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7192B1 - Burst Shot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Burst Shot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7192B1
KR100877192B1 KR1020070036508A KR20070036508A KR100877192B1 KR 100877192 B1 KR100877192 B1 KR 100877192B1 KR 1020070036508 A KR1020070036508 A KR 1020070036508A KR 20070036508 A KR20070036508 A KR 20070036508A KR 100877192 B1 KR100877192 B1 KR 100877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amera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ontinu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65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92744A (en
Inventor
민지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6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7192B1/en
Publication of KR20080092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27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7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71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한번의 카메라 조작으로 연속촬영된 이미지를 간단하게 편집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이루기 위해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여러 연속촬영된 이미지의 일부영역을 선택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편집할 수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 user to easily edit and store images continuously photographed by one camera oper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In order to accomplish this, a partial region of several consecutively shot image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can be selected and stored. Accordingly, the user can acquire and edit various kinds of images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동통신 단말기, 카메라, 메모리 Mobile terminal, camera, memory

Description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Burst Shot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amera and control method thereof {Burst Shot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이 도시된 도,2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도시된 도,3 to 6 are views showing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의 흐름이 도시된 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카메라 20 : 디스플레이부10: camera 20: display unit

30 : 제어부 40 : 조작키부30: control unit 40: operation key unit

50 : 메모리 60 : 음향처리부50: memory 60: sound processor

70 : 무선통신부7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본 발명은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연속촬영을 통해 다양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for acquiring various images through continuous shoot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The control method is related.

일반적으로 휴대폰이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성통화나 단문 서비스 등과 같은 기본적인 기능 외에 대양한 부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다양한 신기술이 적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핵심칩 부문에서는 P램(Phase Change RAM), 카메라모듈에서는 초고화소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이 있다.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o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can provide a variety of additional functions in addition to basic functions such as voice call or short message service. Recently, a variety of new technologies have been applied t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n particular, there are PRAM (Phase Change RAM) in the core chip sector and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CMOS) in the camera module.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이미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메모리에 저장된다.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컴퓨터에 연결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를 다운로드하여 편집할 수 있다. The image acquired through the camera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tored in a memory buil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user can connec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omputer and download and edit the image stored in the memory.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에서도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다. 그러나, 크기의 제약 등으로 말미암아 여러 장의 이미지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편집하는데 한계가 있다.The mobile terminal may also edit the image acquired through the camera.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in editing a plurality of image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ue to size constraint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경우 여러 장의 이미지 편집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having a camera for simultaneously editing a plurality of images when an image is acquired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연속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상기 카메라 조작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연속촬영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카메라 조작명령 입력 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연속촬영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한 연속촬영 이미지를 하나의 이미지로 병합하여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amera capable of continuous shooting; An input unit to which the camera manipulation command is input;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an image taken continuously by the camera;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isplay an image continuously shot by the camera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camera operation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and to store the displayed continuous shot image into a single imag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연속촬영 단계; 상기 연속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조작명령 입력 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연속촬영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한 연속촬영 이미지를 하나의 이미지로 병합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continuous shooting; Displaying an image taken continuously by the camera when the camera operation command capable of continuous shooting is input; And merging and storing the displayed continuous photographed image into one imag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이동통신 단말기는 카메라(10), 디스플레이부(20), 제어부(30), 메모리(40), 음향처리부(50), 무선통신부(60)로 구성된다.1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camera 10, a display unit 20, a controller 30, a memory 40, a sound processor 50,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60.

카메라(10)는 제어부(30)의 동작명령에 따라 렌즈를 통해 주변환경을 촬상한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카메라(1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후면에 장착되는 렌즈와, 렌즈를 통해 촬상된 이미지를 프로세싱하여 디스플레이 또는 저장 가능한 이미지로 제어부(30)로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렌즈를 통해 촬상된 이미지를 프로세싱하는 수단은 제어부(30)에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 가능하다. The camera 10 capture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rough the lens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mmand of the controller 30. In general, the camera 10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lens mounted on the rear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processor for processing the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lens and transmitting the image to the controller 30 as a display or storeable image. Concept. The means for processing the image picked up through the lens is software-implementable in the controller 30.

