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6773B1 -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6773B1
KR100876773B1 KR1020070116637A KR20070116637A KR100876773B1 KR 100876773 B1 KR100876773 B1 KR 100876773B1 KR 1020070116637 A KR1020070116637 A KR 1020070116637A KR 20070116637 A KR20070116637 A KR 20070116637A KR 100876773 B1 KR100876773 B1 KR 100876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s
localized
diversity
subbands
subzo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6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5062A (ko
Inventor
권환준
한진규
김동희
유재천
임연주
오승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45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5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6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6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97Interference-related aspects
    • H04B1/711Interference-related aspects the interference being multi-path interference
    • H04B1/7115Constructive combining of multi-path signals, i.e. RAK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7Inter-user or inter-terminal allocation
    • H04L5/0039Frequency-contiguous, i.e. with no allocation of frequencies for one user or terminal between the frequencies allocated to anoth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7Inter-user or inter-terminal allocation
    • H04L5/0041Frequency-non-contiguo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방법은, 서로 물리적으로 떨어진 주파수 자원들로 각각 이루어진 다이버시티 타일들의 개수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다이버시티 타일들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보다 크다면, 전체 시스템 대역을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들을 포함하는 다이버시티 서브 대역들과 서로 물리적으로 인접한 주파수 자원들로 이루어진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을 포함하는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들로 구분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다이버시티 타일들의 개수가 상기 임계치보다 크지 않다면,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들을 상기 전체 시스템 대역에 걸쳐 흩어뿌리고(Distributed),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들을 제외한 나머지 대역에 상기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을 위치시키는 과정과, 상기 구성된 다이버시티 타일들 및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을 통해 복수의 단말들에게 다이버시티 전송 및 로컬라이즈드 전송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Figure R1020070116637
OFDM, DRCH, LRCH, Diversity, Multiplexing

Description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NASMITTING/RECEIVING A DATA I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 OFDMA)시스템에서 다이버시티(Diversity) 전송과 로컬라이즈드(Localized)전송의 효율적인 다중화(Multiplexing) 방법과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이라 함은, 단말까지 고정적인 유선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없는 경우를 위해 개발된 통신 시스템이다. 이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대표적인 시스템으로는 이동 통신 시스템, 무선 랜, 와이브로(Wibro), 이동 애드 혹(Mobile Ad Hoc) 등(이하, "이동 통신 시스템")을 들 수 있다.
이동 통신 시스템은 일반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과는 달리 사용자의 이동 성(Mobility)을 전제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의 궁극적인 목표는 휴대 전화, 개인 휴대 단말(PDA) 또는 무선 호출기 등의 단말기(이하, "이동 단말")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 누구에게나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정보 미디어를 주고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통신 기술의 급격한 발전에 따라 이동 통신 시스템은 이동 단말을 통해 일반적인 음성 통화 서비스는 물론 이메일이나 정지 영상은 물론 동영상과 같은 대용량의 디지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에 이르고 있다.
한편 다중 반송파 전송 방식을 이용하여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대표적인 예로 상기 OFDM 시스템을 들 수 있다. 상기 OFDM 전송 방식은 직렬로 입력되는 심볼(Symbol)열을 병렬 신호로 변환하여 이들 각각을 상호 직교성을 갖는 다수의 부반송파를 통해 변조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1990년대 초반 이후 VLSI(Very Large Scale Integration) 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각광 받기 시작하였다.
상기 OFDM 전송 방식은 다수의 부반송파(subcarrier)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변조한다. 그리고 각각의 부반송파는 상호 직교성(orthogonality)을 유지하여 기존 단일 반송파 전송 방식(single carrier modulation scheme)에 비해 주파수 선택적 다중 경로 페이딩 채널(frequency selective multipath fading channel)에 강한 특성을 갖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OFDM 전송 방식은 방송 서비스 등 고속 패킷 데이터 서비스에 적합한 전송 방식이다. 이러한 OFDM의 변형된 구조로써 이용 가능한 부반송파의 일부를 각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다중 접속을 실현하는 기술이 OFDMA 이다.
통상의 OFDMA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 자원 할당 방식은 상기 할당되는 자원의 물리적인 모양에 따라 다이버시티(Diversity) 전송과 로컬라이즈드(Localized) 전송의 두 가지 형태가 있다.
상기에서 다이버시티 전송이란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자원을 통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말하며, 로컬라이즈드(Localized) 전송이란 물리적으로 서로 인접되어 있는 자원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말한다.
도 1은 일반적인 OFDMA 시스템에서 상기 다이버시티 전송과 로컬라이즈드(Localized) 전송, 그리고 상기 두 가지 전송 방법을 혼용하여 전송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가로 축은 주파수 축을, 세로 축은 시간 축을 나타낸다. 가장 작은 사각형은 주파수 축에서 하나의 부반송파를, 시간 축에서 하나의 OFDM 심볼을 나타낸다. 참조 부호 101은 하나의 타일을 나타내며 도 1의 참조번호 101에서 상기 타일은 주파수 축에서 인접한 16개의 부 반송파들과 시간 축에서 인접한 8개의 OFDM 심볼들로 구성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하나의 OFDM 심볼은 복수 개의 부 반송파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OFDM 심볼이 상기와 같은 타일 구조를 가질 때 주파수 축에서 복수 개의 타일이 구성된다. 상기 도 1의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OFDM 심볼은 512개의 부반송파들로 이루어지며, 따라서 주파수 축에서 32개의 타일이 존재하게 된다(512 = 16 x 32).
참조 번호 102는 상술한 바와 같은 타일들에 대한 인덱스를 나타내고 있다. 즉, 타일 1부터 타일 32까지가 존재한다. 한편, 상기 도 1에서 하나의 동일한 해칭으로 표시된 부분은 하나의 사용자에게 전송되는 데이터 심볼들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타일 1은 모두 참조번호가 110인 해칭으로 표시되어 있고 이는 상기 타일 1에 해당하는 자원, 즉 상기 타일 1에 해당하는 8 개의 OFDM 심볼 x 16 개의 부 반송파의 자원이 하나의 사용자에게 전송되는 데이터 심볼들을 싣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서로 인접한 자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로컬라이즈드(Localized) 전송이라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하나의 타일이 하나의 사용자의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는 경우, 편의 상 상기 타일을 로컬라이즈드(Localized) 전송 용 타일(103)(본 명세서에서는 Localized tx tile, 또는 Localized 타일이라고도 칭하기로 한다.)이라 칭하기로 하자.
상기 도 1에서 타일 1(105)을 통해 하나의 사용자에게 데이터가 전송되고 있고, 타일 3(106)을 통해 또 다른 사용자에게 데이터가 전송되고 있으며, 타일 30(108)과 31(109)을 통해 또 다른 사용자에게 데이터가 전송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복수 개의 타일이 하나의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타일은 상기 도 1의 타일 30(108) 및 타일 31(109)처럼 물리적으로 서로 인접한 타일일 수도 있고, 서로 떨어져 있는 타일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타일이 통째로 하나의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타일을 로컬라이즈드(Localized) 타일이라 칭한다. 상기와 같이 로컬라이즈드(Localized) 타일 방식의 전송은 주파수 축에서 상대적으로 채널 응답이 좋은 주파수를 선택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경우, 예를 들면 사용자의 이동 속도가 느리고 상기 사용자에게 채널 품질 정보를 받아 스케쥴링을 수행 하는 경우 등에 유리한 전송 방식이다.
