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8645B1 - 시험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시험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8645B1
KR100878645B1 KR1020070097922A KR20070097922A KR100878645B1 KR 100878645 B1 KR100878645 B1 KR 100878645B1 KR 1020070097922 A KR1020070097922 A KR 1020070097922A KR 20070097922 A KR20070097922 A KR 20070097922A KR 100878645 B1 KR100878645 B1 KR 100878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facility
computer
control computer
remote control
m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7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경남
박성근
김종석
정선철
박경흠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070097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86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8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8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3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d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험설비 원격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마우스 및 키보드를 포함하며, 상기 마우스 및 키보드를 이용하여 시험설비를 제어하는 시험설비 제어 컴퓨터와, 상기 시험설비 제어 컴퓨터에 연결된 마우스 및 키보드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기판과, 상기 시험설비 제어 컴퓨터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원격제어 컴퓨터와, 상기 원격제어 컴퓨터에 시험설비 제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외부접속 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험설비 원격제어, 간접제어 방식, 모니터링, 동화상용 카메라, 네트워크

Description

시험설비 원격제어 시스템{TEST FACILITY REMOTE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시험설비 원격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험설비 제어 컴퓨터가 네크워크 연결이나 프로토콜을 사용한 통신장치 없이 원격제어되는 시험설비 원격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시험설비 원격제어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시험설비 제어 컴퓨터에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외부에 있는 외부접속 컴퓨터와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으로 시험설비를 원격제어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의 경우, 상기 시험설비 제어 컴퓨터는 항상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어야하고, 시험설비 제어 프로그램과 별도로 TCP 송수신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컴퓨터 바이러스(Computer Virus) 유입으로 컴퓨터가 다운되거나, 시험설비 제어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할 경우에 대처가 어려운 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TCP 송수신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하므로 시험설비 제어 컴퓨터에 로드가 추가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하고, 외부로부터 컴퓨터 바이러스 유입을 막기 위해 시험설 비 제어 컴퓨터에 직접적으로 TCP 통신을 사용하지 않고, TCP 통신을 위한 별도의 컴퓨터를 설치하는 방법이 있다. 이 때, 상기 시험설비 제어 컴퓨터와 상기 TCP 통신을 위한 별도의 컴퓨터는 프로토콜을 사용한 직렬 통신이나 병렬 통신등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 방법도 역시 프로토콜을 사용하기 때문에 송수신을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이 사용되어야 하고, 상기 시험설비 제어 컴퓨터에 로드가 추가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시험설비 제어 컴퓨터에 컴퓨터 바이러스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외부 네트워크와 접속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험설비를 감시 및 원격제어하고, 상기 시험설비 제어 컴퓨터에 컴퓨팅 로드를 부가시키지 않기 위해,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통신장치 없이 상기 시험설비 제어 컴퓨터를 제어하는 시험설비 원격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험설비 원격제어 시스템은, 마우스 및 키보드를 포함하며 상기 마우스 및 키보드를 이용하여 시험설비를 제어하는 시험설비 제어 컴퓨터와, 상기 시험설비 제어 컴퓨터에 연결된 마우스 및 키보드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기판과, 상기 시험설비 제어 컴퓨터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원격제어 컴퓨터와, 상기 원격제어 컴퓨터에 시험설비 제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외부접속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험설비가 위치한 곳에는 상기 시험설비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동화상용 카메라가 설치되고, 상기 동화상용 카메라는 상기 시험설비의 영상 정보를 상기 원격제어 