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0046B1 - Apparatus and method of relay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for emergency broadcasting servic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of relay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for emergency broadcasting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0046B1
KR100880046B1 KR1020070108528A KR20070108528A KR100880046B1 KR 100880046 B1 KR100880046 B1 KR 100880046B1 KR 1020070108528 A KR1020070108528 A KR 1020070108528A KR 20070108528 A KR20070108528 A KR 20070108528A KR 100880046 B1 KR100880046 B1 KR 100880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roadcast
emergency
service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85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병준
이용태
윤정일
김건
음호민
이재영
임종수
이수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0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00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02Arrangements for relaying broadcas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36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media transcoding, e.g. video is transformed into a slideshow of still pictures, audio is converted into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An apparatus and a method of relaying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 for an emergency broadcasting service are provided to convert a currently broadcast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to an emergency signal, and transmit the emergency signal, thereby easily providing the emergency broadcasting service to a specific area. A broadcasting relay apparatus(100) comprises a broadcasting receiving unit(110), an emergency signal generating unit(130), a signal switching unit(120) and a broadcasting transmitting unit(140). The emergency signal generating unit encodes, multiplexes and modulates an emergency broadcasting message inputted from a user to be suitable for channel information of a broadcasting signal. The emergency signal generating unit generates an emergency signal. The signal switching unit switches a signal to be connected to one of the broadcasting receiving unit and the emergency signal generating unit. The broadcasting transmitting unit transmits a broadcasting signal or an emergency signal outputted from the signal switching unit.

Description

긴급방송 서비스를 위한 방송 중계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RELAY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FOR EMERGENCY BROADCASTING SERVICE}Broadcasting relay apparatus and method for emergency broadcasting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OF RELAY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FOR EMERGENCY BROADCASTING SERVICE}

본 발명은 긴급방송 서비스를 위한 방송 중계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중계하고 있다가, 사용자로부터의 긴급방송 서비스 요구에 따라 현재 중계되고 있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긴급신호로 신호 절환하여 긴급신호를 송신함으로써, 특정 지역(예를 들어, 터널, 지하철 등)에 긴급방송 서비스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재난 방송을 위한 특정 지역의 매체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긴급방송 서비스를 위한 방송 중계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oadcast relay device and method for an emergency broadcast service. More particularly,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 signal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device is relayed and is currently relayed according to an emergency broadcast service request from a user. By converting the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into an emergency signal and transmitting an emergency signal, it is possible to easily provide an emergency broadcasting service to a specific region (for example, a tunnel, a subway, etc.)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oadcast relay apparatus and method for emergency broadcast service, which can be utilized as a local medium.

본 발명은 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성장동력핵심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7-S-006-01, 과제명: OFDM 전송방식에서의 동일채널 RF 중계기술 개발].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from a study conducted as part of the IT growth engine core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of th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nd th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Channel RF Relay Technology Development].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은 유럽의 유레카(Eureka) 147 기반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시스템에 비디오 서비스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가 추가되어 상용화되었다.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has been commercialized by adding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s including video services to the European Eureka 147-based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system.

최근에,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가 상용화된 이후로 방송 신호의 품질을 높이기 위하여, 빌딩이 밀집한 곳이나 산속과 같은 음영 지역에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중계 장치를 설치하는 방안이 논의가 되고 있다. 이는 음역지역과 같이 방송 수신율이 떨어지는 지역에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중계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수신 상태를 좋게 하기 위함이다.Recently,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a broadcast signal since the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 has been commercialized, a method of installing a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lay device in a crowded area such as a building or a mountain has been discussed. This is to improve the reception state of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by installing a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lay device in a region where broadcast reception rate is low, such as a sound region.

특히, 이러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중계 장치는 방송 수신율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에서 기술한 음영 지역뿐만 아니라 터널이나 지하철과 같은 지역에도 설치되어야 한다. 향후에는 방송 수신이 제대로 되지 않는 터널이나 지하철에도 이러한 중계 장치가 설치되어 빌딩이나 산속과 같은 음영 지역뿐만 아니라 어느 곳에서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용이하게 시청하는 것이 가능해질 것이다.In particular, such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lay device should be installed not only in the above-described shaded areas but also in tunnels and subways in order to increase the broadcast reception rate. In the future, such a relay device is installed in a tunnel or subway where broadcast reception is not properly performed, and it will be possible to easily watch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nywhere in shadow areas such as buildings or mountains.

종래의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중계 장치들은 본연의 기능인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의 중계 기능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중계 장치들은 위급한 상황에 대해 대응을 할 수 있는 기능이 없는 실정이다. 다만, 중계 장치는 특정 지역에 대한 방송 신호의 중계 기능을 수행한다.Conventional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lay devices focus on the relay function of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s. Such relay devices do not have a function to respond to an emergency situation. However, the relay device performs a relay function of a broadcast signal for a specific region.

한편, 종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서는 특정 지역에만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아닌 동일한 방송 서비스를 지역에 구분없이 제공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서는 특정 지역이 아닌 전체 지역에 대한 긴급방송 또는 재난방송 서비스만을 제공할 수 있다. 특정 지역에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이용하여 해당 지역에만 긴급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Meanwhile, in the convention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he same broadcasting service is not provided to a specific region but not to a specific region.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only emergency broadcasting or disaster broadcasting services for the entire region instead of the specific region. When an emergency occurs in a specific area,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provide an emergency broadcast service only to a corresponding area by us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이용한 긴급방송 서비스를 특정 지역에만 국한하여 제공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이다.Therefore,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provide an emergency broadcasting service us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only in a specific region, and to solve such a problem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중계하고 있다가, 사용자로부터의 긴급방송 서비스 요구에 따라 현재 중계되고 있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긴급신호로 신호 절환하여 긴급신호를 송신함으로써, 특정 지역(예를 들어, 터널, 지하철 등)에 긴급방송 서비스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재난 방송을 위한 특정 지역의 매체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긴급방송 서비스를 위한 방송 중계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relays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and converts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currently being relayed according to the emergency broadcasting service request from the user into an emergency signal and transmits an emergency signal, thereby providing a specific area. A broadcast relay device for emergency broadcasting services, which can easily provide emergency broadcasting services (for example, tunnels, subways, etc.) and further utiliz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s a local media for disaster broadcasting.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ethod.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not mentioned above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t will be readily appreciated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claims.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중계하고 있다가, 사용자로부터의 긴급방송 서비스 요구에 따라 현재 중계되고 있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긴급신호로 신호 절환하여 긴급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relays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and then switches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currently being relayed in response to an emergency broadcasting service request from a user into an emergency sig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의 방송 신호를 수신처리하기 위한 방송 수신 수단;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긴급방송 메시지를 방송 신호의 채널 정보에 맞게 부호화 및 다중화하고 변조하여 긴급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긴급신호 생성 수단; 상기 방송 수신 수단 또는 상기 긴급신호 생성 수단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도록 신호 절환을 수행하되, 상기 긴급신호 생성 수단에서 긴급신호가 생성됨에 따라 상기 긴급신호 생성 수단으로 신호 절환하기 위한 신호 절환 수단; 및 상기 신호 절환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방송 신호 또는 긴급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방송 송신 수단을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roadcast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broadcast signals from the outside; Emergency signal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n emergency signal by encoding, multiplexing, and modulating an emergency broadcast message input from a user according to channel information of a broadcast signal; A signal switching means for performing signal switching so as to be connected to either the broadcast receiving means or the emergency signal generating means, and switching the signal to the emergency signal generating means as an emergency signal is generated by the emergency signal generating means; And broadcast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broadcast signal or the emergency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switching means.