한편, 상기 도 1에서 타일 2(120), 타일 4(122), 그리고 타일 32(124)에는 세 명의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 심볼들이 서로 섞여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112의 해칭으로 도시된 부분에 해당하는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 전송을 보면, 타일 2(120), 타일 4(122), 그리고 타일 32(124)에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 심볼들이 골고루 분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전송을 다이버시티 전송이라 칭하며, 상기와 같은 전송은 통상적으로 주파수 축에서 좋은 채널 환경을 선택하여 전송하기가 곤란한 경우, 즉 사용자의 이동 속도가 아주 빨라서 송신단이 이동 단말로부터 채널 품질 정보를 수신하더라도 실제 데이터 전송 시점에서는 이미 채널이 변해버려서 상기 채널 품질 정보의 신뢰성이 너무 낮아 이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등에 유용한 전송 방식이다.
상기와 같은 다이버시티 전송은 복수 개의 타일들을 통해 데이터 심볼들을 전송하게 되며, 이러한 경우 상기 복수 개의 타일 들을 편의 상 다이버시티 전송 용 타일(104)(본 명세서에서는 Diversity Tx tile 또는 다이버시티 타일 등의 용어로도 사용되기도 한다.)이라 칭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 도 1에서 타일 2(120), 4(122) 및 32(124)는 다이버시티 전송 용 타일들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OFDMA 통신 시스템은 이동 속도가 빠른 사용자들과 느린 사용자들을 동시에 지원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상기와 같은 다이버시티 전송 용 타일(104)들와 로컬라이즈드(Localized) 전송 용 타일(103)들을 효율적으로 구성하고 운용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OFDMA 방식의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속도가 빠른 사용자들과 느린 사용자들을 동시에 지원하기 위한 다중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OFDMA 시스템에서 다이버시티 전송 용 타일들과 로컬라이즈드(Localized) 전송 용 타일 들을 다중화(Multiplexing)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OFDMA 시스템에서 다이버시티 전송 용 타일들과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을 다중화하는 기술 및 주파수 재사용 기술을 함께 지원하기 위해 효율적인 주파수 재사용 서브 대역을 구성하고 운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OFDMA 시스템에서 로컬라이즈드 존에 대한 효율적인 주파수 재사용 서브 대역의 구성 방법과 이를 위한 자원 할당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방법은, 서로 물리적으로 떨어진 주파수 자원들로 각각 이루어진 다이버시티 타일들의 개수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다이버시티 타일들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보다 크다면, 전체 시스템 대역을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들을 포함하는 다이버시티 서브 대역들과 서로 물리적으로 인접한 주파수 자원들로 이루어진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을 포함하는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들로 구분하는 과정과, 상기 결 정된 다이버시티 타일들의 개수가 상기 임계치보다 크지 않다면,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들을 상기 전체 시스템 대역에 걸쳐 흩어뿌리고(Distributed),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들을 제외한 나머지 대역에 상기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을 위치시키는 과정과, 상기 구성된 다이버시티 타일들 및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을 통해 복수의 단말들에게 다이버시티 전송 및 로컬라이즈드 전송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시스템에서 데이터 수신 방법은, 소정의 제어 채널을 통해 서로 물리적으로 떨어진 주파수 자원들로 각각 이루어진 다이버시티 타일의 개수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한 다이버시티 타일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 보다 큰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의 개수가 상기 임계치 보다 크다면, 전체 시스템 대역을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들을 포함하는 다이버시티 서브대역들과, 서로 물리적으로 인접한 주파수 자원들로 각각 이루어진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을 포함하는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들을 구분하는 과정과,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의 개수가 상기 임계치보다 크지 않은 경우, 상기 전체 시스템 대역을 상기 전체 시스템 대역에 걸쳐 흩어뿌려져 있는 다이버시티 타일들과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들을 제외한 나머지 대역들을 로컬라이즈드 타일들로 구분하는 과정과,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들과 상기 로컬라이즈드 타일들 중 할당된 타일들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기지국 송신 장치는, 전체 시스템 대역에서 사용될 서로 물리적으로 떨어진 주파수 자원들로 각각 이루어진 다이버시티 타일들의 개수를 결정하는 스케줄러와, 상기 결정된 다이버시티 타일들의 개수와 미리 정해진 임계치를 비교하고,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 개수가 상기 임계치보다 크다면, 상기 전체 시스템 대역을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들을 포함하는 다이버시티 서브 대역들과 서로 물리적으로 인접한 주파수 자원들로 각각 이루어진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을 포함하는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들로 구분하고,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의 개수가 상기 임계치 보다 크지 않다면,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들을 상기 전체 시스템 대역에 걸쳐 흩어뿌리고,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들을 제외한 나머지 대역에 상기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을 위치시키게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성된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들과 상기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을 통해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소정의 제어 채널을 통해 서로 물리적으로 떨어진 주파수 자원들로 각각 이루어진 다이버시티 타일의 개수를 획득하는 제어 채널 수신부와, 상기 획득한 다이버시티 타일의 개수와 미리 정해진 임계치를 비교하고,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의 개수가 상기 임계치 보다 큰 경우, 전체 시스템 대역을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들을 포함하는 다이버시티 서브 대역들과, 서로 물리적으로 인접한 주파수 자원들로 각각 이루어진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을 포함하는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들을 구분하고,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의 개수가 상기 임계치보다 크지 않은 경우, 상기 전체 시스템 대역을 상기 전체 시스템 대역에 걸쳐 흩 어뿌려져 있는 다이버시티 타일들과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들을 제외한 나머지 대역들을 로컬라이즈드 타일들로 구분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분된 다이버시티 타일들과 로컬라이즈드 타일들 중 할당된 타일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공하는 다이버시티 타일 및 로컬라이즈드 타일의 수를 다중화하고 쉬프트(shift)하는 기술을 통해 서로 다른 전송 기술을 요구하는 단말들이 혼재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보다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가능케 하고,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에 대한 주파수 재사용 서브 대역을 효율적으로 할당함으로 주파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다이버시티 전송용 타일들과 로컬라이즈드 전송용 타일들의 다중화(Multiplexing) 방법은 기지국은 일정 주기 마다 소정의 자원 분할 절차를 통해 다이버시티 전송 용 타일의 개수와 Localized 전송 용 타일의 개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타일의 개수를 단말들에게 시그널링하며, 상기 정해진 다이버시티 전송 용 타일들과 Localized 전송 용 타일들의 물리적 위치를 결정함에 있어, 다이버시티 전송 용 타일들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를 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다이버시티 전송 용 타일들이 전체 시스템 대역에 골고루 분산(Distributed) 되도록 다이버시티 전송용 타일들의 물리적 위치를 구성하고, 상기 전체 시스템 대역에서 상기 다이버시티 전송용 타일들이 위치하지 않은 나머지 위치들에 로컬라이즈드(Localized) 전송 용 타일들이 위치하도록 로컬라이즈드 전송용 타일들의 물리적 위치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다중화(multiplexing) 된 다이버시티 전송 용 타일과 로컬라이즈드(Localized) 전송 용 타일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타일 단위로 사이클릭 쉬프트(cyclic shift) 한다.
반면, 상기 다이버시티 전송 용 타일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를 넘는 경우에는 상기 다이버시티 전송 용 타일들과 로컬라이즈드(Localized) 전송 용 타일들이 서로 다른 서브 대역들에 위치하도록 각 타일들의 물리적 위치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다중화(multiplexing) 된 서브 대역들은 HARQ 라운드 트립 타임(Round Trip Time) 범위 내에서 서브 대역 단위로 사이클릭 쉬프트를 수행 한다.
