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7932B1 - 자체발광기능이 구비된 가로등 - Google Patents

자체발광기능이 구비된 가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7932B1
KR100877932B1 KR1020080100869A KR20080100869A KR100877932B1 KR 100877932 B1 KR100877932 B1 KR 100877932B1 KR 1020080100869 A KR1020080100869 A KR 1020080100869A KR 20080100869 A KR20080100869 A KR 20080100869A KR 100877932 B1 KR100877932 B1 KR 100877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ast
column
self
light
suppo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0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대
조병운
김인협
Original Assignee
이정대
조병운
김인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대, 조병운, 김인협 filed Critical 이정대
Priority to KR1020080100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79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7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7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1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s, e.g. with metal coverings, with permanent form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21V21/116Fixing lighting devices to arms or stand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5/00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로등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가로등 등주(燈柱)에 자체발광체가 요철면이 형성되도록 도포되어 있어 우천시나 야간에 식별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요철면을 통해 광고지 등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고,
가로등 내부에 삽입되는 안정기를 가로등 내부에 직접 설치되는 볼트 등의 걸이구를 마련하지 않고서도 좀 더 편리하고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가로등 구조 및 표면에 대한 변색이 일어나지 않고, 감점의 위험이 없으며, 설치 후 점검, 교환, 수리 등의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하고, 나아가 이를 위한 새로운 구성의 가로등이 요구되는 것이 아니라 기존 설치된 가로등에 쉽게 접목할 수 있는 행잉(hanging)수단을 포함하는 자체발광기능이 구비된 가로등에 관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체발광기능이 구비된 가로등은, 수용케이스, 상기 수용케이스에 일직선상으로 배열된 두 진퇴체, 양단에 각각 원뿔 형상의 팁과 파지부가 배열되고 상기 팁과 파지부를 연결하면서 나선부와 비(非)나선부가 형성되어 상기 두 진퇴체 사이로 진입하는 셔브(shove)부재, 상기 수용케이스에 배열되어 상기 셔브부재의 나선부가 걸려 고정되는 탄성편이 형성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서포터; 안정기용 걸이구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두 지지구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가 상기 두 지지구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서포터의 셔브부재를 통해 상기 두 진퇴체 사이를 벌리어 상기 두 지지구가 합성수지로 성형된 등주(燈柱) 내주면에 밀착되는 브라켓; 및 상기 등주 외주면에 배열되되, 구리를 함유한 황화아연에 라듐(radium)을 혼합한 인광성(燐光性) 발광도료를 상기 등주 외주면에 요철면이 형성되도록 도포되는 자체발광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안정기, 가로등, 등주, 브라켓, 행잉수단, 행잉부재, 걸이부재, 걸이수단, 발광, 식별성

Description

자체발광기능이 구비된 가로등{THE STREET LAMP WITH ONESELF LUMINOUS FUNCTION}
본 발명은 가로등 등주에 요철면이 형성되도록 인광성 발광도료인 자체발광체를 도포하여 우천시나 야간에 식별성을 높이고, 요철면을 통해 광고지 등의 부착을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또 행잉수단을 통해 가로등 내주면에 직접 설치되는 걸이구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가로등 구조 및 표면에 대한 변색이 일어나지 않고, 감점의 위험이 없으며 설치 후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하며, 새로 제작되는 가로등 뿐만 아니라 기존의 기설치된 가로등에도 접목이 가능하고,
또 가로등 등주가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있어 감전방지 기능을 제공하며,
또 체크수단을 통해 가로등의 램프 점멸 유무와 안정기의 이상 유무를 눈으로 식별할 수 있는 자체발광기능이 구비된 가로등에 관한 것이다.
