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7576B1 - Pec를 이용한 충진율 함유량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Pec를 이용한 충진율 함유량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7576B1
KR100877576B1 KR1020070045285A KR20070045285A KR100877576B1 KR 100877576 B1 KR100877576 B1 KR 100877576B1 KR 1020070045285 A KR1020070045285 A KR 1020070045285A KR 20070045285 A KR20070045285 A KR 20070045285A KR 100877576 B1 KR100877576 B1 KR 100877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filling rate
output
trigger signal
pe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5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9571A (ko
Inventor
서동만
채승기
서동섭
박정완
조영욱
박병석
Original Assignee
(주)레이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레이나 filed Critical (주)레이나
Priority to KR1020070045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7576B1/ko
Publication of KR20080099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9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7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7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3/00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ies; Arrangements for analysing frequency spectra
    • G01R23/02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y, e.g. pulse repetition rate; Arrangements for measuring period of current or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01N27/9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using eddy currents
    • G01N27/904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using eddy currents by analysing electrical sig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30Structural combination of electric measuring instruments with basic electronic circuits, e.g. with amplifi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EC를 이용한 충진율 함유량 검사장치에 관한것으로 상세하게는 PEC를 이용한 충진율 함유량 검사장비에 있어서, 검사에 필요한 주파수를 발생하는 주파수 발진기와, 상기 주파수 발진기에서 발생된 주파수에 다른주파수를 첨가하여 트리거신호로 변환하는 펄스 오실레이터와, 상기 펄스 오실레이터에서 전송되는 트리거신호를 샘플링하여 기준 트리거신호로 변환하는 샘플링 시그널장치와, 상기 샘플링 시그널장치에서 전송된 기준 트리거신호를 랜덤하게 인가하는 스위칭 서킷장치와, 상기 스위칭 서킷장치에서 전송되는 기준 트리거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 출력부와; 상기 제1 출력부와 동일한 구성으로 상기 주파수 발진기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변환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2 출력부와; 상기 주파수 발진기에 연결되어지며, 상기 주파수 발진기에서 발진되는 주파수를 버퍼링하여 측정센서에 송신하는 파워버퍼와; 상기 제1,2 출력부의 스위칭 서킷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파워버퍼에서 전송된 주파수를 이용하여 대상물의 충진율 함유량을 측정하는 측정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PEC를 이용한 충진율 함유량 검사장치에 관한것이다.
충진율, 함유량, PEC, 검사, 주파수

Description

PEC를 이용한 충진율 함유량 검사장치{Atomic packing factor content inspection equipment for used pulsed eddy curr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PEC를 이용한 충진율 함유량 검사장치의 전체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PEC를 이용한 충진율 함유량 검사장치에 사용되는 측정센서의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PEC를 이용한 충진율 함유량 검사장치에 입력되는 기본 입력 신호를 나타낸 파형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PEC를 이용한 충진율 함유량 검사장치에서 검사물질이 없을 경우 출력되는 트리거 신호와 픽업신호를 나타낸 파형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PEC를 이용한 충진율 함유량 검사장치에서 검사물질이 있을 경우 출력되는 트리거 신호와 픽업신호를 나타낸 파형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PEC를 이용한 충진율 함유량 검사장치를 이용해 충진율 함유량을 측정한뒤 나타나는 전압변화를 표시한 측정표.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주파수 발진기 20 : 제1 출력부
30 : 제2 출력부 40 : 파워버퍼
41 : 측정센서
본 발명은 PEC를 이용한 충진율 함유량 검사장치에 관한것으로 상세하게는 PEC(pulsed eddy current)를 이용한 충진율 함유량 검사장비에 있어서, 검사에 필요한 주파수를 발생하는 주파수 발진기와, 상기 주파수 발진기에서 발생된 주파수에 다른주파수를 첨가하여 트리거신호로 변환하는 펄스 오실레이터와, 상기 펄스 오실레이터에서 전송되는 트리거신호를 샘플링하여 기준 트리거신호로 변환하는 샘플링 시그널장치와, 상기 샘플링 시그널장치에서 전송된 기준 트리거신호를 랜덤하게 인가하는 스위칭 서킷장치와, 상기 스위칭 서킷장치에서 전송되는 기준 트리거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 출력부와; 상기 제1 출력부와 동일한 구성으로 상기 주파수 발진기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변환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2 출력부와; 상기 주파수 발진기에 연결되어지며, 상기 주파수 발진기에서 발진되는 주파수를 버퍼링하여 측정센서에 송신하는 파워버퍼와; 상기 제1,2 출력부의 스위칭 서킷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파워버퍼에서 전송된 주파수를 이용하여 대상물의 충진율 함유량을 측정하는 측정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PEC를 이용한 충진율 함유량 검사장치에 관한것이다.