이하에서 상술한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201단계에서 우선 소정의 주기마다 소정의 자원 할당 절차를 통해 다이버시티 타일과 로컬라이즈드(Localized) 타일의 수를 결정한다. 그리고 202단계에서 상기 201단계에서와 같이 결정된 다이버시티 타일의 수와 로컬라이즈드(Localized) 타일의 수를 소정의 제어 채널을 통해 시스템 내의 단말들에게 브로드 캐스팅한다. 상기 202단계에서 브로드 캐스팅이란, 특정 사용자를 대상으로 상기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공통 채널을 통해 한 셀(cell) 내의 모든 사용자가 수신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202단계에서 모든 단말들이 이미 전체 타일의 수를 아는 경우에는 기지국은 다이버시티 타일의 수만 알려주거나 반대로 로컬라이즈드(Localized) 타일의 수만 알려줄 수도 있다. 어느 하나의 타일 수만을 알면 나머지 하나의 타일 수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에서는 기지국이 다이버시티 타일의 개수를 단말들로 알려주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기지국은 203단계에서 상기 201단계에서 결정된 다이버시티 타일의 수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를 넘는 지를 검사한다. 상기의 임계치는 전체 타일 수의 25 % ~ 50 % 정도의 값이 적당하다. 만일, 상기 203단계의 검사결과 다이버시티 타일의 수가 상기 임계치를 넘지 않는 경우, 기지국은 204단계에서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들을 전 대역에 걸쳐 흩어 뿌린다(distribute). 상기 흩어 뿌려지는 방법으로는 유니폼 디스트리뷰션(Uniform distribution)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에서 참조번호 310은 상기 도 2에서 204단계에 따른 타일들의 구성 예를 보여 주고 있다.
상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상기 도 2의 203단계에서 사용되는 임계치가 25 % 인 경우에 다이버시티 타일들과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의 위치에 대한 예제이다. 상기 도 3에서 참조번호 301로 표시되는 하나의 사각형은 하나의 타일을 나타내고 상기 하나의 타일은 참조번호 30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주파수 축에서 인접한 16개의 부 반송파들과 시간 축에서 인접한 8개의 OFDM 심볼들로 구성된다. 상기 도 3에서 전체 타일의 수는 32이다. 상기 도 3에서 참조번호 310에서는 상기 전체 32개의 타일 들 중에서 다이버시티 타일로 사용되는 타일의 수가 8인 경우이고, 이는 상기 임계치인 25%를 넘지 않으므로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들이 골고루 분산 되어져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다이버시티 타일들의 위치가 정해지면 로컬라이즈드(Localized) 타일들의 위치도 자동적으로 정해지는 것이다.
그리고 206단계에서 기지국은 상기 204단계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다이버시티 타일들 및 로컬라이즈드(Localized) 타일들의 위치를 시간에 따라 타일 단위로 사이클릭 쉬프트(cyclic shift)한다.
도 4는 상기 도 3의 참조번호 310에 도시한 타일들의 구성이 도 2의 206단계에 따라 시간에 따라 타일 단위로 사이클릭 쉬프트(cyclic shift)하는 것을 보여 주는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401로 표시되는 하나의 사각형은 하나의 타일을 나타낸다. 참조번호 404인 타일은 다이버시티 타일이고 참조번호 406인 타일은 로컬라이즈드(Localized) 타일을 가리킨다. 상기 쉬프트(shift)의 양은 반드시 한 개 타일이 될 필요는 없다. 즉, 복수 개의 타일만큼 쉬프트(shift)가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만일, 도 2의 203단계의 검사결과 다이버시티 타일의 수가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기지국은 205단계에서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들과 로컬라이즈 드(Localized) 타일들을 서브 대역(subband) 단위로 다중화(Multiplexing)하고 다중화 되어 구성되는 다이버시티 서브 대역들과 로컬라이즈드(Localized) 서브 대역들은 전체 시스템 대역에서 서로 골고루 섞이도록 구성한다. 상기에서 서브 대역이란 N 개의 타일에 해당하는 대역을 말하며, 상기에서 N 값은 정수이고 상기 N 값은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 미리 약속 되어 있는 값이다. 상기에서 다이버시티 서브 대역이란 다이버시티 타일들만 존재하는 서브 대역을 지칭하고, 로컬라이즈드(Localized) 서브 대역이란 로컬라이즈드(Localized) 타일들만 존재하는 서브 대역를 지칭한다.
도 3에서 참조번호 320은 상기 도 2에서 205단계에 따른 타일들의 구성 예를 보여 주고 있다. 상기는 전체 32개의 타일들 중에서 다이버시티 타일로 사용되는 타일의 수가 16인 경우이고, 이는 임계치인 25 %를 초과하기 때문에 도 3의 참조번호 320과 같이 다이버시티 타일들과 localized 타일들은 서브 대역 단위로 다중화(multiplexing)되는 것이다. 상기의 예에서 하나의 서브 대역은 네 개의 인접한 타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도 3에서 N 값은 4가 된다. 따라서, 상기 도 3에서 32개의 타일들과 그에 해당하는 8개의 서브 대역(subband)들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상기에서 서브 대역 1(320a), 서브 대역 3(320c), 서브 대역 5(320e), 서브 대역 7(320g)은 다이버시티 타일들만 포함하므로 다이버시티 서브 대역들이 되며, 서브 대역 2(320b), 서브 대역 4(320d), 서브 대역 6(320f), 서브 대역 8(320h)은 로컬라이즈드(Localized) 타일들만 포함하므로 로컬라이즈드(Localized) 서브 대역들이 된다. 즉, 도 3에서 참조번호 320을 살펴보면 상기 다이버시티 서브 대역들과 로컬라이즈드(Localized) 서브 대역들은 전체 시스템 대역에서 서로 골고루 섞여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다이버시티 서브 대역 및 로컬라이즈드(Localized) 서브 대역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브 대역 단위로 사이클릭 쉬프트(cyclic shift) 한다.
도 5는 상기 도 2에서 207단계에 따라 서브 대역 단위의 사이클릭 쉬프트를 수행하는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는 상기 도 3에서 참조번호 320과 같이 구성되는 다이버시티 서브 대역 및 로컬라이즈드(Localized) 서브 대역들의 서브 대역 단위의 사이클릭 쉬프트(cyclic shift) 동작을 보여주고 있다.
도 6은 상기 도 2의 207단계에 따라 서브대역 단위의 사이클릭 쉬프트를 수행하는 또 다른 예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상기 도 6에서 도시하는 상기 서브 대역 단위의 사이클릭 쉬프트(cyclic shift) 동작은 동일한 HARQ 인터레이스(interlace)들에 로컬라이즈(localized) 서브 대역의 위치를 갖도록 하는 사이클릭 쉬프트(cyclic shift) 동작이다. 상기에서 HARQ 인터레이스(interlace)란 하나의 HARQ 프로세스(process)가 수행되는 인터레이스(Interlace)를 말한다. 예를 들어, HARQ 인터레이스 1 에서 특정 타일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면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기로 되어 있는 단말이 상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복조를 시도 한다.
그리고, 단말이 상기 복조 결과에 대한 성공 여부를 지시하는 긍정 응답/부정 응답(ACK/NACK: Acknowledgment/Non-Acknowledgment)을 기지국에게 피드백하면, 상기 기지국은 재전송이 필요한 경우(단말로부터 NACK를 수신한 경우), 상기 동일 HARQ 인터레이스(interlace) 1 에서 재전송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HARQ 동 작이 수행되는 하나의 인터레이스를 HARQ 인터레이스라고 칭한다.