한편,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처리하는 방송 수신 단계; 상기 수신처리된 방송 신호를 송신하는 방송 송신 단계;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긴급방송 메시지를 방송 신호의 채널 정보에 맞게 부호화 및 다중화하고 변조하여 긴급신호를 생성하는 긴급신호 생성 단계; 상기 긴급신호가 생성됨에 따라 상기 수신처리된 방송 신호를 상기 생성된 긴급신호로 신호 절환하는 신호 절환 단계; 및 상기 신호 절환된 긴급신호를 송신하는 긴급신호 송신 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broadcast receiving step of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from the outside; A broadcast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the received processed broadcast signal; Generating an emergency signal by encoding, multiplexing, and modulating an emergency broadcast message input from a user according to channel information of a broadcast signal; A signal switching step of switching the received broadcast signal into the generated emergency signal as the emergency signal is generated; And an emergency signal transmitting step of transmitting the signal switched emergency signal.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중계하고 있다가, 사용자로부터의 긴급방송 서비스 요구에 따라 현재 중계되고 있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긴급신호로 신호 절환하여 긴급신호를 송신함으로써, 특정 지역(예를 들어, 터널, 지하철 등)에 긴급방송 서비스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relaying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by switching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currently being relayed in response to the emergency broadcast service request from the user to the emergency signal by transmitting an emergency signal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asily provide an emergency broadcast service to a specific region (for example, tunnel, subway, etc.).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지역에서 위급한 상황에 처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사용자들에게 긴급방송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위급한 상황을 신속하게 모면할 수 있도록 하며 더 나아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재난 방송을 위한 특정 지역의 매체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mergency broadcasting service to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users who are in an emergency situation in a specific area, thereby quickly avoiding an emergency situation, and furthermore, a specific area for disaster broadcasting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It is effective to use as a medium of the.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given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shar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easy to implement.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중계하고 있다가, 사용자로부터의 긴급방송 서비스 요구에 따라 현재 중계되고 있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긴급신호로 신호 절환하여 긴급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 절환을 이용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 절환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is relayed, and the emergency signal is transmitted by converting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currently being relayed into an emergency signal according to the emergency broadcasting service request from the user. . In this case,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signal switching in the intermediate frequency band as shown in FIG. 1 or signal switching in the radio frequency band as shown in FIG. 2.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중간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 절환을 이용하여 긴급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중계 장치와, 중간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 절환을 이용하여 긴급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중계 장치에 대해 실시예를 달리하여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broadcast relay device for providing an emergency broadcast service using a signal switching in an intermediate frequency band and a broadcast relay device for providing an emergency broadcast service using a signal switching in an intermediate frequency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et's look at the different.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긴급방송 서비스를 위한 방송 중계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broadcast relay device for an emergency broadcast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긴급방송 서비스를 위한 방송 중계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10), 신호 절환부(120), 긴급신호 생성부(130) 및 방송 송신부(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방송 수신부(110)는 지상파 DMB RF 수신부(111)와 주파수 하향부(주파수 하향 변환부)(112)를 포함한다. 또한, 방송 송신부(140)는 주파수 상향부(주파수 상향 변환부)(141)와 지상파 DMB RF 송신부(142)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broadcast relay apparatus 100 for an emergency broadcast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oadcast receiver 110, a signal switcher 120, an emergency signal generator 130, and a broadcast transmitter 140. It includes. Here, the broadcast receiver 110 includes a terrestrial DMB RF receiver 111 and a frequency downlink (frequency down converter) 112. In addition, the broadcast transmitter 140 includes a frequency uplink (frequency upconversion) 141 and a terrestrial DMB RF transmitter 142.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중계 장치(100)의 구성요소 각각에 대해서 상세 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ach component of the broadcast re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 따른 긴급방송 서비스를 위한 방송 중계 장치(100)는 기본적으로 방송 신호를 중계하는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중계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중계 장치(100)는 긴급상황 시 또는 사용자(운용자)의 요구에 따라 긴급신호를 생성하고, 현재 중계되고 있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상기 생성된 긴급신호로 신호 절환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 대신에 긴급신호를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broadcast relay device 100 for emergency broadcasting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performs a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relay function for relaying broadcast signals. In addition,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lay device 100 generates an emergency signal in case of an emergency or in response to a request of a user (operator), and converts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currently being relayed into the generated emergency signal to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It transmits an emergency signal instead of a signal.

먼저, 방송 수신부(110)는 무선으로 전송되는 무선주파수(RF: Radio Frequency) 대역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주파수 대역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중간주파수(IF: Immediate Frequency) 대역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로 하향 변환시킨다. 그리고 방송 수신부(110)는 변환된 중간주파수 대역 신호를 신호 절환부(120)로 전달한다. 이러한 중간주파수 대역 신호는 긴급한 상황이 아닌 경우 즉, 사용자가 요청한 긴급방송이 없으면, 신호 절환부(120)를 통과하여 방송 송신부(140)에서 주파수 상향 변환되어 방송망을 통해 송신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긴급방송 서비스를 위한 방송 중계 장치(100)는 긴급한 상황이 아니면, 외부로부터 수신된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그대로 중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First, the broadcast receiving unit 110 receives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of a radio frequency (RF) band transmitted wirelessly, and converts the received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of a radio frequency band to an intermediate frequency (IF) band immediately. Down-convert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 signal. The broadcast receiver 110 transmits the converted intermediate frequency band signal to the signal switcher 120. When the intermediate frequency band signal is not an urgent situation, that is, there is no emergency broadcast requested by the user, the intermediate frequency band signal is up-converted by the broadcast transmitter 140 and transmitted through the broadcast network through the signal switching unit 120. That is, the broadcast relay device 100 for emergency broadcast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function of relaying a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as it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지상파 DMB RF 수신부(111)는 외부로부터 무선주파수 대역의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지상파 DMB RF 수신 부(111)는 지상파 DMB 규격에 맞는 수신기능을 구비하여 무선주파수 대역 신호를 수신한다.In more detail, the terrestrial DMB RF receiver 111 receives a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of a radio frequency band from the outside. The terrestrial DMB RF receiver 111 has a reception function that conforms to the terrestrial DMB standard and receives a radio frequency band signal.

그리고 주파수 하향부(112)는 지상파 DMB RF 수신부(111)에서 수신된 무선주파수 대역의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주파수 하향시킨다. 즉, 주파수 하향부(112)는 무선주파수 대역 신호를 중간주파수 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시켜 신호 절환부(120)로 전달한다.In addition, the frequency down part 112 frequency downs the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of the radio frequency band received by the terrestrial DMB RF receiver 111. That is, the frequency downlink unit 112 down-converts the radio frequency band signal into the intermediate frequency band signal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signal switching unit 120.

이어서, 신호 절환부(120)는 긴급한 상황이 아니면, 방송 수신부(110)로부터 출력된 방송 신호 즉, 중간주파수 대역 신호(IF신호)를 그대로 방송 송신부(140)로 통과시킨다. 즉, 신호 절환부(120)는 방송 수신부(110)와 방송 송신부(140)의 신호 경로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Subsequently, the signal switching unit 120 passes the broadcast signal output from the broadcast reception unit 110, that is, the intermediate frequency band signal (IF signal), to the broadcast transmission unit 140 as it is not in an emergency situation. That is, the signal switcher 120 performs a function of connecting the signal paths of the broadcast receiver 110 and the broadcast transmitter 140.

한편, 긴급신호 생성부(130)는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면, 사용자로부터 입력 단자(예를 들어, 마이크, 키보드 등)를 통해 긴급방송 메시지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긴급신호 생성부(130)는 입력된 긴급방송 메시지를 지상파 DMB의 채널 정보에 맞게 부호화 및 다중화하고 변조하여 중간주파수 대역의 긴급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긴급신호 생성부(130)는 수신된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분석하여 지상파 DMB의 채널 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긴급신호 생성부(130)는 생성된 긴급신호를 신호 절환부(120)로 전달한다.Meanwhile,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the emergency signal generator 130 receives an emergency broadcast message through an input terminal (for example, a microphone or a keyboard) from the user. The emergency signal generator 130 encodes, multiplexes and modulates the input emergency broadcast message according to the channel information of the terrestrial DMB to generate an emergency signal of an intermediate frequency band. Here, the emergency signal generator 130 extracts channel information of the terrestrial DMB by analyzing the received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In addition, the emergency signal generator 130 transmits the generated emergency signal to the signal switcher 120.