디스플레이부(20)는 카메라(10)를 통해 촬상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또 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로 입력한 동작명령이나 입력된 동작명령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한다. 그 외에, 디스플레이부(20)는 사용자가 동작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동작 제어를 위한 메뉴, 통화 중 상대방의 신호 수신 상태 및 배터리 정보 등을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20 displays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10. In addition, an operation command input by the us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n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input operation command is displayed.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20 displays a menu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a signal reception state of the other party during a call, battery information, and the like so that a user can input an operation command.

디스플레이부(20)는 LCD 및 LCD 구동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터치스크린 패널과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20)를 통해 직접 이동통신 단말기로 동작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30)는 디스플레이부(20)가 터치스크린 패널과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구성된 경우, 사용자의 터치스크린 패널 접촉여부를 주시하고 접촉 발생 시 어느 영역이 터치되었는지 확인해 상기 영역에 대응되는 명령이 이동통신 단말기로 입력된 것으로 판단한다. The display unit 20 may be configured of an LCD and an LCD driver. Or it is composed of a touch screen panel and a touch screen panel controller allows the user to directly input the operation comman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display unit 20. When the display unit 20 includes a touch screen panel and a touch screen panel controller, the controller 30 monitors whether the user touches the touch screen panel and checks which area is touched when a contact occurs, and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area moves. It is determined that the input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조작키부(40)는 키패드와, 키패드 조작여부를 주시하고 그에 따른 신호를 제어부(30)로 전송하는 키패드 제어기로 구성됨이 일반적이다. 사용자는 조작키부(50)의 키를 누름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로 동작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조작키부(50)는 전화통화를 할 수 있도록 통화키나 통화 종료키 등을 구비한다.The operation key unit 40 generally includes a keypad and a keypad controller for monitoring whether the keypad is operated and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controller 30. The user can input an operation comman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pressing a key of the operation key unit 50. Moreover, the operation key part 50 is equipped with the call key, the call end key, etc. so that a telephone call can be made.

조작키부(50)를 통해 카메라(10) 동작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30)는 그에 따라 카메라(10)를 동작시켜 이미지를 획득한다. 제어부(30)는 디스플레이부(20)에 사진촬영 시 해상도나 촬영모드 등을 선택할 수 있는 여러 메뉴를 디스플레이한다. When an operation command of the camera 10 is input through the manipulation key unit 50, the controller 30 operates the camera 10 accordingly to acquire an image. The controller 30 displays various menus for selecting a resolution, a shooting mode, and the like when taking a picture on the display unit 20.

사용자가 촬영모드 중 연속촬영을 선택하면, 제어부(30)는 카메라(10) 동작명령이 1회만 입력되어도 카메라를 연속동작시켜 설정된 수의 이미지를 획득한다. 만일, 연속촬영이 연속으로 4장을 촬영하도록 설정되어 있다면, 카메라 동작명령 입력 시 소정 시간간격으로 4장의 이미지가 촬영된다.When the user selects continuous shooting in the shooting mode, the controller 30 continuously operates the camera to obtain a set number of images even if only one operation command of the camera 10 is input. If the continuous shooting is set to shoot four pictures continuously, four images are taken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when the camera operation command is input.

제어부(30)는 상기 촬영된 4장의 이미지를 하나의 이미지로 병합하여 저장한다. 연속촬영된 이미지가 하나씩 저장되지 않고 하나로 병합되어 저장되면 사용자는 하나의 피사체에 대하여 다양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The controller 30 merges and stores the four photographed images into one image. When the consecutively shot images are not stored one by one but merged and stored as one, the user may acquire various images for one subject.

음향처리부(60)는 제어부(30)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 등으로 출력하거나, 마이크 등을 통해 입력되는 음향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30)에 전달한다. 카메라(10)를 통해 이미지가 아닌 동영상이 촬영된 경우, 촬영된 동영상에 포함된 음향은 음향처리부(60)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The sound processor 60 amplifies the sound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30 and outputs the sound signal to the speaker, or converts the sound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s the sound signal to the controller 30. When a video other than an image is captured by the camera 10, the sound included in the captured video is outp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sound processor 60.

메모리부(5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영에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및 사용자가 저장하기를 원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카메라(10)의 촬영모드는 비디오촬영, 연속촬영 등의 특수촬영이 있을 수 있다. 메모리부(50)는 상기 촬영모드의 설정값을 저장한다. 사용자가 메모리부(20)에 저장된 촬영모드 중 임의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The memory unit 50 stores programs or data necessary for opera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various data that the user wants to store. The shooting mode of the camera 10 may be a special shooting such as video shooting, continuous shooting. The memory unit 50 stores the setting value of the photographing mode. The user may select any mode among the photographing modes stored in the memory unit 20.