예를 들어, 참조 번호 601로 표시되는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을 통해 초기 전송을 하고 나서, 상기 전송에 대해 NACK을 수신한 경우 기지국은 참조번호 602로 표시되는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을 통해 재전송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참조번호 601에 해당하는 4개의 타일들과 참조번호 602에 해당하는 4개의 타일들은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동일한 HARQ 인터레이스(interlace) 1(600)에 해당하는 타일들이다. 상기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임의의 HARQ 인터레이스 k (상기 k 는 HARQ 인터레이스 에 대한 인덱스(index)를 가리킨다. 상기 도 6에서 k 는 1, 2, 3, 4, 5, 6 이 된다.)에 대해서 로컬라이즈드(Localized) 서브 대역의 위치가 같음을 알 수 있다. 도 6과 같이 서브 대역 별로 사이클릭 쉬프트(cyclic shift) 동작을 제한하는 이유는 초기 전송과 재 전송이 같은 주파수 대역을 가지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는 초기 전송 시에 채널 응답이 좋은 주파수를 선택하여 전송한 경우, 재전송 시에도 재전송될 패킷이 상기 초기 전송 시와 동일한 서브 대역을 통해전송됨을 보장해 주기 위함이다.
첨부된 도 6과 같이 본 발명에서 사이클릭 쉬프트는 서브 대역 단위로 수행되는 것이고, 그러한 패턴은 초기 전송과 재전송에서 같은 주파수 대역 위치가 되도록 즉, 동일한 인터레이스별로 같은 주파수 대역을 차지하도록 쉬프트 패턴을 정한다.
그리고, 상기 206단계 또는 207단계에서와 같이 타일 단위 또는 서브 대역 단위로 사이클릭 쉬프트한 이후에 기지국은 208단계에서 상기 구성된 타일들을 통 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도 2의 201단계 내지 208단계의 과정은 일정 주기 마다 반복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단말은 우선 701단계에서 소정의 제어 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다이버시티 타일의 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이는 상기 도 2의 202단계에서 기지국이 브로드캐스팅한 정보이다. 도 7의 701단계에서는 단말이 제어 채널을 통해 다이버시티 타일의 개수만 획득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기지국에서 다이버시티 타일과 로컬라이즈드 타일의 개수를 모두 전송할 경우에는 각 타일들의 개수를 획득할 것이다.
이어 단말은 702단계에서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의 수가 미리 정해지 임계치보다 큰 지를 검사한다. 만일, 상기 702단계의 검사결과 다이버시티 타일의 수가 미리 정해지 임계치보다 크지 않으면, 703단계에서 다이버시티 전송 방식을 사용하는 단말들은 상기 전 대역에 걸쳐 분산되어 있는 다이버시티 타일들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고, 로컬라이즈드 전송 방식을 사용하는 단말들은 나머지 타일들인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을 통해 로컬라이즈드(Localized)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반면, 상기 702단계의 검사결과 다이버시티 타일의 수가 미리 정해지 임계치보다 크면, 단말은 704단계로 진행하여 소정의 규칙에 따라 다이버시티 서브 대역과 로컬라이즈드(Localized) 서브 대역을 구분하고, 할당된 타일들을 통해 상기 다이버시티 서브 대역과 로컬라이즈드(Localized) 서브 대역들로부터 각각 다이버시티 전송된 데이터 또는 로컬라이즈드(Localized)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즉, 로컬라이즈 전송을 사용하는 단말들은 상기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들에 포함된 로컬라이즈드 타일들 중 자신이 할당받은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고, 다이버시티 전송을 사용하는 단말들은 다이버시티 서브 대역들에 포함된 다이버시티 타일들 중 자신이 할당받은 다이버시티 타일들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다이버시티 타일들과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을 구성하고, 구성된 타일들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과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설명했던 다이버시티 타일과 로컬라이즈드 타일 구성에 대해 도 8을 통해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다이버시티 타일들과 로컬라이즈드 타일을 구성하는 다른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서는 상기 제1 실시 예와는 달리 임계치를 50%라 가정하고, 한 개의 서브 대역에 8개의 타일들이 포함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시스템은 앞서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정 주기 마다 소정의 자원 분할 절차를 통해 다이버시티 타일의 개수와 로컬라이즈드 타일의 개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다이버시티 타일의 개수와 로컬라이즈드 타일의 개수를 소정의 제어 채 널(Control channel)을 통해 단말들에게 시그널링한다.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들과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을 다중화함에 있어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들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보다 크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들을 전체 시스템 대역에 골고루 분산(Distributed)되어 위치하도록 하고, 나머지 위치들에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이 위치하도록 한다.
도 8의 (A)는 상기 임계치가 50% 인 경우 다이버시티 타일들과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의 다중화를 보여 주고 있다.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들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들과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이 서로 다른 서브 대역들에 구성된다. 상기에서 하나의 서브 대역이란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 약속된 임의의 대역으로 통상 전체 대역은 복수 개의 서브 대역들로 구성되고 하나의 서브 대역은 통상 복수 개의 타일들을 포함한다.
도 8에서는 앞서 설명한 도 3과는 달리 하나의 서브 대역에 8 개의 타일들이 포함되는 구성을 보여 주고 있다. 이하 설명하는 본 명세서에서는 제1 실시 예에서 사용되지 않았던 존(Zone)이라는 개념을 사용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에서는 상기 도 8에서 다이버시티 타일들이 존재하는 구역은 다이버시티 존(zone)이라 칭하고,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이 존재하는 구역은 로컬라이즈드 존이라 칭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서브 대역은 8개의 타일들이 포함됨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통상의 OFDMA 시스템은 주파수 재사용(Frequency reuse) 기술을 사용한다. 도 9는 OADM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재사용 기술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9의 (A)는 기지국 A의 서브 대역 별 송신 전력 분포 를 나타낸 것이고, 도 9의 (B)는 기지국 B의 서브 대역 별 송신 전력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의 (A), (B)에서 가로 축은 주파수 축, 세로 축은 전력 축을 의미한다. 도 9의 (A)의 예에서는 기지국 A는 서브 대역 0(901)에서는 높은 전력을 사용하고, 서브 대역 1(903)에서는 중간 전력, 서브 대역 2(905)에서는 낮은 전력을 사용하고 있다. 도 9의 (B)에서 인접 기지국 B는 상기 서브 대역 0(911)에서 낮은 전력을 사용하고, 상기 서브 대역 1(913)에서는 중간 전력을 서브 대역 2(915)에서는 높은 전력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주파수 재 사용 기술을 위해 기지국에서 서브 대역별로 송신 전력을 다르게 할당하는 서브 대역을 주파수 재사용 서브 대역이라 칭한다.
상기 도 9에서 상기 기지국 A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이 상기 두 기지국 A, B의 경계에 위치해 있다고 가정하면, 상기 기지국 A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의 입장에서는 상기 서브 대역 0의 신호 대 잡음 비(SINR)는 서브 대역 1 또는 서브 대역 2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높고, 상기 서브 대역 2의 신호 대 잡음 비(SINR)는 서브 대역 0 또는 서브 대역 1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낮게 된다. 반대로, 기지국 B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기 두 기지국 A, B의 경계에 있는 단말의 입장에서는 상기 서브 대역 0의 신호 대 잡음 비(SINR)는 서브 대역 1 또는 서브 대역 2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낮고, 상기 서브 대역 2의 신호 대 잡음 비(SINR)는 서브 대역 0 또는 서브 대역 1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높게 된다.
