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7991B1 - 절전기 - Google Patents

절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7991B1
KR100877991B1 KR1020080078803A KR20080078803A KR100877991B1 KR 100877991 B1 KR100877991 B1 KR 100877991B1 KR 1020080078803 A KR1020080078803 A KR 1020080078803A KR 20080078803 A KR20080078803 A KR 20080078803A KR 100877991 B1 KR100877991 B1 KR 100877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tandby
current
unit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8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인스
Priority to KR1020080078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79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7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7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detecting a user operation or a tactile contact or a motion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차단하고자 하는 대기전력값인 대기전력차단 기준값을 설정하는 키입력부(110);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동체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동체감지센서(120); 상용교류전원으로부터 전기전자제품으로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부(140); 상용교류전원과 전기전자제품 간의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감지부(150); 전류감지부(140)와 전압감지부(150)로부터 입력된 전류와 전압을 기초로 현재전력을 산출하고, 산출된 현재전력과 키 입력부(110)에 의해서 설정된 대기전력차단 기준값을 기초로 전기전자제품이 사용중인 상태인 사용모드 또는 리모콘이 동작할 수 있는 동작대기 상태인 대기모드 또는 전원오프상태인 차단모드에 있는지를 판단하고, 차단모드에서 동체감지센서(120)로부터 동체감지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대기모드로 전환하고, 대기모드에서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전기전자제품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기전자제품으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마이컴(130); 마이컴(130)의 제어에 의해서 상용교류전원으로부터 전기전자제품으로의 전원을 차단 또는 공급하는 전원공급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간편하게 대기전력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절전, 대기전력, 전력차단, 스케일 레인지, 슬립모드,

Description

절전기{A POWER SAVING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절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전자제품으로의 전력공급을 완전히 차단한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접근하면 대기전력모드로 전환하고, 이 대기전력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리모콘으로 동작을 온(on)하면 전기전자제품을 동작하고 설정된 시간 이내에 리모콘으로 동작을 온하지 않으면 대기전력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도록 하여, 전력을 절약하면서도 전기전자제품의 온 및 오프 작동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절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V, 선풍기, 에어컨 등의 가전제품을 포함하는 전기전자제품에는 전원을 오프(OFF)한 경우에도 리모콘에 의한 동작이 가능하도록 대기전원이 상용교류전원으로부터 공급된다.
이는 흔히 대기전력라고도 하여 불필요한 전력으로 여겨지고 있는데, 국내의 전체 대기전력을 합하면 원자력발전소를 가동할 수 있을 만큼 큰 전력으로서 그 낭비의 심각성이 최근 대두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낭비되는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기술로서 종래에는 단순히 콘센트의 스위치를 온 및 오프하여 전기전자제품으로 공급되는 전력 자체를 완 전히 차단하는 기술은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전력 자체를 완전히 차단하는 기술의 경우에는 대기전력을 완전히 차단한 상태에서 대기전력 모드로 전환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메인전원스위치를 온 동작하여야 했기 때문에 사용상 매우 불편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절전기의 목적은, 전기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자체를 완전히 차단한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접근하면 대기전력모드로 전환하고, 이 대기전력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리모콘으로 동작을 온(ON)하면 전기전자제품을 동작하고, 설정된 시간 이내에 리모콘으로 동작을 온하지 않으면, 대기전력을 완전히 차단하는 차단모드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여, 전력을 절약하면서도 전기전자제품의 온 및 오프 작동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절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절전기의 다른 목적은, 대기전력이 각각 다른 복수의 전기전자제품이 연결된 경우에 대기전력차단 기준 설정부에 의해서 대기전력차단 기준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전기전자제품을 연결하는 경우에도 원활하게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절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절전기의 또 다른 목적은 스케일변경 제어부의 구성에 의해 서 측정하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서 측정 스케일을 변경하여 전기전자제품으로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함으로써 정밀한 전류 측정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절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절전기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급전력(제품 소비전력)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여 소비자에게 현재전력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절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절전기는, 상용교류전원과 상기 상용교류전원에 의해서 동작하는 전기전자제품 사이에 연결되는 