거리의 조명이나 교통의 안전, 또는 미관(美觀)을 위하여 길가를 따라 설치 해 놓은 등(燈)인 가로등(街路燈)에 관한 기술 중 특히 자체발광기능이 구비된 가로등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공개 제10-2007-0103673호 (2007.10.24, 공개, 이하 '선행기술1'이라 함) "자체발광 및 메시지 전달 기능을 갖는 가로등 지주"가 제시되어 있는바,
상기 선행기술1은 광원이 내장된 포스트와, 포스트의 상부에 세워지면서 광원의 빛을 받아 외부로 발산하는 발광통과, 발광통의 외주면상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문자판으로 이루어진 구성되고, 발광통의 내부에는 광원의 빛을 받아 외부로 확산시키도록 표면상에 다수의 확산홈이 형성된 확산필름이 내장된다. 그리고 발광통은 흰색으로 사용되고 문자판은 회색으로 사용되어 낮에는 메시지가 보이지 않다가 자체발광하는 밤에는 식별될 수 있도록 하여 신비로움을 줄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광원이 포스트 내에 내장되어 있어, 외부로 노출된 기존의 가로등 광원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의 밝기에 근접한 밝기를 제공하기 어렵고, 자체발광을 위한 구성이 복잡함은 물론, 발광통 외주면에 광고지 등이 부착되는 경우 야간에 자체발광시 오히려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가로등에 사용되는 전등은 저압 수은증기 속에서의 방전에 의해 발광하는 방전등인데, 방전등의 일반적인 성질로서 전류가 흐르면 방전에 필요한 전압이 떨어지므로 일정한 전압을 가하여 방전을 일으키게 한다. 상기한 과정에서 전류 가 지나치게 증가하면 램프가 파괴될 염려가 있으므로 전류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정기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안정기는 가로등의 등주 일정 높이에 개방부를 형성한 후 그 내부에 설치를 하는데, 종래에는 안정기에 제조될 때 상단에 구성되는 걸고리를 이용하여 가로등주의 내부 공간에 미리 구성하여 둔 볼트 등에 걸어두는 형태이고, 동시에 안정기의 주변에 차단 스위치 및 전선연결용 단자를 고정하는 기판도 설치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설치구조에 의하면 안정기의 교체나 점검, 수리, 설치 작업 등을 하기가 매우 까다로운 문제가 있었는데, 그 이유는 안정기에 이와 같은 차단스위치, 전선연결용 단자 등의 부품이 전선으로 연결된 상태이면서 안정기 자체의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안정기를 잡고 있지 않으면 안정기의 무게에 의해 전선이 빠져버리거나 가로등주, 인체 등에 접촉되어 합선이나 감전 등의 사고가 일어날 수도 있게 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성을 갖는 가로등에 대한 안정기 설치구조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9736호(2004. 11.29, 등록, 이하 '선행기술2'이라 함) "가로등의 안정기 설치구조"가 제시되어 있는바,
상기 선행기술2는 가로등주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이면서 안정기 및 기판을 설치할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설치대를 구성하고, 상기 설치대의 원활한 삽탈과 인출한 상태에서 설치대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안정기를 설치하기 위한 걸이용 볼트를 설치대에 구비하여 가로등의 내주면이 아닌 별도의 설치대에 볼트 등의 걸이수단을 구성하도록 하여 가로등 내주면에 대한 손상이 없는 듯 보이나,
상기 설치대를 가로등 내주면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역시 가로등 내주면에 별도의 볼트와 같은 걸이수단을 마련해야 하기에 가로등 내주면에 손상이 생기기 마련이며, 이로 인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로등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상기와 같은 설치구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크기와 형상을 구비한 가로등에 맞는 설치대를 개별적으로 마련해야 한다는 제조상의 문제점도 있다.
또한 설치대가 걸려 있는 가로등 내주면에 구비된 걸이수단이 설치대에 수용되는 안정기 등의 기기의 하중을 견디지 못하여 시간이 지나면 파괴되는 문제점 또한 해결되지 못하였다.