또한, 메모리부(50)는 카메라(10)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가 저장된다. 연속촬영이 이루어진 경우 소정 시간간격으로 촬영된 적어도 한 개의 이미지의 병합되어 하나의 이미지로 메모리부(50)에 저장된다.In addition, the memory unit 50 stores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10. In the case of continuous shooting, at least one image taken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s merged and stored as one image in the memory unit 50.

무선통신부(70)는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과 무선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안테나에서 송수신 신호를 분리해 주는 듀플렉서 필터,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파워 앰프, 송신 경로의 주파수 상향 변환회로, 수신 경로의 주파수 하향 변환회로 등을 포함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70 provides an interfa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base station through an antenna, a duplexer filter for separat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signals from an antenna, a power amplifier for amplifying a transmission signal, a frequency upconversion circuit of a transmission path, and a reception path. Frequency down-conversion circuits, and the like.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20)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200)이 도시된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의 화면(200)에는 카메라(10)를 통해 촬영이 되기 전 프리뷰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200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a preview screen is displayed on the screen 200 before the photographing is performed by the camera 10.

사용자는 도 2에 도시된 화면의 여러 소프트키(201,202,203)를 이용하여 촬영모드나 촬영환경을 변경할 수 있다. 전환(201) 키를 조작할 경우 카메라 촬영모드가 변경 가능하며, 촬영(202) 키를 조작할 경우 촬상동작이 이루어지며, 설정(203) 키를 조작할 경우 촬영환경 즉, 플래시 동작유무, 해상도, 필터 사용여부, 타이머 사용여부, 화질, 저장공간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소프트키(201,202,203)는 해당 소프트키 하단에 위치하는 키(41~43)를 통해 조작할 수 있다.The user may change the photographing mode or the photographing environment by using various soft keys 201, 202, and 203 of the screen shown in FIG. When the switch 201 key is operated, the camera shooting mode can be changed. When the key 202 is operated, the image capturing operation is performed. , Filter use, timer use, image quality, storage space, etc. can be set. The softkeys 201, 202, 203 can be operated through the keys 41-43 located below the corresponding softkey.

사용자가 소프트키(201,202,203)를 조작하여 카메라가 연속촬영을 하도록 촬영환경을 설정하면, 촬영(202) 키 1회 조작 시 설정된 횟수만큼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연속촬영이 이루어진다. 4회 연속촬영을 0.3초 간격으로 수행하도록 촬영환경이 설정된 경우, 촬영(202) 키 1회 조작 시 0.3초 간격으로 피사체가 4번 촬영된다. 촬영된 이미지는 디스플레이부(20)에 디스플레이된다.When the user operates the soft keys 201, 202, and 203 to set the shooting environment so that the camera continuously shoots, the continuous shooting is performed at a set time interval for the set number of times during the one-time shooting 202 key. If the shooting environment is set to perform four consecutive shootings at 0.3 second intervals, the subject is photographed four times at 0.3 second intervals in one operation of the shooting 202 key. The captured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

카메라 환경설정 메뉴를 통해 연속촬영의 횟수나 시간 조정이 가능하다. 디폴트로 해상도나 촬영 화질에 따라 연속촬영 횟수가 결정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해상도나 촬영 화질이 증가할 경우 한번에 프로세싱할 수 있는 데이터의 한계로 인하여 연속촬영 횟수는 감소한다.You can adjust the number or time of continuous shooting through the camera configuration menu. By default, the number of continuous shooting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solution or the image quality. When the resolution or image quality is increased, the number of continuous shots decreases due to the limitation of data that can be processed at one time.

도 3은 연속촬영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도시하고 있다.3 illustrates an image photographed through continuous shooting.

제어부(30)는 화면 내부의 이미지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이미지 로 병합하여 메모리(50)에 저장한다. 이미지를 병합하기에 앞서 촬영된 이미지의 특정영역을 잘라낸 후 잘라낸 이미지만 병합할 수 있다.The controller 30 merges the image inside the screen into a single image and stores it in the memory 50 as shown in FIG. 4. Before merging the images, you can cut a specific area of the captured image and then merge only the cut images.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는 연속 촬영된 이미지 중 프리뷰창(205) 내부의 영역만 잘라내어 이를 하나의 이미지로 병합한다.That is, as shown in FIG. 3, the controller 30 cuts only the region inside the preview window 205 among the continuously photographed images and merges them into one image.

