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5995B1 - Method for performing memo of voice in wireless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for performing memo of voice in wireless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5995B1
KR100605995B1 KR1020040028705A KR20040028705A KR100605995B1 KR 100605995 B1 KR100605995 B1 KR 100605995B1 KR 1020040028705 A KR1020040028705 A KR 1020040028705A KR 20040028705 A KR20040028705 A KR 20040028705A KR 100605995 B1 KR100605995 B1 KR 100605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voice memo
data rate
memo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87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103423A (en
Inventor
이주형
김윤향
한미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8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5995B1/en
Publication of KR20050103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34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5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59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32Packing elements in the form of grids or built-up elements for forming a unit or module inside the apparatus for mass or heat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32Details relating to packing elements in the form of grids or built-up elements for forming a unit of module inside the apparatus for mass or heat transfer
    • B01J2219/322Basic shape of the elements
    • B01J2219/32293Cubes or cubic bloc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음성메모수행 방법이, 음성메모모드에서 음성메모 녹음이 선택되면, 음성녹음시간의 종류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녹음시간의 종류 중 선택된 음성녹음시간에 미리 설정된 데이터 전송률로 음성메모 녹음기능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메모 모드에서 음성메모 듣기가 선택되면, 저장된 음성메모의 종류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저장된 음성메모의 종류 중 선택된 음성메모를 재생하는 과정과; 빨리감기가 선택되면, 상기 음성메모의 빨리감기를 수행하는 과정과; 되감기가 선택되면, 상기 음성메모의 되감기를 수행하는 과정과; 구간반복이 선택되면, 상기 음성메모의 구간반복을 수행하는 과정과; 정지/일시정지가 선택되면, 상기 음성메모의 정지/일시정지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erforming a voice memo of a mobile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displaying a type of voice recording time when a voice memo recording is selected in the voice memo mode; Performing a voice memo recording function at a preset data rate at the selected voice recording time among the types of the voice recording time; If listening to the voice memo is selected in the voice memo mode, displaying a type of the stored voice memo; Playing a voice memo selected from the types of the stored voice memo; If fast forward is selected, performing a fast forward of the voice memo; If rewind is selected, rewinding the voice memo; If interval repetition is selected, performing interval repetition of the voice memo; If the stop / pause is select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performing the stop / pause of the voice memo.

음성메모녹음, 음성메모듣기, 최대 데이터전송률Voice memo, voice memo, maximum data rate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에서 음성메모수행 방법{METHOD FOR PERFORMING MEMO OF VOICE IN WIRELESS TERMINAL} How to perform voice memo on mobile device {METHOD FOR PERFORMING MEMO OF VOICE IN WIRELESS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음성메모 녹음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2A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oice memo recording process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음성메모 듣기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2B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oice memo listening process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음성메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휴대단말기를 통한 음성메모수행 시, 선택적인 음성메모 녹음시간을 가질 수 있으며, 저장된 음성메모를 다양한 기능을 통해 들을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ice memo of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having a voice memo recording time when performing a voice memo through the mobile terminal and listening to a stored voice memo through various functions.

현재 휴대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성 통신 기능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하고 있다. 즉, IMT 2000 규격의 이동통신 망을 구현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통신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들은 패킷 데이터 및 영상데이터들이 될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에 카메라나 TV수신기 등을 부가하여 동영상신호를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이 구현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는 영상 화면을 촬영하여 동영상(moving picture) 및 정지영상(still picture)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촬영된 영상 화면을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TV수신기를 구비하는 상기 휴대 단말기는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음성녹음기능을 구비하여, 별도의 음성녹음기가 필요 없이 음성녹음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의 음성녹음기능은 대기모드에서 음성녹음모드로 전환하여 음성녹음의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통화 중 통화내용을 녹음할 수도 있다.Currently,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converting to a structure capable of transmitting high speed data in addition to voice communication functions. That is, by implement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IMT 2000 standar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high-speed data communication in addition to voice communication using the portable terminal. Data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performing the data communication may be packet data and image data. In addition, a function of displaying a video signal by adding a camera or a TV receiver to the portable terminal is implemented. Therefore, the mobile terminal having a camera as described above can take a video screen and display it as a moving picture and a still picture, and can also transmit the captured video screen.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a TV receiver may display a received video signal.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with a voice recording func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a voice recording function without a separate voice recorder. The voice recording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may switch from the standby mode to the voice recording mode to perform the voice recording function as well as to record the contents of the call during the call.