신호 절환부(120)는 방송 수신부(110) 또는 긴급신호 생성부(130)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도록 신호 절환을 수행하되, 긴급신호 생성부(130)에서 긴급신호가 생성됨에 따라 긴급신호 생성부(130)로 신호 절환한다. 즉, 긴급신호 생성부(130) 로부터 긴급신호가 감지되면, 신호 절환부(120)는 방송 수신부(110)와 기 연결되어 있던 신호 경로를 긴급신호 생성부(130)로 변경하여 신호 절환한다. 그에 따라, 신호 절환부(120)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방송 수신부(110)로부터 출력된 중간주파수 대역 신호(지상파 DMB 신호)가 아닌 긴급신호 생성부(130)에서 생성된 중간주파수 대역 신호가 된다. 즉, 신호 절환부(120)는 긴급신호 생성부(130)와 연결된 신호 경로를 통해 중간주파수 대역의 긴급신호를 방송 송신부(140)로 전달한다.The signal switching unit 120 performs a signal switching so as to be connected to any one of the broadcast receiving unit 110 or the emergency signal generating unit 130, and the emergency signal generating unit 130 generates an emergency signal as the emergency signal is generated. The signal is switched to 130. That is, when an emergency signal is detected from the emergency signal generator 130, the signal switcher 120 changes the signal path previously connected to the broadcast receiver 110 to the emergency signal generator 130 to switch the signal. Accordingly, the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switching unit 120 becomes an intermediate frequency band signal generated by the emergency signal generation unit 130 instead of the intermediate frequency band signal (ground wave DMB signal) output from the broadcast receiving unit 110. That is, the signal switcher 120 transmits the emergency signal of the intermediate frequency band to the broadcast transmitter 140 through the signal path connected to the emergency signal generator 130.

한편, 긴급신호 생성부(130)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 긴급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신호 절환부(120)는 긴급신호 서비스를 위하여 긴급신호 생성부(130)와 연결되었던 신호 경로를 다시 방송 수신부(110)로 변경하여 신호 절환한다.On the other hand, if an emergency signal is not detected from the emergency signal generator 130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signal switcher 120 broadcasts the signal path that was connected to the emergency signal generator 130 again for the emergency signal service. To switch the signal.

그리고 방송 송신부(140)는 신호 절환부(120)로부터 출력된 방송 신호를 방송 규격에 맞게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방송 신호는 긴급상황이 아니면 방송 수신부(110)에서 수신된 지상파 DMB 신호이고, 긴급상황이 발생한 상태이면 긴급신호 생성부(130)에서 생성된 긴급신호이다.The broadcast transmitter 140 transmits the broadcast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switcher 120 according to the broadcast standard. Here, the broadcast signal is a terrestrial DMB signal received by the broadcast receiving unit 110 if it is not an emergency situation, and an emergency signal generated by the emergency signal generating unit 130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즉, 본 발명에 따른 중계 장치(100)는 평소에는 정상적인 지상파 DMB 서비스를 제공하다가, 긴급상황이 발생하면 현재 이용하는 채널에서 주파수 변경 없이 긴급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That is, the re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rmally provides a normal terrestrial DMB service, and when an emergency occurs, the relay device 100 provides an emergency broadcast service without changing a frequency in a currently used channel.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중계 장치(100)에서는 지상파 DMB 신호와 긴급방송 서비스 신호를 특정 중간주파수 대역에서 신호 절환하는 방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전체 지상파 DMB 주파수 대역으로 긴급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broadcast re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errestrial DMB signal and the emergency broadcast service signal are switched between signals in a specific intermediate frequency ba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emergency broadcast service in the entire terrestrial DMB frequency band. It becomes easy.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주파수 대역에서 신호 절환하기 위하여, 긴급신호 생성부(230)는 각각의 채널에 따라 무선주파수 대역 신호(RF신호)를 생성하여 신호 절환부(220)로 전달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2, in order to switch the signal in the radio frequency band, the emergency signal generator 230 generates a radio frequency band signal (RF signal) according to each channel to the signal switching unit 220 To pass.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긴급방송 서비스를 위한 방송 중계 장치의 다른 실시예 구성도이다.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a broadcast relay device for an emergency broadcast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방송 중계 장치(200)는 도 1의 중간주파수 대역에서의 긴급방송 서비스를 위한 신호 절환이 아닌, 무선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 절환을 수행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방송 중계 장치(200)는 다른 구성요소는 도 1과 동일하며, 무선주파수 대역을 다루기 때문에 주파수를 하향 변환하고 다시 상향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은 운용 방식에 따라 도 2와 같이 무선주파수 대역에서 신호 절환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broadcast relay device 200 of FIG.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signal switching in a radio frequency band, not signal switching for an emergency broadcast service in the intermediate frequency band of FIG. 1. That is, the broadcast relay device 200 of FIG.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perform the function of down-converting the frequency and up-converting again because other components are the same as those of FIG.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switch the signal in the radio frequency band as shown in FIG.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송 중계 장치(200)는 지상파 DMB RF 수신부(210), 신호 절환부(220), 긴급신호 생성부(230) 및 지상파 DMB RF 송신부(2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broadcast relay devic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restrial DMB RF receiver 210, a signal switcher 220, an emergency signal generator 230, and a terrestrial DMB RF transmitter. 240.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송 중계 장치(200)의 구성요소 각각에 대해서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ach component of the broadcast relay devic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지상파 DMB RF 수신부(210)는 외부로부터 무선주파수 대역의 지상파 DMB 신호를 수신한다.The terrestrial DMB RF receiver 210 receives a terrestrial DMB signal in a radio frequency band from the outside.

그리고 신호 절환부(220)는 긴급한 상황이 아니면, 지상파 DMB RF 수신부(210)에서 수신된 방송 신호 즉, 무선주파수 대역 신호를 그대로 지상파 DMB RF 송신부(240)로 통과시킨다. 즉, 신호 절환부(220)는 지상파 DMB RF 수신부(210)와 지상파 DMB RF 송신부(240)에 대한 신호 경로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signal switching unit 220 passes the broadcast signal received from the terrestrial DMB RF receiver 210, that is, the radio frequency band signal, to the terrestrial DMB RF transmitter 240 as it is. That is, the signal switching unit 220 performs a function of connecting the signal paths for the terrestrial DMB RF receiver 210 and the terrestrial DMB RF transmitter 240.

긴급신호 생성부(230)는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면 사용자로부터 입력 단자(예를 들어, 마이크, 키보드 등)를 통해 긴급방송 메시지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긴급신호 생성부(230)는 입력된 긴급방송 메시지를 지상파 DMB의 채널 정보에 맞게 부호화 및 다중화하고 변조하여 무선주파수 대역의 긴급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긴급신호 생성부(230)는 각각의 채널에 따라 무선주파수 대역의 긴급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긴급신호 생성부(230)는 생성된 무선주파수 대역의 긴급신호를 신호 절환부(220)로 전달한다.The emergency signal generator 230 receives an emergency broadcast message from an user through an input terminal (for example, a microphone or a keyboard)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In addition, the emergency signal generator 230 encodes, multiplexes and modulates the input emergency broadcast message according to channel information of the terrestrial DMB to generate an emergency signal in a radio frequency band. At this time, the emergency signal generator 230 generates an emergency signal of a radio frequency band according to each channel. The emergency signal generator 230 transmits the generated radio frequency signal to the signal switcher 220.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면 즉, 긴급신호 생성부(230)로부터 긴급신호가 감지되면, 신호 절환부(220)는 지상파 DMB RF 수신부(210)와 기 연결되어 있던 신호 경로를 긴급신호 생성부(230)로 변경하여 신호 절환한다. 그에 따라, 신호 절환부(220)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지상파 DMB RF 수신부(210)에서 수신된 무선주파수 대역 신호(지상파 DMB 신호)가 아닌 긴급신호 생성부(230)에서 생성된 무선주파수 대역의 긴급신호가 된다. 즉, 신호 절환부(220)는 긴급신호 생성부(230)와 연결된 신호 경로를 통해 무선주파수 대역의 긴급신호를 지상파 DMB RF 송신부(240)로 전달한다.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that is, when an emergency signal is detected from the emergency signal generator 230, the signal switcher 220 uses the emergency signal generator 230 to connect a signal path previously connected to the terrestrial DMB RF receiver 210. Change the signal to switch. Accordingly, the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switching unit 220 is not the radio frequency band signal (terrestrial DMB signal) received by the terrestrial DMB RF receiver 210 but the emergency of the radio frequency band generated by the emergency signal generator 230. It becomes a signal. That is, the signal switching unit 220 transmits the emergency signal of the radio frequency band to the terrestrial DMB RF transmitter 240 through a signal path connected to the emergency signal generator 230.

