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0053B1 - Auto sunshield device - Google Patents

Auto sunshield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0053B1
KR100880053B1 KR1020070004161A KR20070004161A KR100880053B1 KR 100880053 B1 KR100880053 B1 KR 100880053B1 KR 1020070004161 A KR1020070004161 A KR 1020070004161A KR 20070004161 A KR20070004161 A KR 20070004161A KR 100880053 B1 KR100880053 B1 KR 100880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blocking member
light blocking
amoun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41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67058A (en
Inventor
권대식
Original Assignee
권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대식 filed Critical 권대식
Priority to KR1020070004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0053B1/en
Publication of KR20080067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70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0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00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4Combinations of lamellar blinds with roller shutters, screen windows, windows, or double panes; Lamellar blinds with speci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자동 차광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인 자동 차광장치는 차광부재, 상기 차광부재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부재와 상부 광센서와 상기 상부광센서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광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차광부재의 단부에 설치되는 센서부와 상기 상부광센서와 상기 하부 광센서에 각각 수광된 광량에 따라 상기 승강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광센서 및 상기 하부 광센서에 각각 수광된 광량이 기준광량보다 큰경우, 작은 경우 및 상기 기준광량이 상기 상부광센서에서 수광된 광량보다 크거나 상기 하부 광센서에서 수광된 광량보다 작은지를 판단하여 상기 차광부재를 상승, 하강 및 정지시키기 위한 신호를 상기 승강부재로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차광장치는 직사광이 들어오는 지점과 들어오지 않는 경계점을 센서부로 추적하고 경계점에 차광부재를 위치시키므로써 직사광만을 차단하고 직사광이 입사되지 않는 부분은 차광부재를 위치시키지 않음으로써, 시야를 확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n automatic light shielding device is disclosed. The automatic light shiel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ight blocking member, a lifting member for elevating the light blocking member up and down, and an upper light sensor and a lower light sensor positioned below the upper light sensor and installed at an end of the light blocking member.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elevating member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upper light sensor and the lower light sensor, respectively.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when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upper light sensor and the lower light sensor is larger than a reference light amount, and when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is smaller than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upper light sensor or received by the lower light sensor, It determines whether it is smaller and outputs a signal for raising, lowering and stopping the light blocking member to the lifting member. The automatic sha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cks a point where direct light enters and does not enter a boundary point by a sensor unit, and blocks the direct light only by placing the light blocking member at the boundary point, and does not place the light blocking member in the part where no direct light is incident. There is an advantage to expand.

권취, 모터 Winding motor

Description

자동 차광장치{AUTO SUNSHIELD DEVICE}Automatic Shading Device {AUTO SUNSHIELD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차광장치가 창문 내부에 설치된 것을 전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1 is a front view showing that the automatic light shiel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side a window.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차광장치의 차광부재가 하강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2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light blocking member of the automatic light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owered.

도 3는 도 1 및 도2의 자동 차광장치의 승강부재 제어방법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lifting member of the automatic light shielding device of FIGS. 1 and 2.

도 4은 본 발명의 자동 차광장치가 설치된 창문의 외부 상태도이다. 4 is an external state diagram of a window in which the automatic light shiel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도 5내지 도 7은 본 발명인 자동 차광장치가 설치된 건물내의 창문 간략도로 나타낸 것이다. 5 to 7 is a simplified view of the window in the building is installed the inventors light shielding device.

도 8은 도 1과 달리 승강부재가 창문의 상단부에 설치되었을 때를 나타낸 것이다. FIG. 8 illustrates when the lifting member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window unlike FIG. 1.

도 9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차광장치가 창문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태양의 이동에 따라 작동하는 것을 간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9 to 11 schematically show that the automatic sha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window and operat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un.

도 1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차광장치의 승강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12 illustrates a lifting member of an automatic light shield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는 승강부재에 의해 차광부재가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13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light blocking member is lowered by the elevating member.

도 14은 승강부재에 의해 차광부재가 완전히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14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light blocking member is completely lowered by the elevating member.

본 발명은 차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사광선이 비추어지는 경계를 광센서로 감지하여 차광부재를 자동으로 직사광선이 비추는 곳까지 위치하게 하는 직사광 경계 추적형 자동 차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shield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rect light boundary tracking type automatic light shielding device which detects a boundary in which direct light shines with an optical sensor to automatically position the light blocking member to a place where direct light shines.

일반적으로 차광부재 및 커튼 등이라 함은 각종 건축물에 형성된 창문 등의 실내측에 설치되어 내부의 사생활을 보호하거나 차양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인 바, 상기 커튼은 주로 상측의 가이드레일에 의해 커튼 상단을 좌.우로 슬라이딩되게 하여 그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되거나, 혹은 상기 커튼을 상.하로 승하강시키면서 개폐되도록 설치된다.In general, the light blocking member and the curtain are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windows such as windows formed in various buildings to protect the privacy of the interior or serve as a shade. The curtain is mainly curtained by the upper guide rails. The upper end is slid left and right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or the curtain is installed to open and close while lifting up and down.

그러나, 이와 같이 종래 커튼들은 좌.우로 움직이거나 상.하로 승하강에 의한 개폐방법 중 한가지만 선택적으로 설치함에 따라 차광부위를 조절함에 있어서 그 활용도가 좋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curtains are on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thods by moving left and right or by moving up and down, but there is a problem that its utilization is not good in controlling the light shielding part by selectively installing.

예를 들어 좌.우로 슬라이딩함에 따라 개폐되는 커튼은 햇빛 창문의 상단만 통과한다고 할지라도 창문의 전면을 다 가려야 완전한 차광이 가능하며, 상.하 승하강에 의해 개폐되는 커튼의 경우에도 창문의 좌측 또는 우측 한쪽만 햇빛이 통과한다고 할지라도 이 역시 완전한 차광을 위해서는 창문의 전면을 가려야만 한다는 것이다.For example, curtains that are opened and closed by sliding left and right can be completely shielded by covering the front of the window even if only the top of the sunlight window passes.In the case of curtains opened and closed by up and down, the left side of the window Or even if only one side passes through the sunlight, this too must cover the front of the window for complete shading.

따라서, 차광을 위하여 커튼을 친 상태에서 실내환기를 위해 창문을 열어놓았을 경우 외부공기가 커튼에 막혀 실내로의 유입이 쉽지 않고, 또한 외부로부터 바람에 좀 강하게 불때면 커튼이 날리게 되고 주위를 산만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if the window is opened for indoor ventilation while the curtain is opened for shading, the outside air is blocked and it is not easy to flow into the room, and when the air blows a little from the outside, the curtain blows and distracts the surroundings. There was a problem to le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그늘과 직사광의 경계지점에 차광부재을 자동으로 위치시키므로써, 건물 내부에 진열된 제품이나, 내부에서 활동하는 사람을 직사광으로부터 보호하고, 직사광이 비추지 않는 곳을 차광부재로 가리지 않음으로써, 시야를 확보하고, 더 나아가 진열품의 광고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는 자동 차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position the light-shielding member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hade and direct light, to protect the products displayed in the building, or those who are active in the direct light from the sun, where the light does not shine. By blocking the memb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utomatic light shielding device which can secure a visual field and can even expect the advertisement effect of the display.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차광장치는 차광부재와; 상기 차광부재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부재와; 상부 광센서와, 상기 상부 광센서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 광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차광부재의 단부에 설치되는 센서부와; 상기 상부 광센서와 상기 하부 광센서에 각각 수광된 광량에 따라 상기 승강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utomatic light shiel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ight blocking member; An elevating member for elevating the light blocking member up and down; A sensor unit including an upper optical sensor and a lower optical sensor positioned below the upper optical sensor and installed at an end of the light blocking member;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elevating member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upper optical sensor and the lower optical sensor, respectively.

