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8199B1 - 스위치 박스를 이용한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시스템 및 그방법 - Google Patents

스위치 박스를 이용한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시스템 및 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8199B1
KR100878199B1 KR1020080073539A KR20080073539A KR100878199B1 KR 100878199 B1 KR100878199 B1 KR 100878199B1 KR 1020080073539 A KR1020080073539 A KR 1020080073539A KR 20080073539 A KR20080073539 A KR 20080073539A KR 100878199 B1 KR100878199 B1 KR 100878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box
analyzer
unit
received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3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스테크놀러지
박성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스테크놀러지, 박성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스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080073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81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8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8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6Generation of re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0/00Nanotechnology for information processing, storage or transmission, e.g. quantum computing or single electron log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50Tes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위치 박스를 이용한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계측기와 측정대상기기의 연결 상태를 RF Multi & OFDMA TDD용 스위치 박스를 이용하여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을 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위치 박스를 이용하여 동시에 다수의 측정대상기기 및 계측기에 대한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을 하고,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계측기와 측정대상기기가 각자 독립적 상태를 유지하며, 동시에 계측기 GUI와 측정대상기기 GUI의 통신을 제어하는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RF Multi & OFDMA TDD용 스위치 박스를 이용하여 동시에 다수의 측정대상기기 및 계측기에 대한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을 하고, 스위치 박스로 인한 계측기와 측정대상기기의 연결구조가 간단한 효과가 있다.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시스템, 스위치박스, 자동 운영

Description

스위치 박스를 이용한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analyzing data of automatic test using the switch box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스위치 박스를 이용한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계측기와 측정대상기기의 연결 상태를 RF Multi & OFDMA TDD용 스위치박스를 이용하여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을 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시스템은 CDMA(EV-DO.A/B), WCDMA(HSDPA/HSUPA/LTE), WiBro·WiMAX(MIMO/WAVE1,2)등 여러 가지의 통신 발전에 따르는 전송장치의 개발과 시험을 필요로 하게 되었으며, 다양한 시험 환경 구성을 위하여 여러 형태의 변형이 가능한 스위치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고, 신기술이 적용된 스위치 박스의 사용이 필요하게 되었다.
종래,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시스템에 관한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73102호(자동시험 데이터 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가 등록된 상태이다.
그러나, 계측기와 측정대상기기가 다양해짐에 따라 다수의 계측기 및 다수의 측정대상기기에 대한 자동시험 데이터분석을 동시에 수행할 수 없고, 그 연결구조 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RF Multi & OFDMA TDD용 스위치 박스를 이용하여 동시에 다수의 측정대상기기 및 계측기에 대한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을 하는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계측기와 측정대상기기가 각자 독립적 상태를 유지하며, 동시에 계측기 GUI와 측정대상기기 GUI의 통신을 제어하는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측정대상기기를 시험측정하는 계측기; 상기 계측기 및 측정대상기기를 연결하고, 분석기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스위치동작을 하는 스위치박스; 상기 계측기, 측정대상기기 및 스위치박스를 제어하며, 상기 계측기로부터 시험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시험측정 데이터를 분석하여 출력하는 분석기; 및 상기 계측기, 측정대상기기, 스위치박스 및 분석기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으로 연계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박스는 상기 분석기로부터 수신하는 제어신호를 감지하여 스위치동작을 하는 제어신호 감지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분석기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따른 명령어 및 제어명령 내용을 수신하고, 계측기로부터 중계기를 통해 시험측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 한 시험측정 데이터를 분석하는 분석부; 상기 수신부로부터 수신한 시험측정 데이터, 요구사항, 명령어, 제어명령 내용 및, 상기 시험측정 데이터를 분석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와 연동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상기 계측기, 측정대상기기 및 스위치박스를 제어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분석부에서 분석한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계측기에 연결된 측정대상기기에 주소를 할당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부, 분석부, 메모리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출력부 및 통신부를 중앙제어하는 중앙제어부; 를 포함한다.
한편, RF Multi & OFDMA TDD용 스위치 박스를 이용한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방법은, (a)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시스템의 분석기가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마우스/키보드의 입력데이터, 명령어 및 제어명령 내용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분석기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마우스/키보드의 입력데이터, 명령어 및 제어명령 내용을 메모리부의 트리구조 DB, 매크로 DB, 스위치박스 DB 및 자동운영 DB로 구축하는 단계; (c) 상기 분석기가 제어선택모듈을 통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 중, 스위치박스 GUI 모드로 선택하여 해당 스위치박스를 제어하는 단계; (d) 상기 분석기가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요구사항에 따라 제어선택모듈로 선택되는 모드의 해당 명령어로 계측기 및 측정대상기기에 제어명령을 전송하여 제어하는 단계; (e) 상기 분석기가 수신부를 통해 시험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시험측정 데이터를 암호화모듈을 통해 암호화 코드로 암호화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분석기가 암호화된 시험측정 데이터를 분석부를 통해 분석 및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RF Multi & OFDMA TDD용 스위치 박스를 이용하여 동시에 다수의 측정대상기기 및 계측기에 대한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을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위치 박스로 인한 계측기와 측정대상기기의 연결구조가 간단한 효과가 있다.
또한, 자동 운영을 위한 마우스/키보드의 입력데이터를 통해 계측기, 측정대상기기 및 스위치박스를 간편하게 제어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계측기, 측정대상기기 및 스위치박스를 제어하여 얻은 측정결과 값을 검색, 분석 및 암호화하여 자료관리에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박스를 이용한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시스 템에 관하여 도 1 및 도 17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박스를 이용한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시스템에 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박스를 이용한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100), 계측기(200), 측정대상기기(300), 스위치 박스(400), 분석기(500) 및 원격제어 단말기(600)를 포함한다.
우선, 네트워크(100)는 계측기, 측정대상기기, 스위치 박스, 분석기 및 원격제어 단말기를 연계하고, TCP/IP 프로토콜의 유선 인터넷망, 왑(WAP)프로토콜의 무선 인터넷망,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UI) 및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한다.