프리뷰창(205)이 커버하는 영역은 조절 가능하다. 사용자는 훨키(43) 나 사이드키(42)를 이용하여 프리뷰창(205)의 위아래 또는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임의의 키(41)와 함께 휠키(43)나 사이드키(42)를 조작하여 프리뷰창(205)이 커버하는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The area covered by the preview window 205 is adjustable. The user may move up, down, left, or right of the preview window 205 using the ducky 43 or the side key 42. In addition, the wheel key 43 or the side key 42 may be operated together with the arbitrary key 41 to enlarge or reduce the area covered by the preview window 205.

제어부(30)는 프리뷰창(205)을 통해 선택된 영역의 크기가 상이할 경우 하나의 이미지로 병합하기에 앞서 잘라내어진 이미지의 크기를 동일하게 편집한다. If the size of the region selected through the preview window 205 is different, the controller 30 edits the size of the cropped image before merging into one image.

예를 들어, 도 3의 제1,2,3,4 프레뷰창의 크기는 각각 동일하지 않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이미지로 병합하기 위해서 잘라낸 이미지의 크기는 동일해야 한다. 따라서, 제어부(30)는 이미지를 잘라낸 후 하나의 이미지로 병합하기에 앞서서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하는 단계를 거친다.For example, the sizes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preview windows of FIG. 3 are not the same. However, as shown in FIG. 4, the size of the cropped image should be the same in order to merge them into one image. Therefore, the controller 30 cuts the image and then adjusts the size of the image before merging it into one image.

제2 프리뷰창이 커버하는 영역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 제1 프리뷰창이 커버하는 영역에 해당하는 이미지는 축소하고, 제4 프리뷰창이 커버하는 영역에 해당하는 이미지는 확대한 후 하나의 이미지로 병합한다.When the area covered by the second preview window is used as a reference,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area covered by the first preview window is reduced, and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area covered by the fourth preview window is enlarged and merged into one image.

여러 장의 이미지를 하나의 이미지로 병합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도 4는 잘라내어진 이미지를 격자구조로 병합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설정에 따라 잘라내어진 이미지를 세로로만 병합하거나 가로로만 병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는 잘라낸 이미지를 세로 또는 가로로 나열하여 병합하기에 앞서, 잘라낸 이미지가 동일한 크기가 되도록 편집한다. There are many ways to merge multiple images into one image. 4 shows an example of merging the cropped images into a lattice structure. However, depending on your settings, you can merge the cropped image vertically or horizontally only. The controller edits the cropped images to have the same size before merging them by arranging the cropped images vertically or horizontally.

도 5는 본 발명의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이미지를 촬영하는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5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a method for capturing an image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하나의 피사체를 연속촬영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프리뷰창(205)을 통해 특정 영역을 선택하면 그 내부 영역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하나의 이미지로 병합된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user may check an image obtained by continuously photographing one subject through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n a specific area is selected through the preview window 205,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area is merged into one image.

도 5에서 제1 프리뷰창은 디스플레이부(20)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200)의 전영역을 포함하며, 제2 프리뷰창은 왼쪽 상단영역을 포함하며, 제3 프리뷰창은 제2 프리뷰창보다 더 적은 왼쪽 상단영역을 포함하며, 제4 프리뷰창은 제3 프리뷰창보다 저 적은 왼쪽 상단영역을 포함한다.In FIG. 5, the first preview window includes the entire area of the screen 200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 the second preview window includes the upper left area, and the third preview window is larger than the second preview window. The lower left upper area is included, and the fourth preview window includes lower left upper area than the third preview window.

제어부(30)는 각 프리뷰창을 통해 커버되는 영역의 크기가 상이하므로, 잘려진 영역의 크기가 동일하도록 편집한다. 만일, 제1 프리뷰창을 기준으로 할 경우, 제어부(30)는 제2,3,4 프리뷰창을 통해 잘려진 영역의 이미지 크기를 확대한다. 그 후 하나의 이미지로 편집한다.Since the size of the area covered by each preview window is different, the controller 30 edits the size of the cut area to be the same. If the first preview window is used as a reference, the controller 30 enlarges the image size of the cut region through the second, third and fourth preview windows. Then edit it as one image.