특히, 상기 차광부재는 피차광 유리의 하단부 또는 상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광센서 및 상기 하부 광센서에 각각 수광된 광량이 기준광량보다 큰 경우, 상기 차광 부재가 상승되도록 상기 승강부재를 제어하고, 상기 상부 광센서 및 상기 하부 광센서에 각각 수광된 광량이 상기 기준광량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차광부재가 하강되도록 상기 승강부재를 제어하고, 상기 상부 광센서에 수광된 광량이 상기 기준광량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하부 광센서에 수광된 광량이 상기 기준광량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차광부재가 정지하도록 상기 승강부재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articularly, the light blocking member is installed at a lower end or an upper end of the light shielding glass, and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lift the light blocking member so that the light blocking member is raised when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upper light sensor and the lower light sensor is greater than a reference light amount, respectively. Control the elevating member so that the light blocking member is lowered when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upper light sensor and the lower light sensor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light amount, and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upper light sensor is controlled. When the light amount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light amount and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ower light senso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light amount, the lifting member is controlled to stop the light blocking member.

그리고, 상기 승강 부재는 상기 차광부재의 상측 양단에 각각 일단이 고정되는 와이어(wire)와; 상기 차광부재의 하단부 또는 상단부가 고정되고, 일단 또는 양단에 스파이럴 스프링(spiral spring)이 장착된 권취봉(roll pole)과; 회전축에 상기 와이어의 타단이 고정되어 상기 와이어가 선택적으로 권취되는 권취 풀리(roll pully)가 장착된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levating member may include: wires having one end fixed to both upper ends of the light blocking member; A roll pole having a lower end or an upper end of the light blocking member fixed thereto and having a spiral spring mounted at one or both ends thereof; The other end of the wire is fixed to the rotating shaft is a drive motor mounted with a pull pulley (roll pully) that the wire is selectively wound; preferably comprises a.

아울러, 상기 차광부재의 상단부는 고정봉에 고정되고,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차광부재의 하단부가 고정되고, 일단 또는 양단에 스파이럴 스프링이 장착된 권취봉과; 하단이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하부링크와, 하단 및 상단이 상기 하부링크의 상단 및 상기 고정봉의 단부에 각각 축결합되는 상부링크로 이루어지는 링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light blocking member is fixed to the fixing rod, the lifting member is a lower end of the light blocking member is fixed, the winding rod is mounted on one or both ends of the spiral spr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link is rotated by the drive motor, and the lower and upper link members consisting of an upper link axial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link and the end of the fixing rod, respectively.

그리고, 리모콘으로부터 송신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 수신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모콘 수신부에 수신된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승강부재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mot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remote controller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and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lift member by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receiver.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explain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차광장치가 창문 내부에 하측에 설치된 것을 전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차광장치의 차광부재가 하강하는 상태이며, 도 3는 도 1 및 도2의 자동 차광장치의 승강부재 제어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1 is a front view of an automatic light shielding device installed in a lower side in a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tate in which the light blocking member of the automatic light shiel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owered, Figure 3 is Figure 1 And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lifting member of the automatic light shielding device of FIG. 2.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차광장치는 건물, 자동차 등 유리로 이루어진 창문 내부 하측 또는 상측에 설치된다. The automatic light shiel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elow or above a window made of glass such as a building or an automobil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자동 차광장치(1)는 차광부재(16)와, 상기 차광부재(16)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부재(30)와, 상부 광센서(22)와 상기 상부 광센서(22)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 광센서(24)로 구성되어 상기 차광부재(16)의 단부에 설치되는 센서부(20)와, 상기 상부 광센서(22)와 상기 하부 광센서(24)에 각각 수광된 광량에 따라 상기 승강부재(30)를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 to 3, the automatic light block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blocking member 16, a lifting member 30 for elevating the light blocking member 16 up and down, and an upper portion thereof. A sensor unit 20 including an optical sensor 22 and a lower optical sensor 24 positioned below the upper optical sensor 22 and installed at an end of the light blocking member 16, and the upper optical sensor ( 22) and a control unit 40 for controlling the lifting member 30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ower optical sensor 24, respectively.

상기 차광부재(16)는 직물이나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승강 부재(30)와 연결되어 상기 승강부재(30)에 의해 상승되거나 또는 하강되어 외부에서 입사되는 직사광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The light blocking member 16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fabric or synthetic resin, and is connected to the elevating member 30 to block direct 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by being raised or lowered by the elevating member 30. .

상기 승강부재(30)는 상기 차광부재(16)의 상측 양단에 각각 일단이 고정되는 와이어(32), 상기 차광부재(16)의 하단부가 고정되고, 일단 또는 양단에 스파이럴 스프링(34)이 장착된 권취봉(36; roll pole)과, 회전축에 상기 와이어(32; wire)의 타단이 고정되어 상기 와이어(32)가 선택적으로 권취되는 권취 풀리(38; roll pully)가 장착된 구동모터(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lifting member 30 is a wire 32,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both upper ends of the light blocking member 16, the lower end of the light blocking member 16 is fixed, one end or both ends of the spiral spring 34 is mounted Drive motor 60 is equipped with a roll pole (36; roll pole) and a winding pulley (38; roll pully)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wire (32) is fixed to the rotating shaft to selectively wind the wire (32). )

상기 차광부재(16)의 상측 양단에 각각 일단이 와이어(32)에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32)의 타단은 상기 창틀(12)의 상단에 구비된 풀리(pully; 33)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60)에 장착된 권취 풀리(38)에 의해 권취된다. 또한, 상기 차광부재(16)의 하단은 스파이럴 스프링(34)이 장착된 권취봉(36)에 권취된다. One end of each of the upper ends of the light blocking member 16 is fixed to the wire 32, and the other end of the wire 32 is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through a pulley 33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window frame 12. It is wound up by the winding pulley 38 attached to 60. In addition, a lower end of the light blocking member 16 is wound around a winding rod 36 on which a spiral spring 34 is mounted.

특히, 상기 권취 풀리(38)가 장착된 구동모터(60)는 상기 상측 창틀(12)에 구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와이어(32)가 상기 풀리(33)를 통하지 않고 바로 상기 권취 풀리(38)에 바로 감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풀리(33)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particular, the drive motor 60 in which the winding pulley 38 is mounted may be embodied in the upper window frame 12, and the winding pulley 38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wire 32 without passing through the pulley 33. You can wind it up right away.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ulley 33 is selectively implemented as necessary.