또한, 계측기(200)는 측정대상기기와 연결되어 분석기로부터 시험측정에 대한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측정대상기기를 시험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계측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대상기기를 시험측정하기 위한 장치로 신호발생기, 채널 시뮬레이터, 신호분석기(스펙트럼 아날라이저) 등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측정대상기기(300)는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에 따른 계측기의 피측정 대상기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측정대상기기는 계측기 또는 중계기와 같은 통신기기가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스위치 박스(400)는 분석기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감지하는 제어신호 감지수단(미도시)을 구비하고, 계측기와 측정대상기기를 연결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박스는 RF Multi & OFDMA TDD용 스위치박스로 설정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바, 국제단위계(SI)의 시간 보조단위가 적용된 전자 스위치(Electron Switch)를 추가한 멀티 스위치박스(Multi Switch Box), OFDMA TDD용 스위치박스, RF Multi용 스위치박스(RF Multi Switch Box), RF Multi & OFDMA TDD용 스위치박스, OFDMA TDD ICS용 스위치박스 등 다수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스위치 박스(400)는 다수의 스위치가 박스에 실장되어 있으며, 각 스위치의 결선을 직접 연결 구성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고, 또 다른 형태의 박스는 고정형태의 결선 구성 설계도 가능하다. 즉, 스위치박스의 내부 결선구성이 특정되어 한정되는 것은 아닌바, 스위치박스 내부의 결선구성이 재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RF Multi & OFDMA TDD용 스위치박스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OFDMA로 함) TDD(Time Division Duplex)방식의 광대역 무선 전송 기술을 사용하여 상/하향 비대칭 전송 특성을 갖는 IP기반 무선 데이터 기술이며, ICS(Interference Cancellation System)는 중계 전송시 안테나의 피드백 신호를 DSP(Digital Signal Process) 기술로 중계기의 간섭 신호를 제거하여 중계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OFDMA TDD ICS용 스위치 박스는 휴대인터넷 OFDMA TDD 채널 구조를 이용하며, 국제단위계(SI)의 시간 보조단위가 적용된 전자 스위치(Electron Switch) 중의 나노세컨드 스위치(Nanosecond Switch)로, 상향 링크(UL)와 하향 링크(DL)에 대해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고, 시간영역에서 상향과 하향 링크에 할당되는 자원의 비율이 조정되며, 무선 채널 환경에서 상향과 하향 링크가 동일한 채널 특성을 가진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과 하향 링크 신호가 할당된 시간에 의해 측정대상기기인 중계기의 Donor/Service Port로 입력되므로, 상/하향 링크 시험시 동기 검출을 위해 별도의 경로를 구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복잡한 시험 구성도를 간소화시키고, 전자 나노세컨드 스위치로 상/하향 경로별 시험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RF Multi & OFDMA TDD용 스위치 박스를 이용하여 필드(Field)와 동일한 상향 링크(Up Link)와 하향 링크(Down Link)의 신호를 구분하여 현 상태의 신호 측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고, 수 마이크로세컨드(Microsecond) 신호의 변화를 감지하여 신호의 패스(Path)를 전환하고자 할 때 나노세컨드 알에프 스위치(Nanosecond RF Switch)를 이용하며, 이는 사람이 교체 작업하던 시간과 측정 오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박스에 다양한 경우의 측정 패스(Path)를 구성하여 자동 측정시 여러 가지 시험을 작업자가 변경하지 않고 시험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RF Multi & OFDMA TDD용 스위치박스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측정대상기기(중계기)와 계측기의 신호 인가 조건에 따라서 내부에 구성되는 부품의 종류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내부 구성을 예를들면, 커플 러(Coupler), 디바이더(Divider),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tude), 감쇠기(Fixted Attenuator, Variable Attenuator, Step Attenuator), 알에프 스위치(RF Switch: DPDT, SPDT, SP3T~SPnT, HPDT 등), OFDMA TDD용 스위치박스 구성시 DPDT RF Switch(Nanosecond RF Switch)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RF Multi & OFDMA TDD용 스위치박스는 필드(Field)와 동일한 환경을 구성하기 위하여 설계된 것으로, 중계기는 동일 주파수의 신호를 상/하향 링크를 동일하게 분석하여 신호의 증폭을 실시하여 전송한다. 와이브로(WiBro) 서비스는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의 동일 주파수 신호를 시간으로 구분하여 안테나단의 전달 신호와 단말기의 전달 신호가 상이하게 존재한다. 와이브로 1주기 신호는 5 밀리세컨드(Millisecond;msec)의 시간에서 수 마이크로세컨드(Microsecond;usec)의 신호 처리 시간이 존재한다. 이때, 나노세컨드 알에프 스위치를 이용하여 수 마이크로세컨드의 시간변화 이전에 스위치의 경로를 변경하여 상/하향 링크의 신호 구분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RF Multi & OFDMA TDD용 스위치 박스는 OFDMA TDD용 스위치박스(OFDMA TDD ICS용 스위치박스 포함)와 일반 RF Multi용 스위치박스를 조합한 것으로, WiBro Path의 경로를 OFDMA TDD용 스위치박스 설계로 설정을 하고 일반 RF신호의 특성 검사 진행을 RF Multi용 스위치박스 설계를 이용한 자동 절체 시험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RF Multi & OFDMA TDD용 스위치박스의 OFDMA TDD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의된 맵(Map)을 가지고 맵 안에 정보를 실어 상/하향 전송을 실시한다. 이때 상/하향 링크에 동일한 주파수가 존재하므로 데이터 전송 프레임들의 수신시간 차이를 설정하여 상/하향 전송 시간을 구분하기 위한 보호시간인 TTG(1) 및 RTG(2)는 프레임 중간과 마지막에서 하향 링크 및 상향 링크에 삽입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박스의 제어신호 감지수단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OFDMA TDD의 맵(map)에서 하향 링크(DL), 상향 링크(UL), 상향과 하향 전송 시간을 구분하기 위한 보호시간인 TTG 및 RTG를 포함한 총 신호 길이는 5ms이다. 여기서, TTG(1)는 하향링크(DL)와 상향링크(UL)의 사이를 구분하기 위한 보호시간이고, RTG(2)는 상향링크(UL)와 하향링크(DL)의 사이를 구분하기 위한 보호시간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하향링크 구간(DL)의 길이는 3110.4μs이고, 상향링크 구간(UL)의 길이는 1728μs이며, TTG 구간의 길이는 87.2μs이고, RTG 구간의 길이는 74.4μs이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단위 1심볼(Symbol)구간의 길이는 102.4μs(유효 Symbol 길이)+12.8μs(사이클릭 프리픽스:Cyclic Prefix)=115.2μs이다.
제어신호 감지수단은 이러한 신호감지를 위해 토탈 샘플 포인트(Total Sample Points)의 마커(First Marker, Last Marker)를 설정하여, 하향 링크(DL)와 상향 링크(UL)의 전송 시간을 구분하기 위한 보호시간인 TTG 및 RTG 구간의 신호 처리를 1/2 만큼 빠르게 감지하여 스위치 경로(path)의 결선 방향을 바꾸는 방식으로 스위치박스(400)의 스위치를 작동시킨다. 이러한 토탈 샘플 포인트는 도 3에 도 시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프레임 길이(Frame Duration:0.005s)ㅧ 샘플링 클럭(ARB Sampling Clock:20000000Hz)ㅧ 프레임(Built Frames:1)=100000포인트(Total Sample Points)이다. 여기서, 샘플링 주파수는 10MHz이고, 샘플 구간의 길이는 0.1μs이다.
87.2μs의 TTG 구간, 74.4μs의 RTG 구간은 각 신호의 시작지점을 의미하며, OFDMA TDD용 스위치박스의 국제단위계(SI)의 시간 보조단위가 적용된 전자 스위치(Electron Switch) 중의 나노세컨드 스위치(Nanosecond Switch)를 TTG와 RTG의 시작지점 보다 먼저 토탈 샘플 포인트(Total Sample Points)의 마커(Marker)의 설정(제1 마커:First Marker, 제2 마커:Last Marker)을 통하여 표준 신호 인가시, TTG 및 RTG 구간의 신호 처리를 1/2 만큼 빠르게 감지하여 스위치의 작동을 하향 링크(DL) 또는 상향 링크(UL)로 절체 할 수 있으며, 마커 설정의 계산식 예는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다른 시험 환경 조건으로 변경되는 경우는 마커 설정의 계산을 재설정하여 다른 시험도 가능하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토탈 샘플 포인트가 100000(9MHz Band)인 경우의 마커 설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토탈 샘플 포인트가 200000(27MHz Band)인 경우의 마커 설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탈 샘플 포인트의 제1 마커(First Marker)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링크(DL)의 길이 값과, 하향링크(DL)와 상향링크(UL)의 사이를 구분하기 위한 보호시간인 TTG의 중간값(TTG/2)의 합으로써 산출되는 지점에 설정된다.
그리고 제2 마커(Last Marker)는 제1 마커의 길이 값과, 상향링크(UL)의 길이 값과, 하향링크(DL)와 상향링크(UL)의 사이를 구분하기 위한 보호시간인 TTG의 중간값(TTG/2)과, 상향링크(UL)와 하향링크(DL)의 사이를 구분하기 위한 보호시간인 RTG의 중간값(RTG/2)의 합으로써 산출되는 지점에 설정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토탈 샘플 포인트의 제1 마커와 제2 마커를 TTG와 RTG의 구간의 1/2로 각각 설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바, TTG와 RTG 구간 내에 각각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토탈 샘플 포인트의 제1 마커는 하향링크(DL)와 상향링크(UL)의 사이를 구분하기 위한 보호시간인 TTG구간 사이에 설정되고, 토탈 샘플 포인트의 제2 마커는 상향링크(UL)와 하향링크(DL)의 사이를 구분하기 위한 보호시간인 RTG구간 사이에 설정된다.