절전기로서, 사용자가 차단하고자 하는 대기전력값인 대기전력차단 기준값을 설정하는 키입력부;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동체감지신호로서 출력하는 동체감지센서; 상용교류전원으로부터 전기전자제품으로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부; 상용교류전원과 전기전자제품 간의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감지부; 상기 전류감지부와 전압감지부로부터 입력된 전류와 전압을 기초로 현재전력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현재전력과 상기 키 입력부에 의해서 설정된 대기전력차단 기준값을 기초로 전기전자제품이 사용중인 상태인 사용모드 또는 리모콘이 동작할 수 있는 동작대기 상태인 대기모드 또는 전원오프상태인 차단모드에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차단모드에서 상기 동체감지센서로부터 동체감지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대기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대기모드에서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전기전자제품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 기전자제품으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마이컴;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의해서 상용교류전원으로부터 전기전자제품으로의 전원을 차단 또는 공급하는 전원공급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절전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전기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자체를 완전히 차단한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접근하면 대기전력모드로 전환하고, 이 대기전력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리모콘으로 동작을 온(ON)하면 전기전자제품을 동작하고, 설정된 시간 이내에 리모콘으로 동작을 온하지 않으면, 대기전력을 완전히 차단하는 차단모드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여, 전력을 절약하면서도 전기전자제품의 온 및 오프 작동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원에 의한 절전기에 대기전력이 각각 다른 복수의 전기전자제품이 연결된 경우에 대기전력차단 기준 설정부에 의해서 대기전력차단 기준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전기전자제품을 연결하는 경우에도 원활하게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스케일변경 제어부의 구성에 의해서 측정하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서 측정 스케일을 변경하여 전기전자제품으로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함으로써 정밀한 전류 측정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공급전력(제품 소비전력)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여 소비자에게 현재전력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인 절전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절전기의 블록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절전기(100)는, 상용교류전원과 상기 상용교류전원에 의해서 동작하는 전기전자제품 사이에 연결되어서 상용교류전원에서 전기전자제품으로의 전력 공급을 단속하는 절전기로서, 하나 이상의 전기전자제품이 접속될 수 있으며, 예컨대 멀티콘센트 등으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절전기(100)는, 키입력부(110)와 동체감지센서(120)와 전류감지부(140)와 전압감지부(150)와 마이컴(130)과 전원공급제어부(160)와 표시부(172)와 전원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키입력부(110)는, 사용자가 차단하고자 하는 대기전력값인 대기전력차단 기준값을 포함하는 설정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동체감지센서(120)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동체감지신호로서 출력하는 센서이다.
상기 전류감지부(140)는 상용교류전원으로부터 전기전자제품으로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한다.
상기 전압감지부(150)는 상용교류전원과 전기전자제품 간의 전압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마이컴(130)은 상기 전류감지부(140)와 전압감지부(150)로부터 입력된 전류와 전압을 기초로 현재전력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현재전력과 상기 키 입력부(110)에 의해서 설정된 대기전력차단 기준값을 기초로 전기전자제품이 사용중인 상태인 사용모드 또는 리모콘이 동작할 수 있는 동작대기 상태인 대기모드 또는 전원오프상태인 차단모드에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차단모드에서 상기 동체감지센서(120)로부터 동체감지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대기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대기모드에서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전기전자제품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기전자제품으로의 전원공급을 완전히 차단 제어한다.
상기 사용모드, 대기모드, 차단모드에 대한 상세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전원공급제어부(160)는 마이컴(130)의 제어에 의해서 상용교류전원으로부터 전기전자제품으로의 전원을 차단 또는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제어부(160)는, 상용교류전원으로부터 전기전자제품으로의 전원을 차단 또는 공급하는 트라이액(160b)과, 하기하는 마이컴(130)의 제어부(133)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를 기초로 상기 트라이액(160b)의 온 및 오프를 제어하되 제로 전압(zero voltage) 시점에 상기 트라이액(160b)의 온 및 오프를 제어하는 트라이액 드라이버(160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트라이액(160b)과 트라이액 드라이버(160a)의 구성에 의하면, 저전력으로 동작하여 노이즈 없이 스위칭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표시부(172)는 마이컴(130)에 의해서 산출된 현재전력을 실시간으로 표시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표시부 드라이버(171)는 마이컴(130)의 제어에 의해서 상기 표시부(172)를 구동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전원공급부(미도시)는 상용교류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마이컴(130), 동체감지센서(120)를 포함하는 본원발명에 의한 절전기가 동작하기 위한 전압으로 변경하여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예컨대 0.35(와트) 이하의 값으로 공급한다.