상기 센서부(20)는 상부 광센서(22)와 하부 광센서(24)로 이루어지며, 상기 차광부재(16)의 단부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차광부재의 단부에 설치된 센서부(20)는 단부내에서 사용자에 의해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창문에 비추는 광량을 센싱하여 상기 제어부(40)로 출력한다. 상기 단부내에 설치되는 센서부(20)가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됨으로써 창문으로 입사되는 빛의 방향에 따라 빛 을 센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센서부(20)가 단부내의 중앙에 위치할 때를 중심으로 설명하며, 좌·우로 이동되어 빛을 센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sensor unit 20 includes an upper optical sensor 22 and a lower optical sensor 24, and is installed at an end of the light blocking member 16. In this case, the sensor unit 20 installed at the end of the light blocking member is installed to be movable left and right by the user in the end, and senses the amount of light shining on the window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 unit 40. Since the sensor unit 20 installed in the end is movable to the left and righ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light can be sens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light incident to the window.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time when the sensor unit 20 is located in the center in the end, it can be moved to the left and right to sense light.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상부 광센서(22)는 상기 차광부재(16)의 단부 중앙을 기준으로 상측에 수신되는 직사광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40)로 출력하며, 상기 하부 광센서(24)는 상기 차광부재(16)의 단부 중앙을 기준으로 하측에 수신되는 직사광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40)로 출력한다. 즉, 상기 센서부(20)는 직사광이 입사되는 지점과 입사되지 않는 지점을 추적한다. More specifically, the upper light sensor 22 detects the direct light received from the upper side based on the center of the end of the light blocking member 16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ler 40, and the lower light sensor 24 is the The direct light received on the lower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end portion of the light blocking member 16 is detected and output to the controller 40. That is, the sensor unit 20 tracks the point where the direct light is incident and the point that is not incident.

상기 제어부(40)는 자동 차광장치(1) 내부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광센서(22) 및 상기 하부 광센서(24)에서 수신된 광량을 기준 광량과 비교하여 상기 승강부재(30)를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승강부재(30)의 구동모터(60)를 제어하기 위한 정방향 제어신호와 역방향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구동모터(60)는 상기 제어부(40)의 정방향 제어신호 출력에 따라 정방향으로 구동하고 상기 구동모터(60)에 장착된 권취 풀리(38)는 상기 구동모터(60)의 정방향 구동에 의해 상기 와이어(32)를 권취한다. 그리고 상기 권취봉(36)의 스파이럴 스프링(34)에 의해 감겨 있던 차광부재(16)는 상기 구동모터(60)의 정방향 회전에 의해 위로 상승하게 된다. 즉, 상기 구동모터(60)에 의해 상기 권취봉(36)에서 풀린 차광부재(16)는 직사광의 경계점까지 가리게 된다. The control unit 40 may be implemented internally in the automatic light shielding device 1, and the lifting member 30 is compared with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from the upper light sensor 22 and the lower light sensor 24 with a reference light amount. To control. In particular, the controller 40 outputs a forward control signal and a reverse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rive motor 60 of the elevating member 30, and the drive motor 60 controls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controller 40. The winding pulley 38 driven in the forward direction according to the signal output and mounted on the drive motor 60 winds up the wire 32 by the forward drive of the drive motor 60. In addition, the light blocking member 16 wound by the spiral spring 34 of the winding rod 36 is raised upward by the forward rotation of the driving motor 60. That is, the light blocking member 16 unwound by the winding rod 36 by the driving motor 60 is covered to the boundary point of direct light.

도 2는 상기 차광부재(16)가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제어부(40)가 역방향 제어신호를 출력할 때는 상기 구동모터(60)가 역방향으로 구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60)에 장착된 권취 풀리(38)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와이어(32)가 풀리게(unroll)되므로써, 상기 와이어(32)에 고정된 차광부재(16)는 스파이럴 스프링(34)이 장착된 권취봉(36)에 의해 자동으로 감기게 된다. 즉, 상기 차광부재(16)는 권취봉(36)에 의해 권취되므로써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2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light blocking member 16 is lowered. When the control unit 40 outputs a reverse control signal, the driving motor 60 drives in the reverse direction. Accordingly, the wire 32 is unrolled while the winding pulley 38 mounted on the drive motor 60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light blocking member 16 fixed to the wire 32 is spiral spring 34. ) Is automatically wound by the winding rod (36) is mounted. That is, the light shielding member 16 is lowered by being wound by the winding rod 36.

특히, 상기 구동모터(60) 및 권취 풀리(38)를 이용하여 상기 차광부재의 승하강시키는 구조 이외에도 다양한 변형예로 상기 차광부재(16)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즉, 구동 모터(60) 및 권취 풀리(38)는 상기 차광부재(16)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구조이면 족하다. In particular, the light blocking member 16 may be raised and lowered in various modifications in addition to the structure of elevating the light blocking member by using the driving motor 60 and the winding pulley 38. That is, the drive motor 60 and the winding pulley 38 may be a structure that raises or lowers the light blocking member 16.

도 3은 상기 제어부(40)가 상기 센서부(20)의 출력을 수신하여 상기 승강부재(30)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자동 차광장치(1)의 차광부재(16)의 제어는 상기 제어부(40)가 상기 센서부(20)의 출력을 수신하면서부터 시작한다. 상기 제어부(40)는 태양전지나 기타의 전원공급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전원부(50)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상기 상부 광센서(22)에서 수신된 광량 및 상기 하부 광센서(24)에서 수신된 광량을 수신한 후, 저장된 기준광량과 비교를 수행한다.3 illustrates a method in which the control unit 40 receives the output of the sensor unit 20 to control the elevating member 30. The control of the light blocking member 16 of the automatic light blocking device 1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40 starts from receiving the output of the sensor unit 20. The controller 40 receives electric energy from the power supply unit 50, which may be a solar cell or other power supply device, and receives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from the upper photo sensor 22 and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from the lower photo sensor 24. After receiving the signal, a comparison with the stored reference light quantity is performed.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상부 광센서(22)에서 수신된 광량 및 상기 하부 광센서(24)에서 수신된 광량이 상기 저장된 기준 광량보다 클 경우, 상기 승강부재(30)의 구동모터(60)로 정방향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승강부재(30)의 구동모터(60)는 상기 제어부(40)의 정방향 제어신호 출력에 따라 정방향으로 구동하게 되고 상기 차광부재(16)를 아래에서 위로 상승시키게 되는 것이다. When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upper photo sensor 22 and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ower photo sensor 24 are greater than the stored reference light amount, the control unit 40 drives the driving motor 60 of the elevating member 30. To output the forward control signal. Therefore, the driving motor 60 of the elevating member 30 is driven in the forward direction according to the forward control signal output of the control unit 40 to raise the light blocking member 16 from the bottom up.

또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상부 광센서(22)에서 수신된 광량 및 상기 하부 광센서(24)에서 수광된 광량이 상기 저장된 기준광량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상기 승강부재(30)의 구동모터(60)로 역방향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승강부재(30)의 구동모터(60)는 상기 제어부(40)의 역방향 제어신호 출력에 따라 상기 차광부재(16)를 위에서 아래로 하강시키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 may drive the driving motor of the elevating member 30 when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upper optical sensor 22 and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ower optical sensor 24 are less than or equal to the stored reference light amount. The reverse control signal is output to (60). The driving motor 60 of the elevating member 30 lowers the light blocking member 16 from top to bottom according to the reverse control signal output of the controller 40.

그리고,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상부 광센서(22)에 수신된 광량이 상기 기준 광량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하부 광센서(24)에 수신된 광량이 상기 기준 광량보다 크거나 같을 때 상기 승강부재(30)를 이용하여 상기 차광부재(16)를 정지시킨다. 즉, 상기 승강부재(30)의 구동모터(60)는 상기 차광부재(16)의 단부를 직사광이 들어오는 지점과 들어오지 않는 지점의 경계선에 위치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차광부재(16)는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직사광만을 자동으로 차단한다. The controller 40 moves up and down when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upper light sensor 22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light amount, and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ower light sensor 24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light amount. The light blocking member 16 is stopped by using the member 30. That is, the driving motor 60 of the elevating member 30 positions the end of the light blocking member 16 at a boundary line between a point where direct light enters and a point that does not enter. Accordingly, the light blocking member 16 automatically blocks only direct sunlight coming from the outside.