1) 계산식의 100000(Total Sample Points) 경우 - 1FA(9MHz Band) 표준 신호 기준(도4)
100000 = [31104(DL)+17280(UL)+872(TTG)+744(RTG)]×2
63080(First Marker) = 62208(DL)+1744/2(TTG/2)
99256(Last Marker) = 63080(F.M)+3456(UL)+1744/2(TTG/2)+1488/2(RTG/2)
2) 계산식의 200000(Total Sample Points) 경우 - 3FA(27MHz Band) 표준 신호 기준(도5)
200000 = [[31104(DL)+17280(UL)+872(TTG)+744(RTG)]×2]×2
126160(First Marker) = [62208(DL)+1744/2(TTG/2)]×2
198512(Last Marker) = 126160(F.M)+[(3456(UL)+1744/2(TTG/2)
+1488/2(RTG/2)]×2
계산식 1FA, 3FA와 같이 마커 설정(First/Last Marker)을 표준 신호에 설정하므로 RF Multi & OFDMA TDD용 스의치 박스를 상/하향으로 조작 할 수 있으며, 이는 TTG, RTG 구간의 신호 처리를 1/2 만큼 빠르게 표준 신호의 마커를 설정하여 스위치 박스에서 마커의 표준 신호를 감지하여 경로(Path)의 결선 방향을 바꾸는 방식을 적용한 것이며, 다수의 시험 구성을 실시하는 경우는 국제단위계(SI)의 시간 보조단위가 적용된 전자 스위치(Electron Switch)를 내장한 멀티 스위치박스(Multi Switch Box)로 다양한 시험 구성 경로(Path)를 구성 할 수 있다.
또한, 분석기(500)는 트리구조 명령어, 매크로 명령어, 마우스/키보드의 입력데이터를 이용한 자동운영(Auto Run)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계측기(200), 측정대상기기(300) 및 스위치박스(400)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제어하고, 계측기로부터 시험측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출력하고, 외부의 원격제어 단말기(600)로부터 원격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해당하는 명령어, 제어명령 내용 및 키보드/마우스의 입력데이터를 포함하는 원격제어 명령신호를 수신하고, 분석 결과정보를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600)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분석기는 수신부(510), 계측부(520), 메모리부(530),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40), 분석부(550), 출력부(560), 통신부(570) 및 중앙제어부(580)를 포함한다.
수신부(510)는 계측기로부터 시험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용자로부터 키 보드/마우스와 같은 입력수단을 통해 요구사항에 해당하는 명령어, 제어명령 내용 및 키보드/마우스의 입력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제어명령 내용은 계측기, 측정대상기기 및 스위치박스를 제어하기 위한 각각의 명령어에 지정 가능한 제어명령을 말한다.
또한, 계측부(520)는 측정대상기기와 연결되어 사용자로부터 수신부(510)를 통해 수신한 명령어와 제어명령 내용 등의 요구사항에 따라 프로그램 시나리오 작성 및 변경기능을 수행하며, 측정대상기기를 시험측정하여 시험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프로그램 시나리오는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명령어, 제어명령 내용, 키보드/마우스의 입력데이터 등의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트리구조 명령어, 매크로 명령어, 마우스/키보드의 입력데이터를 이용한 자동운영(Auto Run)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계측기(200), 측정대상기기(300) 및 스위치박스(400)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제어하고, 계측기로부터 시험측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출력하는 절차를 말한다.
또한, 메모리부(530)는 수신부(510)로부터 수신한 시험측정 데이터, 명령어, 제어명령 내용, 상기 시험측정 데이터를 분석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스위치박스의 종류별로 멀티 스위치박스, OFDMA TDD용 스위치박스, OFDMA TDD ICS용 스위치박스, RF Multi용 스위치박스, RF Multi & OFDMA TDD용 스위치박스 등의 구성인 스위치 구성메뉴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메모리부(530)는 측정결과 DB(531), 트리구 조 DB(532), 매크로 DB(533), 스위치박스 DB(534) 및 자동운영 DB(535)를 포함한다.
측정결과 DB(531)는 수신부(510) 또는 계측부(520)로부터 수신한 시험측정 데이터 및, 상기 시험측정 데이터를 분석부(550)를 통해 분석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트리구조 DB(532)는 수신부(510)로부터 수신한 명령어를 트리구조 형태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매크로 DB(533)는 수신부(510)로부터 수신한 명령어와 제어명령 내용을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이하, GUI로 함')를 통해 조합한 형태인 매크로 명령어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매크로 DB(533)의 매크로 명령어는 트리구조 DB(532)의 명령어와 수신부(510)로부터 수신하는 제어명령 내용을 GUI를 통해 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측정 대상기기를 시험측정시 트리구조 DB(532) 또는 매크로 DB(533)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시킴으로써, 측정 자동화를 향상시킨다.
또한 스위치박스 DB(534)는 스위치박스의 종류별로 멀티 스위치박스, OFDMA TDD용 스위치박스, OFDMA TDD ICS용 스위치박스, RF Multi용 스위치박스, RF Multi & OFDMA TDD용 스위치박스 등의 구성인 스위치박스 구성메뉴 데이터, 스위치박스 구성배치 및 결선배치에 대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시간 스케줄에 따른 구성배치 및 결선배치 변경에 대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시간 스케줄에 따른 구성배치 및 결선배치를 변경하여 자동 반 복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치박스 구성메뉴 데이터는 멀티 스위치박스, OFDMA TDD용 스위치박스, OFDMA TDD ICS용 스위치박스, RF Multi용 스위치박스 및 RF Multi & OFDMA TDD용 스위치박스 구성메뉴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자동운영 DB(535)는 반복되는 입력으로 GUI를 통해 자동운영(Auto Run)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수신부(510)를 통해 수신하는 키보드의 키입력값,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40) 상의 마우스 포인터 좌표값(x,y), 마우스 포인터의 이동 경로에 해당하는 마우스 포인터 좌표의 변화값, 마우스 클릭 동작신호, 실행되는 파일의 경로주소 등의 입력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자동운영 DB(535)에 순차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된 입력데이터를 이용하여 자동운영함으로써, 측정 자동화를 향상시킨다.
또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40)는 메모리부(530)의 트리구조 DB(532) 또는 매크로 DB(533)와 연동하여 GUI로 계측기, 측정대상기기 및 스위치박스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40)는 계측기 GUI, 중계기 GUI, 측정대상기기(Device Under Test:DUT) GUI, 스위치박스 GUI 등을 포함한다.
또한, 분석부(550)는 수신부(510)를 통해 수신한 시험측정 데이터를 검색조건에 따라 검색하고, 시험측정 데이터를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분석부(550)는 검색모듈(551) 및 분석모듈(552)을 포함한다.
검색모듈(551)은 해당 계측기 일련번호, 총시험 측정수, 측정일자 등의 사용자 설정에 따른 검색조건으로 하여 측정결과 DB(531)에 저장된 시험측정 데이터를 검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 예에서 검색조건은 해당 계측기 일련번호, 총시험 측정수, 측정일자 등으로 설정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분석모듈(552)은 검색모듈(551)에서 검색한 시험측정 데이터를 분석하고, 측정대상기기의 통신 패킷(이하, '패킷'이라 함)을 조회 및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분석모듈(55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①에서 검색모듈(551)의 통신 전송 속도와 측정대상기기의 다수 연결 통신포트번호가 입력되면, 측정대상기기로 제어명령을 전달할 때 사용되는 패킷을 조회하여, 도 6의 ③에서 연결 통신포트에 전달되는 패킷을 계속적으로 보여주며, 동일한 패킷이 도 6의 ②의 위치로 이동하는 명령을 입력받으면, 중복되는 패킷을 제거하고, 새롭게 제어되는 패킷을 검출한다. 도 6의 ④와 같이 계측기, 측정대상기기 및 스위치박스로 제어, 조회명령을 전달할 때 사용된 패킷이 매크로 DB의 제어명령에 자동으로 입력된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16 16 16 16 30 00 0d 3d 00 ff ff 01 01 00 04 24 04 01 00 85 c3 03", "Att 1"의 숫자, 문자 조합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40)의 GUI를 통해 계측기, 측정대상기기 및 스위치박스로 명령을 전달할 때 사용된 패킷이다.