그러나 상기 휴대단말기의 음성녹음은 메모리의 용량한계로 녹음시간이 제한되어 있으며, 상기 휴대단말기의 음성녹음기능을 통해 저장된 음성메모는 단순히 재생기능만을 통해 출력되고 있다. However, the voice recording of the mobile terminal is limited in the recording time due to the capacity limit of the memory, and the voice memo stored through the voice recording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output only through the playback func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에 선택적인 음성메모녹음시간을 가질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having an optional voice memo recording time in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기에 저장된 음성메모를 다양한 기능을 통해 들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listening to a voice memo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through various function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음성메모녹음 방법이, 음성메모 녹음모드에서, 음성 녹음시간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음성 녹음시간에 미리 설정된 데이터 전송률로 음성메모 녹음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음성메모 듣기 방법이, 음성메모 듣기모드에서, 선택된 음성메모를 재생하는 과정과; 빨리감기가 선택되면, 상기 음성메모의 빨리감기를 수행하는 과정과; 되감기가 선택되면, 상기 음성메모의 되감기를 수행하는 과정과; 구간반복이 선택되면, 상기 음성메모의 구간반복을 수행하는 과정과; 정지/일시정지가 선택되면, 상기 음성메모의 정지/일시정지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음성메모수행 방법이, 음성메모모드에서 음성메모 녹음이 선택되면, 음성녹음시간의 종류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녹음시간의 종류 중 선택된 음성녹음시간에 미리 설정된 데이터 전송률로 음성메모 녹음기능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메모 모드에서 음성메모 듣기가 선택되면, 저장된 음성메모의 종류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저장된 음성메모의 종류 중 선택된 음성메모를 재생하는 과정과; 빨리감기가 선택되면, 상기 음성메모의 빨리감기를 수행하는 과정과; 되감기가 선택되면, 상기 음성메모의 되감기를 수행하는 과정과; 구간반복이 선택되면, 상기 음성메모의 구간반복을 수행하는 과정과; 정지/일시정지가 선택되면, 상기 음성메모의 정지/일시정지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voice memo recording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the steps of: selecting a voice recording time in the voice memo recording mode; And performing a voice memo recording function at a preset data rate at the selected voice recording time.
In addition, a method for listening to a voice memo of a mobile terminal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playing a selected voice memo in a voice memo listening mode; If fast forward is selected, performing a fast forward of the voice memo; If rewind is selected, rewinding the voice memo; If interval repetition is selected, performing interval repetition of the voice memo; If the stop / pause is select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performing the stop / pause of the voice memo.
In addition, the voice memo performing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f the voice memo recording is selected in the voice memo mode, displaying the type of voice recording time; Performing a voice memo recording function at a preset data rate at the selected voice recording time among the types of the voice recording time; If listening to the voice memo is selected in the voice memo mode, displaying a type of the stored voice memo; Playing a voice memo selected from the types of the stored voice memo; If fast forward is selected, performing a fast forward of the voice memo; If rewind is selected, rewinding the voice memo; If interval repetition is selected, performing interval repetition of the voice memo; If the stop / pause is select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performing the stop / pause of the voice memo.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s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in the figures represent the same numerals wherever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써,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camera.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RF부123은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부123은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데이터처리부120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123은 모뎀(MODEM) 및 코덱(COD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25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처리부1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음성메모모드에서 음성메모녹음 선택 시,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 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처리부1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음성메모모드에서 음성메모듣기 선택 시,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수신 오디오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1, the RF unit 123 performs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RF unit 123 includes an RF transmitter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a frequency of a transmitted signal, and an RF receiver for low noise amplifying and downconverting a received signal. The data processor 120 includes a transmitter for encoding and modulating the transmitted signal and a receiver for demodulating and decoding the received signal. That is, the data processor 123 may be configured of a modem and a codec CODDEC. The codec includes a data codec for processing packet data and an audio codec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such as voice. The audio processor 125 reproduces the received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codec of the data processor 120 or transmits a transmission audio signal generated from the microphone to the audio codec of the data processor 120. In addition, the audio processor 125 perform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 transmission audio signal generated from a microphone to an audio codec of the data processor 120 when selecting a voice memo recording in the voice memo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audio processor 125 performs a function of reproducing the received audio signal stored in the memory 130 output from the audio codec of the data processor 120 through a speaker when the voice memo is selected in the voice memo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메모리130은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음성메모녹음 모드에서 선택된 녹음시간이 가지는 데이터 전송률로 오디오 신호를 녹음하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13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음성녹음시간의 종류에 따라 미리 설정된 데이터전송률을 저장한다. 즉, 상기 음성녹음시간동안의 데이터 전송률 중 최대 데이터전송률만을 음성녹음시간의 종류별로 미리 설정하여 저장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13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음성메모녹음모드에서 저장된 오디오신호를 저장한다.The memory 130 may include program memory and data memories. The program memory may store programs for controlling the genera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programs for controlling the audio signal to be recorded at the data rate of the recording time selected in the voice memo recording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memory also temporarily stores data generat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programs. In addition, the memory 130 stores a preset data rate according to the type of voice recording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only the maximum data rate of the data rate during the voice recording time is preset and stored for each type of voice recording time. In addition, the memory 130 stores the audio signal stored in the voice memo recording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110은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데이터처리부12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음성메모녹음모드에서 선택된 음성녹음시간이 가지는 데이터 전송률로 오디오신호를 녹음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음성메모듣기 모드에서 음성메모 조절키에 대응되는 기능을 통해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된 음성메모를 조절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n addition, the controller 10 may include the data processor 120.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to record an audio signal at a data rate of the voice recording time selected in the voice memo recording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o adjust the voice memo stored in the memory 130 through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voice memo control key in the voice memo listening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카메라부(camera module)140은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센서라 가정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The camera module 140 includes a camera sensor for capturing image data, converting the photographed optical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 signal processor for converting the analog image signal photographed from the camera sensor into digital data. Herein, it is assumed that the camera sensor is a CCD sensor, and the signal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by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In addition, the camera sensor and the signal processor may be integrally implemented or may be separately implemented.