한편, 긴급신호 생성부(230)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 긴급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신호 절환부(220)는 긴급신호 서비스를 위하여 긴급신호 생성부(230)와 연결되었던 신호 경로를 다시 지상파 DMB RF 수신부(210)로 변경하여 신호 절환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emergency signal is not detected from the emergency signal generator 230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signal switching unit 220 re-connects the signal path that was connected with the emergency signal generator 230 for the emergency signal service terrestrial DMB RF receiver Change to 210 to switch the signal.

그리고 지상파 DMB RF 송신부(240)는 신호 절환부(220)로부터 출력된 방송 신호를 방송 규격에 맞게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방송 신호는 긴급상황이 아니면 지상파 DMB RF 수신부(210)에서 수신된 지상파 DMB 신호이고, 긴급상황이 발생한 상태이면 긴급신호 생성부(230)에서 생성된 긴급신호이다.The terrestrial DMB RF transmitter 240 transmits a broadcast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switcher 220 according to a broadcast standard. Here, the broadcast signal is a terrestrial DMB signal received by the terrestrial DMB RF receiver 210 if not an emergency situation, and is an emergency signal generated by the emergency signal generator 230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긴급신호 생성부의 일실시예 상세구성도이다.3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one embodiment of the emergency signal generator of FIG.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긴급신호 생성부(130)는 부호화부(310), 스트림 변환부(320), 중간주파수 신호 생성부(330) 및 지상파 DMB 수신 및 분석부(3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emergency signal generator 130 of FIG.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nd analyzes an encoder 310, a stream converter 320,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generator 330, and a terrestrial DMB. The unit 340 is included.

부호화부(310)는 운용자(사용자)로부터 긴급방송 메시지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긴급방송 메시지는 예를 들어 마이크를 통한 음성이나 컴퓨터의 키보드를 통한 문자로 입력될 수 있다. 즉, 부호화부(310)는 운용자로부터 입력 단자(예를 들어, 마이크, 키보드 등)를 통해 긴급방송 메시지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부호화부(31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긴급방송 메시지를 각각의 지상파 DMB 서비스에 해당하는 방송 규격에 따라 부호화한다. 즉, 부호화부(310)는 긴급방송 메시지를 각각의 지상파 DMB 서비스에 해당하는 오디오 서비스용 신호, 비디오 서비스용 신호 및 데이터 서비스용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용 방송 신호로 부호화한다.The encoder 310 receives an emergency broadcast message from an operator (user). Here, the emergency broadcast message may be input by, for example, a voice through a microphone or a text through a keyboard of a computer. That is, the encoder 310 receives an emergency broadcast message through an input terminal (for example, a microphone, a keyboard, etc.) from the operator. The encoder 310 encodes the emergency broadcast message input by the user according to a broadcast standard corresponding to each terrestrial DMB service. That is, the encoder 310 encodes the emergency broadcast message into at least one service broadcast signal among an audio service signal, a video service signal, and a data service signal corresponding to each terrestrial DMB service.

스트림 변환부(320)는 지상파 DMB 수신 및 분석부(340)로부터 전달받은 특정 채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부호화부(310)에서 부호화된 긴급방송 메시지인 오디오 서비스 신호, 비디오 서비스 신호, 데이터 서비스 신호를 긴급방송 서비스를 위한 긴급신호로 변환한다. 즉, 스트림 변환부(320)는 각각의 지상파 DMB 서비 스를 긴급방송 서비스로 변환하여 재구성한다. 이때, 지상파 DMB 수신 및 분석부(340)는 수신된 지상파 DMB의 특정 채널에 대해서, 현 채널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스트림 변환부(320)로 전달한다.The stream converter 320 is based on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channel received from the terrestrial DMB receiving and analyzing unit 340, and includes an audio service signal, a video service signal, and data, which are emergency broadcast messages encoded by the encoder 310. The service signal is converted into an emergency signal for emergency broadcasting service. That is, the stream converter 320 converts each terrestrial DMB service into an emergency broadcast service and reconstructs it. At this time, the terrestrial DMB receiving and analyzing unit 340 extracts information on the current channel with respect to a specific channel of the received terrestrial DMB and transmits it to the stream converter 320.

중간주파수 신호 생성부(330)는 스트림 변환부(320)에서 변환된 긴급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중간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여 긴급방송 서비스를 위한 중간주파수 대역 신호(IF 신호)를 생성한다.The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generator 330 converts the frequency band of the emergency signal converted by the stream converter 320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band to generate an intermediate frequency band signal (IF signal) for an emergency broadcast service.

한편, 지상파 DMB는 하나의 방송 채널에 여러 가지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즉, 지상파 DMB에서는 지상파 DMB 비디오 서비스, 오디오 서비스 및 데이터 서비스를 한 채널에서 동시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중간주파수 대역으로 긴급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주파수의 변동은 없더라도 하나의 주파수 내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서비스에 대해서 긴급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지상파 DMB 수신자들이 특정 주파수 내에서 자신이 원하는 서비스를 각각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모든 수신자에게 긴급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다.Meanwhile, in the terrestrial DMB, various services are provided in one broadcasting channel. That is, in the terrestrial DMB,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provide terrestrial DMB video service, audio service and data service in one channel. Sin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mergency broadcast service in an intermediate frequency ba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emergency broadcast service for each service in order to provide various services within one frequency even if there is no change in frequency. This is because terrestrial DMB receivers each use their desired service within a specific frequency, thereby providing emergency broadcasting services to all receivers.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긴급신호 생성부의 일실시예 상세구성도이다.4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one embodiment of the emergency signal generator of FIG.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긴급신호 생성부(230)는 부호화부(410), 스트림 변환부(420), 중간주파수 신호 생성부(430), 무선주파수 신호 생성부(440) 및 지상파 DMB 수신 및 분석부(45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 the emergency signal generator 230 of FIG.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ncoder 410, a stream converter 420,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generator 430, and a radio frequency signal generator. 440 and terrestrial DMB receiving and analyzing unit 450.

먼저, 부호화부(410)는 운용자(사용자)로부터 입력 단자(예를 들어, 마이크, 키보드 등)를 통해 입력받은 긴급방송 메시지를 각각의 지상파 DMB 서비스에 해당하는 방송 규격에 따라 부호화한다.First, the encoder 410 encodes an emergency broadcast message received from an operator (user) through an input terminal (eg, a microphone, a keyboard, etc.) according to a broadcast standard corresponding to each terrestrial DMB service.

그리고 스트림 변환부(420)는 지상파 DMB 수신 및 분석부(450)로부터 전달받은 지상파 DMB의 특정 채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부호화부(410)에서 부호화된 긴급방송 메시지인 오디오 서비스 신호, 비디오 서비스 신호 및 데이터 서비스 신호를 긴급방송 서비스를 위한 긴급신호로 변환한다. 이때, 지상파 DMB 수신 및 분석부(450)는 수신된 지상파 DMB의 특정 채널에 대해서, 현 채널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스트림 변환부(420)로 전달한다.The stream converter 420 is based on the information on a specific channel of the terrestrial DMB received from the terrestrial DMB receiving and analyzing unit 450, and the audio service signal and video, which are emergency broadcast messages encoded by the encoder 410, are encoded. The service signal and data service signal are converted into an emergency signal for emergency broadcasting service. At this time, the terrestrial DMB receiving and analyzing unit 450 extracts information on the current channel with respect to a specific channel of the received terrestrial DMB and transmits it to the stream converter 420.

