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7719B1 - 디젤자동차의 파일럿 연료분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젤자동차의 파일럿 연료분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7719B1
KR100877719B1 KR1020070081747A KR20070081747A KR100877719B1 KR 100877719 B1 KR100877719 B1 KR 100877719B1 KR 1020070081747 A KR1020070081747 A KR 1020070081747A KR 20070081747 A KR20070081747 A KR 20070081747A KR 100877719 B1 KR100877719 B1 KR 100877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concentration
pilot
light transmittance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1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수
Original Assignee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1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77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7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7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8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high pressure type
    • F02D41/40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high pressure type with means for controlling injection timing or duration
    • F02D41/402Multiple injections
    • F02D41/403Multiple injections with pilot inj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9/00Electrical control of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8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high pressure type
    • F02D41/3809Common rail control systems
    • F02D41/3827Common rail control systems for diesel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60/00Exhaust systems with means for detecting or measuring exhaust gas components or characteristics
    • F01N2560/02Exhaust systems with means for detecting or measuring exhaust gas components or characteristics the means being an exhaust gas sensor
    • F01N2560/023Exhaust systems with means for detecting or measuring exhaust gas components or characteristics the means being an exhaust gas sensor for measuring or detecting H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일럿 연료분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디젤자동차의 테일머플러 후방에 위치하는 배기관에 설치되어 배기가스 내의 하이드로카본의 농도를 측정하는 HC농도센서와; 상기 HC농도센서로부터 입력된 하이드로카본의 농도를 기준으로 하여 파일럿 분사 연료량의 조절여부를 판단하는 엔진제어부와; 상기 엔진제어부에 의해서 출력된 신호에 의해서 파일럿 분사 연료량을 조절하는 인젝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HC농도센서에 의해서 입력된 하이드로카본의 농도가 기준농도값 보다 큰 경우 파일럿 분사 연료량을 감소시키도록 제어하여 배기가스 내의 백연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커먼레일형 디젤엔진, 파일럿 분사, 펠리스터(HC농도)센서, 포토센서

Description

디젤자동차의 파일럿 연료분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Pilot Fuel Injection System for Diesel Engine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젤자동차의 파일럿 연료분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커먼레일형 디젤엔진을 사용하는 디젤자동차에서 배기가스 중 백연 및 흑연의 농도에 기초하여 파일럿 분사 연료량을 제어함으로써 백연 및 흑연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는 디젤자동차의 파일럿 연료분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젤자동차는 공기를 압축하여 고온이 되었을 때 인젝터를 통해서 연료를 분사하여 연소시킴으로써 동력을 발생시키는 디젤엔진을 구비하는 것으로, CO(일산화탄소), HC(하이드로카본)에 의해 발생하는 백연(白煙), 미연소 탄소입자의 성장에 의해서 발생되는 흑연(黑煙), 그리고 질소산화물 등을 포함하는 배기가스가 발생한다.
최근 점점 더 강화되어가는 디젤자동차의 배기가스 규제를 만족시키기 위해 디젤자동차들은 배기가스 내의 산소량을 측정하거나 배기가스의 온도를 측정하여 이를 기준으로 하여 분사되는 연료량을 제어함으로써 배기가스 내에 함유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저감시키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도 1은 종래 디젤자동차의 연료분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등록특허 제0610927호에 개시된 발명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배기라인 상에 NOx 흡장촉매(NSR)(11), 디젤산화촉매(DOC)(12) 및 디젤매연필터(DPF)(13)가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NOx 흡장촉매(11)의 전후방에 산소센서(14a, 14b)가 설치되어 있으며, 아울러 NOx 흡장촉매(11)의 전방에 온도센서(1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산소센서(14a, 14b) 및 온도센서(15)에서 측정된 배기가스 내의 NOx의 포화상태에 관한 정보 및 온도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엔진제어수단(16)은 엔진에서 분사되는 연료량을 제어하여 배기가스 온도 및 배기가스 내의 산소농도를 조절한다.