아울러,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차광부재(16)가 이동중에도 상기 센서부(20)로부터 수광되는 상기 상부 광센서(22) 및 상기 하부 광센서(24)의 광량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상기 저장된 기준광량과 비교하여 상기 차광부재(16)의 계속적인 상하 이동 및 정지를 제어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 receives the stored amount of light from the upper light sensor 22 and the lower light sensor 24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20 while the light blocking member 16 is moved in real time. Compared with the reference light amount, the light blocking member 16 continuously moves up and down and stops.

특히, 상기 자동 차광장치(1)는 입사되는 빛이 상측 창틀까지 입사될 때 차광부재가 창문의 상측 창틀까지 상승하는 것을 막기 위한 제 1제한스위치(11)를 구비하며, 입사되는 빛이 하측 창틀까지 입사될 때 차광부재(16)가 창문의 하측 창틀까지 하강하는 것을 막기 위한 제 2제한스위치(31)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제 1및 제 2제한 스위치(11,31)를 통해 차광부재(16)의 과상승 및 과하강을 방지하므로써, 자동 차광장치(1)의 고장을 방지한다. In particular, the automatic light shielding device 1 includes a first limit switch 11 for preventing the light blocking member from rising to the upper window frame of the window when the incident light is incident to the upper window frame, and the incident light is lower window frame. The light blocking member 16 is provided with a second limit switch 31 to prevent the light blocking member 16 from descending to the lower window frame of the window when the light is incident. The failure of the automatic light shielding device 1 is prevented by preventing the light blocking member 16 from rising and fall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limit switches 11 and 31.

그리고, 본 발명의 자동 차광장치(1)는 내부적으로 리모콘 수신부(70)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외부 리모콘(80)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받는다. 상기 리모콘 수신부(70)를 통해 수신된 제어신호는 상기 제어부(40)로 출력되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승강부재(30)를 제어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automatic light shield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mote controller receiver 70 internally, and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external remote controller 80. The contro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receiving unit 70 is output to the control unit 40, the control unit 40 may control the lifting member 30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특히, 상기 외부 리모콘(80)으로 수신되는 제어신호는 본 발명인 자동 차광장치(1)를 수동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자동 차광장치(1)를 수동으로 제어할 경우 상기 센서부(20)가 동작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particular, the control signal received by the external remote controller 80 may control the automatic light shielding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nually. When the automatic light blocking device 1 is manually controlled, the sensor unit 20 may not be operated.

상기 자동 차광장치(1)를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외부 리모콘(80)에 차광부재(16)를 승하강 시키기 위한 별도의 버튼이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자동 차광장치(1)를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한다. In order to manually control the automatic light blocking device 1, a separate button may be provided on the external remote controller 80 to raise and lower the light blocking member 16, and the user may operate the automatic light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utton. Allows manual control of (1).

도 4은 본 발명의 자동 차광장치가 설치된 창문의 외부 상태도이다. 4 is an external state diagram of a window in which the automatic light shiel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도 4을 참조하면, 상기 센서부(20)는 상기 차광부재(16)의 외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부(20)를 상기 차광부재(16)의 외측에 구비하는 이유는 창문(10)을 통해 입사하는 직사광의 유무를 잘 센싱하여 차광부재(16)를 위치시키기 위한 경계점을 잘 찾기 위해서이다. Referring to FIG. 4, the sensor unit 2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light blocking member 16. The reason why the sensor unit 20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light blocking member 16 is to sense well or not the direct light incident through the window 10 to find the boundary point for positioning the light blocking member 16 well. .

도 5내지 도 7은 본 발명인 자동 차광장치가 설치된 건물내의 창문을 간략도로 나타낸 것이다. 5 to 7 is a simplified view of the window in the building is installed the inventors light shielding device.

도 5를 참조하면, 태양이 낮은 고도에 있을 때, 즉 아침이나 오후에는 상기 창문(10)에 직사광이 다 비추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 광센서(22) 및 하부 광센서(24)로 이루어진 센서부(20)는 창문(10)의 상부까지 입사되는 직사광을 감지하게 되고, 상기 차광부재(16)를 창문(10)의 상측까지 상승시키게 된다. Referring to FIG. 5, when the sun is at a low altitude, that is, in the morning or afternoon, direct sunlight shines on the window 10. Accordingly, the sensor unit 20 including the upper light sensor 22 and the lower light sensor 24 detects direct light incident to the upper portion of the window 10 and moves the light blocking member 16 to the window 10. ) To the upper side of the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창문(10)으로 입사되는 직사광이 창문(10) 전면을 다 비추게 됨에 따라 상기 상부 광센서(22) 및 하부 광센서(24)에서 수광된 빛이 기준 광량보다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센서부(20)가 부착된 차광부재(16)는 직사광이 입사되는 경계점을 찾고 상기 승강부재(30)에 의해 점차적으로 위로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More specifically, as the direct light incident on the window 10 illuminates the entire surface of the window 10, the light received from the upper light sensor 22 and the lower light sensor 24 becomes larger than a reference light amount. Accordingly, the light blocking member 16 to which the sensor unit 20 is attached is gradually raised upward by the elevating member 30 to find the boundary point where the direct light is incident.

상기 차광부재(16)는 점점 상승함에 따라 창문(10) 전면을 다 가리게 되어 창문(10)을 통해 입사되는 직사광을 차단하므로써, 건물 내부에 진열된 상품이나 건물 내부에서 활동하는 사람이 직사광에 노출되지 않아 사람은 직사광으로 인한 눈부심, 더워를 줄일 수 있고, 진열품은 빛바램, 부패 및 훼손 등을 줄일 수 있다. As the light blocking member 16 gradually rises to cover the entire window 10 and blocks direct light incident through the window 10, a product displayed in the building or a person who is active in the building is exposed to direct light. Therefore, people can reduce glare and heat caused by direct sunlight, and display goods can reduce light fading, decay and damage.

특히, 상기 차광장치(1)는 입사되는 빛이 상측 창틀까지 입사될 때 차광부재(16)가 창문의 상측 창틀까지 상승하는 것을 막기 위한 제 1제한스위치(11)를 구비하며, 입사되는 빛이 하측 창틀까지 입사될 때 차광부재가 창문의 하측 창틀까지 하강하는 것을 막기 위한 제 2제한스위치(31)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 2제한 스위치(31)는 그림의 구성상 도 5내지 도 7에서 표시한다. In particular, the light blocking device 1 includes a first limit switch 11 for preventing the light blocking member 16 from rising to the upper window frame of the window when the incident light is incident to the upper window frame. And a second limiting switch 31 for preventing the light blocking member from descending to the lower window frame of the window when incident to the lower window frame. The second limit switch 31 is shown in FIGS. 5 to 7 in the construction of the figure.