그리고 중간주파수 신호 생성부(430)는 스트림 변환부(420)에서 변환된 긴급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중간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여 중간주파수 대역의 긴급신호를 생성한다.The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generator 430 converts the frequency band of the emergency signal converted by the stream converter 420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band to generate an emergency signal of the intermediate frequency band.

그리고 무선주파수 신호 생성부(440)는 중간주파수 신호 생성부(430)에서 생성된 중간주파수 대역의 긴급신호를 무선주파수 대역의 긴급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주파수 대역의 긴급신호(RF 신호)를 생성한다.The radio frequency signal generator 440 converts the emergency signal of the intermediate frequency band generated by the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generator 430 into an emergency signal of the radio frequency band to generate an emergency signal (RF signal) of the radio frequency band. .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 및 도 4의 부호화부의 일실시예 상세구성도이다.FIG. 5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ncoding unit of FIGS. 3 and 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호화부(310, 410)는 오디오 서비스 부호화부(510), 비디오 서비스 부호화부(520) 및 데이터 서비스 부호화부(53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5, the encoders 310 and 410 include an audio service encoder 510, a video service encoder 520, and a data service encoder 530.

전술한 바와 같이, 지상파 DMB 서비스는 오디오 서비스, 비디오 서비스, 데 이터 방송 서비스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서비스를 구성하는 규격은 각각 다르다. 긴급방송 서비스를 각각의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긴급방송 메시지를 오디오 서비스 부호화부(510), 비디오 서비스 부호화부(520) 및 데이터 서비스 부호화부(530)에서 각각 부호화하여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terrestrial DMB service may be classified into an audio service, a video service, and a data broadcasting service. At this time, the standards constituting each service are different. In order to provide the emergency broadcast service to each service, the emergency broadcast message should be encoded by the audio service encoder 510, the video service encoder 520, and the data service encoder 530, respectively.

즉, 오디오 서비스 부호화부(510), 비디오 서비스 부호화부(520) 및 데이터 서비스 부호화부(530)는 운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긴급방송 메시지를 각각 해당 서비스 규격에 맞는 오디오 서비스, 비디오 서비스 및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지상파 DMB 신호로 부호화한다. 그리고 오디오 서비스 부호화부(510), 비디오 서비스 부호화부(520) 및 데이터 서비스 부호화부(530)는 각각 부호화된 지상파 DMB 신호를 스트림 변환부(320, 420)로 전달한다.That is, the audio service encoder 510, the video service encoder 520, and the data service encoder 530 may use the emergency broadcast message received from the operator for the audio service, the video service, and the data service that meet the service standard. Coded as terrestrial DMB signal. The audio service encoder 510, the video service encoder 520, and the data service encoder 530 transmit the encoded terrestrial DMB signals to the stream converters 320 and 420, respectively.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도 3 및 도 4의 스트림 변환부의 일실시예 상세구성도이다.6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stream conversion unit of FIGS. 3 and 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림 변환부(320, 420)는 고속정보채널 분석부(610), 주서비스채널 다중화부(620) 및 다중화부(63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6, the stream converters 320 and 420 include a high speed information channel analyzer 610, a main service channel multiplexer 620, and a multiplexer 630.

고속정보채널 분석부(610)는 지상파 DMB 수신 및 분석부(340, 450)로부터 전달된 방송 서비스 구성에 대한 고속정보채널(FIC: Fast Information Channel)을 분석하여 채널에서 제공되는 채널 정보 즉, 방송 서비스의 수와 종류 및 각 서비스의 전송량을 확인한다. 이러한 채널 정보는 현 채널 내에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 수와 서비스 데이터 크기 등 채널 구성에 대한 정보이다. 채널 정보는 일예로 방송 규격에 있는 고속정보채널(FIC: Fast Information Channel)에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고속정보채널 분석부(610)는 확인 결과를 주서비스채널 다중화부(620)로 전달한다. 여기서, 주서비스채널(MSC: Main Service Channel)은 실제 방송 서비스를 위한 스트림을 포함하는 집합체이다. 즉, 하나의 채널에서의 지상파 DMB 서비스는 고속정보채널과 주서비스채널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고속정보채널 분석부(610)는 방송 서비스 구성에 대한 고속정보채널을 다중화부(630)로 전달한다.The fast information channel analyzer 610 analyzes a fast information channel (FIC) for the broadcast service configuration transmitted from the terrestrial DMB reception and analyzer 340 and 450, so that the channel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hannel is broadcast. Check the number and type of services and the volume of each service. This channel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the channel configuration such as the number of services and the size of service data provided in the current channel. Channel information is included in, for example, a fast information channel (FIC) in a broadcast standard. The high speed information channel analyzer 610 transmits the confirmation result to the main service channel multiplexer 620. Here, the main service channel (MSC) is an aggregate including a stream for actual broadcast service. That is, the terrestrial DMB service in one channel includes a high speed information channel and a main service channel. In addition, the fast information channel analyzer 610 transmits the fast information channel for the broadcast service configuration to the multiplexer 630.

주서비스채널 다중화부(620)는 고속정보채널 분석부(610)에서 확인된 방송 서비스의 수와 종류 및 각 서비스의 전송량에 대한 채널 정보와, 부호화부(310, 410)로부터 입력받은 각각의 서비스에 해당하는 긴급방송 스트림을 주서비스채널로 다중화한다.The main service channel multiplexer 620 provides channel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and type of broadcast services and the amount of transmission of each service identified by the high speed information channel analyzer 610, and the respective services received from the encoders 310 and 410. Multiplex the emergency broadcast stream corresponding to the main service channel.

다중화부(630)는 주서비스채널 다중화부(620)에서 새롭게 다중화된 주서비스채널과, 고속정보채널 분석부(610)로부터 전달받은 고속정보채널을 다중화하여 하나의 긴급신호(방송 스트림)를 생성한다. 여기서, 생성된 긴급신호(방송 스트림)는 사용 방법에 따라 전송 인터페이스 규격인 ETI(Ensemble Transport Interface) 프레임이 될 수도 있다.The multiplexer 630 multiplexes the main service channel newly multiplexed by the main service channel multiplexer 620 and the high speed information channel received from the high speed information channel analyzer 610 to generate one emergency signal (broadcast stream). do. Here, the generated emergency signal (broadcast stream) may be an ensemble transport interface (ETI) frame, which is a transport interface standard, according to a usage method.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긴급방송 서비스를 위한 방송 중계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roadcast relay method for emergency broadcasting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방송 수신부(110)는 무선으로 전송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 대한 무선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주파수 신호를 중간주파수 대역 신호로 변환시킨다(702).First, the broadcast receiving unit 110 receives a radio frequency signal for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ransmitted wirelessly, and converts the received radio frequency signal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band signal (702).

그리고 긴급신호 생성부(130)는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다(704).The emergency signal generator 130 checks whether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704).

상기 확인 결과(704), 긴급한 상황이 아니면, 신호 절환부(120)는 방송 수신부(110)로부터 출력된 방송 신호 즉, 중간주파수 대역의 방송 신호를 그대로 방송 송신부(140)로 통과시킨다. 그에 따라 방송 송신부(140)는 신호 절환부(120)를 통과한 중간주파수 대역의 방송 신호를 무선주파수 대역으로 상향 변환하여 송신한다(712).As a result of the check 704, the signal switching unit 120 passes the broadcast signal output from the broadcast receiver 110, that is, the broadcast signal of the intermediate frequency band, to the broadcast transmitter 140 as it is. Accordingly, the broadcast transmitter 140 up-converts the broadcast signal of the intermediate frequency band passed through the signal switcher 120 to the radio frequency band and transmits it (712).