도 2에는 상기 키 입력부(110)의 상세 블록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키 입력부(110)에는 대기전력차단 기준값 설정부(111)와 대기모드 동작시간 설정부(11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대기전력차단 기준값 설정부(111)는 사용자가 차단하고자 대기전력값인 대기전력차단 기준값을 설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예컨대, 전기전자제품의 숫자에 따라서 대기전력의 총합이 변화되므로 이것을 반영한 유저 인터페이스로서, 0.5(와트), 1.0(와트), 2.0(와트), 3(와트), 5(와트), 7(와트)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대기모드 동작시간 설정부(112)는 대기모드의 동작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이다.
도 3에는 상기 마이컴(130)의 상세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 마이컴(130)은, 대기전력차단 기준값 저장부(134)와 대기모드 동작시간 저장부(135)와 현재전력 연산부(131)와 동작모드 판단부(132)와 제어부(133)와 스케일변경 제어부(13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기전력차단 기준값 저장부(134)는 상기 제어부(133)의 제어에 의해서 상기 대기전력차단 기준값 설정부(111)에서 설정된 대기전력차단 기준값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이다.
상기 대기모드 동작시간 저장부(135)는 제어부(133)의 제어에 의해서 상기 대기모드 동작시간 설정부(112)에서 설정된 대기모드 동작시간을 저장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현재전력 연산부(131)는 전류감지부(140)와 전압감지부(150)로부터 입력되는 전류와 전압을 기초로 현재전력을 연산한다.
상기 동작모드 판단부(132)는 현재전력 연산부(131)에서 연산된 현재전력이 상기 대기전력차단 기준값 저장부(134)에 저장된 대기전력차단 기준값과 비교하여, 현재전력이 대기전력차단 기준값보다 큰 경우에는 사용모드라고 판단하고 현재전력이 대기전력차단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는 대기모드라고 판단하여 이를 논리신호값(사용모드 판단신호 및 대기모드 판단신호)으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33)는 동작모드 판단부(132)로부터 수신하는 논리신호값(사용모드 판단신호 및 대기모드 판단신호)과 상기 동체감지센서(120)로부터 수신하는 동체감지신호를 기초로 상기 전원공급제어부(160)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마이컴(130)의 전체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33)는, 차단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에는 마이컴(130)을 슬립모드로 자동으로 전환하고, 차단모드에서 사용모드 또는 대기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에는 슬립모드를 해제하여 마이컴(130)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케일변경 제어부(136)는 전류감지부(140)가 감지하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서, 제어부(133)의 제어에 의해서 스케일변경 제어신호(논리신호 high, 논리신호 low)를 상기 전류감지부(140)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전류감지부(140)는, 상기 스케일변경 제어부(136)로부터 수신한 스케일변경 제어신호(논리신호 high, 논리신호 low)를 기초로 전기전자제품이 동작하는 사용모드와 전기전자제품이 전력대기상태인 대기모드에서 흐르는 각각의 전류의 크기에 따라서 측정 전류의 스케일을 변경하여 전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스케일변경 제어신호(논리신호 high)를 수신한 전류감지부(140)는 측정 스케일을 저전류대(예컨대 0.001(mA)대)로 전환하여 전류를 감지하고, 스케일변경 제어신호(논리신호 low)를 수신한 전류감지부(140)는 측정 스케일을 상대적으로 큰 전류대(예컨대 수~수십(A)대)로 전환하여 전류를 감지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절전기(100)의 동작과정에 대하여 기술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절전기의 동작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대기전력차단 기준값 설정부(111)에서 설정된 대기전력차단 기준값은 마이컴(130)의 대기전력차단 기준값 저장부(134))에 저장되고, 대기모드 동작시간 설정부(112)에 의해서 설정된 대기모드 동작시간(예컨대, 20(초))은 상기 제어부(133)의 제어에 의해서 대기모드 동작시간 저장부(135)에 저장된다.
마이컴(130)은 현재 전기전자제품의 동작모드가 사용모드인지 대기모드인지를 판단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정의하면, 사용모드란 전기전자제품이 동작하여 전력을 소모하는 동작모드이고, 차단모드란 전기전자제품이 동작하지도 않고 대기전력도 공급되지 않도록 전기전자제품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완전히 차단하는 동작모드이고, 대기모드란 전기전자제품은 동작하지 않지만 리모콘 동작이 가능하도록 대기전력은 공급하는 동작모드이다.