컴퓨터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동화상용 카메라는, 상기 시험설비의 원하는 위치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2축 이상 구동이 가능한 스테이지를 구비하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를 이용해 화상의 광학적인 확대 및 축소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어 회로기판은, 마우스 제어 회로기판 및 키보드 제어 회로기판으로 나누어지고, 디지털 스위치와 펄스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시험설비 제어 컴퓨터의 마우스 및 키보드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원격제어 컴퓨터는, 상기 외부접속 컴퓨터와 연결되어 상기 외부접속 컴퓨터에 상기 영상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원격제어 컴퓨터는, 상기 외부접속 컴퓨터에 영상 정보를 송신하며, 송신되는 상기 영상 정보는 JPEG로 압축하여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외부접속 컴퓨터는 상기 원격제어 컴퓨터에 시험설비 제어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원격제어 컴퓨터와 TCP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험설비 원격제어 시스템은, 외부에서 네크워크 연결없이 시험설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장기간 가동되는 시험설비에 중대한 영향을 끼치는 컴퓨터 바이러스 침투를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험설비 원격제어 시스템은, 시험설비 제어 컴퓨터를 제어할 때 프로토콜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시험설비 제어 컴퓨터에 추가적인 로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 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 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 1은 시험설비 원격 제어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험설비 원격 제어 시스템(1)은 시험설비(100), 원격 제어 컴퓨터(200), 제어 회로기판(300), 동화상용 카메라(400), 시험설비 제어 컴퓨터(500) 및 외부접속 컴퓨터(600)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상기 시험설비(100)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설비 원격 제어 시스템이 원격으로 모니터링 및 제어하기 위한 설비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서 말하는 시험설비(100)에는 전력과 관련된 실험장비등이 배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시험설비(100)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원격제어 컴퓨터(200)는 외부접속 컴퓨터(600)와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통신으로 연결된다. 상기 TCP는 인터넷상의 컴퓨터들 사이에서 데이터를 메시지의 형태로 보내기 위해 IP와 함께 사용되는 프로토콜을 말한다. IP가 실제로 데이터의 배달처리를 관장하는 동안, TCP는 데이터 패킷을 추적 관리한다 (메시지는 인터넷 내에서 효율적인 라우팅을 하기 위해 여러 개의 작은 조각으로 나뉘어지는데, 이것을 패킷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면, HTML 파일이 웹 서버로부터 사용자에게 보내질 때, 서버 내에 있는 TCP 프로그램 계층은 파일을 여러 개의 패킷들로 나누고, 패킷 번호를 붙인 다음, IP 프로그램 계층으로 보낸다. 각 패킷이 동일한 수신지 주소(IP주소)를 가지고 있더라도, 패킷들은 네트워크의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다른 한쪽 편(사용자 컴퓨터 내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있는 TCP는, 각 패킷들을 재조립하고, 사용자에게 하나의 완전한 파일로 보낼 수 있을 때까지 기다린다.
일반적으로 TCP는 연결지향 프로토콜(Protocol)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이것은 메시지들이 각단의 응용 프로그램들에 의해 교환되는 시간동안 연결이 확립되고 유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TCP는 IP가 처리할 수 있도록 메시지를 여러 개의 패킷들로 확실히 나누고, 반대편에서는 완전한 메시지로 패킷들을 재조립할 책임이 있다.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통신모델에서, TCP는 4계층인 트랜스포트 계층에 속하며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원격제어 컴퓨터(200)는 상기 TCP 통신을 이용하여 외부접속 컴퓨터(600)에 영상 정보 및 데이터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외부접속 컴퓨 터(600)로부터 시험설비 제어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원격제어 컴퓨터(200)는 시험설비 제어 컴퓨터(500)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원격제어 컴퓨터(200)에서 외부접속 컴퓨터(600)로 송신하는 영상 정보 및 데이터 정보는 JPEG등으로 압축하여 송신할 수 있다. 이는 송신 데이터 양을 줄이고 송신 속도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상기 송신 데이터의 압축 방법을 JPEG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원격제어 컴퓨터(200)는 시험설비 제어 컴퓨터(500)의 마우스 및 키보드를 제어하기 위한 펄스(Pulse)를 발생시켜 제어 회로기판(300)으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전송된 펄스는 상기 제어 회로기판(300)의 마우스 제어 회로기판(310) 및 키보드 제어 회로기판(320) 각각에 전송되어 디지털 스위치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키보드의 제어, 마우스의 상하 좌우 이동 및 클릭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펄스는 상기 원격제어 컴퓨터의 펄스 발생기(210)의 병렬포트 또는 입출력 보드를 통해 만들어 질 수 있다.