도 6은 하나의 이미지로 병합된 연속촬영된 이미지를 도시한다. 도시딘 바와 같이, 사용자는 특정영역을 계속적으로 확대할 수 있다. 한 피사체에 대힌 1회 촬영버튼 동작만으로 다양한 화각의 이미지와 함께 확대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6 shows a sequential shot image merged into one image. As shown, the user can continue to enlarge a particular area. With only one shot button operation on a subject, an enlarged image can be obtained with images of various angles of view.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의 일실시예의 흐름이 도시된 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여러 메뉴 중 카메라 촬영메뉴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부(20)에 카메라 렌즈를 통해 촬상가능한 주변환경이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이 상태에서 카메라 환경설정 메뉴를 선택하여 연속촬영이 가능하도록 카메라 동작환경을 설정한다. 연속촬영시 촬영횟수나 시간간격이 조정 가능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When a camera photographing menu is selected among various menus display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surrounding environment capable of capturing through a camera lens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 In this state, the user selects the camera configuration menu and sets the camera operating environment to enable continuous shooting. As described above, the number of shots or the time interval can be adjusted during continuous shooting.

그 후 사용자가 카메라 조작버튼을 조작하면 1회의 촬영동작 명령 입력만으로 카메라(10)에서 연속촬영 동작이 발생한다(S100).Thereafter, when the user operates the camera operation button, the continuous shooting operation occurs in the camera 10 only by inputting one shooting operation command (S100).

제어부(30)는 카메라(10)가 연속촬영 동작을 통해 획득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20)에 디스플레이한다(S110). 또한, 제어부(30)는 하나의 이미지로 병합하고자 하는 영역을 선택할 수 있는 프리뷰창(205)을 디스플레이부(20)에 디스플레이된 화면(200)에 디스플레이한다(S120).The controller 30 displays the image acquired by the camera 10 through the continuous shooting operation on the display 20 (S110). In addition, the controller 30 displays a preview window 205 for selecting an area to be merged into one image on the screen 200 displayed on the display 20 (S120).

프리뷰창(205)은 조작키부(4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키(41,42,43)를 통해 이동 또는 확대/축소 가능한다(E100).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프리뷰창(205)의 선택이 완료되면, 제어부(30)는 화면(200) 중 선택된 영역만 잘라내고 잘라낸 영역의 이미지 크기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크기가 동일하도록 편집한다(S130).The preview window 205 can be moved or enlarged / reduced through a plurality of keys 41, 42, and 43 constituting the operation key unit 40 (E100). When the selection of the preview window 205 is completed according to the user's key manipulation, the controller 30 cuts only the selected area of the screen 200 and edits the same size if the cutout area does not have the same image size (S130). ).

제어부(30)는 상기 편집된 이미지를 사용자가 설정한 형식에 맞춰 가로 또는 세로롤 병합하거나 격자무늬로 병합하여 하나의 이미지로 디스플레이부(20)에 디스플레이한다(S140). 사용자가 저장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30)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메모리(50)에 저장한다.The controller 30 merges the edited image in a horizontal or vertical roll or a grid pattern according to a format set by a user and displays the edited image as a single image on the display unit 20 (S140). When the user inputs a storage command, the controller 30 stores the displayed image in the memory 50.

한편,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 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N, 자기 페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processor-readable code in a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Examples of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N, magnetic paper,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and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such as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processor-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도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ology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the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를 이용하여 연속촬영한 이미지 중 일부영역을 하나의 이미지로 병합하여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활용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rtial region of images continuously photographed using a camera may be merged into one image and stored. Therefore, the user can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Claims (10)