주파수 재사용 기술은 상기와 같은 특성을 이용하여, 통상적으로 낮은 신호 대 잡음 비를 갖는 셀 경계에 있는 단말들에게 특정 대역에 대해 신호 대 잡음 비를 높이고, 상기 높은 신호 대 잡음 비를 갖는 서브 대역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셀 경계에 있는 단말들의 수신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OFDMA 시스템에서 제1 실시 예에서와 같이 다이버시티 타일과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을 주파수 축에서 다중화 하는 기술은 주파수 축 상에서 주파수 대역을 여러 개로 나누어서 일부 대역은 다이버시티 타일에 할당하여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가 필요한 데이터 전송에 사용하고, 다른 일부 대역은 로컬라이즈드 타일에 할당하여 주파수 선택적 자원 할당의 이득(좋은 무선 환경 채널을 갖는 대역을 골라서 자원을 할당하는 것)을 얻기 위해 사용하는 기술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주파수 재 사용 기술은 주파수 대역을 여러 개로 나누어서 복수 개의 주파수 재사용 서브 대역으로 나누고 일부 주파수 재사용 서브 대역은 높은 송신 전력을 할당하고, 다른 일부 주파수 재사용 서브 대역은 낮은 송신 전력을 할당하고 상기와 같은 송신 전력 할당 구성을 인접한 기지국들 간에 서로 잘 조화(coordination)시켜서 그 효과를 얻는 기술이다.
그러나, 상술한 제1 실시 예에서와 같이 OFDMA 시스템에서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들과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을 다중화 하는 기술과 주파수 재사용 기술을 동시에 지원하기 위해서는 주파수 대역을 여럿으로 나누어서 운용해야 함을 의미하고, 상기와 같이 서로 다른 목적으로 주파수 대역을 여러 번 나누는 것은 그 설계가 효율적이지 못하면 오히려 주파수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설명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OFDM 시스템에서 다이버시티 타일과 로컬라이즈드 타일을 다중화 하는 기술 및 주파수 재사용 기술을 함께 지원하기 위한 주파수 재사용 서브 대역을 구성하고 운용하는 방법과 장치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이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정의하기로 한다.
먼저 서브 존(sub-zone)이란, OFDMA 시스템에서 주파수 재사용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 주파수 재사용 서브 대역을 주파수 분할하기 위한 단위를 말한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하나 혹은 복수 개의 서브 존을 묶어서 하나의 주파수 재사용 서브 대역을 구성한다.
다시 말해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이란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들에 대한 주파수 재사용의 단위가 된다.
그리고 서브 대역은 단말이 순방향 채널의 채널품질 정보(Channel Quality Information : CQI)를 기지국으로 피드백하는 단위가 되는 대역이다. 즉, 기지국과 단말은 서로 사전 약속을 하고, 단말은 사전 약속에 의해 각 서브 대역 단위로 채널 품질을 측정하여 측정한 채널 품질 정보를 기지국으로 피드백 할 수도 있고, 복수 개의 인접한 서브 대역을 묶고, 상기 묶어진 복수 개의 서브 대역들에 대해 측정된 채널 품질을 하나의 채널 품질 정보로서 기지국으로 피드백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단말이 상기 각 서브 대역 단위로 채널 품질을 측정하여 이를 기지국에 피드백 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OFDMA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을 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1001단계에서 일정 주기마다 소정의 자원 할당 절차를 통해 다이버시티 타일의 수와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의 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다이버시티 타일의 수와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의 수를 제어 채널을 통해 단말에게 시그널링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상기 결정된 다이버시티 타일의 수 및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의 수에 따라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의 구성 방법이 달라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결정되는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의 구성은 상기 1001단계가 다시 수행될 때까지 유지된다. 1003단계에서 기지국은 상기 1001단계에서 결정된 다이버시티 타일의 수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 보다 큰지를 검사한다.
상기 1003단계의 검사결과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의 수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보다 크지 않은 경우, 1005단계에서 기지국은 다이버시티 타일들이 시스템 전체 대역에 골고루 분산되도록 상기 시스템 전체 대역에서 다이버시티 타일들을 구성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각 서브 대역에서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들을 할당하고 남은 타일들을 로컬라이즈드 타일들로 구성하며, 각 서브 대역 내에 포함되는 모든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을 묶어서 하나의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을 구성한다.
상기 1005단계, 1011단계, 1013단계에서와 같이 다이버시티 타일과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이 구성될 경우, 기지국은 10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1005단계, 1011단계, 1013단계에서 각각 구성된 다이버시티 타일들과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을 통 해 데이터를 송신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을 구성하는 첫 번째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는 도 10의 1005단계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다이버시티 존이 도 8의 (A)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에 대해 주파수 재사용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의 구성 방법을 제시한 것이다.
도 11에서 하나의 사각형은 하나의 타일을 나타낸다. 공백으로 표시된 사각형들은 도 8에서와 같이 다이버시티 타일들이 되고, 해칭으로 표시된 타일들은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이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 기지국은 도 11과 같이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을 구성하는 경우 하나의 서브 대역 내에 존재하는 타일들 중에서 다이버시티 타일들은 제외하고 남은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을 묶어서 하나의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을 구성하는 이유는 상기 로컬라이즈드 타일에 대한 주파수 선택적 자원 할당의 용이를 위함이다. 즉, 단말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브 대역 단위로 채널 품질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하나의 서브 대역 내에서 다이버시티 타일들을 제외하고 남은 타일들로 하나의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주파수 선택적 자원 할당의 이득을 최대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을 구성하는 두 번째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는 도 10의 1005단계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라 다이버시티 존이 도 8의 (A)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에 대해 주파수 재 사용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의 구성 방법의 다른 예를 제시한 것이다. 상기 도 12에서 하나의 사각형은 하나의 타일을 나타낸다. 도 12에서 공백으로 표시된 사각형들은 도 8에서와 같이 다이버시티 타일들이 되고, 해칭으로 표시된 타일들은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이 된다. 도 12와 같이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을 구성하는 경우 하나의 서브 대역 내에 존재하는 다이버시티 타일의 수만큼 서브 대역의 크기를 늘려 주고 상기 늘어난 서브 대역 내에 다이버시티 타일들을 제외하고 남은 타일들을 묶어서 하나의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 12와 같은 구성에서 단말이 서브 대역별 채널 품질 정보를 기지국으로 피드백 하는 경우, 상기 도 11에 비해 타일 개수가 3개가 늘어난 서브 대역에 대한 채널 품질을 측정하고 측정된 채널 품질 정보를 기지국에게 피드백한다. 이러한 피드백 전송 방법은 기지국과 단말 간에 미리 약속되어 있다. 왜냐하면, 단말은 상기 서브 대역 단위로 채널 품질 정보를 피드백 하기 때문에 상기 서브 대역의 크기 변화가 기지국과 단말 간에 서로 약속되어 있지 않으면 채널 선택적 자원 할당의 이득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1003단계의 검사 결과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의 수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 보다 큰 경우, 기지국은 1007단계로 진행하여 서브 대역 별로 다이버시티 대역과 로컬라이즈드 대역을 구성한다. 즉, 도 8의 (B)와 같이 다이버시티 대역과 로컬라이즈드 대역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다이버시티 대역과 로컬라이즈드 대역 의 구성에 있어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을 구성하는 방법은 미리 정해진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의 개수와 상기 1001단계에서 결정된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의 개수에 의해 달라진다. 상기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의 개수는 단말과 기지국간에 소정의 시그널링 절차를 통해서 미리 알고 있는 정보이다.
그리고, 1009단계에서 기지국은 상기 1001단계에서 결정된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의 개수가 미리 알고 있는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의 개수보다 큰지 검사하고, 상기 1009단계의 검사결과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의 개수가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의 개수보다 크지 않은 경우 기지국은 1011단계로 진행하여 각 서브 대역을 하나의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으로 구성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을 구성하는 세 번째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는 도 10의 1011단계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에서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의 수는 2개(Subband1, Subband3)이고, 도 10의 1001단계에서 결정된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의 개수도 2인 경우를 가정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이 하나의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을 구성하게 된다. 즉, 도 13에서는 서브 대역 1이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 0 이 되고, 서브 대역 3이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 1이 된다.