현재전력 연산부(131)는 전류감지부(140)와 전압감지부(150)로부터 입력되는 전류와 전압을 기초로 현재전력을 연산한다(S410).
그리고, 상기 동작모드 판단부(132)는 상기 현재전력 연산부(131)에서 연산된 현재전력이 대기전력차단 기준값 저장부(134)에 저장된 대기전력차단 기준값과 비교하여, 현재전력이 대기전력차단 기준값보다 큰 경우에는 사용모드라고 판단하고 현재전력이 대기전력차단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는 대기모드라고 판단하여 이를 논리신호값(사용모드 판단신호 및 대기모드 판단신호)으로 출력한다(S412, S414).
상기 S412, S414 단계에 의해서 대기모드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설정된 시간(대기모드 동작시간, 예컨대 20초) 동안 전기전자제품의 사용이 없고(사용모드 판단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S416) 동시에 설정된 시간(대기모드 동작시간, 예 컨대 20초) 동안에 동체감지센서(120)로부터 동체감지신호를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S418), 제어부(133)가 트라이액 드라이버(160a)로 제어신호(논리신호 low)를 출력하고, 트라이액 드라이버(160a)는 수신한 제어신호를 기초로 트라이액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OFF)를 출력하고 트라이액(160b)은 수신한 구동신호(OFF)에 의해서 동작하여 전원공급을 차단하여(S420) 전기전자제품에 흐르는 대기전력을 완전히 차단하여 차단모드로 전환한다(S422).
상기와 같이 차단모드로 전환되면, 제어부(133)는 마이컴(130) 전체를 슬립모드로 자동전환한다. 마이컴(130)의 슬립모드(sleep mode)란 동체감지센서(120)로부터 동체감지신호만을 수신할 수 있는 절전모드이다.
이제, 상기와 같은 차단모드에서 동체감지센서(120)가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한 경우 마이컴(130)으로 동체감지신호를 출력하고, 동체감지센서(120)로부터 동체감지신호를 수신한(S432) 마이컴(130)의 제어부(133)는 슬립모드에서 활성화모드(마이컴 온)로 자동으로 전환하고, 마이컴(130)의 제어부(133)는 트라이액 드라이버(160a)로 제어신호(논리신호 high)를 출력하고, 마이컴(130)의 제어부(133)로부터 제어신호(논리신호 high)를 수신한 트라이액 드라이버(160a)는 트라이액(160b)으로 구동신호(ON)를 출력하고, 트라이액(160b)은 수신한 구동신호(ON)에 의해서 동작하여(S434) 전원을 전기전자제품으로 공급한다(S436)(대기모드로 복귀).
트라이액(160b)이 온(ON)하여 상용전원을 전기전자제품으로 공급하더라도 전기전자제품은 동작되는 상태가 아니라 전원대기상태인 대기모드이므로 실제로 전류감지부(140)에서 감지하는 전류는 0.001mA대의 미약한 전류가 흐른다.
이때 스케일변경 제어부(136)는 제어부(133)의 제어에 의해서 스케일변경 제어신호(논리신호 high)를 전류감지부(140)로 출력하고, 스케일변경 제어신호(논리신호 high)를 수신한 전류감지부(140)는 측정 스케일을 저전류대(예컨대 0.001mA대)로 전환하여 전류를 감지한다.