영상처리부150은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처리부150은 상기 카메라부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상기 표시부16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50은 영상코덱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은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한다고 가정하며,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여 표시되는 화면크기에 따라 온스크린 표시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or 150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screen data for displaying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unit 140. The image processor 150 processes the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unit 40 in units of frames, and outputs the fram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size of the display unit 160. In addition, the image processor 50 includes an image codec and performs a function of compressing the frame image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60 in a set manner or restoring the compressed frame image data to the original frame image data. The image codec may be a JPEG codec, an MPEG4 codec, a wavelet codec, or the like. It is assumed that the image processor 150 has an On Screen Display (OSD) function, and may output on-screen display data according to a screen size display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상기 표시부160은 상기 영상처리부5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60은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160은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6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음성메 모녹음모드에서 음성메모 녹음시간의 종류를 표시하며, 음성메모듣기 모드에서 음서메모 조절키의 종류 즉, 빨리감기, 되감기, 구간반복, 정지/일시정지등을 표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60 displays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or 50 on a screen, and displays user data output from the controller 110. The display unit 160 may use an LCD.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160 may include an LCD controller, a memory capable of storing image data, and an LCD display device. In this case, when the LCD is implemented using a touch screen method, the LCD may operate as an input unit.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60 displays the type of voice memo recording time in the voice memo recording mode, the type of note memo control keys in the voice memo recording mode, that is, fast forward, rewind, repeat section, stop / Pause can be displayed.

키입력부127은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키입력부1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음성메모녹음에 해당하는 기능키 및 음성메모듣기에 해당하는 기능키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입력부1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음성메모 조절키를 구비 할 수 있으며, 상기 음성메모 조절키는 빨리감기, 되감기, 구간반복 및 정지/일시정지등을 구비할 수 있다.The key input unit 127 includes keys for inputting numeric and character information and function keys for setting various functions. In addition, the key input unit 120 may include a function key corresponding to a voice memo recording and a function key corresponding to a voice memo liste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key input unit 120 may be provided with a voice memo control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oice memo control key may be provided with fast forward, rewind, section repeat and stop / pause.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발신 시 사용자가 키입력부127을 통해 다이알링 동작을 수행한 후 발신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데이터처리부120을 통해 수신되는 다이알 정보를 처리한 후 RF부123을 통해 RF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후 상대 가입자가 응답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RF부123 및 데이터처리부120을 통해 이를 감지한다. 이후 사용자는 오디오처리부1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착신모드 시 상기 제어부110은 데이터처리부120을 통해 착신모드임을 감지하고, 오디오처리부125를 통해 링신호를 발생한다. 이후 사용자가 응답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역시 오디오처리부1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발신 및 착신모드에서는 음성통신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음성 통신 이외에 패킷 데이터 및 영상데이터를 통신하는 데이터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대기모드 또는 문자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은 데이터처리부120을 통해 처리되는 문자데이터를 표시부160 상에 표시한다.Referring to FIG. 1, when a user performs a dialing operation through a key input unit 127 and sets a transmission mode, the control unit 110 detects this and dials the received data through the data processing unit 120. After processing the information is converted into an RF signal through the RF unit 123 and output. Thereafter, when the other subscriber generates the response signal, the counter subscriber detects this through the RF unit 123 and the data processor 120. Thereafter, a user establishes a voice call path through the audio processor 125 to perform a communication function. In addition, in the incoming mode, the controller 110 detects the incoming mode through the data processor 120 and generates a ring signal through the audio processor 125. Thereafter, when the user responds, the controller 110 detects this, and a voice call path is formed through the audio processor 125 to perform a communication function. In the outgoing and incoming modes, voice communication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a data communication function for communicating packet data and image data in addition to the voice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In addition, when performing a standby mode or text communication, the controller 110 displays text data processed by the data processor 120 on the display 160.