한편, 상기 확인 결과(704), 긴급한 상황이 발생한 상태이면 즉, 사용자(운용자)로부터 입력 단자(예를 들어, 마이크, 키보드 등)를 통해 긴급방송 메시지를 입력받으면, 긴급신호 생성부(130)는 입력된 긴급방송 메시지를 지상파 DMB의 채널 정보에 맞게 부호화 및 다중화하고 변조 과정을 거쳐 중간주파수 대역의 긴급신호를 생성한다(706).On the other hand, if the check result 704,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that is, when the emergency broadcast message is input from the user (operator) through an input terminal (for example, a microphone, a keyboard, etc.), the emergency signal generator 130 In operation 706, the emergency broadcast message is encoded and multiplexed according to the channel information of the terrestrial DMB and modulated to generate an emergency signal of an intermediate frequency band.

그에 따라, 긴급신호 생성부(130)로부터 긴급신호가 감지되면, 신호 절환부(120)는 방송 수신부(110)와 기 연결되어 있던 신호 경로를 긴급신호 생성부(130)로 변경하여 신호 절환한다(708).Accordingly, when an emergency signal is detected from the emergency signal generator 130, the signal switcher 120 changes the signal path previously connected to the broadcast receiver 110 to the emergency signal generator 130 to switch the signal. (708).

그리고 방송 송신부(140)는 신호 절환부(120)로부터 출력된 긴급신호를 무선주파수 대역으로 주파수 상향 변환하고, 무선주파수 대역 신호로 상향 변환된 긴급신호를 방송 규격에 맞게 송신한다(710).The broadcast transmitter 140 up-converts the emergency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switcher 120 into a radio frequency band and transmits the emergency signal up-converted into a radio frequency band signal according to a broadcast standard (710).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긴급방송 서비스를 위한 중계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relay method for emergency broadcasting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지상파 DMB RF 수신부(210)는 지상파 DMB 무선주파수 신호를 수신한 다(802). 그리고 긴급신호 생성부(230)는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804).First, the terrestrial DMB RF receiver 210 receives a terrestrial DMB radio frequency signal (802). In addition, the emergency signal generator 230 checks whether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804).

상기 확인 결과(804), 긴급한 상황이 아니면, 신호 절환부(220)는 방송 수신부(210)로부터 출력된 방송 신호 즉, 무선주파수 대역의 방송 신호를 그대로 방송 송신부(240)로 통과시킨다. 그에 따라 지상파 DMB RF 송신부(240)는 신호 절환부(220)를 통과한 무선주파수 대역의 방송 신호를 그대로 송신한다(812).As a result of the check 804, if it is not an urgent situation, the signal switching unit 220 passes the broadcast signal output from the broadcast receiver 210, that is, the broadcast signal of a radio frequency band, to the broadcast transmitter 240 as it is. Accordingly, the terrestrial DMB RF transmitter 240 directly transmits the broadcast signal of the radio frequency band passed through the signal switcher 220 (812).

한편, 상기 확인 결과(804), 긴급한 상황이 발생한 상태이면 즉, 사용자(운용자)로부터 입력 단자(예를 들어, 마이크, 키보드 등)를 통해 긴급방송 메시지를 입력받으면, 긴급신호 생성부(230)는 입력된 긴급방송 메시지를 지상파 DMB의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부호화 및 다중화하고 변조 과정을 거쳐 무선주파수 대역의 긴급신호를 생성한다(806).On the other hand, the check result 804, if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that is, if an emergency broadcast message is input from the user (operator) through an input terminal (for example, a microphone, a keyboard, etc.), the emergency signal generator 230 In step 806, the emergency broadcast message is encoded and multiplexed on the basis of the channel information of the terrestrial DMB and subjected to a modulation process to generate an emergency signal in a radio frequency band.

그에 따라, 긴급신호 생성부(230)로부터 긴급신호가 감지되면, 신호 절환부(220)는 지상파 DMB RF 수신부(210)와 기 연결되어 있던 신호 경로를 긴급신호 생성부(230)로 변경하여 신호 절환한다(808).Accordingly, when an emergency signal is detected from the emergency signal generator 230, the signal switcher 220 changes the signal path previously connected to the terrestrial DMB RF receiver 210 to the emergency signal generator 230 to signal the signal. Switch (808).

그리고 지상파 DMB RF 송신부(240)는 신호 절환부(220)로부터 출력된 긴급신호를 방송 규격에 맞게 송신한다(810).The terrestrial DMB RF transmitter 240 transmits an emergency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switcher 220 according to a broadcast standard (810).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written in a computer program. And the code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the program can be easily inferred by a computer programmer in the art. In addition, the written program is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read and executed by a computer to implement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any type of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not limited by the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긴급방송 서비스를 위한 방송 중계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broadcast relay device for an emergency broadcast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긴급방송 서비스를 위한 방송 중계 장치의 다른 실시예 구성도,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a broadcast relay device for an emergency broadcast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긴급신호 생성부의 일실시예 상세구성도,3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emergency signal generator of FIG.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긴급신호 생성부의 일실시예 상세구성도,4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one embodiment of the emergency signal generator of FIG.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 및 도 4의 부호화부의 일실시예 상세구성도,5 is a detailed structural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n encoder of FIGS. 3 and 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도 3 및 도 4의 스트림 변환부의 일실시예 상세구성도,6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stream conversion unit of FIGS. 3 and 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긴급방송 서비스를 위한 방송 중계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broadcast relay method for an emergency broadcast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긴급방송 서비스를 위한 방송 중계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broadcast relay method for an emergency broadcast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방송 수신부 111: 지상파 DMB RF 수신부110: broadcast receiver 111: terrestrial DMB RF receiver

112: 주파수 하향부 120: 신호 절환부112: frequency down part 120: signal switching part

130: 긴급신호 생성부 140: 방송 송신부130: emergency signal generator 140: broadcast transmitter

141: 주파수 상향부 142: 지상파 DMB RF 송신부141: frequency uplink section 142: terrestrial DMB RF transmitter

310: 부호화부 320: 스트림 변환부310: encoder 320: stream converter

330: 중간주파수 신호 생성부 510: 오디오 서비스 부호화부330: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generator 510: Audio service encoder

520: 비디오 서비스 부호화부 530: 데이터 서비스 부호화부520: video service encoder 530: data service encoder

610: 고속정보채널 분석부 620: 주서비스채널 다중화부610: high-speed information channel analysis unit 620: main service channel multiplexing unit

630: 다중화부630: multiplexer

Claims (16)