하지만, 배기가스의 온도 및 산소농도는 배출되는 백연 및 흑연의 농도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등록특허 제0610927호에 개시된 발명은 배기가스의 온도 및 배기가스 내의 산소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나, 백연 및 흑연의 발생을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러한 문제점들은 NOx 및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서 최근 사용되는 커먼레일형 디젤엔진을 사용하는 디젤자동차에서 온도센서와 산소센서의 측정 정보를 통해서 파일럿 분사 연료량을 조절하는 경우 더욱 심각하게 나타난다.
커먼레일형 디젤엔진은 분사압력이 높기 때문에 연료가 미립자화되어 완전연소가 가능해지고 연료를 뿜어주는 인젝터를 전자적으로 정밀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분사시기와 분사 연료량의 초미세 조정이 가능한 것이며, 또한 주분사에 앞서 소량의 연료를 예비분사(파일럿 분사)하는 기술을 통해 실린더 내에 최적의 연소조 건을 만들어주고 주분사시 순간적인 급격한 연소 충격을 완화시켜줌으로써 소음과 진동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디젤엔진이다.
이러한 커먼레일형 디젤엔진을 구비한 디젤자동차에서, 도 1의 엔진제어수단(16)이 연료량을 일정량까지 늘려가도록 제어하는 경우에는 연소가 활발히 일어나 산소농도가 최적값이 되기 때문에 산소센서를 사용하더라도 디젤자동차의 백연이 저감되나, 엔진제어수단(16)이 잘못된 보정에 의해 파일럿 분사 연료량이 줄어든 경우에는 급격한 연소가 일어난다든지 파일럿 분사가 한 사이클에서는 제어가 잘되었다가 그 다음 사이클에서는 제어가 잘 되지 않아 연소가 활발하게 일어나지 못하는데도 산소센서는 최적연소시와 비교해 농도 차이를 판별하지 못하기 때문에 정확히 파일럿 분사 연료량을 조절할 수 없게 된다. 그 결과 배기가스 내에 백연(하이드로 카본)이 많이 포함되게 된다.
또한, 온도센서를 사용하는 경우 측정된 온도가 낮으면 엔진제어수단인 엔진제어부(ECU)는 연료를 더 많이 분사하여 온도를 높이도록 제어하는데, 파일럿 분사 연료량이 기준 연료량 보다 일정량만큼 더 많이 분사되는 경우에도 연소는 활발히 이루어지기 때문에 배기가스 온도는 올라가게 되며, 이로 인해서 온도센서는 파일럿 분사 연료량이 과다하다는 것을 감지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파일럿 분사된 연료 중 연소되지 않은 연료는 연소실 내에 존재하면서 공기유동을 방해하며, 그 결과 주분사시 연소가 일어나더라도 연소가스가 공기와 혼합되지 않아 흑연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파일럿 분사 연료량의 변동으로 인해 백연 및 흑연 이 발생할 경우 종래 산소센서나 온도센서 만으로는 파일럿 분사 연료량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파일럿 분사 연료량은 주분사 연료량에 비해서 양이 적기 때문에 파일럿 분사 연료량의 변화에 따라서 변화하는 산소의 량은 극히 작다. 통상 약 0.2% 내지 0.3% 밖에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산소센서는 파일럿 분사 연료량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충분한 정밀도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배기가스 내에 존재하는 하이드로카본(백연)의 농도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서 파일럿 분사 연료량을 제어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정밀한 파일럿 분사를 행할 수 있는 파일럿 연료분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기가스의 광투과율을 기준으로 하여 분사되는 파일럿 분사 연료량을 제어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정밀한 파일럿 분사를 행할 수 있는 파일럿 연료분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르는 파일럿 연료분사 시스템은, 디젤 자동차의 테일머플러 후방에 위치하는 배기관에 설치되어 배기가스 내의 하이드로카본의 농도를 측정하는 HC농도센서와; 상기 HC농도센서로부터 입력된 하이드로카본의 농도를 기준으로 하여 파일럿 분사 연료량의 조절여부를 판단하는 엔진제 어부와; 상기 엔진제어부에 의해서 출력된 신호에 의해서 파일럿 분사 연료량을 조절하는 인젝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HC농도센서에 의해서 입력된 하이드로카본의 농도가 기준농도값 보다 큰 경우 파일럿 분사 연료량을 증가시키도록 제어하여 배기가스 내의 백연을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파일럿 연료분사 시스템은 상기 테일머플러 후방에 위치하는 배기관에 설치되어 배기가스의 광투과율을 측정하는 포토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엔진제어부는 배기가스의 광투과율을 기준으로 하여 파일럿 분사 연료량의 조절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포토센서에 의해서 측정된 배기가스의 광투과율이 기준광투과율 보다 작은 경우 파일럿 분사 연료량을 감소시키도록 제어하여 배기가스 내의 흑연을 