상기와 같이 대기모드로 복귀된 상태에서, 상기 S416 단계 ~ S422단계가 반복 수행되면 차단모드로 다시 복귀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대기모드 동작시간 설정부(112)에 의해서 설정된 설정시간(예컨대 20초) 동안에 동작모드 판단부(132)로 사용모드 판단신호를 수신한 경우, 트라이액(160b)의 전원 온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여 사용모드가 진행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S414 단계에서 전력자체가 전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차단모드임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대기모드 동작시간(상기 실시예에서 20(초))이 상기 대기모드 동작시간 설정부(112)에 의해서 설정되어서 상기 대기모드 동작시간 저장부(135)에 저장되는 것을 예를 들어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대기모드 동작시간을 상기 대기모드 동작시간 저장부(135)에 디폴트값으로 바로 라이팅하여 저장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도 본원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상기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절전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키 입력부의 상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의 마이컴의 상세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절전기의 동작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키 입력부 111 ; 대기전력차단 기준값 설정부
112 ; 대기모드 동작시간 설정부 120 ; 동체감지센서
130 ; 마이컴 131 ; 현재전력 연산부
132 ; 동작모드 판단부 133 ; 제어부
134 ; 대기전력차단 기준값 저장부 135 ; 대기모드 동작시간 저장부
140 ; 전류감지부 150 ; 전압감지부
160 ; 전원공급제어부 160a; 트라이액 드라이버
160b; 트라이액 171 ; 표시부 드라이버
172 ; 표시부 136 ; 스케일변경 제어부

Claims (7)

  1. 상용교류전원과 상기 상용교류전원에 의해서 동작하는 전기전자제품 사이에 연결되는 절전기로서,
    사용자가 차단하고자 하는 대기전력값인 대기전력차단 기준값을 설정하는 키입력부(110);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동체감지신호로서 출력하는 동체감지센서(120);
    상용교류전원으로부터 전기전자제품으로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부(140);
    상용교류전원과 전기전자제품 간의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감지부(150);
    상기 전류감지부(140)와 전압감지부(150)로부터 입력된 전류와 전압을 기초로 현재전력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현재전력과 상기 키 입력부(110)에 의해서 설정된 대기전력차단 기준값을 기초로 전기전자제품이 사용중인 상태인 사용모드 또는 리모콘이 동작할 수 있는 동작대기 상태인 대기모드 또는 전원오프상태인 차단모드에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차단모드에서 상기 동체감지센서(120)로부터 동체감지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대기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대기모드에서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전기전자제품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기전자제품으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마이컴(130);
    상기 마이컴(130)의 제어에 의해서 상용교류전원으로부터 전기전자제품으로의 전원을 차단 또는 공급하는 전원공급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절전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130)에 의해서 산출된 현재전력을 실시간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72);
    상기 마이컴(130)의 제어에 의해서 상기 표시부(172)를 구동하기 위한 표시부 드라이버(171)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부(110)에는, 사용자가 차단하고자 하는 대기전력값인 대기전력차단 기준값을 설정하는 대기전력차단 기준값 설정부(11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마이컴(130)은,
    상기 대기전력차단 기준값 설정부(111)에서 설정된 대기전력차단 기준값을 저장하는 대기전력차단 기준값 저장부(134);
    대기모드 동작시간이 저장되어 있는 대기모드 동작시간 저장부(135);
    상기 전류감지부(140)와 전압감지부(150)로부터 입력되는 전류와 전압을 기초로 현재전력을 연산하는 현재전력 연산부(131);
    상기 현재전력 연산부(131)에서 연산된 현재전력이 상기 대기전력차단 기준값 저장부(134)에 저장된 대기전력차단 기준값과 비교하여, 현재전력이 대기전력차단 기준값보다 큰 경우에는 사용모드라고 판단하고 현재전력이 대기전력차단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는 대기모드라고 판단하여 사용모드 판단신호 및 대기모드 판단신호로 출력하는 동작모드 판단부(132);
    상기 동작모드 판단부(132)로부터 수신하는 사용모드 판단신호 및 대기모드 판단신호와 상기 동체감지센서(120)로부터 수신하는 동체감지신호를 기초로 상기 전원공급제어부(160)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마이컴(130)의 전체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13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부(110)에는, 상기 대기모드의 동작시간을 설정하는 대기모드 동작시간 설정부(112)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대기모드 동작시간 저장부(135)는 상기 대기모드 동작시간 설정부(112)에서 설정된 대기모드 동작시간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차단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33)는 마이컴(130)을 슬립모 드로 자동 전환하고, 상기 차단모드에서 사용모드 또는 대기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에는 슬립모드를 해제하여 마이컴(130)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기.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130)은,
    상기 전류감지부(140)가 감지하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서, 상기 제어부(133)의 제어에 의해서 스케일변경 제어신호를 상기 전류감지부(140)로 출력하는 스케일변경 제어부(136)를 더 포함하여서 구성하고,
    상기 전류감지부(140)는, 상기 스케일변경 제어부(136)로부터 수신한 스케일변경 제어신호를 기초로, 상기 사용모드와 대기모드에서 흐르는 각각의 전류의 크기에 따라서 측정 전류의 스케일을 변경하여 전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제어부(160)는,
    상용교류전원으로부터 전기전자제품으로의 전원을 차단 또는 공급하는 트라이액(160b);
    상기 마이컴(130)의 제어부(133)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를 기초로 상기 트라 이액의 온 및 오프를 제어하되, 제로 전압(zero volatge) 시점에 상기 트라이액의 온 및 오프를 제어하는 트라이액 드라이버(160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기.