상기 선행기술2 이외에도 가로등 내부에 안정기를 보다 용이하고 편리하게 설치하거나 안정성이 강조된 다양한 구성의 가로등주 또는 그 설치구조가 소개되고 있다. 이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0478호(2006.11.01, 등록, 이하 '선행기술3'이라 함) "안정기 수납부가 형성된 보수용 커버를 갖는 가로등주"에서는, 가로등주에 회동식 구조로 형성되는 보수용 커버의 내면부에 가로등 안정기의 수납부를 형성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육안점검이 용이하고, 안정기 교체 등이 신속하게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이 또한 구성이 복잡하고 기존 가로등에는 바로 접목시킬 수 있는 구성이 아니어서 경제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두 진퇴체와 이들 사이를 벌리는 셔브부재를 통해 회동 가능한 두 지지구를 등주 내주면에 밀착시켜 브라켓을 고정하게 됨으로써, 브라켓에 구비된 걸이구에 안정기를 걸어 둘 수 있도록 한 자체발광기능이 구비된 가로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등주를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하여, 감전을 방지할 수 있는 자체발광기능이 구비된 가로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램프의 점멸 유무와 안정기의 이상 유무를 표시하는 체크수단을 통해 유지보수가 용이한 자체발광기능이 구비된 가로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램프와 안정기 각각에 대한 상태를 표시하는 엘이디를 등주 외주면에 배열하여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자체발광기능이 구비된 가로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체발광기능이 구비된 가로등은,
수용케이스, 상기 수용케이스에 일직선상으로 배열된 두 진퇴체, 양단에 각각 원뿔 형상의 팁과 파지부가 배열되고 상기 팁과 파지부를 연결하면서 나선부와 비(非)나선부가 형성되어 상기 두 진퇴체 사이로 진입하는 셔브(shove)부재, 상기 수용케이스에 배열되어 상기 셔브부재의 나선부가 걸려 고정되는 탄성편이 형성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서포터;
안정기용 걸이구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두 지지구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가 상기 두 지지구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서포터의 셔브부재를 통해 상기 두 진퇴체 사이를 벌리어 상기 두 지지구가 합성수지로 성형된 등주(燈柱) 내주면에 밀착되는 브라켓; 및
상기 등주 외주면에 배열되되, 구리를 함유한 황화아연에 라듐을 혼합한 인광성 발광도료를 상기 등주 외주면에 요철면이 형성되도록 도포되는 자체발광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등주에 배열된 램프의 점멸 유무와 상기 안정기의 이상 유무를 식별할 수 있는 체크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상기 체크수단은 상기 안정기로의 제1전원 공급 라인에 연결되어 전류 흐름 유무에 따라 점멸하는 제1엘이디, 그리고 상기 안정기와 상기 램프 사이의 제2전원 공급 라인에 연결되어 전류 흐름 유무에 따라 점멸하는 제2엘이디로 이루어져, 상기 제1 및 제2 엘이디가 상기 등주 외주면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체발광기능이 구비된 가로등은,
첫째, 가로등 등주에 요철면이 형성되도록 인광성 발광도료인 자체발광체를 도포하여 우천시나 야간에 식별성을 높이고, 요철면을 통해 광고지 등의 부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브라켓과 이를 가로등 내주면에 밀착 고정시키는 서포터만 있으면 기존 어떠한 가로등 내부에도 설치 가능하기에,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한 별도 구조의 가로등을 새로 설치하여야 하는 비용적인 부담이 없으며, 기존 가로등에 용이하게 접목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성을 높였으며, 안정기 걸이를 위하여 가로등에 손상을 주고 나아가 사용상 감전의 위험이 있는 볼트와 같은 별도의 걸이 수단을 마련하지 않고서도, 안정기를 보다 견고하고 편리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특히 이로써 가로등 내주면 또한 부가적인 구성없이 깔끔하게 마감할 수 있어 부가적인 구성에 따른 감전사고와 같은 위험이 없어졌다. 따라서, 브라켓과 서포터를 통해 가로등 내주면에 직접 설치되는 걸이구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가로등 구조 및 표면에 대한 변색이 일어나지 않고, 감점의 위험이 없으며 설치 후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하며, 새로 제작되는 가로등 뿐만 아니라 기존의 기설치된 가로등에도 접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셋째, 가로등 등주가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있어 감전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넷째, 체크수단을 통해 가로등의 램프 점멸 유무와 안정기의 이상 유무를 눈으로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에서 행잉수단인 서포터와 브라켓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에서 서포터의 셔브부재와 고정부재 간의 결합을 통해 두 진퇴체가 이동되어 브라켓의 두 지지구를 등주 내주면에 밀착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에서 자체발광체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에서 체크수단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에서 두 진퇴체의 원위치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에서 습도농도에 의한 색상변화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 3b의 "A"는 셔브부재의 비나선부와 고정부재의 탄성편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로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3b의 "B"는 상기 "A"의 상태에서 파지부를 잡고 돌리어 나선부가 탄성편에 걸려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우선, 도 1의 수용케이스에서 진입홀 쪽을 전방 또는 전면, 진퇴체가 삽입되는 두 삽입홀 쪽을 각각 좌측 및 우측, 그리고 덮개 쪽을 상부 또는 상면으로 방향 을 특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체발광기능이 구비된 가로등은,