연속촬영이 가능한 카메라;A camera capable of continuous shooting; 상기 카메라 조작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An input unit to which the camera manipulation command is input; 상기 카메라에 의해 연속촬영된 연속촬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a continuous photographed image continuously photographed by the camera; And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카메라에 대한 조작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연속촬영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연속촬영 이미지 중 하나의 이미지로 병합 저장할 영역을 선택할 수 있는 프리뷰창을 상기 연속촬영 이미지와 겹쳐지도록 디스플레이하며, 디스플레이된 상기 연속촬영 이미지를 하나의 이미지로 병합하여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When the operation command for the camera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the continuous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a preview window for selecting a region to be merged and stored into one of the continuous image is the continuous image.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display the overlapped image and to merge the displayed continuous photographed image into a single image and to store the merged image as a single imag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속촬영 이미지의 일부영역을 잘라내어 하나의 이미지로 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The control unit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characterized in that for cutting out a partial region of the continuous shooting image merged into one imag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잘라낸 일부영역들을 서로 동일한 크기로 편집한 후, 상기 편집된 일부영역들을 세로 또는 가로로 나열하여 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The control unit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characterized in that for editing the cut out partial areas to the same size, and then arranged by merging the edited partial areas vertically or horizontally.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프리뷰창은 사용자 명령을 기초로 이동 또는 확대/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preview window is moved or enlarged / reduced based on a user command. 연속촬영 단계;Sequential shooting step; 상기 연속촬영이 가능한 카메라에 대한 조작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카메라를 통해 연속촬영된 연속촬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Displaying a continuous shooting image continuously shot by the camera when an operation command for the continuous shooting camera is input; And 상기 연속촬영 이미지 중 하나의 이미지로 병합 저장할 영역을 선택할 수 있는 프리뷰창을 상기 연속촬영 이미지와 겹쳐지도록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연속촬영 이미지를 하나의 이미지로 병합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방법.And displaying a preview window for selecting a region to be merged into one of the continuous shot images to overlap with the continuous shot image, and merging and storing the continuous shot image into one image.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저장단계는 상기 연속촬영 이미지의 일부영역을 잘라내어 하나의 이미지로 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The storing step is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characterized in that for cutting out a partial region of the continuous shooting image to merge into a single image.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저장단계는 상기 잘라낸 일부영역들을 서로 동일한 크기로 편집한 후, 상기 편집된 일부영역들을 세로 또는 가로로 나열하여 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The storing step is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characterized in that for editing the cut partial areas to the same size, and then arranged by merging the edited partial areas vertically or horizontally. 삭제delete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프리뷰창을 사용자 명령을 기초로 이동 또는 확대/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characterized in that for moving or expanding / reducing the preview window based on a user command.
KR1020070036508A 2007-04-13 2007-04-13 Burst Shot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771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508A KR100877192B1 (en) 2007-04-13 2007-04-13 Burst Shot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508A KR100877192B1 (en) 2007-04-13 2007-04-13 Burst Shot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2744A KR20080092744A (en) 2008-10-16
KR100877192B1 true KR100877192B1 (en) 2009-01-09

Family

ID=40153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6508A KR100877192B1 (en) 2007-04-13 2007-04-13 Burst Shot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719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7633B1 (en) * 2010-07-12 2016-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photo editing and mobile terminal using this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2436A (en) * 2004-07-02 2006-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reorganizing image data in the mobile termin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2436A (en) * 2004-07-02 2006-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reorganizing image data in the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2744A (en) 2008-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31689B1 (en) Optical imaging method and apparatus
EP0954150B1 (en) Imag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100656589B1 (en)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displaying and deleting division photograph pictures and method therof
KR20090006454A (en) Portable terminal having touch sensing based image photographing function and image photographing method therefor
JP2001016568A (en) Image communication system
KR100617702B1 (en)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editing image and image edition method using that
KR100722308B1 (en) Potable terminal having camera for transmitting photographed-pictures to inputted address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CN105407273A (en) Image photographing method, device and terminal
CN10317926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ditting screen in wireless terminal
JP5980154B2 (en) Imaging device, program, and control method of imaging device
CN105262952A (en) Mobile terminal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KR10062944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hotographing wide image by using plural camera-phone
KR100877192B1 (en) Burst Shot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460712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640501B1 (en) Method for displaying picture store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70058896A (en) Method for generating a picture frame image using a screen capture function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erminal
KR100606079B1 (en) Method for zooming of picture in wireless terminal
KR100630078B1 (en) Method for reorganizing image data in the mobile terminal
KR101066339B1 (en) Wire and wireless terminal having remote monitoring function and method thereof
KR100605801B1 (en) Method for editing the image in wireless terminal
JP6283170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photographing method, and photographing program
KR100639378B1 (en) A conversion method of user data to image file for mobile station
JP2004297399A (en) Portable equipment
KR20050017772A (en) Mobile phone with a wide lcd
KR100605995B1 (en) Method for performing memo of voice in wireless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