또한, 출력부(560)는 분석부(550)에서 분석한 결과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 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560)는 분석부(550)의 분석결과를 엠에스 오피스(MS Office)를 이용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설정하였지만, 엠에스오피스 및 범용, 전용의 출력 방식을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통신부(570)는 외부의 원격제어 단말기(600)로부터 원격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해당하는 명령어, 제어명령 내용 및 키보드/마우스의 입력데이터를 포함하는 원격제어 명령신호를 수신하고, 분석부(550)에서 분석한 결과정보를 원격제어 단말기(600)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계측기와 측정대상기기의 통신에 있어서, 해당 계측기에 연결된 측정대상기기에 주소를 할당하며, 하나의 계측기에 다수의 측정대상기기가 연결된 경우, 상기 다수의 측정대상기기 각각에 주소를 할당하여 각각 독립적인 통신이 가능하다. 그리고 가상의 통신포트 설정하여 이용하므로 측정대상기기의 통신포트 변경을 자유롭게 실시하여 다양한 환경의 통신 구성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는 RS232C, GPIB, CAN, USB, LAN, 직렬통신 버스 등 다수 통신 방식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중앙제어부(580)는 수신부(510), 계측부(520), 메모리부(530),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40), 분석부(550), 출력부(560) 및 통신부(570)를 중앙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어부(580)는 수신부(510)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의 요구사항 또는 원격제어 단말기(600)로부터 수신한 원격제어 명령신호에 따라 트리구조 모드, 매크로 모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 자동운영 모드 변경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선택제어하며, 시험측정 데이터를 암호화시키고, 시험측정 데이터를 분석하며, 분석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중앙제어부(580)는 제어선택모듈(581) 및 암호화모듈(582)을 포함한다.
제어선택모듈(581)은 수신부(510)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선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선택모듈(581)은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트리구조 DB(532)의 명령어로 제어하는 트리구조 모드 또는 매크로 DB(533)의 매크로로 제어하는 매크로 모드,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40)로 제어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 또는 반복되는 입력으로 자동운영하기 위한 입력데이터를 자동운영 DB(535)로 설정하고, 설정된 입력데이터로 제어하는 자동운영 모드, 또는 수신부(510)를 통해 수신하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이 모드변경 명령 또는 스위치 박스(400)구성 변경명령인 경우 해당 모드를 변경하는 모드변경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되는 해당 명령어로 계측기, 측정대상기기 및 스위치박스에 제어명령을 전송하여 제어한다.
여기서, 트리구조 모드일 경우, 제어선택모듈(58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부(510)로부터 수신하는 명령어로 계측기, 측정대상기기 및 스위치박스를 제어한다.
또한 매크로 모드일 경우, 제어선택모듈(58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부(510)로부터 수신하는 명령어와 제어명령 내용을 조합하여 매크로 형태인 매크로 명령어를 매크로 DB(533)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매크로 DB(533)의 매크로 명령어와 트리구조 DB(532)의 명령어가 연동하여 계측기, 측정대상기기 및 스위치박스를 제어한다.
여기서, 매크로 모드의 계측기 제어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WSET' 매크로 명령어는 스위치 박스에 각 Path로 결선한 각 Node의 연결 상태를 PC에 저장 하였을 때 'SWSET'명령에 내용 부분에 PC의 저장 위치를 기록하면 측정시 저장 파일을 불러들여 스위치 박스의 결선을 자동으로 교체하여 준다. 'APPCONTROL' 매크로 명령어는 자동운영(Auto Run) 모드에 작성되어 저장된 상태를 PC에 저장하여 놓고 저장 파일을 불러드려 사용하면 마우스/키보드의 입력데이터가 작동이 된다. 'LOADPICTURE'매크로 명령어는 측정의 결선 상태를 미리 작업자가 그림으로 구성하여 PC에 저장, 측정시 현재의 구성 상태를 그림으로 보일 수 있으며, Cable의 변경이나 다른 운영 조작이 필요 할 경우 PC의 저장 파일을 구동시 도시 할 수도 있다.
'WRITE'명령어는 계측기를 제어하는 명령어이고, 'SA,:FREQ:CENT 2345MHz'는 계측기 명령제어를 지시하는 내용이다. 즉, 스펙트럼 계측기 'SA'에서 주파수를 '2345MHz'로 설정하라는 명령 지시이다. 'WRITEM'명령어는 'WRITE'명령어와 같이 동일한 제어를 지시하는데 지시 값을 변화시킬 경우, 변화 값을 제어명령 내용입력 창이 아닌 별도의 외부 입력창에 기록하여 변화 값을 수행하게 한다. 'DELAY'명령어는 지정된 시간을 기다렸다가 다음 명령을 수행하게 한다. 계측기 경우 명령 수행 시간의 차이가 생기는 경우가 있으므로, 특정 시간을 지정하여 시간이 지난 후, 다음 명령을 수행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저장 파일을 불러 드리는 매크로 명령어 및'WRITE/WRITEM/DELAY'의 예와 같이 사용자는 다수 개의 매크로 명령을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일 경우, 제어선택모듈(581)은 트리구조 DB(532) 또는 매크로 DB(533)와 연동하여, GUI로 계측기, 측정대상기기 및 스위치박스를 제어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기능 버튼 표시에 해당 기능을 트리구조 DB(532)의 명령어 또는 매크로 DB(533)의 매크로와 연동하여 GUI를 통해 계측기, 측정대상기기 및 스위치박스를 제어한다.
여기서, 스위치박스 GUI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빈 양식의 패널(panel)에 도 11의 스위치박스 구성메뉴 데이터를 스위치박스 DB(534)로부터 읽어 들이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계측기와 측정대상기기의 구성배치 및 결선배치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구성배치 및 결선배치를 스위치박스 DB(534)에 저장하며, 스위치박스 DB(534)에 저장된 구성배치 및 결선배치를 읽어 들여 트리구조 DB(532)의 명령어 또는 매크로 DB(533)의 매크로와 연동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해당 스위치박스(400)의 연결을 제어한다.
이때, 계측기와 측정대상기기에 따라 스위치박스를 멀티 스위치박스, OFDMA TDD용 스위치박스, OFDMA TDD ICS용 스위치박스, RF Multi용 스위치박스, RF Multi & OFDMA TDD용 스위치박스 등으로 구성하게 된다.
즉,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분석기와 신호 발생기 등을 하나의 계측기 세트로 구성하고, 스위치박스 DB(534)로부터 멀티 스위치박스를 읽어들여 다수의 측정대상기기에 각 통신포트(port)를 순차적 제어를 실시하며, 결선 배치의 파일을 측정 과정에서 불러들여 측정시험이 가능하다.
도 13에서 ①은 측정대상기기의 순방향 측정(상향 링크)을 나타내고, ②는 역방향 측정(하향 링크)을 나타낸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스위치박스의 결선을 스위치박스 GUI를 통해 변경하여 다수의 측정대상기기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박스 GUI의 결선을 변경하여 스위치박스 GUI를 통해 동시에 측정대상기기의 순방향/역방향의 결선 경로를 바꾸어 도14와 다른 경로(Path)의 결선 변경을 통한 측정이 가능하다. 이러한 스위치박스 GUI를 이용하여 계측기의 수량을 절감, 작업자의 운영 조작 시간의 절감, 다수 개의 측정대상기기를 순차적으로 통신포트(port)까지 변경하며 측정하므로, 시간의 절감 효과가 있다.