상기 도 1과 같이 구성된 휴대단말기에서 음성메모녹음 및 음성메모듣기 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A voice memo recording and voice memo listening process in the mobile terminal configured as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대기모드에서 음성메모를 녹음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대기모드에서 저장된 음성메모를 듣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음성녹음시간에 따른 데이터전송률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서 상기 음성녹음시간의 종류는 30분, 1시간, 1시간 30분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며, 상기 데이터 전송률의 종류는 풀 레이트(full rate), 1/2레이트, 1/4레이트, 1/8레이트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서 상기 30분의 음성녹음시간에 따른 데이터 전송률에 있어, 최대 데이터전송률은 풀 레이트(full rate)로 최소 데이터전송률은 1/8레이트로 (풀 레이트 ~ 1/8레이트)미리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서 상기 1시간의 음성녹음시간에 따른 데이터 전송률에 있어, 최대 데이터전송률은 1/2레이트로, 최소 데이터전송률은 1/8레이트로(1/2레이트 ~ 1/8레이트) 미리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서 상기 1시간 30분의 음성녹음시간에 따른 데이터 전송률에 있어, 최대 데이터전송률은 1/4레이트로 최소 데이터전송률은 1/8레이트로 (1/4레이트 ~ 1/8레이트)미리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여 설명 한다.2A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ording a voice memo in a standby mod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B is a process of listening to voice memos stored in a standby mod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low chart showing.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data rate according to the voice recording time is set in advanc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ype of the voice recording time is assumed to be 30 minutes, 1 hour, 1 hour 30 minutes, and the type of the data rate is full rate, full rate, 1/2 rate, 1/4 The description assumes a rate of 1/8 rat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ata rate according to the voice recording time of 30 minutes, the maximum data rate is full rate and the minimum data rate is 1/8 rate (full rate ~ 1/8 rate) in advance It is assumed that it is set. Fur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ata rate according to the voice recording time of 1 hour, the maximum data rate is 1/2 rate, the minimum data rate is 1/8 rate (1/2 rate ~ 1/8 rate) It is assumed that it is set in advance.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ata rate according to the voice recording time of 1 hour 30 minutes, the maximum data rate is 1/4 rate and the minimum data rate is 1/8 rate (1/4 rate to 1/8 rate) It is assumed that it is set in advance.