감소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산소센서나 온도센서에 의존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백연 및 흑연을 측정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보다 정확하게 파일럿 분사 연료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파일럿 연료분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파일럿 연료분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파일럿 연료분사 시스템은, 디젤자동차의 배기관(100)에 설치되는 HC농도센서(200)와, 상기 HC농도센서(200)로부터 배기 가스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엔진제어부(300)와, 상기 엔진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서 파일럿 분사 연료량을 조절하여 분사하는 인젝터(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기관(100)은 엔진에서 발생된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관으로서, 그 전단에는 배기가스 내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소음을 줄이기 위해서 디젤매연촉매(DOC, 110) 등의 촉매나 테일머플러(120) 등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테일머플러(120)는 외기와 근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HC농도센서(200)는 상기 테일머플러(120)의 후방에 설치된다. 상기 HC농도센서(200)는 배기가스 중 하이드로카본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하이드로카본의 농도를 측정하는 상기 HC농도센서(200)로는 펠리스터(pellistor) 센서를 사용한다.
상기 펠리스터 센서는 접촉열센서(catalytic thermal sensors)라고도 하며, 어떤 분위기 속에서 가연성가스가 연소를 일으킬 때 방출하는 열을 측정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펠리스터 센서는 귀금속 촉매를 갖고 있는 세라믹 비드 안에 작은 백금 필라멘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백금의 필라멘트에 전압을 가해 전열히터를 만들어 놓고 여기에 배기가스를 유동시켜 하이드로카본을 연소시키게 되면 연소가 일어나서 저항이 바뀌게 된다. 펠리스터 센서는 배기가스 내에 존재하는 하이드로카본의 농도에 비례하여 변화하는 상기 저항치를 측정하게 된다.
상기 HC농도센서(200)에 의해서 측정된 하이드로카본의 농도(Vp)는 엔진제어부(300)로 입력되며, 상기 엔진제어부(300)는 입력된 하이드로카본의 농도(Vp)를 기설정된 기준농도값과 비교한다. 상기 기준농도값은 조절하고자 하는 하이드로카본의 농도의 상한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는 70ppm이다.
상기 엔진제어부(300)는 하이드로카본의 농도(Vp)가 기준농도값 보다 크게 될 경우, 인젝터(400)에 파일럿 분사 연료량을 증가시키는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즉, 측정된 배기가스 내의 하이드로카본의 농도가 기준농도값 보다 크게 되는 경우 파일럿 분사 연료량이 적기 때문에 불완전 연소가 이루어진다는 것이므로 상기 엔진제어부(300)는 파일럿 분사 연료량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서 파일럿 분사 연료량이 증가되어 배기가스 내의 하이드로 카본의 농도가 감소되어 백연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배기가스에 포함되는 백연 이외에 흑연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파일럿 분사 연료량을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HC농도센서(200) 외에 포토센서(210)를 배기관(100)에 설치한다. 상기 포토센서(210)는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부(미도시)와 발생된 빛을 흡수하는 수광부(미도시)를 구비하며,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존재하는 기체의 광투과율에 비례하여 전압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아무것도 없는 경우에는 5V의 값이 나오지만,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장애물이 있어 수광부에서 발광부의 신호를 전혀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우에는 0V의 값이 된다.
이와 같은 원리에 의해서, 상기 포토센서(210)는 외기로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 흑연의 광투과율을 측정하고 이를 엔진제어부(300)로 보낸다. 상기 엔진제어부(300)는 측정된 광투과율(Vi)을 미리 설정된 기준광투과율과 비교하여 기준광투 과율 보다 작은 경우에는 파일럿 분사 연료량이 많은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인젝터(400)에 파일럿 분사 연료량을 감소시키는 신호를 보낸다.