상기 원격제어 컴퓨터의 펄스 발생기(210)는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대로 출력 펄스를 정확히 전달한다. 즉, 펄스 형태를 정확히 설정하여 정확한 전압량을 원하는 타이밍에 디바이스에 전달한다. 사용자는 출력 레벨, 오프셋 전압의 크기를 설정할 수 있으며 펄스 주기, 펄스폭, 상승 시간, 하강 시간도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원격제어 컴퓨터의 펄스 발생기(210)에서 발생된 펄스가 마우스 제어 회로기판(310) 및 키보드 제어 회로기판(320)에 인가되면, 상기 마우스 제어 회로기판(310) 및 키보드 제어 회로기판(320)을 구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원격제어 컴퓨터의 펄스 발생기(210)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는 펄스 발생기(Pulse Generator)를 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펄스 발생기의 종류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어 회로기판(300)은 상기 원격 제어 컴퓨터(200)에서 시험설비 제어 컴퓨터(500)로 제어 명령 하달시 상기 시험설비 제어 컴퓨터(500)의 마우스 및 키보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회로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 회로기판(300)은 마우스 제어 회로기판(310) 및 키보드 제어 회로기판(320)으로 구성되며, 상기 마우스 제어 회로기판(310) 및 키보드 제어 회로기판(320)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동화상용 카메라(400)는 상기 시험설비(100)의 원하는 부분을 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동화상용 카메라(400)는 1대 또는 그 이상일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동화상용 카메라(400)의 대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동화상용 카메라(400)는 2축이상의 자유도를 가지고 광학적 영상 확대와 축소가 가능할 수 있는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동화상용 카메라(400)는 시험설비의 원하는 위치를 모니터링(Monitoring)하기 위해, 모터로 2축이상 구동이 가능한 스테이지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를 이용해 화상의 광학적인 확대 및 축소가 가능한 모터라이즈드 주밍(Motorized Zooming) 기능을 가지는 동화상용 카메라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동화상용 카메라(400)의 동작과 영상의 확대 및 축소는 상기 동화 상용 카메라(400)와 원격 제어 컴퓨터(200)간의 직렬 또는 병렬 통신 등으로 가능할 수 있으나, 여기서 상기 동화상용 카메라(400)와 상기 원격 제어 컴퓨터(200)간의 통신 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시험설비 제어 컴퓨터(500)에는 상기 시험설비 제어 컴퓨터(500)에 네트워크 또는 프로토콜을 이용한 통신장치가 직접 연결되지 않는다. 즉, 원격 제어 컴퓨터(200)에 네트워크를 연결하고, 상기 원격 제어 컴퓨터(200)가 상기 시험설비 제어 컴퓨터(500)의 마우스 및 키보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원격제어 컴퓨터(200)가 시험설비 제어 컴퓨터(500)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방식은 네트워크 또는 프로토콜을 이용한 통신장치와 직접연결되는 직접 제어 방식이 아닌, 상기 원격제어 컴퓨터(200)에 네트워크를 연결하고, 상기 원격제어 컴퓨터(200)가 상기 시험설비 제어 컴퓨터(500)의 마우스 및 키보드를 제어하는 간접제어 방식을 사용한다.
이러한 시험설비 제어 컴퓨터(500)의 마우스 및 키보드는 제어 회로기판(300)의 출력 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외부접속 컴퓨터(600)는 시험설비를 원격제어하고자 하는 운영자가 시험설비 원격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시험설비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컴퓨터이다. 이를 위해 상기 외부접속 컴퓨터(600)는 원격제어 컴퓨터(200)와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통신으로 연결된다. 상기 TCP 통신에 대해서는 전술한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아울러, 상기 외부접속 컴퓨터(600)와 상기 원격 제어 컴퓨터(200)간의 TCP 통신을 위해서 운영자는 특정의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으나,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의 종류 및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마우스 제어 회로기판의 회로도이고, 도 3은 마우스의 상하이동 제어 신호의 타이밍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마우스 제어 회로기판(310)은 트랜지스터(Transistor) 등의 디지털 스위치(311) 및 마우스의 MCU(3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원격제어 컴퓨터의 펄스 발생기(210)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원격 제어 컴퓨터의 펄스 발생기(210)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2에서는 디지털 스위치(312)는 2개가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 상기 마우스의 상하이동, 좌우이동 및 클릭등을 위한 디지털 스위치가 다수개 있을 수 있고, 상기 디지털 스위치(312)는 원격 제어 컴퓨터의 펄스 발생기(210)로부터 발생된 펄스를 이용하여 스위칭을 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상관없으며, 상기 디지털 스위치(311)의 종류 및 개수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마우스의 MCU(312)는 마우스를 제어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Processor)를 말한다. MCU(Micro Controller unit)란 특정 시스템등을 제어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를 말하는 것으로서, MCU는 대부분의 전자제품에 채용돼 전자제 품의 두뇌역할을 하는 핵심칩을 말한다. 이러한 MCU는 단순 시간예약에서부터 특수한 기능에 이르기까지 제품의 다양한 특성을 컨트롤하는 역할을 하는 비메모리 반도체(시스템 반도체)이다. 특히 MCU는 반도체칩 내에 특정 목적의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를 이식해 다양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MCU는 롬(ROM)과 램(RAM) 회로까지 내장, 사실상 초소형컴퓨터의 역할을 하고있어 '원칩(One Chip) 컴퓨터' 또는 '마이콤'으로 불리우기도 한다.