그리고 스위치박스 GUI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박스 DB(534)로부터 시간 스케줄에 따른 구성배치 및 결선배치에 대한 데이터를 읽어 들여 설정된 시간 스케줄에 따라 스위치박스의 구성배치와 결선 배치를 변경하여 제어한다. 즉, 스위치박스 GUI는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시간을 설정 받고, 그때 스위치박스 DB(534)로부터 시간 스케줄에 따른 스위치박스 구성배치 및 결선배치에 대한 데이터를 불러오며, 작업자가 트리구조 DB(532)의 명령어 또한 매크로 DB(533)의 매크로 명령어를 이용하여 측정 과정의 순서를 작성한 프로그램 파일에 따라 스위치박스의 구성배치와 결선배치를 제어한다.
또한 자동운영 모드일 경우, 제어선택모듈(581)은 반복되는 입력으로 GUI를 통해 자동운영하기 위한 입력데이터를 수신부(510)를 통해 입력받아 자동운영 DB(535)로 설정한다. 이때, 제어선택모듈(581)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 자로부터 수신부(510)를 통해 수신하는 키보드의 키명령값,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40) 상의 마우스 포인터 좌표값(x,y), 마우스 포인터의 이동 경로에 해당하는 마우스 포인터 좌표의 변화값, 마우스 클릭 동작신호, 실행되는 파일의 경로, 주소 등의 입력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메모리부(530)의 자동운영 DB(535)에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자동운영 DB(535)에 순차적으로 설정된 입력데이터에 따라 계측기, 측정대상기기 및 스위치박스를 제어한다.
또한 변경 모드일 경우, 제어선택모듈(581)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요구사항이 모드변경 명령인 경우 해당 모드를 변경하고, 수신부(510)를 통해 수신하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이 스위치 박스(400)구성 변경 명령인 경우, 스위치박스 DB(534)로부터 구성배치 및 결선배치에 대한 해당 데이터를 읽어 들여 스위치박스의 구성배치와 결선배치를 변경하여 해당 스위치박스를 제어한다.
그리고 암호화모듈(582)은 시험측정데이터를 암호화 코드로 암호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암호화 코드는 별도의 엠에스오피스(MS Office) 엑세스(Access) 파일 형태 등의 코드로서, 시험측정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임의의 수정 및 가공하지 못하도록 하여, 시험측정 데이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원격제어 단말기(600)는 원격지에 있는 원격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해당하는 명령어, 제어명령 내용 및 키보드/마우스의 입력데이터를 포함하는 원격제어 명령신호를 분석기(500)로 송신하고, 상기 분석기(500)로부터 분석 결과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원격제어 단말기(600)는 원격 수신부(610), 원격 통신부(620), 원격 출력부(630), 원격 메모리부(640) 및 원 격 제어부(650)를 포함한다.
원격 수신부(610)는 원격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해당하는 명령어, 제어명령 내용 및 키보드/마우스의 입력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원격 통신부(620)는 원격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해당하는 명령어, 제어명령 내용 및 키보드/마우스의 입력데이터를 포함하는 원격제어 명령신호를 분석기(500)로 송신하고, 분석기(500)의 분석부(550)에서 분석한 결과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원격 출력부(630)는 원격 통신부(620)를 통해 수신한 분석기(500)의 결과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원격 메모리부(640)는 원격 통신부(620)를 통해 수신한 분석기(500)의 결과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원격 제어부(650)는 원격 수신부(610), 원격 통신부(620), 원격 출력부(630) 및 원격 메모리부(64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시스템은 분석기(500)를 계측기(200) 또는 측정대상기기(300) 내부에 각각 설치하여 네트워크를 이용한 로컬 네트워크 제어가 가능하다. 즉, 계측기 내부에 분석기를 설치함으로써, 편의성 및 확장성을 얻는 효과가 있으며 원격지에서 원격제어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포트(port)제어가 필요하다. 즉, 측정대상기기 중의 하나인 중계기를 제어하는 경우 RS232C, GPIB, CAN, USB, LAN, 직렬통신 버스등 통신제어가 필수적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박스를 이용한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시스템은 WiBro ICS 중계장치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계측기 및 측정대상기기를 RF Multi & OFDMA TDD용 스위치 박스에 연결하여 각 Node의 결선의 방향을 변경하여 측정코자 하는 시험 구성을 자동으로 결선 할 수 있으며, 계측기에 연결되는 측정대상기기를 RF Multi & OFDMA TDD용 스위치 박스에 연결하여 자동시험시 측정 결과를 수집하여 이를 분석, 관리하므로 생산 효율 및 양산 효율 증대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스위치 박스를 이용한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방법(이하, '분석 방법')에 관한 전체적인 흐름을 도 18내지 도 21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석방법에 관한 전체적인 흐름을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분석기(500)는 수신부(510)를 통해 수신한 마우스/키보드의 입력데이터, 명령어와 제어명령 내용 등의 요구사항을 수신한다(S2).
다음으로 분석기(500)는 수신부(510)를 통해 수신한 마우스/키보드의 입력데이터, 명령어와 제어명령 등의 요구사항을 이용하여 메모리부(530)에 트리구조 DB(532), 매크로 DB(533), 스위치박스 DB(534), 자동운영 DB(535)를 구축한다(S4).
여기서, 제 S4 단계에서 메모리부(530)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분석기(500)는 수신부(510)를 통해 수신하는 시험측정 데이 터를 메모리부(530)의 측정결과(531)에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다. 또한 분석기(500)는 수신부(510)를 통해 수신한 명령어를 메모리부(530)의 트리구조 DB(532)에 트리구조 형태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또한 분석기(500)는 수신부(510)를 통해 수신한 명령어와 제어명렁 내용을 GUI를 통해 조합한 형태인 매크로 명령어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또한 분석기(500)는 수신부(510)를 통해 스위치박스의 종류별로 멀티 스위치박스, OFDMA TDD용 스위치박스, OFDMA TDD ICS용 스위치박스, RF Multi용 스위치박스, RF Multi & OFDMA TDD용 스위치박스 등의 구성인 스위치박스 구성메뉴 데이터를 수신하고, 스위치박스 구성배치 및 결선배치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시간 스케줄에 따른 구성배치 및 결선배치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다. 여기서, 시간 스케줄에 따른 구성배치 및 결선배치를 변경하여 자동 반복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분석기(500)는 수신부(510)를 통해 수신한 키보드의 키입력값, 마우스 포인터 좌표값(x,y), 마우스 포인터의 이동 경로에 해당하는 마우스 포인터 좌표의 변화값, 마우스 클릭 동작신호, 실행되는 파일의 경로 주소 등의 입력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한다.
다음으로 분석기(500)는 제어선택모듈(581)을 통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 중, 스위치박스 GUI 모드로 선택하여 해당 스위치박스를 제어한다(S6).
다음으로 분석기(500)는 수신부(510)를 통해 수신한 요구사항에 따라 제어선택모듈(581)을 통해 선택되는 모드로 계측기(200) 및 측정대상기기(300)를 제어한다(S8).
제 S8 단계에서, 분석기(500)는 제어선택모듈(581)을 통해 선택되는 모드의 해당 명령어로 계측기(200) 및 측정대상기기(300)에 제어명령을 전송하여 제어한다.
다음으로 분석기(50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부(510)를 통해 수신한 요구사항이 스위치 박스의 구성변경을 위한 스위치 박스(400) 구성 변경명령인지를 제어선택모듈(581)로 판단하여, 스위치 박스(400) 구성 변경명령으로 판단한 경우, 제 S6 단계 이전으로 그 절차를 이행한다(S10).