수용케이스(11), 상기 수용케이스(11)에 일직선상으로 배열된 두 진퇴체(12), 양단에 각각 원뿔 형상의 팁(131)과 파지부(132)가 배열되고 상기 팁(131)과 파지부(132)를 연결하면서 나선부(133)와 비(非)나선부(134)가 형성되어 상기 두 진퇴체(12) 사이로 진입하는 셔브(shove)부재(13), 상기 수용케이스(11)에 배열되어 상기 셔브부재(13)의 나선부(133)가 걸려 고정되는 탄성편(141)이 형성된 고정부재(14)를 포함하는 서포터(10);
안정기용 걸이구(21)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두 지지구(22)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10)가 상기 두 지지구(22)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서포터(10)의 셔브부재(13)를 통해 상기 두 진퇴체(12) 사이를 벌리어 상기 두 지지구(22)가 등주(燈柱)(1) 내주면에 밀착되는 브라켓(20); 및
상기 등주(1) 외주면에 배열되되, 구리를 함유한 황화아연에 라듐을 혼합한 인광성 발광도료를 상기 등주 외주면에 요철면이 형성되도록 도포되는 자체발광체(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서포터(10)는
바닥면에 일직선상으로 배열된 두 가이드부(113), 상기 두 가이드부(113)와 일직선상으로 좌, 우 양측벽에 관통 형성된 두 삽입홀(111), 전방 측벽에 관통 형성된 진입홀(112), 그리고 상기 진입홀(112) 내측벽 주변에 형성된 삽입부(114)를 포함하는 수용케이스(11)가 구비된다.
또 상기 수용케이스(11)에는 체결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케이스(11)의 상부를 덮는 덮개(15)가 구비되되, 상기 덮개(15)는 상기 수용케이스(11)의 체결부에 대한 대응체결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어 볼트 등을 이용하여 상기 수용케이스(11)에 상기 덮개(15)를 고정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케이스(11)의 두 삽입홀(111)과 두 가이드부(113)에서 각각 하나씩에 배열되는 두 진퇴체(12)가 구비되는데, 상기 진퇴체(12)는 일단(一端)에 형성된 첨단부(121)와 타단(他端)에 형성된 플랜지(1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진퇴체(12)의 첨단부(121)는 후술할 지지구(22)의 위치안내홀(221)에 삽입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진퇴체(12)의 플랜지(122)는 상기 수용케이스(11)의 가이드부(113)에 걸려 더 이상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수용케이스(11)의 진입홀(112)로 삽입되어 상기 두 진퇴체(12) 사이를 벌리게 되는 셔브부재(13)가 구비되는데, 상기 셔브부재(13)는 일단에 원뿔 형상의 팁(131), 타단에 파지부(132), 그리고 이들 사이를 연결하면서 나선부(133)와 비나선부(134)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나선부(133)와 비나선부(134)의 수는 각각 2개이고, 서로 번갈아 배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상기 나선부(133)와 비나선부(134)에 대해 설명하면,
최초 셔브부재(13)의 팁(131)을 강제로 고정부재(14)의 탄성편(141) 내로 밀어 넣어 진입하게 되고,
이때, 상기 셔브부재(13)가 상기 수용케이스(11)의 진입홀(112)을 통해 삽입되어질 때에 비나선부(134)가 후술할 고정부재(14)의 탄성편(141)에 간섭받지 않으면서 원활히 진입하게 되며, (또는, 나선부(133)가 고정부재(14)의 탄성편(141)에 간섭받으면서 즉 나선부(133)가 탄성편(141)과 대응되게 위치한 상태에서 진입하게 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상기 셔브부재(13)의 파지부(132)를 손으로 잡고 돌릴 필요 없이 두 진퇴체(12) 사이를 벌리어 두 지지구(22)가 등주(1) 내주면에 밀착되고 동시에 상기 셔브부재(13)는 나선부(133)가 탄성편(141)에 걸려 고정되게 된다.)(도 3b의 "A" 참조)
상기 셔브부재(13)의 팁(131)이 두 진퇴체(12) 사이로 진입하여 사이를 벌리게 되고, 두 진퇴체(12)의 첨단부(121)가 지지구(22)의 위치안내홀(2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점차적으로 지지구(22)를 밀어 등주(1) 내주면에 밀착시키게 된다.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셔브부재(13)의 파지부(132)를 손으로 잡고 일측으로 돌려 상기 셔브부재(13)의 나선부(133)가 탄성편(141)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셔브부재(13)는 상기 고정부재(14)에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도 3b의 "B" 참조)
따라서, 상기 셔브부재(13)의 고정에 따라 상기 두 진퇴체(12)에 의하여 밀려 등주(1) 내주면에 밀착된 두 지지구(22)에 의하여 브라켓(20)이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14)는 상기 수용케이스(11)의 삽입부(114)에 끼워지되, 상기 수용케이스(11)의 진입홀(112)과 대응되게 대응진입홀(14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대응진입홀(142) 내측 주변에 상기 나선부(133)와 비나선부(134)의 각 수와 동일하게 2개인 탄성편(141)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탄성편(141)은 상기 셔브부재(13)가 진입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셔브부재(13)의 나선부(133) 또는 비나선부(134)가 상기 고정부재(14)의 대응진입홀(142)로 진입할 때에 별다른 간섭 없이 원활히 삽입되어 지고, 상기 나선부(133)와 상기 탄성편(141)이 대응되는 위치일 때는 진입이 멈추게 되면 바로 나선부(133)가 탄성편(141)에 걸려 고정될 것이고, 상기 비나선부(134)와 상기 탄성편(141)이 대응되는 위치일 때는 진입 후 상기 셔브부재(13)의 파지부(132)를 손으로 잡고 일측으로 돌려 상기 나선부(133)가 상기 탄성편(141)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고정될 것이다.