상기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127에 구비된 메뉴 키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2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메뉴의 종류를 표시한다. 상기 메뉴의 종류 중 전자사서함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2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160을 제어하여 상기 전자사서함의 종류를 표시한다. 상기 전자사서함의 종류 중 음성메모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2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160을 제어하여 음성메모의 종류를 표시한다. 상기 사용자가 음성메모의 종류 중 음성메모녹음을 선택 시 상기 제어부110은 2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160을 제어하여 음성메모녹음의 종류를 표시한다. 상기 음성메모녹음의 종류 중 음성메모녹음시간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2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160을 제어하여 상기 음성메모녹음시간의 종류를 표시한다. Referring to FIG. 2A, when a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inputs a menu key provided in the key input unit 127, the controller 110 detects this in step 201 and displays the type of the menu. If the electronic mailbox is selected from the menu types, the control unit 110 detects this in step 202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160 to display the type of the electronic mailbox. When the voice memo is selected from the types of the electronic mailbox, the control unit 110 detects this in step 203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160 to display the type of the voice memo. When the user selects the voice memo recording among the types of the voice memo, the controller 110 detects this in step 204 and displays the type of the voice memo recording by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160. When the voice memo recording time is selected among the types of the voice memo recording, the controller 110 detects this in step 205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160 to display the type of the voice memo recording time.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성메모녹음시간의 종류 중 '30분'을 선택 시, 상기 제어부110은 20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07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207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은 사용자의 음성입력에 따라 최대 데이터전송률인 풀 레이트, 1/2레이트, 1/4레이트, 및 최소 데이터 전송률인 1/8레이트 중 해당 데이터 전송률로 음성메모녹음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음성메모녹음기능을 시작하기 전에 미리 선택된 최대 데이터전송률(풀 레이트)을 따라서 해당 음성데이터프레임을 만들어낼 준비를 한다.상기 사용자의 음성이 계속적으로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최대 데이터 전송률인 풀 레이트로 음성메모녹음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의 음성입력이 시간차를 가지면서 입력 시 상기 1/2레이트 또는 1/4레이트로 음성메모녹음을 수행하며, 상기 사용자의 음성입력이 없을 때는 최소 데이터전송률인 1/8레이트로 음성 메모녹음기능을 수행한다. When the user selects '30 minutes' among the types of the voice memo recording time, the controller 110 detects this in step 206 and proceeds to step 207. In step 207, the control unit 110 performs a voice memo recording function at a corresponding data rate among the maximum data rate full rate, 1/2 rate, quarter rate, and minimum data rate 1/8 rate according to a user's voice input. Perform. At this time, before the voice memo recording function is started, the voice data frame is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selected maximum data rate (full rate). If the user's voice is continuously input, the controller 110 selects a full data rate. Perform voice memo recording at a rate, and perform voice memo recording at the half rate or quarter rate when the user's voice input has a time difference, and when there is no voice input of the user, a minimum data rate Voice memo recording is performed at 1/8 rate.

또는 상기 음성메모녹음시간의 종류 중 '1시간'을 선택 시 상기 제어부110은 208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09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209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은 사용자의 음성입력에 따라 최대 데이터전송률인 1/2레이트, 1/4레이트, 및 최소 데이터 전송률인 1/8레이트 중 해당 데이터 전송률로 음성메모녹음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음성메모녹음기능을 시작하기 전에 미리 선택된 최대 데이터전송률(1/2레이트)을 따라서 해당 음성데이터프레임을 만들어낼 준비를 한다. 상기 사용자의 음성이 계속적으로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최대 데이터 전송률인 1/2 레이트로 음성메모녹음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의 음성입력이 시간차를 가지면서 입력 시 상기 1/4레이트로 음성메모녹음을 수행하며, 상기 사용자의 음성입력이 없을 때는 최소 데이터전송률인 1/8레이트로 음성 메모녹음기능을 수행한다. Alternatively, when selecting '1 hour' among the types of the voice memo recording time, the controller 110 detects this in step 208 and proceeds to step 209. In step 209, the controller 110 performs a voice memo recording function at a corresponding data rate among 1/2 rate, 1/4 rate, and 1/8 rate, which is a maximum data rate, according to a voice input of a user. At this time, before starting the voice memo recording function, the voice data frame is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selected maximum data rate (1/2 rate). If the user's voice is continuously input, the controller 110 performs voice memo recording at a 1/2 rate, which is the maximum data rate, and records the voice memo at the 1/4 rate when the user's voice input has a time difference. When there is no voice input of the user, the voice memo recording function is performed at a rate of 1/8, which is a minimum data rate.

또는 상기 음성메모녹음시간의 종류 중 '1시간30분'을 선택 시, 상기 제어부110은 21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11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21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은 사용자의 음성입력에 따라 최대 데이터전송률인 1/4레이트 및 최소 데이터 전송률인 1/8레이트 중 해당 데이터 전송률로 음성메모녹음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음성메모녹음기능을 시작하기 전에 미리 선택된 최대 데이터전송률(1/4레이트)을 따라서 해당 음성데이터프레임을 만들어낼 준비를 한 다. 상기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최대 데이터 전송률인 1/4 레이트로 음성메모녹음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의 음성입력이 없을 때는 최소 데이터전송률인 1/8레이트로 음성 메모녹음기능을 수행한다. Alternatively, when selecting '1 hour 30 minutes' among the types of the voice memo recording time, the controller 110 detects this in step 210 and proceeds to step 211. In step 211, the control unit 110 performs a voice memo recording function at a corresponding data rate among the maximum data rate 1/4 rate and the minimum data rate 1/8 rate according to the user's voice input. At this time, before starting the voice memo recording function, the voice data frame is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selected maximum data rate (1/4 rate). When the user's voice is input, the controller 110 performs voice memo recording at a quarter rate of maximum data rate, and when there is no voice input of the user, performs a voice memo recording function at 1/8 rate, which is the minimum data rate. do.