다음으로 분석기(500)는 수신부(510)를 통해 시험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시험측정 데이터를 암호화모듈(582)을 통해 암호화 코드로 암호화시킨다(S12).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석기(500)는 측정대상기기와 연결된 계측부(520)를 더 마련하여, 사용자로부터 수신부(510)를 통해 수신한 명령어와 제어명령 내용 등의 요구사항에 따라 프로그램 시나리오 작성 및 변경기능을 수행하며, 측정대상기기를 시험측정하여 시험측정 데이터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분석기(500)는 암호화된 시험측정 데이터를 분석부(550)를 통해 분석한다(S14).
다음으로 분석기(500)는 분석된 결과를 메모리부(530)의 측정결과 DB(531)에 저장하고, 출력부(560)를 통해 출력한다(S16).
그리고 분석기(500)는 수신부(510)를 통해 수신하는 요구사항이 모드변경 명령인지를 제어선택모듈(581)로 판단하여, 모드변경 명령인 경우, 상기 제 S8 단계 이전으로 그 절차를 이행한다(S18).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석기의 스위치박스 GUI 제어동작에 대한 상세한 흐름을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석기(500)는 수신부(510)를 통해 수신한 요구사항을 제어선택모듈(581)을 통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 중, 스위치박스 GUI 모드로 선택한다(S22).
다음으로, 분석기(500)는 스위치박스 DB(534)로부터 스위치박스 구성메뉴 데이터를 불러오고(S24), 스위치박스 GUI를 통해 계측기와 측정대상기기의 구성배치 및 결선배치를 수신한다(S26).
다음으로, 분석기(500)는 통신부(570)를 통해 상기 계측기와 측정대상기기의 구성배치에 주소를 각각 할당한다(S28).
다음으로, 분석기(500)는 스위치박스 GUI를 통해 입력받은 계측기와 측정대상기기의 구성배치 및 결선배치에 따른 제어명령을 트리구조 DB(532)의 명령어 또는 매크로 DB(533)의 매크로와 연동시켜 설정한다(S30).
다음으로, 분석기(500)는 스위치박스 DB로부터 시간 스케줄에 따른 구성배치 및 결선배치에 대한 데이터를 읽어들여 설정된 시간 스케줄에 따라 스위치박스의 구성배치와 결선배치를 변경하고 스위치동작을 제어한다(S32).
여기서, 제 S32 단계에서 스위치박스는 분석기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RF Multi & OFDMA TDD용 스위치 박스의 경우는 제어신호 감지수단을 통해 First/Last Marker 설정을 표준 신호에 설정하므로 신호감지를 위한 토탈 샘플 포 인트를 설정하여 감지한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치동작을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석기의 제어동작에 대한 상세한 흐름을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석기(500)는 수신부(510)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따른 선택모드가 자동운영 모드인지를 제어선택모듈(581)로 판단한다(S42).
제 S42 단계의 판단결과, 자동운영 모드인 경우, 분석기(500)는 자동운영 DB(535)를 호출하여(S44), 자동운영 DB(535)에 설정한 입력데이터로 계측기(200) 및 측정대상기기(300)를 제어한다(S46).
또한, 제 S42 단계의 판단결과, 자동운영 모드가 아닌 경우, 분석기(500)는 제어선택모듈(581)을 통해 수신부(51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따른 선택모드가 매크로 모드인지 판단한다(S48).
다음으로 제 S48 단계의 판단결과, 매크로 모드인 경우, 분석기(500)는 매크로 DB(533)와 트리구조 DB(532)를 호출하고(S50), 매크로 DB(533)의 명령어와 트리구조 DB(532)의 명령어를 연동하여 계측기(200) 및 측정대상기기(300)를 제어한다(S52).
또한, 제 S48 단계의 판단결과, 매크로 모드가 아닌 경우, 분석기(500)는 제어선택모듈(581)을 통해 수신부(51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따른 선택모드가 트리구조 모드인지 판단한다(S54).
다음으로 제 S54 단계의 판단결과, 트리구조 모드인 경우, 분석기(500)는 트리구조 DB(532)를 호출하여(S56), 트리구조 DB(532)의 명령어로 계측기(200) 및 측정대상기기(300)를 제어한다(S58).
그리고 제 S54 단계의 판단결과, 트리구조 모드가 아닌 경우, 분석기(500)는 제어선택모듈(581)을 통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로 판단하여 트리구조 DB(532) 및 GUI부(540)를 호출하고(S60), 트리구조 DB(532)의 명령어와 연동하여 GUI로 계측기(200) 및 측정대상기기(300)를 제어한다(S62).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석기의 분석동작에 대한 상세한 흐름을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석기(500)는 수신부(510)를 통해 수신하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따른 계측기 일련번호, 총시험 측정수, 측정일자 등을 검색조건으로 하여, 검색모듈(551)을 통해 메모리부(530)의 시험측정 데이터를 검색하고, 다수 측정대상 기기의 패킷 조회 및 측정대상 기기의 패킷을 제어한다(S72).
다음으로 분석기(500)는 검색모듈(551)을 통해 검색한 시험측정 데이터를 분석모듈(552)을 통해 분석한다(S74).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박스를 이용한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시스템에 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OFDMA TDD ICS용 스위치 박스를 이용한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시스템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OFDMA TDD용 스위치 박스의 TDD 신호 Map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토탈 샘플 포인트가 100000(9MHz Band)인 경우의 마커 설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토탈 샘플 포인트가 200000(27MHz Band)인 경우의 마커 설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석 모듈에 의한 분석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리구조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크로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박스 GUI의 빈 양식 패널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박스 GUI의 스위치박스 구성메뉴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측기와 측정대상기기의 구성 배치 및 결선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위치박스 및 RF Multi 스위치박스의 구성배치 및 결선배치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간 스케줄에 따라 스위치박스의 결선경로 변경, 다양한 절차 프로그램 설정 및 파일 불러오기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운영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석방법에 관한 전체적인 흐름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석기의 스위치박스 GUI 제어동작에 대한 상세한 흐름도.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석기의 제어동작에 대한 상세한 흐름도.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석기의 분석동작에 대한 상세한 흐름도.