만일, 도 10에서 상기 1009단계의 검사결과, 상기 1001단계에서 결정된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의 개수가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의 개수보다 크다면, 기지국은 1013단계에서 한 개의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에 포함되는 타일의 개수는 모든 로컬 라이즈드 타일들의 개수를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의 개수로 나눈 수와 같으며, 상기와 같이 한 개의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에 포함되는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은 모든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들에 대해 균일하게 분산시킨다.
도 14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다이버시티 서브 존을 구성하는 네 번째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는 도 10의 1013단계의 일 예를 보인 것이다.
도 14에서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의 수는 2(서브 대역1, 서브 대역 3)로,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의 수는 4라고 가정하였다. 상기 두 개의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들에 포함되는 타일들의 수는 16(=8 x 2)이며, 상기 타일의 개수 16을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의 수인 4로 나누면 4가 되므로 각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에 포함되는 타일의 수는 4 개가 된다.
상기에서는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들에 포함되는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의 개수가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의 개수로 정확하게 나누어 떨어지는 경우를 예를 들었으나,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에 포함되는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의 개수가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의 개수로 정확하게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임의의 비균등 분할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상기의 예에서는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 0 내지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 3까지의 각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들에 포함되는 타일의 수가 각각 4, 4, 4, 4가 되지만, 두 개의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들에 포함되는 타일들의 수가 15 인 경우에는 상기 15를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의 수인 4로 나누면, 3.75가 되어 정수가 아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 0 내지 4까지의 각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에 포함되는 타일의 수를 3, 4, 4, 4 혹은 4, 3, 4, 4 등과 같이 최 대한 숫자를 같게 하도록 하되 임의의 한 두 개 정도의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에 포함되는 타일의 수는 상대적으로 작게 할당할 수 있다. 도 14을 보면, 4 개의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이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인 서브 대역 1과 서브 대역 3에 걸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된 다이버시티 타일과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을 통해 수신기가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 흐름도이다.
1500단계에서 수신기는 소정의 제어 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다이버시티 타일의 수와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 수를 획득한다.
1502단계에서 수신기는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 수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보다 큰지를 검사하고, 상기 검사결과 다이버시티 타일 수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보다 크지 않다면, 1504단계로 진행하여 전대역에 걸쳐 흩어 뿌려진 다이버시티 타일들을 통해서 다이버시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들을 제외한 나머지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들을 통해 로컬라이즈드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반면, 상기 1502단계의 검사결과 다이버시티 타일 수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보다 크다면, 수신기는 150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1500단계에서 획득한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 개수가 미리 정해진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 개수보다 큰지를 검사한다. 상기 1506단계의 검사결과,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 개수가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 개수보다 크지 않다면, 수신기는 1508단계로 진행하여 소정의 규칙에 따라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들과 다이버시티 서브 대역들을 구별하고, 상기 다이버시티 서브 대역을 통해 다이버시티 전송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하나의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을 이루는 각각의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을 통해 로컬라이즈드 전송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반면, 상기 1506단계의 검사결과,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 개수가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 개수보다 크다면, 수신기는 1507단계로 진행하여 소정의 규칙에 따라 다이버시티 서브 대역들과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들을 구별하고, 다이버시티 서브 대역을 통해서는 다이버시티 전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각각의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들에 상기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의 개수에 따라 균일하게 분산된 각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들을 통해 로컬라이즈드 전송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타일들을 구성하고, 구성된 타일들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지국 송신기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16을 참조하면 사용자 데이터 버퍼(1601)는 복수 사용자의 데이터(수신기로 전송할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이다. 스케줄러(1602)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 버퍼(1601) 상태를 검사하고, 기타 스케쥴링에 필요한 정보들을 통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서는 다이버시티 타일의 수와 로컬라이즈드(Localized) 타일의 수를, 제2 실시 예에 따라서는 다이버시티 타일 수와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의 수를 결정한다. 상기 스케줄러(1602)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 버퍼(1601)에 수신기로 전송해야할 데이터가 있다면, 소정의 스케줄링을 통해 수신기로 전송될 데이터가 있음을 제어부(1604)로 알린다.
제어 채널 구성부(1607)는 상기 정보, 즉 제1 실시 예에서는 다이버시티 타일의 수와 로컬라이즈드 타일의 수에 관한 정보, 제2 실시 예에서는 다이버시티 타일 수와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의 수에 관한 정보를 소정의 절차를 통해 부호화 한다.
제어부(160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스케줄러(1602)로부터 다이버시티 타일의 수 또는 로컬라이즈드(Localized) 타일의 수를 입력으로 받아 다이버시티 타일 및 로컬라이즈드(Localized) 타일 구성부(1603)를 제어하여 로컬라이즈드 타일들로는 로컬라이즈드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다이버시티 타일들로는 다이버시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604)는 상기 스케줄러(1602)가 결정한 다이버시티 타일의 수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 보다 크다면, 서브 대역 단위로 다이버시티 타일만 존재하는 서브 대역과 로컬라이즈드 타일만 존재하는 서브 대역을 구성하게 다이버시티 타일 및 로컬라이즈드 타일 구성부(1603)를 제어하고, 다이버시티 타일 및 로컬라이즈드 타일 구성부(1603)는 상기 구성된 서브 대역들을 전체 대역 내에서 골고루 섞는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604)는 상기 스케줄러(1602)가 결정한 다이버시티 타일의 수와 미리 정해진 임계치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앞서 설명한 도 2 내지 6과 같이 타일들을 구성하고, 그 구성된 타일들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게 다이버시티 타일 및 로컬라이즈드 타일 구성부(1603)를 제어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와 같이 제어부(1604)의 제어에 의해 타일들 이 구성되면, 다이버시티 타일 및 로컬라이즈드 타일 구성부(1603)는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사이클릭 쉬프트를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604)는 상기 스케줄러(1602)로부터 다이버시티 타일의 수와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의 수를 입력받아 다이버시티 타일 및 로컬라이즈드 타일 구성부(1603)를 제어하여 로컬라이즈드 타일들로는 로컬라이즈드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다이버시티 타일들로는 다이버시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604)는 상기 스케줄러(1602)가 결정한 다이버시티 타일의 수와 미리 정해진 임계치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도 10 내지 도 14와 같이 다이버시티 타일들과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을 구성하고, 그 구성된 다이버시티 타일들과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을 이루고 있는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게 다이버시티 타일 및 로컬라이즈드 타일 구성부(1603)를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이버시티 타일 및 로컬라이즈드(Localized) 타일 구성을 통해 사용자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이다. 즉, 다이버시티 타일 및 로컬라이즈드 타일 구성부(1603)에서 구성된 타일들이 OFDM 심볼 구성기(1605)로 입력되어 OFDM 심볼로 구성되고, 상기 OFDM 심볼 구성기(1605)에서 구성된 OFDM 심볼들은 OFDM 심볼 송신부(1606)를 통해 수신기로 전송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송신기의 구성 중 다이버시티 타일 및 로컬라이즈드 타일 구성부(1603), OFDM 심볼 구성기(1605), OFDM 심볼 송신부(1606)를 송신 모듈 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 수신기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17을 참조하면 OFDM 심볼 수신부(1701)는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OFDM 신호를 수신한다. 제어 채널 수신부(1702)는 소정의 절차에 의해 제어 채널을 통해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데, 제1 실시 예에 따라서는 다이버시티 타일의 수와 로컬라이즈드(Localized) 타일의 수에 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제2 실시 예에 따라서는 다이버시티 타일과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의 개수를 수신한다. 상기 제어 채널 수신부(1702)는 상기 도 16의 제어 채널 구성부(1607)에서 수행한 동작을 역으로 복호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블록이다.
