분배관(111,112)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흡입부(210)와 분배관(111,112)의 사이에는 실링 부재(113)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 흡입부(210)를 통해 상기 먼지 분리부(20)로 흡입되는 공기는 싸이클론 유동을 거쳐 상기 먼지 분리부(20)의 중심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공기 중 먼지는 분리되어 먼지 배출부(230)를 통해 배출되어 집진 장치(미도시)로 유입되고, 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상기 먼지 분리부(20)의 양측에 제공되는 공기 배출부(220)를 통하여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 분리부(20)의 내부에는 필터부(240)가 제공되며, 상기 필터부(240)는 상기 공기 배출부(220)와 연결된다. 따라서, 먼지는 상기 필터부(240)에서 필터링 되며, 상기 공기 배출부(220)로 배출되지 못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유동을 살펴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 안내관(30)을 거친 공기는 상기 공기 유입부(123)를 통해 상기 분지부(10)로 유입된다.
그리고, 유입되는 공기 중 부피가 큰 이물질은 체적이 큰 유로로 이동되는 경향을 가지므로, 상기 가이드 부(101a)의 우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유로(121)로 이동된다.
한편, 부피가 작은 미세 먼지는 상기 제 1 유로(121) 및 제 2 유로(122)에 각각 배분되어 상기 분지부(10)를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유로(121)를 거친 공기는 상기 제 1 분배관(111)을 통해 상기 공기 흡입부(210)로 흡입되고, 상기 제 2 유로(122)를 거친 공기는 상기 제 2 분배관(112)을 통해 상기 공기 흡입부(210)로 흡입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공기 유동 중에 포함된 이물질 중 부피가 큰 먼 지는 일 유로를 통해 먼지 분리부로 흡입될 수 있으므로, 먼지가 분지되는 과정에서 분배관에 먼지가 걸리는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지부를 보여주는 측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지부를 보여주는 정면 사시도.
도 5는 도 1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지부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분지부 20 : 먼지 분리부
30 : 흡입 안내관 111 : 분배관
120 : 메인 유로 130 : 분배 가이드

Claims (10)

  1. 복수의 공기 흡입부가 형성되는 먼지 분리부;
    일측이 상기 각 공기 흡입부와 연결되고, 타측에는 공기 유입부가 형성되는 분지부; 및
    상기 분지부에 제공되고, 적어도 상기 공기 유입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이동되는 제 1 유로 및 제 2 유로가 포함되며,
    상기 제 1 유로는 상기 제 2 유로보다 체적이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지부에는 상기 제 1 유로와 제 2 유로가 구획되도록 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부의 중심은 상기 제 1 유로 측으로 편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로와 제 2 유로 사이에는 공기가 상기 공기 흡입부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하는 분배 가이드가 더 제공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지부는, 상기 공기 유입부측으로부터 상기 공기 흡입부측까지 단면적이 커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6. 피청소면으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부가 형성되는 분지부:
    상기 분지부에 형성되며, 상기 공기 유입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분지되도록 하는 제 1 분배관 및 제 2 분배관;
    상기 공기 유입부와 상기 제 1 분배관 사이에 형성되는 제 1 유로;
    상기 공기 유입부와 상기 제 2 분배관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유로; 및
    상기 각 분배관과 연결되며,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공기 흡입부가 제공되는 먼지 분리부가 포함되며,
    상기 분지부는 상기 제 1 유로측이 상기 제 2 유로측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배관은 상기 분지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분배관은 상기 분지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부는 상기 제 2 분배관 보다 상기 제 1 분배관에 더 가깝게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관 사이에는 공기가 상기 각 분배관으로 분배되도록 가이드 하는 분배 가이드가 더 제공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10. 공기 유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 유입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적어도 제 1 유동 및 제 2 유동으로 분배되는 분지부;
    상기 분지부와 연결되며,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부가 제공되는 먼지 분리부; 및
    상기 분지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유동이 이동되는 돌출부가 포함되며,
    상기 제 1 유동은 상기 제 2 유동보다 더 많은 유동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KR1020070072267A 2007-07-19 2007-07-19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880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267A KR100880494B1 (ko) 2007-07-19 2007-07-19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ES08766286.2T ES2567446T3 (es) 2007-07-19 2008-06-13 Aparato de separación de polvo de aspirador
PCT/KR2008/003324 WO2009011494A1 (en) 2007-07-19 2008-06-13 Dust separation apparatus of vacuum cleaner
EP08766286.2A EP2170144B1 (en) 2007-07-19 2008-06-13 Dust separation apparatus of vacuum cleaner
CN2008801041707A CN101784219B (zh) 2007-07-19 2008-06-13 真空吸尘器的灰尘分离设备
RU2010101787/12A RU2428915C1 (ru) 2007-07-19 2008-06-13 Устройство пылеотделения пылесоса
AU2008276795A AU2008276795B2 (en) 2007-07-19 2008-06-13 Dust separation apparatus of vacuum cleaner
US12/404,105 US8186006B2 (en) 2007-07-19 2009-03-13 Dust separation apparatus of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267A KR100880494B1 (ko) 2007-07-19 2007-07-19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914A KR20090008914A (ko) 2009-01-22
KR100880494B1 true KR100880494B1 (ko) 2009-01-28