<도면 부호에 대한 설명>
1 : TTG 2 : RTG
100 : 네트워크 200 : 계측기
300 : 측정대상기기 400 : 스위치박스
500 : 분석기 510 : 수신부
520 : 계측부 530 : 메모리부
531 : 측정결과 DB 532 : 트리구조 DB
533 : 매크로 DB 534 : 스위치박스 DB
535 : 자동운영 DB 540 :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550 : 분석부 551 : 검색모듈
552 : 분석모듈 560 : 출력부
570 : 통신부 580 : 중앙제어부
581 : 제어선택모듈 582 : 암호화모듈
600 : 원격제어 단말기 610 : 원격 수신부
620 : 원격 통신부 630 : 원격 출력부
640 : 원격 메모리부 650 : 원격 제어부

Claims (25)

  1. 측정대상기기를 시험측정하는 계측기;
    상기 계측기 및 측정대상기기를 연결하고, 분석기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스위치동작을 하는 스위치박스;
    상기 계측기, 측정대상기기 및 스위치박스를 제어하며, 상기 계측기로부터 시험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시험측정 데이터를 분석하여 출력하는 분석기; 및
    상기 계측기, 측정대상기기, 스위치박스 및 분석기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으로 연계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박스는 상기 분석기로부터 수신하는 제어신호를 감지하여 스위치동작을 하는 제어신호 감지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박스를 이용한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원격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해당하는 명령어, 제어명령 내용 및 키보드/마우스의 입력데이터를 포함하는 원격제어 명령신호를 상기 분석기로 송신하고, 분석기로부터 분석 결과정보를 수신하는 원격제어 단말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박스를 이용한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는,
    원격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해당하는 명령어, 제어명령 내용 및 키보드/마우스의 입력데이터를 수신하는 원격 수신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원격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해당하는 명령어, 제어명령 내용 및 키보드/마우스의 입력데이터를 포함하는 원격제어 명령신호를 분석기로 송신하고, 분석기로부터 분석 결과정보를 수신하는 원격 통신부;
    상기 원격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분석 결과정보를 출력하는 원격 출력부;
    상기 원격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분석 결과정보를 저장하는 원격 메모리부; 및
    상기 원격 수신부, 원격 통신부, 원격 출력부 및 원격 메모리부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박스를 이용한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감지수단은,
    신호감지를 위한 토탈 샘플 포인트(Total Sample Points)의 제1 마커(First Marker) 및 제2 마커(Last Marker)를 설정하고, 하향 링크(DL)와 상향 링크(UL)의 전송 시간을 구분하기 위한 보호시간인 TTG 및 RTG 구간을 감지하여 스위치 경로(path)의 결선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박스를 이용한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토탈 샘플 포인트의 제1 마커 설정은,
    토탈 샘플 포인트의 하향링크(DL)와 상향링크(UL)의 사이를 구분하기 위한 보호시간인 TTG구간 사이에 설정되고,
    상기 토탈 샘플 포인트의 제2 마커 설정은,
    토탈 샘플 포인트의 상향링크(UL)와 하향링크(DL)의 사이를 구분하기 위한 보호시간인 RTG구간 사이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박스를 이용한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박스는,
    국제단위계(SI)의 시간 보조단위가 적용된 전자 스위치(Electron Switch)를 사용하는 멀티 스위치박스, OFDMA TDD용 스위치박스, RF Multi용 스위치박스, RF Multi & OFDMA TDD용 스위치박스 및 전자 스위치 중의 나노세컨드 스위치(Electron Nanosecond Switch)가 적용된 OFDMA TDD ICS용 스위치박스를 포함하며, 결선의 재구성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박스를 이용한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기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따른 명령어, 제어명령 내용 및 마우스/키보드의 입력데이터를 수신하고, 계측기로부터 중계기를 통해 시험측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시험측정 데이터를 분석하는 분석부;
    상기 수신부로부터 수신한 시험측정 데이터, 요구사항, 명령어, 제어명령 내용, 상기 시험측정 데이터를 분석한 데이터, 스위치박스 구성메뉴 데이터, 스위치박스 구성배치 및 결선배치에 대한 데이터, 및 시간 스케줄에 따른 구성배치 및 결선배치 변경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와 연동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상기 계측기, 측정대상기기 및 스위치박스를 제어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분석부에서 분석한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
    외부의 원격제어 단말기로부터 원격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해당하는 명령어, 제어명령 내용 및 키보드/마우스의 입력데이터를 포함하는 원격제어 명령신호를 수신하고, 분석부에서 분석한 결과정보를 원격제어 단말기로 송신하며, 상기 계측기에 연결된 다수 측정대상기기에 주소를 할당하여 제어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부, 분석부, 메모리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출력부 및 통신부를 중앙제어하는 중앙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박스를 이용한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기는,
    측정대상 기기와 연결되어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요구사항, 명령어 및 제어명령 내용에 따라 프로그램 시나리오를 작성 및 변경하며, 상기 측정대상기기를 시험측정하여 시험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계측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박스를 이용한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시험측정 데이터 및 분석부를 통해 분석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측정결과 DB;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명령어를 트리구조 형태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트리구조 DB;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명령어 및 제어명령 내용을 조합하여 다수 개의 매크로 형태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매크로 DB;
    스위치박스 구성메뉴 데이터, 스위치박스 구성배치 및 결선배치에 대한 데이터 및 시간 스케줄에 따른 구성배치 및 결선배치 변경에 대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스위치박스 DB; 및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키보드의 키입력값,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 상의 마우스 포인터 좌표값(x,y), 마우스 포인터의 이동 경로에 해당하는 마우스 포인터 좌표의 변화값, 마우스 클릭 동작신호 및 실행되는 파일의 경로주소를 포함하는 입력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자동운영 D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박스를 이용한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박스 구성메뉴 데이터는,
    멀티 스위치박스, OFDMA TDD용 스위치박스, OFDMA TDD ICS용 스위치박스, RF Multi용 스위치박스 및 RF Multi & OFDMA TDD용 스위치박스 구성메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박스를 이용한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시스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기는,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스위치박스 GUI의 결선을 제어하며, 측정대상기기의 순방향/역방향 측정에서 스위치박스와 연결된 구성배치 및 결선배치 패스(Path)를 변경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박스를 이용한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시스템.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기는,
    메모리부로부터 시간 스케줄에 따른 구성배치 및 결선배치에 대한 데이터를 읽어들여 설정된 시간 스케줄에 따라 스위치박스의 구성배치 및 결선배치를 변경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스위치박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박스를 이용한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시스템.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요구사항에 따른 검색조건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의 시험측정 데이터를 검색하고, 측정대상 기기의 다수 연결 통신포트 스위치 및 포트번호에 대한 제어, 패킷 조회 및 패킷 제어하는 검색모듈; 및
    상기 검색모듈에서 검색한 시험측정 데이터를 분석하는 분석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박스를 이용한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시스템.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분석부의 분석 결과를 엠에스오피스(MS OFFICE) 프로그램 및 범용, 전용의 출력 방식을 이용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박스를 이용한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시스템.
  1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가상 통신포트 설정 및, RS232C, GPIB, CAN, USB, LAN, 직렬통신 버스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다수의 통신포트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박스를 이용한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시스템.
  16.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트리구조 DB의 명령어로 제어하는 트리구조 모드, 매크로 DB의 매크로로 제어하는 매크로 모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 제어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자동운영 DB의 입력데이터로 제어하는 자동운영 모드를 지원하는 자동운영 모드 및,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요구사항이 모드변경 명령인 경우 해당 모드를 변경하고, 스위치 박스의 구성변경 명령인 경우 스위치박스의 구성배치와 결선배치를 변경하여 해당 스위치박스를 제어하는 변경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제어하는 제어선택모듈; 및
    시험측정 데이터를 암호화 코드로 암호화시키는 암호화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박스를 이용한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시스템.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기는,
    상기 계측기 또는 측정대상기기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박스를 이용한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시스템.