한편, 상기 브라켓(20)은
안정기용 걸이구(21)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두 지지구(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두 지지구(22)는 등주(1) 내주면과 상응하는 곡률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상기 지지구(22)의 내주면에는 상기 진퇴체(12)의 첨단부(121)가 삽입되어지는 위치안내홀(22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안내홀(221)은 상기 진퇴체(12)의 첨단부(121)가 삽입됨으로써, 위치 안내 기능과 더불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두 지지구(22) 사이로 상기 서포터(10)가 개재되고, 상기 서포터(10)의 두 진퇴체(12)에서 첨단부(121)가 상기 두 지지구(22)의 각 위치안내홀(221)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셔브부재(13)를 상기 수용케이스(11)의 진입홀(112)로 진입시켜 두 진퇴체(12) 사이를 벌리어 상기 두 지지구(22)가 등주(1) 내주면에 밀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자체발광체(30)는
우천시나 안개 그리고 야간에 식별성을 높이고, 상기 요철면을 통해 광고지 등의 부착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인광성 발광도료로는 구리를 함유한 황화아연으로 이루어진 인광성 발광도료를 상기 등주(1) 외주면에 요철면이 형성되도록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상기 인광성 발광도료에 라듐이나 스트론튬-90 등의 방사성 원소를 더 첨가해 빛을 쬐지 않아도 발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발광도료를 등주(1) 외주면에 도포시 접착성을 높이기 위하여, 아교(阿膠)를 더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교 외에도 카제인이나 알부민 등을 선택하여 첨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등주(1)를 합성수지로 성형하여 제작함으로써, 기존의 철재 등주가 가지고 있는 감전에 따른 인명사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등주(1)에 배열된 램프(2)의 점멸 유무와 상기 안정기(3)의 이상 유무를 식별할 수 있는 체크수단(40)이 구비되는데,
상기 체크수단(40)은
상기 안정기(3)로의 제1전원 공급 라인에 연결되어 전류 흐름 유무에 따라 점멸하는 제1엘이디(41), 그리고
상기 안정기(3)와 상기 램프(2) 사이의 제2전원 공급 라인에 연결되어 전류 흐름 유무에 따라 점멸하는 제2엘이디(42)로 이루어져,
상기 제1 및 제2 엘이디(41, 42)가 상기 등주(1) 외주면에 배열된다.
즉, 상기 제1엘이디(41)의 점멸 유무를 통해 상기 안정기(3)로의 전원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또 상기 제2엘이디(42)의 점멸 유무를 통해 상기 안정기(3)와 상기 램프(2) 사이의 전원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육안으로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셔브부재(13)가 삽입되어질 때에 벌어지는 두 진퇴체(12)가 상기 셔브부재(13)의 후퇴로 인해 다시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원위치수단이 구비되는데,
상기 원위치수단은 상기 진퇴체(12)의 플랜지(122)와 상기 가이드부(113)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S)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S)을 통해 이동되어진 진퇴체(12)가 상기 셔브부재(13)의 후퇴로 인해 다시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어 상기 브라켓(20)의 두 지지구(22)에서 쉽게 빼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등주(1) 외주면에 자체발광체(30) 외에 색상변화체(50)를 도포할 수 있는데,
상기 색상변화체(50)는 흡습(吸濕)의 농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도료인 것이 바람직하고,
도료로는 염화코발트 또는 황산구리를 선택할 수 있고, 나아가 실리카겔을 선택하여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리카겔은 파란빛(도 7의 가)을 띠다가 흡습에 따라 적색 계통(도 7의 나)으로 변하게 된다.