Family

ID=40488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2267A Expired - Fee Related KR100880494B1 (ko) 2007-07-19 2007-07-19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049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4782A1 (en) * 2018-07-19 2020-01-23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791896B2 (en) 2018-07-19 2020-10-06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806317B2 (en) 2018-07-19 2020-10-2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827891B2 (en) 2016-12-27 2020-11-1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Multistage cyclone and surface cleaning apparatus having same
US11246462B2 (en) 2019-11-18 2022-02-1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Multi-inlet cyclone
US11285495B2 (en) 2016-12-27 2022-03-29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Multistage cyclone and surface cleaning apparatus having same
US11751740B2 (en) 2019-11-18 2023-09-12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Multi-inlet cyclone
US12082759B2 (en) 2017-09-15 2024-09-1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78663B2 (en) * 2010-12-06 2015-03-17 Kyle D. Newton Charger package for electronic cigarette component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5700A (ja) 2002-10-15 2004-05-13 Toshiba Tec Corp 電気掃除機
KR20050100913A (ko) * 2004-04-16 2005-10-20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집진장치
KR20060018040A (ko) * 2004-08-23 2006-02-2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사이클론 집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5700A (ja) 2002-10-15 2004-05-13 Toshiba Tec Corp 電気掃除機
KR20050100913A (ko) * 2004-04-16 2005-10-20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집진장치
KR20060018040A (ko) * 2004-08-23 2006-02-2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사이클론 집진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27891B2 (en) 2016-12-27 2020-11-1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Multistage cyclone and surface cleaning apparatus having same
US11285495B2 (en) 2016-12-27 2022-03-29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Multistage cyclone and surface cleaning apparatus having same
US12082759B2 (en) 2017-09-15 2024-09-1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WO2020014782A1 (en) * 2018-07-19 2020-01-23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791896B2 (en) 2018-07-19 2020-10-06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806317B2 (en) 2018-07-19 2020-10-2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166609B2 (en) 2018-07-19 2021-11-09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246462B2 (en) 2019-11-18 2022-02-1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Multi-inlet cyclone
US11751740B2 (en) 2019-11-18 2023-09-12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Multi-inlet cycl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914A (ko) 2009-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0494B1 (ko)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US7682412B2 (en) Multi-cyclone dust collection apparatus
KR100630952B1 (ko) 진공청소기용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진공청소기
US9009912B2 (en) Dirt separation apparatus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JP5077494B1 (ja) サイクロン分離装置及び電気掃除機
US7604674B2 (en) Dust separating apparatus
KR100842965B1 (ko)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EP2218386A1 (en) Dust-separat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US20070079582A1 (en) Cyclone dust collection apparatus
CN1334061A (zh) 真空吸尘器旋风集尘装置
KR100833361B1 (ko)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KR101411175B1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한 먼지 분리 장치
KR101199739B1 (ko) 진공 청소기의 유동 소음 감소 구조
KR101065985B1 (ko)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KR100909734B1 (ko)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KR100842970B1 (ko)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KR100996756B1 (ko) 진공청소기
KR101411801B1 (ko)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KR101185263B1 (ko) 진공 청소기
KR100938202B1 (ko)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KR20090131470A (ko)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CN104248393B (zh) 真空吸尘器
KR101411723B1 (ko)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CN219680521U (zh) 一种用于清洁机的分离结构及清洁机
KR100959972B1 (ko) 진공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1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1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