현재 대부분 기계 및 자동차 부품 제조회사에서 부분적으로 제품의 생산 공정에서 비파괴 검사를 수행하고 있으나 부품의 열처리 부분만은 형상에 따라 절개 하여 절개된 단면을 특수 가공처리 하여 경화 깊이에 대한 패턴을 볼 수 있기에 이를 수행 하는 과정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구하며 파괴되는 부품 수요도 적지 않다. 이로 인해 전수 검사는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 생산 현장의 실정이다.
비교적 규모가 큰 기업에서는 고가의 비파괴 검사 장비와 기술을 외국으로부터 수입에서 사용하고 있으나, 이 부분도 크랙과 열처리 유무 정도에 국한 되어 있고 국내의 자동차 부품을 생산하는 대부분의 중소기업에서는 제품검사가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중요한 부품은 신뢰성 확보가 어려워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그 중 현재 와전류 검사장치 및 초음파 검사 장치와 관련해서는 국내에서 여러 업체들이 탐촉자(Probe)만을 자체 개발하여 사용 중에 있으며, 각 업체들의 꾸준한 연구개발로 탐촉자(Probe) 기술은 날로 발전하고 있으나 검사 장치의 핵심인 H/W 개발은 국내에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검사에 필요한 주파수를 발생하는 주파수 발진기와, 상기 주파수 발진기에서 발생된 주파수에 다른주파수를 첨가하여 트리거신호로 변환하는 펄스 오실레이터와, 상기 펄스 오실레이터에서 전송되는 트리거신호를 샘플링하여 기준 트리거신호로 변환하는 샘플링 시그널장치와, 상기 샘플링 시그널장치에서 전송된 기준 트리거신호를 랜덤하게 인가하는 스위칭 서킷장치와, 상기 스위칭 서킷장치에서 전송되는 기준 트리거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 출력부와; 상기 제1 출력부와 동일한 구성으로 상기 주파수 발진기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변환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2 출력부와; 상기 주파수 발진기에 연결되어지며, 상기 주파수 발진기에서 발진되는 주파수를 버퍼링하여 측정센서에 송신하는 파워버퍼와; 상기 제1,2 출력부의 스위칭 서킷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파워버퍼에서 전송된 주파수를 이용하여 대상물의 충진율 함유량을 측정하는 측정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C를 이용한 충진율 함유량 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PEC(pulsed eddy current)를 이용한 충진율 함유량 검사장비에 있어서, 검사에 필요한 주파수를 발생하는 주파수 발진기와, 상기 주파수 발진기에서 발생된 주파수에 다른주파수를 첨가하여 트리거신호로 변환하는 펄스 오실레이터와, 상기 펄스 오실레이터에서 전송되는 트리거신호를 샘플링하여 기준 트리거신호로 변환하는 샘플링 시그널장치와, 상기 샘플링 시그널장치에서 전송된 기준 트리거신호를 랜덤하게 증폭기(AMP)에 인가하는 스위칭 서킷장치와, 상기 스위칭 서킷장치에서 전송되는 기준 트리거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 출력부와; 상기 제1 출력부와 동일한 구성으로 상기 주파수 발진기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변환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2 출력부와; 상기 주파수 발진기에 연결되어지며, 상기 주파수 발진기에서 발진되는 주파수를 버퍼링하여 측정센서에 송신하는 파워버퍼와; 상기 제1,2 출력부의 스위칭 서킷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파워버퍼에서 전송된 주파수를 이용하여 대상물의 충진율 함유량을 측정하는 측정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PEC를 이용한 충진율 함유량 검사장치의 전체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PEC를 이용한 충진율 함유량 검사장치에 사용되는 측정센서의 사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PEC를 이용한 충진율 함유량 검사장치에 입력되는 기본 입력 신호를 나타낸 파형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PEC를 이용한 충진율 함유량 검사장치에서 검사물질이 없을 경우 출력되는 트리거 신호와 픽업신호를 나타낸 파형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PEC를 이용한 충진율 함유량 검사장치에서 검사물질이 있을 경우 출력되는 트리거 신호와 픽업신호를 나타낸 파형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PEC를 이용한 충진율 함유량 검사장치를 이용해 충진율 함유량을 측정한뒤 나타나는 전압변화를 표시한 측정표이다.