KR1020080078803A 2008-08-12 2008-08-12 절전기 KR100877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803A KR100877991B1 (ko) 2008-08-12 2008-08-12 절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803A KR100877991B1 (ko) 2008-08-12 2008-08-12 절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7991B1 true KR100877991B1 (ko) 2009-01-12

Family

ID=40482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8803A KR100877991B1 (ko) 2008-08-12 2008-08-12 절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79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686B1 (ko) 2009-05-07 2011-02-16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지그비를 이용한 대기전력제어 및 소비전력측정 시스템과 그 시스템의 수행방법
KR101499617B1 (ko) * 2013-05-21 2015-03-09 전자부품연구원 사용자 의도 파악에 기반한 대기전력 자동 인가장치 및 방법
KR20160040400A (ko) * 2014-10-02 2016-04-14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대기전력 절감 효과 모니터링을 위한 월패드, 이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대기전력 절감 효과 모니터링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225Y1 (ko) 2004-02-20 2004-05-03 김종원 인체감지센서를 이용한 절전형 멀티 탭
KR20040097083A (ko) * 2004-10-25 2004-11-17 홍종운 밝기, 전류소모 및 리모콘 적외선 신호 인식 방식을겸비한 전력 공급 스케줄에 의한 제어방식을 가지는 전력절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225Y1 (ko) 2004-02-20 2004-05-03 김종원 인체감지센서를 이용한 절전형 멀티 탭
KR20040097083A (ko) * 2004-10-25 2004-11-17 홍종운 밝기, 전류소모 및 리모콘 적외선 신호 인식 방식을겸비한 전력 공급 스케줄에 의한 제어방식을 가지는 전력절감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686B1 (ko) 2009-05-07 2011-02-16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지그비를 이용한 대기전력제어 및 소비전력측정 시스템과 그 시스템의 수행방법
KR101499617B1 (ko) * 2013-05-21 2015-03-09 전자부품연구원 사용자 의도 파악에 기반한 대기전력 자동 인가장치 및 방법
KR20160040400A (ko) * 2014-10-02 2016-04-14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대기전력 절감 효과 모니터링을 위한 월패드, 이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대기전력 절감 효과 모니터링 방법
KR101678736B1 (ko) * 2014-10-02 2016-12-07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대기전력 절감 효과 모니터링을 위한 월패드, 이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대기전력 절감 효과 모니터링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94339B (zh) Energy-saving socket control circuit
US8723854B2 (en) Digital photo frame with power saving function and related power saving method
KR100371181B1 (ko) 휴대용 기기의 절전방법
US20100001590A1 (en) Energy-saving electrical adaptor
KR20000009370A (ko) 유니버설시리얼버스의전원공급을제어하는휴대용컴퓨터시스템및그제어방법
KR100975220B1 (ko) 대기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컴퓨터
KR100877991B1 (ko) 절전기
KR101721412B1 (ko) 운영 상태에 따른 컴퓨터 본체 전원 제어장치
US7065664B2 (en) Power management for a PDA system
KR101741225B1 (ko) Sio를 이용한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절감 장치 및 방법
KR20150021378A (ko)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절감 장치 및 방법
KR20150105506A (ko) 대기 전력 제어 장치,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대기 전력 제어 방법
KR20160126508A (ko) 운영 상태에 따른 컴퓨터 본체 전원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02078227A (ja) バッテリ充電制御装置
US20110101793A1 (en) Voice Control Energy-Saving Power Socket
KR101302676B1 (ko) 대기전력 차단장치
KR100979259B1 (ko) 지능형 대기전력 자동 차단 방법
KR101416585B1 (ko) 전원공급장치의 대기전력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994806B1 (ko) 시스템의 전원관리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178193B1 (ko) 자동으로 대기전력 차단기능을 갖는 콘센트장치및 그 제어방법
JP2011141707A5 (ko)
JP2003195988A (ja) 消費電力管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CN110599947A (zh) 一种显示屏开关机控制电路、显示屏及控制方法
US7765390B2 (en) Activation system
KR101774715B1 (ko) 능동형 절전 제어 전원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