도 17에서 제어부(1704)는 상기 제어 채널 수신부(1702)로부터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서는 다이버시티 타일 수와 로컬라이즈드 타일 수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고, 제2 실시 예에서는 다이버시티 타일 수와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의 개수를 입력받아 다이버시티 타일 및 로컬라이즈드 타일 분리기(1703)가 다이버시티 타일과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을 분리하거나 다이버시티 타일들과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을 분리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 및 로컬라이즈드 타일 분리기(1703)는 각각의 타일들 중 상기 수신기가 할당받은 타일들로 수신된 데이터를 복조하여 출력한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704)는 제어 채널 수신부(1702) 가 획득한 다이버시티 타일 수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보다 클 경우, 다이버시티 서브 대역과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을 구별하여 각각의 서브 대역들에 포함된 다이버시티 타일들과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을 분리하게 다이버시티 타일 및 로컬라이즈드 타일 분리기(1703)를 제어한다.
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4)는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 수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보다 크지 않을 경우, 전체 대역에 걸쳐 흩어뿌려진 다이버시티 타일들과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들을 제외한 나머지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을 분리하게 다이버시티 타일 및 로컬라이즈드 타일 분리기(1703)를 제어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704)는 제어 채널 수신부(1702)가 획득한 다이버시티 타일 수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보다 크지 않은 경우, 전체 시스템 대역에서 타일 구성이 도 11 또는 도 12와 같으므로 전대역에 걸쳐 흩어 뿌려진 다이버시티 타일들과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들을 제외한 나머지 로컬 라이즈드 서브 존들을 분리하게 제어한다. 또한, 제2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704)는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 수가 상기 임계치보다 크다면, 타일들의 구성이 도 13 내지 도 14와 같으므로 다이버시티 서브 대역들과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들을 구분하고, 각각의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을 구성하는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들을 구별하게 다이버시티 타일 및 로컬라이즈드 타일 분리기(1704)를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라 다이버시티 타일 및 로컬라이즈드 타일 분리기(1703)는 상기 제어부(1704)의 제어에 의해 전체 시스템 대역에서 다이버시티 타일들 및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을 분리하고, 할당된 타일들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를 복조하여 출력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OFDMA 시스템에서 상기 다이버시티 전송과 로컬라이즈드(Localized) 전송, 그리고 상기 두 가지 전송 방법을 혼용하여 전송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상기 도 2의 202단계에서 사용되는 임계치가 25 % 인 경우에 다이버시티 타일들과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의 위치에 대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상기 도 3의 참조번호 310에 도시한 타일들의 구성이 도 2의 206단계에 따라 시간에 따라 타일 단위로 사이클릭 쉬프트(cyclic shift)하는 것을 보여 주는 도면,
도 5는 상기 도 2에서 207단계에 따라 서브 대역 단위의 사이클릭 쉬프트를 수행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상기 도 2의 207단계에 따라 서브대역 단위의 사이클릭 쉬프트를 수행하는 또 다른 예를 보여 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다이버시티 타일들과 로컬라이즈드 타일을 구성하는 다른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OADM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재사용 기술의 일 예를 나타낸 도 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OFDMA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을 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을 구성하는 첫 번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을 구성하는 두 번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을 구성하는 세 번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4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다이버시티 서브 존을 구성하는 네 번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된 다이버시티 타일과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을 통해 수신기가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 흐름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타일들을 구성하고, 구성된 타일들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지국 송신기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 수신기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

Claims (25)

  1.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 OFDMA) 방식의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신 방법에 있어서,
    서로 물리적으로 떨어진 주파수 자원들로 각각 이루어진 다이버시티 타일들의 개수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다이버시티 타일들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보다 크다면, 전체 시스템 대역을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들을 포함하는 다이버시티 서브 대역들과 서로 물리적으로 인접한 주파수 자원들로 이루어진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을 포함하는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들로 구분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다이버시티 타일들의 개수가 상기 임계치보다 크지 않다면,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들을 상기 전체 시스템 대역에 걸쳐 흩어뿌리고(Distributed),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들을 제외한 나머지 대역에 상기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을 위치시키는 과정과,
    상기 구성된 다이버시티 타일들 및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을 통해 복수의 단말들에게 다이버시티 전송 및 로컬라이즈드 전송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된 다이버시티 및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들은 서브 대역 단위로 사이클릭 쉬프트(Cyclic Shift)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된 다이버시티 및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은 타일 단위로 사이클릭 쉬프트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된 다이버시티 및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들은 하이브리드 복합 재전송(Hybrid-Automatic Request : HARQ) 프로세스를 지원할 때 하나의 HARQ 프로세스가 수행되는 동일한 HARQ 인터레이스(Interlace) 인덱스에 해당하는 서브 대역 단위로 사이클릭 쉬프트(Cyclic Shift)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들의 개수와 상기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의 개수를 시그널링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다이버시티 타일의 개수가 상기 임계치 보다 크다면,
    상기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들에 대한 주파수 재사용의 단위인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의 개수가 상기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의 개수보다 큰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의 개수가 상기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의 개수 보다 크다면, 상기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 각각에 포함되는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을 상기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들에 균일하게 분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 각각에 포함되는 타일들의 개수는 상기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들에 포함되는 전체 타일의 수를 상기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의 개수로 나눈 값으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들의 개수가 상기 임계치보다 크지 않다면,
    각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내에 포함되는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을 묶어서 주파수 재사용의 단위가 되는 서브 존을 구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의 개수가 상기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의 개수보다 크지 않다면,
    상기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들이 각각 하나의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이 되도록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을 구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방법.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의 개수와 상기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의 개수를 시그널링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방법.
  10.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시스템에서 데이터 수신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제어 채널을 통해 서로 물리적으로 떨어진 주파수 자원들로 각각 이루어진 다이버시티 타일의 개수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한 다이버시티 타일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 보다 큰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의 개수가 상기 임계치 보다 크다면, 전체 시스템 대역을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들을 포함하는 다이버시티 서브대역들과, 서로 물리적으로 인접한 주파수 자원들로 각각 이루어진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을 포함하는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들을 구분하는 과정과,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의 개수가 상기 임계치보다 크지 않은 경우, 상기 전체 시스템 대역을 상기 전체 시스템 대역에 걸쳐 흩어뿌려져 있는 다이버시티 타일들과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들을 제외한 나머지 대역들을 로컬라이즈드 타일들로 구분하는 과정과,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들과 상기 로컬라이즈드 타일들 중 할당된 타일들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시스템에서 데이터 수신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된 다이버시티 및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들은 서브 대역 단위로 사이클릭 쉬프트(Cyclic Shift)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시스템에서 데이터 수신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된 다이버시티 및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은 타일 단위로 사이클릭 쉬프트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시스템에서 데이터 수신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된 다이버시티 및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들은 하이브리드 복합 재전송(Hybrid-Automatic Request : HARQ) 프로세스를 지원할 때 하나의 HARQ 프로세스가 수행되는 동일한 HARQ 인터레이스(Interlace) 인덱스에 해당하는 서브 대역 단위로 사이클릭 쉬프트(Cyclic Shift)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시스템에서 데이터 수신 방법.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의 수가 상기 임계치보다 크고, 상기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의 개수가 상기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들에 대한 주파수 재사용의 단위인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의 개수보다 크지 않다면, 상기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들은 각각 하나의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시스템에서 데이터 수신 방법.
  15.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의 개수가 상기 임계치보다 크고, 상기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의 개수가 상기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의 개수보다 크다면, 상기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들 각각에 포함되는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은 상기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들에 균일하게 분산되고,
    상기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들 각각에 포함되는 타일들의 개수는 전체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들에 포함되는 전체 타일의 개수를 상기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의 개수로 나눈 값으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시스템에서 데이터 수신 방법.