본 발명은 PEC(pulsed eddy current)를 이용한 충진율 함유량 검사장비에 있어서, 검사에 필요한 주파수를 발생하는 주파수 발진기(10)와, 상기 주파수 발진기(10)에서 발생된 주파수에 다른주파수를 첨가하여 트리거신호로 변환하는 펄스 오실레이터(21)와, 상기 펄스 오실레이터(21)에서 전송되는 트리거신호를 샘플링하여 기준 트리거신호로 변환하는 샘플링 시그널장치(22)와, 상기 샘플링 시그널장치(22)에서 전송된 기준 트리거신호를 랜덤하게 증폭기(AMP)(24)에 인가하는 스위칭 서킷장치(23)와, 상기 스위칭 서킷장치(23)에서 전송되는 기준 트리거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 출력부(20)와; 상기 제1 출력부(20)와 동일한 구성으로 상기 주파수 발진기(10)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변환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2 출력부(30)와; 상기 주파수 발진기(10)에 연결되어지며, 상기 주파수 발진기(10)에서 발진되는 주파수를 버퍼링하여 측정센서(41)에 송신하는 파워버퍼(40)와; 상기 제1,2 출력부(20,30)의 스위칭 서킷장치(23,33)와 연결되고, 상기 파워버퍼(40)에서 전송된 주파수를 이용하여 대상물의 충진율 함유량을 측정하는 측정센서(4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진다.
이때, 상기 측정센서(41)는 일측에 연결된 파워버퍼(40)에서 전송되는 주파수를 상기 주파수 발진기(10)에서 출력되어지는 트리거신호가 인가될 때 측정센서(41) 중앙을 관통하는 대상물에 인가하여 충진율 함유량에 따라 출력되어지는 픽업신호가 변화하는 것을 측정하여 스위칭 서킷장치(23)에 전송하게된다.
그리고, 상기 측정센서(41)에서 출력되는 픽업신호는 상기 주파수 발진기(10)에서 출력되어지는 트리거신호가 인가되어 대상물의 내부를 측정하는 주파수의 타이밍을 조절할 때 가장 고출력인 상태가 출력되어진다.
또한, 상기 측정센서(41)에서 출력되는 픽업신호는 검사물질이 없을 경우 출력이 작게 나타나고, 검사물질이 있을 경우 출력이 크게 나타나게된다.
그리고, 상기 제1,2 출력부(20,30)는 컴퓨터 표시장치에 연결되어 측정값을 컴퓨터 표시장치에 표시하게된다.
즉,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검사에 필요한 주파수를 발생하는 주파수 발진기(10)와, 상기 주파수 발진기(10)에서 발생된 주파수에 다른주파수를 첨가하여 트리거신호로 변환하는 펄스 오실레이터(21)와, 상기 펄스 오실레이터(21)에서 전송되는 트리거신호를 샘플링하여 기준 트리거신호로 변환하는 샘플링 시그널장치(22)와, 상기 샘플링 시그널장치(22)에서 전송된 기준 트리거신호를 랜덤하게 증폭기(AMP)(24)에 인가하는 스위칭 서킷장치(23)와, 상기 스위칭 서킷장치(23)에서 전송되는 기준 트리거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 출력부(20)와; 상기 제1 출력부(20)와 동일한 구성으로 상기 주파수 발진기(10)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변환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2 출력부(30)와; 상기 주파수 발진기(10)에 연결되어지며, 상기 주파수 발진기(10)에서 발진되는 주파수를 버퍼링하여 측정센서(41)에 송신하는 파워버퍼(40)와; 상기 제1,2 출력부(20,30)의 스위칭 서킷장치(23,33)와 연결되고, 상기 파워버퍼(40)에서 전송된 주파수를 이용하여 대상물의 충진율 함유량을 측정하는 측정센서(41)로 구성된 측정장치에 컴퓨터 표시장치를 연결하여 충진율 함유량 또는 대상물의 내부에 함유된 다른재질을 측정하여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표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측정센서(41)는 일측에 연결된 파워버퍼(40)에서 전송되는 주파수를 상기 주파수 발진기(10)에서 출력되어지는 트리거신호가 인가될 때 측정센서(41) 중앙을 관통하는 대상물에 인가하여 충진율 함유량에 따라 출력되어지는 픽업신호가 변화하는 것을 측정하여 스위칭 서킷장치(23)에 전송하게된다.