상기 광투과율은 제한하고자 하는 흑연의 광투과율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발광부에서 발생된 빛이 그대로 수광부에 흡수되는 경우를 100%로 할 때, 70%를 기준광투과율로 한다. 본 실시예는 HC농도센서(200) 뿐만 아니라 포토센서(210)에 의한 배기가스의 광투과율을 측정함으로써 보다 백연 및 흑연의 상태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파일럿 분사 연료량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HC농도센서(200)와 포토센서(210)는 온도에 민감하기 때문에 그 설치위치가 중요하다. 온도가 60℃ 이상일 경우, HC농도센서(200) 및 포토센서(210)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한다. 한편 상기 테일머플러(120)를 통과한 배기가스는 비교적 온도가 낮으나 60℃를 넘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테일머플러(120)의 후방에 배기관(100)으로부터 분기되는 바이패스관(130)을 설치하고, 상기 바이패스관(130)의 내측에 HC농도센서(200)와 포토센서(210)를 배치한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관(130)의 전방에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220)를 설치하고, 상기 바이패스관(130)을 개폐하는 밸브(140)를 설치한다. 상기 온도센서(220)에서 측정된 배기가스의 온도는 엔진제어부(300)로 입력되고, 상기 엔진제어부(300)는 입력된 배기가스의 온도가 기준온도(본 실시예에서는 60℃) 보다 높은 경우 밸브(140)를 닫아 바이패스관(130)으로 유입되는 배기가스를 차단하고, 반대로 입력된 배기가스의 온도가 기준온도 보다 낮은 경우 밸브(140)를 개 방하여 바이패스관(130)으로 배기가스가 유입되도록 하여 배기가스 내의 하이드로카본의 농도 및 배기가스의 광투과율을 측정하도록 한다.
백연의 경우 대기온도가 25℃ 이하로 낮고 엔진이 충분히 워밍업(warm-up) 되기 전에 주로 발생하기 때문에 배기가스의 온도가 60℃ 미만인 경우만 제어하더라도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하는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파일럿 연료분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파일럿 연료분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3의 S100 단계에서는 엔진회전수 및 기어 단수를 측정한다. 그리고 S200 단계에서 엔진제어부(300)는 측정된 엔진회전수를 아이들회전수와 비교하고, 기어단수가 "N"단(중립)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는 주로 백연이나 흑연이 급가속시나 차량 출발시에 많이 발생하므로 아이들회전수나 중립인 경우에는 배기가스의 농도나 광투과율을 측정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S300 단계에서, 엔진제어부(300)는 상기 S200 단계에서 엔진회전수가 아이들 회전수 보다 크고, 기어단수가 "N"단(중립)이 아닌 경우, 상기 테일머플러(120) 후방에 위치하는 배기관(100)을 통과하는 배기가스 내의 하이드로카본 농도(Vp)를 측정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하이드로카본 농도는 상기 배기관(100)에서 분기된 바이패스관(130) 내에 설치된 HC농도센서(200)를 통해서 측정되어 엔진제어부(300)로 입력된다.
또한, 상기 S300 단계에서 측정된 하이드로카본 농도(Vp)는 S310 단계에서 기설정된 기준농도값과 비교된다. 상기 S310 단계에서 측정된 하이드로카본 농 도(Vp)가 기설정된 기준농도값(70ppm) 보다 큰 경우, 엔진제어부(300)는 파일럿 분사 연료량이 적다고 판단하고 S400 단계에서 파일럿 분사 연료량을 증가시킨다. 이후 증가된 파일럿 분사 연료량에 의한 하이드로카본 농도의 변화를 감지하는 순환루프를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한 번의 순환 루프에서 파일럿 분사 연료량은 3초동안 0.1mg 증가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S300 단계는 배기가스의 광투과율을 측정하는 S300a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상기 S300a 단계는 바이패스관(130) 내에 설치된 포토센서(210)에 의해서 배기가스의 광투과율(Vi)이 측정된다.