특히 상기 실리카겔은 이산화규소에 인체에 무해한 유기물질을 결합해 자가 지시 실리카겔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색상변화체(50)의 다른 예로는, 습도가 아닌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시온도료(示溫塗料)를 등주(1) 외주면에 도포할 수 있는데,
상기 시온도료는 35∼600℃의 넓은 범위에 이르러 각종 변색점을 가지고 있고, 가열에 의하여 변색된 것이 냉각에 의하여 원색으로 되돌아오는 가역성(可逆性)과, 되돌아오지 않는 불가역성(不可逆性)이 있으며, 후자는 온도가 상승할 때에만 사용된다.
상기 색상변화체(50)로는 온도에 따라 전자의 변화에 의하여 빛의 흡수, 반사파장이 달라지는 성질을 이용한 것으로 ZnO, CuO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색상변화체(50)인 도료에는 상기 아교와 같은 접착제를 더 첨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등주(1)의 상단에는 전술한 램프(2)가 장착되어 있고, 등주(1)의 하부측 외주면에는 개폐문이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문을 열고 본 발명의 행잉수단(H)인 브라켓(20)과 서포터(10)를 넣고, 상기 브라켓(20)의 두 지지구(22)가 등주(1)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위치시키고, 상기 서포터(10)를 브라켓(20)의 두 지지구(22) 사이에 개재한 상태에서 서포터(10)의 두 진퇴체(12)에서 각 첨단부(121)가 지지구(22)의 위치안 내홀(221)에 삽입되도록 하고 셔브부재(13)를 밀어 두 진퇴체(12) 사이를 벌리어 두 지지구(22)가 등주(1)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셔브부재(13)의 나선부(133)가 고정부재(14)의 탄성편(141)에 걸려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설치가 완료된다.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20)의 걸이구(21)를 통해 안정기(3)를 걸어 둘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자체발광기능이 구비된 가로등"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에서 행잉수단인 서포터와 브라켓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에서 서포터의 셔브부재와 고정부재 간의 결합을 통해 두 진퇴체가 이동되어 브라켓의 두 지지구를 등주 내주면에 밀착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에서 자체발광체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에서 체크수단을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에서 두 진퇴체의 원위치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에서 습도농도에 의한 색상변화체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서포터
11 : 수용케이스 111 : 삽입홀
112 : 진입홀 113 : 가이드부
114 : 삽입부
12 : 진퇴체 121 : 첨단부
122 : 플랜지
13 : 셔브부재
131 : 팁 132 : 파지부
133 : 나선부 134 : 비나선부
14 : 고정부재 141 : 탄성편
142 : 대응진입홀
20 : 브라켓
21 : 걸이구 22 : 지지구
221 : 위치안내홀
30 : 자체발광체
40 : 체크수단
41 : 제1엘이디 42 : 제2엘이디
50 : 색상변화체
S : 스프링

Claims (3)

  1. 수용케이스, 상기 수용케이스에 일직선상으로 배열된 두 진퇴체, 양단에 각각 원뿔 형상의 팁과 파지부가 배열되고 상기 팁과 파지부를 연결하면서 나선부와 비(非)나선부가 형성되어 상기 두 진퇴체 사이로 진입하는 셔브(shove)부재, 상기 수용케이스에 배열되어 상기 셔브부재의 나선부가 걸려 고정되는 탄성편이 형성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서포터;
    안정기용 걸이구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두 지지구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가 상기 두 지지구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서포터의 셔브부재를 통해 상기 두 진퇴체 사이를 벌리어 상기 두 지지구가 합성수지로 성형된 등주(燈柱) 내주면에 밀착되는 브라켓; 및
    상기 등주 외주면에 배열되되, 구리를 함유한 황화아연에 라듐(radium)을 혼합한 인광성 발광도료를 상기 등주 외주면에 요철면이 형성되도록 도포되는 자체발광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발광기능이 구비된 가로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주에 배열된 램프의 점멸 유무와 상기 안정기의 이상 유무를 식별할 수 있는 체크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발광기능이 구비된 가로 등.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수단은
    상기 안정기로의 제1전원 공급 라인에 연결되어 전류 흐름 유무에 따라 점멸하는 제1엘이디, 그리고
    상기 안정기와 상기 램프 사이의 제2전원 공급 라인에 연결되어 전류 흐름 유무에 따라 점멸하는 제2엘이디로 이루어져,
    상기 제1 및 제2 엘이디가 상기 등주 외주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발광기능이 구비된 가로등.