외부로부터의 방송 신호를 수신처리하기 위한 방송 수신 수단;Broadcast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broadcast signals from the outside;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긴급방송 메시지를 방송 신호의 채널 정보에 맞게 부호화 및 다중화하고 변조하여 긴급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긴급신호 생성 수단;Emergency signal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n emergency signal by encoding, multiplexing, and modulating an emergency broadcast message input from a user according to channel information of a broadcast signal; 상기 방송 수신 수단 또는 상기 긴급신호 생성 수단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도록 신호 절환을 수행하되, 상기 긴급신호 생성 수단에서 긴급신호가 생성됨에 따라 상기 긴급신호 생성 수단으로 신호 절환하기 위한 신호 절환 수단; 및A signal switching means for performing signal switching so as to be connected to either the broadcast receiving means or the emergency signal generating means, and switching the signal to the emergency signal generating means as an emergency signal is generated by the emergency signal generating means; And 상기 신호 절환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방송 신호 또는 긴급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방송 송신 수단Broadcast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a broadcast signal or an emergency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switching means 을 포함하는 긴급방송 서비스를 위한 방송 중계 장치.Broadcast relay device for emergency broadcast service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방송 수신 수단은,The broadcast receiving means, 외부로부터 무선주파수(RF) 대역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중간주파수(IF) 대역의 방송 신호로 주파수 하향시키고 상기 주파수 하향된 방송 신호를 상기 신호 절환 수단으로 전달하고,Receiving a broadcast signal of a radio frequency (RF) band from the outside and frequency down to a broadcast signal of an intermediate frequency (IF) band, and transmits the frequency downed broadcast signal to the signal switching means, 상기 방송 송신 수단은,The broadcast transmission means, 상기 신호 절환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수 대역의 방송 신호 또는 긴급신호를 무선주파수 대역의 방송 신호로 주파수 상향시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긴급방송 서비스를 위한 방송 중계 장치.And a broadcast signal or an emergency signal of an intermediate frequency band outputted from the signal switching means is transmitted upward by a frequency of a radio frequency band broadcast signal.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긴급신호 생성 수단은,The emergency signal generating means, 방송 신호의 고속정보채널(FIC) 정보를 기초로 하여 중간주파수 대역의 긴급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방송 서비스를 위한 방송 중계 장치.A broadcast relay device for emergency broadcast service, comprising generating an emergency signal of an intermediate frequency band based on FIC information of a broadcast signal.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긴급신호 생성 수단은,The emergency signal generating means, 외부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를 분석하여 고속정보채널(FIC)을 추출하기 위한 방송 수신 및 분석 수단;Broadcast receiving and analyzing means for extracting a fast information channel (FIC) by analyzing a broadcast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긴급방송 메시지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규격에 따라 부호화하기 위한 부호화 수단;Encoding means for encoding an emergency broadcast message according to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tandard; 상기 추출된 고속정보채널(FIC)에 대한 채널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부호화 수단에서 부호화된 긴급방송 메시지에 대한 긴급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스트림 변환 수단; 및Stream conversion means for generating an emergency signal for an emergency broadcast message encoded by the encoding means based on the extracted channel information on the fast information channel (FIC); And 상기 스트림 변환 수단에서 생성된 긴급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중간주파수 대역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중간주파수 신호 생성 수단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generation means for converting the frequency band of the emergency signal generated by the stream conversion means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band 을 포함하는 긴급방송 서비스를 위한 방송 중계 장치.Broadcast relay device for emergency broadcast service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방송 수신 수단은,The broadcast receiving means, 외부로부터 무선주파수(RF) 대역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신호 절환 수단으로 전달하고,Receives a broadcast signal of a radio frequency (RF) band from the outside and delivers it to the signal switching means, 상기 방송 송신 수단은,The broadcast transmission means, 상기 신호 절환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무선주파수 대역의 방송 신호 또는 긴급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방송 서비스를 위한 방송 중계 장치.And a broadcast signal or an emergency signal of a radio frequency band output from said signal switching means.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긴급신호 생성 수단은,The emergency signal generating means, 방송 신호의 고속정보채널(FIC)에 대한 채널 정보를 기초로 하여 무선주파수 대역의 긴급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방송 서비스를 위한 방송 중계 장치.A broadcast relay device for emergency broadcast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n emergency signal in a radio frequency band based on the channel information of the fast information channel (FIC) of the broadcast signal.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긴급신호 생성 수단은,The emergency signal generating means, 외부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를 분석하여 고속정보채널(FIC)을 추출하기 위한 방송 수신 및 분석 수단;Broadcast receiving and analyzing means for extracting a fast information channel (FIC) by analyzing a broadcast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긴급방송 메시지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규격에 따라 부호화하기 위한 부호화 수단;Encoding means for encoding an emergency broadcast message according to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tandard; 상기 추출된 고속정보채널(FIC)에 대한 채널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부호화 수단에서 부호화된 긴급방송 메시지에 대한 긴급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스트림 변환 수단;Stream conversion means for generating an emergency signal for an emergency broadcast message encoded by the encoding means based on the extracted channel information on the fast information channel (FIC); 상기 스트림 변환 수단에서 생성된 긴급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중간주파수 대역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중간주파수 신호 생성 수단; 및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generation means for converting the frequency band of the emergency signal generated by the stream conversion means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band; And 상기 중간주파수 신호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중간주파수 대역의 긴급신호를 무선주파수 대역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무선주파수 신호 생성 수단Radio frequency signal generating means for converting the emergency signal of the intermediate frequency band generated by the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generating means into a radio frequency band 을 포함하는 긴급방송 서비스를 위한 방송 중계 장치.Broadcast relay device for emergency broadcast service comprising a. 제 4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7, 상기 부호화 수단은,The encoding means, 긴급방송 메시지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규격에 해당하는, 오디오 서비스용 방송 신호, 비디오 서비스용 방송 신호, 데이터 서비스용 방송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용 방송 신호로 부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방송 서비스를 위한 방송 중계 장치.Broadcasting the emergency broadcast message to at least one of the broadcast signal for audio service, the broadcast signal for video service, the broadcast signal for dat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tandard, the broadcast for the emergency broadcast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Relay device.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스트림 변환 수단은,The stream conversion means, 상기 추출된 고속정보채널(FIC)을 분석하여 채널 정보를 구하기 위한 고속정보채널 분석 수단;Fast information channel analysis means for analyzing the extracted fast information channel (FIC) to obtain channel information; 상기 고속정보채널 분석 수단에서 구한 채널 정보와 상기 부호화 수단에서 부호화된 긴급방송 메시지를 주서비스채널로 다중화하기 위한 주서비스채널 다중화 수단; 및Main service channel multiplexing means for multiplexing the channel information obtained by the fast information channel analyzing means and the emergency broadcast message encoded by the encoding means into a main service channel; And 하나의 방송 스트림인 긴급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주서비스채널 다중화 수단에서 다중화된 주서비스채널과 상기 고속정보채널 분석 수단으로부터의 고속정보채널을 다중화하기 위한 다중화 수단Multiplexing means for multiplexing the main service channel multiplexed by the main service channel multiplexing means and the high speed information channel from the high speed information channel analyzing means to generate an emergency signal which is one broadcast stream 을 포함하는 긴급방송 서비스를 위한 방송 중계 장치.Broadcast relay device for emergency broadcast service comprising a.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처리하는 방송 수신 단계;A broadcast receiving step of receiving and processing a broadcast signal from the outside; 상기 수신처리된 방송 신호를 송신하는 방송 송신 단계;A broadcast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the received processed broadcast signal;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긴급방송 메시지를 방송 신호의 채널 정보에 맞게 부호화 및 다중화하고 변조하여 긴급신호를 생성하는 긴급신호 생성 단계;Generating an emergency signal by encoding, multiplexing, and modulating an emergency broadcast message input from a user according to channel information of a broadcast signal; 상기 긴급신호가 생성됨에 따라 상기 수신처리된 방송 신호를 상기 생성된 긴급신호로 신호 절환하는 신호 절환 단계; 및A signal switching step of switching the received broadcast signal into the generated emergency signal as the emergency signal is generated; And 상기 신호 절환된 긴급신호를 송신하는 긴급신호 송신 단계An emergency signal transmitting step of transmitting the signal switched emergency signal 를 포함하는 긴급방송 서비스를 위한 방송 중계 방법.Broadcast relay method for emergency broadcast service comprising a.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방송 수신 단계는,The broadcast receiving step, 외부로부터 무선주파수(RF) 대역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중간주파수(IF) 대역의 방송 신호로 주파수 하향 변환하고,Receives a broadcast signal in a radio frequency (RF) band from the outside and frequency down-converts to a broadcast signal in an intermediate frequency (IF) band 상기 긴급신호 송신 단계는,The emergency signal transmission step, 상기 신호 절환된 긴급신호를 무선주파수 대역의 긴급신호로 주파수 상향 변환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방송 서비스를 위한 방송 중계 방법.And broadcasting the signal-switched emergency signal by up-converting the frequency signal into an emergency signal of a radio frequency band.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긴급신호 생성 단계는,The emergency signal generation step, 외부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를 분석하여 고속정보채널(FIC)를 추출하기 위한 방송 수신 및 분석 단계;A broadcast receiving and analyzing step of extracting a fast information channel (FIC) by analyzing a broadcast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긴급방송 메시지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규격에 따라 부호화하는 부호화 단계;An encoding step of encoding an emergency broadcast message according to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tandard; 상기 추출된 고속정보채널(FIC)에 대한 채널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부호화된 긴급방송 메시지에 대한 긴급신호를 생성하는 스트림 변환 단계; 및A stream conversion step of generating an emergency signal for the encoded emergency broadcast message based on channel information of the extracted fast information channel (FIC); And 상기 생성된 긴급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중간주파수 대역으로 변환시키는 중간주파수 신호 생성 단계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generation step of converting the frequency band of the generated emergency signal to an intermediate frequency band 를 포함하는 긴급방송 서비스를 위한 방송 중계 방법.Broadcast relay method for emergency broadcast service comprising a.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방송 수신 단계는,The broadcast receiving step, 외부로부터 무선주파수(RF) 대역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Receives a radio frequency (RF) band broadcast signal from the outside, 상기 긴급신호 송신 단계는,The emergency signal transmission step, 상기 신호 절환된 무선주파수 대역의 긴급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방송 서비스를 위한 방송 중계 방법.The broadcast relay method for an emergency broadcast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an emergency signal of the switched radio frequency band.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긴급신호 생성 단계는,The emergency signal generation step, 외부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를 분석하여 고속정보채널(FIC)을 추출하기 위한 방송 수신 및 분석 단계;A broadcast receiving and analyzing step of extracting a fast information channel (FIC) by analyzing a broadcast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긴급방송 메시지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규격에 따라 부호화하는 부호화 단계;An encoding step of encoding an emergency broadcast message according to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tandard; 상기 추출된 고속정보채널(FIC)에 대한 채널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부호화된 긴급방송 메시지에 대한 긴급신호를 생성하는 스트림 변환 단계;A stream conversion step of generating an emergency signal for the encoded emergency broadcast message based on channel information of the extracted fast information channel (FIC); 상기 생성된 긴급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중간주파수 대역으로 변환시키는 중간주파수 신호 생성 단계; 및Generating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for converting the frequency band of the generated emergency signal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band; And 상기 변환된 중간주파수 대역의 긴급신호를 무선주파수 대역으로 변환시키는 무선주파수 신호 생성 단계Generating a radio frequency signal for converting the emergency signal of the converted intermediate frequency band into a radio frequency band 를 포함하는 긴급방송 서비스를 위한 방송 중계 방법.Broadcast relay method for emergency broadcast service comprising a. 제 12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or 14, wherein 상기 부호화 단계는,The encoding step, 긴급방송 메시지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규격에 해당하는, 오디오 서비스용 방송 신호, 비디오 서비스용 방송 신호, 데이터 서비스용 방송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용 방송 신호로 부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방송 서비스를 위한 방송 중계 방법.Broadcasting the emergency broadcast message to at least one of the broadcast signal for audio service, the broadcast signal for video service, the broadcast signal for dat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tandard, the broadcast for the emergency broadcast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Relay method. 제 1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스트림 변환 단계는,The stream conversion step, 상기 추출된 고속정보채널(FIC)을 분석하여 채널 정보를 구하는 단계;Analyzing the extracted fast information channel (FIC) to obtain channel information; 상기 구한 채널 정보와 상기 부호화된 긴급방송 메시지를 주서비스채널로 다중화하는 단계; 및Multiplexing the obtained channel information and the encoded emergency broadcast message into a main service channel; And 하나의 방송 스트림인 긴급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다중화된 주서비스채널과 상기 고속정보채널을 다중화하는 단계Multiplexing the multiplexed main service channel and the high speed information channel to generate an emergency signal which is one broadcast stream; 를 포함하는 긴급방송 서비스를 위한 방송 중계 방법.Broadcast relay method for emergency broadcast service comprising a.
KR1020070108528A 2007-07-26 2007-10-26 Apparatus and method of relay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for emergency broadcasting service KR10088004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5222 2007-07-26
KR20070075222 2007-07-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0046B1 true KR100880046B1 (en) 2009-01-22