도 6은 태양이 도 5의 태양의 고도보다 약간 높은 중간 고도에서 태양이 상기 자동 차광장치(1)가 설치된 창문(10)을 비추었을 때를 나타낸 것으로 건물에 입사되는 직사광이 건물 처마(90)에 의해 일부 차단된다. 따라서, 자동 차광장치(1) 가 장착된 창문(10)에는 일부의 직사광만 입사된다. 상기 센서부(20)는 상기 직사광이 입사되는 지점과 입사되지 않는 지점을 경계점을 상기 상부 광센서(22) 및 하부 광센서(24)를 이용하여 추적한다. FIG. 6 shows when the sun hits a window 10 in which the automatic shading device 1 is installed at a medium altitude slightly higher than the sun elevation of FIG. 5 in which direct sunlight entering a building eaves 90 Is blocked by some. Therefore, only part of the direct light is incident on the window 10 on which the automatic light shielding device 1 is mounted. The sensor unit 20 tracks the point where the direct light is incident and the point where it is not incident by using the upper light sensor 22 and the lower light sensor 24.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상부 광센서(22) 및 하부광센서(24)에서 수광하는 광량이 기준광량보다 크면 상기 승강부재(30)에 의해 상기 차광부재(16)는 계속적으로 상승되다가, 상기 상부 광센서(22)에 수신된 광량이 상기 기준 광량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하부 광센서에 수신된 광량이 상기 기준광량보다 크거나 같을 때 상기 승강부재(30)에 의해 차광부재(16)는 정지된다. 즉, 상기 센서부(20)는 직사광이 들어오는 지점과 들어오지 않는 경계점을 추적하여 상기 차광부재(16)를 경계점에서 정지시킨다. 상기 차광부재(16)를 직사광이 입사되는 곳까지만 상승시키므로써, 직사광으로부터 건물 내부의 사람이나 사물을 보호하고, 직사광이 입사되지 않는 곳을 통해 시야를 확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직사광이 입사되지 않는 곳을 통해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므로써, 내부에 진열된 상품을 광고효과가 있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upper light sensor 22 and the lower light sensor 24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light amount, the light blocking member 16 is continuously raised by the elevating member 30, and the upper light The light blocking member 16 is stopped by the elevating member 30 when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sensor 22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light amount and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ower light senso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light amount. . That is, the sensor unit 20 stops the light blocking member 16 at the boundary point by tracking the boundary point where direct light does not enter and the boundary point which does not enter. By raising the light blocking member 16 only to the place where the direct light is incid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protect people or objects inside the building from the direct light, and to enlarge the field of view through the place where the direct light is not incident. Since the inside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lace where the direct light is not incident, there is an advertising effect on the goods displayed inside.

도 7은 태양이 도 6의 태양의 고도보다 더 높은 고도인 정오시간대에 상기 자동 차광장치(1)가 설치된 창문(10)을 비추었을 때를 나타낸 것으로 건물에 입사되는 직사광이 처마에 의해 대부분 차단되고 창문(10)의 하단 일부가 직사광에 노출되게 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도 6에서 창문의 상측으로 올라갔던 차광부재(16)는 다시 센서부(20)의 경계점 인식에 의해 자동으로 하강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상부 광센서(22)및 상기 하부 광센서(24)로 수광된 광량이 기준 광량보 다 작거나 같을 때 상기 차광부재(16)는 상기 승강부재(30)에 의해 아래로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차광부재(16)는 상기 센서부(20)의 출력이 기준광량보다 작을때 계속적으로 하강하다가 상부 광센서(22)에서 수광된 광량이 기준광량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하부 광센서(24)에 수광한 광량이 상기 기준광량보다 크거나 같을 때 정지하게 된다. FIG. 7 is a view showing when the sun shines on the window 10 in which the automatic light shielding device 1 is installed at noon time when the sun is higher than the altitude of the sun of FIG. The lower part of the window 10 is exposed to direct sunlight. Therefore, the light blocking member 16 which is raised to the upper side of the window in FIG. 6 is automatically lowered again by the boundary point recognition of the sensor unit 20. More specifically, when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upper light sensor 22 and the lower light sensor 24 is less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light amount, the light blocking member 16 is lowered downward by the elevating member 30. Done. In addition, the light blocking member 16 continuously lowers when the output of the sensor unit 20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light amount, and the light received by the upper light sensor 22 is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light amount, and the lower light sensor ( The light received in 24) is stopped when i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light quantity.

상기 차광부재(16)가 하강함에 따라 창문(10)의 일부에만 비추어지는 직사광을 차단시키고 직사광이 입사되지 않는 전면 대부분을 통해 시야를 확대할 수 있어, 내부에 진열된 상품을 더욱 광고할 수 있으며, 사람은 확대된 시야를 통해 상쾌함이나 답답함을 해소할 수 있다. As the light blocking member 16 descends, it blocks the direct light shining on a part of the window 10 and enlarges the field of view through most of the front surface where the direct light is not incident, thereby further advertising the product displayed therein. For example, a person can relieve freshness or frustration through an enlarged view.

본 발명의 자동 차광장치(1)는 일출시에는 상기 차광부재(16)가 위로 상승했다가 정오가 되면 상기 처마(90)에 의해 직사광이 차단되므로 아래로 하강하였다가 다시 오후가 됨에 따라 점점 위로 올라간다. 그리고 일몰시에는 직사광이 없으므로 상기 차광부재(16)는 아래로 하강하게 되어 시야가 더욱 확대될 수 있다. 즉, 상기 자동 차광장치(1)는 시간대별, 계절별로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automatic light shielding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rises upward at the time of sunrise, and when it is noon, the direct light is blocked by the eaves 90 so that the light shielding member 1 descends downward and then gradually increases as the afternoon comes. Going up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direct sunlight at sunset, the light blocking member 16 may be lowered to further expand the field of view. That is, the automatic light shielding device 1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in various time zones, seasons.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창문의 설치방향이 남향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서향으로 설치된 창문의 경우에는 본 실시예와 반대로 자동 차광장치(1)가 구동함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은 창문의 설치 방향에 따라 입사되는 빛을 감지하여 빛을 차광한다는 장점이 있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window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south side, but in the case of the window installed in the west direction, as opposed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automatic light shielding device 1 is of course driven.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locking the light by detecting the incident light in accordance with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window.

도 8은 도 1과 달리 승강부재가 창문의 상단부에 설치되었을 때를 나타낸 것이다. FIG. 8 illustrates when the lifting member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window unlike FIG. 1.

도 8을 참조하면, 도 1과 달리 자동 차광장치(1)가 창문(10)의 상단부에 설치되므로써 전면을 다 비추다가 서서히 상부쪽만을 비추는 창문에 적용되어 설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unlike FIG. 1, the automatic light shielding device 1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window 10 so as to illuminate the entire surface and to be applied to the window gradually illuminating only the upper sid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창문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자동 차광장치(1)는 승강부재(30)를 이용하여 차광부재(16)를 위에서 아래로 하강시키거나 상승시킨다.More specifically, the automatic light blocking device 1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window lowers or raises the light blocking member 16 from the top or the bottom using the elevating member 30.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서향이나 북향으로 설치된 창문(10)은 태양이 정오를 기준으로 서쪽으로 질 때 직사광에 노출되게 된다. 즉, 태양이 정오에 가까이 있을수록 서향이나 북향인 창문은 상부부터 직사광에 노출되게 된다. In general, the windows 10 installed in the west or north of Korea are exposed to direct sunlight when the sun goes west on the basis of noon. In other words, the closer the sun is to noon, the westward or northward windows are exposed to direct sunlight from the top.