KR1020080100869A 2008-10-14 2008-10-14 자체발광기능이 구비된 가로등 KR100877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869A KR100877932B1 (ko) 2008-10-14 2008-10-14 자체발광기능이 구비된 가로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869A KR100877932B1 (ko) 2008-10-14 2008-10-14 자체발광기능이 구비된 가로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7932B1 true KR100877932B1 (ko) 2009-01-12

Family

ID=40482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0869A KR100877932B1 (ko) 2008-10-14 2008-10-14 자체발광기능이 구비된 가로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79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995B1 (ko) 2009-01-28 2009-05-18 대한라이팅 주식회사 가로등주 점검구에 설치되는 안정기 수납장치
CN101852410A (zh) * 2010-04-30 2010-10-06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抗震侧壁安装支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299Y1 (ko) 2001-08-08 2001-12-01 성문자 가로등 안정기 인출박스 구조
KR200408848Y1 (ko) 2005-11-22 2006-02-17 (주)태창실업 도로시설물 보호표지판
KR100783628B1 (ko) 2007-05-29 2007-12-10 우주엘엔티(주) 가로등 지주의 회동 개폐식 전기함체
KR20080062659A (ko) * 2006-12-29 2008-07-03 이영섭 안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299Y1 (ko) 2001-08-08 2001-12-01 성문자 가로등 안정기 인출박스 구조
KR200408848Y1 (ko) 2005-11-22 2006-02-17 (주)태창실업 도로시설물 보호표지판
KR20080062659A (ko) * 2006-12-29 2008-07-03 이영섭 안정장치
KR100783628B1 (ko) 2007-05-29 2007-12-10 우주엘엔티(주) 가로등 지주의 회동 개폐식 전기함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995B1 (ko) 2009-01-28 2009-05-18 대한라이팅 주식회사 가로등주 점검구에 설치되는 안정기 수납장치
CN101852410A (zh) * 2010-04-30 2010-10-06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抗震侧壁安装支架
CN101852410B (zh) * 2010-04-30 2012-10-10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抗震侧壁安装支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83633A1 (en) Lighted support pole and banner
US20100271815A1 (en) Clip-on decorative led light
CN102418844B (zh) 具有附连机构的可折叠工作灯
KR101126743B1 (ko) 발광수단이 구비된 맨홀뚜껑
US20090073680A1 (en) Inductive lighting for 2&#39; x 2&#39; and 2&#39; x 4&#39; fixtures
KR100877932B1 (ko) 자체발광기능이 구비된 가로등
KR101137293B1 (ko) 가로등 장치
KR200448976Y1 (ko) 형광등과 교체 가능한 발광표시소자 조명장치
US20040257802A1 (en) Support rod for a light source
KR100877931B1 (ko) 색상변화기능이 구비된 가로등
KR101100640B1 (ko) 펜던트형 엘이디 조명기구
CN104728645B (zh) 一种多功能led节能灯
KR200411203Y1 (ko) 조명등용 엘이디 전구
KR200446078Y1 (ko) 무선 자동점멸기, 안정기 및 누전차단기의 일체형보안등기구
KR200417659Y1 (ko) 조명기구용 케이스 구조
KR102062861B1 (ko) Pir/rf 호환기능을 갖는 led 주차장 램프
CN201344428Y (zh) 一种洗墙灯
ATE247252T1 (de) Decken-, wand- oder standleuchte für die innenraumbeleuchtung
CN205331986U (zh) 一种便于拆卸的新型led格栅灯
KR200244954Y1 (ko) 가시발광소자를 사용한 비상유도등용 전구
KR200476928Y1 (ko) 형광등 타입 led 램프
GB2569100A (en) A belisha beacon
KR200413673Y1 (ko) 가로등 감전 보호용 덮개
CN207584697U (zh) 灯具安装结构及具有该灯具安装结构的组合式路灯
KR200354752Y1 (ko) 행거형 광고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