상기 음성메모녹음기능을 통해 녹음된 음성메모의 저장을 완료하거나, 취소 시 상기 제어부110은 218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음성메모모드의 초기단계로 진행한다.When the storage of the voice memo recorded through the voice memo recording function is completed or canceled, the controller 110 detects it in step 218 and proceeds to the initial step of the voice memo mode.

상기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와 도 2a와 같은 음성메모녹음기능을 통해 저장된 오디오 신호를 듣기 위해 상기 음성메모의 종류 중 음성메모듣기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22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저장된 음성메모의 종류를 표시하는 222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표시된 음성메모의 종류 중 해당음성메모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22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선택된 음성메모을 재생하는 224단계를 진행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가 음성메모 조절키 중 빨리감기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22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일정시간만큼 빨리감기를 수행하는 227단계를 수행한다. 또는 상기 음성메모 조절키 중 되감기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228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일정시간만큼 되감기를 수행하는 229단계를 수행한다. 또는 상기 음성메모 조절키 중 구간반복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23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31단계에서 미리 설정해 놓은 일정구간을 반복하며 재생하는 구간반복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는 상기 음성메모 조절키 중 정지/일시정지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23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정지/일시정지를 수행하는 233단계를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2B, if a voice memo is selected among the types of the voice memo in order to listen to the stored audio signal through the voice memo recording function as shown in FIG. 2A, the control unit 110 detects the stored voice memo in step 221. In step 222, the type of the memo is displayed. If the corresponding voice memo is selected from the displayed types of the voice memo, the controller 110 detects it in step 223 and proceeds to step 224 to play the selected voice memo. In this case, when the user selects fast-forwarding of the voice memo control key, the controller 110 detects it in step 226 and performs step 227 to perform fast forwarding by a predetermined time. Alternatively, when rewinding is selected among the voice memo adjusting keys, the control unit 110 detects this in step 228 and performs step 229 to rewind by a predetermined time. Alternatively, if the section repeating of the voice memo control keys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110 detects this in step 230 and performs the section repeating function of repeating and reproducing a predetermined section in step 231. Alternatively, when the stop / pause is selected among the voice memo control keys, the controller 110 detects it in step 232 and performs step 233 to perform stop / pause.

상기 도 2a는 휴대단말기가 대기모드일 때 음성메모녹음 과정을 실시 예로 설명하고 있으며, 상기 휴대단말기가 통화모드일 때 상기 음성메모녹음기능을 동작시키면 풀 레이트(full rate)를 최대 데이터전송률로 가지는 30분의 음성녹음시간동안만 음성메모녹음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통화모드일 때 또한 대기모드에서와 같이 음성녹음시간을 선택하여 음성녹음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2A illustrates an example of a voice memo recording process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a standby mode. When the voice memo recording function is operated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a call mode, the mobile terminal has a full rate as a maximum data rate. Voice memo recording can be performed only for 30 minutes of voice recording time. Alternatively, in the call mode of the mobile terminal, the voice recording time may be selected to perform the voice recording function as in the standby mode.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휴대 단말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ecific embodiment such as a mobile terminal has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 of claims and claims.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음성녹음시간에 따라 미리 설정된 데이터전송률로 음성메모녹음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음성메모녹음을 위해 할당된 메모리의 일정용량을 초과하지 않으면서 선택적인 음성메모녹음시간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의 음성메모 조절키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음성메모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며 들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voice memo recording function at a preset data rate according to the voice recording time in the mobile terminal,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select a voice memo without exceeding a predetermined capacity of memory allocated for voice memo recording. It has the effect of having a recording time. In addition, by providing a voice memo control key of the portable terminal,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electively listen to the voice memo stored in the portable terminal.