그리고, 상기 측정센서(41)에서 출력되는 픽업신호는 상기 주파수 발진기(10)에서 출력되어지는 트리거신호가 랜덤하게 인가되어 대상물의 내부를 측정하는 주파수가 가장 고출력으로 출력되어지고, 상기 측정센서(41)에서 출력되는 픽업신호는 검사물질이 없을 경우 출력이 작게 나타나고, 검사물질이 있을 경우 출력이 크게 나타나게된다.
상기에서 기술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PEC신호를 검사할 시편에 인가하여 시편의 충진율 함유량을 측정하는 PEC를 이용한 충진율 함유량 검사장치를 통해 충진율 함유량이 적은부분 또는 기타물질이 유입된 경우 달라지는 픽업신호로 위치를 검출할 수 있게 되며, 측정장치를 소형화하여 이송과 설치가 쉬워진다.

Claims (5)

  1. PEC(pulsed eddy current)를 이용한 충진율 함유량 검사장비에 있어서,
    검사에 필요한 주파수를 발생하는 주파수 발진기(10)와, 상기 주파수 발진기(10)에서 발생된 주파수에 다른주파수를 첨가하여 트리거신호로 변환하는 펄스 오실레이터(21)와, 상기 펄스 오실레이터(21)에서 전송되는 트리거신호를 샘플링하여 기준 트리거신호로 변환하는 샘플링 시그널장치(22)와, 상기 샘플링 시그널장치(22)에서 전송된 기준 트리거신호를 랜덤하게 증폭기(AMP)(24)에 인가하는 스위칭 서킷장치(23)와, 상기 스위칭 서킷장치(23)에서 전송되는 기준 트리거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 출력부(20)와;
    상기 제1 출력부(20)와 동일한 구성으로 상기 주파수 발진기(10)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변환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2 출력부(30)와;
    상기 주파수 발진기(10)에 연결되어지며, 상기 주파수 발진기(10)에서 발진되는 주파수를 버퍼링하여 측정센서(41)에 송신하는 파워버퍼(40)와;
    상기 제1,2 출력부(20,30)의 스위칭 서킷장치(23,33)와 연결되고, 상기 파워버퍼(40)에서 전송된 주파수를 이용하여 대상물의 충진율 함유량을 측정하는 측정센서(4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C를 이용한 충진율 함유량 검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센서(41)는 일측에 연결된 파워버퍼(40)에서 전송되는 주파수를 상기 주파수 발진기(10)에서 출력되어지는 트리거신호가 인가될 때 측정센서(41) 중앙을 관통하는 대상물에 인가하여 충진율 함유량에 따라 출력되어지는 픽업신호가 변화하는 것을 측정하여 스위칭 서킷장치(23,33)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C를 이용한 충진율 함유량 검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센서(41)에서 출력되는 픽업신호는 상기 주파수 발진기(10)에서 출력되어지는 트리거신호가 랜덤하게 인가되어 대상물의 내부를 측정하는 주파수가 가장 고출력으로 출력되는 상태의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C를 이용한 충진율 함유량 검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센서(41)에서 출력되는 픽업신호는 검사물질이 없을 경우 출력이 작게 나타나고, 검사물질이 있을 경우 출력이 크게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C를 이용한 충진율 함유량 검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출력부(20,30)는 컴퓨터 표시장치에 연결되어 측정값을 컴퓨터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C를 이용한 충진율 함유량 검사장치.