엔진제어부(300)는 상기 S310단계에서 측정된 하이드로카본 농도(Vp)가 기설정된 기준농도값(70ppm) 이하인 경우, 상기 측정된 광투과율(Vi)을 기설정된 기준광투과율(70%) 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한다(S310a 단계). 상기 S310a 단계에서 측정된 광투과율(Vi)을 기설정된 기준광투과율(70%) 보다 작은 경우 흑연이 많이 발생되며 이는 파일럿 분사 연료량이 기준치 보다 많다는 것이다. 따라서 엔진제어부(300)는 인젝터(400)에 파일럿 분사 연료량을 감소시키는 신호를 보낸다(S400a 단계). 이후 감소된 파일럿 분사 연료량에 의한 광투과율의 변화를 감지하는 순환루프를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한 번의 순환 루프에서 파일럿 분사 연료량은 3초 동안 0.1mg 감소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S300 단계는 배기온도가 기준온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만 측정하도록 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HC농도센서(200) 및 포토센서(210)는 60℃이상의 온도에서는 작동되지 않으므로, 밸브(140)를 제어함으로써 바이패스 관(130)으로 흐르는 배기가스의 흐름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도 3의 S210 단계에서는 바이패스관(130)의 전방에 설치된 온도센서(220)에 의해서 배기가스의 온도를 측정하고, S220 단계에서는 측정된 온도값이 기준온도값(60℃) 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엔진제어부(300)는 S210 단계에서 온도값이 기준온도값 보다 작은 경우 밸브(140)를 개방하고 HC농도센서(200) 및 포토센서(210)를 통해서 하이드로카본의 농도 및 배기가스의 광투과율을 측정한다.
도 1은 종래 디젤자동차의 연료분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파일럿 연료분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파일럿 연료분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배기관 110 : 디젤매연촉매
120 : 테일머플러 130 : 바이패스관
140 : 밸브 200 : HC농도센서
210 : 포토센서 220 : 온도센서
300 : 엔진제어부 400 : 인젝터

Claims (9)

  1. 디젤 자동차의 테일머플러 후방에 위치하는 배기관에 설치되어 배기가스 내의 하이드로카본의 농도를 측정하는 HC농도센서와,
    상기 HC농도센서로부터 입력된 하이드로카본의 농도를 기초로 하여 파일럿 분사 연료량의 조절여부를 판단하는 엔진제어부와,
    상기 엔진제어부에 의해서 출력된 제어 신호에 의해서 파일럿 분사 연료량을 조절하는 인젝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럿 연료분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일머플러 후방에 위치하는 배기관에 설치되어 배기가스의 광투과율을 측정하는 포토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엔진제어부는 배기가스의 광투과율을 기초로 하여 파일럿 분사 연료량의 조절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럿 연료분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HC농도센서 및 포토센서의 상기 테일머플러 후방에 형성된 바이패스관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럿 연료분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관에는 입구를 개폐하는 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럿 연료분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관의 전방에는 바이패스관으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럿 연료분사 시스템.
  6. 테일머플러 후방에 위치하는 배기관을 통과하는 배기가스 내의 하이드로카본 농도를 측정하는 S300 단계와,
    상기 S300 단계에서 측정된 하이드로카본 농도를 기설정된 기준농도값과 비교하는 S310 단계와,
    상기 S310 단계에서 측정된 하이드로카본 농도가 기설정된 기준농도값 보다 큰 경우 보다 파일럿 분사 연료량을 증가시키는 S400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럿 연료분사 시스템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S300 단계 이후 배기가스의 광투과율을 측정하는 300a 단계와,
    상기 S310 단계에서 하이드로카본 농도가 기준농도값 이하인 경우 배기가스의 광투과율을 기설정된 기준광투과율값과 비교하는 S310a 단계와,
    상기 SS310 단계에서 측정된 배기가스의 광투과율(Vi)이 기설정된 기준광투 과율값 보다 작은 경우 파일럿 분사 연료량을 감소시키는 S400a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럿 연료분사 시스템 제어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S300 단계 이전에 테일머플러 후방에 위치하는 배기관을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S210 단계와,
    상기 S210 단계에서 측정된 배기가스의 온도가 기준온도값 보다 작은 경우에 S300 단계를 진행시키는 S220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럿 연료분사 시스템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S210 단계 이전에 엔진회전수 및 기어단수를 측정하는 S100 단계와,
    상기 측정된 엔진회전수를 아이들회전수와 비교하고, 기어단수가 "N"단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S200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S200 단계에서 엔진회전수가 아이들 회전수 보다 크고, 기어단수가 "N"단이 아닌 경우 S210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럿 연료분사 시스템 제어방법.