Claims (12)

휴대 단말기의 음성메모녹음 방법에 있어서,In the voice memo recording method of a mobile terminal, 음성메모 녹음모드에서, 음성 녹음시간을 선택하는 과정과,In the voice memo recording mode, selecting the voice recording time, 상기 선택된 음성 녹음시간에 미리 설정된 데이터 전송률로 음성메모 녹음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음성메모 녹음방법. And a step of performing a voice memo recording function at a preset data rate in the selected voice recording tim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음성메모 녹음기능은 상기 선택된 음성 녹음시간에 설정된 최대 데이터 전송률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음성메모 녹음방법. The voice memo recording function is a voice memo recording method of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ed at the maximum data rate set in the selected voice recording ti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메모 녹음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이,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voice memo recording function is performed. 음성이 지속적으로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음성 녹음시간에 설정된 최대 데이터 전송률로 음성메모 녹음기능을 수행하는 과정과,If the voice is continuously input, performing a voice memo recording function at the maximum data rate set at the selected voice recording time; 상기 음성이 일정 시간 차를 가지면서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음성 녹음시간에 설정된 최대 데이터 전송률과 최소 데이터 전송률의 중간 단계 데이터 전송률로 음성메모 녹음기능을 수행하는 과정과,If the voice is input with a predetermined time difference, performing a voice memo recording function at an intermediate data rate between the maximum data rate and the minimum data rate set in the selected voice recording time; 상기 음성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선택된 음성 녹음시간에 설정된 최소 데이터 전송률로 음성메모 녹음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음성메모 녹음방법. And if the voice is not input, performing a voice memo recording function at the minimum data rate set at the selected voice recording tim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선택된 음성 녹음시간에 설정된 데이터 전송률로 음성메모 녹음기능을 수행할 때, 녹음되는 음성메모는 메모리의 일정용량을 초과하지 않으며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음성메모 녹음방법. When the voice memo recording function is performed at the data rate set at the selected voice recording time, the voice memo to be recorded does not exceed a predetermined capacity of the memory and is stor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음성 녹음시간에는 최대 데이터 전송률, 상기 최대 데이터 전송률과 최소 데이터 전송률의 중간 단계 데이터 전송률 및 상기 최소 데이터 전송률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음성메모 녹음방법. And at least one of a maximum data rate, an intermediate data rate between the maximum data rate and a minimum data rate, and the minimum data rate are preset in the voice recording time. 휴대 단말기의 음성메모 듣기 방법에 있어서,In the voice memo listening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음성메모 듣기모드에서, 선택된 음성메모를 재생하는 과정과,In the voice memo listening mode, the process of playing the selected voice memo, 빨리감기가 선택되면, 상기 음성메모의 빨리감기를 수행하는 과정과,If fast forward is selected, the process of fast forwarding the voice memo; 되감기가 선택되면, 상기 음성메모의 되감기를 수행하는 과정과,If rewind is selected, performing the rewind of the voice memo, 구간반복이 선택되면, 상기 음성메모의 구간반복을 수행하는 과정과,If interval repetition is selected, performing interval repetition of the voice memo; 정지/일시정지가 선택되면, 상기 음성메모의 정지/일시정지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음성메모 듣기방법.If stop / pause is selected, the voice memo listening method of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the step of performing the stop / pause of the voice memo.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음성메모에 대한 빨리감기, 되감기, 구간반복 및 정지/일시정지 기능은 음성조절을 위한 키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음성메모 듣기방법.Fast forwarding, rewinding, section repeating and stop / pause functions for the voice memo can be made through a key for voice control. 휴대 단말기의 음성메모수행 방법에 있어서, In the voice memo performing method of a mobile terminal, 음성메모모드에서 음성메모 녹음이 선택되면, 음성녹음시간의 종류를 표시하는 과정과, When the voice memo recording is selected in the voice memo mode, the process of displaying the type of the voice recording time; 상기 음성녹음시간의 종류 중 선택된 음성녹음시간에 미리 설정된 데이터 전송률로 음성메모 녹음기능을 수행하는 과정과,Performing a voice memo recording function at a preset data rate at the selected voice recording time among the types of voice recording time; 상기 음성메모 모드에서 음성메모 듣기가 선택되면, 저장된 음성메모의 종류를 표시하는 과정과,If listening to the voice memo is selected in the voice memo mode, displaying the type of the stored voice memo; 상기 저장된 음성메모의 종류 중 선택된 음성메모를 재생하는 과정과,Playing a voice memo selected from the stored memo types; 빨리감기가 선택되면, 상기 음성메모의 빨리감기를 수행하는 과정과,If fast forward is selected, the process of fast forwarding the voice memo; 되감기가 선택되면, 상기 음성메모의 되감기를 수행하는 과정과,If rewind is selected, performing the rewind of the voice memo, 구간반복이 선택되면, 상기 음성메모의 구간반복을 수행하는 과정과,If interval repetition is selected, performing interval repetition of the voice memo; 정지/일시정지가 선택되면, 상기 음성메모의 정지/일시정지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음성메모 수행방법. When the stop / pause is selected, the method of performing a voice memo of the mobile terminal, comprising the step of performing the stop / pause of the voice memo. 제8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음성메모 녹음기능은 상기 선택된 음성 녹음시간에 설정된 최대 데이터 전송률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음성메모 수행방법. The voice memo recording function is a method of performing a voice memo of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ed at the maximum data rate set in the selected voice recording tim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메모 녹음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이,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voice memo recording function is performed. 음성이 지속적으로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음성 녹음시간에 설정된 최대 데이터 전송률로 음성메모 녹음기능을 수행하는 과정과,If the voice is continuously input, performing a voice memo recording function at the maximum data rate set at the selected voice recording time; 상기 음성이 일정 시간 차를 가지면서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음성 녹음시간에 설정된 최대 데이터 전송률과 최소 데이터 전송률의 중간 단계 데이터 전송률로 음성메모 녹음기능을 수행하는 과정과,If the voice is input with a predetermined time difference, performing a voice memo recording function at an intermediate data rate between the maximum data rate and the minimum data rate set in the selected voice recording time; 상기 음성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선택된 음성 녹음시간에 설정된 최소 데이터 전송률로 음성메모 녹음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음성메모 수행방법. If the voice is not input, performing a voice memo recording function at a minimum data rate set at the selected voice recording time.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선택된 음성 녹음시간에 설정된 데이터 전송률로 음성메모 녹음기능을 수행할 때, 녹음되는 음성메모는 메모리의 일정용량을 초과하지 않으며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음성메모 수행방법. When the voice memo recording function is performed at the data rate set in the selected voice recording time, the voice memo to be recorded does not exceed a predetermined capacity of the memory and is stored.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음성 녹음시간에는 최대 데이터 전송률, 상기 최대 데이터 전송률과 최소 데이터 전송률의 중간 단계 데이터 전송률 및 상기 최소 데이터 전송률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음성메모 수행방법.And at least one of a maximum data rate, an intermediate data rate between the maximum data rate and a minimum data rate, and the minimum data rate in the voice recording time.
KR1020040028705A 2004-04-26 2004-04-26 Method for performing memo of voice in wireless terminal KR1006059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705A KR100605995B1 (en) 2004-04-26 2004-04-26 Method for performing memo of voice in wireless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705A KR100605995B1 (en) 2004-04-26 2004-04-26 Method for performing memo of voice in wireless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423A KR20050103423A (en) 2005-10-31
KR100605995B1 true KR100605995B1 (en) 2006-07-26