상기 마우스의 MCU(312)는 시험설비 제어 컴퓨터(500)의 마우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면 족하고, MCU의 종류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3에는 원격 제어 컴퓨터의 펄스 발생기(210)에서 생성된 펄스(Pulse)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펄스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 제어 회로기판(310)의 디지털 스위치(311) 및 마우스의 MCU(312)에 인가되어 상기 마우스의 상하이동, 좌우이동 및 클릭등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마우스 제어 회로기판(310)의 출력 신호가 시험설비 제어 컴퓨터(500)에 인가되어, 상기 시험설비 제어 컴퓨터(500)의 마우스를 제어할 수 있게된다.
도 3에서는 상기 마우스의 상하이동 제어를 위한 펄스의 타이밍도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마우스의 좌우이동 및 클릭 등을 위한 다양한 펄스 역시 가능하다.
도 4는 키보드 제어 회로기판의 회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키보드 제어 회로기판(320)은 제 1디지털 스위치(321) 및 제 2디지털 스위치(322) 및 키보드의 MCU(3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4를 참조하면 원격 제어 컴퓨터의 펄스 발생기(210)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원격 제어 컴퓨터의 펄스 발생기(210)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4에서는 2개의 디지털 스위치, 즉 제 1디지털 스위치(321) 및 제 2디지털 스위치(322)가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 시험설비 제어 컴퓨터의 키보드를 제어하기 위한 디지털 스위치가 다수개 있을 수 있으며, 상기 디지털 스위치의 개수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1디지털 스위치(321) 및 제 2디지털 스위치(322)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를 사용할 수 있으나, 원격 제어 컴퓨터의 펄스 발생기(210)로부터 발생된 펄스를 이용하여 스위칭을 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상관없으며, 상기 제 1디지털 스위치(321) 및 제 2디지털 스위치(322)의 종류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키보드의 MCU(323)는 키보드를 제어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Processor)를 말한다. MCU(Micro Controller unit)란 특정 시스템등을 제어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를 말하는 것으로서, MCU는 대부분의 전자제품에 채용돼 전자제품의 두뇌역할을 하는 핵심칩을 말한다. 이러한 MCU는 단순 시간예약에서부터 특수한 기능에 이르기까지 제품의 다양한 특성을 컨트롤하는 역할을 하는 비메모리 반도체(시스템 반도체)이다. 특히 MCU는 반도체칩 내에 특정 목적의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를 이식해 다양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MCU는 롬(ROM)과 램(RAM) 회로까지 내장, 사실상 초소형컴퓨터의 역할을 하고있어 '원칩(One Chip) 컴퓨터' 또는 '마이콤'으로 불리우기도 한다.
상기 키보드의 MCU(312)는 시험설비 제어 컴퓨터(500)의 키보드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면 족하고, MCU의 종류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설비 원격제어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해당한다.
도 1은 시험설비 원격제어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마우스 제어 회로기판의 회로도이다.
도 3은 마우스의 상하이동 제어 신호의 타이밍도이다.