  16.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기지국 송신 장치에 있어서,
    전체 시스템 대역에서 사용될 서로 물리적으로 떨어진 주파수 자원들로 각각 이루어진 다이버시티 타일들의 개수를 결정하는 스케줄러와,
    상기 결정된 다이버시티 타일들의 개수와 미리 정해진 임계치를 비교하고,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 개수가 상기 임계치보다 크다면, 상기 전체 시스템 대역을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들을 포함하는 다이버시티 서브 대역들과 서로 물리적으로 인접한 주파수 자원들로 각각 이루어진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을 포함하는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들로 구분하고,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의 개수가 상기 임계치 보다 크지 않다면,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들을 상기 전체 시스템 대역에 걸쳐 흩어뿌리고,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들을 제외한 나머지 대역에 상기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을 위치시키게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성된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들과 상기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을 통해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 모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된 다이버시티 및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들은 서브 대역 단위로 사이클릭 쉬프트(Cyclic Shift)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된 다이버시티 및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은 타일 단위로 사이클릭 쉬프트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된 다이버시티 및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들은 하이브리드 복합 재전송(Hybrid-Automatic Request : HARQ) 프로세스를 지원할 때 하나의 HARQ 프로세스가 수행되는 동일한 HARQ 인터레이스(Interlace) 인덱스에 해당하는 서브 대역 단위로 사이클릭 쉬프트(Cyclic Shift)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장치.
  20.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다이버시티 타일의 개수가 상기 임계치 보다 크다면,
    상기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들에 대한 주파수 재사용의 단위인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의 개수가 상기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의 개수보다 큰지를 검사고, 상 기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의 개수가 상기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의 개수 보다 크다면, 상기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 각각에 포함되는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을 상기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들에 균일하게 분산하게 상기 송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 각각에 포함되는 타일들의 개수는 상기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들에 포함되는 전체 타일의 수를 상기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의 개수로 나눈 값으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장치.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들의 개수가 상기 임계치보다 크지 않다면,
    각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내에 포함되는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을 묶어서 주파수 재사용의 단위가 되는 서브 존을 구성하게 상기 송신 모듈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장치.
  22.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의 개수가 상기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의 개수보 다 크지 않다면,
    상기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들이 각각 하나의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이 되도록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을 구성하게 상기 송신 모듈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장치.
  23.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소정의 제어 채널을 통해 서로 물리적으로 떨어진 주파수 자원들로 각각 이루어진 다이버시티 타일의 개수를 획득하는 제어 채널 수신부와,
    상기 획득한 다이버시티 타일의 개수와 미리 정해진 임계치를 비교하고,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의 개수가 상기 임계치 보다 큰 경우, 전체 시스템 대역을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들을 포함하는 다이버시티 서브 대역들과, 서로 물리적으로 인접한 주파수 자원들로 각각 이루어진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을 포함하는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들을 구분하고,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의 개수가 상기 임계치보다 크지 않은 경우, 상기 전체 시스템 대역을 상기 전체 시스템 대역에 걸쳐 흩어뿌려져 있는 다이버시티 타일들과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들을 제외한 나머지 대역들을 로컬라이즈드 타일들로 구분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분된 다이버시티 타일들과 로컬라이즈드 타일 들 중 할당된 타일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시스템에서 데이터 수신 장치.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의 수가 상기 임계치보다 크고, 상기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의 개수가 상기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들에 대한 주파수 재사용의 단위인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 개수보다 크지 않다면, 상기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들은 각각 하나의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시스템에서 데이터 수신 장치.
  25.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버시티 타일의 개수가 상기 임계치보다 크고, 상기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의 개수가 상기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의 개수보다 크다면, 상기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들 각각에 포함되는 로컬라이즈드 타일들은 상기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들에 균일하게 분산되고, 상기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들 각각에 포함되는 타일들의 개수는 전체 로컬라이즈드 서브 대역들에 포함되는 전체 타일의 개수를 상기 로컬라이즈드 서브 존의 개수로 나눈 값으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시스템에서 데이터 수신 장치.
KR1020070116637A 2006-11-17 2007-11-15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방법 및 장치 KR1008767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4156 2006-11-17
KR20060114156 2006-11-17
KR20060118601 2006-11-28
KR1020060118601 2006-1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5062A KR20080045062A (ko) 2008-05-22
KR100876773B1 true KR100876773B1 (ko) 2009-01-07

Family

ID=39401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6637A KR100876773B1 (ko) 2006-11-17 2007-11-15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331472B2 (ko)
KR (1) KR100876773B1 (ko)
WO (1) WO20080601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759B1 (ko) * 2008-06-08 2013-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전송방법
CN104283652B (zh) * 2013-07-09 2017-06-30 普天信息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下行harq进程的分配管理方法
US20220038136A1 (en) * 2018-12-17 2022-02-03 Idac Holdings, Inc. Communication in a resonance magnetic coupled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19930B1 (en) 2000-11-03 2004-11-16 Lucent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in allocating a channel resource in wireless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s systems
KR20050000709A (ko) * 2003-06-24 2005-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방법
KR20050089699A (ko) * 2004-03-05 2005-09-0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반송파 다중접속 통신 시스템을 위한 자원할당 방법
KR20050091578A (ko) * 2004-03-12 2005-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시분할 듀플렉싱 방식을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공통 제어 정보 송수신 장치 및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35187A2 (en) * 2005-06-15 2006-12-21 Lg Electronics Inc. A method of allocating wireless resources in a multi-carrier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19930B1 (en) 2000-11-03 2004-11-16 Lucent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in allocating a channel resource in wireless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s systems
KR20050000709A (ko) * 2003-06-24 2005-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방법
KR20050089699A (ko) * 2004-03-05 2005-09-0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반송파 다중접속 통신 시스템을 위한 자원할당 방법
KR20050091578A (ko) * 2004-03-12 2005-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시분할 듀플렉싱 방식을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공통 제어 정보 송수신 장치 및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5062A (ko) 2008-05-22
US20080123766A1 (en) 2008-05-29
US8331472B2 (en) 2012-12-11
WO2008060120A1 (en) 2008-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5943B2 (en) Half-duplex communication in a frequency division duplex system
US9107210B2 (en) Resource allocation
US9363699B2 (en) Base station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for receiving information indicative of channel quality from mobile station
KR100981514B1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부분 채널 정보 피드백을 이용한 적응 부채널 및 비트 할당 방법
RU2372719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посылки по обратной связи информации качества канала и использующие их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ланирования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EP199466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resource allocation and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system using the same
CN102916724B (zh) 用户装置、发送方法以及通信系统
US8488531B2 (en) Method and system for allocating communication resources
US8121549B2 (en) Method and system for allocating resource in a communication system
WO2010018826A1 (ja) 基地局、ユーザ装置、通信システム、基地局の制御方法、ユーザ装置の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101027575B1 (ko) 제어 채널 전송 방법, 기지국 및 단말기
KR20060060382A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채널 정보 송/수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938968A (zh) 基站装置、移动台装置和数据信道的调度方法
WO2006038694A1 (ja) 基地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送信方法
JP2006311465A (ja) 送信装置および無線リソース割り当て方法
CN102577219A (zh) Lte-advanced中用于载波聚合的pucch资源分配
KR20070048426A (ko)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쥴링 장치 및 방법
CN105451155A (zh) 一种信道和信号传输方法及相应的终端、基站
US817504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feedback data in a broadband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2581916A1 (en) Enhanced beacon signal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876773B1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방법 및 장치
JP2020502866A (ja) 可変mcs及び可変tti長を有するフレキシブルフレーム構造を使用する移動通信伝送
US20100172434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Codeword
KR100945098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c-mimo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장치
CN101124743B (zh) 在无线通信系统中建立快速反馈信道和发送信息的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11