따라서, 본 발명인 자동 차광장치(1)가 서향이나 북향으로 설치된 창문의 상단부에 장착되므로써, 상부부터 비추는 직사광을 센서부(20)로 감지하여 차광부재(16)를 아래로 하강시킨다. 또한, 태양이 서쪽 방향의 낮은 고도로 이동할수록 창문의 일부에만 직사광이 입사하므로써 차광부재(16)는 승강부재(30)에 의해 상승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window installed in the west or north facing the light shielding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by detecting the direct light shining from the top with the sensor unit 20 to lower the light blocking member 16 down. In addition, as the sun moves to a lower altitude in the west direction, the light blocking member 16 is lifted by the elevating member 30 because direct light is incident on only part of the window.

또한, 차광부재(16)가 창틀의 하측 창틀까지 하강하는 것을 막기 위한 제 1제한 스위치(11) 및 입사되는 빛이 상측 창틀까지 입사될 때, 차광부재(16)가 창문(10)의 상측까지 상승하는 것을 막기 위한 제 2 제한 스위치(31)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 2제한 스위치(31)는 그림의 구성상 도 9내지 도 11에 표시한다. In addition, when the light blocking member 16 enters the upper window frame with the first limit switch 11 for preventing the lowering of the window frame from descending to the lower window frame, the light blocking member 16 extends to the upper side of the window 10. A second limit switch 31 is provided to prevent the rise. The second limit switch 31 is shown in Figs. 9 to 11 in the construction of the figure.

도 9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차광장치가 창문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태양의 이동에 따라 작동하는 것을 간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9 to 11 schematically show that the automatic sha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window and operat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un.

도 9는 건물의 창문(10)이 서쪽으로 설치되고, 태양이 서쪽 방향으로 비교적 높은 고도에 있을 때 자동 차광장치(1)가 설치된 건물에 입사되는 직사광의 면적을 나타내는것으로써, 창문(10)의 대부분 면적이 직사광에 의해 노출되게 된다. 즉, 태양의 고도가 비교적 높으므로써, 타 건물(91)에 의해 빛이 가리지 않아 창문의 대부분이 노출되게 된다. 이때, 건물 창문(10)의 상부에 설치된 자동 차광장치(1)는 승강부재(30)를 이용하여 차광부재(16)를 하강시켜 직사광에 노출된 창문 전면을 가리게 된다. FIG. 9 shows the area of the direct light incident on the building in which the automatic light shield 1 is installed when the window 10 of the building is installed to the west and the sun is at a relatively high altitude in the west direction. Most of the area is exposed to direct sunlight. That is, since the altitude of the sun is relatively high, the light is not obscured by other buildings 91, so that most of the windows are exposed. At this time, the automatic light shielding device 1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uilding window 10 lowers the light blocking member 16 by using the elevating member 30 to cover the front window exposed to direct sunlight.

특히, 차광부재(16)는 제 1 제한 스위치(11)까지만 하강하게 되고, 제 2 제한 스위치(31)까지만 상승하게 된다. In particular, the light blocking member 16 is lowered only up to the first limit switch 11 and only up to the second limit switch 31.

도 10은 도 9와 달리 태양이 중간고도에 위치했을 때를 나타낸 것으로 직사광이 타 건물(91)에 가려 창문(10)의 일부만을 비추게 된다. 따라서, 도 9에서 창문의 전면을 다 가리던 차광부재(16)는 빛의 경계를 감지에 의해 상하로 이동된다. FIG. 10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sun is positioned at an intermediate altitude, unlike in FIG. 9, in which direct sunlight is applied to another building 91 so that only a part of the window 10 is illuminated. Therefore, the light blocking member 16 covering the front of the window in FIG. 9 is moved up and down by sensing the boundary of light.

도 11은 도 9와 달리 태양이 낮은 고도에 위치했을 때를 나타낸 것으로 직사광의 대부분이 타 건물에 가려 창문에 극 일부만 비추된 것을 나타낸 것으로써, 창문의 상부에 설치된 자동 차광장치(1)는 차광부재(16)를 센서부(20)의 출력에 따라 빛의 경계점까지 상승시킨다. FIG. 11 illustrates when the sun is located at a low altitude unlike in FIG. 9, in which most of the direct light is covered by other buildings, and only a part of the poles is reflected on the window. The member 16 is raised to the boundary of light in accordance with the output of the sensor unit 20.

상기 도 9내지 도 11은 창문의 방향이 서향이나 북향으로 설치된 건물에 본 발명인 자동 차광장치(1)를 창문(10)의 상단부에 설치하고, 태양의 고도에 따라 입 사되는 직사광을 차단한다. 즉, 상기 승강부재(30)는 차광부재(16)를 하강시켜 창문(10)의 전면을 가리다가 점차적으로 창문(10)의 일부만을 가리게 된다. 9 to 11 are install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window 10, the automatic light shielding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building installed in the west or north direction of the window, and blocks the direct light incident according to the altitude of the sun. That is, the elevating member 30 lowers the light blocking member 16 to cover the front of the window 10 and gradually covers only a part of the window 10.

상단부에도 자동 차광장치(1)를 설치하여 작동시키므로써, 창문(10)의 설치 방향에 따라 보다 효율적으로 직사광 차단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By installing and operating the automatic shading device 1 on the upper e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blocked more efficiently in direct sunlight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window (10).

도 1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차광장치(2)의 승강부재(200)를 나타낸 것이고, 도 13는 승강부재에 의해 차광부재가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14은 승강부재에 의해 차광부재가 완전히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12 is a view showing a lifting member 200 of the automatic light shielding device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light blocking member is lowered by the lifting member, and FIG. As a result, the light blocking member is completely lowered.

도 12내지 도 1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자동 차광장치(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상기 도 1내지 11의 승강부재(30)와 달리 와이어(32) 대신 링크부재(300)를 이용하여 차광부재(210)를 승하강 시킨다. 12 to 14, the automatic light shielding device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lifting member 30 of FIGS. 1 to 11,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the wire 32. ) To raise and lower the light blocking member 21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자동 차광장치(2)의 승강부재(200)는 차광부재(210)의 상단부를 고정하는 고정봉(100), 상기 차광부재(210)의 하단부가 스파이럴 스프링(222)이 의해 고정된 권취봉(220), 상기 하단이 구동모터(340)에 의해 회전되는 하부링크(310)와, 하단 및 상단이 상기 하부링크(310)의 상단 및 상기 고정봉(100)의 단부에 각각 축결합(330; axis combination)되는 상부링크(340)로 이루어진 링크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lifting member 200 of the automatic light shielding device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xing rod 100 for fixing the upper end of the light blocking member 210, and a lower end of the light blocking member 210 has a spiral spring 222. Winding rods 220 fixed by the lower link, the lower link 310 is rotated by the drive motor 340, the lower end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link 310 and the end of the fixing rod 10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ink member 300 consisting of an upper link 340, each of the axis combination (330; axis combination).

상기 차광부재(210)에 대한 설명은 도 1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Description of the light blocking member 210 is the same as in FIG. 1 and will be omitted.

상기 고정봉(100)은 상기 차광부재(210)의 상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링크부재(300)의 제어에 의해 상하로 이동된다. 특히,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고정 봉(100)의 외측에는 도 1내지 도 11에서 도시된 상부 광센서(22) 및 하부 광센서(24)로 이루어진 센서부(20)가 마찬가지로 구비된다. The fixing rod 100 is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light blocking member 210 and moved up and down by the control of the link member 300. In particular, although not shown, the outer side of the fixing rod 100 is provided with a sensor unit 20 composed of the upper light sensor 22 and the lower light sensor 24 shown in FIGS. 1 to 11.