Family

ID=37281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8705A KR100605995B1 (en) 2004-04-26 2004-04-26 Method for performing memo of voice in wireless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5995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423A (en) 2005-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6060B1 (en) Method and device for outputting data of wireless terminal to external device
KR100630204B1 (en)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tasking in wireless terminal
KR100678206B1 (en) Method for displaying emotion in video telephone mode of wireless terminal
KR100735290B1 (en) Method for controlling image?in video telephone mode of wireless terminal
KR100678214B1 (en) Method for performing presentation in video telephone mode of wireless terminal
KR100547741B1 (en) Speaker device of mobile terminal
KR100703462B1 (en) Method for changing image attach mode in wireless terminal
KR20000063773A (en) video save system
KR100557091B1 (en) Method for displaying of constructing background image in wireless terminal
KR100605995B1 (en) Method for performing memo of voice in wireless terminal
KR20050042852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 method using touch screen
KR100651557B1 (en) Method for searching moving picture in wireless terminal
KR100593989B1 (en) Method for displaying moving picture in the mobile terminal
KR100678261B1 (en) Method for performing multitasking in wireless terminal
KR101023301B1 (en) Method for sending and editing mp3 file in wireless terminal
KR100630101B1 (en) Method for controlling portable home theater with multi-function in wireless terminal
KR100617825B1 (en)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mp3 file in wireless terminal
KR100630078B1 (en) Method for reorganizing image data in the mobile terminal
KR20070044426A (en)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in video telephone mode of wireless terminal
KR100557152B1 (en) Method for executing of multi abbreviated function in wireless terminal
KR100594147B1 (en) Video data playback method of portable terminal
KR100689409B1 (en) Method for displaying data in external display unit of wireless terminal
KR100605956B1 (en) Method for sending short message service in wireless telephone
KR100620689B1 (en) High-speed photography terminal
KR100663531B1 (en) Method for displaying clock in wireless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