Family

ID=40483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8528A KR100880046B1 (en) 2007-07-26 2007-10-26 Apparatus and method of relay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for emergency broadcasting ser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0046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059B1 (en) 2010-06-14 2010-09-28 에이앤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digital emergency warning broadcasting message
KR101320544B1 (en) * 2009-11-30 2013-10-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of providing emergency broadcasting for a emergency service signal and apparatus of relaying broadcasting implememting the same
KR101341045B1 (en) * 2009-12-21 2013-12-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Having Equalization For Emergency Broadcasting Using T-DMB In a Tunnel
KR101420188B1 (en) * 2010-05-17 2014-07-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alert broadcasting, apparatus of relaying broadcasting multiplexer and multiplexing method
KR20210155116A (en) 2020-06-15 2021-12-22 (주)남경텔레콤 Dmb rebroadcast repeat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1429A (en) * 1996-11-30 1998-08-17 배순훈 Television broadcasting system that enables emergency broadcasting by region
KR20050036567A (en) * 2003-10-16 2005-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satellit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erminal
KR20070032110A (en) * 2005-09-16 2007-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Terminal apparatus for forwarding emergency broadcasting and method therefor
KR20070099945A (en) * 2006-04-06 2007-10-10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Alerting apparatus in a car audio/video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1429A (en) * 1996-11-30 1998-08-17 배순훈 Television broadcasting system that enables emergency broadcasting by region
KR20050036567A (en) * 2003-10-16 2005-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satellit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erminal
KR20070032110A (en) * 2005-09-16 2007-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Terminal apparatus for forwarding emergency broadcasting and method therefor
KR20070099945A (en) * 2006-04-06 2007-10-10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Alerting apparatus in a car audio/video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지상파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재난경보방송 표준,TTAS.KO-07.0046,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2006.12.27.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544B1 (en) * 2009-11-30 2013-10-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of providing emergency broadcasting for a emergency service signal and apparatus of relaying broadcasting implememting the same
KR101341045B1 (en) * 2009-12-21 2013-12-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Having Equalization For Emergency Broadcasting Using T-DMB In a Tunnel
KR101420188B1 (en) * 2010-05-17 2014-07-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alert broadcasting, apparatus of relaying broadcasting multiplexer and multiplexing method
KR100984059B1 (en) 2010-06-14 2010-09-28 에이앤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digital emergency warning broadcasting message
KR20210155116A (en) 2020-06-15 2021-12-22 (주)남경텔레콤 Dmb rebroadcast repea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5900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the broadcasting signal transformation for transforming a digital TV broadcasting signal to a digital radio broadcasting signal
KR100880046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relay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for emergency broadcasting service
KR20120042935A (en) Hierarchic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and device in mobile multimedia broadcast system
CA297205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tributing content from an in-band on-channel digital radio system
CN101359917B (en) Method of providing broadcast service and broadcasting receiver therefor
Lee et al. An efficient emergency broadcasting signal multiplexing method for supporting the legacy T-DMB receivers in break-in system
CN113037413B (en) Frequency modulation synchronization method, device, system,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1341045B1 (en) Apparatus And Method Having Equalization For Emergency Broadcasting Using T-DMB In a Tunnel
Bae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Ensemble Remultiplexer for DMB Service Based on Eureka‐147
KR20120062549A (en) Apparatus and method of broadcasting emergency information using automatic channel switching
JP4537926B2 (en) Wireless relay system and relay monitoring method
KR10192030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igital broadcast signal
KR101420188B1 (en)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alert broadcasting, apparatus of relaying broadcasting multiplexer and multiplexing method
CN102480634B (en) The method, apparatus and system that in Mobile Multimedia Broadcasting, classified service is synchronous
KR101032427B1 (en) Broadcasting for warning disaster using satellite
KR101112206B1 (en) Method for providing local broadcasting and apparatus thereof
KR100742311B1 (en) Subway Real Time Mobile High Quality Digital Broadcast System
JP2008236047A (en) Relay system and master station apparatus and slave station apparatus used for relay system
KR20040084429A (en) Gap Filler For Converting Signals Coupled With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JP4559037B2 (en)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device
KR100964380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local broadcasting services
KR100726545B1 (e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for unification audio decoder
KR101289329B1 (en) Remultiplexer for T-DMB urgent broadcasting
KR20210155116A (en) Dmb rebroadcast repeater
EP235774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ervice contents and emergency broadcas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