상기 권취봉(220)에 대한 설명은 상기 도 1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Description of the winding rod 220 is omitted because it is the same as FIG.

상기 링크부재(300)는 상기 권취봉(220)과 고정봉(100)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차광부재(210)를 승하강 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하부링크(310)의 양 상단은 상기 상부링크(320)의 양 하단과 각각 축결합(330)되고 상기 하부링크(310)의 양 하단은 구동모터(340)에 의해 각각 회전된다. 또한 상기 상부링크(320)의 양 상단은 상기 고정봉(100)과 축결합(342)된다. The link member 300 is positioned between the winding rod 220 and the fixed rod 100 to raise and lower the light blocking member 210. More specifically, both upper ends of the lower link 310 are axially coupled to both lower ends of the upper link 320, respectively, and both lower ends of the lower link 310 are respectively rotated by the driving motor 340. do. In addition, both upper ends of the upper link 320 is axially coupled to the fixing rod 100 (342).

특히,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고정봉의 외측 센서부에 수광되는 광량에 따라 상기 승강부재(200)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은 상기 도 1내지 11의 승강부재(30) 제어 방법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In particular, the description of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elevating member 200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outer sensor portion of the fixed r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mitted because it is the same as the control method of the elevating member 30 of FIGS. 1 to 11. do.

상기 자동 차광장치(2)가 설치된 창문 전면에 직사광이 입사된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링크(310)와 상부링크(320)가 상기 축결합(330)된 부분이 180도를 이루는 일자형 축결합이 되고, 상기 차광부재(210)의 상부가 결합된 고정봉(100)이 높이 상승하여 상기 차광부재(210)에 의해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직사광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권취봉(220)의 스파이럴 스프링(222)에 의해 감겨진 차광부재(210)는 대부분 풀려진 상태이다. When the direct light is incident on the front surface of the window where the automatic light shielding device 2 is installed, the portion where the lower link 310 and the upper link 320 are axially coupled 330 is 180 degrees as shown in FIG. 8. It becomes a straight axial coupling to form, the fixing rod 100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ight blocking member 210 is raised to block the direct 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by the light blocking member 210. In addition, most of the light blocking member 210 wound by the spiral spring 222 of the winding rod 220 is in a released state.

도 13는 창문의 일부만 직사광이 입사되어 상기 구동모터(340)에 의해 회전하는 하부링크(310)의 하단이 안쪽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이며, 상기 하부링크(310) 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하부링크(310)와 상부링크(320)가 축결합(330)된 부분이 각을 이루게 된다. 상기 축결합(330)된 부분이 각을 이룸에 따라 상기 고정봉(100)은 아래로 하강하게 된다. 즉, 상기 구동모터(340)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하부링크(310)의 하단이 많이 회전되면 될수록 상기 하부링크(310)의 상단과 상기 상부링크(320)의 하단의 축결합(330) 각도는 작아진다. 상기 축결합(330) 각도가 작아질수록 상기 고정봉(100)은 아래로 하강하게 되며, 상기 고정봉(100)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차광부재(210)의 일부가 하단부터 상기 권취봉(220)의 스파이럴 스프링(222)에 의해 감기게 된다. 따라서, 상기 권취봉(220)이 하강한 만큼 시야가 확대되어 내부의 진열품이 외부에 광고되는 효과가 있다FIG. 13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link 310 rotated by the driving motor 340 is rotated inward, when only a part of the window is directly exposed to light, and the lower link 310 is rotated by the lower link 310. 310 and the upper link 320 is the shaft coupling portion 330 is an angle. As the axially coupled portion 330 forms an angle, the fixing rod 100 descends downward. That is, the more the lower end of the lower link 310 rotated by the drive motor 340, the more the angle of the shaft coupling 330 of the upper end of the lower link 310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link 320 is Becomes smaller. As the angle of the shaft coupling 330 decreases, the fixing rod 100 descends downward, and as the fixing rod 100 descends, a part of the light blocking member 210 is wound around the winding rod 220. It is wound by the spiral spring (222). Therefore, the field of view is enlarged as the winding rod 220 descends, so that the display items inside are advertised to the outside.

도14은 입사되는 직사광이 없을 때인 해가 없는 날이나 밤을 나타낸 것으로, 직사광이 입사되지 않을 때는 상기 구동모터(340)에 의해 회전하는 하부링크(310)의 하단이 상기 권취봉(220)과 평행한 안쪽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상부링크(320) 및 하부링크(310)는 겹쳐지는 것에 가깝게 되며, 상기 고정봉(100)에 고정된 차광부재(210)는 상기 권취봉(220)의 스파이럴 스프링(222)에 의해 전면 대부분이 감기게 된다. 따라서, 상기 차광부재가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222)에 감긴만큼 상기 고정봉(100)이 아래로 하강하게 되고 상기 고정봉(100)이 하강된 만큼 시야가 확대된다. FIG. 14 illustrates a day or night of no sun when no direct sunlight is incident. When the direct light is not incident, the lower end of the lower link 310 rotated by the driving motor 340 is the winding rod 220. It rotates in a parallel inward direction, the upper link 320 and the lower link 310 is close to overlapping, the light blocking member 210 fixed to the fixing rod 100 is a spiral of the winding rod 220 Most of the front surface is wound by the spring 222. Therefore, as the light blocking member is wound around the spiral spring 222, the fixing rod 100 is lowered and the field of view is enlarged as the fixing rod 100 is lowered.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차광장치는 건물 내의 창문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후면 유리창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자동차 후면 유리창을 통해 입사되는 직사광을 자동으로 차단시키므로써, 자동차의 내부의 운전자나 탑승자가 직사광에 노출되지 않게 하는 장점이 있다. The automatic sha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a rear window of a car as well as a window in a building, and automatically blocks direct light incident through the rear window of the car, thereby preventing a driver or a passenger inside the car from being exposed to direct light. There is an advantage to avoid.

또한, 직사광이 입사되지 않을 때는 상기 승강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차광부재를 하강시키므로써 탑승자나 운전자가 시야를 더욱 확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direct light is not incident, the occupant or driver may further expand the field of view by lowering the light blocking member by using the elevating member.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자동 차광장치는 직사광이 비춰지는 경계만큼을 광센서로 감지하여 차광부재가 광경계에 자동으로 위치하도록 하는 장치로서 직사광만은 차단시켜 창문 내부에서 활동하는 사람이나 내부에 진열된 상품을 직사광으로부터 보호하고, 직사광이 비추지 않는 곳은 차광부재를 위치시키지 않음으로써, 시야를 확대할 수 있다. 즉, 자동 차광장치는 직사광을 차단시키면서 시야각을 확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utomatic light shiel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boundary of the direct light with a light sensor so that the light blocking member is automatically positioned in the light boundary. The field of view can be enlarged by protecting the goods displayed at in direct sunlight, and by not placing a light shielding member where the direct light does not shine. That is, the automatic light shielding device has an advantage that the viewing angle can be enlarged while blocking direct light.

특히, 본 발명인 자동 차광장치는 자동모드 또는 수동모드로 자유롭게 조작할 수 있으며, 자동모드로 조작시 자동으로 직사광을 추적하여 차광부재를 위치시키므로써 번거로운 관리가 필요 없어 편리하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shading device can be freely operated in the automatic mode or the manual mode, it is convenient because it does not require cumbersome management by positioning the light blocking member to automatically track direct light when operating in the automatic mode.