  18.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방법에 있어서,
    (a)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시스템의 분석기가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마우스/키보드의 입력데이터, 명령어 및 제어명령 내용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분석기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마우스/키보드의 입력데이터, 명령어 및 제어명령 내용을 메모리부의 트리구조 DB, 매크로 DB, 스위치박스 DB 및 자동운영 DB로 구축하는 단계;
    (c) 상기 분석기가 제어선택모듈을 통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 중, 스위치박스 GUI 모드로 선택하여 해당 스위치박스를 제어하는 단계;
    (d) 상기 분석기가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요구사항에 따라 제어선택모듈로 선택되는 모드의 해당 명령어로 계측기 및 측정대상기기에 제어명령을 전송하여 제어하는 단계;
    (e) 상기 분석기가 수신부를 통해 시험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시험측정 데이터를 암호화모듈을 통해 암호화 코드로 암호화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분석기가 암호화된 시험측정 데이터를 분석부를 통해 분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f) 단계 이후에,
    (g) 상기 분석기가 상기 제 (f) 단계에서 분석된 결과를 메모리부의 측정결과 DB에 저장하고,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및
    (h) 상기 분석기가 수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요구사항이 모드변경 명령인지를 제어선택모듈로 판단하여, 모드변경 명령인 경우, 상기 제 (d) 단계 이전으로 그 절차를 이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c) 단계는,
    (c-1) 상기 분석기가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요구사항을 제어선택모듈을 통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 중, 스위치박스 GUI 모드로 선택하는 단계;
    (c-2) 상기 분석기가 스위치박스 DB로부터 스위치박스 구성메뉴 데이터를 읽어 들이고, 스위치박스 GUI를 통해 계측기와 측정대상기기의 구성배치 및 결선배치를 수신하는 단계;
    (c-3) 상기 분석기가 통신부를 통해 상기 계측기와 측정대상기기의 구성배치에 주소를 각각 할당하는 단계;
    (c-4) 상기 분석기가 스위치박스 GUI를 통해 입력받은 계측기와 측정대상기기의 구성배치 및 결선배치에 따른 제어명령을 트리구조 DB의 명령어 또는 매크로 DB의 매크로와 연동시켜 설정하고 스위치박스 DB로 저장하는 단계; 및
    (c-5) 상기 분석기가 스위치박스 DB로부터 시간 스케줄에 따른 구성배치 및 결선배치에 대한 데이터를 읽어들여 설정된 시간 스케줄에 따라 스위치박스의 구성배치와 결선배치를 변경하고 스위치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d) 단계는,
    (d-1) 상기 분석기가 상기 수신부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선택되는 모드를 제어선택모듈로 판단하는 단계;
    (d-2) 상기 제 (d-1) 단계의 판단결과, 자동운영 모드로 판단한 경우, 상기 분석기가 상기 자동운영 DB의 입력데이터로 상기 계측기, 측정대상 기기 및 스위치박스를 제어하는 단계;
    (d-3) 상기 제 (d-1) 단계의 판단결과, 매크로 모드로 판단한 경우, 상기 분석기가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매크로 DB 및 트리구조 DB를 호출하는 단계; 및
    (d-4) 상기 매크로 DB의 명령어 및 트리구조 DB의 명령어를 연동하여 상기 측정대상 기기, 계측기 및 중계기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방법.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d) 단계는,
    (d-1) 상기 분석기가 상기 수신부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선택되는 모드를 제어선택모듈로 판단하는 단계;
    (d-2) 상기 제 (d-1) 단계의 판단결과, 트리구조 모드로 판단한 경우, 상기 분석기가 메모리부로부터 트리구조 DB를 호출하는 단계; 및
    (d-3) 상기 분석기가 상기 트리구조 DB의 명령어로 상기 계측기 및 측정대상기기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방법.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d) 단계는,
    (d-1) 상기 분석기가 상기 수신부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선택되는 모드를 제어선택모듈로 판단하는 단계;
    (d-2) 상기 제 (d-1) 단계의 판단결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로 판단한 경우, 상기 분석기가 메모리부로부터 트리구조 DB를 호출하는 단계; 및
    (d-3) 상기 분석기가 상기 트리구조 DB의 명령어와 연동하여 GUI로 상기 계측기 및 측정대상기기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방법.
  24.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d) 단계 이후에,
    (d-1) 상기 분석기가 계측부를 통해 측정대상 기기와 연결되어 수신부로부터 수신한 요구사항, 명령어 및 제어명령 내용에 따라 측정대상 기기를 시험측정하여 시험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방법.
  25.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f) 단계는,
    (f-1) 상기 분석기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요구사항에 따른 검색조건으로 검색모듈을 통해 메모리부의 시험측정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 및
    (f-2) 상기 분석기가 상기 검색모듈을 통해 검색한 시험측정 데이터를 분석모듈을 통해 분석하여 패킷 조회 및 패킷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방법.
KR1020080073539A 2008-07-28 2008-07-28 스위치 박스를 이용한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시스템 및 그방법 KR100878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539A KR100878199B1 (ko) 2008-07-28 2008-07-28 스위치 박스를 이용한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시스템 및 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539A KR100878199B1 (ko) 2008-07-28 2008-07-28 스위치 박스를 이용한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시스템 및 그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8199B1 true KR100878199B1 (ko) 2009-01-13

Family

ID=40482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3539A KR100878199B1 (ko) 2008-07-28 2008-07-28 스위치 박스를 이용한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시스템 및 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819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67313A (zh) * 2010-11-03 2012-05-23 北京普源精电科技有限公司 频谱分析仪的读值应用方法及装置
WO2013184242A1 (en) * 2012-06-05 2013-12-12 Litepoin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xecution of user-defined instrument command sequences using multiple hardware and analysis modules
CN115078744A (zh) * 2022-04-27 2022-09-20 广州伊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工业过程在线分析仪的控制方法、系统、介质及产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4861A (ko) * 2002-03-14 2003-09-22 시그마텔레콤 주식회사 기지국/중계기의 원격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38719A (ko) * 2003-10-22 2005-04-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랜의 전파환경 측정 시스템
KR100733102B1 (ko) 2004-08-19 2007-06-27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전자 기기, 촬영 모드의 전환 방법 및 촬영 모드의 전환용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4861A (ko) * 2002-03-14 2003-09-22 시그마텔레콤 주식회사 기지국/중계기의 원격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38719A (ko) * 2003-10-22 2005-04-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랜의 전파환경 측정 시스템
KR100733102B1 (ko) 2004-08-19 2007-06-27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전자 기기, 촬영 모드의 전환 방법 및 촬영 모드의 전환용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67313A (zh) * 2010-11-03 2012-05-23 北京普源精电科技有限公司 频谱分析仪的读值应用方法及装置
WO2013184242A1 (en) * 2012-06-05 2013-12-12 Litepoin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xecution of user-defined instrument command sequences using multiple hardware and analysis modules
US8656229B2 (en) 2012-06-05 2014-02-18 Litepoin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xecution of user-defined instrument command sequences using multiple hardware and analysis modules
US8839055B2 (en) 2012-06-05 2014-09-16 Litepoin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xecution of user-defined instrument command sequences using multiple hardware and analysis modules
CN115078744A (zh) * 2022-04-27 2022-09-20 广州伊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工业过程在线分析仪的控制方法、系统、介质及产品
CN115078744B (zh) * 2022-04-27 2024-02-13 广州伊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工业过程在线分析仪的控制方法、系统、介质及产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7521B2 (en) Apparatus for capturing multiple data packets in a data signal for analysis
KR101660080B1 (ko)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 동안 다수의 데이터 패킷 트랜스시버들을 함께 시험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7484146B2 (en) Method for capturing multiple data packets in a data signal for analysis
CN102362450A (zh) 利用公共收发器测试仪基本上同时测试多个数据信号收发器的方法和装置
JP5213982B2 (ja) 移動体通信端末試験システム、解析方法、及び解析プログラム
CN101738604A (zh) 一种毫米波接收机自动测试系统
JP2005012274A (ja) 試験装置
KR100878199B1 (ko) 스위치 박스를 이용한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시스템 및 그방법
US9325435B2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comparison of radio frequency (RF) data signals transmitted by a device under test (DUT) and received by a test system
CN109307859A (zh) 一种tr组件幅相特性快速微波测试系统
CN107426760A (zh) 一种无线路由器双频合一测试方法及系统
CN102299749A (zh) 一种无线射频拉远单元多通道的测试装置及方法
Zetterberg Wireless development laboratory (WIDELAB) equipment base
EP2876920B1 (en) Wireless transmitter network analysis tool
CN107918073B (zh) 一种用于矢量网络分析仪的多通道测量方法
JP5750429B2 (ja) 移動通信端末試験装置及び移動通信端末試験方法
CN208860948U (zh) 一种tr组件幅相特性快速微波测试系统
JP5426638B2 (ja) 移動体通信端末の試験システム及び試験方法
JP2007208349A (ja) 無線機用テストシステム
US10775423B2 (en) Vector network analyzer enabling device
CN114050878A (zh) 一种多通道射频系统杂散抑制自动测试的方法及装置
JP5684778B2 (ja) 移動通信端末試験装置及びデータ生成装置並びに移動通信端末試験方法
KR100773102B1 (ko) 자동시험 데이터 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12074A (ko) 더블유-시디엠에이 노드-비 시스템의 성능 분석을 위한자동화 시스템 설계 방법
US11190284B2 (en) Switching system and method for sequential switching of radio frequency path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