KR1020070045285A 2007-05-10 2007-05-10 Pec를 이용한 충진율 함유량 검사장치 KR100877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285A KR100877576B1 (ko) 2007-05-10 2007-05-10 Pec를 이용한 충진율 함유량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285A KR100877576B1 (ko) 2007-05-10 2007-05-10 Pec를 이용한 충진율 함유량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571A KR20080099571A (ko) 2008-11-13
KR100877576B1 true KR100877576B1 (ko) 2009-01-09

Family

ID=40286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5285A KR100877576B1 (ko) 2007-05-10 2007-05-10 Pec를 이용한 충진율 함유량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757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6461A (ja) 1984-11-24 1986-06-13 Daido Steel Co Ltd ワイヤの検査方法
KR20000058710A (ko) * 2000-06-26 2000-10-05 주청돈 차동방식을 이용한 와전류탐상장치 및 그 탐상방법
KR20020050837A (ko) * 2000-12-22 2002-06-28 신현준 용접선재의 내부에 충진되는 플럭스의 충진율을온라인으로 검사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20094381A (ko) * 2001-06-11 2002-12-18 주식회사 싸이로드 플럭스 충진률 검사장치
KR20060010114A (ko) * 2004-07-27 2006-02-02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펄스 와전류를 이용한 금속관의 부식 위치 및 두께 측정방법 및 장치
KR20060032543A (ko) * 2004-10-12 2006-04-17 주식회사 포스코 열간 선재 표면결함 온-라인 와전류 탐상장치
KR20070106122A (ko) * 2006-04-28 2007-11-01 (주)레이나 Ndt설비를 이용한 백피봉강의 결함 검출 장치와 이를이용한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6461A (ja) 1984-11-24 1986-06-13 Daido Steel Co Ltd ワイヤの検査方法
KR20000058710A (ko) * 2000-06-26 2000-10-05 주청돈 차동방식을 이용한 와전류탐상장치 및 그 탐상방법
KR20020050837A (ko) * 2000-12-22 2002-06-28 신현준 용접선재의 내부에 충진되는 플럭스의 충진율을온라인으로 검사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20094381A (ko) * 2001-06-11 2002-12-18 주식회사 싸이로드 플럭스 충진률 검사장치
KR20060010114A (ko) * 2004-07-27 2006-02-02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펄스 와전류를 이용한 금속관의 부식 위치 및 두께 측정방법 및 장치
KR20060032543A (ko) * 2004-10-12 2006-04-17 주식회사 포스코 열간 선재 표면결함 온-라인 와전류 탐상장치
KR20070106122A (ko) * 2006-04-28 2007-11-01 (주)레이나 Ndt설비를 이용한 백피봉강의 결함 검출 장치와 이를이용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571A (ko) 2008-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hang et al. Evaluation of material degradation using nonlinear acoustic effect
TW200731441A (en) Methods of and apparatuses for measuring electrical parameters of a plasma process
KR20130137203A (ko) 초음파 발생 장치 및 초음파 발생 방법
ATE441203T1 (de) System und verfahren zur analyse des stromflusses in halbleiter-plasmaerzeugungssystemen
WO2003005002A1 (fr) Appareil et procede de mesure des propagations
WO2003046544A3 (en) Method to characterize material using mathematical propagation models and ultrasonic signal
WO2005077029A3 (en) Transducer in-situ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Lee et al. Environmental effects on Lamb wave responses from piezoceramic sensors
Ryles et al. Comparative study of nonlinear acoustic and Lamb wave techniques for fatigue crack detection in metallic structures
Zhan et al. Direct visualization of ultrasonic power distribution using mechanoluminescent film
CN202083674U (zh) 大型热态铸锻件热处理裂纹在线检测装置
WO2009011313A1 (ja) 撹拌判定装置、撹拌判定方法及び分析装置
JP5082108B2 (ja) ガス成分検出装置
JP5163857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品質検査方法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品質検査装置
KR100877576B1 (ko) Pec를 이용한 충진율 함유량 검사장치
CN104126117A (zh) 涡流探伤方法以及装置
DK0699307T3 (da) Fremgangsmåde og anordning til ikke-destruktiv undersøgelse af genstande med ultralyd
CN108152127B (zh) 一种混凝土结构的工作应力监测装置和方法
JP5373534B2 (ja) 位相差測定方法及び位相差測定装置
CN104569155B (zh) 一种表面缺陷电磁超声检测方法
JPH0353137A (ja) 応力測定法
DK1680667T3 (da) Fremgangsmåde og apparat til afprøvning af en genstand med ultralyd
CN108896654A (zh) 基于压电体声波谐振式传感器的能量耗散因子测量方法
CN109459486B (zh) 一种利用电磁感应测量肉制品含水率的方法
Kang et al. Low-power EMAT measurements for wall thickness monito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