아울러, 자동차의 후면 유리창 내부에 본 발명인 자동 차광장치를 설치하므로써, 운전자나 탑승자가 직사광에 노출되어 눈부심, 화상 및 더위 등의 피해를 보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installing the automatic light shiel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side the rear window of the vehicle,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driver or passengers from being exposed to direct sunlight to see the damage such as glare, burns and heat.

특히, 건물 내부의 진열품 같은 경우에는 직사광만을 차단시켜주므로써 진열품의 빛바램, 부패, 및 훼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display of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only by blocking the direct ligh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fading, decay, and damage of the display.

Claims (5)

삭제delete 차광부재와; A light blocking member; 상기 차광부재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부재와; An elevating member for elevating the light blocking member up and down; 상부 광센서와, 상기 상부 광센서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 광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차광부재의 단부에 설치되는 센서부와; A sensor unit including an upper optical sensor and a lower optical sensor positioned below the upper optical sensor and installed at an end of the light blocking member; 상기 상부 광센서와 상기 하부 광센서에 각각 수광된 광량에 따라 상기 승강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elevating member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upper optical sensor and the lower optical sensor, respectively. 상기 차광부재는 피차광 유리의 하단부 또는 상단부에 설치되고, The light blocking member is installed at a lower end or an upper end of the light shielding glass,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광센서 및 상기 하부 광센서에 각각 수광된 광량이 기준광량보다 큰 경우, 상기 차광 부재가 상승되도록 상기 승강부재를 제어하고, The controller controls the lifting member to raise the light blocking member when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upper optical sensor and the lower optical sensor is greater than a reference light amount, 상기 상부 광센서 및 상기 하부 광센서에 각각 수광된 광량이 상기 기준광량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차광부재가 하강되도록 상기 승강부재를 제어하고, If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upper light sensor and the lower light sensor, respectively,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light amount, the lifting member is controlled so that the light blocking member is lowered, 상기 상부 광센서에 수광된 광량이 상기 기준광량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하부 광센서에 수광된 광량이 상기 기준광량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차광부재가 정지하도록 상기 승강부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차광장치. And when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upper optical sensor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light amount and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ower optical senso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light amount, controlling the lifting member to stop the light blocking member. Automatic shading mad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부재는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ifting member 상기 차광부재의 상측 양단에 각각 일단이 고정되는 와이어(wire)와;Wires having one end fixed to both upper ends of the light blocking member; 상기 차광부재의 하단부 또는 상단부가 고정되고, 일단 또는 양단에 스파이럴 스프링(spiral spring)이 장착된 권취봉(roll pole)과;A roll pole having a lower end or an upper end of the light blocking member fixed thereto and having a spiral spring mounted at one or both ends thereof; 회전축에 상기 와이어의 타단이 고정되어 상기 와이어가 선택적으로 권취되는 권취 풀리(roll pully)가 장착된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차광장치.And a drive motor having a roll pully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wire is fixed to a rotation shaft and to which the wire is selectively woun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재의 상단부는 고정봉에 고정되고,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upper end of the light blocking member is fixed to the fixing rod,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차광부재의 하단부가 고정되고, 일단 또는 양단에 스파이럴 스프링이 장착된 권취봉과;The lifting member has a lower end of the light blocking member is fixed, the winding rod is mounted on one or both ends of the spiral spring; 하단이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하부링크와, 하단 및 상단이 상기 하부링크의 상단 및 상기 고정봉의 단부에 각각 축결합(axis combination)되는 상부링크로 이루어지는 링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차광장치.And a link member formed of a lower link whose lower end is rotated by a drive motor, and an upper link whose lower end and upper end are axially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lower link and an end of the fixing rod, respectively. Automatic shading made.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모콘으로부터 송신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 수신부가 더 구비되고,The remote control receiv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further comprising a remote control receiver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모콘 수신부에 수신된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승강부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차광장치.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lifting member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receiver.
KR1020070004161A 2007-01-15 2007-01-15 Auto sunshield device KR1008800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4161A KR100880053B1 (en) 2007-01-15 2007-01-15 Auto sunshield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4161A KR100880053B1 (en) 2007-01-15 2007-01-15 Auto sunshield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7058A KR20080067058A (en) 2008-07-18
KR100880053B1 true KR100880053B1 (en) 2009-01-22

Family

ID=39821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4161A KR100880053B1 (en) 2007-01-15 2007-01-15 Auto sunshield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0053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5186A (en) * 1989-06-22 1991-02-01 Seiko Epson Corp Blind
JPH078120A (en) * 1993-06-21 1995-01-13 Chineharu Noguchi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sheet blind apparatus and small-sized greenhouse
JPH1156594A (en) 1997-08-14 1999-03-02 I D:Kk Automatic opening/closing-type exterior bamboo blind
KR200215995Y1 (en) * 2000-10-26 2001-03-15 모병조 Blind
KR20030025109A (en) * 2001-09-19 2003-03-28 이성규 Vertical blind apparatus
KR200405932Y1 (en) 2005-10-05 2006-01-11 주식회사 한스 Auto control blinds apparatus built in multi-layer window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5186A (en) * 1989-06-22 1991-02-01 Seiko Epson Corp Blind
JPH078120A (en) * 1993-06-21 1995-01-13 Chineharu Noguchi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sheet blind apparatus and small-sized greenhouse
JPH1156594A (en) 1997-08-14 1999-03-02 I D:Kk Automatic opening/closing-type exterior bamboo blind
KR200215995Y1 (en) * 2000-10-26 2001-03-15 모병조 Blind
KR20030025109A (en) * 2001-09-19 2003-03-28 이성규 Vertical blind apparatus
KR200405932Y1 (en) 2005-10-05 2006-01-11 주식회사 한스 Auto control blinds apparatus built in multi-layer windo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7058A (en) 2008-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29952A (en) Tracking reflector assembly for a skylight
US5088543A (en) Skylight shade
KR101613621B1 (en) Large Scale External Awning System for High-rise Buildings
CN107288524B (en) Intelligent louver outer sun-shading device convenient to disassemble
CN106320888A (en) Climate sensing control device for glass structure building
KR101586399B1 (en) A window having louver for sunlight blocking and rainwater inflow prevention
KR101592403B1 (en) A built-in blinds window
KR100859269B1 (en) A curtain apparatus for blinder type
KR101266800B1 (en)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sun based on the season by auto work light awning device
CN209724178U (en) Automatic sun-shading heat insulation window
EP0511956A1 (en) System for fitting windows of buildings
KR101865482B1 (en) An Extension awning
KR101765013B1 (en) sun shield apparatus for outside
KR20160117929A (en) Screen device
KR100880053B1 (en) Auto sunshield device
KR101133449B1 (en) Apparatus for shading installed at outside window
KR101224131B1 (en) Dual sliding opening and closing type arcade gallery system controlled by central controller
CN110786712A (en) Curtain control system and method and electric curtain
KR101125347B1 (en) Roll Screen Apparatus
CN110714693A (en) Intelligent sunshade integrated system window
KR200482821Y1 (en) electromotion type roll blind with tension device
KR101133448B1 (en) Apparatus for shading installed at outside window
CN113668907A (en) Multifunctional sunlight room
CN114165155A (en) Intelligent water guide adjusting device for doors and windows
JP2000179258A (en)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for motor-driven bli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507

Effective date: 200809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