KR1020070081747A 2007-08-14 2007-08-14 디젤자동차의 파일럿 연료분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877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747A KR100877719B1 (ko) 2007-08-14 2007-08-14 디젤자동차의 파일럿 연료분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747A KR100877719B1 (ko) 2007-08-14 2007-08-14 디젤자동차의 파일럿 연료분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7719B1 true KR100877719B1 (ko) 2009-01-07

Family

ID=40482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1747A KR100877719B1 (ko) 2007-08-14 2007-08-14 디젤자동차의 파일럿 연료분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77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2484A (ko) 2016-11-10 2018-05-1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합성가스용 가스엔진 공연비 급속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7974A (ja) 2000-08-07 2002-02-15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排気浄化装置
KR20030018903A (ko) * 2001-08-31 2003-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젤 차량의 엔진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30072229A (ko) * 2002-03-04 2003-09-13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내연 기관의 배기 정화 장치
JP2003286879A (ja) 2002-03-27 2003-10-10 Mazda Motor Corp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燃焼制御装置
JP2004278468A (ja) 2003-03-18 2004-10-07 Ntt Power & Building Facilities Inc 燃料供給装置
JP2005002817A (ja) 2003-06-10 2005-01-06 Nissan Motor Co Ltd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排気浄化装置
JP2007016619A (ja) 2005-07-05 2007-01-25 Nissan Motor Co Ltd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排気後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7974A (ja) 2000-08-07 2002-02-15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排気浄化装置
KR20030018903A (ko) * 2001-08-31 2003-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젤 차량의 엔진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30072229A (ko) * 2002-03-04 2003-09-13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내연 기관의 배기 정화 장치
JP2003286879A (ja) 2002-03-27 2003-10-10 Mazda Motor Corp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燃焼制御装置
JP2004278468A (ja) 2003-03-18 2004-10-07 Ntt Power & Building Facilities Inc 燃料供給装置
JP2005002817A (ja) 2003-06-10 2005-01-06 Nissan Motor Co Ltd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排気浄化装置
JP2007016619A (ja) 2005-07-05 2007-01-25 Nissan Motor Co Ltd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排気後処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2484A (ko) 2016-11-10 2018-05-1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합성가스용 가스엔진 공연비 급속제어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8311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n exhaust gas aftertreatment system
US7325395B2 (en) Exhaust gas purification devic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193340A (en) Exhaust gas purifying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122849B2 (ja) 触媒劣化検出装置
US8327632B2 (en) Exhaust system comprising catalysed soot filter
JP2007332932A (ja) 内燃機関の異常診断装置
US7490463B2 (en) Process and system for removing soot from particulate filters of vehicle exhaust systems
US20090000604A1 (en) Engine system having aftertreatment and an intake air heater
CN103046984A (zh) 用于汽油颗粒过滤器的再生系统和再生方法
JP4692436B2 (ja) 内燃機関の排気浄化システム
JP4218601B2 (ja) 圧縮着火内燃機関の空燃比センサ劣化判定システム
JP2012510025A (ja) 窒素酸化物吸蔵触媒を有する排気ガス浄化装置を備えた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運転方法
JPWO2012107949A1 (ja) 内燃機関
KR102440576B1 (ko) 배기가스 정화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8261820A (ja) 内燃機関の排気微粒子測定装置に関する。
US7204082B1 (en) System for combustion of reformate in an engine exhaust stream
KR20180068571A (ko) 차량의 엔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877719B1 (ko) 디젤자동차의 파일럿 연료분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518598B1 (ko) 재생 후 가솔린 여과 필터에 잔존하는 수트 잔존량을 계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솔린 여과 필터의 재생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12287A (ko) 배기가스 유해물질 저감장치 및 이에 구비되는 버너의 연료분사량 제어 방법
FR2907162A3 (fr) Procede et dispositif de controle d&#39;un systeme de depollution et vehicule muni du dispositif
KR20190134943A (ko) SDPF의 NOx 정화 효율 보정 방법
JP7122873B2 (ja) 排ガス温度制御方法及び排ガス浄化装置
KR20220006310A (ko) 배출 가스 정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7056712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