도 4는 키보드 제어 회로기판의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시험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100: 시험설비
200: 원격제어 컴퓨터 210: 펄스 발생기
300: 제어 회로기판 310: 마우스 제어 회로기판
311: 디지털 스위치 312: 마우스의 MCU 320: 키보드 제어 회로기판 321: 제 1 디지털 스위치
322: 제 2 디지털 스위치 323: 키보드의 MCU
400: 동화상용 카메라 500: 시험설비 제어 컴퓨터
600: 외부접속 컴퓨터

Claims (7)

  1. 마우스 및 키보드를 포함하며, 상기 마우스 및 키보드를 이용하여 시험설비를 제어하는 시험설비 제어 컴퓨터;
    상기 시험설비 제어 컴퓨터에 연결된 마우스 및 키보드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기판;
    상기 시험설비 제어 컴퓨터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원격제어 컴퓨터; 및
    상기 원격제어 컴퓨터에 시험설비 제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외부접속 컴퓨터;
    를 포함하는 시험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설비가 위치한 곳에는 상기 시험설비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동화상용 카메라가 설치되고, 상기 동화상용 카메라는 상기 시험설비의 영상 정보를 상기 원격제어 컴퓨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화상용 카메라는, 상기 시험설비의 원하는 위치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2축 이상 구동이 가능한 스테이지를 구비하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를 이용해 화상의 광학적인 확대 및 축소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기판은, 마우스 제어 회로기판 및 키보드 제어 회로기판으로 나누어지고, 디지털 스위치와 펄스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시험설비 제어 컴퓨터의 마우스 및 키보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 컴퓨터는, 상기 외부접속 컴퓨터와 연결되어 상기 외부접속 컴퓨터에 상기 영상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 컴퓨터는, 상기 외부접속 컴퓨터에 영상 정보를 송신하며, 송신되는 상기 영상 정보는 JPEG로 압축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접속 컴퓨터는 상기 원격제어 컴퓨터에 시험설비 제어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원격제어 컴퓨터와 TCP 통신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KR1020070097922A 2007-09-28 2007-09-28 시험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KR100878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7922A KR100878645B1 (ko) 2007-09-28 2007-09-28 시험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7922A KR100878645B1 (ko) 2007-09-28 2007-09-28 시험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8645B1 true KR100878645B1 (ko) 2009-01-15

Family

ID=40482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7922A KR100878645B1 (ko) 2007-09-28 2007-09-28 시험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86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887B1 (ko) * 2013-03-29 2015-03-06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내환경검증 실험실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
KR101507223B1 (ko) * 2013-05-21 2015-04-02 주식회사 아이스기술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현장 설비 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59250A1 (en) 2001-02-27 2006-03-16 Jamie Robb Remote management of computers
KR20070017881A (ko) * 2005-08-08 2007-02-13 박창영 영상 출력기기의 원격 애프터서비스를 위한네트워크비디오서버
KR20070072192A (ko) * 2005-12-30 2007-07-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원격제어시스템 및 원격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59250A1 (en) 2001-02-27 2006-03-16 Jamie Robb Remote management of computers
KR20070017881A (ko) * 2005-08-08 2007-02-13 박창영 영상 출력기기의 원격 애프터서비스를 위한네트워크비디오서버
KR20070072192A (ko) * 2005-12-30 2007-07-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원격제어시스템 및 원격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887B1 (ko) * 2013-03-29 2015-03-06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내환경검증 실험실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
KR101507223B1 (ko) * 2013-05-21 2015-04-02 주식회사 아이스기술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현장 설비 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27715B (zh) 以远端控制功能控制多台远端周边装置的服务器
TWI224273B (en) Switching system for operation priority of I/O unit and method thereof
US7454490B2 (en) In-line video, keyboard and mouse remote management unit
CN102017533B (zh) 在多服务器箱体中的固定速度背板连接上的可调节服务器传输速率
US20090177901A1 (en) Kvm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controlling computer power
CN104735279B (zh) 图像形成装置、系统及图像形成装置和系统的控制方法
US8194697B2 (en) Selective connection device allowing connection of at least one peripheral to a target computer and a selective control system comprising such a device
CA2608341A1 (en) Remote network nod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2013524632A (ja) ネットワークノード間のネットワーク通信の管理及びストリームトランスポートプロトコル
CN101194213A (zh) 教导装置和可编程控制器的活动连接
CN1983969A (zh) 一种串口网络重定向系统及其实现方法
WO2012133300A1 (ja) 仮想デスクトップ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処理装置、管理方法、及び管理プログラム
WO20020653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 of software and an attached device
TW200513066A (en) Remote control device
CN104808542B (zh) 用于经由输入/输出协议进行通信的设备
US200402550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niversal web access functionality with port contention resolution
CN108494637A (zh) 一种智能家居设备对接Control4系统的方法
Nuratch Applying the MQTT protocol on embedded system for smart sensors/actuators and IoT applications
KR100878645B1 (ko) 시험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JP5834356B2 (ja) 保守作業支援装置
US20070096012A1 (en) Vehicle Service System Digital Camera Interface
US2004004967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ement and control of an automation control module
JP2005149100A (ja) サーバシステム、その信号処理装置、そのサーバ、及びその筐体
US20030018770A1 (en) System for remotely managing network through serial ports
WO2015154588A1 (zh) 一种串口信息传递方法、单板设备和公用单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